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2.202512:29
📮[메리츠 화장품/생활소비재 박종대]
▶ 한국콜마 4Q24 Re: 견조한 국내, 북미 사업 모멘텀 기대
1. 연결 매출 5,905억원(YoY 7.0%), OP 368억원(YoY -1.4%, OPM 6.2%(YoY -0.6%p))
1) 국내 별도: 매출 YoY 13%, 영업이익 181억원(YoY -2%, OPM 7.5%)
- 선케어 매출 YoY 187% 증가, 비수기 불구 수출 브랜드 중심 선케어 매출 확대(선케어 매출 비중 25%, 약 3천억원)
- 글로벌 브랜드 직수출 증가(직수출 비중 5% → 7%, * 간접수출(국내 브랜드사 수출) 비중 50% 추정)
- 판관비: 인센티브 60억원(기존 예상 35억원), 충당금 18억원(고객 클레임 관련) → 예상보다 43억원 증가
2) 무석(중국): 매출 299억원(YoY -8%), 영업이익 -15억원(YoY 적자전환)
- 경기 둔화에 따른 고객사 주문 감소
- 카테고리별 매출 비중: 선케어 5%, 스킨케어 21%, 메이크업 72%
3) PTP(미국) 매출 200억원(YoY 76%), 영업이익 12억원(YoY 흑자전환)
- 1공장 33억원, 연간 38억원 흑자 기록
- 2공장 3월 말 완공, 기존 로컬 고객+한국/캐나다/프랑스 고객사 On-Shore 생산 논의중
4) CSR(캐나다) 매출 87억원(YoY -5%), 영업이익 -21억원(YoY 적자지속)
- 글로벌 고객사 주문 감소 영향
5) 기타 계열사
- 연우: 매출 615억원(YoY Flat), 영업이익 -10억원(YoY 적자전환), 사업구조 개선 중
- HKN: 매출 YoY 5%, 영업이익 244억원(YoY 13%, OPM 10.3%), 케이캡 처방 504억원(YoY 26%)
ETC(순환기, 당뇨/신장) 합산 매출 946억원(YoY 112%), 고혈압(카나브)/당뇨(직듀오,포시가,시다프비아)판매 효과 지속
6) 영업외손익
- 관계기업처분이익 128억원: 라카 지분 매각 차익
- 종속기업손상차손환입 317억원: 중국법인 실적 개선 영향
- 해외법인 손상차손 205억원(미국 95억원, 캐나다 40억원, 석우캐나다 70억원)
2. 1분기 및 2025년 전망
- 1분기 연결 영업이익 476억원(YoY 47%) 추정
국내 견조한 매출 성장 지속, 중국 YoY 10% 이상, 미국 YoY 100% 이상, 연우 600억원 후반 예상
- 2025년 가이던스: 국내 매출 YoY 15%, 중국 매출 1,500억원 OP 80억원, 미국 연간 BEP
캐나다 매출 400억원 OP -70억원, 연우 매출 2,800억원, OPM 3%, 이노엔 매출 YoY 7%, OPM 10%
3. 투자판단(BUY, 적정주가 7.6/CP 5.8만원)
- 시장 기대치 못미치는 부진한 실적(일회성 비용과 계열사 실적 부진 영향)
- 2025년 국내 견조한 실적 개선과 함께 미국 법인 실적 모멘텀 기대, 중국은 플러스 알파
- 12MF PER 9.7배, 비중 확대 유효
보고서 링크: https://buly.kr/9XKhs4p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한국콜마 4Q24 Re: 견조한 국내, 북미 사업 모멘텀 기대
1. 연결 매출 5,905억원(YoY 7.0%), OP 368억원(YoY -1.4%, OPM 6.2%(YoY -0.6%p))
1) 국내 별도: 매출 YoY 13%, 영업이익 181억원(YoY -2%, OPM 7.5%)
- 선케어 매출 YoY 187% 증가, 비수기 불구 수출 브랜드 중심 선케어 매출 확대(선케어 매출 비중 25%, 약 3천억원)
- 글로벌 브랜드 직수출 증가(직수출 비중 5% → 7%, * 간접수출(국내 브랜드사 수출) 비중 50% 추정)
- 판관비: 인센티브 60억원(기존 예상 35억원), 충당금 18억원(고객 클레임 관련) → 예상보다 43억원 증가
2) 무석(중국): 매출 299억원(YoY -8%), 영업이익 -15억원(YoY 적자전환)
- 경기 둔화에 따른 고객사 주문 감소
- 카테고리별 매출 비중: 선케어 5%, 스킨케어 21%, 메이크업 72%
3) PTP(미국) 매출 200억원(YoY 76%), 영업이익 12억원(YoY 흑자전환)
- 1공장 33억원, 연간 38억원 흑자 기록
- 2공장 3월 말 완공, 기존 로컬 고객+한국/캐나다/프랑스 고객사 On-Shore 생산 논의중
4) CSR(캐나다) 매출 87억원(YoY -5%), 영업이익 -21억원(YoY 적자지속)
- 글로벌 고객사 주문 감소 영향
5) 기타 계열사
- 연우: 매출 615억원(YoY Flat), 영업이익 -10억원(YoY 적자전환), 사업구조 개선 중
- HKN: 매출 YoY 5%, 영업이익 244억원(YoY 13%, OPM 10.3%), 케이캡 처방 504억원(YoY 26%)
ETC(순환기, 당뇨/신장) 합산 매출 946억원(YoY 112%), 고혈압(카나브)/당뇨(직듀오,포시가,시다프비아)판매 효과 지속
6) 영업외손익
- 관계기업처분이익 128억원: 라카 지분 매각 차익
- 종속기업손상차손환입 317억원: 중국법인 실적 개선 영향
- 해외법인 손상차손 205억원(미국 95억원, 캐나다 40억원, 석우캐나다 70억원)
2. 1분기 및 2025년 전망
- 1분기 연결 영업이익 476억원(YoY 47%) 추정
국내 견조한 매출 성장 지속, 중국 YoY 10% 이상, 미국 YoY 100% 이상, 연우 600억원 후반 예상
- 2025년 가이던스: 국내 매출 YoY 15%, 중국 매출 1,500억원 OP 80억원, 미국 연간 BEP
캐나다 매출 400억원 OP -70억원, 연우 매출 2,800억원, OPM 3%, 이노엔 매출 YoY 7%, OPM 10%
3. 투자판단(BUY, 적정주가 7.6/CP 5.8만원)
- 시장 기대치 못미치는 부진한 실적(일회성 비용과 계열사 실적 부진 영향)
- 2025년 국내 견조한 실적 개선과 함께 미국 법인 실적 모멘텀 기대, 중국은 플러스 알파
- 12MF PER 9.7배, 비중 확대 유효
보고서 링크: https://buly.kr/9XKhs4p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4.02.202522:34
📮[메리츠 화장품/생활소비재 박종대]
▶ 코스맥스 4Q24 Re: K-뷰티 글로벌 모멘텀을 그대로 흡수한 실적
1. 연결 매출 5,580억원(YoY 27.8%), OP 398억원(YoY 76.8%), 지배주주순이익 73억원(YoY 53.1%)
1) 국내: 매출 YoY 39.7%, OP 346억원(YoY 97.6%), OPM 10%(YoY +2.9%p)
- 매출 증가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효과, 제품 믹스 개선(기초:색조=5:5, 티르티르 파운데이션 등 고마진 제품 호조)으로 높은 이익률 달성
2) 중국: 매출 YoY 5.1%, 순이익 13억원(YoY -63%)
- 상해: 매출 YoY -14%, 경기 부진 지속, 주요 고객사 매출 역성장
- 광저우: 매출 YoY 43%, 신규 고객사 선전, 잇센JV 연결 효과
3) 미국: 매출 YoY -21.3%, 순손실 147억, 기존 고객사 주문량 감소
- 영업외 50억 일회성 비용(유형자산 폐기손실 및 손상차손 30억원+일회성 노무비 20억원(코로나 정부지원금 조사))
4) 동남아: 매출 YoY 49%, 순이익 11억원(YoY 흑자전환), 로컬 제품 선호도 증가+인근 국가로 수출 물량 증가
- 인도네시아 :매출 YoY 40%, 순이익 -17억원, 법인세 4분기 일시 인식('25년 이후 분기 반영)
- 태국: 매출 YoY 78%, 순이익 28억원(흑전), 연매출 100억원 고객사 출현
2. 1분기 및 2025년 전망
- 1분기 영업이익 451억원(YoY -1%) 추정, 본사 매출 YoY 23%, 중국 매출 YoY -6% 가정
- 2025년 가이던스(매출 YoY): 국내 20%, 광저우10%(잇센JV 20%), 상해 3%, 인도네시아 25%, 태국 50%, 미국 10%
국내: 영업이익률 10%, 미국 분기 BEP 달성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설비 유일, 당분간 독보적 성장 가능, 중국/미국 법인 신규 수주 및 고정비 부담 절감 효과
3. 투자판단(BUY, 적정주가 23만원/CP 15.37만원)
- 시장 기대치 넘어서는 좋은 실적
- 국내/동남아 고성장으로 중국/미국 사업 부진 극복, 중/미 실적은 신규 수주 증가로 2025년 상저하고 회복세 전망
- 12MF PER 13.8배, i) K-뷰티 글로벌 확대 최대 수혜, ii) 글로벌 ODM 사업 확장 독보적 경쟁력, iii) 중국 한한령 해제 및 소비경기 회복시 추가적인 실적 모멘텀 가능
보고서 링크: https://buly.kr/5JMW7Rr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코스맥스 4Q24 Re: K-뷰티 글로벌 모멘텀을 그대로 흡수한 실적
1. 연결 매출 5,580억원(YoY 27.8%), OP 398억원(YoY 76.8%), 지배주주순이익 73억원(YoY 53.1%)
1) 국내: 매출 YoY 39.7%, OP 346억원(YoY 97.6%), OPM 10%(YoY +2.9%p)
