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 매크로 정성태
I’m back
TGlist reytingi
0
0
TuriOmmaviy
Tekshirish
TekshirilmaganIshonchnoma
ShubhaliJoylashuv
TilBoshqa
Kanal yaratilgan sanaOct 21, 2020
TGlist-ga qo'shildi
Mar 13, 2025"삼성증권 매크로 정성태" guruhidagi so'nggi postlar
17.04.202523:16
중국측에 협상을 채근하는 발언. 어차피 지금도 관세율이 교역단절 수준까지 올라서… 트럼프가 점차 수세에 몰리는 형세군요. 그렇지만 워낙 volatile하고 unpredictable한 인물이라


17.04.202508:15
트럼프 지지율 하락세!


17.04.202507:20
최악 중 최악을 가정하네요. 흠…
Financial diverce라…
Financial diverce라…


17.04.202506:30
연준은 기준 성장률을 Q4/Q4로 쓰고, 분기는 seasonal adjusted annual rate를 씁니다. 반면 한은은 QoQ(계절조정) 기본인데, 일반인들은 YoY를 기본으로 생각합니다. 반면 BOJ는saar와 yoy를 섞어쓰고, ECB는 qoq를 씁니다.
가끔 이런 관계를 모르고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나름 전문가들도…poll에서 어이없는 숫자를 본 기억도 나네요
가끔 이런 관계를 모르고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나름 전문가들도…poll에서 어이없는 숫자를 본 기억도 나네요


17.04.202505:48
트럼프를 만났지만 가시적인 성과는 없었다네요. 이번 달에 한 번 더 만난다고 합니다.


17.04.202501:08
일종의 세컨더리 보이콧을 검토한다는 이야기네요. 협상장으로 끌어내기 위해서는 뭐든 하겠다는 의미로 보입니다만… 그래도 이건 흠좀무
저도 이런 조치까지 하지 않을까 생각은 했지만…
저도 이런 조치까지 하지 않을까 생각은 했지만…


17.04.202500:08
Betting startup Kalshi에서
관세 인하 시점을
이렇게들 베팅하고 있네요
(재미삼아 찾아봤습니다)
관세 인하 시점을
이렇게들 베팅하고 있네요
(재미삼아 찾아봤습니다)


16.04.202513:44
중국의 미국으로부터 수입을 보면 반도체를 제외하면 다른 곳에서도 구할 수 있죠. 엔비디아 등에 대한 제재 조치는 가장 강력하되, 최후의 수단이 아닐까요? 그 뒤로는 루비콘 강을 건너는 것일테고.


11.04.202500:31
올해 4월 1-10일 조업일수가 지난해에 비해 하루 많았는데, 총선 영향이었습니다. 총선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애매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4월 수출은 -5~+3% 범위에 있을 듯 합니다.




09.04.202513:21
09.04.202512:08
역시…강대강


09.04.202505:25
골드만은 100% 관세로 중국 성장률 -2.4%pts 예상했네요. 이 정도면 중국의 미국 최종수요 의존도의 대부분인데, 기간을 봐야겠네요. 향후 1년이라면 저희랑 크게 차이나지 않을 것 같기는 합니다.


