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5.202511:42
제네바에서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 시작
-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 제품에 대해 “80% 관세가 적절하다”고 언급하며 기존 145%에서의 대안을 처음 제시
- 미국은 협상 요청이 중국 측에서 시작됐다고 밝혔으나, 중국은 미국이 회담을 요청했다고 주장하며 기존 반관세 입장에 변화는 없다는 입장
- 중국은 미국이 다른 국가에 부여한 90일 관세 유예를 자국에도 적용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관세 인하 또는 추가 협상이 이뤄질 경우 시장에 긍정적 신호가 될 수 있을 것. 현재 양측 간 신뢰가 낮은 상황에서 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는 낮음
- 스위스 측은 향후 일요일이나 월요일까지 회담이 이어질 가능성도 언급
https://www.reuters.com/world/china/china-us-trade-talks-begin-geneva-2025-05-10/?utm_source=chatgpt.com
-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 제품에 대해 “80% 관세가 적절하다”고 언급하며 기존 145%에서의 대안을 처음 제시
- 미국은 협상 요청이 중국 측에서 시작됐다고 밝혔으나, 중국은 미국이 회담을 요청했다고 주장하며 기존 반관세 입장에 변화는 없다는 입장
- 중국은 미국이 다른 국가에 부여한 90일 관세 유예를 자국에도 적용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관세 인하 또는 추가 협상이 이뤄질 경우 시장에 긍정적 신호가 될 수 있을 것. 현재 양측 간 신뢰가 낮은 상황에서 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는 낮음
- 스위스 측은 향후 일요일이나 월요일까지 회담이 이어질 가능성도 언급
https://www.reuters.com/world/china/china-us-trade-talks-begin-geneva-2025-05-10/?utm_source=chatgpt.com
08.05.202522:10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반도체] 해성디에스 - 재고조정과 감산 영향 지속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3,000원(하향)
현재주가 : 19,700원(05/08)
Upside : 16.8%
1. 1Q25 Re: 쉽지 않습니다
-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하는 실적의 원인은 DDR4 패키지 기판 매출 감소와 일회성 비용 발생
- 일회성 비용 제외 시 4Q24보다 소폭 개선된 5% 대 이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
- 전장용 리드프레임은 1Q25 고객사들의 재고조정 영향 있었으며 패키지 기판은 고객사들의 DDR4 생산 축소로 인한 영향
2. 2Q25 Pre: 그래도 1분기 대비해서는 개선
- 2Q25에도 메모리 업체들의 DDR4 단계적 감산, 전장용 리드프레임 고객사들의 재고조정 지속
- IT용 리드프레임은 Pull-in 수요로 인해 2분기에도 견조할 것으로 전망하나 비중이 크지 않음
- 다만 영업이익은 일회성 비용 고려 시 4Q24 수준 이상으로 회복할 전망
3.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3,000원 하향
- 2025년 매출액 5,733억원(-5% YoY), 영업이익 273억원(-52% YoY, OPM 5%)을 전망
- 패키지 기판의 매출 회복이 요원
- Fwd EPS의 개선 가능성은 전장용 고객사들의 수요 턴어라운드, 동사의 DDR5 전환 본격화로 확인할 필요가 있음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반도체] 해성디에스 - 재고조정과 감산 영향 지속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3,000원(하향)
현재주가 : 19,700원(05/08)
Upside : 16.8%
1. 1Q25 Re: 쉽지 않습니다
-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하는 실적의 원인은 DDR4 패키지 기판 매출 감소와 일회성 비용 발생
- 일회성 비용 제외 시 4Q24보다 소폭 개선된 5% 대 이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
- 전장용 리드프레임은 1Q25 고객사들의 재고조정 영향 있었으며 패키지 기판은 고객사들의 DDR4 생산 축소로 인한 영향
2. 2Q25 Pre: 그래도 1분기 대비해서는 개선
- 2Q25에도 메모리 업체들의 DDR4 단계적 감산, 전장용 리드프레임 고객사들의 재고조정 지속
- IT용 리드프레임은 Pull-in 수요로 인해 2분기에도 견조할 것으로 전망하나 비중이 크지 않음
