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증권 이동연] 글로벌 IT S/W & 중국 전략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63007f26-a8fe-4a5c-a279-6339110dac29.jpg%3Fw%3D240%26h%3D240&w=640&q=75)
[한투증권 이동연] 글로벌 IT S/W & 중국 전략
글로벌 IT S/W & 중국 전략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ічний
Верифікація
Не верифікованийДовіреність
Не надійнийРозташування
МоваІнша
Дата створення каналуСіч 12, 2021
Додано до TGlist
Вер 11, 2024Останні публікації в групі "[한투증권 이동연] 글로벌 IT S/W & 중국 전략"
17.04.202521:5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7일 자신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관세 전쟁’과 관련해 “우리는 모든 국가와의 무역 협상에서 매우 잘하고 있다”며 “솔직히 말하면 일부 나라는 나보다 더 딜(deal·합의)을 이루기를 원하고 있다. (그들의 입장을) 들을 것이며 공정하게 대할 것이지만, 그러나 거래를 결정하는 것은 우리가 할 일”이라고 했다.
최근 들어 관세 전쟁의 전면에 나서고 있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주요 15국과의 협상에 우선 집중을 하고 있다”며 “다음 주 한국에서도 오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900262?cds=news_edit
최근 들어 관세 전쟁의 전면에 나서고 있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주요 15국과의 협상에 우선 집중을 하고 있다”며 “다음 주 한국에서도 오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900262?cds=news_edit
17.04.202521:42
18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 최신 통계에 따르면 중국 CXMT는 올해 D램 생산량 규모가 273만장(웨이퍼 기준)으로 지난해(162만장) 대비 68%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시장에서는 올해 CXMT의 D램 생산능력이 20% 수준에서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을 제기한 바 있으나 이보다 3배 이상 빠른 확대가 예상되는 것이다. CXMT는 레거시(구형) D램인 DDR4뿐만 아니라 DDR5 비중도 늘려나갈 것으로 보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70273?sid=105
앞서 시장에서는 올해 CXMT의 D램 생산능력이 20% 수준에서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을 제기한 바 있으나 이보다 3배 이상 빠른 확대가 예상되는 것이다. CXMT는 레거시(구형) D램인 DDR4뿐만 아니라 DDR5 비중도 늘려나갈 것으로 보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70273?sid=105
17.04.202507:51
Переслав з: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3b3313a4-3d84-4983-93e3-8104cbb0d743.jpg%3Fw%3D24%26h%3D24&w=48&q=75)
17.04.202506:42
[한투증권 문승환] TSMC 1Q25 실적 Quick Comment
▶ 1Q25 실적
※ 매출액: 255억달러 (부합 vs 컨센서스 257억달러) -5.1% QoQ / +35.3% YoY
※ GPM: 58.8% (0.7%p 상회 vs 컨센서스 58.1%) -0.2%p QoQ / +5.7%p YoY
