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4.202523:03
📊[오린아 유통/화장품] 코스맥스(192820): 1Q25 Preview
투자의견: Buy(유지) / 목표주가: 250,000원(유지)
🔗 1Q25 매출액 5,621억원(+6.7%YoY), 영업이익 458억원(+0.7%YoY)로 시장 기대치 소폭 하회 예상
🔗 미국 관세로 인한 화장품 업계 내 전반적 가격 상승은 오히려 K-Beauty 제품과 한국 ODM 업체들에게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
🔗 미중 무역전쟁 속 중국 내수 부양 정책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해 우호적인 중국 사업 환경을 기대
URL: https://han.gl/IdPqi
투자의견: Buy(유지) / 목표주가: 250,000원(유지)
🔗 1Q25 매출액 5,621억원(+6.7%YoY), 영업이익 458억원(+0.7%YoY)로 시장 기대치 소폭 하회 예상
🔗 미국 관세로 인한 화장품 업계 내 전반적 가격 상승은 오히려 K-Beauty 제품과 한국 ODM 업체들에게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
🔗 미중 무역전쟁 속 중국 내수 부양 정책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해 우호적인 중국 사업 환경을 기대
URL: https://han.gl/IdPqi
16.04.202523:27
📊[오린아 유통/화장품] 현대백화점(069960): 1Q25 Preview: 편안
투자의견: Buy(유지) / 목표주가: 70,000원(유지)
🔗 1Q25 매출액 2조 5,919억원(+6.6%YoY), 영업이익 975억원(+41.7%YoY)로 기존 추정치를 상회하는 실적 예상
🔗 트럼프 관세 이슈로 지누스 실적 방향성은 지켜볼 필요가 있지만 중국 제품 대비해서는 여전히 우위라는 판단
🔗 국내 조기 대선 전후로 내수 업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 있는 가운데 하반기로 갈수록 실적 개선 기대
URL: https://han.gl/Vl452
투자의견: Buy(유지) / 목표주가: 70,000원(유지)
🔗 1Q25 매출액 2조 5,919억원(+6.6%YoY), 영업이익 975억원(+41.7%YoY)로 기존 추정치를 상회하는 실적 예상
🔗 트럼프 관세 이슈로 지누스 실적 방향성은 지켜볼 필요가 있지만 중국 제품 대비해서는 여전히 우위라는 판단
🔗 국내 조기 대선 전후로 내수 업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 있는 가운데 하반기로 갈수록 실적 개선 기대
URL: https://han.gl/Vl452
10.04.202505:28
😇임아트 자사주 소각
🔗자사주는 2026년까지 1년에 28만주씩 총 56만주를 소각해 주가 부양에 힘쓸 방침, 내년까지 자사주 50% 이상 소각 예정
(유가)이마트 - 주식소각결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410800573
2025-04-10
🔗자사주는 2026년까지 1년에 28만주씩 총 56만주를 소각해 주가 부양에 힘쓸 방침, 내년까지 자사주 50% 이상 소각 예정
(유가)이마트 - 주식소각결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410800573
2025-04-10
06.04.202522:56
🤔[오린아 유통/화장품] 새 정부, 내수주 무엇을 살까요
🔗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 소비심리는 5개월간 위축됐으나 탄핵 인용 이후 빠르게 반등한 바 있음. 이번에도 정치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단기 소비심리 회복 기대감
🔗 유통 업체들의 밸류에이션에 여유가 있어 정치 이벤트 이후 저점 통과한 유통주 중심으로 반등 가능성
🔗 하반기 실적 모멘텀이 클 것으로 전망되는 신세계와 반덤핑 관세 환입 가능성 있는 현대백화점 주목 필요
URL: https://han.gl/bGfuJ
🔗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 소비심리는 5개월간 위축됐으나 탄핵 인용 이후 빠르게 반등한 바 있음. 이번에도 정치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단기 소비심리 회복 기대감
