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한화 Tech avatar

한화 Tech

TGlist 评分
0
0
类型公开
验证
未验证
可信度
不可靠
位置
语言其他
频道创建日期Sep 05, 2022
添加到 TGlist 的日期
Oct 21, 2024

记录

19.04.202523:59
2.3K订阅者
24.03.202523:59
200引用指数
28.03.202523:59
6.2K每帖平均覆盖率
28.03.202523:59
6K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
01.02.202523:59
5.56%ER
28.03.202523:59
273.96%ERR
订阅者
引用指数
每篇帖子的浏览量
每个广告帖子的浏览量
ER
ERR
NOV '24DEC '24JAN '25FEB '25MAR '25APR '25MAY '25

한화 Tech 热门帖子

24.04.202523:59
[한화투자증권 2차전지/에너지/화학 이용욱]

★ 한화솔루션(009830/Buy) - 태양광 사업부 본격 턴어라운드
-link: https://buly.kr/YeP2u5

▶1분기: 태양광 부문 서프라이즈
동사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 3.1조 원, 영업이익 303억 원으로 컨센서스(매출액 2.8조 원, 영업적자 607억 원)를 크게 상회했다. 태양광 부문의 수익성 개선이 주효했다. 특히 TPO 사업이 본격화되며 주택용 에너지 사업에서 영업이익 1,292억 원을 기록해, 전 분기(200억 원)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케미칼 사업부는 정기보수 영향으로 500억 원의 추가 손실을 기록하며 적자가 확대됐다.

▶2분기: 영업이익 1,344억 원으로 컨센서스 상회 전망
동사의 2분기 실적 역시 매출액 3.4조 원, 영업이익 1,344억 원으로 기존 컨센서스(매출액 3.1조 원, 영업이익 403억 원)를 대폭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태양광 사업부의 수익성 회복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주택용 에너지 사업은 견조한 수익성이 유지되는 가운데, 모듈 출하량이 QoQ +10% 증가하고, 모듈 가격도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케미칼 사업부는 정기보수가 마무리되며 적자 폭이 축소될 전망이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2,000원 유지
태양광 사업부의 본격적인 턴어라운드가 시작됐다. 1) 미국 내 유틸리티용 태양광 설치량은 둔화될 우려가 있으나, 동사는 주택용 시장에서의 강점이 부각되고 있다. 주택용 태양광 시장은 CAGR +8%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안에서도 TPO 시장은 CAGR +18%의 더 높은 성장세가 전망된다. 동사는 모듈 생산부터 설치, 운영까지 사업을 수직계열화해 원가 경쟁력이 높고, ITC 세액공제 혜택으로 높은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동남아 4개국에 대한 AD/CVD도 부과되며 미국 내 모듈 재고가 감소하면서 모듈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도 기대된다. 주택용 에너지 사업에서의 견조한 수익성과 미국 내 모듈 가격 상승세를 확인하며 비중 확대를 추천한다.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24.04.202522:27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4.25(금)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아마존, 엔비디아 AI 데이터센터 수요 둔화 부인
-link: https://buly.kr/4bhpZwf

구글, 700억 달러 자사주 매입 계획 발표...1분기 실적 시장 예상치 상회
-link: https://buly.kr/CWtviLl

OpenAI, 2029년에 매출 1,250억 달러 돌파 예측
-link: https://buly.kr/APupwtG

TSMC 기술 심포지엄 하이라이트: A14 2028 출시 예정; 9.5 레티클 CoWoS 2027년 예정
-link: https://buly.kr/9XL32qj

인텔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관세 우려 칩 비축으로 이어지며 2분기 전망에 영향 미쳐
-link: https://buly.kr/2Uijnpb

삼성, HBM3E와 HBM4에 집중... HBM2E 단계적 생산 중단
-link: https://buly.kr/5fCNLdO



▶️ 2차전지
폭스바겐, 상하이서 AI 기반 전동화 콘셉트카 3대 공개
-link: https://buly.kr/1c8wuD1

스텔란티스, Factorial Energy 고체 배터리 셀 검토
-link: https://buly.kr/2JnypXS

포스코홀딩스 "포스코퓨처엠 자금 조달 방안 곧 결정"
-link: https://buly.kr/6igvLJq

CATL 사장 “2분기 한국 법인 출범…현대차와 협력하고 싶다”
-link: https://buly.kr/1xySrqw

'나트륨 이온 배터리' 中 선제 공격, K-배터리 '조기 출시' 맞불
-link: https://buly.kr/B7ZrsHz

인니 국영 배터리사 "현대차-LG엔솔 합작사 프로젝트 지속적으로 협의 중"
-link: https://buly.kr/611tQeD


채널: https://t.me/hanwhatech
24.04.202523:56
[한화투자증권 2차전지/에너지/화학 이용욱]

