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9.05.202512:04
✅중국에 80% 관세를 부과하는 건 적절해 보입니다!
스콧베센트에게
스콧베센트에게
09.05.202504:42
✅비만 치료를 위한 GLP-1 글루카곤 기반 치료제
이 논문은 비만 치료 분야에서 주목받는 글루카곤 기반 치료 전략 설명
저널명 : Journal of the Endocrine Society
📌비만 (Obesity)
1. 복잡하고 만성적인 질병: 비만은 200가지 이상의 질환(고혈압, 당뇨, 심혈관질환 등)의 위험 요인
2. 유병률 증가: 2022년 기준 전 세계 성인 인구의 16%가 비만, 43%가 과체중. 2045년까지 인구의 25%가 비만할 것으로 WHO는 예측.
3. 약물치료의 중요성 증가: 외과적 치료(위우회술 등)는 효과적이지만 침습적이므로, 비침습적 대안으로 대사호르몬 표적 치료제에 관심 집중.
4. 중추신경계의 역할: 시상하부의 arcuate nucleus 등이 식욕 조절 핵심 부위이며, neuropeptide Y, AgRP, POMC 등이 체중 조절 관여.
5. 관련 호르몬: 렙틴, 인슐린, GLP-1, GIP, OXM, 글루카곤, 아밀린 등은 식욕, 포만감, 에너지 소비에 영향.
📌글루카곤 (Glucagon)
1. 기본 역할: 간에서 혈당 조절 및 에너지 균형 조절. 포도당 신생성, 지질분해(lipolysis) 촉진.
억제 요인: 고혈당, 인슐린, 아밀린. 자극 요인: 저혈당, GLP-1, GIP.
관련 펩타이드: 글루카곤은 160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전구체(proglucagon)로부터 유래하며, 그 외 GLP-1, OXM, glicentin 등 다양한 펩타이드가 동일한 전구체에서 생성됨.
OXM: 글루카곤과 GLP-1의 이중작용 성격 보유. 중추 및 말초에서 식욕 억제, 에너지 소비 증가 작용.
💊GLP-1R: 인슐린 분비 촉진, 식욕 억제.
💊GIPR: 지방 대사 조절.
💊Gcgr (Glucagon receptor): 에너지 소비 증가, 지방산 산화 촉진.
다중 수용체 작용제(multireceptor agonists)는 단일 표적 약물보다 체중 감소 효과가 뛰어날 수 있으며,
향후 비만 치료의 중요한 방향이 될 것으로 평가됨.
즉, 단일 GLP-1 보다 2중, 3중작용제로 빅파마들의 전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임.
일단, 글루카곤 직접조절, 간접조절 관련 업체들
💊노보 노디스크 (Novo Nordisk)
후보물질: NN-9932
설명: 경구용 GLP-1/글루카곤 조절제. 임상 3상, 12.4% 체중 감소, 2025년 말 출시 목표.
💊일라이 릴리 (Eli Lilly)
후보물질: 오르포글리프론 칼슘
설명: GLP-1/글루카곤 타겟 경구 저분자 물질. 임상 3상, 12.4% 체중 감소, 2026년 출시 예상.
💊알티뮨 (Altimmune)
후보물질: 펨비두타이드 (Pemvidutide)
설명: GLP-1/글루카곤 이중작용제로 근육 손실 최소화. 임상 2상 완료, 15.6% 체중 감소, 2027년 출시 예상.
💊스트럭처 테라퓨틱스 (Structure Therapeutics)
후보물질: GSBR-1290
설명: GLP-1/GIP 경구 이중작용제, 글루카곤 간접 조절. 임상 2상, 2028년 출시 예상.
💊바이킹 테라퓨틱스 (Viking Therapeutics)
후보물질: VK-2735
설명: GLP-1/GIP 이중작용 경구 제형, 글루카곤 간접 조절. 임상 2상, 2030년 12억 달러 매출 전망.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이 논문은 비만 치료 분야에서 주목받는 글루카곤 기반 치료 전략 설명
저널명 : Journal of the Endocrine Society
📌비만 (Obesity)
1. 복잡하고 만성적인 질병: 비만은 200가지 이상의 질환(고혈압, 당뇨, 심혈관질환 등)의 위험 요인
2. 유병률 증가: 2022년 기준 전 세계 성인 인구의 16%가 비만, 43%가 과체중. 2045년까지 인구의 25%가 비만할 것으로 WHO는 예측.
3. 약물치료의 중요성 증가: 외과적 치료(위우회술 등)는 효과적이지만 침습적이므로, 비침습적 대안으로 대사호르몬 표적 치료제에 관심 집중.
4. 중추신경계의 역할: 시상하부의 arcuate nucleus 등이 식욕 조절 핵심 부위이며, neuropeptide Y, AgRP, POMC 등이 체중 조절 관여.
5. 관련 호르몬: 렙틴, 인슐린, GLP-1, GIP, OXM, 글루카곤, 아밀린 등은 식욕, 포만감, 에너지 소비에 영향.
📌글루카곤 (Glucagon)
1. 기본 역할: 간에서 혈당 조절 및 에너지 균형 조절. 포도당 신생성, 지질분해(lipolysis) 촉진.
억제 요인: 고혈당, 인슐린, 아밀린. 자극 요인: 저혈당, GLP-1, GIP.
관련 펩타이드: 글루카곤은 160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전구체(proglucagon)로부터 유래하며, 그 외 GLP-1, OXM, glicentin 등 다양한 펩타이드가 동일한 전구체에서 생성됨.
OXM: 글루카곤과 GLP-1의 이중작용 성격 보유. 중추 및 말초에서 식욕 억제, 에너지 소비 증가 작용.
💊GLP-1R: 인슐린 분비 촉진, 식욕 억제.
💊GIPR: 지방 대사 조절.
💊Gcgr (Glucagon receptor): 에너지 소비 증가, 지방산 산화 촉진.
다중 수용체 작용제(multireceptor agonists)는 단일 표적 약물보다 체중 감소 효과가 뛰어날 수 있으며,
향후 비만 치료의 중요한 방향이 될 것으로 평가됨.
즉, 단일 GLP-1 보다 2중, 3중작용제로 빅파마들의 전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임.
일단, 글루카곤 직접조절, 간접조절 관련 업체들
💊노보 노디스크 (Novo Nordisk)
후보물질: NN-9932
설명: 경구용 GLP-1/글루카곤 조절제. 임상 3상, 12.4% 체중 감소, 2025년 말 출시 목표.
💊일라이 릴리 (Eli Lilly)
후보물질: 오르포글리프론 칼슘
설명: GLP-1/글루카곤 타겟 경구 저분자 물질. 임상 3상, 12.4% 체중 감소, 2026년 출시 예상.
💊알티뮨 (Altimmune)
후보물질: 펨비두타이드 (Pemvidutide)
설명: GLP-1/글루카곤 이중작용제로 근육 손실 최소화. 임상 2상 완료, 15.6% 체중 감소, 2027년 출시 예상.
💊스트럭처 테라퓨틱스 (Structure Therapeutics)
후보물질: GSBR-1290
설명: GLP-1/GIP 경구 이중작용제, 글루카곤 간접 조절. 임상 2상, 2028년 출시 예상.