🔗 유통 업체들의 밸류에이션에 여유가 있어 정치 이벤트 이후 저점 통과한 유통주 중심으로 반등 가능성
🔗 하반기 실적 모멘텀이 클 것으로 전망되는 신세계와 반덤핑 관세 환입 가능성 있는 현대백화점 주목 필요
URL: https://han.gl/bGfuJ
30.03.202522:31
🤔[오린아 유통/화장품] 당근 호황, 경기는 불황
🔗 당근의 2024년 별도 기준 매출액 1,891억원, 영업이익 376억원으로 2년 연속 흑자 달성
🔗 광고 매출액 +48%YoY, 집행 광고 수 +52%YoY 증가하며 광고 사업이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실적 성장 주도
🔗 경기 불황 속 가성비 제품 수요 증가로 당근 MAU 상승세. 전통 유통채널과 달리 당근은 지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차별화된 성장 구조를 확보했다는 판단
URL: https://han.gl/Evdfr
🔗 당근의 2024년 별도 기준 매출액 1,891억원, 영업이익 376억원으로 2년 연속 흑자 달성
🔗 광고 매출액 +48%YoY, 집행 광고 수 +52%YoY 증가하며 광고 사업이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실적 성장 주도
🔗 경기 불황 속 가성비 제품 수요 증가로 당근 MAU 상승세. 전통 유통채널과 달리 당근은 지역 네트워크에 기반한 차별화된 성장 구조를 확보했다는 판단
URL: https://han.gl/Evdfr
09.03.202522:32
💜[오린아 유통/화장품] 컬리, 체력을 뽐낼 시간
🔗 컬리 4Q24 거래액 8,240억원(+11.3%), 조정 EBITDA 20억원으로 흑자 전환 성공. 원가율 제고 노력으로 개선된 수익성과 운영 전략으로 2025년은 더욱 빠른 성장과 수익성 확대 기대
🔗 뷰티컬리, 3P, FBK, 컬리나우 등 신사업의 성장도 고무적. 뷰티컬리 거래액은 2년 연속 두자릿수 성장세, 3P 품목 확장으로 고객 이탈 방지, Fulfillment By Kurly도 수익성 제고 추정됨
🔗 홈플러스의 법정관리 신청에 따라 신선식품 시장 경쟁구도 변화가 전망되어 시장 점유율 확장도 기대
URL: https://han.gl/NgVpO
🔗 컬리 4Q24 거래액 8,240억원(+11.3%), 조정 EBITDA 20억원으로 흑자 전환 성공. 원가율 제고 노력으로 개선된 수익성과 운영 전략으로 2025년은 더욱 빠른 성장과 수익성 확대 기대
🔗 뷰티컬리, 3P, FBK, 컬리나우 등 신사업의 성장도 고무적. 뷰티컬리 거래액은 2년 연속 두자릿수 성장세, 3P 품목 확장으로 고객 이탈 방지, Fulfillment By Kurly도 수익성 제고 추정됨
🔗 홈플러스의 법정관리 신청에 따라 신선식품 시장 경쟁구도 변화가 전망되어 시장 점유율 확장도 기대
URL: https://han.gl/NgVpO
20.04.202522:40
🤔[오린아 유통/화장품] 다이소, 1,000원짜리로 4조원 매출액 만들다
🔗 다이소 2024년 매출액 3조 9,689억원(+14.7%YoY), 영업이익 3,711억원(+41.8%YoY), 당기순이익 3,094억원(+23.5%YoY) 기록
🔗 고물가, 고금리 시기에 주목받는 초저가 제품 출시와 배송 서비스 강화로 온·오프라인 모두에서 공격적인 행보
🔗 2025년에도 초저가 제품 선호 지속, 외국인 쇼핑 수요 흡수, 카테고리 확장에 따른 성장 유효하다는 판단
URL: https://han.gl/PJ0eM
🔗 다이소 2024년 매출액 3조 9,689억원(+14.7%YoY), 영업이익 3,711억원(+41.8%YoY), 당기순이익 3,094억원(+23.5%YoY) 기록
🔗 고물가, 고금리 시기에 주목받는 초저가 제품 출시와 배송 서비스 강화로 온·오프라인 모두에서 공격적인 행보
🔗 2025년에도 초저가 제품 선호 지속, 외국인 쇼핑 수요 흡수, 카테고리 확장에 따른 성장 유효하다는 판단
URL: https://han.gl/PJ0eM
10.04.202523:11
스타벅스가 5월 중으로 서울 중구 명동에 세계 최초로 키오스크 운영 매장을 선보인다. 모든 주문과 결제를 기기로 대체할 수 있는 키오스크 운영은 전 세계 스타벅스 매장 중 한국이 처음이다. 다른 브랜드와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강조해온 스타벅스마저 키오스크 도입에 나선 것은 운영 효율성과 소비자 편의성이 매장 관리의 핵심 과제로 부상했음을 보여준다.