- 매출 증가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효과, 제품 믹스 개선(기초:색조=5:5, 티르티르 파운데이션 등 고마진 제품 호조)으로 높은 이익률 달성
2) 중국: 매출 YoY 5.1%, 순이익 13억원(YoY -63%)
- 상해: 매출 YoY -14%, 경기 부진 지속, 주요 고객사 매출 역성장
- 광저우: 매출 YoY 43%, 신규 고객사 선전, 잇센JV 연결 효과
3) 미국: 매출 YoY -21.3%, 순손실 147억, 기존 고객사 주문량 감소
- 영업외 50억 일회성 비용(유형자산 폐기손실 및 손상차손 30억원+일회성 노무비 20억원(코로나 정부지원금 조사))
4) 동남아: 매출 YoY 49%, 순이익 11억원(YoY 흑자전환), 로컬 제품 선호도 증가+인근 국가로 수출 물량 증가
- 인도네시아 :매출 YoY 40%, 순이익 -17억원, 법인세 4분기 일시 인식('25년 이후 분기 반영)
- 태국: 매출 YoY 78%, 순이익 28억원(흑전), 연매출 100억원 고객사 출현
2. 1분기 및 2025년 전망
- 1분기 영업이익 451억원(YoY -1%) 추정, 본사 매출 YoY 23%, 중국 매출 YoY -6% 가정
- 2025년 가이던스(매출 YoY): 국내 20%, 광저우10%(잇센JV 20%), 상해 3%, 인도네시아 25%, 태국 50%, 미국 10%
국내: 영업이익률 10%, 미국 분기 BEP 달성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설비 유일, 당분간 독보적 성장 가능, 중국/미국 법인 신규 수주 및 고정비 부담 절감 효과
3. 투자판단(BUY, 적정주가 23만원/CP 15.37만원)
- 시장 기대치 넘어서는 좋은 실적
- 국내/동남아 고성장으로 중국/미국 사업 부진 극복, 중/미 실적은 신규 수주 증가로 2025년 상저하고 회복세 전망
- 12MF PER 13.8배, i) K-뷰티 글로벌 확대 최대 수혜, ii) 글로벌 ODM 사업 확장 독보적 경쟁력, iii) 중국 한한령 해제 및 소비경기 회복시 추가적인 실적 모멘텀 가능
보고서 링크: https://buly.kr/5JMW7Rr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4.02.202500:53
📮[메리츠증권 조선/기계 배기연]
2025.2.24(월)
데일리 이슈 코멘트
미국의 중국 조선 제재 임박
미국의 중국 조선소에 대한 제재 임박
미국 무역 대표부(USTR,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의 중국 조선소에 대한 제재가 임박. 중국 조선소/선사 관련 선박이 미국 항구에 입항할 경우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침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발표됨. 미국산 선박을 운용하여 수수료를 감면 받는 도피처를 제공하긴 했으나, 의미 없음. 최근 20년간 건조한 선박 중 미국산 비중은 DWT기준 0.2%이기 때문임
미국 자국의 조선업/해운업의 중흥을 도모하기 위해, 미국산 재화를 수출하는 경우 일정 비중만큼을 미국 국적의 선박을 통해 미국 선사가 수출하는 규정을 발표함. 발효 1년차에는 의무 물량이 수출 물량의 1%만큼이며 2년차에는 3%만큼임. 3년차에는 5%로 의무 비중이 상승하는데, 이때 최소 3%만큼은 미국 조선소가 건조한 선박이 수송해야 한다는 규정이 추가됨. 5년차에는 15%로 의무 비중이 상승하며, 최소 5%에 해당하는 물량은 미국 조선소가 건조한 선박이 수송해야 함
중국 선사에 대한 수수료
중국 해운 선사에게는 미국 입항마다 100만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거나, 미국 입항마다 재화 중량 1톤당 1,000달러의 수수료를 부과
중국산 선박에 대한 수수료
중국 조선소가 건조한 선박이 미국 입항시 최대 150만달러의 수수료를 부과. 해당 선박을 보유한 선사의 중국산 선박 보유 비중에 따라 수수료를 차등 적용. 운용하는 선대 중 중국산 비중이 50%이상일 경우 100만달러, 25% ~ 50%미만일 경우 75만달러, 0% 초과 ~ 25% 미만일 경우 50만달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고 있으나, 미국 입항시 비 중국산 선박을 활용하는 편법을 방지하기 위해, 중국산 선박의 운용 비중이 25%이상인 선사들에 대하여 최대 100만달러의 추가 수수료를 부과
중국산 선박을 인도 받을 예정인 선사도 규제 대상
선사가 중국 조선소에게 발주한 비중 또는 24개월 내 인도예정인 수주잔고에서 중국 조선소 비중에 따라 수수료를 차등 적용. 50%이상일 경우 선사에게 미국 입항마다 100만달러의 수수료를 부과, 25% ~ 50%미만일 경우 75만달러, 0% 초과 ~ 25% 미만일 경우 50만달러
자료: https://url.kr/u8e5c8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조선/기계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eritzbae
2025.2.24(월)
데일리 이슈 코멘트
미국의 중국 조선 제재 임박
미국의 중국 조선소에 대한 제재 임박
미국 무역 대표부(USTR,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의 중국 조선소에 대한 제재가 임박. 중국 조선소/선사 관련 선박이 미국 항구에 입항할 경우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침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발표됨. 미국산 선박을 운용하여 수수료를 감면 받는 도피처를 제공하긴 했으나, 의미 없음. 최근 20년간 건조한 선박 중 미국산 비중은 DWT기준 0.2%이기 때문임
미국 자국의 조선업/해운업의 중흥을 도모하기 위해, 미국산 재화를 수출하는 경우 일정 비중만큼을 미국 국적의 선박을 통해 미국 선사가 수출하는 규정을 발표함. 발효 1년차에는 의무 물량이 수출 물량의 1%만큼이며 2년차에는 3%만큼임. 3년차에는 5%로 의무 비중이 상승하는데, 이때 최소 3%만큼은 미국 조선소가 건조한 선박이 수송해야 한다는 규정이 추가됨. 5년차에는 15%로 의무 비중이 상승하며, 최소 5%에 해당하는 물량은 미국 조선소가 건조한 선박이 수송해야 함
중국 선사에 대한 수수료
중국 해운 선사에게는 미국 입항마다 100만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거나, 미국 입항마다 재화 중량 1톤당 1,000달러의 수수료를 부과
중국산 선박에 대한 수수료
중국 조선소가 건조한 선박이 미국 입항시 최대 150만달러의 수수료를 부과. 해당 선박을 보유한 선사의 중국산 선박 보유 비중에 따라 수수료를 차등 적용. 운용하는 선대 중 중국산 비중이 50%이상일 경우 100만달러, 25% ~ 50%미만일 경우 75만달러, 0% 초과 ~ 25% 미만일 경우 50만달러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고 있으나, 미국 입항시 비 중국산 선박을 활용하는 편법을 방지하기 위해, 중국산 선박의 운용 비중이 25%이상인 선사들에 대하여 최대 100만달러의 추가 수수료를 부과
중국산 선박을 인도 받을 예정인 선사도 규제 대상
선사가 중국 조선소에게 발주한 비중 또는 24개월 내 인도예정인 수주잔고에서 중국 조선소 비중에 따라 수수료를 차등 적용. 50%이상일 경우 선사에게 미국 입항마다 100만달러의 수수료를 부과, 25% ~ 50%미만일 경우 75만달러, 0% 초과 ~ 25% 미만일 경우 50만달러
자료: https://url.kr/u8e5c8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조선/기계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eritzbae
23.02.202522:43
📮[메리츠증권 통신/우주/미디어 정지수]
▶ 이노스페이스(462350)
[Buy, TP 30,000원]
4Q24 Review: 이제 관심은 첫 상용 발사로
2025.2.24(월)
(Report) https://tinyurl.com/ypvre9py
- 4Q24 연결 실적은 일부 용역 관련 매출과 영업적자 -135억원(적확 YoY) 기록
- 2025년 2월 기준 수주잔고는 1,620만달러로 상장 시점 대비 359만달러 증가
- 2025년 연결 실적은 매출액 413억원, 영업적자 -218억원(적축 YoY) 전망
- 오는 7월 한빛-나노 발사를 시작으로 2025년 5회, 2026년 12회 발사 달성 계획
- 투자의견 Hold에서 Buy로 상향, 적정주가 34,800원에서 30,000원으로 -13.8% 하향
(Report) https://tinyurl.com/ypvre9py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이노스페이스(462350)
[Buy, TP 30,000원]