- 다만 영업이익은 일회성 비용 고려 시 4Q24 수준 이상으로 회복할 전망
3.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3,000원 하향
- 2025년 매출액 5,733억원(-5% YoY), 영업이익 273억원(-52% YoY, OPM 5%)을 전망
- 패키지 기판의 매출 회복이 요원
- Fwd EPS의 개선 가능성은 전장용 고객사들의 수요 턴어라운드, 동사의 DDR5 전환 본격화로 확인할 필요가 있음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7.05.202507:21
2025.05.07 16:21:28
기업명: 파크시스템스(시가총액: 1조 4,15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09억(예상치 : 381억+/ 34%)
영업익 : 132억(예상치 : 59억/ +124%)
순이익 : -(예상치 : 53억)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09억/ 132억/ -
2024.4Q 633억/ 166억/ 203억
2024.3Q 414억/ 87억/ 63억
2024.2Q 447억/ 127억/ 134억
2024.1Q 257억/ 5억/ 2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79005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0860
기업명: 파크시스템스(시가총액: 1조 4,15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09억(예상치 : 381억+/ 34%)
영업익 : 132억(예상치 : 59억/ +124%)
순이익 : -(예상치 : 53억)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09억/ 132억/ -
2024.4Q 633억/ 166억/ 203억
2024.3Q 414억/ 87억/ 63억
2024.2Q 447억/ 127억/ 134억
2024.1Q 257억/ 5억/ 2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79005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0860


01.05.202522:40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Amazon 1Q25 실적발표
URL : https://bit.ly/3YmWFz9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Amazon 1Q25 실적발표
URL : https://bit.ly/3YmWFz9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转发自:
DS투자증권 리서치

30.04.202507:11
두산 전자 BG 빅 서프네요
두산 전자 BG 1분기 실적 (잠정치)
1분기 매출 4,029억원 (+116% yoy)
영업이익 1,170억원 (+588% yoy)
OP마진 30% 내외로 보입니다
두산 전자 BG 1분기 실적 (잠정치)
1분기 매출 4,029억원 (+116% yoy)
영업이익 1,170억원 (+588% yoy)
OP마진 30% 내외로 보입니다
16.04.202522:59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04/17 테크 주요 뉴스
◆ DRAM은 관세 부과에 따라 매수세 크게 하락했으며 관세 유예에 따라 일부 구매 문의에도 여전히 신중
NAND는 시장 불확실성과 감산으로 인한 가격 인상으로 거래 부진
https://bit.ly/4cL5xV9
◆ TSMC, 애리조나 팹의 높은 비용으로 인해 4nm 가격 최대 30% 인상
https://bit.ly/4cL5DMv
◆ Intel, 향후 중국 고객에게 AI 칩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라이센스 필요
https://bit.ly/4cEuMII
◆ EU, AI 대륙 행동 계획(AI Continent Action Plan) 출범, 200억 유로 투자
https://bit.ly/42kT0o0
◆ TSMC, 미국에서 FOPLP 패키징 기술 도입 예정, 2027년 시험 생산 예상
https://bit.ly/3RRZftb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4/17 테크 주요 뉴스
◆ DRAM은 관세 부과에 따라 매수세 크게 하락했으며 관세 유예에 따라 일부 구매 문의에도 여전히 신중
NAND는 시장 불확실성과 감산으로 인한 가격 인상으로 거래 부진
https://bit.ly/4cL5xV9
◆ TSMC, 애리조나 팹의 높은 비용으로 인해 4nm 가격 최대 30% 인상
https://bit.ly/4cL5DMv
◆ Intel, 향후 중국 고객에게 AI 칩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라이센스 필요
https://bit.ly/4cEuMII
◆ EU, AI 대륙 행동 계획(AI Continent Action Plan) 출범, 200억 유로 투자