https://naver.me/xFLFqgG6
https://naver.me/xFLFqgG6
09.04.202522:33
📊[오린아 유통/화장품] 신세계(004170): 1Q25 Preview: 1분기가 저점
🔗 1Q25 매출액 1조 6,669억원(+3.9%YoY), 영업이익 1,360억원(-16.5%YoY)예상. 최악을 지나고 있다는 판단
🔗 과거 사례와 유사하게 탄핵 이후 소비심리 개선이 기대되고 백화점 업종의 수혜 전망
🔗 1Q25 실적을 저점으로 예상하고 하반기로 갈수록 매출 상승과 수익성 개선 흐름 예상
URL: https://han.gl/Fwio6
🔗 1Q25 매출액 1조 6,669억원(+3.9%YoY), 영업이익 1,360억원(-16.5%YoY)예상. 최악을 지나고 있다는 판단
🔗 과거 사례와 유사하게 탄핵 이후 소비심리 개선이 기대되고 백화점 업종의 수혜 전망
🔗 1Q25 실적을 저점으로 예상하고 하반기로 갈수록 매출 상승과 수익성 개선 흐름 예상
URL: https://han.gl/Fwio6
01.04.202522:58
📊[오린아 유통/화장품] 현대백화점(069960): 면세 동대문점 운영 종료 Comment
🔗 현대백화점은 면세 사업 운영 효율화를 위해 동대문 시내면세점을 7월말까지 운영하고 영업 종료한다고 공시
🔗 이와 더불어 무역점 역시 면적 축소, 동대문점의 고효율 MD를 이전해 하반기부터 무역점 턴어라운드 기대
🔗 단기적인 매출 감소 및 관련 비용이 예상되지만 적극적인 체질 개선은 동사 실적 및 주가에 긍정적이라는 판단
URL: https://han.gl/4HLmC
🔗 현대백화점은 면세 사업 운영 효율화를 위해 동대문 시내면세점을 7월말까지 운영하고 영업 종료한다고 공시
🔗 이와 더불어 무역점 역시 면적 축소, 동대문점의 고효율 MD를 이전해 하반기부터 무역점 턴어라운드 기대
🔗 단기적인 매출 감소 및 관련 비용이 예상되지만 적극적인 체질 개선은 동사 실적 및 주가에 긍정적이라는 판단
URL: https://han.gl/4HLmC
27.03.202502:52
🎾현대백화점 상승 관련 코멘트
트럼프 관세 코멘트로 인해 내수 및 유통 섹터로 유입되는 모습인데, 유난히 큰 폭으로 오르네요. 가장 실적에 상대적으로 편안한 구조 가지고 있어서로 보고 있습니다. 백화점이 의외로 안정적으로 시계/보석 등에서 성장 나와주고 있고, 면세점은 원래부터 공항점 흑자 구조기 때문에 시내점 구조조정 관련 기대감이 있고요. 지누스는 고객사 재고조정 완료되면서 수주 나오는 부분이 기존 체력으로 돌아간 것을 작년 하반기에 확인 됐습니다. 더현대광주/주주환원/밸류업 관련 주총에서 엊그제 강조된 내용은 기존 시장에서 인지하고 있는 거긴 합니다. 맛점하세요!
트럼프 관세 코멘트로 인해 내수 및 유통 섹터로 유입되는 모습인데, 유난히 큰 폭으로 오르네요. 가장 실적에 상대적으로 편안한 구조 가지고 있어서로 보고 있습니다. 백화점이 의외로 안정적으로 시계/보석 등에서 성장 나와주고 있고, 면세점은 원래부터 공항점 흑자 구조기 때문에 시내점 구조조정 관련 기대감이 있고요. 지누스는 고객사 재고조정 완료되면서 수주 나오는 부분이 기존 체력으로 돌아간 것을 작년 하반기에 확인 됐습니다. 더현대광주/주주환원/밸류업 관련 주총에서 엊그제 강조된 내용은 기존 시장에서 인지하고 있는 거긴 합니다. 맛점하세요!