💊바이킹 테라퓨틱스 (Viking Therapeutics)
후보물질: VK-2735
설명: GLP-1/GIP 이중작용 경구 제형, 글루카곤 간접 조절. 임상 2상, 2030년 12억 달러 매출 전망.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9.05.202500:24
✅아트 업계 통째로 삼킬듯한 미드저니 V7
Midjourney V7이 공개
믿기 힘들정도로 사실적인 영상들이 나오고 있음.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Midjourney V7이 공개
믿기 힘들정도로 사실적인 영상들이 나오고 있음.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8.05.202509:02
✅ IR담당자 통화 : 씨에스윈드
📌 통화 내용 요약
1. 1분기 실적 호조 배경
(본 내용 참조)
2. 계절성 및 연간 가이던스
(본 내용 참조)
3. 미국시장, 트럼프 리스크 관련
(본 내용 참조)
4. 수주잔고 및 성장 전망
(본 내용 참조)
이 외에도 포인트 있음
✅ 관련 내용은 멤버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rowthresearch/growth/contents/250508180151393iv
📌 통화 내용 요약
1. 1분기 실적 호조 배경
(본 내용 참조)
2. 계절성 및 연간 가이던스
(본 내용 참조)
3. 미국시장, 트럼프 리스크 관련
(본 내용 참조)
4. 수주잔고 및 성장 전망
(본 내용 참조)
이 외에도 포인트 있음
✅ 관련 내용은 멤버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rowthresearch/growth/contents/250508180151393iv
无法访问
媒体内容
媒体内容
08.05.202503:23
✅트럼프 중대한 내용 발표 임박
"내일 오전 10시, 백악관 오벌 오피스(Oval Office)에서 중요한 기자회견(Big News Conference)이 열릴 것"
한국시간 오후 11:00 (밤 11시)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내일 오전 10시, 백악관 오벌 오피스(Oval Office)에서 중요한 기자회견(Big News Conference)이 열릴 것"
한국시간 오후 11:00 (밤 11시)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7.05.202522:02
✅ 그로쓰리서치 해외주식 보고서
종목명: 일라이 릴리(LLY)
📈 핵심 포인트
GLP-1 계열 파이프라인 확장 가속화: 비만 치료제 ‘제프겔트(Zepbound)’ 미국 시장 출시 성공 및 신약 후보 ‘레티트루타이드(Retatrutide)’ 후기 임상 진입
매출 구조 다변화 본격화: 당뇨병·비만 치료제 외에도 알츠하이머·자가면역 치료제 등 신약 개발 성과 가시화
기대치 상회하는 실적: 1Q25 매출 $8.8B (+26% YoY), 순이익 $2.2B (+67% YoY)로 시장 기대 상회
CMO 발언 주목: “GLP-1 계열 약물의 대사질환 외 적응증 확대 가능성 활발히 검토 중”
설비 투자 확대: 2025년까지 美 내 생산능력 확충 위해 대규모 설비 투자 집행 중
📍일라이 릴리의 자세한 기업 분석내용 확인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rowthresearch/growth
종목명: 일라이 릴리(LLY)
📈 핵심 포인트
GLP-1 계열 파이프라인 확장 가속화: 비만 치료제 ‘제프겔트(Zepbound)’ 미국 시장 출시 성공 및 신약 후보 ‘레티트루타이드(Retatrutide)’ 후기 임상 진입
매출 구조 다변화 본격화: 당뇨병·비만 치료제 외에도 알츠하이머·자가면역 치료제 등 신약 개발 성과 가시화
기대치 상회하는 실적: 1Q25 매출 $8.8B (+26% YoY), 순이익 $2.2B (+67% YoY)로 시장 기대 상회
CMO 발언 주목: “GLP-1 계열 약물의 대사질환 외 적응증 확대 가능성 활발히 검토 중”
설비 투자 확대: 2025년까지 美 내 생산능력 확충 위해 대규모 설비 투자 집행 중
📍일라이 릴리의 자세한 기업 분석내용 확인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rowthresearch/growth
09.05.202511:53
✅테슬라 세미트럭 US Foods가 인도를 받고 주행하는 영상
US Foods는 약 25만 개의 레스토랑 및 식품 서비스 운영업체와 협력하는
대형 미국 식품 서비스 유통업체
테슬라 세미로 유통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US Foods는 약 25만 개의 레스토랑 및 식품 서비스 운영업체와 협력하는
대형 미국 식품 서비스 유통업체
테슬라 세미로 유통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9.05.202502:31
✅저희가 조만간 GLP-1 비만치료제 관련해서 보고서로 쉽게 풀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09.05.202500:11
✅미국 상무장관: “향후 수십 건의 무역 협정 발표 예정”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향후 한 달 동안 수십 건의 무역 협정이 발표될 예정이라 발언
📌1. 무역 협정 발표 예고
"다음 한 달 안에 수십 건의 무역 협정을 공개할 것"이라고 언급.
이는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부분 국가에 10% 관세를 부과한 후, 관련 조정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
📌2. 10% 기본 관세는 유지
루트닉은 "10% 기본 관세는 모든 국가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
미국과 무역수지가 균형인 국가는 최대 10% 관세에 머물 수 있지만,
무역적자가 있는 국가는 더 높은 관세율이 적용될 것.
“만약 어떤 국가가 미국과 공정하고 균형 잡힌 무역을 원한다고 강하게 나선다면, 최대한 얻을 수 있는 혜택은 10% 관세”라고 발언.
📌3. 중국과의 긴장 완화 시도
루트닉은 “미중 무역협상을 통해 긴장 완화를 추구하고 있다”고 언급.
트럼프 대통령도 "이번 주말 중국과 실질적인 무역 협상이 이뤄질 것"이며, 현재 중국에 부과된 145%의 징벌적 관세가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발언.
📌4. 부유층 세율 인상에 대한 입장
루트닉은 “트럼프가 부유층에 대한 세율 인상을 지지했다는 보도에 대해, 자신도 지지한다”고 밝힘.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향후 한 달 동안 수십 건의 무역 협정이 발표될 예정이라 발언
📌1. 무역 협정 발표 예고
"다음 한 달 안에 수십 건의 무역 협정을 공개할 것"이라고 언급.
이는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부분 국가에 10% 관세를 부과한 후, 관련 조정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
📌2. 10% 기본 관세는 유지
루트닉은 "10% 기본 관세는 모든 국가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
미국과 무역수지가 균형인 국가는 최대 10% 관세에 머물 수 있지만,
무역적자가 있는 국가는 더 높은 관세율이 적용될 것.
“만약 어떤 국가가 미국과 공정하고 균형 잡힌 무역을 원한다고 강하게 나선다면, 최대한 얻을 수 있는 혜택은 10% 관세”라고 발언.
📌3. 중국과의 긴장 완화 시도
루트닉은 “미중 무역협상을 통해 긴장 완화를 추구하고 있다”고 언급.
트럼프 대통령도 "이번 주말 중국과 실질적인 무역 협상이 이뤄질 것"이며, 현재 중국에 부과된 145%의 징벌적 관세가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발언.
📌4. 부유층 세율 인상에 대한 입장
루트닉은 “트럼프가 부유층에 대한 세율 인상을 지지했다는 보도에 대해, 자신도 지지한다”고 밝힘.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8.05.202507:11
✅xAI 150MW 전력 공급 – Phase One 가동 완료
임시 천연가스 터빈은 향후 두 달 내 철거 예정
테네시주 멤피스 – 2025년 5월 1일(목), 프로젝트 발표 후 불과 1년이 채 되지 않아,
xAI는 전 Electrolux 부지에서 진행 중인
📌2단계 사업 중 1단계(Phase I)의 완전한 운영 능력(Full Operational Capability)을 달성했습니다.
이와 동시에 xAI는 MLGW(멤피스 수도전기가스청)
TVA(테네시 계곡 개발청)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변전소를 통해 150MW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있습니다.
또한, 150MW 규모의 테슬라 Megapack 배터리 시스템도 백업 전원으로 통합되었으며,
정전이나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수요 반응 이벤트)에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유지
그동안 Phase I의 GPU 구동을 위해 사용되던 임시 천연가스 터빈은 이제 철거 작업에 돌입하며,
향후 두 달간 순차적으로 현장에서 철수될 예정입니다.
단, 해당 터빈 중 절반은 아직 Phase II의 GPU를 가동하기 위해 계속 운영되며,
2025년 가을 완공 예정인 두 번째 변전소(제22번)가 전력망에 연결되면,
이들 터빈도 백업 전원 용도로 전환될 예정입니다.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임시 천연가스 터빈은 향후 두 달 내 철거 예정
테네시주 멤피스 – 2025년 5월 1일(목), 프로젝트 발표 후 불과 1년이 채 되지 않아,
xAI는 전 Electrolux 부지에서 진행 중인
📌2단계 사업 중 1단계(Phase I)의 완전한 운영 능력(Full Operational Capability)을 달성했습니다.
이와 동시에 xAI는 MLGW(멤피스 수도전기가스청)
TVA(테네시 계곡 개발청)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변전소를 통해 150MW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있습니다.
또한, 150MW 규모의 테슬라 Megapack 배터리 시스템도 백업 전원으로 통합되었으며,
정전이나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수요 반응 이벤트)에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유지
그동안 Phase I의 GPU 구동을 위해 사용되던 임시 천연가스 터빈은 이제 철거 작업에 돌입하며,
향후 두 달간 순차적으로 현장에서 철수될 예정입니다.
