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Decipher (KR) avatar

Decipher (KR)

Blockchain Research Group bas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SNU)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ічний
Верифікація
Не верифікований
Довіреність
Не надійний
Розташування
МоваІнша
Дата створення каналуКвіт 12, 2024
Додано до TGlist
Вер 09, 2024

Останні публікації в групі "Decipher (KR)"

[25-1 Weekly Session #3]

2025년 1학기 세 번째 세션에서는 @SuperWalk_의 Business & Dev Manager이신 신성헌(@iam_differ)님께서 함께해 주셨습니다.

세션에서는 "어떻게 블록체인에 입문하여 업계에서 성장했는지, 그리고 빌더와 리서처로서의 관점과 방향성"이라는 주제로, 블록체인 업계에서의 경험과 통찰을 공유해 주셨습니다.


[ENG]

In the third session of 2025-1, Shin Seong-heon(@iam_differ), Business & Dev Manager at @SuperWalk_, joined us.

The session, themed "How I entered blockchain, grew in the industry, and perspectives as a builder and researcher," shared valuable experiences and insights from the blockchain field.
📚 디사이퍼 신간 증정 이벤트! 『비트코인만 알고 블록체인은 모르는 당신에게』 📚

서울대학교 블록체인 학회 디사이퍼가
2년간 준비한 블록체인 필독서가 출간됩니다!

💎예약 구매 링크: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5763637

💎구글폼 : https://forms.gle/sm5S4Gk3APg4L17a7

도서담 트위터에서 서평단 이벤트에 참여해주세요 (참여채널: 디사이퍼 텔레그램 기입)

디사이퍼 텔레그램 팔로워 중 총 5명에게 도서를 증정합니다

이벤트 기간: 2025년 3월 21일(목) 오후 6시 ~ 3월 28일(금) 자정
[디사이퍼 리캡] 온체인 데이터 101
by 안수빈, 김동혁

블록체인의 탈중앙성과 투명성을 위해서는 적절한 온체인 데이터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온체인 데이터는 시장파악, 가격발견, 리스크 관리와 거버넌스를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적절한 분석과 시각화 기술이 필요합니다. 디사이퍼는 2023년 4월 온체인 데이터의 중요성, 분석 방법과 관련 서비스 및 한계를 심도있게 분석한 아티클을 게재한 바 있습니다.

아티클 전문
<2025년 DE-FERENCE 신청 안내>

서울대학교 블록체인 학회 디사이퍼(Decipher)가 주최하는 제8회 DE-FERENCE 2025에 초대합니다!
DE-FERENCE는 디사이퍼가 2018년부터 매년 개최해온 컨퍼런스로, 학회원들과 블록체인 업계의 빌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업계에 대해 함께 논의하고 네트워킹을 하는 행사입니다.

이번 DE-FERENCE는 “Towards a Seamless Future”라는 주제로, 블록체인 기술의 현 주소와 미래의 방향을 다룹니다.
- Part 1: A Leap into Reality
- Part 2: Beyond the Trade-Off
- Part 3: Your Data, Your Decision

위 내용에 맞게 구성된 디사이퍼 학회원들의 리서치 세션, 블록체인 업계 연사분들의 키노트 스피치와 패널 디스커션으로 디사이퍼의 미션인 “기술 개발과 가치 연구를 통해 블록체인 산업의 건전한 성장에 기여한다”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오프라인 참가]
- 신청 주소: https://lu.ma/deference-2025
- 오프라인 참가자분들에게는 DE-FERENCE 참석 기념 POAP를 발급해드립니다.
[온라인 시청]
- 시청 주소: https://www.youtube.com/live/OgBq8PG0Xmk
[일정 및 장소]
- 일정: 2025년 2월 15일 토요일 10:30 ~ 18:00
- 장소 : 드림플러스 강남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알고 싶으신 분, 기술에 대해 깊게 논의하고 싶으신 분, 기술이 나아갈 미래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싶으신 분까지, 이 기술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누구든 환영합니다.
그럼, DE-FERENCE에서 뵙겠습니다!

Title Sponsor/ Solana Foundation + Superteam KR, Initia, Sui
Partner Sponsor/ DeSpread, Hashed, Xangle, B-Harvast, Four Pillars, Radius, Chainlink, Dreamplus
[24-2 Weekly Session #11]

2024년 2학기 열한 번째 연사 세션에서는 SuperWalk의 Biz Dev Manager이신 @iam_differ 님께서 함께해 주셨습니다.