08.03.202523:29
다이소몰은 지난달부터 서울 강남·서초·송파 등 일부 지역에서 ‘오늘배송’을 시범 운영하고 있다. 다이소몰을 통해 오후 5시 이전에 주문하면 인근 매장에서 상품을 준비해 당일 배송하는 방식이다. 전국 1500개 이상의 점포를 기반으로 하는 퀵커머스 사업을 본격화함에 따라 다이소몰 이용자는 더 늘어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https://naver.me/xcnGN6Nt
참고자료: 🤔생존자수색기 다이소 편
https://han.gl/LeUze
🔗🔗🔗🔗🔗🔗🔗
https://naver.me/xcnGN6Nt
참고자료: 🤔생존자수색기 다이소 편
https://han.gl/LeUze
🔗🔗🔗🔗🔗🔗🔗
19.04.202507:40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네일샵을 끊고, 금발 대신 유지비가 덜 드는 갈색 머리로 바꿀지 고민하고 있다”며 “월세가 150달러(약 21만원) 올랐지만, 연봉은 제자리라 사치로 느껴진다”고 말했다. 또 쇼핑 대신 옷을 수선해 입기도 한다며 “이젠 내 옷장에서 쇼핑을 한다”고 했다.
https://naver.me/FmfZvBrM
https://naver.me/FmfZvBrM
10.04.202510:12
‘K뷰티’ 열풍에 편승해 화장품 유통·판매에 뛰어든 개인사업자와 중소기업이 경쟁 과열로 줄폐업하고 있다. 작년 한 해 시간당 한 개꼴로 약 9000곳이 문을 닫았다.
https://naver.me/5A3DLj3E
https://naver.me/5A3DLj3E
08.04.202523:11
📊[오린아 유통/화장품] 아모레퍼시픽(090430): 추정치 상회 실적 기대
🔗 아모레퍼시픽의 1Q25 매출액은 1조 283억원, 영업이익 975억원으로 기존 추정치를 상회하는 실적 기대
🔗 미국 자체 브랜드 성장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으며, 중국 사업 구조조정은 마무리 단계로 하반기 BEP 달성 전망
🔗 2025년 서구권 매출 비중 22% 수준까지 상승 전망, 수익성 또한 10% 초중반 수준으로 추정돼 긍정적
URL: http://t2m.kr/xyMYy
🔗 아모레퍼시픽의 1Q25 매출액은 1조 283억원, 영업이익 975억원으로 기존 추정치를 상회하는 실적 기대
🔗 미국 자체 브랜드 성장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으며, 중국 사업 구조조정은 마무리 단계로 하반기 BEP 달성 전망
🔗 2025년 서구권 매출 비중 22% 수준까지 상승 전망, 수익성 또한 10% 초중반 수준으로 추정돼 긍정적
URL: http://t2m.kr/xyMYy
01.04.202504:48
현대백화점 면세점 동대문 영업중단
(유가)현대백화점 - 영업정지(종속회사의주요경영사항)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401800390
2025-04-01
(유가)현대백화점 - 영업정지(종속회사의주요경영사항)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401800390
2025-04-01
23.03.202522:57
🤔[오린아 유통/화장품] 다이소 호황, 경기는 불황
🔗 다이소의 2024년 연간 카드 결제액은 2조 1,354억원(+13.9%YoY), 연평균 객단가 17,400원으로 상승, 다이소몰 MAU는 362만명까지 증가하며 강한 성장세 기록
🔗 다이소는 2024년 뷰티 부문 매출액 YoY+144% 성장하며 뷰티 사업 확장 가속화. 다이소와 올리브영 중심의 오프라인 화장품 시장은 인디브랜드에게 양호한 환경일 것
🔗 다이소 온라인몰은 퀵커머스 서비스 확대 및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 소비자를 유입시켜 이커머스 시장 내 지위를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
URL: https://han.gl/ysNke
🔗 다이소의 2024년 연간 카드 결제액은 2조 1,354억원(+13.9%YoY), 연평균 객단가 17,400원으로 상승, 다이소몰 MAU는 362만명까지 증가하며 강한 성장세 기록
🔗 다이소는 2024년 뷰티 부문 매출액 YoY+144% 성장하며 뷰티 사업 확장 가속화. 다이소와 올리브영 중심의 오프라인 화장품 시장은 인디브랜드에게 양호한 환경일 것
🔗 다이소 온라인몰은 퀵커머스 서비스 확대 및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 소비자를 유입시켜 이커머스 시장 내 지위를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
URL: https://han.gl/ysNke
04.03.202522:29
2022년 9월에 "나노뷰티: 대중의 종말" 발간한 후 근 2년만에 화장품 업종을 다시 맡게 되었는데요. 다시 돌아오니 두가지가 바뀌어 있었는데 하나가 미국이고, 하나가 다이소입니다. 미국에서는 틱톡 내 바이럴을 탄 브랜드들 + 그리고 그 브랜드를 유통하는 회사들이 그 사이에 떠올랐고, 2022년만 해도 한국이 미국 화장품 수입국 중 3위 정도로 올라와서 주목할만하다, 로 레포트 작성했었는데 어느새 1위로 올라왔고 peak-out 우려도 들리네요. 다이소는 올리브영의 경쟁자로 떠올랐고, 리들샷/손앤박 등 기존 다이소 대란템 외에도 새로운 브랜드들이 속속 입점하고 있고요. 뷰티컬리의 뒤를 이어 무신사 뷰티와 쿠팡의 화장품 사업 시작도 이커머스 시장 내 소소한 변화가 되겠네요.
