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박 기자단 '블록가이드'님께서 작성하신 글입니다. 원문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튀르키예 국민들의 암호화폐 채택 배경 튀르키예는 리라화의 급격한 가치 하락으로 인해 암호화폐가 대안 자산으로 주목받았습니다. 중앙은행의 저금리 정책과 외화 보유고 감소, 높은 인플레이션(2023년 기준 60% 이상) 등이 원인으로, 터키 국민들은 비트코인과 테더 같은 암호화폐를 헤지 수단으로 선택했습니다. 2021년 정부의 암호화폐 결제 금지 조치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거래는 여전히 활발했으며, 거래소 이용률이 증가하며 안전자산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환율 폭등과 한국의 상황 비교 최근 한국에서도 원-달러 환율 폭등으로 원화 가치가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수출 주도형 경제에서 수출 기업에는 유리하나, 수입 비용 상승으로 소비자 물가 압박을 가중시킬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한국은 튀르키예와 달리 경제 및 통화 정책이 비교적 안정적이며,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 조정으로 시장을 조율할 여지가 많습니다.
튀르키예와 한국의 차이점 튀르키예와 한국은 경제 구조와 정책 대응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튀르키예는 경제 위기로 인해 암호화폐가 대안화폐로 자리 잡은 반면, 한국은 비교적 안정된 금융 환경에서 암호화폐를 위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암호화폐가 원화를 대체하는 튀르키예와 같은 양상이 한국에서 발생할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결론 한국에서도 환율 변동과 경제적 불확실성이 증가하면 단기적으로 암호화폐 관심이 높아질 수 있지만, 튀르키예와 같은 대안화폐로 자리 잡는 일은 어려워 보입니다. 한국의 금융 시스템은 안정적이며, 중앙은행의 시장 조율 능력이 뛰어나 장기적으로 환율 변동성이 안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5년에는 환율 안정화를 위한 경제적 조치가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
현지시간으로 30일, 뉴욕증시는 3대지수 모두 하락 마감했습니다. 미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GDP)이 예상보다 부진하게 나오면서 시장에 일부 실망감을 준 영향입니다.
반면, 민간 고용은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습니다. ADP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10월 민간 부문 고용은 23만 3,000명 증가하며 1년 3개월만에 가장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고용 호조에도 불구하고 투자심리를 크게 개선시키진 못했습니다. 미국 남부 지역의 허리케인 여파로 많은 기들이 영업을 하지 못해 ADP 조사에 포함되지 못한 사례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보잉의 파업 영향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고용 수치가 왜곡되었을 가능성도 크다고 월가에서는 평가하고 있습니다. 결국 시장은 뚜렷한 힌트를 얻지 못한 채, 미 노동부의 ‘비농업 부문 고용보고서’를 기다리게 되었습니다. 해당 지표는 연준의 금리 정책 방향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지표로, 한국시간으로 내일(금요일) 밤 발표될 예정입니다.
비트코인 가격도 주요 경제 지표에 주목하며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하락 추세로 전환될 경우 상승 추세선까지 조정을 받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락 시 예상 도달 가격 범위는 65,000~69,000달러입니다.
또한, 대선이 얼마 남지 않아 비트코인 가격의 변동성이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당시처럼 커질 수 있으므로 신중한 투자 전략이 요구됩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기술적 분석보다는 외부 소식과 같은 거시적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도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그 원인으로 레이어2 솔루션의 성장을 지적하며, 이로 인해 이더리움 메인넷의 수익이 줄어들었다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문제는 단순히 가격 하락에 그치지 않고,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과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탈중앙화 거래소 유니스왑이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벗어나 자체 레이어2 솔루션인 유니체인으로 전환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진 상태입니다.
과연 이더리움은 시장이 우려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이더리움이 겪고 있는 문제와 업계 반응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들어가며 - 이더리움에게 무슨 일이? - 이더리움 메인넷 수익 변화 - 이더리움 메인넷 수익 감소 원인 - Base 네트워크의 수익과 L1 정산 비용 - 유니스왑의 유니체인 등장 - 레이어2 성장은 이더리움에게 도움이 될까? - 부정적인 입장, 긍정적인 입장 - 마치며
(1) 테슬라, 아마존 / Tesla, Amazon (2) 하드포크 / Hard Fork (3) 가스비 / Gas Fee
👆🏻반짝이를 터치하면 정답이 표시됩니다 👆🏻Touch the glitter to reveal the answer
08.10.202409:28
🚀차트가곧 돈이고 답안지입니다. ✏️작성자 : 코인옵저버
코박 기자단 '코인옵저버'님께서 작성하신 글입니다. 원문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어젯밤 비트코인의 급격한 하락은 '3봉 하락 다이버전스'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차트를 보면, 비트코인은 연달아 세 번의 상승을 기록했지만, 동시에 CCI(Commodity Channel Index) 지표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반대 방향의 움직임을 '3봉 하락 다이버전스'라고 하며, 통상적으로 급격한 하락을 동반하는 현상입니다.
어제 비트코인 흐름 비트코인은 어제 $64,000를 넘겼다가 빠르게 하락했습니다. 이는 예상된 맥점($64,465)을 터치한 후 조정이 발생한 것입니다. 어제의 급격한 상승은 찐반등의 시그널이 아닌 일시적인 반등 후의 조정으로 해석됩니다. 상승이 너무 급격하게 이루어졌고, 이는 안정적인 반등보다는 위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증시와 비트코인의 상관관계 어제 미국 증시가 하락하기 시작했을 때, 비트코인만이 잠시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결국 미 증시의 하락세에 따라 비트코인도 함께 하락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JP모건과 같은 거대 기관이 등장하고, 일부 인플루언서들이 상승을 전망하는 발언을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자주 세력의 개입으로 이어지며, 개미 투자자들을 유혹하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향후 전망 비트코인이 $62,400 구간에서 반등을 할 가능성은 있지만, 확률과 통계의 힘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최근 많은 기관과 전문가들이 비트코인의 상승을 부추기고 있지만, 이러한 기대감이 오히려 위험 신호일 수 있습니다. 특히, '업토버'라는 용어까지 등장하며 상승에 대한 기대가 과도해진 상황에서는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