4Q24 Review: 이제 관심은 첫 상용 발사로
2025.2.24(월)
(Report) https://tinyurl.com/ypvre9py
- 4Q24 연결 실적은 일부 용역 관련 매출과 영업적자 -135억원(적확 YoY) 기록
- 2025년 2월 기준 수주잔고는 1,620만달러로 상장 시점 대비 359만달러 증가
- 2025년 연결 실적은 매출액 413억원, 영업적자 -218억원(적축 YoY) 전망
- 오는 7월 한빛-나노 발사를 시작으로 2025년 5회, 2026년 12회 발사 달성 계획
- 투자의견 Hold에서 Buy로 상향, 적정주가 34,800원에서 30,000원으로 -13.8% 하향
(Report) https://tinyurl.com/ypvre9py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3.02.202522:40
📮[메리츠증권 음식료/유통 김정욱]
Meritz Weekly Talk/F&Big Data
2025.2.24(월)
보고서링크: https://tinyurl.com/urj5jxcr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Meritz Weekly Talk/F&Big Data
2025.2.24(월)
보고서링크: https://tinyurl.com/urj5jxcr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1.02.202511:57
📮 [메리츠증권 금융 조아해]
DB손해보험 - 4Q24 Review: 단기적 변동성
▶ 4Q24 당기순이익 1,943억원: 컨센서스 하회
- 4Q 당기순이익은 1,943억원 (-25.6% YoY, -57.2% QoQ)으로 컨센서스를 13.0% 하회
- 제도 영향으로 CSM잔액 및 자본비율 모두 부진
[보험손익] -33.8% YoY
- 1) 장기보험 -49.0% YoY
- CSM상각익은 제도 영향에 따른 상각률 하락으로 부진 (-13.8% YoY)
- 예실차 및 기타 또한 보험 청구 증가로 부진 (-1,000억원 YoY)
- 2) 일반보험은 전년 해외손실 1,000억원 기저효과로 흑자전환,
- 3) 자동차보험손익은 요율인하 등으로 부진 (적전 YoY; 손해율 +8%p YoY)
[CSM Movement] CSM 12.2조원 (-7.2% QoQ)
- 신계약 CSM은 질적, 양적 모두 확대되어 양호 (+15.6% QoQ),
- CSM 조정은 무저해지 관련 제도 영향으로 크게 확대 (-1.4조원 QoQ)
[투자손익] +34.1% YoY
- 투자수익률 회복 (FVPL 제외 +0.5%p YoY)으로 양호
[K-ICS비율] 202% (-27%p QoQ)
- 무저해지 관련 제도 영향이 주효 (-16%p)
▶ 안정적인 성장 진행 중
- 투자의견 Buy 유지, 적정주가 130,000원으로 하향
- 동사의 25년 순이익 전망치를 CSM잔액 변동성 및 LA산불 영향을 반영하여 9.8% 하향 조정
- 다만 1) 질적 성장 기반 업종 내 CSM배수가 가장 높아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 2) 1Q25 중 제도적 영향에도 불구 후순위채 8,000억원 발행을 통해 K-ICS비율 개선이 예상되며,
- 3) 현 배당가능이익 수준 고려 시, 중장기 주주환원율 35% 이행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 (25E 배당수익률 7.4% 추정)
자료: https://vo.la/jxFQro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금융 개별 채널 링크
https://t.me/meritz_likecho
DB손해보험 - 4Q24 Review: 단기적 변동성
▶ 4Q24 당기순이익 1,943억원: 컨센서스 하회
- 4Q 당기순이익은 1,943억원 (-25.6% YoY, -57.2% QoQ)으로 컨센서스를 13.0% 하회
- 제도 영향으로 CSM잔액 및 자본비율 모두 부진
[보험손익] -33.8% YoY
- 1) 장기보험 -49.0% YoY
- CSM상각익은 제도 영향에 따른 상각률 하락으로 부진 (-13.8% YoY)
- 예실차 및 기타 또한 보험 청구 증가로 부진 (-1,000억원 YoY)
- 2) 일반보험은 전년 해외손실 1,000억원 기저효과로 흑자전환,
- 3) 자동차보험손익은 요율인하 등으로 부진 (적전 YoY; 손해율 +8%p YoY)
[CSM Movement] CSM 12.2조원 (-7.2% QoQ)
- 신계약 CSM은 질적, 양적 모두 확대되어 양호 (+15.6% QoQ),
- CSM 조정은 무저해지 관련 제도 영향으로 크게 확대 (-1.4조원 QoQ)
[투자손익] +34.1% YoY
- 투자수익률 회복 (FVPL 제외 +0.5%p YoY)으로 양호
[K-ICS비율] 202% (-27%p QoQ)
- 무저해지 관련 제도 영향이 주효 (-16%p)
▶ 안정적인 성장 진행 중
- 투자의견 Buy 유지, 적정주가 130,000원으로 하향
- 동사의 25년 순이익 전망치를 CSM잔액 변동성 및 LA산불 영향을 반영하여 9.8% 하향 조정
- 다만 1) 질적 성장 기반 업종 내 CSM배수가 가장 높아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며,
- 2) 1Q25 중 제도적 영향에도 불구 후순위채 8,000억원 발행을 통해 K-ICS비율 개선이 예상되며,
- 3) 현 배당가능이익 수준 고려 시, 중장기 주주환원율 35% 이행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 (25E 배당수익률 7.4% 추정)
자료: https://vo.la/jxFQro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금융 개별 채널 링크
https://t.me/meritz_likecho
25.02.202508:32
📮 [메리츠증권 음식료/유통 김정욱]
오리온(271560) 1월실적 Comment
보고서링크: https://tinyurl.com/24zarxw8
요약: 25년 1월 국가별 합산 실적은 매출액 3,180억원으로 전년비 1.4% 감소, 영업이익은 568억원으로 전년비 8.5% 감소. 국가별로는 명절 시점 차이로 중국 매출이 11.1% 감소했으며 한국은 거래처 감소와 경쟁 심화 등 영향으로 정체된 반면, 베트남, 러시아 각각 13.0%, 35.6% 성장
중국은 환율 효과를 감안해도, 전년 1월의 높은 기저와 명절 시점 차이에도 우려 대비 매출 감소폭을 방어했으며, 한국은 2월말 이후 가격 인상 효과 본격화 예상. 베트남은 소비 경기 호조 및 신제품 시장 주도, 러시아는 수요 초과 환경 지속으로 고성장 지속 전망
특히 중국은, 명절 시점 차이를 제거한 25년 11~2월 합산 기준 매출액이 전년대비 +5~6%(현지통화 기준)으로 예상되는 점이 긍정적. 1월 발표를 통해 명절 영향 우려가 해소됐으며, 2월 국가별 성과를 통해 가이던스 달성 기대감이 전월비 확대될 전망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오리온(271560) 1월실적 Comment
보고서링크: https://tinyurl.com/24zarxw8
요약: 25년 1월 국가별 합산 실적은 매출액 3,180억원으로 전년비 1.4% 감소, 영업이익은 568억원으로 전년비 8.5% 감소. 국가별로는 명절 시점 차이로 중국 매출이 11.1% 감소했으며 한국은 거래처 감소와 경쟁 심화 등 영향으로 정체된 반면, 베트남, 러시아 각각 13.0%, 35.6% 성장
중국은 환율 효과를 감안해도, 전년 1월의 높은 기저와 명절 시점 차이에도 우려 대비 매출 감소폭을 방어했으며, 한국은 2월말 이후 가격 인상 효과 본격화 예상. 베트남은 소비 경기 호조 및 신제품 시장 주도, 러시아는 수요 초과 환경 지속으로 고성장 지속 전망
특히 중국은, 명절 시점 차이를 제거한 25년 11~2월 합산 기준 매출액이 전년대비 +5~6%(현지통화 기준)으로 예상되는 점이 긍정적. 1월 발표를 통해 명절 영향 우려가 해소됐으며, 2월 국가별 성과를 통해 가이던스 달성 기대감이 전월비 확대될 전망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4.02.202501:07
📮 [메리츠증권 음식료/유통 김정욱]
Loplat 기준 유통 주요 기업별/채널별 방문자 트래픽 전년비 성장률
2025.2.24(월)
보고서링크: https://tinyurl.com/ymccj383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Loplat 기준 유통 주요 기업별/채널별 방문자 트래픽 전년비 성장률
2025.2.24(월)
보고서링크: https://tinyurl.com/ymccj383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3.02.202523:07
📮 [메리츠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2025.2.24
AI 공급과잉 걱정
(자료) https://tinyurl.com/y2w4849h
지난주 금요일 미국에서 AI 인프라 공급과잉 우려가 부각되면서 관련주가 급락했습니다.