※ OPM 48.5% -0.5%p QoQ / +6.5%p YoY
▶ 공정별 매출 비중
※ 3nm: 22% (-4%p QoQ)
※ 5nm: 36% (+2%p QoQ)
※ 7nm: 15% (+1%p QoQ)
-7nm 이하 선단 공정 비중은 73%(-1%p QoQ)
▶ 응용처별 매출 비중 및 매출액 성장률
※ HPC: 59% (+7% QoQ)
※ Smartphone: 28% (-22% QoQ)
※ IoT: 5% (-9% QoQ)
※ Automotive: 5% (+14% QoQ)
※ DCE: 1% (+8% QoQ)
※ Others: 2% (+20% QoQ)
▶ 지역별 매출
※ 북미: 77% (+2%p QoQ)
※ 중국: 7% (-2%p QoQ)
※ 아시아태평양: 9% (+0%p QoQ)
※ 일본: 4% (+0%p QoQ)
※ EMEA: 3% (+0%p QoQ)
▶ 2Q25 가이던스
※ 매출액 284~292억달러(중간값 5.7% 상회 vs 컨센서스 271억달러)
※ GPM 57~59%(컨센서스 58.2%)
※ OPM 47~49%(컨센서스 47.9%)
실적발표 자료: https://bit.ly/4lAQqBM
▶ 1Q25 실적
※ 매출액: 255억달러 (부합 vs 컨센서스 257억달러) -5.1% QoQ / +35.3% YoY
※ GPM: 58.8% (0.7%p 상회 vs 컨센서스 58.1%) -0.2%p QoQ / +5.7%p YoY
※ OPM 48.5% -0.5%p QoQ / +6.5%p YoY
▶ 공정별 매출 비중
※ 3nm: 22% (-4%p QoQ)
※ 5nm: 36% (+2%p QoQ)
※ 7nm: 15% (+1%p QoQ)
-7nm 이하 선단 공정 비중은 73%(-1%p QoQ)
▶ 응용처별 매출 비중 및 매출액 성장률
※ HPC: 59% (+7% QoQ)
※ Smartphone: 28% (-22% QoQ)
※ IoT: 5% (-9% QoQ)
※ Automotive: 5% (+14% QoQ)
※ DCE: 1% (+8% QoQ)
※ Others: 2% (+20% QoQ)
▶ 지역별 매출
※ 북미: 77% (+2%p QoQ)
※ 중국: 7% (-2%p QoQ)
※ 아시아태평양: 9% (+0%p QoQ)
※ 일본: 4% (+0%p QoQ)
※ EMEA: 3% (+0%p QoQ)
▶ 2Q25 가이던스
※ 매출액 284~292억달러(중간값 5.7% 상회 vs 컨센서스 271억달러)
※ GPM 57~59%(컨센서스 58.2%)
※ OPM 47~49%(컨센서스 47.9%)
실적발표 자료: https://bit.ly/4lAQqBM
16.04.202522:33
[한투증권 이동연] 중국: 1Q25 GDP, 3월 실물 지표 코멘트
- 1Q25 경제 성장률: 1Q25 실질 GDP는 +5.4%(이하 모두 YoY 기준) 성장하며 컨센서스(+5.2%)를 상회. 4월에 미국이 관세를 인상하기 전에 3월 수출, 제조업 생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 이구환신 정책 효과가 반영되며 3월 소매판매도 기대치를 상회
- 산업생산: 4월부터 관세가 본격적으로 인상되기 전에 선수출이 늘어난 효과로 3월 산업생산은 +7.7% 증가(예상치 및 전월 모두 +5.9%). 컴퓨터 관련 제품 생산 확대가 농업, 금속 생산 부진을 상쇄시킴. 스마트폰(전월 -6.8%→3월 +7.0%), 조강(전월 -1.5%→3월 +4.6%), 시멘트(전월 -5.7%→3월 +2.5%) 생산이 전월보다 개선된 점도 눈에 띔
- 소매판매: 3월 소매판매는 +5.9%(예상치 +4.3%, 전월 +4.1%) 증가하며 기대치 상회. 온라인(전월 +5.0%→3월 +7.0%), 오프라인(전월 +3.5%→3월 +5.5%), 레스토랑(전월 +4.3%→3월 +5.6%) 소비가 모두 개선됨. 이구환신 정책 효과로 가전제품(전월 +10.9%→3월 +35.1%), 자동차(전월 -4.4%→3월 +5.5%) 판매 증가율도 상승
- 고정자산투자: 1~3월 고정자산투자는 +4.2% 늘어나며 기대치(+4.1%)를 소폭 상회. 3월 1개월 간의 고정자산투자 증가율도 4.3%로 전월(+4.1%)보다 상승. 3월 제조업투자(+9.2%, 전월 +9.0%), 인프라투자(+10.9%, 전월 +8.1%)가 개선된 덕분. 단, 부동산투자(-10.0%, 전월 -9.8%)는 부진 지속. 부동산 지표도 거래 지표를 제외한 신규착공 등의 지표는 회복이 더딘 모습이 이어짐