★ 포스코퓨처엠(003670/Buy) - 차근차근 개선되는 중
-link: https://buly.kr/DaOTdED

▶1분기: 양극재/기초소재 부문 호실적으로 컨센서스 상회
동사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 8,454억 원, 영업이익 172억 원으로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59억 원을 상회했다. 양극재와 기초소재 사업부 수익성 개선이 주효했다. 양극재 출하량과 판가는 각각 QoQ 39% 증가, 4%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1) 연초 GM의 재고조정 우려에도 N86 판매가 견조했고, 2) 고객사의 신규 모델 출시 효과로 N87/NCA 판매도 증가했다. 절강포화에서 N87 양산도 개시하며 양극재 사업부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다. 음극재 판매량은 QoQ +28% 증가했으나, 여전히 저조한 가동률로 인해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2분기: 영업이익 174억 원 전망
동사의 2분기 실적은 매출액 8,272억 원, 영업이익 174억 원으로 의미있는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한다. 2분기 양극재 판매량과 판가는 각각 QoQ 5% 증가, 1%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양극재 판매량은 소폭 증가하는데 그치는 반면, 신규 광양 전구체 공장이 가동에 따른 초기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신규 전구체 양산이 본격화되면 하반기부터 양극재 출하량이 본격적으로 회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6만 원 유지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그대로 유지한다. 동사는 2025년 양극재 출하량 가이던스(YoY +30%)를 그대로 유지했으나, 우리는 이보다 낮은 YoY +15%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다. GM/STLA 등 전방 고객사 판매량이 예상만큼 빠르게 올라오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사는 그룹사를 통한 수직계열화의 강점을 바탕으로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경쟁사 대비 안정적인 출하량/수익성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24.04.202523:53
[한화투자증권 반도체 김광진]

★ SK하이닉스(000660/Buy) - 1Q25 Review : HBM이 만들어낸 격차
-link: https://buly.kr/AlkLw8z

▶1Q25 Review : HBM이 만들어낸 격차

1Q25 잠정실적은 매출액 17.6조원(-11% QoQ), 영업이익 7.4조원(-8% QoQ)으로 최근 높아져있던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하는 우수한 실적 기록. 핵심 요인은 디램 수익성 개선에 기인.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HBM3E 출하 호조에 따라 출하량 감소가 -8% 수준으로 당초 예상대비 제한적이었으며, 12단 판매 확대(약 25% 추정)에 따른 Mix 개선 효과로 범용 디램 가격 하락 효과를 상쇄함에 따라 Blended ASP도 전분기 대비 Flat 수준을 유지한 점이 경쟁사와의 실적 차별화 요소로 작용. 전체 디램 매출 내 HBM 비중은 약 50% 수준까지 확대된 것으로 판단. 낸드는 디램 대비 다소 낮은 수요 강도와 단품 판매 확대에 따른 Mix 악화로 인해 출하량과 가격이 각각 -17%, -20% 수준 큰 폭 하락했으나 흑자 기조는 유지

▶2Q25에도 경쟁사와의 실적 차별화 지속 전망
2Q25 영업이익은 8.8조원 전망. 경쟁사와의 실적 차별화 지속 예상. 2Q25부터 HBM3E 12단 제품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출하 비중이 50% 이상으로 크게 확대될 것. 12단 제품의 경우 8단 대비 단위 용량 기준 10% 이상의 가격 프리미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에 제품 Mix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 최근 GB300 출시 지연 가능성이 제기되며 HBM3E 12단 출하 지연 우려가 일부 존재했으나, 이번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출하 계획에 변동 없음이 공식적으로 확인된 점도 긍정적

▶관세 불확실성이 단기적 변수이나 과도한 우려는 경계
관세 불확실성은 단기적 변수. 미국으로의 직접 수출 비중은 10~20% 내외로 제한적이지만 메모리의 중간재로서의 특성을 고려할 때 서버 및 IT 기기 수요 변화에 영향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부정적. 다만, 주요 고객들의 메모리 수요에 변화가 확인되지 않고, 오히려 조기 재고 비축을 위한 Pull-in 수요까지 발생하는 상황임을 고려하면 급격한 업황의 둔화를 우려하기엔 시기상조. 이미 동사 주가는 올해 실적 기준 P/B 1.3X 수준까지 하락하며 관세 우려를 상당 부분 반영한 만큼 과도한 우려는 경계할 필요.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유지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