특정 IB에서 제기된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인프라 공급과잉 대응 가능성인데요. AI 인프라 산업 전체의 공급과잉인지, 마이크로소프트의 일부 서비스, 일부 지역에 한정된 문제인지는 구분해야할 것으로 생각하구요.
OpenAI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관련, 자체적인 데이터센터 확보 움직임 속 마이크로소프트만의 대응인지도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번주 엔비디아 실적발표가 예정이 되어 있는데, AI 하드웨어 중심의 미국 시장 반등 가능성도 열려있다고 봅니다.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025.2.24
AI 공급과잉 걱정
(자료) https://tinyurl.com/y2w4849h
지난주 금요일 미국에서 AI 인프라 공급과잉 우려가 부각되면서 관련주가 급락했습니다.
특정 IB에서 제기된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인프라 공급과잉 대응 가능성인데요. AI 인프라 산업 전체의 공급과잉인지, 마이크로소프트의 일부 서비스, 일부 지역에 한정된 문제인지는 구분해야할 것으로 생각하구요.
OpenAI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관련, 자체적인 데이터센터 확보 움직임 속 마이크로소프트만의 대응인지도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번주 엔비디아 실적발표가 예정이 되어 있는데, AI 하드웨어 중심의 미국 시장 반등 가능성도 열려있다고 봅니다.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3.02.202522:42
📮[메리츠증권 통신/우주/미디어 정지수]
▶ 컨텍(451760)
[Buy, TP 15,500원]
4Q24 Review: 느리지만 옳은 방향으로
2025.2.24(월)
(Report) https://tinyurl.com/5bhjnk83
- 4Q24 연결 매출액 381억원(+290.2% YoY), 영업적자 -41억원(적축 YoY) 기록
- 별도 매출액 143억원(+132.4% YoY), AP위성 매출액 238억원(+22.5% YoY) 추정
- 2025년 연결 매출액 1,050억원(+52.2% YoY), 영업이익 72억원(흑전 YoY) 전망
- 2H25 미국 안테나 제조 설비 가동에 따른 안테나 수급 개선 및 원가절감 효과 기대
- AP위성 인수를 통한 사업 다각화 및 수직 계열화로 영업력 강화 전망
(Report) https://tinyurl.com/5bhjnk83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컨텍(451760)
[Buy, TP 15,500원]
4Q24 Review: 느리지만 옳은 방향으로
2025.2.24(월)
(Report) https://tinyurl.com/5bhjnk83
- 4Q24 연결 매출액 381억원(+290.2% YoY), 영업적자 -41억원(적축 YoY) 기록
- 별도 매출액 143억원(+132.4% YoY), AP위성 매출액 238억원(+22.5% YoY) 추정
- 2025년 연결 매출액 1,050억원(+52.2% YoY), 영업이익 72억원(흑전 YoY) 전망
- 2H25 미국 안테나 제조 설비 가동에 따른 안테나 수급 개선 및 원가절감 효과 기대
- AP위성 인수를 통한 사업 다각화 및 수직 계열화로 영업력 강화 전망
(Report) https://tinyurl.com/5bhjnk83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3.02.202522:30
📮[메리츠 화장품/생활소비재 박종대]
▶ 코스메카코리아 4Q24 Re: 해외 사업 정상화를 기다리며
1. 매출 1,283억원(YoY 4.6%), 영업이익 133억원(YoY -11.3%)
- 국내: 매출 YoY 19%, 영업이익 YoY 48%, OPM 12.9%
국내 인디브랜드 신제품 대량 수주+글로벌 고객사 수출 확대
상위 5개 고객사 비중 35%, 고객사 포트폴리오 긍정적 변화 중
- 미국(잉글우드랩): 매출 YoY -26%, 영업이익 YoY -53%, OPM 8.8%
상위 고객사 매출 감소 영향 매출 부진, 특정 고객사 편중 현상 해소중
- 중국법인: 매출 YoY -41%, 영업이익 YoY 적자전환, 중국 경기 악화 영향
중국 경기 악화로 수주 감소, 저단가 제품 선호로 소용량 제품 비중 상승 -> 원가율 상승
- 영업외손익: 잉글우드랩코리아 외환이익 반영
2. 1분기 및 2025년 전망
- 1분기 영업이익 130억원(YoY -5%) 추정
국내 양호한 실적 개선 지속 불구, 미국/중국 사업 부진 지속, 전년도 높은 베이스로 올해 상반기 부담
- 2025년 가이던스: 연결 매출 YoY 14~15%, 별도 YoY 15%/잉글우드랩 YoY 10%/중국 YoY 10%
연결 영업이익률 11.1%, 별도 13.5%(청주 임대공장 반영), 잉글우드랩 11~12%, 중국 BEP
3. 투자판단(N/R)
- 기대치 미달하는 부진한 실적
- 국내 사업 견조한 성장 불구, 해외사업 부진 아쉬움
- 12MF PER 10배, 상반기 감익 가능성은 부담이나 실적 부진 주가 선반영, 조정시 매수 유효
보고서 링크: https://buly.kr/8pffGnM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코스메카코리아 4Q24 Re: 해외 사업 정상화를 기다리며
1. 매출 1,283억원(YoY 4.6%), 영업이익 133억원(YoY -11.3%)
- 국내: 매출 YoY 19%, 영업이익 YoY 48%, OPM 12.9%
국내 인디브랜드 신제품 대량 수주+글로벌 고객사 수출 확대
상위 5개 고객사 비중 35%, 고객사 포트폴리오 긍정적 변화 중
- 미국(잉글우드랩): 매출 YoY -26%, 영업이익 YoY -53%, OPM 8.8%
상위 고객사 매출 감소 영향 매출 부진, 특정 고객사 편중 현상 해소중
- 중국법인: 매출 YoY -41%, 영업이익 YoY 적자전환, 중국 경기 악화 영향
중국 경기 악화로 수주 감소, 저단가 제품 선호로 소용량 제품 비중 상승 -> 원가율 상승
- 영업외손익: 잉글우드랩코리아 외환이익 반영
2. 1분기 및 2025년 전망
- 1분기 영업이익 130억원(YoY -5%) 추정
국내 양호한 실적 개선 지속 불구, 미국/중국 사업 부진 지속, 전년도 높은 베이스로 올해 상반기 부담
- 2025년 가이던스: 연결 매출 YoY 14~15%, 별도 YoY 15%/잉글우드랩 YoY 10%/중국 YoY 10%
연결 영업이익률 11.1%, 별도 13.5%(청주 임대공장 반영), 잉글우드랩 11~12%, 중국 BEP
3. 투자판단(N/R)
- 기대치 미달하는 부진한 실적
- 국내 사업 견조한 성장 불구, 해외사업 부진 아쉬움
- 12MF PER 10배, 상반기 감익 가능성은 부담이나 실적 부진 주가 선반영, 조정시 매수 유효
보고서 링크: https://buly.kr/8pffGnM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1.02.202511:55
📮 [메리츠증권 금융 조아해]
현대해상 - 4Q24 Review: 불확실성 지속
▶ 4Q24 당기순손실 157억원: 높은 실적 변동성
- 4Q 당기순손실은 157억원 (적지 YoY, 적전 QoQ)으로 부진
- 보험손익이 적자 기록
- 한편 자본비율이 큰 폭으로 하락
[보험손익] 적지 YoY
- 1) 장기보험손익은 적자폭이 전년동기대비 축소되었으나, 4Q마다 높은 변동성 확인
- CSM상각익은 CSM 감소 (-9.2% YoY) 및 상각률 하락으로 부진 (-8.6% YoY)
- 예실차는 호흡기 질환 관련 손해율 상승으로 적자폭이 확대되 (-806억원 YoY)
- 2) 자동차보험손익은 자동차보험의 요율인하 영향 지속, 손해율 악화 등으로 적자폭이 확대 (-706억원 YoY)
[CSM Movement] CSM 잔액 8.2조원 (-11.5% QoQ)
- 신계약CSM은 배수가 유지됨에 따라 증가세를 시현 (+2.3% QoQ),
- CSM조정은 무저해지 관련 제도 영향으로 크게 확대 (-1.4조원 vs. 3Q24 -0.3조원)
[투자손익] -72.1% YoY
- 유가증권 손익 부진이 주효 (투자이익률 2.49% vs. 4Q23 3.62%)
[K-ICS비율] 156% (-14%p QoQ)
- 후순위채 발행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 금리 하락, 제도 영향 등으로 하락세가 불가피
▶ 안정화 확인이 필요
- 투자의견 Hold 유지 및 적정주가 27,000원으로 하향
- 동사의 25년 순이익 전망치를 CSM잔액 변동성 기반 22% 하향 조정했으며 배당불확실성을 반영
- 1) 안정적인 실적 창출력 확인이 필요한 가운데,
- 2) 후순위채 발행이 올해에도 지속되고 있으나, 제도 영향이 여전히 지속된다는 점에서 K-ICS비율 불확실성이 상존