- 25년 경제 성장률: 25년 중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4.1%로 하향조정. 1분기 경제 성장률이 5.4%로 기대보다 견조했지만, 미국의 대중국 관세 인상이라는 대외적인 리스크 요인을 감안하면 추정치 하향 조정은 불가피. 미중 간의 관세 협상이 없다는 가정 하에 연말로 갈수록 매분기 경제 성장률이 낮아지는 추이 예상. 관세 영향을 반영하며 컨센서스도 점차 하향 조정될 전망
중국 정부가 대외 리스크를 상쇄시키기 위해 추가 부양책을 공표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짐. 정책의 초점은 기존과 동일하게 소비에 맞춰질 전망. 이구환신 정책 규모 및 적용 품목 확대, 소비 바우처 지급, 연금 및 의료보험 등의 사회복지 정책 강화가 시장이 기대하는 조치라고 판단. 1분기 성장률 선방에도 불구하고 관세 이슈로 증시 변동성은 높은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
*보고서: https://vo.la/EnRwCT
*텔레그램: https://t.me/chinaitev
- 1Q25 경제 성장률: 1Q25 실질 GDP는 +5.4%(이하 모두 YoY 기준) 성장하며 컨센서스(+5.2%)를 상회. 4월에 미국이 관세를 인상하기 전에 3월 수출, 제조업 생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 이구환신 정책 효과가 반영되며 3월 소매판매도 기대치를 상회
- 산업생산: 4월부터 관세가 본격적으로 인상되기 전에 선수출이 늘어난 효과로 3월 산업생산은 +7.7% 증가(예상치 및 전월 모두 +5.9%). 컴퓨터 관련 제품 생산 확대가 농업, 금속 생산 부진을 상쇄시킴. 스마트폰(전월 -6.8%→3월 +7.0%), 조강(전월 -1.5%→3월 +4.6%), 시멘트(전월 -5.7%→3월 +2.5%) 생산이 전월보다 개선된 점도 눈에 띔
- 소매판매: 3월 소매판매는 +5.9%(예상치 +4.3%, 전월 +4.1%) 증가하며 기대치 상회. 온라인(전월 +5.0%→3월 +7.0%), 오프라인(전월 +3.5%→3월 +5.5%), 레스토랑(전월 +4.3%→3월 +5.6%) 소비가 모두 개선됨. 이구환신 정책 효과로 가전제품(전월 +10.9%→3월 +35.1%), 자동차(전월 -4.4%→3월 +5.5%) 판매 증가율도 상승
- 고정자산투자: 1~3월 고정자산투자는 +4.2% 늘어나며 기대치(+4.1%)를 소폭 상회. 3월 1개월 간의 고정자산투자 증가율도 4.3%로 전월(+4.1%)보다 상승. 3월 제조업투자(+9.2%, 전월 +9.0%), 인프라투자(+10.9%, 전월 +8.1%)가 개선된 덕분. 단, 부동산투자(-10.0%, 전월 -9.8%)는 부진 지속. 부동산 지표도 거래 지표를 제외한 신규착공 등의 지표는 회복이 더딘 모습이 이어짐
- 25년 경제 성장률: 25년 중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4.1%로 하향조정. 1분기 경제 성장률이 5.4%로 기대보다 견조했지만, 미국의 대중국 관세 인상이라는 대외적인 리스크 요인을 감안하면 추정치 하향 조정은 불가피. 미중 간의 관세 협상이 없다는 가정 하에 연말로 갈수록 매분기 경제 성장률이 낮아지는 추이 예상. 관세 영향을 반영하며 컨센서스도 점차 하향 조정될 전망
중국 정부가 대외 리스크를 상쇄시키기 위해 추가 부양책을 공표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짐. 정책의 초점은 기존과 동일하게 소비에 맞춰질 전망. 이구환신 정책 규모 및 적용 품목 확대, 소비 바우처 지급, 연금 및 의료보험 등의 사회복지 정책 강화가 시장이 기대하는 조치라고 판단. 1분기 성장률 선방에도 불구하고 관세 이슈로 증시 변동성은 높은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
*보고서: https://vo.la/EnRwCT
*텔레그램: https://t.me/chinaitev
16.04.202521:34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용 저성능 AI 반도체 ‘H20’과, 이와 비슷한 성능을 내는 AMD의 ‘MI308’까지 대중(對中) 수출 통제 목록에 포함시켰다.
