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제약바이오(권해순): 제 3 성장기, 시즌2
记录
15.04.202523:59
592订阅者30.10.202423:59
0引用指数07.01.202523:59
6.2K每帖平均覆盖率08.01.202523:59
1.1K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07.04.202523:59
5.88%ER07.01.202520:56
9027.78%ERR06.04.202523:31
2025.04.07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권해순
안녕하세요.
바이오제약업종 2025년1분기 실적시즌 관전포인트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봤습니다.
Top picks : 유한양행. 리가켐바이오
관심종목: ABL바이오. 에스티팜
투자에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권해순
안녕하세요.
바이오제약업종 2025년1분기 실적시즌 관전포인트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봤습니다.
Top picks : 유한양행. 리가켐바이오
관심종목: ABL바이오. 에스티팜
투자에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02.04.202522:16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4.3]
4.2 국내외 주요 뉴스
#뉴릭스(NASDAQ:NRIX) +8.7%,
#키메라(NASDAQ.KYMR) +4.5%,
#아비나스(NASDAQ.ARVN) +2.1%,
#C4(NASDAQ.CCCC) +5.9%
- 뉴릭스테라퓨틱스가 사노피와의 기존 파트너십 하에 새로운 전사인자 표적 자가면역 질환 신약 프로그램 미국 권리를 기술이전(라이선스 확장료 $15mn, 추가 마일스톤 $465mn)
- 해당 후보물질은 STAT6과는 다른 염증 반응 조절 전사인자를 표적으로 하며, 뉴릭스의 DEL-AI 플랫폼을 통해 발굴한 최초의 분자 접착제 분해제임
https://ir.nurixtx.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nurix-licenses-drug-discovery-program-sanofi-targeting-novel
#그리폴스(NASDAQ:GRFS) +7.6%,
#ADMA(NASDAQ:ADMA) +4.2%
#CSL(ASX:CSL) +0.0%
- 스페인 혈장제제 전문 제약사 그리폴스가 캐나다 투자사 브룩필드와의 인수 협상이 재개됐다고 보도됨
- 브룩필드는 그리폴스 최대주주인 그리폴스 가문과 접촉해 약 €7bn($7.55bn) 규모의 인수 제안을 검토 중이며, 모건스탠리가 자문 역할 수행 중인 것으로 알려짐
- 그리폴스 이사회는 해당 협상 재개에 대한 공식 정보가 없다고 밝혔으며, 앞서 브룩필드는 €6.7bn 규모의 비구속 인수 제안을 철회한 바 있음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brookfield-resumes-grifols-takeover-talks-el-confidencial-reports-2025-04-02/
#셀트리온 -2.9%
- 셀트리온은 지난달 약 500억원 규모로 매입한 자사주 약 26.8주를 오는 4월 18일까지 전량 소각하기로 결정
- 2025년 초 이후 현재까지 약 2,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고, 약 8,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함
- 셀트리온은 2025년~2027년 평균 주주환원율 40% 달성을 목표로 주주 친화 정책 강화 중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993
#대웅제약 +0.1%
- 대웅제약이 P-CAB 계열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정(성분명 펙수프라잔)의 위염 적응증에 대해 국내 보험 급여를 획득하고 10mg 제품을 본격 출시
- 대웅제약은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등으로 적응증 확대 연구 중이며, 펙수클루를 연매출 15,00억원 규모의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성장시킬 계획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992
4.2 국내외 주요 뉴스
#뉴릭스(NASDAQ:NRIX) +8.7%,
#키메라(NASDAQ.KYMR) +4.5%,
#아비나스(NASDAQ.ARVN) +2.1%,
#C4(NASDAQ.CCCC) +5.9%
- 뉴릭스테라퓨틱스가 사노피와의 기존 파트너십 하에 새로운 전사인자 표적 자가면역 질환 신약 프로그램 미국 권리를 기술이전(라이선스 확장료 $15mn, 추가 마일스톤 $465mn)
- 해당 후보물질은 STAT6과는 다른 염증 반응 조절 전사인자를 표적으로 하며, 뉴릭스의 DEL-AI 플랫폼을 통해 발굴한 최초의 분자 접착제 분해제임
https://ir.nurixtx.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nurix-licenses-drug-discovery-program-sanofi-targeting-novel
#그리폴스(NASDAQ:GRFS) +7.6%,
#ADMA(NASDAQ:ADMA) +4.2%
#CSL(ASX:CSL) +0.0%
- 스페인 혈장제제 전문 제약사 그리폴스가 캐나다 투자사 브룩필드와의 인수 협상이 재개됐다고 보도됨
- 브룩필드는 그리폴스 최대주주인 그리폴스 가문과 접촉해 약 €7bn($7.55bn) 규모의 인수 제안을 검토 중이며, 모건스탠리가 자문 역할 수행 중인 것으로 알려짐
- 그리폴스 이사회는 해당 협상 재개에 대한 공식 정보가 없다고 밝혔으며, 앞서 브룩필드는 €6.7bn 규모의 비구속 인수 제안을 철회한 바 있음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brookfield-resumes-grifols-takeover-talks-el-confidencial-reports-2025-04-02/
#셀트리온 -2.9%
- 셀트리온은 지난달 약 500억원 규모로 매입한 자사주 약 26.8주를 오는 4월 18일까지 전량 소각하기로 결정
- 2025년 초 이후 현재까지 약 2,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고, 약 8,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함
- 셀트리온은 2025년~2027년 평균 주주환원율 40% 달성을 목표로 주주 친화 정책 강화 중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993
#대웅제약 +0.1%
- 대웅제약이 P-CAB 계열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정(성분명 펙수프라잔)의 위염 적응증에 대해 국내 보험 급여를 획득하고 10mg 제품을 본격 출시
- 대웅제약은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등으로 적응증 확대 연구 중이며, 펙수클루를 연매출 15,00억원 규모의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성장시킬 계획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992
转发自:
ablbio_official

06.04.202522:51
금일 공시를 통해 글로벌 제약사 GSK(시가총액 약 108조원)와의 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 기술이전 소식을 알리게 되었습니다.