09.04.202503:49
관세율 100%면…


09.04.202503:38
격화되는 미-중 관세 전쟁
104% 관세 충격의 영향; 무역 전쟁의 proxy는 위안화 환율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4월 3일 미국의 34%pts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한 대응 조치로, 4월 4일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동일한 수준의 관세율을 부과했으며, 4월 9일 50%pts의 관세율을 추가했습니다. 4월 7일 중국 정부는 “끝까지 싸울 것’임을 천명했다는 점에서 중국 측의 추가적인 보복 조치가 예상됩니다. 이 경우, 미국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은 최대 104%, 중국의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도 100% 수준까지 상승할 전망입니다.
■ 현재 수준의 관세율 연말까지 지속 시, 중국 성장 -1.5%pts 충격 예상
100%를 넘는 관세율은 사실상 양국 간 교역 관계의 단절을 의미하며, 이는 미국과 중국 양국 모두에게 막대한 경제적 충격을 줄 것입니다. 100% 수준의 관세율이 올해 연말까지 지속될 경우,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사실상 중단되어 팬데믹 수준의 물류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그 결과 올해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1.0~1.5%pts 추가로 높아지게 됩니다. 중국의 경우에도 미국에 대한 수출이 사실상 중단되어 수출은 -15% 내외, 성장률 -1.5%pts 수준의 피해가 예상된다. 저희는 중기적으로 무역 협상 진행에 따른 일정 수준의 관세율 하향 조정을 가정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양국 간 관세 전쟁이 추가로 격화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판단합니다.
중국은 미국에 대한 수출 급감으로 성장률 하방 압력이 높아져, 금리 및 지준율 인하 시점을 앞당기고 폭도 확대할 것입니다. 저희는 1~2개월 내 금리 50bps 및 지준율 100bps 인하를 예상합니다. 아울러, 1조 위안 규모의 추가 특별국채 발행을 통해 소비, 인프라 투자 등 내수진작 정책과 인민은행과 정책금융기관을 동원한 금융시장 안정 조치를 확대할 전망입니다. 아울러, 비관세 보복 조치로 중국 내 미국 기업에 대한 압박 수준을 높일 것으로 보입니다.
■ 관세 전쟁으로 위안화 약세 압력 확대; 위안/달러 연중 고점 7.9로 상향
양국 간 긴장도가 높은 수준에 머물면서, 위안화는 양국의 협상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전까지는 약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과정에서 위안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원화 또한 단기적으로 추가적인 약세 압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트럼프 1기 때와 마찬가지로, 위안화 환율이 양국 간 무역 협상 진전의 proxy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즉, 관세 전쟁 격화 국면에서 위안화는 약세를, 협상이 진전되는 국면에서는 위안화가 강세를 시현할 것이다. 이에 따라, 4월 9일 7.35위안까지 높아진 위안/달러는 단기적으로 약 7.9위안까지 상승한 후, 협상의 개시와 진전 상황에 따라 완만하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만, 미국의 의도가 무역수지 적자 축소뿐만 아니라 중국 견제에 있습니다. 그에 따라 협상 타결 이후에도 중국에 대한 관세율은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수준에 머물고 양국 간 관계도 의미있는 개선이 어려울 것입니다. 그에 따라, 저희는 ’25년말 위안/달러 전망을 기존의 7.4위안에서 7.6위안으로 상향 조정합니다.
104% 관세 충격의 영향; 무역 전쟁의 proxy는 위안화 환율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4월 3일 미국의 34%pts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한 대응 조치로, 4월 4일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동일한 수준의 관세율을 부과했으며, 4월 9일 50%pts의 관세율을 추가했습니다. 4월 7일 중국 정부는 “끝까지 싸울 것’임을 천명했다는 점에서 중국 측의 추가적인 보복 조치가 예상됩니다. 이 경우, 미국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은 최대 104%, 중국의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도 100% 수준까지 상승할 전망입니다.
■ 현재 수준의 관세율 연말까지 지속 시, 중국 성장 -1.5%pts 충격 예상