https://bit.ly/42kT0o0
◆ TSMC, 미국에서 FOPLP 패키징 기술 도입 예정, 2027년 시험 생산 예상
https://bit.ly/3RRZftb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9.05.202505:38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TSMC 월별 매출의 Historical Data입니다.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TSMC 월별 매출의 Historical Data입니다.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07.05.202523:20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05/08 테크 주요 뉴스
◆ "TSMC 2나노 반도체 수율 3나노 추월", 삼성전자 인텔 추격 계속 따돌려
https://bit.ly/3GWXcSh
◆ NVIDIA, 미국 수출 제한 속에서 중국에서 RTX 5090D 선적 중단 보도
https://bit.ly/44tOu7Z
◆ ARM,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했으나 예상보다 저조한 FY 1Q26 가이던스 제시
https://bit.ly/4m4hKZ9
◆ 삼성, 이달 갤S25 생산량 80만대 늘린다
https://bit.ly/3RUVnaX
◆ Cadence, 엔지니어링, 생명공학 소프트웨어 분야에 진출하는 새로운 NVIDIA 기반 슈퍼컴퓨터 공개
https://bit.ly/3RQypBR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5/08 테크 주요 뉴스
◆ "TSMC 2나노 반도체 수율 3나노 추월", 삼성전자 인텔 추격 계속 따돌려
https://bit.ly/3GWXcSh
◆ NVIDIA, 미국 수출 제한 속에서 중국에서 RTX 5090D 선적 중단 보도
https://bit.ly/44tOu7Z
◆ ARM,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회했으나 예상보다 저조한 FY 1Q26 가이던스 제시
https://bit.ly/4m4hKZ9
◆ 삼성, 이달 갤S25 생산량 80만대 늘린다
https://bit.ly/3RUVnaX
◆ Cadence, 엔지니어링, 생명공학 소프트웨어 분야에 진출하는 새로운 NVIDIA 기반 슈퍼컴퓨터 공개
https://bit.ly/3RQypBR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2.05.202507:55
AI로 인한 생산성 증가는 전 산업에 걸쳐 확장되겠죠? 기대가 무척이나 되면서도 무섭네요😅
연휴 잘 보내시고 다음주 수요일에 뵙겠습니다! 연휴 기간 테크 데일리는 쉬어가지만 중요한 뉴스는 빠르게 공유드리겠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연휴 잘 보내시고 다음주 수요일에 뵙겠습니다! 연휴 기간 테크 데일리는 쉬어가지만 중요한 뉴스는 빠르게 공유드리겠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30.04.202509:21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반도체] 삼성전자 - 1Q25 Re: 하반기가 변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1,000원(하향)
현재주가 : 55,500원(04/30)
Upside : 27.9%
1. 1Q25 Review: 컨벤셔널 DRAM과 MX 원가 개선 효과
- DRAM B/G 전분기 대비 2% 증가, ASP는 -20% 감소
- HBM Blended 영향 반영, Conventional DRAM 기준으로는 ASP 한자릿수 중반 수준 감소
- NAND B/G는 전분기 대비 -10% 감소, ASP는 -16% 감소
- 데이터센터향 과제 순연됨에 따라 eSSD 수요 전분기 대비 감소
2. 2Q25 Preview: 2분기는 메모리 가격 회복 지속
- 2Q25 영업이익은 6.9조원으로 추정
- 2Q25 DRAM B/G 11%, ASP 2% 증가하고 NAND B/G 15%, ASP 1% 상승 전망
- 고객사 부품 재고 정상 수준에 가까워진 것으로 파악하며 AI 수요 역시 지속, 관세로 인한 Pull-in 수요 반영
- HBM 매출액은 2분기 2.1조원(+64% QoQ), 연간 14.5조원 수준 전망
- 주요 고객사 HBM3e 12단 퀄 승인 시점을 6~7월로 목표하고 있어 관심 필요
3.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71,000원 하향
- 연간 영업이익은 하반기 관세 및 AI 칩 수출 통제로 인한 불확실성과 HBM 매출 지연을 감안하여 31.2조원으로 하향
- 실적 상승은 1) 하반기 메모리 업황, 2) 파운드리 가동률 회복 여부, 3) HBM 퀄 승인 이후 매출 확대 여부가 관건