본 계약은 당사의 계속될 플랫폼 계약의 시작으로서,
1. 글로벌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의 플랫폼 기술이전이며
2. IGF1R 기반 BBB 셔틀로서는 글로벌 최초의 플랫폼 기술이전 입니다.
3. 또한, 플랫폼 기술이전인 만큼 무한한 확장성(모달리티 X 타깃(에피톱 단위) 확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이전의 총 계약규모는 약 4.1조원 (GBP 2,140,100,000)이며
계약금 및 단기 마일스톤으로 약 1,480억원 (GBP 77,100,000)을 수령하게 될 예정입니다.
- 계약금 : 약 739억원 (GBP 38,500,000원)
- 단기 마일스톤: 약 741억원 (GBP 38,600,000원)
또한, 로열티 역시 순매출에 따라 합의된 비율로 수령하게 됩니다.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GSK는
1. GSK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신규 타깃(Novel Target)에 에이비엘바이오의 BBB셔틀(Grabody-B) 플랫폼을 적용하여
후보물질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이전 받게 되며,
2. 항체 뿐만 아니라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Polynucleotide) 등의 모달리티(Modality)로의
확장된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Nucleotide의 대표적인 기술에는 siRNA, ASO 등이 있습니다.
지난 1월 IR행사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현재 글로벌 퇴행성뇌질환 시장에서 BBB 셔틀 기술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으며,
이러한 흐름에 맞춰 당사도 지속적인 성과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이번 주 4월 9일 수요일에 개최되는 IR행사에서
본 계약의 의미를 포함하여,
연초 제시한 에이비엘바이오 성장의 네 가지 축 등에 대해
이상훈 대표님께서 직접 설명하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네 가지 성장 축]
1)신약(ABL001)
2)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
3)Grabody-T(4-1BB 기반 면역항암제 플랫폼)
4)이중항체 ADC
*기술이전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7900004
*에이비엘바이오 유튜브 IR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68
*에이비엘바이오 애널리스트 간담회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70
*에이비엘바이오 기업설명회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71
본 계약은 당사의 계속될 플랫폼 계약의 시작으로서,
1. 글로벌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의 플랫폼 기술이전이며
2. IGF1R 기반 BBB 셔틀로서는 글로벌 최초의 플랫폼 기술이전 입니다.
3. 또한, 플랫폼 기술이전인 만큼 무한한 확장성(모달리티 X 타깃(에피톱 단위) 확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이전의 총 계약규모는 약 4.1조원 (GBP 2,140,100,000)이며
계약금 및 단기 마일스톤으로 약 1,480억원 (GBP 77,100,000)을 수령하게 될 예정입니다.
- 계약금 : 약 739억원 (GBP 38,500,000원)
- 단기 마일스톤: 약 741억원 (GBP 38,600,000원)
또한, 로열티 역시 순매출에 따라 합의된 비율로 수령하게 됩니다.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GSK는
1. GSK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신규 타깃(Novel Target)에 에이비엘바이오의 BBB셔틀(Grabody-B) 플랫폼을 적용하여
후보물질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이전 받게 되며,
2. 항체 뿐만 아니라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Polynucleotide) 등의 모달리티(Modality)로의
확장된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Nucleotide의 대표적인 기술에는 siRNA, ASO 등이 있습니다.
지난 1월 IR행사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현재 글로벌 퇴행성뇌질환 시장에서 BBB 셔틀 기술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으며,
이러한 흐름에 맞춰 당사도 지속적인 성과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이번 주 4월 9일 수요일에 개최되는 IR행사에서
본 계약의 의미를 포함하여,
연초 제시한 에이비엘바이오 성장의 네 가지 축 등에 대해
이상훈 대표님께서 직접 설명하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네 가지 성장 축]
1)신약(ABL001)
2)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
3)Grabody-T(4-1BB 기반 면역항암제 플랫폼)
4)이중항체 ADC
*기술이전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7900004
*에이비엘바이오 유튜브 IR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68
*에이비엘바이오 애널리스트 간담회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70
*에이비엘바이오 기업설명회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71
06.04.202522:48
2025.04.07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권해순
안녕하세요.
바이오제약업종 2025년1분기 실적시즌 관전포인트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봤습니다.
Top picks : 유한양행. 리가켐바이오
관심종목: ABL바이오. 에스티팜
투자에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권해순
안녕하세요.
바이오제약업종 2025년1분기 실적시즌 관전포인트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봤습니다.
Top picks : 유한양행. 리가켐바이오
관심종목: ABL바이오. 에스티팜
투자에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09.04.202523:01
2025.04. 10. 목
유진투자증권 바이오제약 권해순
[ABL바이오 BUY. TP 8만원(상향)]
차세대 CNS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안녕하세요.
ABL바이오 목표주가 상향 리포트를 발간하였습니다.
4월 7일 월요일 ABL바이오의 기술이전계약 체결 공시가 있었고
4월 9일 수요일 ABL바이오의 대표이사 간담회가 있었습니다.
