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eel&Metal Daily: 4/1
[상상인증권 철강/비철금속 김진범]
▶️ 중국
1. 2025년 3월 철강 PMI는 46%
- 2025년 3월 철강업 PMI는 46%로, 전월 대비 0.9%포인트 상승하며 2개월 연속 반등세를 보였음. 다만 여전히 수축 구간에 머물러 철강 산업의 회복이 더딘 상황임. 세부지수로는 생산지수가 47.10%로 1.5%포인트 상승했고, 신규 주문지수는 41.10%로 0.90%포인트 상승했음. 반면, 신규 수출 주문지수는 41.10%로 전월보다 2.50%포인트 하락함. 완제품 재고지수는 50.60%, 원자재 재고지수는 45.90%로 상승했으며, 이는 수요 회복이 더디지만 구매 반등이 있었고 제철소 생산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가운데 공급과잉 압력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함.
2. 중국철강협회: 1~2월 주요 철강 사용산업 운영 현황 월간 보고서
- 2025년 1~2월 동안 철강 수요 산업 가운데 건설업은 지속적으로 위축됐고, 제조업은 성장세를 유지함. 특히 부동산 지표는 전년 대비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감소 폭은 둔화됨. 인프라 건설과 전력 투자 분야는 계속해서 증가함. 기계산업의 부가가치는 안정적으로 증가했고, 전기기계 제품 수출도 증가함. 자동차 산업은 신에너지차 생산이 빠르게 증가하며 전반적으로 급성장했지만, 자동차 수출 증가율은 하락함. 백색가전 생산은 늘었고, 수출 증가율은 둔화됨. 컨테이너 생산은 계속해서 증가함.
3. 2025년 1~2월 원탄 생산업체 상위 10개 순위 발표
- 2025년 1~2월 동안 중국 상위 10대 석탄 기업의 원탄 생산량은 총 3.9억 톤으로 전년 대비 2,570만 톤 증가함. 대규모 기업이 전체 원탄 생산의 50.6%를 차지함. 국가에너지그룹은 1억245만 톤(+0.7%), 진능지주그룹은 6,594만 톤(+20.2%), 산둥에너지그룹은 4,401만 톤(+2.7%) 생산. 이외에 산시 코킹탄 그룹은 3,050만 톤(+34.1%), 뤄안화학그룹은 1,578만 톤(+17.6%) 증가. 반면 국가전력투자공사는 1,386만 톤으로 유일하게 전년 대비 5.6% 감소함.
4. 2024년 장쑤성 철강산업 매출 1조5800억위안 달성
- 2024년 장쑤성 철강 산업은 1조5800억 위안의 영업 수익을 달성했으며, 전국 생산량의 11.86%를 차지하는 주요 생산기지로서 위상을 유지함. 특히 고급 특수강의 비중이 처음으로 35%를 넘어서면서, 산업이 ‘규모 중심’에서 ‘가치 중심’으로 전환 중임. 이는 공급·수요 구조 개혁 흐름과도 맞물려 있음.
5. 마강그룹: 2024년 46억5900만 위안 손실
- 마스틸 그룹은 2024년 총 영업수익 818억1,700만 위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7.3% 감소함. 순손실은 46억5,9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손실(13억2,700만 위안)보다 손실폭이 커졌음.
6. 충칭스틸: 2024년 31억9600만위안 손실
- 충칭 철강은 2024년 영업수익 272억4,4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30.71% 감소했으며, 순손실은 31억9,600만 위안으로 확대됨. 경영상황 악화가 두드러졌음.
7. 멕시코,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산 열간압연판에 대한 반덤핑 일몰 검토 조사 개시
- 멕시코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산 열연강판에 대해 다섯 번째 반덤핑 일몰 재조사를 개시함. 기존 반덤핑 관세는 조사 기간 중 계속 유지됨. 조사 범위는 2020~2024년 피해 조사, 2024년은 덤핑조사 대상임.