- 현재 주가는 저평가 구간은 확실하나 당장 주가를 견인할 만한 모멘텀은 아쉬운 상황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반도체] 삼성전자 - 1Q25 Re: 하반기가 변수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71,000원(하향)
현재주가 : 55,500원(04/30)
Upside : 27.9%
1. 1Q25 Review: 컨벤셔널 DRAM과 MX 원가 개선 효과
- DRAM B/G 전분기 대비 2% 증가, ASP는 -20% 감소
- HBM Blended 영향 반영, Conventional DRAM 기준으로는 ASP 한자릿수 중반 수준 감소
- NAND B/G는 전분기 대비 -10% 감소, ASP는 -16% 감소
- 데이터센터향 과제 순연됨에 따라 eSSD 수요 전분기 대비 감소
2. 2Q25 Preview: 2분기는 메모리 가격 회복 지속
- 2Q25 영업이익은 6.9조원으로 추정
- 2Q25 DRAM B/G 11%, ASP 2% 증가하고 NAND B/G 15%, ASP 1% 상승 전망
- 고객사 부품 재고 정상 수준에 가까워진 것으로 파악하며 AI 수요 역시 지속, 관세로 인한 Pull-in 수요 반영
- HBM 매출액은 2분기 2.1조원(+64% QoQ), 연간 14.5조원 수준 전망
- 주요 고객사 HBM3e 12단 퀄 승인 시점을 6~7월로 목표하고 있어 관심 필요
3.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71,000원 하향
- 연간 영업이익은 하반기 관세 및 AI 칩 수출 통제로 인한 불확실성과 HBM 매출 지연을 감안하여 31.2조원으로 하향
- 실적 상승은 1) 하반기 메모리 업황, 2) 파운드리 가동률 회복 여부, 3) HBM 퀄 승인 이후 매출 확대 여부가 관건
- 현재 주가는 저평가 구간은 확실하나 당장 주가를 견인할 만한 모멘텀은 아쉬운 상황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30.04.202505:26
TSMC's AI chip plans remain on track; CoWoS capacity to double in 2025
TSMC 2025년 말까지 CoWoS CAPA 2배 증설 기조를 유지
https://www.digitimes.com/news/a20250430PD220.html
TSMC 2025년 말까지 CoWoS CAPA 2배 증설 기조를 유지
https://www.digitimes.com/news/a20250430PD220.html


16.04.202505:59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ASML FY 1Q25 실적발표
실적자료 URL : https://bit.ly/4cD63Va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ASML FY 1Q25 실적발표
실적자료 URL : https://bit.ly/4cD63Va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9.05.202505:38
07.05.202522:25
미국, 국가별 등급에 따른 AI반도체 수출통제 계획 폐기 방침
트럼프 정부가 전임 바이든 정부에서 마련했던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통제 정책을 철회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 상무부 대변인은 바이든 정부 때의 AI 수출통제 정책에 대해 “지나치게 복잡하고 관료적이라 대체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소식통들은 “트럼프 정부는 이달 15일 발효되는 관련 조치를 시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https://www.mk.co.kr/news/world/11310944
트럼프 정부가 전임 바이든 정부에서 마련했던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출통제 정책을 철회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 상무부 대변인은 바이든 정부 때의 AI 수출통제 정책에 대해 “지나치게 복잡하고 관료적이라 대체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소식통들은 “트럼프 정부는 이달 15일 발효되는 관련 조치를 시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https://www.mk.co.kr/news/world/11310944
02.05.202507:23
사티아 나델라: MS에 저장된 코드의 20~30%를 AI가 작성
저커버그: 내년에는 AI가 개발의 절반을 수행할 것이며 비중은 앞으로 더 커질 것
순다르 피차이: 지난해 구글의 새로운 코드 중 25% 이상을 AI가 작성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09/0005485924?date=20250502
저커버그: 내년에는 AI가 개발의 절반을 수행할 것이며 비중은 앞으로 더 커질 것
순다르 피차이: 지난해 구글의 새로운 코드 중 25% 이상을 AI가 작성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09/0005485924?date=20250502