ABL바이오의 BBB셔틀 플랫폼인 Grabody B가 차세대 CNS치료제 개발에 있어 패러다임을 전환할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기념비적인 이벤트들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ABL바이오는 최근 3일간 기업가치가 레벨 업 되었습니다.
하지만 Grabody B플랫폼의 확장성, ABL바이오의 높아진 글로벌 위상을 감안하면,
당사는 ABL바이오의 기업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합니다.
Grabody B플랫폼의 가치 상승을 반영하여
ABL바이오의 목표주가를 종전 5만원에서 8만원으로 상향합니다
더불어 당사 바이오업종 Top pick으로 리가켐바이오와 함께 추천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금일 발간 자료를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유진투자증권 바이오제약 권해순
[ABL바이오 BUY. TP 8만원(상향)]
차세대 CNS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안녕하세요.
ABL바이오 목표주가 상향 리포트를 발간하였습니다.
4월 7일 월요일 ABL바이오의 기술이전계약 체결 공시가 있었고
4월 9일 수요일 ABL바이오의 대표이사 간담회가 있었습니다.
ABL바이오의 BBB셔틀 플랫폼인 Grabody B가 차세대 CNS치료제 개발에 있어 패러다임을 전환할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기념비적인 이벤트들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ABL바이오는 최근 3일간 기업가치가 레벨 업 되었습니다.
하지만 Grabody B플랫폼의 확장성, ABL바이오의 높아진 글로벌 위상을 감안하면,
당사는 ABL바이오의 기업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합니다.
Grabody B플랫폼의 가치 상승을 반영하여
ABL바이오의 목표주가를 종전 5만원에서 8만원으로 상향합니다
더불어 당사 바이오업종 Top pick으로 리가켐바이오와 함께 추천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금일 발간 자료를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15.04.202514:14


08.04.202522:48
23.03.202522:11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3.24]
3.21 국내외 주요 뉴스
#J&J(NYSE:JNJ) +0.4%
- J&J가 향후 4년간 미국에 제조, R&D, 기술 분야에 $55bn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며, 이는 이전 4년 대비 25% 증가한 수준
- 노스캐롤라이나주 윌슨에 $2bn 이상이 투입되는 50만 제곱피트 규모의 첨단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 착공 예정이며 향후 3개 생산시설 신설 예정
- 면역, 암, 신경계, 심혈관 등 분야에서 차세대 치료제 생산을 확대할 계획
https://www.fiercepharma.com/manufacturing/johnson-johnson-reveals-55b-investment-us-which-includes-3-new-manufacturing-sites
#AZ(NASDAQ:AZN) -2.1%
- 아스트라제네카가 중국 당국의 전 중국 대표 구금 및 불법 약물 수입 조사에도 불구하고 베이징에 $2.5bn 규모의 투자 계획 발표
- 해당 투자에는 베이징 글로벌 전략 R&D 센터 신설, 하버바이오메드/시네론/바이오캉타이와의 파트너십 및 백신 제조시설 설립 등이 포함됨
- AZ는 하버와 선급금 $175mn, 마일스톤 $4.4bn 규모의 다중항체 공동 개발 계약 체결, 시네론과 매크로사이클릭 펩타이드 개발, 바이오캉타이와는 JV 설립하여 중국 내 호흡기/기타 감염병 백신의 개발/생산/판매 진행 중임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astrazeneca-details-25b-investment-chinas-political-center-funding-rd-center-biotech-pacts
#리가켐바이오 +1.7%
- 리가켐바이오가 영국 ADC 전문기업 익수다 테라퓨틱스에 $25mn 규모의 전략적 지분 투자를 단행하며 최대주주(지분 26.6%) 지위를 확보함
- 투자금을 바탕으로 익수다의 HER2 타깃 ADC LCB14의 전략적 임상 확대를 병행하여 기술이전 가능성을 높일 계획
- 리가켐은 금번 지분 투자를 통해 익수다의 유망 파이프라인 기술이전 수익 배분 권리를 확보했으며 향후 IPO 시 지분 가치 상승을 기대하고 있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744
#셀트리온 +0.2%
- 셀트리온이 3.24부터 약 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26.8만주를 추가 취득하기로 결정했으며, 취득 주식은 전량 소각할 예정
- 2025년 자사주 소각 규모는 현재까지 총 8,066억원 수준이며, 향후 연내 추가 매입분도 전량 소각 방침을 유지할 계획
- 25일 주주총회에서 약 1,538억원 규모의 현금배당과 약 1,025만주 규모의 주식배당을 동시에 실시할 예정이며, 향후 3년간 평균 주주환원율 4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659
3.21 국내외 주요 뉴스
#J&J(NYSE:JNJ) +0.4%
- J&J가 향후 4년간 미국에 제조, R&D, 기술 분야에 $55bn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며, 이는 이전 4년 대비 25% 증가한 수준
- 노스캐롤라이나주 윌슨에 $2bn 이상이 투입되는 50만 제곱피트 규모의 첨단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 착공 예정이며 향후 3개 생산시설 신설 예정
- 면역, 암, 신경계, 심혈관 등 분야에서 차세대 치료제 생산을 확대할 계획
https://www.fiercepharma.com/manufacturing/johnson-johnson-reveals-55b-investment-us-which-includes-3-new-manufacturing-sites
#AZ(NASDAQ:AZN) -2.1%
- 아스트라제네카가 중국 당국의 전 중국 대표 구금 및 불법 약물 수입 조사에도 불구하고 베이징에 $2.5bn 규모의 투자 계획 발표
- 해당 투자에는 베이징 글로벌 전략 R&D 센터 신설, 하버바이오메드/시네론/바이오캉타이와의 파트너십 및 백신 제조시설 설립 등이 포함됨