- 3) 배당가능이익 또한 제한적
자료: https://vo.la/ncMpbn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금융 개별 채널 링크
https://t.me/meritz_likecho
현대해상 - 4Q24 Review: 불확실성 지속
▶ 4Q24 당기순손실 157억원: 높은 실적 변동성
- 4Q 당기순손실은 157억원 (적지 YoY, 적전 QoQ)으로 부진
- 보험손익이 적자 기록
- 한편 자본비율이 큰 폭으로 하락
[보험손익] 적지 YoY
- 1) 장기보험손익은 적자폭이 전년동기대비 축소되었으나, 4Q마다 높은 변동성 확인
- CSM상각익은 CSM 감소 (-9.2% YoY) 및 상각률 하락으로 부진 (-8.6% YoY)
- 예실차는 호흡기 질환 관련 손해율 상승으로 적자폭이 확대되 (-806억원 YoY)
- 2) 자동차보험손익은 자동차보험의 요율인하 영향 지속, 손해율 악화 등으로 적자폭이 확대 (-706억원 YoY)
[CSM Movement] CSM 잔액 8.2조원 (-11.5% QoQ)
- 신계약CSM은 배수가 유지됨에 따라 증가세를 시현 (+2.3% QoQ),
- CSM조정은 무저해지 관련 제도 영향으로 크게 확대 (-1.4조원 vs. 3Q24 -0.3조원)
[투자손익] -72.1% YoY
- 유가증권 손익 부진이 주효 (투자이익률 2.49% vs. 4Q23 3.62%)
[K-ICS비율] 156% (-14%p QoQ)
- 후순위채 발행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 금리 하락, 제도 영향 등으로 하락세가 불가피
▶ 안정화 확인이 필요
- 투자의견 Hold 유지 및 적정주가 27,000원으로 하향
- 동사의 25년 순이익 전망치를 CSM잔액 변동성 기반 22% 하향 조정했으며 배당불확실성을 반영
- 1) 안정적인 실적 창출력 확인이 필요한 가운데,
- 2) 후순위채 발행이 올해에도 지속되고 있으나, 제도 영향이 여전히 지속된다는 점에서 K-ICS비율 불확실성이 상존
- 3) 배당가능이익 또한 제한적
자료: https://vo.la/ncMpbn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금융 개별 채널 링크
https://t.me/meritz_likecho
25.02.202505:19
📮[메리츠증권 채권전략 윤여삼]
Policy Watcher: 한국 금통위(2월): 발톱을 보인 비둘기 2025.2.25(목)
- 우리는 이번 금통위 결과를 ‘비둘기적’이나 ‘2분기 인하와 관련 중립적 색채를 드러낼 수 있다는 부분에 초점
- 성장률 전망 1.5%로 하향 및 만장일치 인하는 비둘기적 외형을 보였으나, 3개월 뒤 포워드 가이던스는 4명이 현수준을 유지하며 중립색채 강화. 한은총재 어려운 경제 여건에도 금리인하의 부작용에 대한 염려 제시
- 5월 인하 전망은 유지하나 3월 중 추경 구체화될 경우 2분기 인하를 의심하는 과정 심화될 것으로 판단. 미국금리 하락 전환 우호적이나 추경 발표 시점에서 주의 필요
(자료) https://tinyurl.com/hmpkspnb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채권전략 개별 텔래그램 링크: https://t.me/bondasset
Policy Watcher: 한국 금통위(2월): 발톱을 보인 비둘기 2025.2.25(목)
- 우리는 이번 금통위 결과를 ‘비둘기적’이나 ‘2분기 인하와 관련 중립적 색채를 드러낼 수 있다는 부분에 초점
- 성장률 전망 1.5%로 하향 및 만장일치 인하는 비둘기적 외형을 보였으나, 3개월 뒤 포워드 가이던스는 4명이 현수준을 유지하며 중립색채 강화. 한은총재 어려운 경제 여건에도 금리인하의 부작용에 대한 염려 제시
- 5월 인하 전망은 유지하나 3월 중 추경 구체화될 경우 2분기 인하를 의심하는 과정 심화될 것으로 판단. 미국금리 하락 전환 우호적이나 추경 발표 시점에서 주의 필요
(자료) https://tinyurl.com/hmpkspnb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채권전략 개별 텔래그램 링크: https://t.me/bondasset


24.02.202500:55
23.02.202522:52
📮[메리츠증권 채권분석 윤여삼]
The Bond Weekly: 비둘기도 발톱은 있다 2025.2.24(월)
-2월 금통위, 비둘기 역시 발톱은 조심해야 한다
-미국 예상보다 빨리 드리우는 경기둔화의 그림자
(자료) https://tinyurl.com/bd292p5w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채권전략 개별 텔래그램 링크: https://t.me/bondasset
The Bond Weekly: 비둘기도 발톱은 있다 2025.2.24(월)
-2월 금통위, 비둘기 역시 발톱은 조심해야 한다
-미국 예상보다 빨리 드리우는 경기둔화의 그림자
(자료) https://tinyurl.com/bd292p5w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채권전략 개별 텔래그램 링크: https://t.me/bondasset
23.02.202522:41
📮[메리츠증권 통신/우주/미디어 정지수]
Meritz 통신서비스 Weekly 2025.2.24(월)
(Report) https://tinyurl.com/33bv9hs7
▶ 2/21 기준 주가수익률:
SK텔레콤 (+3.4% WoW)
KT (+0.5% WoW)
LG유플러스 (-0.5% WoW)
▶ 금주전망:
- 2/26일 통신3사 담합 의혹에 대한 공정위 전원회의 개최 예정. 3/5일 전체회의 이후 최종 제재 방안 확정 전망
- 현지시간 2/26일 달 착륙선에 탑재돼 발사될 노키아의 달표면 통신시스템은 4G 통신 환경을 제공할 예정
- 시장지배적 이통사와 알뜰폰 사업자간 도매대가 협상을 자율적으로 진행하는 시행령 및 고시 개정안 입법 예고
-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카 전환이 가속화되며, 차량관제용 사물인터넷이 올해 1천만 회선을 돌파할 전망
▶ 주요뉴스:
- 최대 5조원대 과징금 결론 코앞…'부처 싸움' 실화 될까(뉴스1)
- 달에서도 사상 첫 '4G 셀룰러 통신' 터지나(초이스경제)
- 알뜰폰 도매대가 협상 자율로…부당 거절 시 신고 반려(이데일리)
- 올해 ‘차량 IoT’ 회선 1000만 돌파 전망… 통신 시장 새 먹거리로 부상(ChosunBiz)
- 초고속인터넷 가입 회선 '2500만' 초읽기⋯5년간 13.6% ↑(아이뉴스24)
- LG유플러스, 뉴스 서비스도 종료…비수익사업 정리 속도(전자신문)
(Report) https://tinyurl.com/33bv9hs7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Meritz 통신서비스 Weekly 2025.2.24(월)
(Report) https://tinyurl.com/33bv9hs7
▶ 2/21 기준 주가수익률:
SK텔레콤 (+3.4% WoW)
KT (+0.5% WoW)
LG유플러스 (-0.5% WoW)
▶ 금주전망:
- 2/26일 통신3사 담합 의혹에 대한 공정위 전원회의 개최 예정. 3/5일 전체회의 이후 최종 제재 방안 확정 전망
- 현지시간 2/26일 달 착륙선에 탑재돼 발사될 노키아의 달표면 통신시스템은 4G 통신 환경을 제공할 예정
- 시장지배적 이통사와 알뜰폰 사업자간 도매대가 협상을 자율적으로 진행하는 시행령 및 고시 개정안 입법 예고
-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카 전환이 가속화되며, 차량관제용 사물인터넷이 올해 1천만 회선을 돌파할 전망
▶ 주요뉴스:
- 최대 5조원대 과징금 결론 코앞…'부처 싸움' 실화 될까(뉴스1)
- 달에서도 사상 첫 '4G 셀룰러 통신' 터지나(초이스경제)
- 알뜰폰 도매대가 협상 자율로…부당 거절 시 신고 반려(이데일리)
- 올해 ‘차량 IoT’ 회선 1000만 돌파 전망… 통신 시장 새 먹거리로 부상(ChosunBiz)
- 초고속인터넷 가입 회선 '2500만' 초읽기⋯5년간 13.6% ↑(아이뉴스24)
- LG유플러스, 뉴스 서비스도 종료…비수익사업 정리 속도(전자신문)
(Report) https://tinyurl.com/33bv9hs7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3.02.202522:29
📮[메리츠 화장품/생활소비재 박종대]
▶ 클리오 4Q24 Re: 또 한번 위기 극복 역사 만들기
1. 매출 783억원(YoY -12.7%), 영업이익 1억원(YoY -99.1%)
- 국내 YoY -14%: H&B -7%, 온라인 -5%, 면세 -27%, 홈쇼핑 -28%
F/W 시즌 신제품 판매 부진
- 해외 YoY -11%: 일본 7%, 미국 -36%, 중국 0%, 동남아 -16%
* 해외 매출 비중 38%
미국 온라인 경쟁심화 but 마케팅 축소, 신규 카테고리 부재 영향
- 브랜드별 YoY: 클리오 -13%, 페리페라 -8%, 구달 -21%, 힐링버드 -13%, 더마토리 31% 인디브랜드 -22%