세션에서는 "Web3 Gateaway dApp for Non-crypto users"라는 주제로 슈퍼워크를 소개하고, WEB2/WEB3 유저를 동시에 타겟팅한 슈퍼워크만의 노하우와 앞으로의 비전에 대해 설명해 주셨습니다.
< 서울대 블록체인 학회 디사이퍼(Decipher)에서 2025년 14기 멤버를 모집합니다! 🚀 >

지원서 링크 : bit.ly/decipher-14th

지원하시기 전에 디사이퍼 미디엄의 14기 리크루팅 안내글을 "반드시" 정독해주세요 😀

미디엄 링크 : url.kr/pb487c

[ 지원 대상 ]
디사이퍼는 소속, 전공, 나이와 무관하게 블록체인에 대한 진실된 자세로 학회 활동에 열정을 쏟을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지원 가능합니다.
신입 학회원의 경우 1년간 필수로 참여하여야 하는 활동들이 많으므로 학회 활동에 빠짐없이 참여할 수 있고, 많은 시간을 할애하실 수 있는 분들을 모집합니다.

[ 지원 기한 ]
2025년 2월 16일(일) 23:59 까지

[ 지원 방법 ]
구글폼 링크(bit.ly/decipher-14th)를 통해 지원합니다. 잘못된 정보 혹은 허위 사실 기재로 인한 불이익은 지원자에게 있습니다.

지원 전 디사이퍼 미디엄 14기 리크루팅 공지글을 반드시 정독 부탁드립니다.

[ 리크루팅 일정 ]
・ 2월 6일(목) ~ 2월 16일(일) 23시 59분 : 서류 접수
・ 2월 19일(수) : 서류 합격자 발표 (합격자에 한해 메일 전송)
・ 2월 22일(토) ~ 23일(일) : 서울대학교 대면 면접 (서류 합격자 대상)
・ 2월 25일(화) : 최종합격자 발표 (추후 일정 변동 가능)

[ 디사이퍼 주요 활동 ]
・ 주 1회 정규 세션 (매주)
・ 서울대학교 블록체인의 실무응용 1 강의 수강
・ 신입 학회원 교육 세션
・ 주 1회의 팀별 주제 연구
・ 컨퍼런스(DE-FERENCE) 개최 및 발표

[ 문의 ]
recruit@decipher.ac
What is a node?
by Manbull, 이자흔 of Decipher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노드는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검증하며 네트워크의 무결성과 투명성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풀 노드, 라이트 노드, 밸리데이터 노드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각각 네트워크 내에서 고유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최근에는 노드가 커뮤니티 빌딩과 초기 자금 확보 수단으로도 활용되며, Aptos와 Celestia 같은 프로젝트는 높은 보상으로 생태계 확장에 성공했습니다.

노드 판매는 ICO/IDO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신뢰 기반의 기술적 활용과 초기 생태계 구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본 아티클에서는 블록체인 노드의 개념, 운영 방식, 그리고 변화하는 생태계 트렌드에 대해 다룹니다.

아티클 전문
트위터 요약
Web3 Go-To-Community
by 이재학 of Decipher

Web3 환경에서 기존 Go-To-Market(GTM) 전략의 한계를 넘어, 커뮤니티 중심의 Go-To-Community(GTC) 전략이 점차 주목받고 있습니다. GTC는 단순히 커뮤니티를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는 것을 넘어, 조직 의사결정의 핵심으로 삼아 사용자와의 신뢰를 구축하고 상호작용을 극대화하는 접근 방식을 제안합니다. Figma와 같은 Web2 사례는 물론, Pump.funCookie.fun 과 같은 Web3 사례는 커뮤니티 기반의 전략이 어떻게 프로젝트의 성공과 지속 가능성을 강화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또한, Web3 소셜 그래프 부재로 인해 타겟팅과 마케팅 최적화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Lens와 같은 탈중앙화 소셜 그래프 솔루션은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본 아티클에서는 GTC 전략의 개념과 Web3 환경에서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주요 사례와 소셜 그래프의 역할을 조명하고자 합니다.

아티클 전문
트위터 요약
[24-2 Weekly Session #9]

2024년 2학기 아홉 번째 연사 세션에서는 Riverbank의 co-founder이신 @0xboosik 님께서 함께해 주셨습니다.