- AZ는 하버와 선급금 $175mn, 마일스톤 $4.4bn 규모의 다중항체 공동 개발 계약 체결, 시네론과 매크로사이클릭 펩타이드 개발, 바이오캉타이와는 JV 설립하여 중국 내 호흡기/기타 감염병 백신의 개발/생산/판매 진행 중임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astrazeneca-details-25b-investment-chinas-political-center-funding-rd-center-biotech-pacts
#리가켐바이오 +1.7%
- 리가켐바이오가 영국 ADC 전문기업 익수다 테라퓨틱스에 $25mn 규모의 전략적 지분 투자를 단행하며 최대주주(지분 26.6%) 지위를 확보함
- 투자금을 바탕으로 익수다의 HER2 타깃 ADC LCB14의 전략적 임상 확대를 병행하여 기술이전 가능성을 높일 계획
- 리가켐은 금번 지분 투자를 통해 익수다의 유망 파이프라인 기술이전 수익 배분 권리를 확보했으며 향후 IPO 시 지분 가치 상승을 기대하고 있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744
#셀트리온 +0.2%
- 셀트리온이 3.24부터 약 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26.8만주를 추가 취득하기로 결정했으며, 취득 주식은 전량 소각할 예정
- 2025년 자사주 소각 규모는 현재까지 총 8,066억원 수준이며, 향후 연내 추가 매입분도 전량 소각 방침을 유지할 계획
- 25일 주주총회에서 약 1,538억원 규모의 현금배당과 약 1,025만주 규모의 주식배당을 동시에 실시할 예정이며, 향후 3년간 평균 주주환원율 4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659
26.03.202522:11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3.27]
3.26 국내외 주요 뉴스
#DRG Index -1.1%
#NBI Index -1.6%
#XBI Index -2.3%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과 예측 불가능한 경제 및 보건 정책(백신 회의론자 보건장관 임명, FDA 인력 감축, 약가 인하 추진 등)으로 제약/바이오 업계의 대형 M&A 딜이 연기되거나 보류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됨
- CEO들은 정책 변화에 대한 대응에 몰두하느라 기업 가치 산정이나 협상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으며, 투자자들도 위험 회피 성향으로 대형 거래를 꺼리는 분위기
- 대형 제약사들은 특허만료에 대비해 여전히 중소 바이오텍 인수를 추진하고 있으나, 딜 규모는 $1~2bn 수준의 소형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음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trump-turbulence-stalls-large-pharma-biotech-deals-bankers-say-2025-03-26/
#솔레노(NASDAQ:SLNO) -2.2%
- (장후발표) 솔레노 테라퓨틱스의 Vykat XR가 희귀 유전 질환인 프래더-윌리 증후군 관련 폭식 증상 치료제로 FDA 최초 승인받음
- Vykat은 저혈당 치료제로 쓰이는 디아조사이드(diazoxide)의 서방형 제제로, 임상에서 1차 평가 변수는 충족하지 못했으나 후속 연구를 통해 유의미한 2차 지표 개선을 입증하며 FDA 승인 획득
- 연간 시장 규모는 $1.5bn 이상으로 추정됨
https://www.biopharmadive.com/news/soleno-fda-approval-prader-willi/743563/
#리가켐바이오 -1.6%
- 리가켐바이오가 2025년 4월 말 AACR 2025에서 발표할 전임상 임상 결과 초록 5건을 공개
1. LCB39(STING agonist, 면역항암제)
* 병용투여(면역관문억제제 등)에서의 시너지 효과 입증한 결과 발표 예정
* 2026년 초 임상 진입 목표
2. SOT106(LRRC15 타겟 ADC, 파트너사: 소티오)
* 다양한 마우스 모델에서 강력하고 지속적인 용량 의존적 항암 효과 및 완전관해 유도한 데이터 발표
* 임상 1/2상 개시 예정
3. IKS04(CA242 타겟 ADC, 파트너사: 익수다)
* ‘ultra-low DAR’ 전략과 naked 항체 병용투여를 통한 종양 침투력 개선 데이터 발표
* 비교약물(cantuzumab ravtansine) 대비 낮은 용량에서 우수한 항암 효과 입증
* 임상 진입 준비 중
4. 리가켐 링커: 익수다가 리가켐에서 도입한 링커 기술의 우위를 입증하는 연구성과 발표
5. LCB22A(미공개 타겟 ADC): 유방암의 상태 비의존적 치료에 대한 연구성과 발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783
#브릿지바이오 +3.9%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오토택신 선택적 억제 기전의 특발성 폐섬유증(IPF)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 기술수출을 통해 관리종목에서 탈피하겠다는 계획을 밝힘
- 브릿지바이오는 4월 BBT-877의 임상2상 톱라인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며, 데이터를 받는 시점부터 기술이전 협상을 본격화할 계획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813
3.26 국내외 주요 뉴스
#DRG Index -1.1%
#NBI Index -1.6%
#XBI Index -2.3%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과 예측 불가능한 경제 및 보건 정책(백신 회의론자 보건장관 임명, FDA 인력 감축, 약가 인하 추진 등)으로 제약/바이오 업계의 대형 M&A 딜이 연기되거나 보류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됨
- CEO들은 정책 변화에 대한 대응에 몰두하느라 기업 가치 산정이나 협상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으며, 투자자들도 위험 회피 성향으로 대형 거래를 꺼리는 분위기
- 대형 제약사들은 특허만료에 대비해 여전히 중소 바이오텍 인수를 추진하고 있으나, 딜 규모는 $1~2bn 수준의 소형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음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trump-turbulence-stalls-large-pharma-biotech-deals-bankers-say-2025-03-26/
#솔레노(NASDAQ:SLNO) -2.2%
