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지지율에 주목해야
관세 인상은 트럼프 지지자들에게 더욱 큰 타격
4월 3일 상호 관세 부과 이후 주식시장이 급락하고, 부작용에 대한 경고가 빗발치는 가운데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미국 입장에서 관세 부과의 피해는 즉각적으로 발생하는 반면, 제조업의 리쇼어링과 같은 혜택은 중장기적으로, 그나마도 불확실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초기에는 관세 부과의 부담이 기업 부문에서 흡수되겠지만, 결국에는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입니다. 팬데믹 이후 높아진 물가 부담에 시름했던 미국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Economist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슈는 첫번째가 물가(25%), 그 다음이 일자리와 경기(13%)입니다. 특히, 트럼프의 정치적 기반인 저소득층이 관세 인상의 부담을 더욱 크게 느낄 것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저희는 현시점에서 무엇보다 주목해야할 변수를 트럼프 지지율이라고 판단합니다. Economist 집계에 따르면, 트럼프 지지율은 지난 12월을 정점으로 점차 낮아져 3월 27일 집계에서는 지지율이 47%까지 하락했습니다. 특히, 4월 3일 전후 조사된 여론조사에서는 지지율이 더욱 낮아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이터/입소스의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지지율은 1월 20일 47%를 기록했으나, 3월 21~23일 조사에는 45%, 4월 1~3일 조사에는 43%까지 하락했습니다. 특히, 경제운영 측면에서의 지지율은 37%, 물가 측면에서는 30%에 불과했습니다. 또한, 52%는 관세 부과가 이득보다는 피해가 크다는 점에 동의했습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저희는 관세 부과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게 되면 트럼프의 지지율은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물론, ‘26년 11월 치러질 중간선거까지 여전히 20개월이 남아있어 트럼프는 당장의 지지율 하락에 연연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면 상원 및 하원의 의원들은 상대적으로 여론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예를 들어, 지난 4월 3일 공화당 상원의원 중 4명은 캐나다 관세 부과의 근거가 된 비상사태 선포의 취소를 요구하는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졌으며, 대통령의 관세 부과 권한을 의회에서 통제하려는 법안도 거론되는 상황입니다. 특히, 공화당(220석)과 민주당(213석)의 하원의석 수 차이는 7석에 불과합니다. 관세 부과로 인한 지지율 하락은 하원에서 공화당 의원들의 이탈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