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졸브 Ai, $10억 규모 BTC 트레저리 조성] 글로브뉴스와이어에 따르면 인공지능(AI) 기반 커머스 솔루션 업체 리졸브 Ai(Rezolve Ai)가 10억 달러 규모의 BTC 트레저리를 조성한다고 전했다. 테더와 협력해 출시 예정인 암호화폐 결제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초기 1억 달러를 투입한다. https://coinness.com/news/1121211
[분석 "BTC 현물 ETF 유입금 44%만 장기 투자 물량"]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마켓 분석 업체 10x리서치가 보고서를 통해 "BTC 현물 ETF 유입 자금의 44%만이 장기 투자 물량으로 추정된다. BTC 현물 ETF 출시 후 지금까지 390억달러가 순유입됐는데 이중 175억달러만 장기 투자 물량인 셈이다. 나머지 56%는 BTC 선물과 연계된 차익 거래 전략에 활용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블랙록 BTC 현물 ETF(IBIT)의 최대 보유자는 시장 비효율성을 이용, 수익률 스프레드 전략에 특화된 헤지펀드와 트레이딩 회사다. 이들은 현재 시장 내 펀딩비율과 베이시스 스프레드(선물과 현물 가격 차이)가 너무 낮기 때문에 BTC 현물 ETF로의 자금 유입을 중단하고 있고, 기존 포지션을 정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s://coinness.com/news/1121171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ETH 청산 규모: $3639만(롱 $1366만, 숏 $2273만) 청산 비율: 숏 62.47% BTC 청산 규모: $1982만(롱 $1338만, 숏 $643만) 청산 비율: 롱 67.53% SOL 청산 규모: $941만(롱 $870만, 숏 $71만) 청산 비율: 롱 92.46% https://coinness.com/news/1121166
[암호화폐 채굴사 비긴 블록체인, 美 IPO 추진...$5000만 조달 계획]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채굴 장비 제조업체 비긴 블록체인(Bgin Blockchain)이 미국 나스닥 기업공개(IPO)를 추진하며, 약 5000만 달러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서류에 따르면 비긴은 이번 IPO를 통해 클래스A 5954만 주, 클래스B 1569만 주를 발행한다. 구체적인 공모 가격은 알려지지 않았다. 회사는 IPO를 통해 모금된 자금의 일부를 연구개발(R&D) 확장에 사용할 계획이다. 비긴 블록체인은 현재 약 4,020대 이상의 채굴 장비를 운영 중이며, 이 중 3,330대는 미국 네브래스카주와 아이오와주 시설에 위치하고 있다. https://coinness.com/news/1121165
[보안업체 “바이비트 해커, 자금 이동 재개”] 블록체인 보안 업체 비오신(Beosin)이 X를 통해 “오늘 9시 58분(한국시간) 바이비트 해커가 탈취 자금을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해커는 주로 토르체인을 이용해 비트코인 네트워크로 자산을 옮기고 OKX 탈중앙화 거래소(DEX)를 통해 DAI로 스왑했다. 이 DAI는 다시 암호화폐 트랜잭션 믹싱 플랫폼 eXch로 보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https://coinness.com/news/1121164
[위메이드커넥트 상장 추진...위메이드 계열사 자력 상장 1호 될까] 위메이드커넥트가 서브컬처게임 '로스트 소드'의 흥행에 힘입어 코스닥 상장을 다시 추진한다고 MTN이 단독 보도했다. 매체는 “상장에 성공할 경우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플레이에 이어 위메이드 계열 중 4번째 상장사가 된다. 위메이드맥스와 위메이드플레이가 이미 상장된 회사를 인수한 케이스인 것을 감안하면, 위메이드커넥트가 상장에 성공하면 위메이드 계열사 중 첫 번째 자력상장 사례가 된다”고 설명했다. https://coinness.com/news/1121162 기사보기: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5022409373629297
[코인니스 뉴스 제공 시간 안내] 코인니스 실시간 암호화폐 투자 정보는 월요일 아침 7시부터 일요일 0시까지 매일 24시간 제공됩니다. 일요일 0시부터 월요일 아침 7시 사이에는 중대 이슈가 발생할 경우에 한해 투자 정보가 제공됩니다. https://coinness.com/news/1121144
[주기영 "모든 알트코인 오르는 시기는 2021년 끝났다"]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업체 크립토퀀트 CEO 주기영이 X를 통해 "모든 것이 펌핑하던 알트시즌은 2021년 끝났다. 이제는 선택받은 코인만 펌핑한다. 그 어느 때보다 DYOR(Do Your Own Research), 즉 스스로 조사하고 이 분야를 충분히 이해한 후 투자를 결정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https://coinness.com/news/1121141
[바이비트 CEO "해킹 피해액 $100억 시 회사 매각 고려했을 것"]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바이비트 CEO 벤 저우가 "다행히 회사 자산은 15억달러를 훨씬 웃돈다. 30억달러 상당 USDT가 보관돼 있는 콜드월렛도 해킹되지 않았다. 만약 해킹 피해액이 100억달러 이상이었다면 회사 매각을 고려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바이비트는 해킹 공격으로 약 14억 달러 규모 ETH를 탈취당한 바 있다. https://coinness.com/news/1121136