미국에서 K뷰티라는 흐름 자체는 계속 간다고 봅니다. 노래하고 춤추는 Gen Z들은 조회수가 필요해요. 조회수는 재밌는 콘텐츠로 늘릴 수 있고, K뷰티는 그 콘텐츠의 재료가 될 것입니다. 전세계 가장 치열한 시장(=한국)에서 살아남은 한국 브랜드들의 체력은 가히 양궁 국대급이니까요. 다만 틱톡이나 미국 뷰티 커뮤니티를 체크해 봤을 때 뜨고 지는 브랜드가 계속해서 바뀌는 흐름은 감지됩니다. 여전히 수혜는 ODM 업체들이 받습니다.
화장품은 이제 필요해서 사는 게 아닌, 재미로 사는 장난감이 되었다고 판단합니다. 옛날보다 더 싸졌거든요. 30여년전 1992년, 1만원이 넘던 립스틱은 이제 다이소에 가면 3천원에 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유행주기는 계속 더 짧아질 거구요, 브랜드는 민첩해야 되는데, 그건 한국 ODM 업체들이 전세계에서 가장 잘합니다. Top-pick은 코스맥스, 관심종목은 아모레퍼시픽입니다. 그밖에 intercos(ODM), e.l.f. beauty(브랜드), ulta(유통채널)도 살펴보았으니 참고하세요! 세미나는 법인부로 요청주세요, 감사합니다!
🇺🇸[오린아 유통/화장품] K-Beauty 없이 추구미 가능? (feat. 틱톡과 다이소를 이끈다)
🔗URL: https://han.gl/vAxop
*기업분석
- 코스맥스 Buy / TP: 250,000원
- 아모레퍼시픽 Buy / TP: 150,000원
- 한국콜마 Buy / TP: 73,000원
- LG생활건강 Hold / TP: 340,000원
- Intercos (NR)
- e.l.f. Beauty (NR)
- Ulta Beauty (NR)
미국에서 K뷰티라는 흐름 자체는 계속 간다고 봅니다. 노래하고 춤추는 Gen Z들은 조회수가 필요해요. 조회수는 재밌는 콘텐츠로 늘릴 수 있고, K뷰티는 그 콘텐츠의 재료가 될 것입니다. 전세계 가장 치열한 시장(=한국)에서 살아남은 한국 브랜드들의 체력은 가히 양궁 국대급이니까요. 다만 틱톡이나 미국 뷰티 커뮤니티를 체크해 봤을 때 뜨고 지는 브랜드가 계속해서 바뀌는 흐름은 감지됩니다. 여전히 수혜는 ODM 업체들이 받습니다.
화장품은 이제 필요해서 사는 게 아닌, 재미로 사는 장난감이 되었다고 판단합니다. 옛날보다 더 싸졌거든요. 30여년전 1992년, 1만원이 넘던 립스틱은 이제 다이소에 가면 3천원에 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유행주기는 계속 더 짧아질 거구요, 브랜드는 민첩해야 되는데, 그건 한국 ODM 업체들이 전세계에서 가장 잘합니다. Top-pick은 코스맥스, 관심종목은 아모레퍼시픽입니다. 그밖에 intercos(ODM), e.l.f. beauty(브랜드), ulta(유통채널)도 살펴보았으니 참고하세요! 세미나는 법인부로 요청주세요, 감사합니다!