- (장후발표) 솔레노 테라퓨틱스의 Vykat XR가 희귀 유전 질환인 프래더-윌리 증후군 관련 폭식 증상 치료제로 FDA 최초 승인받음
- Vykat은 저혈당 치료제로 쓰이는 디아조사이드(diazoxide)의 서방형 제제로, 임상에서 1차 평가 변수는 충족하지 못했으나 후속 연구를 통해 유의미한 2차 지표 개선을 입증하며 FDA 승인 획득
- 연간 시장 규모는 $1.5bn 이상으로 추정됨
https://www.biopharmadive.com/news/soleno-fda-approval-prader-willi/743563/
#리가켐바이오 -1.6%
- 리가켐바이오가 2025년 4월 말 AACR 2025에서 발표할 전임상 임상 결과 초록 5건을 공개
1. LCB39(STING agonist, 면역항암제)
* 병용투여(면역관문억제제 등)에서의 시너지 효과 입증한 결과 발표 예정
* 2026년 초 임상 진입 목표
2. SOT106(LRRC15 타겟 ADC, 파트너사: 소티오)
* 다양한 마우스 모델에서 강력하고 지속적인 용량 의존적 항암 효과 및 완전관해 유도한 데이터 발표
* 임상 1/2상 개시 예정
3. IKS04(CA242 타겟 ADC, 파트너사: 익수다)
* ‘ultra-low DAR’ 전략과 naked 항체 병용투여를 통한 종양 침투력 개선 데이터 발표
* 비교약물(cantuzumab ravtansine) 대비 낮은 용량에서 우수한 항암 효과 입증
* 임상 진입 준비 중
4. 리가켐 링커: 익수다가 리가켐에서 도입한 링커 기술의 우위를 입증하는 연구성과 발표
5. LCB22A(미공개 타겟 ADC): 유방암의 상태 비의존적 치료에 대한 연구성과 발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783
#브릿지바이오 +3.9%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오토택신 선택적 억제 기전의 특발성 폐섬유증(IPF)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 기술수출을 통해 관리종목에서 탈피하겠다는 계획을 밝힘
- 브릿지바이오는 4월 BBT-877의 임상2상 톱라인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며, 데이터를 받는 시점부터 기술이전 협상을 본격화할 계획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813


15.04.202514:14
25.03.202523:35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권해순]
성공한 신약과 기업가치 Case Study ①: Argenx (2025.03.26)
* 국내 바이오제약 기업들이 글로벌 상업화 단계에 진입하고 있는 국면에서 상업화 성공여부에 따른 기업가치 변화를 글로벌 사례에서 찾아보고자 함
* 중증 근무력증 치료제 비브가르트® 개발사 아제닉스(NASDAQ.ARGX)는 초기 비용 부담이 크지만 성장 잠재성이 높은 질환 시장 내 제품력과 적응증 확장을 통해 지속 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소 바이오텍의 직접 판매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 사례로 볼 수 있음
* 비브가르트® 매출액은 출시 3년 차인 2024년 22억 달러(+84%yoy)이며 2025년 및 2026년 예상 매출액은 각각 33억 달러(+50%yoy), 42억 달러(+27%yoy) 기록할 전망(Bloomberg)
* 상업화 성공에 따라 아제닉스 시가총액 400억 달러에 달함, 2024년 주가 상승률 +48%, 2025년 주가 상승률 -2.4%(YTD, 3.25 기준)
* 유럽의 중소 바이오텍이 혁신적 기전에 기반한 니치 마켓 진입 전략 및 직접 상업화 전략을 통해 시가총액 400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제약사로 성장한 사례는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이 성공적으로 평가받을 때 기업 가치 상승 가능성에 인사이트를 제공함
자세한 내용은 자료 참고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링크: https://www.eugenefn.com/common/files/amail/20250326_B3510_hskwon_254.pdf
▣본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성공한 신약과 기업가치 Case Study ①: Argenx (2025.03.26)
* 국내 바이오제약 기업들이 글로벌 상업화 단계에 진입하고 있는 국면에서 상업화 성공여부에 따른 기업가치 변화를 글로벌 사례에서 찾아보고자 함
* 중증 근무력증 치료제 비브가르트® 개발사 아제닉스(NASDAQ.ARGX)는 초기 비용 부담이 크지만 성장 잠재성이 높은 질환 시장 내 제품력과 적응증 확장을 통해 지속 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소 바이오텍의 직접 판매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 사례로 볼 수 있음
* 비브가르트® 매출액은 출시 3년 차인 2024년 22억 달러(+84%yoy)이며 2025년 및 2026년 예상 매출액은 각각 33억 달러(+50%yoy), 42억 달러(+27%yoy) 기록할 전망(Bloomberg)
* 상업화 성공에 따라 아제닉스 시가총액 400억 달러에 달함, 2024년 주가 상승률 +48%, 2025년 주가 상승률 -2.4%(YTD, 3.25 기준)
* 유럽의 중소 바이오텍이 혁신적 기전에 기반한 니치 마켓 진입 전략 및 직접 상업화 전략을 통해 시가총액 400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제약사로 성장한 사례는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이 성공적으로 평가받을 때 기업 가치 상승 가능성에 인사이트를 제공함
자세한 내용은 자료 참고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링크: https://www.eugenefn.com/common/files/amail/20250326_B3510_hskwon_254.pdf
▣본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25.03.202521:56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3.26]
3.25 국내외 주요 뉴스
#MSD(NYSE:MRK) -4.8%,
#항서제약(SHA:600276) +1.2%
- 미국 머크가 중국 항서제약의 저분자 Lp(a) 저해제 HRS-5346의 개발/제조/판매 권리(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 대만 제외)를 최대 $2bn 규모에 기술도입 (선급금 $200mn, 마일스톤 $1.77bn)