30.04.202507:35
이수페타시스
- 5개년간 연 13% 이상의 매출 성장과 평균 15%의 ROE 유지
- 2029년까지 주주환원율 25-30%(별도기준)까지 확대
- 지배구조 개선 2029년 70% 목표
- 5개년간 연 13% 이상의 매출 성장과 평균 15%의 ROE 유지
- 2029년까지 주주환원율 25-30%(별도기준)까지 확대
- 지배구조 개선 2029년 70% 목표
24.04.202522:26
Alphabet, 2025년 Capex 750억 달러 유지할 것을 강조
- 클라우드 공급은 수요 대비 여전히 빠듯한 상황
- 25년 말에 가까워질수록 상대적으로 더 많은 용량이 배치될 것
- 25년 Capex 가이던스는 750억 달러 유지
- Capex는 납품과 건설 일정 변화로 분기별 변동성 있을 수 있으나 AI 투자는 강하게 유지될 것
- 클라우드 공급은 수요 대비 여전히 빠듯한 상황
- 25년 말에 가까워질수록 상대적으로 더 많은 용량이 배치될 것
- 25년 Capex 가이던스는 750억 달러 유지
- Capex는 납품과 건설 일정 변화로 분기별 변동성 있을 수 있으나 AI 투자는 강하게 유지될 것
16.04.202504:10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반도체 장비업체들이 연 10억 달러 이상의 피해를 입을 수 있음
- Applied Materials, Lam Research, KLA 각각 약 3.5억 달러 손실 예상
- Onto Innovation 같은 중소형 업체들도 수천만 달러 규모의 추가 비용을 부담하게 될 것
- 손실은 매출 감소, 부품 대체 비용, 규제 대응비용 포함
- 현재 업계는 정부와 지속적 협의 진행 중이며, 최종 영향은 관세 구조 확정 이후 명확해질 예정
https://www.reuters.com/technology/us-tariffs-may-cost-chip-equipment-makers-more-than-1-billion-industry-estimates-2025-04-15/
- Applied Materials, Lam Research, KLA 각각 약 3.5억 달러 손실 예상
- Onto Innovation 같은 중소형 업체들도 수천만 달러 규모의 추가 비용을 부담하게 될 것
- 손실은 매출 감소, 부품 대체 비용, 규제 대응비용 포함
- 현재 업계는 정부와 지속적 협의 진행 중이며, 최종 영향은 관세 구조 확정 이후 명확해질 예정
https://www.reuters.com/technology/us-tariffs-may-cost-chip-equipment-makers-more-than-1-billion-industry-estimates-2025-04-15/
08.05.202522:48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대(對)중국 관세를 145%에서 50%대로 낮추는 협상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뉴욕포스트가 보도. 스위스에서 미국과 중국 간의 고위급 통상 회담 예정되어있어 이르면 내주 협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74/0000439446?sid=10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74/0000439446?sid=104
07.05.202508:32
[DS 반도체 이수림] 파크시스템스 1분기 호실적 관련 코멘트
- 2분기 수주가 앞서 인식된 것 아님! 2분기 눈높이 유지
- 대만향 웨이퍼 장비, 북미향 신장비가 주요 원인. 국내향 역시 출고됨
- 분기별 매출 상승 흐름은 유지되나 이전보다는 변동폭이 적을 것으로 추정
- 2분기 수주가 앞서 인식된 것 아님! 2분기 눈높이 유지
- 대만향 웨이퍼 장비, 북미향 신장비가 주요 원인. 국내향 역시 출고됨
- 분기별 매출 상승 흐름은 유지되나 이전보다는 변동폭이 적을 것으로 추정
01.05.202522:50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05/02 테크 주요 뉴스
◆ 메모리 스팟 가격 업데이트: 주요 DRAM 공급업체들이 DDR3/DDR4 생산 종료, 가격 급등 유도
https://bit.ly/3RGdbXg
◆ 삼성전자, 관세 위협 속 프리미엄 제품 판매 및 생산지 변화 고려, 2H 메모리 수요에 대해 신중한 입장
https://bit.ly/3ERRRuZ
◆ TSMC, 트럼프 취임 100일에 美 애리조나 3공장 착공
https://bit.ly/44NMPdt
◆ 인텔, 18A·14A 공정 본격 추진…첨단 패키징도 강화, 26년 애리조나 공장 가동 예정
https://bit.ly/3GvrGef
◆ 애플, 아이폰 판매 호조로 2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 3분기에는 9억 달러 규모의 관세 부담 예상
https://bit.ly/437Cgkh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5/02 테크 주요 뉴스
◆ 메모리 스팟 가격 업데이트: 주요 DRAM 공급업체들이 DDR3/DDR4 생산 종료, 가격 급등 유도