단, 해당 터빈 중 절반은 아직 Phase II의 GPU를 가동하기 위해 계속 운영되며,
2025년 가을 완공 예정인 두 번째 변전소(제22번)가 전력망에 연결되면,
이들 터빈도 백업 전원 용도로 전환될 예정입니다.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8.05.202501:31
✅ 잉글우드랩 주가 강세 리뷰
📌 최근 주가 동향
4월 24일 산업 보고서 발간 당시 주가: 10,310원
현재 주가(5월 8일 기준): 11,530원 (+11.8%, 2주간 상승)
금일 약 7%의 강세 지속 중
현 주가는 여전히 저평가 구간으로 판단됨
📌 보고서 핵심 투자 포인트
① 미국 OTC 공장 가동률 상승
- 미국 뉴저지 토토와 공장, 연간 생산능력(CAPA) 2억 1,100만 개 보유
- OTC(일반의약품) 승인 시설 보유로 ODM 경쟁력 확대 전망
- 미국 현지 생산으로 관세 부담 경감 및 신속 대응 가능
② 선케어 제품 수요 증가
- 미국 소비자들의 한국산 선크림 수요 급증
- 가격 대비 우수한 SPF 지수, 최신 UV 필터, 뛰어난 사용감과 스킨케어 기능으로 가성비 인정
- FDA에서 피부암 예방 차원 선크림 사용 권장, 선케어 제품 수요 지속적 증가 전망
③ 영업레버리지 효과로 수익성 개선 전망
- 고객사의 미국 OTC 공장으로 ODM 위탁 수요 증가
- 공장 가동률 상승에 따른 영업레버리지 효과 기대, 이익 증가 가능성 높음
🔥더 자세한 내용은 K뷰티 산업보고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rowthresearch/growth/contents/250423142511719lf
📌 최근 주가 동향
4월 24일 산업 보고서 발간 당시 주가: 10,310원
현재 주가(5월 8일 기준): 11,530원 (+11.8%, 2주간 상승)
금일 약 7%의 강세 지속 중
현 주가는 여전히 저평가 구간으로 판단됨
📌 보고서 핵심 투자 포인트
① 미국 OTC 공장 가동률 상승
- 미국 뉴저지 토토와 공장, 연간 생산능력(CAPA) 2억 1,100만 개 보유
- OTC(일반의약품) 승인 시설 보유로 ODM 경쟁력 확대 전망
- 미국 현지 생산으로 관세 부담 경감 및 신속 대응 가능
② 선케어 제품 수요 증가
- 미국 소비자들의 한국산 선크림 수요 급증
- 가격 대비 우수한 SPF 지수, 최신 UV 필터, 뛰어난 사용감과 스킨케어 기능으로 가성비 인정
- FDA에서 피부암 예방 차원 선크림 사용 권장, 선케어 제품 수요 지속적 증가 전망
③ 영업레버리지 효과로 수익성 개선 전망
- 고객사의 미국 OTC 공장으로 ODM 위탁 수요 증가
- 공장 가동률 상승에 따른 영업레버리지 효과 기대, 이익 증가 가능성 높음
🔥더 자세한 내용은 K뷰티 산업보고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rowthresearch/growth/contents/250423142511719lf


07.05.202521:14
✅제롬파월 연설 및 기자회견 요약
📌1. 현 경제 상황 진단
미국 경제는 여전히 견조한 상태이며, 노동시장은 최대 고용 수준 근처에 있음.
2024년 GDP는 2.5% 성장했으나, 2025년 1분기에는 순수출 요인 등으로 소폭 둔화.
민간 내수 지표인 PDFP는 3% 성장으로 견고함 유지.
고용은 3개월 평균 15.5만 명 증가, 실업률은 4.2%로 낮은 수준.
임금 상승은 완화되고 있으나 물가 상승률을 상회.
📌2. 인플레이션 상황
PCE 물가상승률은 2.3%, 근원 PCE는 2.6%로 다소 목표치(2%)를 상회.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은 다소 상승, 특히 관세 영향을 반영.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은 대체로 2% 근처로 안정적.
📌3. 통화정책 결정
기준금리 4.25~4.5% 유지, 자산축소(QT)도 계속.
현재 정책금리는 "적절한 수준"이며, 경제 흐름에 따라 기민하게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음.
통화정책 조정은 “데이터 기반(wait-and-see)” 접근.
📌4. 관세와 무역정책 리스크
최근 관세 인상 조치들이 예상보다 훨씬 큰 규모로 나타났고, 경제에 불확실성 유발.
관세가 단기 인플레이션 압력 유발, 실업과 성장 둔화도 야기할 가능성 있음.
그러나 관세의 실질적 경제효과는 시차와 지속성 문제로 아직 명확히 판단 불가.
📌5. 소프트 vs 하드 데이터 간 괴리
소비자·기업의 심리지표는 매우 부정적이지만, 실물 경제 데이터는 견조.
소비는 지속되고 있으며, 고용지표도 안정적.
이런 괴리로 인해 “당장의 조치보다는 관망”이 합리적이라 판단.
📌6. 기준금리 인하 조건 및 가능성
경제 둔화 또는 실업률 급등 시 금리 인하 가능성은 열려 있음.
하지만 현재는 인플레이션과 실업 모두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복합 상황.
연준은 두 목표(물가 안정, 고용 최대화)가 충돌할 경우 상대적 거리를 고려해 판단.
📌7. 정치적 압력에 대한 입장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나 연준 인사 개입 의지에 대해 “정책 결정에 아무 영향 없다” 강조.
Fed는 철저히 데이터와 경제 여건을 바탕으로 결정.
📌8. 향후 정책 프레임워크 검토
5년 주기 통화정책 전략 리뷰 중으로, 인플레이션 구조 변화와 향후 전략 논의 중.
여론 청취 프로그램(Fed Listens)을 통해 다양한 의견 수렴 중.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1. 현 경제 상황 진단
미국 경제는 여전히 견조한 상태이며, 노동시장은 최대 고용 수준 근처에 있음.
2024년 GDP는 2.5% 성장했으나, 2025년 1분기에는 순수출 요인 등으로 소폭 둔화.
민간 내수 지표인 PDFP는 3% 성장으로 견고함 유지.
고용은 3개월 평균 15.5만 명 증가, 실업률은 4.2%로 낮은 수준.
임금 상승은 완화되고 있으나 물가 상승률을 상회.
📌2. 인플레이션 상황
PCE 물가상승률은 2.3%, 근원 PCE는 2.6%로 다소 목표치(2%)를 상회.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은 다소 상승, 특히 관세 영향을 반영.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은 대체로 2% 근처로 안정적.
📌3. 통화정책 결정
기준금리 4.25~4.5% 유지, 자산축소(QT)도 계속.
현재 정책금리는 "적절한 수준"이며, 경제 흐름에 따라 기민하게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음.
통화정책 조정은 “데이터 기반(wait-and-see)” 접근.
📌4. 관세와 무역정책 리스크
최근 관세 인상 조치들이 예상보다 훨씬 큰 규모로 나타났고, 경제에 불확실성 유발.
관세가 단기 인플레이션 압력 유발, 실업과 성장 둔화도 야기할 가능성 있음.
그러나 관세의 실질적 경제효과는 시차와 지속성 문제로 아직 명확히 판단 불가.
📌5. 소프트 vs 하드 데이터 간 괴리
소비자·기업의 심리지표는 매우 부정적이지만, 실물 경제 데이터는 견조.
소비는 지속되고 있으며, 고용지표도 안정적.
이런 괴리로 인해 “당장의 조치보다는 관망”이 합리적이라 판단.
📌6. 기준금리 인하 조건 및 가능성
경제 둔화 또는 실업률 급등 시 금리 인하 가능성은 열려 있음.
하지만 현재는 인플레이션과 실업 모두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복합 상황.
연준은 두 목표(물가 안정, 고용 최대화)가 충돌할 경우 상대적 거리를 고려해 판단.
📌7. 정치적 압력에 대한 입장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나 연준 인사 개입 의지에 대해 “정책 결정에 아무 영향 없다” 강조.
Fed는 철저히 데이터와 경제 여건을 바탕으로 결정.
📌8. 향후 정책 프레임워크 검토
5년 주기 통화정책 전략 리뷰 중으로, 인플레이션 구조 변화와 향후 전략 논의 중.