- HRS-5346은 콜레스테롤/지방/단백질 생성을 억제해 심혈관 질환 위험을 줄이는 경구용 약물로, 현재 중국에서 임상2상 진행 중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merck-signs-deal-with-jiangsu-hengrui-worth-up-2-billion-access-heart-drug-2025-03-25/
#카사바(NASDAQ:SAVA) -32.1%
- 카사바사이언스가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개발하던 시무필람의 두 번째 3상(ReFocus-ALZ)에서도 유효성 입증에 실패하면서 알츠하이머 적응증 개발을 중단하기로 결정
- 시무필람 투여군과 위약군 모두에서 인지기능 및 기능평가 지표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치료 효과 없다고 결론, 해당 프로그램은 2025년 2분기 종료 예정
- 현재는 결절성 경화증 관련 뇌전증 치료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전임상 단계에서 평가 중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cassava-stops-alzheimers-program-simufilam-fails-another-phase-3
#에스티팜 +0.3%
- 에스티팜이 미국 바이오텍과 약 $27.5mn(한화 약 404억원) 규모의 올리고 핵산 치료제 원료의약품 공급 계약을 체결함
- 계약은 상업화된 혈액암 치료제의 2026년 1차 공급분에 해당하며, 납기는 2026년 3월과 6월로 설정됨
- 8월에는 에스티팜이 원료 공급 중인 유전성 혈관부종 치료제 올리고 신약이 FDA 승인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하반기에는 미토콘드리아 결핍 증후군 저분자 치료제의 신약 승인이 결정될 전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746
#앱클론 +7.7%
- 앱클론이 개발한 HER2 양성 위암 치료용 항체 후보물질 ‘HLX22(AC101)’가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ODD)으로 지정됨
- 희귀의약품 지정으로 세액공제, 신속 승인, 7년 시장 독점권 등 혜택을 확보
- HLX22는 현재 미국/중국 등에서 글로벌 임상3상 진행 중이며 유방암으로도 적응증 확장 중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743
3.25 국내외 주요 뉴스
#MSD(NYSE:MRK) -4.8%,
#항서제약(SHA:600276) +1.2%
- 미국 머크가 중국 항서제약의 저분자 Lp(a) 저해제 HRS-5346의 개발/제조/판매 권리(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 대만 제외)를 최대 $2bn 규모에 기술도입 (선급금 $200mn, 마일스톤 $1.77bn)
- HRS-5346은 콜레스테롤/지방/단백질 생성을 억제해 심혈관 질환 위험을 줄이는 경구용 약물로, 현재 중국에서 임상2상 진행 중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merck-signs-deal-with-jiangsu-hengrui-worth-up-2-billion-access-heart-drug-2025-03-25/
#카사바(NASDAQ:SAVA) -32.1%
- 카사바사이언스가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개발하던 시무필람의 두 번째 3상(ReFocus-ALZ)에서도 유효성 입증에 실패하면서 알츠하이머 적응증 개발을 중단하기로 결정
- 시무필람 투여군과 위약군 모두에서 인지기능 및 기능평가 지표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치료 효과 없다고 결론, 해당 프로그램은 2025년 2분기 종료 예정
- 현재는 결절성 경화증 관련 뇌전증 치료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전임상 단계에서 평가 중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cassava-stops-alzheimers-program-simufilam-fails-another-phase-3
#에스티팜 +0.3%
- 에스티팜이 미국 바이오텍과 약 $27.5mn(한화 약 404억원) 규모의 올리고 핵산 치료제 원료의약품 공급 계약을 체결함
- 계약은 상업화된 혈액암 치료제의 2026년 1차 공급분에 해당하며, 납기는 2026년 3월과 6월로 설정됨
- 8월에는 에스티팜이 원료 공급 중인 유전성 혈관부종 치료제 올리고 신약이 FDA 승인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하반기에는 미토콘드리아 결핍 증후군 저분자 치료제의 신약 승인이 결정될 전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746
#앱클론 +7.7%
- 앱클론이 개발한 HER2 양성 위암 치료용 항체 후보물질 ‘HLX22(AC101)’가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ODD)으로 지정됨
- 희귀의약품 지정으로 세액공제, 신속 승인, 7년 시장 독점권 등 혜택을 확보
- HLX22는 현재 미국/중국 등에서 글로벌 임상3상 진행 중이며 유방암으로도 적응증 확장 중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743
07.04.202522:10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4.8]
4.7 국내외 주요 뉴스
#노보노디스크(NYSE:NVO) +1.7%,
#일라이릴리(NYSE:LLY) -2.0%
- 노보노디스크가 비만/당뇨 치료제와 만성 질환 치료제 등 주사제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주 공장에 약 $1.09bn을 투자한다고 발표
- 해당 시설은 2028년 가동이 예상되며 오젬픽, 위고비 등 세마글루타이드를 비롯한 다양한 제형의 제품을 생산할 예정
- 브라질은 노보의 글로벌 5대 시장 중 하나로, 금번 투자를 통해 브라질 제약사들이 GLP-1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시점에서 노보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됨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novo-nordisk-invest-109-billion-increase-production-brazil-2025-04-07/