[익명 고래, $1000만 ETH 매수 후 바이비트 입금]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엠버CN이 X를 통해 "익명 주소가 바이비트에서 1000만 USDT를 출금한 뒤 온체인상 3655.6 ETH를 매수, 바이비트로 다시 입금했다. 해킹으로 14억달러 상당 ETH를 탈취 당한 바이비트를 지원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전했다. https://coinness.com/news/1121135
[러시아 대법원, ‘암호화폐=재산’ 분류 추진] 비트코인뉴스가 러시아 국영통신사 타스를 인용해 러시아 대법원이 형사사건에서 암호화폐를 재산으로 취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매체는 “이번 조치는 경찰 등 수사당국이 범죄에 활용된 암호화폐 등을 추적, 압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러시아 대법원은 과거 범죄에 사용된 암호화폐를 범죄 수익으로 볼 수 있다고 판결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https://coinness.com/news/1121123
[바이비트, 출금요청 처리 완료…$195억 상당 자산 보유중] 코인베이스 제품 전략 및 비즈니스 운영 부문 이사인 코너 그로건(Conor Grogan)이 X를 통해 “해킹 피해 이후 바이비트가 막대한 물량의 고객 출금 요청을 처리했음에도 아직 195억 달러 상당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큰 영향은 없었던 셈”이라고 전했다. https://coinness.com/news/1121113
[바이비트 CEO "PI 프로젝트는 사기... 상장 않을 것"]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벤 저우(Ben Zhou)가 X를 통해 "나는 여전히 파이네트워크(PI)가 사기라고 생각한다. 해당 코인을 바이비트에 상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지난 2023년 중국 경찰이 PI를 이용한 사기 행위를 경고한 바 있다. 또한 해당 프로젝트의 합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다수의 보고서도 공개됐었다"며 "바이비트는 PI에 상장 요청한 적 없다. PI가 바이비트 상장을 거부했다거나 바이비트가 PI의 KYB(Know Your Business) 감사를 통과하지 못했다는 주장은 완전히 터무니없는 소리다. 이 프로젝트가 합법적이고 정당하다면 프로젝트 측은 근거 없는 공격 대신 이러한 보도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진실을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coinness.com/news/1120967
[백악관 암호화폐 책임자, 2/5 새벽 디지털 자산 관련 행정부 계획 발표 예정]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및 AI 책임자(크립토 차르) 데이비드 삭스가 한국시간으로 2월 5일 새벽 4시 30분 기자회견을 열어 디지털 자산 분야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위한 행정부의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https://coinness.com/news/1119343
[분석 "ETH, 이번 사이클 내 500% 상승 전망"]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익명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크레더블크립토(CredibleCrypto)가 "이더리움은 이번 사이클 내에 20,000 달러까지 상승해 500% 이상의 상승폭을 보여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지금 수준에서 이더리움 진입은 매우 긍정적이다. 하락한다면 20% 가까이 하락할 수 있으나 향후 몇 달 내에 최대 500%의 상승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더리움은 상승 사이클에서 고점을 돌파한다면 최소 10,000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만약 가격이 2,400 달러 아래로 하락한다면 손절해야한다"고 분석했다. https://coinness.com/news/1118782
[프랭클린템플턴, SOL ETF 증권신고서 제출] 워처구루 X 계정에 따르면 글로벌 자산운용사이자 비트코인 현물 ETF 발행사 프랭클린템플턴(Franklin Templeton)이 SOL ETF에 대한 S-1(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 https://coinness.com/news/1121076
[코스타리카 최대 상업은행, BTC 현물 ETF 출시 계획]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코스타리카 최대 상업은행이자 중앙아메리카 최대 상업은행 중 하나인 국립은행 Banco Nacional(BN)이 비트코인 현물 ETF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BN의 투자 관리 부문을 담당하는 BN Fondos를 통해 해당 상품을 출시한다는 설명이다. 이는 코스타리카 은행 업계가 내놓은 첫 암호화폐 투자 수단이다. BN Fondos 총괄 책임자인 파블로 몬테스 데 오카(Pablo Montes de Oca)는 "코스타리카 법률은 투자 수단이 아닌 것에 대한 투자를 허용하지 않는다. 비트코인은 규제 관점에서 투자 수단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ETF는 투자 수단이다"고 설명했다. 현재로서는 코스타리카 내 공식적인 암호화폐 법률은 없다. https://coinness.com/news/1121065