🇺🇸[오린아 유통/화장품] K-Beauty 없이 추구미 가능? (feat. 틱톡과 다이소를 이끈다)
🔗URL: https://han.gl/vAxop
*기업분석
- 코스맥스 Buy / TP: 250,000원
- 아모레퍼시픽 Buy / TP: 150,000원
- 한국콜마 Buy / TP: 73,000원
- LG생활건강 Hold / TP: 340,000원
- Intercos (NR)
- e.l.f. Beauty (NR)
- Ulta Beauty (NR)
18.04.202501:48
컬리💜 x 네이버💚
https://naver.me/xZV4D17z
https://naver.me/xZV4D17z
10.04.202505:56
국내 최대 샤넬은 신세계
https://youtube.com/shorts/ueKGK0sgtbg?feature=share
https://youtube.com/shorts/ueKGK0sgtbg?feature=share
07.04.202513:46
새벽배송 시장점유율 90% 이상을 차지했던 물류회사 팀프레시가 자금난으로 지난달 31일 영업을 중단하자 롯데글로벌로지스, 넥스트마일 등 경쟁 업체들이 빈틈을 공략하기 위해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https://naver.me/5eUhgOxK
https://naver.me/5eUhgOxK
31.03.202503:57
https://naver.me/FPnqLJde
코로나 낮은 금리
이커머스 낮아진 진입장벽
플렉스 문화
3박자
코로나 낮은 금리
이커머스 낮아진 진입장벽
플렉스 문화
3박자
13.03.202522:04
🇺🇸Ulta Beauty 4Q 실적(2024.11~2025.1)
🔗4Q 분기 EPS $8.46로 컨센서스 $7.13을 상회 - 매출액 35억달러로 yy 1.9% 감소, 컨센서스 부합
🔗연간 매출액 전년대비 0.8% 성장 마감, 기존점 신장률 +0.7% 기록. 영업이익률 13.9%로 전년대비 1.1%p 하락
🔗FY2025 기존점 신장률 플랫 to 1% 성장 가이던스 제시
🔗FY2025 순매출 115억~116억 달러(yy 1.7~2.6% 성장), 주당순이익 $22.50~$22.90 가이던스 제시 : 애널리스트 예상치였던 매출 117억 달러, EPS $23.51보다 낮은 수준
🔗4Q 분기 EPS $8.46로 컨센서스 $7.13을 상회 - 매출액 35억달러로 yy 1.9% 감소, 컨센서스 부합
🔗연간 매출액 전년대비 0.8% 성장 마감, 기존점 신장률 +0.7% 기록. 영업이익률 13.9%로 전년대비 1.1%p 하락
🔗FY2025 기존점 신장률 플랫 to 1% 성장 가이던스 제시
🔗FY2025 순매출 115억~116억 달러(yy 1.7~2.6% 성장), 주당순이익 $22.50~$22.90 가이던스 제시 : 애널리스트 예상치였던 매출 117억 달러, EPS $23.51보다 낮은 수준
24.02.202500:18
🤔[오린아 유통/플랫폼] 월마트도 불안한 미국 소비
🔗 월마트 4Q 매출액 1,806억 달러(+4.1%YoY), 영업이익 79억 달러(+8.3%YoY), EPS 66센트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
🔗 다만 FY2026 가이던스(매출 성장률 3~4%, EPS전망 2.5~2.6달러)가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면서 실적 발표 후 주가 하락. 제품의 1/3이 수입품인 만큼 관세정책 영향도 불가피
🔗 금번 가이던스는 미국의 소비가 악화될 수 있다는 점 시사. 아마존, 뉴웰브랜즈 등 주요 소비재 업체들의 가이던스를 통해 미국 소비 경기의 불확실성 재확인
URL: https://han.gl/etWmd
🔗 월마트 4Q 매출액 1,806억 달러(+4.1%YoY), 영업이익 79억 달러(+8.3%YoY), EPS 66센트로 시장 기대치를 상회
🔗 다만 FY2026 가이던스(매출 성장률 3~4%, EPS전망 2.5~2.6달러)가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면서 실적 발표 후 주가 하락. 제품의 1/3이 수입품인 만큼 관세정책 영향도 불가피
🔗 금번 가이던스는 미국의 소비가 악화될 수 있다는 점 시사. 아마존, 뉴웰브랜즈 등 주요 소비재 업체들의 가이던스를 통해 미국 소비 경기의 불확실성 재확인
URL: https://han.gl/etWmd
显示 1 - 24 共 77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