여론 청취 프로그램(Fed Listens)을 통해 다양한 의견 수렴 중.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9.05.202508:27
✅셀트리온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1. 역대 최대 매출, 그러나 시장 기대치는 하회
매출: 8,419억 원 (전년 대비 +14.2%)
영업이익: 1,494억 원 (전년 대비 +867.9%)
시장 예상치에는 못 미침 (매출 9,000억 원대 중반, 영업이익 2,000억 원대 초반 예상)
📌2. 일회성 비용 증가 원인
미국 의약품 관세 대응을 위한 DS(원료의약품) 재고 선제 확보
외부 CMO 생산 확대로 인한 비용 증가
미국 제품용 약 15개월치 재고 확보 및 현지 CMO 통한 완제품 생산계획 완료
🔥향후 실적 개선 기대 요인
📌1. 고마진 제품 판매 확대
램시마SC, 유플라이마, 베그젤마 등 고수익 후속 제품 매출이 62% 이상 증가
램시마SC: 유럽 5개국서 25% 점유율
유플라이마: 분기 매출 최초 1,000억 원 돌파
베그젤마: 유럽 현지 법인 직판 통해 처방 1위 유지
📌2. 생산 효율 개선
셀트리온헬스케어와의 합병으로 GMP 대응력 및 생산 효율성 강화
매출원가율: 2023년 말 63% → 2025년 1분기 47%로 개선
📌3. 신규 성장 동력 진입
스테키마 중심의 신규 제품군 본격 시장 진입 예정
올해 말 기준 후속+신규 제품 매출 비중 60% 이상 예상
🔥연간 목표 및 전략
목표 매출: 5조 원 돌파 목표
증권가 추정치: 매출 4.33조 원(+21.7%), 영업이익 1.13조 원(+128%)
무형자산 상각 종료, 재고-매출 믹스 개선 등으로 수익성 강화
마케팅 확대 및 신약 개발 본격화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1. 역대 최대 매출, 그러나 시장 기대치는 하회
매출: 8,419억 원 (전년 대비 +14.2%)
영업이익: 1,494억 원 (전년 대비 +867.9%)
시장 예상치에는 못 미침 (매출 9,000억 원대 중반, 영업이익 2,000억 원대 초반 예상)
📌2. 일회성 비용 증가 원인
미국 의약품 관세 대응을 위한 DS(원료의약품) 재고 선제 확보
외부 CMO 생산 확대로 인한 비용 증가
미국 제품용 약 15개월치 재고 확보 및 현지 CMO 통한 완제품 생산계획 완료
🔥향후 실적 개선 기대 요인
📌1. 고마진 제품 판매 확대
램시마SC, 유플라이마, 베그젤마 등 고수익 후속 제품 매출이 62% 이상 증가
램시마SC: 유럽 5개국서 25% 점유율
유플라이마: 분기 매출 최초 1,000억 원 돌파
베그젤마: 유럽 현지 법인 직판 통해 처방 1위 유지
📌2. 생산 효율 개선
셀트리온헬스케어와의 합병으로 GMP 대응력 및 생산 효율성 강화
매출원가율: 2023년 말 63% → 2025년 1분기 47%로 개선
📌3. 신규 성장 동력 진입
스테키마 중심의 신규 제품군 본격 시장 진입 예정
올해 말 기준 후속+신규 제품 매출 비중 60% 이상 예상
🔥연간 목표 및 전략
목표 매출: 5조 원 돌파 목표
증권가 추정치: 매출 4.33조 원(+21.7%), 영업이익 1.13조 원(+128%)
무형자산 상각 종료, 재고-매출 믹스 개선 등으로 수익성 강화
마케팅 확대 및 신약 개발 본격화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9.05.202502:27
✅GLP-1 개발 기업과 파이프라인 현황
💊현재 34개 기업이 총 39개 GLP-1 파이프라인을 개발 중이며,
상위 20대 제약사 중 7개만 포함됨.
다수의 신규 기업은 중국 기업으로, 시장의 경쟁 구도가 달라질 수 있음.
임상 단계마다(가까울수록 임상단계 높음) 출시시점이 가까운 차트
🟠주황색 점: 경구용(GLP-1 pill)
🔵파란색 점: 주사제(injectable GLP-1)
📌노보 노디스크, 릴리, 화이자 같은 빅파마는 중심 근처에 위치 → 출시가 임박한 파이프라인 보유.
📌반면 여러 중국 기업들은 외곽에 분포 → 아직 임상 초기 단계 많음.
기존 글로벌 제약사뿐 아니라 중국계 바이오텍도 GLP-1에 대한 관심도가 많은듯함.
GLP-1 시장에서 M&A가 핵심 성장 수단이 될 가능성 높음.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현재 34개 기업이 총 39개 GLP-1 파이프라인을 개발 중이며,
상위 20대 제약사 중 7개만 포함됨.
다수의 신규 기업은 중국 기업으로, 시장의 경쟁 구도가 달라질 수 있음.
임상 단계마다(가까울수록 임상단계 높음) 출시시점이 가까운 차트
🟠주황색 점: 경구용(GLP-1 pill)
🔵파란색 점: 주사제(injectable GLP-1)
📌노보 노디스크, 릴리, 화이자 같은 빅파마는 중심 근처에 위치 → 출시가 임박한 파이프라인 보유.
📌반면 여러 중국 기업들은 외곽에 분포 → 아직 임상 초기 단계 많음.
기존 글로벌 제약사뿐 아니라 중국계 바이오텍도 GLP-1에 대한 관심도가 많은듯함.
GLP-1 시장에서 M&A가 핵심 성장 수단이 될 가능성 높음.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8.05.202509:59
✅디앤디파마텍 NDR(그로쓰리서치)
안녕하세요 그로쓰리서치입니다.
오늘 저희 사무실에서 디앤디파마텍 NDR을 진행하였습니다.
정리된 내용 공유드립니다.
MASH(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와 비만 치료제 개발 현황 및 전략
📌I. 회사 소개 및 핵심 사업 영역
디앤디파마텍은 GLP-1 펩타이드 의약품 전문 개발사
주요 사업 영역:
비만 치료제: 멧세라(Metsera)에 기술 이전하여 공동 개발 중 (경구 및 주사 제형).
MASH 치료제 (DD01): 미국에서 임상 2상 진행 중 (1차 평가 지표 발표 임박 - 2025년 6월 예상).
📌II. MASH 치료제 (DD01)
🔥MASH 시장의 잠재력:
매우 큰 시장 규모 (2022-2023년 약 30~40조 원 추정, 2030년 100조 원까지 전망).
대사성 질환의 일종으로, 당뇨 및 비만과 함께 주요 대사 질환으로 분류.
간 지방 축적에서 시작하여 간염, 간경화,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심각한 질병
(대사성 질환 중 유일하게 사망에 이를 수 있음).
경쟁사 동향: 노보노디스크등 GLP-1 기반 MASH 치료제 개발 언급 (임상 진행 중). 릴리, 베링거인겔하임 등도 MASH 치료제 개발 경쟁에 참여.
🔥DD01의 차별점:
- GLP-1/Glucagon 이중 작용제: 지방간 감소 효과와 혈당 조절을 동시에 고려
(기존 GLP-1 단일 작용제 대비 직접적인 지방간 감소 효과 기대).
- Long-acting 기술 (PEGylation): 주 1회 투여 제형 개발 목표
(지방산 또는 항체 절편 기반 경쟁 약물과 차별화).
- 약물 반감기: 경쟁 약물(서보두타이드) 대비 약 2일 더 긴 반감기
(안전성 및 투약 편의성 향상 기대).
- 최고 농도 (Peak-to-Trough Ratio - PTR): 경쟁 약물 대비 좁은 PTR
(약물 농도 변화폭 감소로 인한 오심, 구토 등 부작용 감소 기대).
🔥임상 1상 결과:
지방간 환자 대상 4주 반복 투여 진행 (안전성 및 약효 확인).
40mg, 80mg 투여군에서 평균 지방간 감소율 50%, 52% 달성.
지방간 30% 이상 감소 환자 비율: 40mg 투여군 75%, 80mg 투여군 100%.
경쟁 약물(GLP-1 단일 작용제)의 52-72주 투여 결과와 비교 시 빠른 지방간 감소 효과 확인.
임상 2상 권장 용량 40mg 결정.