100%를 넘는 관세율은 사실상 양국 간 교역 관계의 단절을 의미하며, 이는 미국과 중국 양국 모두에게 막대한 경제적 충격을 줄 것입니다. 100% 수준의 관세율이 올해 연말까지 지속될 경우,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사실상 중단되어 팬데믹 수준의 물류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그 결과 올해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1.0~1.5%pts 추가로 높아지게 됩니다. 중국의 경우에도 미국에 대한 수출이 사실상 중단되어 수출은 -15% 내외, 성장률 -1.5%pts 수준의 피해가 예상된다. 저희는 중기적으로 무역 협상 진행에 따른 일정 수준의 관세율 하향 조정을 가정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양국 간 관세 전쟁이 추가로 격화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판단합니다.
중국은 미국에 대한 수출 급감으로 성장률 하방 압력이 높아져, 금리 및 지준율 인하 시점을 앞당기고 폭도 확대할 것입니다. 저희는 1~2개월 내 금리 50bps 및 지준율 100bps 인하를 예상합니다. 아울러, 1조 위안 규모의 추가 특별국채 발행을 통해 소비, 인프라 투자 등 내수진작 정책과 인민은행과 정책금융기관을 동원한 금융시장 안정 조치를 확대할 전망입니다. 아울러, 비관세 보복 조치로 중국 내 미국 기업에 대한 압박 수준을 높일 것으로 보입니다.
■ 관세 전쟁으로 위안화 약세 압력 확대; 위안/달러 연중 고점 7.9로 상향
양국 간 긴장도가 높은 수준에 머물면서, 위안화는 양국의 협상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전까지는 약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과정에서 위안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원화 또한 단기적으로 추가적인 약세 압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트럼프 1기 때와 마찬가지로, 위안화 환율이 양국 간 무역 협상 진전의 proxy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즉, 관세 전쟁 격화 국면에서 위안화는 약세를, 협상이 진전되는 국면에서는 위안화가 강세를 시현할 것이다. 이에 따라, 4월 9일 7.35위안까지 높아진 위안/달러는 단기적으로 약 7.9위안까지 상승한 후, 협상의 개시와 진전 상황에 따라 완만하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만, 미국의 의도가 무역수지 적자 축소뿐만 아니라 중국 견제에 있습니다. 그에 따라 협상 타결 이후에도 중국에 대한 관세율은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수준에 머물고 양국 간 관계도 의미있는 개선이 어려울 것입니다. 그에 따라, 저희는 ’25년말 위안/달러 전망을 기존의 7.4위안에서 7.6위안으로 상향 조정합니다.
08.04.202505:11
트럼프의 관세전쟁을 1930년대 스무트-홀리 관세법과 비교를 종종하는데요…
당시 미국 수입량 급감의 1/4 정도만 관세효과라고 하네요. 공부합시다.
“History doesn’t repeat itself, but it rhymes.”
“1930년 6월 스무트-홀리 관세법이 시행된 후 2년 동안 미국의 수입량은 40% 이상 감소했다. 이러한 무역 붕괴가 관세 자체에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소득 감소나 외국의 보복과 같은 다른 요인 때문인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부분 균형 및 일반 균형 평가에 따르면, 스무트-홀리 관세 자체는 수입을 48% 감소시켰으며(기타 조건이 동일할 경우), 특정 관세와 디플레이션이 결합하여 실질 관세를 더욱 높이고 수입을 추가로 810%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반사실적 시뮬레이션 결과, 관세 효과(즉, 스무트-홀리 관세와 디플레이션의 결합)로 인해 관측된 40%의 수입 감소 중 거의 4분의 1이 설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당시 미국 수입량 급감의 1/4 정도만 관세효과라고 하네요. 공부합시다.
“History doesn’t repeat itself, but it rhymes.”
“1930년 6월 스무트-홀리 관세법이 시행된 후 2년 동안 미국의 수입량은 40% 이상 감소했다. 이러한 무역 붕괴가 관세 자체에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소득 감소나 외국의 보복과 같은 다른 요인 때문인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부분 균형 및 일반 균형 평가에 따르면, 스무트-홀리 관세 자체는 수입을 48% 감소시켰으며(기타 조건이 동일할 경우), 특정 관세와 디플레이션이 결합하여 실질 관세를 더욱 높이고 수입을 추가로 810%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반사실적 시뮬레이션 결과, 관세 효과(즉, 스무트-홀리 관세와 디플레이션의 결합)로 인해 관측된 40%의 수입 감소 중 거의 4분의 1이 설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ekordlar
20.04.202523:59
1.9KObunachilar26.02.202523:59
0Iqtiboslar indeksi07.04.202519:52
6.6KBitta post qamrovi18.03.202503:50
1.5KReklama posti qamrovi03.04.202523:59
1.79%ER07.04.202519:52
379.55%ERRKo'proq funksiyalarni ochish uchun tizimga ki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