세션에서는 "Build on @base"라는 주제로 베이스 생태계와 베이스에 빌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해 주셨습니다.
[24-2 Weekly Session #8]

2024년 2학기 여덟 번째 연사 세션에서는 @SuperblockKR의 CEO이신 @overnance님께서 함께해 주셨습니다.

세션에서는 "Deciphering the Past, My Blockchain Journey"라는 주제로 디사이퍼의 역사와 발전 과정, 슈퍼블록과 오버(Over)의 이야기를 나눠주셨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의 가치는 어디에서 오는가
by 김채린, 김혜수 of Decipher

이 글은 스테이블코인이 블록체인과 전통 금융 시스템을 연결하며 금융 생태계에 가져오는 혁신을 다룹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에 연동된 안정성을 통해 가상자산의 변동성을 해결하며, 특히 국제 송금, 결제, 자산 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현재 시장 규모는 약 1,742억 달러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Visa와 PayPal 같은 기업들은 이를 통합하여 결제 방식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 담보형, 가상자산 담보형 등 다양한 모델로 운영되며, 주요 사례로 USDT, USDC, DAI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국경 간 결제, Web2 애플리케이션 결제 시스템, De-Fi 및 Ce-Fi 활용 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은 낮은 비용과 투명성을 바탕으로 금융 생태계를 혁신하며, 글로벌 금융의 중심으로 자리 잡을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1. 스테이블 코인 설명 및 현재 시장 규모
2.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와 비즈니스 모델
3. 스테이블 코인 활용 사례
4. 스테이블 코인의 앞으로의 전망

아티클 전문 (상) / 아티클 전문 (하)
트위터 요약
[24-2 Weekly Session #7]

2024년 2학기 일곱 번째 연사 세션에서는 @hashed_official의 Data Lead이신 @subinium님께서 함께해 주셨습니다.

세션에서는 "온체인 데이터 분석과 활용 방안"이라는 주제로 온체인 데이터들을 분석하는 방법과 메인넷별 데이터의 차이 등에 대해 나눠주셨습니다.
[디사이퍼 리캡] Runes: a new paradigm for sh*t coins on Bitcoin
by Vladislav Lenskii of Decipher

최근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Runes 프로토콜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효율적으로 대체 가능한 토큰을 발행할 수 있는 새로운 표준을 제시합니다. 기존의 BRC-20 표준이 여러 비효율성을 드러낸 반면, Runes는 비트코인의 UTXO 모델을 활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합니다. 디사이퍼는 지난 5월에 Runes 프로토콜의 기술적 측면과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한 아티클을 게재한 바 있습니다.

아티클 전문
밈코인 슈퍼사이클이 온다?
by 강나현, 이진태 of Decipher

밈코인은 어텐션 이코노미에 최적화된 구조와 직관적인 특성으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공정한 분배 모델과 낮은 시가총액 대비 높은 유통량 비율도 매력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밈코인의 빠른 성장으로 인해 오랜 시간 개발된 프로젝트가 주목받지 못하고, 빌더들의 동기를 저하시키는 문제도 발생합니다. 또한, 공정한 분배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초기 분배가 불공정한 경우도 많습니다. 이 아티클은 밈코인이 가진 가능성과 문제점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생태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1.밈코인 슈퍼 사이클이 온다?
2.밈코인 슈퍼 사이클이 불가피한 이유.
3.밈코인의 명과 암.
4.밈코인 슈퍼사이클을 막아라.

아티클 전문
트위터 요약

Рекорди

25.03.202523:59
953Підписників
28.06.202423:59
0Індекс цитування
07.01.202516:41
2.5KОхоплення 1 допису
31.01.202516:41
2.5KОхоп рекл. допису
12.04.202523:59
6.90%ER
07.01.202516:41
268.73%ERR

Популярні публікації Decipher (KR)

[25-1 Weekly Session #3]

2025년 1학기 세 번째 세션에서는 @SuperWalk_의 Business & Dev Manager이신 신성헌(@iam_differ)님께서 함께해 주셨습니다.

세션에서는 "어떻게 블록체인에 입문하여 업계에서 성장했는지, 그리고 빌더와 리서처로서의 관점과 방향성"이라는 주제로, 블록체인 업계에서의 경험과 통찰을 공유해 주셨습니다.


[ENG]

In the third session of 2025-1, Shin Seong-heon(@iam_differ), Business & Dev Manager at @SuperWalk_, joined us.

The session, themed "How I entered blockchain, grew in the industry, and perspectives as a builder and researcher," shared valuable experiences and insights from the blockchain field.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