#존슨앤존슨(NYSE:JNJ) -1.7%,
#할로자임(NASDAQ:HALO) -0.7%
- J&J의 EGFR 변이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리브리반트(성분명 아미반타맙)의 SC제형이 유한양행의 라즈클루즈(성분명 레이저티닙) 병용요법 또는 단독요법으로 유럽 승인을 획득
- 리브리반트 SC 제형은 PALOMA-3 임상을 통해 정맥주사 대비 약물혈중농도(PK)에서 비열등성 입증, 투여 시간은 수시간에서 5분으로 단축했으며 주입 관련 이상반응(IRR)도 13%로 크게 감소함을 확인
- 기존 주1회 투여에서 1-4주차 1주1회 투여+5주차부터 2주1회 투여가 권고되어 환자 편의성 및 치료 부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https://www.jnj.com/media-center/press-releases/european-commission-approves-subcutaneous-rybrevant-amivantamab-for-the-treatment-of-patients-with-advanced-egfr-mutated-non-small-cell-lung-cancer
#에이비엘바이오 +30.0%
#GSK(NYSE.GSK) -4.6%
- 에이비엘바이오가 영국 빅파마 GSK와 최대 약 4.1조원 규모의 BBB 셔틀 플랫폼 'Grabody-B'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함(계약금 £38.5mn, 단기 마일스톤 £38.6mn, 개발/상업화 마일스톤 £2.063bn)
- Grabody-B는 IGF1R을 타깃해 뇌혈관장벽(BBB)을 통과하도록 돕는 플랫폼으로, GSK는 복수의 뇌질환 타깃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계획임
- 금번 계약은 에이비엘바이오의 첫 플랫폼 기술이전 사례로, BBB 셔틀 기술에 대한 글로벌 제약사들의 관심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플랫폼 사업성을 증명한 사례로 평가됨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106
#유한양행 -5.9%
- 유한양행이 식약처로부터 EGFR x 4-1BB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신약 'YH32364'의 임상 1/2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음
- YH32364는 유한양행이 2018년 에이비엘바이오로부터 기술 도입한 파이프라인으로, 국내 1/2상을 통해 고형암 환자 대상으로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항종양 활성을 평가할 예정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317
4.7 국내외 주요 뉴스
#노보노디스크(NYSE:NVO) +1.7%,
#일라이릴리(NYSE:LLY) -2.0%
- 노보노디스크가 비만/당뇨 치료제와 만성 질환 치료제 등 주사제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주 공장에 약 $1.09bn을 투자한다고 발표
- 해당 시설은 2028년 가동이 예상되며 오젬픽, 위고비 등 세마글루타이드를 비롯한 다양한 제형의 제품을 생산할 예정
- 브라질은 노보의 글로벌 5대 시장 중 하나로, 금번 투자를 통해 브라질 제약사들이 GLP-1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시점에서 노보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됨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novo-nordisk-invest-109-billion-increase-production-brazil-2025-04-07/
#존슨앤존슨(NYSE:JNJ) -1.7%,
#할로자임(NASDAQ:HALO) -0.7%
- J&J의 EGFR 변이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리브리반트(성분명 아미반타맙)의 SC제형이 유한양행의 라즈클루즈(성분명 레이저티닙) 병용요법 또는 단독요법으로 유럽 승인을 획득
- 리브리반트 SC 제형은 PALOMA-3 임상을 통해 정맥주사 대비 약물혈중농도(PK)에서 비열등성 입증, 투여 시간은 수시간에서 5분으로 단축했으며 주입 관련 이상반응(IRR)도 13%로 크게 감소함을 확인
- 기존 주1회 투여에서 1-4주차 1주1회 투여+5주차부터 2주1회 투여가 권고되어 환자 편의성 및 치료 부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https://www.jnj.com/media-center/press-releases/european-commission-approves-subcutaneous-rybrevant-amivantamab-for-the-treatment-of-patients-with-advanced-egfr-mutated-non-small-cell-lung-cancer
#에이비엘바이오 +30.0%
#GSK(NYSE.GSK) -4.6%
- 에이비엘바이오가 영국 빅파마 GSK와 최대 약 4.1조원 규모의 BBB 셔틀 플랫폼 'Grabody-B'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함(계약금 £38.5mn, 단기 마일스톤 £38.6mn, 개발/상업화 마일스톤 £2.063bn)
- Grabody-B는 IGF1R을 타깃해 뇌혈관장벽(BBB)을 통과하도록 돕는 플랫폼으로, GSK는 복수의 뇌질환 타깃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계획임
- 금번 계약은 에이비엘바이오의 첫 플랫폼 기술이전 사례로, BBB 셔틀 기술에 대한 글로벌 제약사들의 관심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플랫폼 사업성을 증명한 사례로 평가됨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106
#유한양행 -5.9%
- 유한양행이 식약처로부터 EGFR x 4-1BB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신약 'YH32364'의 임상 1/2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음
- YH32364는 유한양행이 2018년 에이비엘바이오로부터 기술 도입한 파이프라인으로, 국내 1/2상을 통해 고형암 환자 대상으로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항종양 활성을 평가할 예정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317
08.04.202522:47