📌임상 2상 계획 및 기대 효과:
1차 평가 지표: 12주 투약 후 지방간 30% 이상 감소 환자 비율 (2025년 6월 발표 예정).
총 67명 환자 대상 (위약군 포함 1:1 배정).
마지막 환자 투약 완료 (2025년 4월 17일).
투약 완료 이후 CRO에서 데이터 분석 진행
📌기대 효과: 임상 1상 4주 결과(75%)를 바탕으로 12주 결과에서 경쟁 약물(서보두타이드 48주 77%)에 준하는 데이터 확보 기대.
📌2차 평가 지표: 48주 투약 후 조직 검사 기반 MASH 해소율 및 섬유화 개선율 확인 (2026년 상반기 결과 발표 목표).
기술 이전 전략: DD01 임상 2상 12주 데이터 기반 빅파마 기술 이전 목표.
경쟁 약물 베링거잉겔하임(Survodutide)과의 비교:
유효성 측면에서 유사한 수준의 지방간 감소 효과 기대.
안전성 측면에서 오심, 구토 부작용 비율 현저히 낮을 것으로 예상 (PEGylation 기술의 장점).
투약 편의성 측면에서 주 1회 제형 개발 중.
📌임상 디자인 특징: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짧은 용량 증량 기간 (2주).
최고 용량 투여 기간 확대로 유효성 극대화 전략.
임상 중단 비율: 현재까지 67명 중 7명 (약물 관련 중단 4명, 오심/구토 관련 중단 2명, 주사알러지 1명, 복통 1명)으로 경쟁 약물 대비 낮은 수치.
📌블라인드 데이터 분석:
GLP-1 계열 약물의 기전 및 약효는 이미 검증됨.
초기 블라인드 데이터 분석 결과 긍정적인 경향 확인 (지방간 감소 환자 분포 등).
최종 결과에 대한 기대감 고조.
📌III. 비만 치료제 (경구형 GLP-1 플랫폼 - ORALINK / Momentum)
멧세라(Metsera)와의 협력: 총 6개 제품 (5개 경구제, 1개 주사제) 공동 개발 진행 중 (멧세라 주도).
🔥멧세라의 개발 현황:
MET-097 (주사제 - HALO 기술 적용): 반감기 15.8일 (현존 GLP-1 중 최장).
>> 월 1회 제형 개발 가능성. 임상 2b 결과 발표 예정 (24주, 16-17% 체중 감량 기대).
MET-233i (주사제 - Amylin 작용제): GLP-1과 병용 시너지 효과 기대. 임상 진행 중.
MET-002o (경구제 - Momentum 플랫폼): 경구 흡수율 최적화 제형 탐색 임상 진행 중 (7개 제형 테스트). 제형 검증후
MET-224o (경구제 - Momentum/HALO 플랫폼) 개발 목표 (MET-002o 대비 긴 반감기). 연내 임상 결과 발표 목표.
디앤디파마텍의 역할: 경구형 플랫폼 기술 제공 및 공동 개발 참여.
📌경쟁 환경:
저분자 GLP-1: 화이자(간 독성으로 임상 중단), 오포글리프론(당뇨 임상 40주 7.9% 감량 - 비만 임상 환산 시 약 11-12% 추정). 릴리 등 개발 경쟁 심화.
펩타이드 GLP-1: 노보노디스크(세마글루타이드), 일라이 릴리(터얼제파타이드, 레타트루타이드) 등 주사제 시장 선점. 경구제 시장 경쟁 초기 단계.
🔥경구형 GLP-1 시장 전망:
저분자 및 펩타이드 방식 공존 예상.
디앤디파마텍의 경구 흡수 플랫폼 기술 경쟁력 중요.
멧세라의 HALO 기술 기반 장기 지속형 주사제 및 경구제 개발 전략 주목.
📌오포글리프론 임상 결과의 의미:
저분자 GLP-1의 가능성 확인 (생산 용이성, 저비용).
안전성(간 독성 등) 및 효능 추가 검증 필요.
고소득 국가는 안전성 입증된 펩타이드 경구제,
저소득 국가는 저분자 경구제 중심으로 시장 형성 가능성 제기.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안녕하세요 그로쓰리서치입니다.
오늘 저희 사무실에서 디앤디파마텍 NDR을 진행하였습니다.
정리된 내용 공유드립니다.
MASH(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와 비만 치료제 개발 현황 및 전략
📌I. 회사 소개 및 핵심 사업 영역
디앤디파마텍은 GLP-1 펩타이드 의약품 전문 개발사
주요 사업 영역:
비만 치료제: 멧세라(Metsera)에 기술 이전하여 공동 개발 중 (경구 및 주사 제형).
MASH 치료제 (DD01): 미국에서 임상 2상 진행 중 (1차 평가 지표 발표 임박 - 2025년 6월 예상).
📌II. MASH 치료제 (DD01)
🔥MASH 시장의 잠재력:
매우 큰 시장 규모 (2022-2023년 약 30~40조 원 추정, 2030년 100조 원까지 전망).
대사성 질환의 일종으로, 당뇨 및 비만과 함께 주요 대사 질환으로 분류.
간 지방 축적에서 시작하여 간염, 간경화,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심각한 질병
(대사성 질환 중 유일하게 사망에 이를 수 있음).
경쟁사 동향: 노보노디스크등 GLP-1 기반 MASH 치료제 개발 언급 (임상 진행 중). 릴리, 베링거인겔하임 등도 MASH 치료제 개발 경쟁에 참여.
🔥DD01의 차별점:
- GLP-1/Glucagon 이중 작용제: 지방간 감소 효과와 혈당 조절을 동시에 고려
(기존 GLP-1 단일 작용제 대비 직접적인 지방간 감소 효과 기대).
- Long-acting 기술 (PEGylation): 주 1회 투여 제형 개발 목표
(지방산 또는 항체 절편 기반 경쟁 약물과 차별화).
- 약물 반감기: 경쟁 약물(서보두타이드) 대비 약 2일 더 긴 반감기
(안전성 및 투약 편의성 향상 기대).
- 최고 농도 (Peak-to-Trough Ratio - PTR): 경쟁 약물 대비 좁은 PTR
(약물 농도 변화폭 감소로 인한 오심, 구토 등 부작용 감소 기대).
🔥임상 1상 결과:
지방간 환자 대상 4주 반복 투여 진행 (안전성 및 약효 확인).
40mg, 80mg 투여군에서 평균 지방간 감소율 50%, 52% 달성.
지방간 30% 이상 감소 환자 비율: 40mg 투여군 75%, 80mg 투여군 100%.
경쟁 약물(GLP-1 단일 작용제)의 52-72주 투여 결과와 비교 시 빠른 지방간 감소 효과 확인.
임상 2상 권장 용량 40mg 결정.
📌임상 2상 계획 및 기대 효과:
1차 평가 지표: 12주 투약 후 지방간 30% 이상 감소 환자 비율 (2025년 6월 발표 예정).
총 67명 환자 대상 (위약군 포함 1:1 배정).
마지막 환자 투약 완료 (2025년 4월 17일).
투약 완료 이후 CRO에서 데이터 분석 진행
📌기대 효과: 임상 1상 4주 결과(75%)를 바탕으로 12주 결과에서 경쟁 약물(서보두타이드 48주 77%)에 준하는 데이터 확보 기대.
📌2차 평가 지표: 48주 투약 후 조직 검사 기반 MASH 해소율 및 섬유화 개선율 확인 (2026년 상반기 결과 발표 목표).
기술 이전 전략: DD01 임상 2상 12주 데이터 기반 빅파마 기술 이전 목표.
경쟁 약물 베링거잉겔하임(Survodutide)과의 비교:
유효성 측면에서 유사한 수준의 지방간 감소 효과 기대.
안전성 측면에서 오심, 구토 부작용 비율 현저히 낮을 것으로 예상 (PEGylation 기술의 장점).
투약 편의성 측면에서 주 1회 제형 개발 중.
📌임상 디자인 특징: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짧은 용량 증량 기간 (2주).
최고 용량 투여 기간 확대로 유효성 극대화 전략.
임상 중단 비율: 현재까지 67명 중 7명 (약물 관련 중단 4명, 오심/구토 관련 중단 2명, 주사알러지 1명, 복통 1명)으로 경쟁 약물 대비 낮은 수치.