8. 발틱 건조물량 지수는 5일 연속 하락
- 발틱지수는 1,598포인트로, 5일 연속 하락하며 3월 중 최저치 기록. 케이프사이즈 -7포인트(2,465p), 수프라막스 운임 약세 영향. 반면 파나막스 지수는 +4포인트 상승(1,501p).
9. 월요일 밤 거래는 엇갈린 수익과 손실로 마감
- PX와 유리는 1% 이상 상승했으며, 설탕·대두박도 소폭 상승. 반면 가성소다·코크스용 석탄은 1% 이상 하락. 비철금속 중 니켈(-1.99%), 구리(-0.94%) 등 대부분 하락했으며, 스테인리스 스틸도 0.56% 하락함.
10. 기관 : 100대 부동산 개발사 1분기 총매출액 8,101억 위안 기록
- 중국지수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3월 기간 동안 중국 내 상위 100개 부동산 개발사의 총 매출액은 8,10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9.8% 감소함. 이 중 100억 위안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기업은 17곳뿐이었음. 시장 상황을 보면, 지난해 4분기 이후 주요 도시에서 신규 주택 매매가 회복세를 보이며 2분기 연속 반등했고, 중고주택 거래량도 상당히 늘어남.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하락 저지 및 안정화’ 효과가 일부 나타났다는 평가. 정책 집행 속도가 빨라지면서 단기적으로 핵심 도시 위주의 거래량 회복이 예상되며, 특히 1선 도시 및 핵심 2선 도시에서 먼저 시장 안정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됨.
11. 베이징, 2025년 3차 주거용 토지 공급 목록 발표
- 2025년 3월 31일, 베이징 도시계획 및 자연자원위원회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차 공급 대상 주거용 토지는 총 5개 필지이며, 대지면적은 약 30헥타르, 건축 규모는 약 52만㎡에 달함. 해당 토지는 4월 말까지 공급될 예정이며, 주거용 및 상업용이 혼합된 형태로 도시 내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한 조치로 풀이됨.
12. 난징, 상업용 주택 판매 제한 전면 해제
- 2025년 3월 31일, 난징시는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대책으로 상업용 주택에 대한 매매 제한을 전면 해제함. 이에 따라 부동산 등기를 마친 상업용 주택은 즉시 거래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는 주택 교체 수요를 보다 원활하게 충족시키기 위한 조치임. 거래 자유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난징 내 부동산 거래 활성화가 기대됨.
13. 광저우시, 올해 상업용 주택 5만4000호 사전분양 승인 계획
- 광저우시는 2025년 주택 개발 계획을 처음으로 공개했으며, 그에 따르면 올해 약 5만4,000호의 상업용 주택이 사전 분양 승인을 받을 예정임. 중심구 5개 지역이 전체 물량의 36%, 외곽구 4개 지역이 48%, 기타 추가구 2개 지역이 16%를 차지함. 이와 별도로, 저렴주택 정책도 병행되며, 공공임대주택 8,000호 건설, 3,400호 공급 계획이 포함됨. 임대보장 주택은 총 10만 호를 짓고, 저렴주택은 1,500호 건설 및 2,800호 공급 계획이 수립됨. 전반적으로 광저우는 다양한 소득층을 위한 주택 공급 확대를 통해 주거 안정성과 사회 보장을 함께 꾀하고 있음.
14. A주 재매수 붐이 계속 가열
- 2025년 3월 29일 기준, 총 666개 A주 상장사가 자사주를 매입했으며, 총 매입 주식 수는 32억 5,100만 주, 매입 금액은 약 293억 6,700만 위안에 달함. 이 중 63개 기업은 매입 금액이 1억 위안을 초과했으며, 대표적으로 귀주마오타이(12억 위안), 하이크비전(9.42억 위안), 중국건설(8.87억 위안)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림. 자사주 매입은 주가 방어 및 주주 환원 등의 목적을 가진 것으로, 같은 기간 190개 상장사가 자사주 매입 계획을 공시함. 이들 대부분은 이사회 승인 또는 주주총회 단계에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