https://m.dailypharm.com/News/322015
데일리팜에서 국내 제약바이오 기술이전계약 체결 역사를 잘 정리해주셨습니다. 참고하세요
데일리팜에서 국내 제약바이오 기술이전계약 체결 역사를 잘 정리해주셨습니다. 참고하세요
14.04.202522:13
[유진투자 바이오제약 4.15]
4.14 국내외 주요 뉴스
#화이자(NYSE:PFE) +1.0%
#일라이릴리(NYSE:LLY) +3.0%,
#노보노디스크(NYSE:NVO) +2.1%
#바이킹테라퓨틱스(NASDAQ:VKTX) +10.6%
#멧세라(NASDAQ:MTSR) +29.9%
- 화이자가 일1회 경구 투여 비만치료제로 개발 중인 다누글리프론을 간독성 우려로 개발 중단하기로 결정
- 화이자는 GIPR 타겟 경구용 치료제 등 초기 단계 비만 파이프라인 개발에 집중 예정
- 한편 릴리는 조만간 경구용 비만 치료제 오포글리프론의 임상3상 결과 발표할 예정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pfizer-ends-development-weight-loss-pill-danuglipron-2025-04-14/
#일라이릴리(NYSE:LLY) +3.0%,
#노보노디스크(NYSE:NVO) +2.1%
- 일라이릴리가 인도에서 마운자로(Mounjaro)를 출시하자 현지 병원과 클리닉에 문의가 급증하며 대체 유통망이나 해외 구매에 의존하던 환자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알려짐
- 마운자로는 인도에서 5mg 용량 기준 약 $50에 판매되며 이는 암시장 대비 크게 낮은 가격
- 인도는 2050년까지 세계 2위 규모의 비만 인구가 예상되는 시장으로, 마운자로 출시로 인해 위고비의 인도 출시를 준비 중인 노보보다 시장을 선점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도 제약사들의 복제약 개발 움직임도 가속화될 전망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eli-lillys-mounjaro-launch-india-ignites-wave-weight-loss-enquiries-2025-04-14/
#셀트리온 +1.5%
- 셀트리온의 유플라이마가 미국 FDA로부터 휴미라와의 상호교환성 변경허가를 획득
- 상호교환성 지위 확보로 교차 처방에 대한 환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어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에 유리한 위치 확보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262&page=2&total=12236
#브릿지바이오 +0.1%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의 IPF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이 글로벌 임상2상에서 1차 평가지표인 FVC 변화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보이지 못하며 효능 입증에 실패함
- 임상 결과, BBT-877 투여군의 FVC 변화는 -75.7mL, 위약군은 -50.2mL로 두 군 간 통계적 유의성 확인되지 않음(p=0.385)
- 브릿지바이오는 하반기 최종 보고서 수령 후 하위그룹 분석, 바이오마커 및 CT 영상 기반 추가 분석을 통해 개발 전략을 재수립할 계획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297
4.14 국내외 주요 뉴스
#화이자(NYSE:PFE) +1.0%
#일라이릴리(NYSE:LLY) +3.0%,
#노보노디스크(NYSE:NVO) +2.1%
#바이킹테라퓨틱스(NASDAQ:VKTX) +10.6%
#멧세라(NASDAQ:MTSR) +29.9%
- 화이자가 일1회 경구 투여 비만치료제로 개발 중인 다누글리프론을 간독성 우려로 개발 중단하기로 결정
- 화이자는 GIPR 타겟 경구용 치료제 등 초기 단계 비만 파이프라인 개발에 집중 예정
- 한편 릴리는 조만간 경구용 비만 치료제 오포글리프론의 임상3상 결과 발표할 예정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pfizer-ends-development-weight-loss-pill-danuglipron-2025-04-14/
#일라이릴리(NYSE:LLY) +3.0%,
#노보노디스크(NYSE:NVO) +2.1%
- 일라이릴리가 인도에서 마운자로(Mounjaro)를 출시하자 현지 병원과 클리닉에 문의가 급증하며 대체 유통망이나 해외 구매에 의존하던 환자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알려짐
- 마운자로는 인도에서 5mg 용량 기준 약 $50에 판매되며 이는 암시장 대비 크게 낮은 가격
- 인도는 2050년까지 세계 2위 규모의 비만 인구가 예상되는 시장으로, 마운자로 출시로 인해 위고비의 인도 출시를 준비 중인 노보보다 시장을 선점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도 제약사들의 복제약 개발 움직임도 가속화될 전망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eli-lillys-mounjaro-launch-india-ignites-wave-weight-loss-enquiries-2025-04-14/
#셀트리온 +1.5%
- 셀트리온의 유플라이마가 미국 FDA로부터 휴미라와의 상호교환성 변경허가를 획득
- 상호교환성 지위 확보로 교차 처방에 대한 환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어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에 유리한 위치 확보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262&page=2&total=12236
#브릿지바이오 +0.1%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의 IPF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이 글로벌 임상2상에서 1차 평가지표인 FVC 변화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보이지 못하며 효능 입증에 실패함
- 임상 결과, BBT-877 투여군의 FVC 변화는 -75.7mL, 위약군은 -50.2mL로 두 군 간 통계적 유의성 확인되지 않음(p=0.385)
- 브릿지바이오는 하반기 최종 보고서 수령 후 하위그룹 분석, 바이오마커 및 CT 영상 기반 추가 분석을 통해 개발 전략을 재수립할 계획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297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