📌블라인드 데이터 분석:
GLP-1 계열 약물의 기전 및 약효는 이미 검증됨.
초기 블라인드 데이터 분석 결과 긍정적인 경향 확인 (지방간 감소 환자 분포 등).
최종 결과에 대한 기대감 고조.
📌III. 비만 치료제 (경구형 GLP-1 플랫폼 - ORALINK / Momentum)
멧세라(Metsera)와의 협력: 총 6개 제품 (5개 경구제, 1개 주사제) 공동 개발 진행 중 (멧세라 주도).
🔥멧세라의 개발 현황:
MET-097 (주사제 - HALO 기술 적용): 반감기 15.8일 (현존 GLP-1 중 최장).
>> 월 1회 제형 개발 가능성. 임상 2b 결과 발표 예정 (24주, 16-17% 체중 감량 기대).
MET-233i (주사제 - Amylin 작용제): GLP-1과 병용 시너지 효과 기대. 임상 진행 중.
MET-002o (경구제 - Momentum 플랫폼): 경구 흡수율 최적화 제형 탐색 임상 진행 중 (7개 제형 테스트). 제형 검증후
MET-224o (경구제 - Momentum/HALO 플랫폼) 개발 목표 (MET-002o 대비 긴 반감기). 연내 임상 결과 발표 목표.
디앤디파마텍의 역할: 경구형 플랫폼 기술 제공 및 공동 개발 참여.
📌경쟁 환경:
저분자 GLP-1: 화이자(간 독성으로 임상 중단), 오포글리프론(당뇨 임상 40주 7.9% 감량 - 비만 임상 환산 시 약 11-12% 추정). 릴리 등 개발 경쟁 심화.
펩타이드 GLP-1: 노보노디스크(세마글루타이드), 일라이 릴리(터얼제파타이드, 레타트루타이드) 등 주사제 시장 선점. 경구제 시장 경쟁 초기 단계.
🔥경구형 GLP-1 시장 전망:
저분자 및 펩타이드 방식 공존 예상.
디앤디파마텍의 경구 흡수 플랫폼 기술 경쟁력 중요.
멧세라의 HALO 기술 기반 장기 지속형 주사제 및 경구제 개발 전략 주목.
📌오포글리프론 임상 결과의 의미:
저분자 GLP-1의 가능성 확인 (생산 용이성, 저비용).
안전성(간 독성 등) 및 효능 추가 검증 필요.
고소득 국가는 안전성 입증된 펩타이드 경구제,
저소득 국가는 저분자 경구제 중심으로 시장 형성 가능성 제기.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8.05.202504:01
✅노보 노디스크의 경구용 GLP-1 수용체 작용제 미국 FDA 제출 현황
아직 기다리고 있음.
oral semaglutide 25mg(제품명: 오럴 세마)의 임상
OASIS 4 임상시험 결과를 기반으로,
이 약물이 비만 치료용 최초의 경구용 GLP-1로서 미국에서 승인될 가능성
📊 체중 감소 효과 (Efficacy)
시험명: OASIS 4
대상자 평균 체중: 105.9kg
체중 변화:
Placebo: –2.7%
Oral sema 25mg: –16.6%
→ 약 14%p 차이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결과
보조 평가 항목(Secondary endpoints):
심혈관 대사 위험 인자 개선
신체 기능 개선
체중 20% 이상 감소한 비율: 약 30%
🔬 안전성 (Safety)
위장관(GI) 부작용으로 인한 중도 중단률:
Placebo: 2.0%
Oral sema 25mg: 3.4% → 비교적 낮은 수준
경구형 및 주사형(sema sc.) 모두 포함한 누적 노출 데이터:
전반적으로 잘 견디고(tolerated), 안전한 프로파일을 보임
🚀 다음 단계 (Next Steps)
미국 FDA 제출 시점: 2025년 2월
미국 내 생산 체계 확보:
원료(API), 정제, 포장까지 미국 내에서 제조
승인 시 기대 효과:
미국 최초의 경구용 체중감량 GLP-1 수용체 작용제(GLP-1RA)로 승인될 전망
경구용 GLP-1 (oral semaglutide)은 Wegovy(피하 주사제)와 유사한 효능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아직 기다리고 있음.
oral semaglutide 25mg(제품명: 오럴 세마)의 임상
OASIS 4 임상시험 결과를 기반으로,
이 약물이 비만 치료용 최초의 경구용 GLP-1로서 미국에서 승인될 가능성
📊 체중 감소 효과 (Efficacy)
시험명: OASIS 4
대상자 평균 체중: 105.9kg
체중 변화:
Placebo: –2.7%
Oral sema 25mg: –16.6%
→ 약 14%p 차이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결과
보조 평가 항목(Secondary endpoints):
심혈관 대사 위험 인자 개선
신체 기능 개선
체중 20% 이상 감소한 비율: 약 30%
🔬 안전성 (Safety)
위장관(GI) 부작용으로 인한 중도 중단률:
Placebo: 2.0%
Oral sema 25mg: 3.4% → 비교적 낮은 수준
경구형 및 주사형(sema sc.) 모두 포함한 누적 노출 데이터:
전반적으로 잘 견디고(tolerated), 안전한 프로파일을 보임
🚀 다음 단계 (Next Steps)
미국 FDA 제출 시점: 2025년 2월
미국 내 생산 체계 확보:
원료(API), 정제, 포장까지 미국 내에서 제조
승인 시 기대 효과:
미국 최초의 경구용 체중감량 GLP-1 수용체 작용제(GLP-1RA)로 승인될 전망
경구용 GLP-1 (oral semaglutide)은 Wegovy(피하 주사제)와 유사한 효능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8.05.202501:08
✅체코, 법원 제동에도 한수원과 원전 계약 '사전 승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46449
1. 계약 승인 및 상황
• 체코 정부는 한수원과의 두코바니 신규 원전 2기 건설 계약을 사전 승인함.
• 현지 법원이 본계약 체결을 일시 중단하는 가처분 결정을 내렸지만, 법원 허가가 나는 즉시 계약 체결 준비 완료.
• 피알라 체코 총리: “한수원 제안이 모든 면에서 최고였다.”
2. 계약 규모 및 경제성
• 원전 1기 단가: 약 2000억 코루나 (약 12조7000억 원).
• 총 사업비: 약 4000억 코루나 (약 25조4000억 원).
• 전기요금 기준 1MWh당 90유로 미만으로 경제성 확보 강조.
• 물가 상승분은 별도 반영 예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46449
1. 계약 승인 및 상황
• 체코 정부는 한수원과의 두코바니 신규 원전 2기 건설 계약을 사전 승인함.
• 현지 법원이 본계약 체결을 일시 중단하는 가처분 결정을 내렸지만, 법원 허가가 나는 즉시 계약 체결 준비 완료.
• 피알라 체코 총리: “한수원 제안이 모든 면에서 최고였다.”
2. 계약 규모 및 경제성
• 원전 1기 단가: 약 2000억 코루나 (약 12조7000억 원).
• 총 사업비: 약 4000억 코루나 (약 25조4000억 원).
• 전기요금 기준 1MWh당 90유로 미만으로 경제성 확보 강조.
• 물가 상승분은 별도 반영 예정.
07.05.202521:06
✅테슬라 캐나다 메가팩 운영 시작
캐나다에서 2억 8,200만 달러 규모의 새로운 Tesla 메가팩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설이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이 250MW/1,000MWh 규모의 시설은 현재 캐나다에서 운영 중인 가장 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설입니다.
278개의 Tesla 메가팩 유닛이 이제 공식적으로 온타리오 전력망에서 전력을 끌어오고 저장하고 있습니다.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캐나다에서 2억 8,200만 달러 규모의 새로운 Tesla 메가팩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설이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이 250MW/1,000MWh 규모의 시설은 현재 캐나다에서 운영 중인 가장 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설입니다.
278개의 Tesla 메가팩 유닛이 이제 공식적으로 온타리오 전력망에서 전력을 끌어오고 저장하고 있습니다.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9.05.202505:56
✅TSMC 2025년 4월 매출 요약
📌핵심 수치
4월 매출: NT$ 3495.67억 (약 349.57 billion 대만달러)
전월(2025년 3월) 대비 +22.2% 증가
전년 동월(2024년 4월) 대비 +48.1% 증가
2025년 1~4월 누적 매출: NT$ 11,888.2억
전년 동기(2024년 1~4월) 대비 +43.5% 증가
📌전월 대비 큰 폭의 성장: 3월 대비 22.2% 증가한 수치는 비수기에서 성수기로의 진입, 혹은 AI 수요 급증 등으로 해석 가능.