15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가 H20을 중국에 수출하려면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통보했다”며 “해당 규칙은 무기한 유지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엔비디아에 따르면 미 정부 당국자들은 H20이 중국의 슈퍼컴퓨터에 사용될 것이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이번 조치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날 “워싱턴의 H20 규제는 미국이 어떻게 관세와 무역 장벽을 활용해 베이징에 대한 압력을 높이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희토류를 포함한 가공된 핵심 광물과 그 파생 제품 수입이 국가 안보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라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또 미국은 중국 제품의 우회 수출 막기,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퇴출 등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의 관세 협상에 자신도 참석한다고 알렸다. 그는 16일 트루스소셜에 “일본이 오늘 관세, 군사 지원 비용, 무역 공정성에 대해 협상하러 온다. 나도 재무·상무장관과 함께 이 회의(일본과의 관세 협상)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썼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628867?sid=104
15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가 H20을 중국에 수출하려면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통보했다”며 “해당 규칙은 무기한 유지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엔비디아에 따르면 미 정부 당국자들은 H20이 중국의 슈퍼컴퓨터에 사용될 것이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이번 조치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날 “워싱턴의 H20 규제는 미국이 어떻게 관세와 무역 장벽을 활용해 베이징에 대한 압력을 높이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희토류를 포함한 가공된 핵심 광물과 그 파생 제품 수입이 국가 안보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라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또 미국은 중국 제품의 우회 수출 막기,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퇴출 등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의 관세 협상에 자신도 참석한다고 알렸다. 그는 16일 트루스소셜에 “일본이 오늘 관세, 군사 지원 비용, 무역 공정성에 대해 협상하러 온다. 나도 재무·상무장관과 함께 이 회의(일본과의 관세 협상)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썼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628867?sid=104
16.04.202502:02
-중국 1Q25 실질 GDP +5.4% YoY 성장. 컨센(+5.1~5.2% 상회)
-소매판매 +5.4% YoY, 산업생산 +7.7% YoY, 고정자산투자 +4.2% YoY 증가하며 모두 컨센 상회
China's first-quarter GDP tops estimates at 5.4% as growth momentum continues amid tariff worries
https://www.cnbc.com/2025/04/16/chinas-first-quarter-gdp-growth-at-as-trade-war-heats-up.html?__source=iosappshare%7Ccom.apple.UIKit.activity.CopyToPasteboard
-소매판매 +5.4% YoY, 산업생산 +7.7% YoY, 고정자산투자 +4.2% YoY 증가하며 모두 컨센 상회
China's first-quarter GDP tops estimates at 5.4% as growth momentum continues amid tariff worries
https://www.cnbc.com/2025/04/16/chinas-first-quarter-gdp-growth-at-as-trade-war-heats-up.html?__source=iosappshare%7Ccom.apple.UIKit.activity.CopyToPasteboard


15.04.202521:38
Nvidia says it will record $5.5 billion quarterly charge tied to H20 processors exported to China
https://www.cnbc.com/2025/04/15/nvidia-says-it-will-record-5point5-billion-quarterly-charge-tied-to-h20-processors-exported-to-china.html?__source=iosappshare%7Ccom.apple.UIKit.activity.CopyToPasteboard
https://www.cnbc.com/2025/04/15/nvidia-says-it-will-record-5point5-billion-quarterly-charge-tied-to-h20-processors-exported-to-china.html?__source=iosappshare%7Ccom.apple.UIKit.activity.CopyToPasteboard
15.04.202504:31
미국 에너지부(DOE)가 15일(현지시간)부터 한국이 포함된 민감국가 리스트(SCL)를 발효한다. 이번 조치에 따라 한미 양국간 원자력이나 에너지, 첨단 기술 등 과학기술 분야 협력에 차질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 1월 민감국가 리스트에 한국을 '기타 지정 국가'로 추가한 미국 에너지부는 이날 시행을 예고했다. 복수의 외교 소식통은 이 조치 시행이 유예되거나 변경되지 않을 것이라고 이날 전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발효일인) 15일 이전에 우리가 빠진다는 얘기는 들은 적이 없어 예정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19412?cds=news_edit