- GPM 46.3%(YoY -4.8%p): 다양한 유통채널, 브랜드별 기획 세트 구성 다변화
- OPM 0.1%(YoY -12.8%p): 마케팅비 등 고정비 증가 영향
2. 2025년 및 1분기 전망
- 1분기 영업이익 90억원(YoY 5%) 추정
H&B QoQ 20% 이상 회복, S/S 시즌 신제품 호조
* 2025년 가이던스 매출 YoY 15%: 국내 15%, 글로벌 20%
마케팅/지역전략/상품개발 전략 재구축
3. 투자판단(N/R)
- 기대치 크게 미달하는 부진한 실적
- 국내외 신제품 및 채널/카테고리 전략 실패, 2025년 대대적인 개편 효과 주시 필요
- 12MF PER 11.3배, 어닝 쇼크 영향 주가 하락 우려 but 1분기 회복시 주가 반등폭 클 듯, 조정시 매수 유효
보고서 링크: https://buly.kr/2fd8wCg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클리오 4Q24 Re: 또 한번 위기 극복 역사 만들기
1. 매출 783억원(YoY -12.7%), 영업이익 1억원(YoY -99.1%)
- 국내 YoY -14%: H&B -7%, 온라인 -5%, 면세 -27%, 홈쇼핑 -28%
F/W 시즌 신제품 판매 부진
- 해외 YoY -11%: 일본 7%, 미국 -36%, 중국 0%, 동남아 -16%
* 해외 매출 비중 38%
미국 온라인 경쟁심화 but 마케팅 축소, 신규 카테고리 부재 영향
- 브랜드별 YoY: 클리오 -13%, 페리페라 -8%, 구달 -21%, 힐링버드 -13%, 더마토리 31% 인디브랜드 -22%
- GPM 46.3%(YoY -4.8%p): 다양한 유통채널, 브랜드별 기획 세트 구성 다변화
- OPM 0.1%(YoY -12.8%p): 마케팅비 등 고정비 증가 영향
2. 2025년 및 1분기 전망
- 1분기 영업이익 90억원(YoY 5%) 추정
H&B QoQ 20% 이상 회복, S/S 시즌 신제품 호조
* 2025년 가이던스 매출 YoY 15%: 국내 15%, 글로벌 20%
마케팅/지역전략/상품개발 전략 재구축
3. 투자판단(N/R)
- 기대치 크게 미달하는 부진한 실적
- 국내외 신제품 및 채널/카테고리 전략 실패, 2025년 대대적인 개편 효과 주시 필요
- 12MF PER 11.3배, 어닝 쇼크 영향 주가 하락 우려 but 1분기 회복시 주가 반등폭 클 듯, 조정시 매수 유효
보고서 링크: https://buly.kr/2fd8wCg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1.02.202507:48
📮[메리츠증권 이차전지/석유화학 노우호]
2025.02.21 (금)
이차전지 주요 지표 - 소재 수출 데이터 업데이트 드립니다.
Url : https://home.imeritz.com/include/resource/research/WorkFlow/20250221163152726K_02.pdf
(자료: TRASS, 메리츠증권)
노우호 드림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025.02.21 (금)
이차전지 주요 지표 - 소재 수출 데이터 업데이트 드립니다.
Url : https://home.imeritz.com/include/resource/research/WorkFlow/20250221163152726K_02.pdf
(자료: TRASS, 메리츠증권)
노우호 드림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4.02.202523:06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5.2.25(화)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AI Keep Going
- S&P500 동일가중 지수 > S&P500, Non-M7 > M7. 큰 흐름: AI 기술 독점 → AI 확산
- AI의 확산 = AI 사용량 증가. AI H/W + S/W의 동반 상승 구간이 나타날 수 있다고 봄
- 단기 AI 하드웨어 저평가, 2월말-3월초 이벤트 소화하며 AI 하드웨어 중심 미국 시장 반등 기대
https://tinyurl.com/mryerwud
[주식전략 RA 이상현] 오늘의 차트: 모멘텀 약화 시 대안은? 퀄리티 & 고배당
[음식료/유통 RA 황홍진] 칼럼의 재해석: 불안한 커피 가격 상승
https://tinyurl.com/ym6tn5kd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AI Keep Going
- S&P500 동일가중 지수 > S&P500, Non-M7 > M7. 큰 흐름: AI 기술 독점 → AI 확산
- AI의 확산 = AI 사용량 증가. AI H/W + S/W의 동반 상승 구간이 나타날 수 있다고 봄
- 단기 AI 하드웨어 저평가, 2월말-3월초 이벤트 소화하며 AI 하드웨어 중심 미국 시장 반등 기대
https://tinyurl.com/mryerwud
[주식전략 RA 이상현] 오늘의 차트: 모멘텀 약화 시 대안은? 퀄리티 & 고배당
[음식료/유통 RA 황홍진] 칼럼의 재해석: 불안한 커피 가격 상승
https://tinyurl.com/ym6tn5kd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링크 : https://t.me/Meritz_strategy
24.02.202500:55
📮 [메리츠증권 금융 조아해]
온도차가 극명한 보험
▶ 예상된 실적 변동성
- 4Q24 실적 변동성이 높을 거라는 건 예상했던 결과
- 보험업권 공통적으로 1) 무저해지 보험 계리적 가정변경 영향 (CSM조정 (-) 확대 및 K-ICS비율 하락 영향, 상각률 영향도 존재),
- 2) 병원 청구 증가에 따른 예실차 (-) 확대가 발생
- 이 외 유배당 연금 관련 손실계약부담비용 (삼성생명 3,000억원; 2025년에도 영향 지속 예상) 등 발생
- 2025년에도 제도 관련 변동성은 지속될 예정
- 1) 1Q25 중 손해율 연령군단 구분 (경험통계가 충분하고, 연령 구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존재하는 담보에 대해 손해율을 연령 구분하여 산출),
- 2) 할인율 현실화 연착륙 영향 (K-ICS비율 하락; ex. 관련 영향 DB손해보험 -4%p, 현대해상 -13%p, 한화생명 -9%p 언급) 등 존재
- 다만 1)의 경우 일부 보험사들이 4Q24 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 영향이 적을 수 있음을 언급
- 아직 산출 중이므로 추후 확인 필요
▶ 질적인 성장의 중요성 부각
- 4Q24 중 제도 영향 (= CSM 조정폭 (-)확대)으로 CSM잔액 변동성도 높았음 (커버리지 합산 제도 영향 CSM조정 -2.64조원; 기초CSM잔액대비 4.5%)
- 다만 해당 영향을 제거해볼 시, 2024년 연간 신계약 CSM과 CSM조정 간의 차이가 전년대비 4.9% 축소
- 구체적으로 1) 신계약CSM은 과열 경쟁에 의한 배수 하락으로 역성장하였으며 (판매량 +16.0% vs. 배수 -2배: 신계약CSM -3.1% YoY),
- 2) CSM조정은 해지 등으로 인해 전년대비 1.5% (-) 확대
- 일례로 커버리지 보험사 중 현대해상와 한화생명은 CSM잔액 증가가 나타나고 있지 않음
- 궁극적으로 보험업계의 질적인 성장이 요구되는 상황
- 앞선 계리적 가정 관련 제도 변화가 지속되고 있는 근본적인 원인도 과열 경쟁에 의한 것
- 1) 적절한 신계약CSM 성장과 2) 질적인 계약관리를 통한 CSM조정 축소 기반 CSM잔액 증가율이 지속되는 보험사만이 실적은 물론, 주주환원정책도 지속될 수 있을 것
▶ 일부 보험사에게 크게 집중된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 기대감
- 자사주 제도개선방안의 후속조치인 자본시장법 시행령 및 규정 개정안이 전년말 시행
- 이를 계기로 보험사의 주주환원정책이 구체화되기 시작
- 물론 삼성금융계열사와 DB손해보험 등 자본력이 충분한 일부 보험사들만이 주주환원정책 이행 가능
- 참고로 삼성생명의 경우 4Q24 중 K-ICS비율이 180% 초중반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나,
- 동사는 150% 이상에서는 주주환원율 목표 50% 이행은 가능하다고 언급
-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러 제도적 변화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이 중요한 현 국면에서 초과 자본량 보유 여부가 핵심인 상황
- 삼성화재 최선호주 유지
- 배당가능이익 확보에 가장 안정적인 구조라는 사실은 변함없음
- 1) 4월 중 보유 자사주 소각이 추진될 예정 (4년 균등소각 가정 시 보통주 136만주, 우선주 9만주),
- 2) 초과 자본 기대감 또한 유효한 것으로 판단 (약 4조원)