📌전년 동월 대비 48.1% 급증: 작년 대비 거의 50% 가까운 성장은 고성능 컴퓨팅, AI, 3nm 이하 공정 확대 수요 등 영향으로 추정.
📌연초부터 누적 성장률도 43.5%로 매우 높은 수준.
📌반도체 업황 회복, AI 가속화, 글로벌 수요 회복 등을 반영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음.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핵심 수치
4월 매출: NT$ 3495.67억 (약 349.57 billion 대만달러)
전월(2025년 3월) 대비 +22.2% 증가
전년 동월(2024년 4월) 대비 +48.1% 증가
2025년 1~4월 누적 매출: NT$ 11,888.2억
전년 동기(2024년 1~4월) 대비 +43.5% 증가
📌전월 대비 큰 폭의 성장: 3월 대비 22.2% 증가한 수치는 비수기에서 성수기로의 진입, 혹은 AI 수요 급증 등으로 해석 가능.
📌전년 동월 대비 48.1% 급증: 작년 대비 거의 50% 가까운 성장은 고성능 컴퓨팅, AI, 3nm 이하 공정 확대 수요 등 영향으로 추정.
📌연초부터 누적 성장률도 43.5%로 매우 높은 수준.
📌반도체 업황 회복, AI 가속화, 글로벌 수요 회복 등을 반영한 결과일 가능성이 높음.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9.05.202501:41
✅2025년 1~3월 글로벌(중국 제외)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동향[SNE리서치]
📌배터리 총 사용량:
2025년 1~3월 非중국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은 98.4GWh,
전년 동기 대비 26.5% 증가
📌한국계 3사 점유율:
LG에너지솔루션, SK on, 삼성SDI 합산 점유율 40.3% (전년 대비 5.4%p 하락)
🔋 업체별 배터리 사용량 및 특징
1. LG에너지솔루션
사용량: 21.9GWh (전년 대비 15.3% 증가)
주요 고객: 테슬라, 기아, 폭스바겐, 쉐보레
테슬라향 배터리 사용량 24.3% 감소 → 모델 판매 부진 영향
기아 EV3·폭스바겐 ID 시리즈·쉐보레 얼티엄 플랫폼 모델 판매 호조로 전체 성장 견인
2. SK on
사용량: 10.4GWh (전년 대비 35.5% 증가)
주요 고객: 현대차그룹, Mercedes-Benz, 폭스바겐 등
Ioniq5, EV6 페이스리프트 판매 회복
EQA·EQB 판매 안정적, ID.7·ID.4 수요 증가로 성장 견인
3. 삼성SDI
사용량: 7.3GWh (전년 대비 16.9% 감소)
주요 고객: BMW, 아우디, 리비안 등
리비안의 LFP 배터리 채택과 Audi Q8 e-Tron 판매 부진으로 하락
4. Panasonic
사용량: 7.2GWh
테슬라 의존도 높음 → 모델3/Y 판매량 감소로 실적 감소
향후 개선된 2170·4680셀로 북미 중심 회복 기대
5. CATL (중국)
사용량: 29.0GWh (전년 대비 35.5% 성장)
글로벌 OEM들까지 고객 확대 → 1위 유지
6. BYD (중국)
사용량: 6.4GWh (전년 대비 104.7% 성장)
BEV/PHEV 모두 자사 생산
2025년 목표: 600만대 판매
한국·아시아·유럽 진출 가속화 중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배터리 총 사용량:
2025년 1~3월 非중국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은 98.4GWh,
전년 동기 대비 26.5% 증가
📌한국계 3사 점유율:
LG에너지솔루션, SK on, 삼성SDI 합산 점유율 40.3% (전년 대비 5.4%p 하락)
🔋 업체별 배터리 사용량 및 특징
1. LG에너지솔루션
사용량: 21.9GWh (전년 대비 15.3% 증가)
주요 고객: 테슬라, 기아, 폭스바겐, 쉐보레
테슬라향 배터리 사용량 24.3% 감소 → 모델 판매 부진 영향
기아 EV3·폭스바겐 ID 시리즈·쉐보레 얼티엄 플랫폼 모델 판매 호조로 전체 성장 견인
2. SK on
사용량: 10.4GWh (전년 대비 35.5% 증가)
주요 고객: 현대차그룹, Mercedes-Benz, 폭스바겐 등
Ioniq5, EV6 페이스리프트 판매 회복
EQA·EQB 판매 안정적, ID.7·ID.4 수요 증가로 성장 견인
3. 삼성SDI
사용량: 7.3GWh (전년 대비 16.9% 감소)
주요 고객: BMW, 아우디, 리비안 등
리비안의 LFP 배터리 채택과 Audi Q8 e-Tron 판매 부진으로 하락
4. Panasonic
사용량: 7.2GWh
테슬라 의존도 높음 → 모델3/Y 판매량 감소로 실적 감소
향후 개선된 2170·4680셀로 북미 중심 회복 기대
5. CATL (중국)
사용량: 29.0GWh (전년 대비 35.5% 성장)
글로벌 OEM들까지 고객 확대 → 1위 유지
6. BYD (중국)
사용량: 6.4GWh (전년 대비 104.7% 성장)
BEV/PHEV 모두 자사 생산
2025년 목표: 600만대 판매
한국·아시아·유럽 진출 가속화 중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8.05.202509:03
✅ IR담당자 통화 : 금호석유화학
📌 통화 내용 요약
1.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본 내용 참조)
2. 부문별 실적 및 전망
(본 내용 참조)
3. 환율 영향 및 리스크 대응
(본 내용 참조)
4. 경영권 이슈
(본 내용 참조)
이 외에도 포인트 있음
✅ 관련 내용은 멤버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rowthresearch/growth/contents/250508180005419hc
📌 통화 내용 요약
1.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본 내용 참조)
2. 부문별 실적 및 전망
(본 내용 참조)
3. 환율 영향 및 리스크 대응
(본 내용 참조)
4. 경영권 이슈
(본 내용 참조)
이 외에도 포인트 있음
✅ 관련 내용은 멤버쉽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rowthresearch/growth/contents/250508180005419hc


08.05.202503:49
✅비만치료제 GLP-1 의 근육감소에 대한 우려...?
그림 : 티르제파타이드(tirzepatide)와 인슐린 디글루덱(insulin degludec) 치료를 받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체중 변화와 근육 구성 변화 간의 관계
🔍 연구 배경
체중 감소는 일반적으로 근육량 감소를 동반합니다.
기존 GLP-1 수용체 작용제 사용 시 근육 손실에 대한 우려가 존재해 왔습니다.
SURPASS-3 MRI 서브스터디는 티르제파타이드와 인슐린 디글루덱(기저 인슐린)을 비교
👨🔬 연구 설계 배정 그룹
티르제파타이드 5mg, 10mg, 15mg (주 1회 피하 주사)
인슐린 디글루덱 (매일 주사)
기간: 52주간 치료 후 MRI 비교
✅ 티르제파타이드 투여군 결과 (pooled)
체중 감소: –10.1% (p<0.0001)
근육 지방 침윤 감소: –0.36%p (p<0.0001)
근육량 감소: –0.64L (p<0.0001)
근육량 Z 점수 감소: –0.22 (p<0.0001)
→ 즉, 지방과 함께 근육도 줄었지만, 이는 체중 감소에 따른 일반적인 적응 반응 수준이며,
지방 침윤 감소 효과는 인슐린 디글루덱 대비 명확히 우월했습니다.
🔍 인슐린 디글루덱군 결과
체중 증가: +3.3%
근육량 소폭 증가: +0.16L (p=0.043)
근육 지방 침윤 변화 없음
🧠 해석 및 임상적 의미
근육량 감소는 체중 감소에 비례하여 나타나며, 이는 비약물적 체중 감소와 유사한 수준임.
MRI 기반으로 정밀 측정된 근육 지방 침윤 감소는 인슐린보다 뚜렷했으며,
→ 이는 티르제파타이드가 단순한 체중 감량 효과 외에 근육 내 지방 개선 가능성을 시사.