21.02.202509:19
[미국 래퍼 칸예 웨스트, 밈코인 출시 계획]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미국 래퍼 칸예 웨스트(Kanye West)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밈코인 TRUMP를 모방해 YZY 밈코인을 출시할 계획이다. YZY 토크노믹스에 따르면 YZY 전체 공급량의 70%는 칸예 웨스트 본인에게, 10%는 유동성 공급에, 20%는 투자자에게 할당된다. https://coinness.com/news/1121035
[이더리움 재단, 100 ETH 매도...7일 만] 블록체인 분석업체 스팟온체인이 공식 X를 통해 "이더리움(ETH) 재단이 7일 만에 100 ETH를 307,893 DAI로 스왑(매도)했다. 이더리움 재단은 올해 27일 동안 평단가 3,271 달러에 300 ETH를 매도해 981,200 달러를 현금화했다. 오늘 ETH는 7.33% 하락했다"고 전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5.03% 내린 3,070.2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https://coinness.com/news/1118780 이전 관련 속보: https://coinness.com/news/1118025
[업비트 ‘법인계좌 허용’ 채비… 하나은행과 동맹] 국민일보에 따르면 업비트가 하나은행과 원화 입출금 계좌 제휴를 위한 기술 연동 테스트를 시행하고 있다. 거래 지원 전 단계로, 원화 예치금 이전과 이상 거래 탐지 등이 원활히 이뤄지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업비트가 시중은행인 하나은행과 제휴를 검토하는 건 법인 고객 유치 차원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업비트는 케이뱅크와 제휴를 맺고 원화 입출금을 지원하는데, 현행법상 법인은 인터넷은행에서 계좌를 만들 수 없다. 금융 당국이 이른 시일 내에 법인의 암호화폐 투자 허용과 관련해 확정된 제도를 발표하겠다고 한 만큼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한 관계자는 “양사가 오랜 기간 소통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대세가 변하지 않는 한 업비트가 은행 변경을 추진하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도 “금융 당국이 법인의 암호화폐 계좌 개설 허용에 대해 긍정적인 뉘앙스를 풍기면서 빗썸도 법인 영업사원을 채용 중”이라고 말했다. https://coinness.com/news/1119424 기사보기: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38658722&code=11151100&cp=nv
[비트와이즈 CIO "XRP ETF 투자자 수요 매우 많아"] 암호화폐 자산운용사이자 비트코인 현물 ETF 발행사 비트와이즈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매트 호건이 CNBC 인터뷰에서 "XRP ETF에 대한 투자자 수요가 매우 많다. XRP는 수년에 걸쳐 강력한 커뮤니티를 유지해왔고 중앙화 거래소 내 거래량도 상당하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현재 행정부 하에서 암호화폐에 대해 수용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규제 환경의 변화가 XRP나 SOL 등 알트코인 ETF 승인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https://coinness.com/news/1121037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BTC: $2.01억(롱 $1.95억, 숏 $524만) 청산 비율: 롱 97.4% ETH: $5890만(롱 $5555만, 숏 $336만) 청산 비율: 롱 94.3% SOL: $2451만(롱 $2278만, 숏 $174만) 청산 비율: 롱 92.92% https://coinness.com/news/1118755
[트럼프 당선 이후 스테이블코인 시총 54조원 증가] 코인데스크가 크립토퀀트 데이터를 인용, 지난해 1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이 370억 달러(약 54조원) 증가했다고 전했다. 크립토퀀트는 "스테이블코인 유동성이 증가하면서 BTC를 포함한 암호화폐가 조만간 상승세를 보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https://coinness.com/news/1119152
[바이비트, 출금요청 처리 완료…$195억 상당 자산 보유중] 코인베이스 제품 전략 및 비즈니스 운영 부문 이사인 코너 그로건(Conor Grogan)이 X를 통해 “해킹 피해 이후 바이비트가 막대한 물량의 고객 출금 요청을 처리했음에도 아직 195억 달러 상당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큰 영향은 없었던 셈”이라고 전했다. https://coinness.com/news/1121113
[트럼프 월드리버티파이낸셜, $1000만 규모 ETH 매입] 아캄 데이터에 따르면 트럼프 일가의 디파이 프로젝트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 주소가 카우 프로토콜을 통해 3,247 ETH를 매입했다. 이는 약 1,000만 달러 규모다. WLFI는 현재 총 59,265 ETH(약 1.82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https://coinness.com/news/1118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