- 중장기적으로 자본 우위 활용 계획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자료: https://vo.la/MpQGdL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금융 개별 채널 링크
https://t.me/meritz_likecho
온도차가 극명한 보험
▶ 예상된 실적 변동성
- 4Q24 실적 변동성이 높을 거라는 건 예상했던 결과
- 보험업권 공통적으로 1) 무저해지 보험 계리적 가정변경 영향 (CSM조정 (-) 확대 및 K-ICS비율 하락 영향, 상각률 영향도 존재),
- 2) 병원 청구 증가에 따른 예실차 (-) 확대가 발생
- 이 외 유배당 연금 관련 손실계약부담비용 (삼성생명 3,000억원; 2025년에도 영향 지속 예상) 등 발생
- 2025년에도 제도 관련 변동성은 지속될 예정
- 1) 1Q25 중 손해율 연령군단 구분 (경험통계가 충분하고, 연령 구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존재하는 담보에 대해 손해율을 연령 구분하여 산출),
- 2) 할인율 현실화 연착륙 영향 (K-ICS비율 하락; ex. 관련 영향 DB손해보험 -4%p, 현대해상 -13%p, 한화생명 -9%p 언급) 등 존재
- 다만 1)의 경우 일부 보험사들이 4Q24 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 영향이 적을 수 있음을 언급
- 아직 산출 중이므로 추후 확인 필요
▶ 질적인 성장의 중요성 부각
- 4Q24 중 제도 영향 (= CSM 조정폭 (-)확대)으로 CSM잔액 변동성도 높았음 (커버리지 합산 제도 영향 CSM조정 -2.64조원; 기초CSM잔액대비 4.5%)
- 다만 해당 영향을 제거해볼 시, 2024년 연간 신계약 CSM과 CSM조정 간의 차이가 전년대비 4.9% 축소
- 구체적으로 1) 신계약CSM은 과열 경쟁에 의한 배수 하락으로 역성장하였으며 (판매량 +16.0% vs. 배수 -2배: 신계약CSM -3.1% YoY),
- 2) CSM조정은 해지 등으로 인해 전년대비 1.5% (-) 확대
- 일례로 커버리지 보험사 중 현대해상와 한화생명은 CSM잔액 증가가 나타나고 있지 않음
- 궁극적으로 보험업계의 질적인 성장이 요구되는 상황
- 앞선 계리적 가정 관련 제도 변화가 지속되고 있는 근본적인 원인도 과열 경쟁에 의한 것
- 1) 적절한 신계약CSM 성장과 2) 질적인 계약관리를 통한 CSM조정 축소 기반 CSM잔액 증가율이 지속되는 보험사만이 실적은 물론, 주주환원정책도 지속될 수 있을 것
▶ 일부 보험사에게 크게 집중된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 기대감
- 자사주 제도개선방안의 후속조치인 자본시장법 시행령 및 규정 개정안이 전년말 시행
- 이를 계기로 보험사의 주주환원정책이 구체화되기 시작
- 물론 삼성금융계열사와 DB손해보험 등 자본력이 충분한 일부 보험사들만이 주주환원정책 이행 가능
- 참고로 삼성생명의 경우 4Q24 중 K-ICS비율이 180% 초중반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나,
- 동사는 150% 이상에서는 주주환원율 목표 50% 이행은 가능하다고 언급
-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러 제도적 변화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이 중요한 현 국면에서 초과 자본량 보유 여부가 핵심인 상황
- 삼성화재 최선호주 유지
- 배당가능이익 확보에 가장 안정적인 구조라는 사실은 변함없음
- 1) 4월 중 보유 자사주 소각이 추진될 예정 (4년 균등소각 가정 시 보통주 136만주, 우선주 9만주),
- 2) 초과 자본 기대감 또한 유효한 것으로 판단 (약 4조원)
- 중장기적으로 자본 우위 활용 계획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자료: https://vo.la/MpQGdL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메리츠 금융 개별 채널 링크
https://t.me/meritz_likecho


23.02.202522:52
23.02.202522:41
📮[메리츠증권 음식료/유통 김정욱]
TMAP 기준(일요일 오후 3~4시) 주요 백화점 점포별 이동 차량 트래픽 추이
2025.2.24(월)
보고서링크: https://tinyurl.com/yc6pdz55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TMAP 기준(일요일 오후 3~4시) 주요 백화점 점포별 이동 차량 트래픽 추이
2025.2.24(월)
보고서링크: https://tinyurl.com/yc6pdz55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3.02.202522:29
📮[메리츠 화장품/생활소비재 박종대]
Weekly Cosmetics Letter: 한한령 해제가 실제 실적으로 이어지기 위한 조건들 (25.02.24)
▶주가 분석과 투자전략
1.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현실화 될 수 있을까?
- 한한령 해제 기대감으로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을 중심으로 주가 상승
- 향후 한한령 해제에 따른 화장품 업종 중국 모멘텀을 기대하기 위해서 살펴봐야 할 세 가지
- 첫째, 중국 내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인지도: 중립적
- 둘째, 중국 소비경기 회복 가능성: 수출 지표, 각종 행사 등 긍정적
- 셋째, 개별 업체들의 실적 모멘텀 가능 여부
- 결론적으로 중국 화장품 소비경기는 바닥을 지나고 있고, 개별 업체들은 실적 턴어라운드 준비를 마침
- 중국 비중 높은 대표 업체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코스맥스, 애경산업에 플러스 알파로 작용
2. 실리콘투 1,440억원 RCPS 발행: 회사의 성장성 신뢰 제고+조달 비용 절감
- 3자배정 유상증자 형태로 글랜우드크레딧으로부터 1,440억원 투자 유치 공시
- 주식수 6.72% 증가는 주주가치 희석 요인이지만, 주가에는 긍정적
- 채무 상환 이후 연간 이자비용 20억원 수준 절감, EPS 기여분 1.5%
- 핵심은 실리콘투의 성장성에 대한 신뢰성 제고
- 성공적인 트랙레코드와 네임밸류를 가진 대형 투자사로부터 우호적인 조건의 투자 유치
3. 4분기 실적발표 단상: 한국콜마/클리오/코스메카코리아
i) 한국콜마 실적: 매출/영업이익 모두 기대치 미달, 정확한 내용은 25일(화) 컨퍼런스콜 이후 공개
- 감익은 한국콜마 인센티브, 연우/HK이노엔 실적 부진 영향, 매출 측면 국내 업황과 동일한 흐름
ii) 코스메카코리아, 클리오는 모두 시장 기대치 크게 미달, 저조한 매출에 따른 고정비 부담
- 코스메카코리아는 미국/중국법인 매출 감소 영향, 국내 사업은 높은 성장세 지속
- 중국 사업은 경기 부진 영향, 미국 사업은 로컬 브랜드 위축 영향, 연결 기준 당분간 감익 가능성
iii) 클리오는 국내/미국 사업 매출 감소가 어닝쇼크 주 요인
- 4분기 올리브영 신제품 성과 대단히 부진, H&B 매출 YoY 7% 감소
- 미국 마케팅 축소, 신규 카테고리 진입 없었음. 전략적 실책
- 일본 사업 매출 회복, 유럽 등 기타 지역 매출 신장은 고무적
* 2025년 전망: 또 한번의 위기 극복 역사 만들기
- 해외 신규 지역 확대: 북미 지역 만회, 유럽/중동 지역 진출 계획 구체적
- 손익 개선: 주요 브랜드 핵심 품목에 선택과 집중, 마케팅 효율 제고, SCM 총괄 외부 영입
- 상품 개발 역량 제고: 상품 재점검 및 전략적 전환, 조직 개편
- 2025년 가이던스 연결 매출 YoY 15% 성장 제시(국내 YoY 15%, 글로벌 YoY 20%)
- 1분기 H&B QoQ 20% 회복 중, 어닝 쇼크로 주가 하락시 매수 유효
4. 코스맥스/실리콘투 실적발표가 중요한 이유
- 이번주 코스맥스(24일), 실리콘투(30% 변동 공시) 4분기 실적발표 예정
- 한국 화장품 산업의 모멘텀을 그대로 숫자로 반영하는 ODM/유통 1등 업체들
- 코스맥스 국내사업 매출 증가율 YoY 30%, 실리콘투 매출 1,900억 달성 여부가 관건
- 두 회사 실적 컨센서스(OP 코스맥스 395억원, 실리콘투 410억원)에 부합할 경우 화장품 업종 투자 심리 개선 가능
▶ 기업 업데이트
- 클리오 4Q24 실적: 또 한번 위기 극복 역사 만들기
- 코스메카코리아 4Q24 실적: 해외 사업 정상화를 기다리며
보고서링크: https://buly.kr/2qXtuzW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Weekly Cosmetics Letter: 한한령 해제가 실제 실적으로 이어지기 위한 조건들 (25.02.24)
▶주가 분석과 투자전략
1.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현실화 될 수 있을까?