https://bit.ly/3RGdbXg
◆ 삼성전자, 관세 위협 속 프리미엄 제품 판매 및 생산지 변화 고려, 2H 메모리 수요에 대해 신중한 입장
https://bit.ly/3ERRRuZ
◆ TSMC, 트럼프 취임 100일에 美 애리조나 3공장 착공
https://bit.ly/44NMPdt
◆ 인텔, 18A·14A 공정 본격 추진…첨단 패키징도 강화, 26년 애리조나 공장 가동 예정
https://bit.ly/3GvrGef
◆ 애플, 아이폰 판매 호조로 2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 3분기에는 9억 달러 규모의 관세 부담 예상
https://bit.ly/437Cgkh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22.04.202523:12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04/23 테크 주요 뉴스
◆ 아마존 CEO, 데이터 센터 건설을 축소하지 않을 것으로 입장 표명
확장 계획에는 최근 근본적인 변화가 없음
공급망 전반에 걸쳐 AWS의 주문 모멘텀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회사가 AI ASIC 배포를 확장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https://bit.ly/42JEIMD
◆ 삼성전자, 중국 기업과의 경쟁 치열해짐에 따라 4월에 DDR4 생산 중단 루머
https://bit.ly/3YJaPdT
◆ AMD, 미국 AI 서버 조립 공장 매각 루머
https://bit.ly/4lG0Ik0
◆ 화웨이의 AI 칩 Ascend 910C, 미국의 엔비디아 규제 속에서 5월 대량 출하 준비
https://bit.ly/4lG4euz
◆ 인텔, 차세대 그래픽카드에 GDDR7 탑재 전망
https://bit.ly/3S7BgWV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04/23 테크 주요 뉴스
◆ 아마존 CEO, 데이터 센터 건설을 축소하지 않을 것으로 입장 표명
확장 계획에는 최근 근본적인 변화가 없음
공급망 전반에 걸쳐 AWS의 주문 모멘텀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회사가 AI ASIC 배포를 확장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https://bit.ly/42JEIMD
◆ 삼성전자, 중국 기업과의 경쟁 치열해짐에 따라 4월에 DDR4 생산 중단 루머
https://bit.ly/3YJaPdT
◆ AMD, 미국 AI 서버 조립 공장 매각 루머
https://bit.ly/4lG0Ik0
◆ 화웨이의 AI 칩 Ascend 910C, 미국의 엔비디아 규제 속에서 5월 대량 출하 준비
https://bit.ly/4lG4euz
◆ 인텔, 차세대 그래픽카드에 GDDR7 탑재 전망
https://bit.ly/3S7BgWV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15.04.202523:47
추가 코멘트 드립니다.
- H20 집적회로와 관련 제품을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로 수출하기 위해 미 정부의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하며 이 조치는 무기한 적용
- H20 칩 매출은 CY2024 120~150억 달러로 추정
- 분기 손실 55억 달러는 수출 규제로 인한 구매 계약 및 재고 충당금
- FY2025 기준 NVIDIA 지역별 매출비중 상 중국(13%)은 네번째로 큰 시장. 싱가포르 18%, 대만 15% 다음
- H20에는 기존 HBM3 8hi 96GB가 주로 탑재되었고(24년 4분기 삼성전자 공급), 올해 3월 HBM3E 8hi 144GB로 채택하고 SK하이닉스에 공급 요청을 했다는 보도 있었음. 규모와 공급기간 상 HBM 매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파악
- H20 집적회로와 관련 제품을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로 수출하기 위해 미 정부의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하며 이 조치는 무기한 적용
- H20 칩 매출은 CY2024 120~150억 달러로 추정
- 분기 손실 55억 달러는 수출 규제로 인한 구매 계약 및 재고 충당금
- FY2025 기준 NVIDIA 지역별 매출비중 상 중국(13%)은 네번째로 큰 시장. 싱가포르 18%, 대만 15% 다음
- H20에는 기존 HBM3 8hi 96GB가 주로 탑재되었고(24년 4분기 삼성전자 공급), 올해 3월 HBM3E 8hi 144GB로 채택하고 SK하이닉스에 공급 요청을 했다는 보도 있었음. 규모와 공급기간 상 HBM 매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파악
显示 1 - 24 共 212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