특히 15mg 투여군에서 근육량 Z 점수 감소가 인구집단 대비 더 컸으며 (p=0.0016),
→ 근력/기능 저하 위험이 있다면 모니터링 필요성도 제기됨.
📌결론
티르제파타이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체중 감소에 따른 일반적인 수준의 근육량 감소를 유도하되,
근육 지방 침윤은 유의미하게 개선시켰으며, 이는 체중 감량 대비 '질적으로 좋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그림 : 티르제파타이드(tirzepatide)와 인슐린 디글루덱(insulin degludec) 치료를 받은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체중 변화와 근육 구성 변화 간의 관계
🔍 연구 배경
체중 감소는 일반적으로 근육량 감소를 동반합니다.
기존 GLP-1 수용체 작용제 사용 시 근육 손실에 대한 우려가 존재해 왔습니다.
SURPASS-3 MRI 서브스터디는 티르제파타이드와 인슐린 디글루덱(기저 인슐린)을 비교
👨🔬 연구 설계 배정 그룹
티르제파타이드 5mg, 10mg, 15mg (주 1회 피하 주사)
인슐린 디글루덱 (매일 주사)
기간: 52주간 치료 후 MRI 비교
✅ 티르제파타이드 투여군 결과 (pooled)
체중 감소: –10.1% (p<0.0001)
근육 지방 침윤 감소: –0.36%p (p<0.0001)
근육량 감소: –0.64L (p<0.0001)
근육량 Z 점수 감소: –0.22 (p<0.0001)
→ 즉, 지방과 함께 근육도 줄었지만, 이는 체중 감소에 따른 일반적인 적응 반응 수준이며,
지방 침윤 감소 효과는 인슐린 디글루덱 대비 명확히 우월했습니다.
🔍 인슐린 디글루덱군 결과
체중 증가: +3.3%
근육량 소폭 증가: +0.16L (p=0.043)
근육 지방 침윤 변화 없음
🧠 해석 및 임상적 의미
근육량 감소는 체중 감소에 비례하여 나타나며, 이는 비약물적 체중 감소와 유사한 수준임.
MRI 기반으로 정밀 측정된 근육 지방 침윤 감소는 인슐린보다 뚜렷했으며,
→ 이는 티르제파타이드가 단순한 체중 감량 효과 외에 근육 내 지방 개선 가능성을 시사.
특히 15mg 투여군에서 근육량 Z 점수 감소가 인구집단 대비 더 컸으며 (p=0.0016),
→ 근력/기능 저하 위험이 있다면 모니터링 필요성도 제기됨.
📌결론
티르제파타이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체중 감소에 따른 일반적인 수준의 근육량 감소를 유도하되,
근육 지방 침윤은 유의미하게 개선시켰으며, 이는 체중 감량 대비 '질적으로 좋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7.05.202523:02
✅[산업보고서] 인간의 한계를 넘다. 로봇 수술이 그리는 의료의 미래
🔥그로쓰리서치 로봇수술 산업보고서
- Part 1. 다빈치의 등장과 수술실의 기계화
- Part 2. 로봇수술 시장의 미래
- Part 3. 글로벌 개발 상황
🔥기업분석
- 고영(098460)
- 큐렉소(060280)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 산업보고서 보기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rowthresearch/growth
📌 산업 구조 변화: 수술로봇의 ‘플랫폼화·자율화’ 진입
- 기존 기계 성능 중심(다빈치)에서 데이터 수집·활용 중심 구조로 전환 중
- AI 기반 수술 알고리즘, 클라우드 연동, 구독형 소프트웨어(SaaS) 도입 확산
- 뉴럴링크 등은 수술 데이터 실시간 업로드와 자율 최적화 기능 탑재
📌 글로벌 경쟁 심화: 후발주자들의 플랫폼 전략 부상
- 메드트로닉(휴고), J&J(오타바), CMR(버시우스) 등은 모듈형 설계·비용경쟁력·데이터 개방성 기반으로 시장 진입
- 국제 표준 포맷(DICOM 등)을 활용해 병원 간 협진, AI 학습 데이터 공유 가능
- 단순 하드웨어 경쟁에서 의료 데이터 생태계 주도권 경쟁으로 전환
📌 국내 기업 진출 본격화: 제품 고도화 및 글로벌 인허가 확대
- 고영: 뇌수술로봇 'KYMERO' 美 FDA 승인, 실제 수술 누적 500례 이상… 미국 병원 공급 확대 중
- 큐렉소: 정형외과 로봇 '큐비스' 시리즈로 미국·일본 인허가 진행, 고관절 적응증 확대 및 SaaS 기반 수익 모델 가능성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그로쓰리서치 로봇수술 산업보고서
- Part 1. 다빈치의 등장과 수술실의 기계화
- Part 2. 로봇수술 시장의 미래
- Part 3. 글로벌 개발 상황
🔥기업분석
- 고영(098460)
- 큐렉소(060280)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 산업보고서 보기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rowthresearch/growth
📌 산업 구조 변화: 수술로봇의 ‘플랫폼화·자율화’ 진입
- 기존 기계 성능 중심(다빈치)에서 데이터 수집·활용 중심 구조로 전환 중
- AI 기반 수술 알고리즘, 클라우드 연동, 구독형 소프트웨어(SaaS) 도입 확산
- 뉴럴링크 등은 수술 데이터 실시간 업로드와 자율 최적화 기능 탑재
📌 글로벌 경쟁 심화: 후발주자들의 플랫폼 전략 부상
- 메드트로닉(휴고), J&J(오타바), CMR(버시우스) 등은 모듈형 설계·비용경쟁력·데이터 개방성 기반으로 시장 진입
- 국제 표준 포맷(DICOM 등)을 활용해 병원 간 협진, AI 학습 데이터 공유 가능
- 단순 하드웨어 경쟁에서 의료 데이터 생태계 주도권 경쟁으로 전환
📌 국내 기업 진출 본격화: 제품 고도화 및 글로벌 인허가 확대
- 고영: 뇌수술로봇 'KYMERO' 美 FDA 승인, 실제 수술 누적 500례 이상… 미국 병원 공급 확대 중
- 큐렉소: 정형외과 로봇 '큐비스' 시리즈로 미국·일본 인허가 진행, 고관절 적응증 확대 및 SaaS 기반 수익 모델 가능성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7.05.202513:31
✅로봇 수술 산업보고서
내일 발간하는 로봇 수술 산업보고서 영상 한번씩 시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제 : 인간의 한계를 넘다. 로봇 수술이 그리는 의료의 미래
📌머스크가 쏘아올린 수술 로봇 전쟁 본격화! 한국 수술 로봇 미래는?
다빈치 시스템: 수술 로봇 시장의 절대강자
글로벌 도전자들: 휴고·오타바·버시우스
📌국내 기업 동향: 고영, 큐렉소
✅ 고영
뇌수술 로봇 카이메로, FDA 승인, 국내 설치 완료.
실시간 3D 내비게이션 기술 기반으로 정밀 수술 수행.
✅ 큐렉소
정형외과(큐비스 조인트), 척추(큐비스 스파인) 수술 로봇 개발.
미국·일본 인허가 추진 중, 교세라 그룹과 독점 계약으로 빠른 현지화 예상.
차세대 모델 큐비스 2.0 개발 및 글로벌 SaaS 확장 전략 고려.
https://youtu.be/oGGW07VihiA
내일 발간하는 로봇 수술 산업보고서 영상 한번씩 시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주제 : 인간의 한계를 넘다. 로봇 수술이 그리는 의료의 미래
📌머스크가 쏘아올린 수술 로봇 전쟁 본격화! 한국 수술 로봇 미래는?
다빈치 시스템: 수술 로봇 시장의 절대강자
글로벌 도전자들: 휴고·오타바·버시우스
📌국내 기업 동향: 고영, 큐렉소
✅ 고영
뇌수술 로봇 카이메로, FDA 승인, 국내 설치 완료.
실시간 3D 내비게이션 기술 기반으로 정밀 수술 수행.
✅ 큐렉소
정형외과(큐비스 조인트), 척추(큐비스 스파인) 수술 로봇 개발.
미국·일본 인허가 추진 중, 교세라 그룹과 독점 계약으로 빠른 현지화 예상.
차세대 모델 큐비스 2.0 개발 및 글로벌 SaaS 확장 전략 고려.
https://youtu.be/oGGW07VihiA
显示 1 - 24 共 1 826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