지난 1월 민감국가 리스트에 한국을 '기타 지정 국가'로 추가한 미국 에너지부는 이날 시행을 예고했다. 복수의 외교 소식통은 이 조치 시행이 유예되거나 변경되지 않을 것이라고 이날 전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발효일인) 15일 이전에 우리가 빠진다는 얘기는 들은 적이 없어 예정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19412?cds=news_edit
14.04.202521:46
스콧 베센트, 타 국가 정부가 미 국채를 덤핑한다고 생각하지 않음. 필요할 경우 미 국채 시장을 안정시킬 수 있는 도구를 보유하고 있다고도 언급
Bessent Says Treasury Has Big Toolkit If Needed for Bond Market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14/bessent-says-treasury-has-big-toolkit-if-needed-for-bond-market
Bessent Says Treasury Has Big Toolkit If Needed for Bond Market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14/bessent-says-treasury-has-big-toolkit-if-needed-for-bond-market
14.04.202521:38
자동차도 일부 품목 관세 추가 면제 가능성 있어. 왔다갔다 관세 정책 언급 지속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에 대한 추가 면제를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 지난 2월 1일부터 시작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자고 나면 바뀐다”는 말이 나올 만큼 변동성이 심해 기업들의 투자 및 고용 결정에 불확실성을 가중시킨다는 지적이 나온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전날 일부 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를 언급했는데 어떤 특정 제품들을 고려 중이냐”는 질문을 받고 “일부 자동차 회사들을 도와주기 위한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했다. 전날 트럼프는 반도체와 스마트폰(애플 아이폰)에 대한 관세와 관련해 “일부 기업들에는 유연성이 있을 것”이라고 했는데, 이날 자동차 관세에 대해서도 면제를 검토한다고 말한 것이다.
트럼프는 “자동차 회사들이 캐나다, 멕시코 등 다른 나라들에서 만들어진 부품을 (미국에서 만들기 위해) 전환 중에 있다”며 “그들은 그 부품들을 여기서 만들 예정이지만,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다. 나는 그런 것들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수입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는 지난 3일부터 발효 중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435070?sid=104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에 대한 추가 면제를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 지난 2월 1일부터 시작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자고 나면 바뀐다”는 말이 나올 만큼 변동성이 심해 기업들의 투자 및 고용 결정에 불확실성을 가중시킨다는 지적이 나온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전날 일부 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를 언급했는데 어떤 특정 제품들을 고려 중이냐”는 질문을 받고 “일부 자동차 회사들을 도와주기 위한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했다. 전날 트럼프는 반도체와 스마트폰(애플 아이폰)에 대한 관세와 관련해 “일부 기업들에는 유연성이 있을 것”이라고 했는데, 이날 자동차 관세에 대해서도 면제를 검토한다고 말한 것이다.
트럼프는 “자동차 회사들이 캐나다, 멕시코 등 다른 나라들에서 만들어진 부품을 (미국에서 만들기 위해) 전환 중에 있다”며 “그들은 그 부품들을 여기서 만들 예정이지만,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다. 나는 그런 것들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수입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는 지난 3일부터 발효 중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435070?sid=104
14.04.202503:10
중국 3월 수출 +12.4% YoY 증가. 컨센(+4.4% YoY) 상회
China exports skyrocket over 12% in March while imports extend declines, official data shows
https://www.cnbc.com/2025/04/14/china-exports-skyrocket-over-12percent-in-march-while-imports-extend-declines-official-data-shows.html?__source=iosappshare%7Ccom.apple.UIKit.activity.CopyToPasteboard
China exports skyrocket over 12% in March while imports extend declines, official data shows
https://www.cnbc.com/2025/04/14/china-exports-skyrocket-over-12percent-in-march-while-imports-extend-declines-official-data-shows.html?__source=iosappshare%7Ccom.apple.UIKit.activity.CopyToPasteboard


14.04.202502:24
Рекорди
17.04.202508:45
3.6KПідписників10.09.202423:59
0Індекс цитування08.04.202520:57
6KОхоплення 1 допису08.04.202520:57
6KОхоп рекл. допису07.03.202523:59
3.57%ER19.01.202520:42
134.74%ERRРозвиток
Підписників
Індекс цитування
Охоплення 1 допису
Охоп рекл. допису
ER
ERR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