- 한한령 해제 기대감으로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을 중심으로 주가 상승
- 향후 한한령 해제에 따른 화장품 업종 중국 모멘텀을 기대하기 위해서 살펴봐야 할 세 가지
- 첫째, 중국 내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인지도: 중립적
- 둘째, 중국 소비경기 회복 가능성: 수출 지표, 각종 행사 등 긍정적
- 셋째, 개별 업체들의 실적 모멘텀 가능 여부
- 결론적으로 중국 화장품 소비경기는 바닥을 지나고 있고, 개별 업체들은 실적 턴어라운드 준비를 마침
- 중국 비중 높은 대표 업체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코스맥스, 애경산업에 플러스 알파로 작용
2. 실리콘투 1,440억원 RCPS 발행: 회사의 성장성 신뢰 제고+조달 비용 절감
- 3자배정 유상증자 형태로 글랜우드크레딧으로부터 1,440억원 투자 유치 공시
- 주식수 6.72% 증가는 주주가치 희석 요인이지만, 주가에는 긍정적
- 채무 상환 이후 연간 이자비용 20억원 수준 절감, EPS 기여분 1.5%
- 핵심은 실리콘투의 성장성에 대한 신뢰성 제고
- 성공적인 트랙레코드와 네임밸류를 가진 대형 투자사로부터 우호적인 조건의 투자 유치
3. 4분기 실적발표 단상: 한국콜마/클리오/코스메카코리아
i) 한국콜마 실적: 매출/영업이익 모두 기대치 미달, 정확한 내용은 25일(화) 컨퍼런스콜 이후 공개
- 감익은 한국콜마 인센티브, 연우/HK이노엔 실적 부진 영향, 매출 측면 국내 업황과 동일한 흐름
ii) 코스메카코리아, 클리오는 모두 시장 기대치 크게 미달, 저조한 매출에 따른 고정비 부담
- 코스메카코리아는 미국/중국법인 매출 감소 영향, 국내 사업은 높은 성장세 지속
- 중국 사업은 경기 부진 영향, 미국 사업은 로컬 브랜드 위축 영향, 연결 기준 당분간 감익 가능성
iii) 클리오는 국내/미국 사업 매출 감소가 어닝쇼크 주 요인
- 4분기 올리브영 신제품 성과 대단히 부진, H&B 매출 YoY 7% 감소
- 미국 마케팅 축소, 신규 카테고리 진입 없었음. 전략적 실책
- 일본 사업 매출 회복, 유럽 등 기타 지역 매출 신장은 고무적
* 2025년 전망: 또 한번의 위기 극복 역사 만들기
- 해외 신규 지역 확대: 북미 지역 만회, 유럽/중동 지역 진출 계획 구체적
- 손익 개선: 주요 브랜드 핵심 품목에 선택과 집중, 마케팅 효율 제고, SCM 총괄 외부 영입
- 상품 개발 역량 제고: 상품 재점검 및 전략적 전환, 조직 개편
- 2025년 가이던스 연결 매출 YoY 15% 성장 제시(국내 YoY 15%, 글로벌 YoY 20%)
- 1분기 H&B QoQ 20% 회복 중, 어닝 쇼크로 주가 하락시 매수 유효
4. 코스맥스/실리콘투 실적발표가 중요한 이유
- 이번주 코스맥스(24일), 실리콘투(30% 변동 공시) 4분기 실적발표 예정
- 한국 화장품 산업의 모멘텀을 그대로 숫자로 반영하는 ODM/유통 1등 업체들
- 코스맥스 국내사업 매출 증가율 YoY 30%, 실리콘투 매출 1,900억 달성 여부가 관건
- 두 회사 실적 컨센서스(OP 코스맥스 395억원, 실리콘투 410억원)에 부합할 경우 화장품 업종 투자 심리 개선 가능
▶ 기업 업데이트
- 클리오 4Q24 실적: 또 한번 위기 극복 역사 만들기
- 코스메카코리아 4Q24 실적: 해외 사업 정상화를 기다리며
보고서링크: https://buly.kr/2qXtuzW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1.02.202506:59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2024년 2월 1~20일 전기전자 수출입통계 잠정치 발표
(MoM 증감률은 1~20일 기준)
1) 스마트폰
- 수출 금액: 1억 6,027만 달러
(+4.2% YoY, +32.4% MoM)
- 수출 단가: 1,476.9달러/kg
(-18.6% YoY, +3.4% MoM)
2) 카메라모듈
- 수출 금액: 4억 9,908만 달러
(+131.7% YoY, +4.1% MoM)
- 수출 단가: 3,846.7달러/kg
(+45.9% YoY, -5.1% MoM)
3) MLCC
- 수출 금액: 7,416만 달러
(+12.9% YoY, +4.8% MoM)
- 수출 단가: 214.1달러/kg
(+0.8% YoY, -12.4% MoM)
4) PI필름
- 수출 금액: 125.6만 달러
(+123.3% YoY, -22.7% MoM)
- 수출 단가: 30.6달러/kg
(+4.6% YoY, -10.1% MoM)
5) 리드프레임
- 수출 금액: 2,110.1만 달러
(+39.7% YoY, +11.6% MoM)
- 수출 단가: 79.9달러/kg
(-5.0% YoY, -1.2% MoM)
6) PCB
- 수출 금액: 1억 2,717만 달러
(+2.5% YoY, -5.3% MoM)
- 수출 단가: 181.5달러/kg
(-4.8% YoY, +1.8% MoM)
7) FPCB
- 수출 금액: 1억 731만 달러
(+2.2% YoY, -6.9% MoM)
- 수출 단가: 537.8달러/kg
(-11.3% YoY, -8.7% MoM)
8) 솔더볼
- 수출 금액: 240만 달러
(+59.9% YoY, -5.8% MoM)
- 수출 단가: 107.6달러/kg
(+1.0% YoY, +16.8% MoM)
9) 엑추에이터
- 수출 금액: 2,363.7만 달러
(+10.0% YoY, +48.2% MoM)
- 수출 단가: 20.8달러/kg
(+5.3% YoY, +0.2% MoM)
10) CCL(동박적층판)
- 수출 금액: 3,060.5만 달러
(-2.2% MoM)
- 수출 단가: 81.9달러/kg
(-4.5% MoM)
(자료: TRASS)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2024년 2월 1~20일 전기전자 수출입통계 잠정치 발표
(MoM 증감률은 1~20일 기준)
1) 스마트폰
- 수출 금액: 1억 6,027만 달러
(+4.2% YoY, +32.4% MoM)
- 수출 단가: 1,476.9달러/kg
(-18.6% YoY, +3.4% MoM)
2) 카메라모듈
- 수출 금액: 4억 9,908만 달러
(+131.7% YoY, +4.1% MoM)
- 수출 단가: 3,846.7달러/kg
(+45.9% YoY, -5.1% MoM)
3) MLCC
- 수출 금액: 7,416만 달러
(+12.9% YoY, +4.8% MoM)
- 수출 단가: 214.1달러/kg
(+0.8% YoY, -12.4% MoM)
4) PI필름
- 수출 금액: 125.6만 달러
(+123.3% YoY, -22.7% MoM)
- 수출 단가: 30.6달러/kg
(+4.6% YoY, -10.1% MoM)
5) 리드프레임
- 수출 금액: 2,110.1만 달러
(+39.7% YoY, +11.6% MoM)
- 수출 단가: 79.9달러/kg
(-5.0% YoY, -1.2% MoM)
6) PCB
- 수출 금액: 1억 2,717만 달러
(+2.5% YoY, -5.3% MoM)
- 수출 단가: 181.5달러/kg
(-4.8% YoY, +1.8% MoM)
7) FPCB
- 수출 금액: 1억 731만 달러
(+2.2% YoY, -6.9% MoM)
- 수출 단가: 537.8달러/kg
(-11.3% YoY, -8.7% MoM)
8) 솔더볼
- 수출 금액: 240만 달러
(+59.9% YoY, -5.8% MoM)
- 수출 단가: 107.6달러/kg
(+1.0% YoY, +16.8% MoM)
9) 엑추에이터
- 수출 금액: 2,363.7만 달러
(+10.0% YoY, +48.2% MoM)
- 수출 단가: 20.8달러/kg
(+5.3% YoY, +0.2% MoM)
10) CCL(동박적층판)
- 수출 금액: 3,060.5만 달러
(-2.2% MoM)
- 수출 단가: 81.9달러/kg
(-4.5% MoM)
(자료: TRASS)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Показано 1 - 24 із 458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