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4.202522:54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시장은 미국의 관세 부과 영향력과, 그로 인한 반도체 선출하 효과 (pull-in)에 매몰돼 있습니다.
특히 사상 최대 분기 이익에 근접해 있기에, 막연한 사이클 고점 경계감 역시 동사 주가에 하방압력으로 작용중입니다.
하지만 당사는 사이클 판단에 있어 언제나 수요보다는 공급을 바라 보아야한다고 강조합니다.
선두업체는 과거의 ‘선생산 후판매’ 정책 대신 설비 투자를 절제 중입니다. 산업 이익 증분을 과점하고 있는 SK하이닉스 역시 확보 물량의 최소투자만을 집행하며 공급증가를 계획 중일 뿐입니다.
업사이클은 내년까지 이어지며, 올 하반기 최대 실적 경신 과정에서 메모리 업체들의 가파른 밸류에이션 정상화가 예상됩니다.
▶ SK하이닉스 (000660): 나홀로 호황 속 이례적 투자 조절의 의미
- 1Q25 영업이익 7.4조원은 시장 기대치를 능가. DRAM OPM 55%, NAND OPM 1%
- 1) 비수기 불구, 재차 상승한 HBM 실적 기여 (HBM 매출 6.2조원, 영업이익 3.7조원으로 DRAM 영업이익 내 45% 차지)
- 2) 순부채의 반사이익 발생. 그룹 OI (영업개선) 노력은 동사의 신중한 투자를 유도 중. 가시성이 확보된 수주 중심 산업 (HBM 등)에만 투자 실시. 올해 Capex 23조원 (현금기준)
- 3) 2Q25 사상 최대 이익 경신. 시장 우려와 달리 2H25내 재경신. 이 과정에서 과격한 밸류에이션 정상화 발생 전망 (현주가는 1.28배 25E P/B vs 사이클 범위 1.0~2.3배)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27만원 유지 (25E P/B 2.0배)
https://vo.la/oxfVZq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시장은 미국의 관세 부과 영향력과, 그로 인한 반도체 선출하 효과 (pull-in)에 매몰돼 있습니다.
특히 사상 최대 분기 이익에 근접해 있기에, 막연한 사이클 고점 경계감 역시 동사 주가에 하방압력으로 작용중입니다.
하지만 당사는 사이클 판단에 있어 언제나 수요보다는 공급을 바라 보아야한다고 강조합니다.
선두업체는 과거의 ‘선생산 후판매’ 정책 대신 설비 투자를 절제 중입니다. 산업 이익 증분을 과점하고 있는 SK하이닉스 역시 확보 물량의 최소투자만을 집행하며 공급증가를 계획 중일 뿐입니다.
업사이클은 내년까지 이어지며, 올 하반기 최대 실적 경신 과정에서 메모리 업체들의 가파른 밸류에이션 정상화가 예상됩니다.
▶ SK하이닉스 (000660): 나홀로 호황 속 이례적 투자 조절의 의미
- 1Q25 영업이익 7.4조원은 시장 기대치를 능가. DRAM OPM 55%, NAND OPM 1%
- 1) 비수기 불구, 재차 상승한 HBM 실적 기여 (HBM 매출 6.2조원, 영업이익 3.7조원으로 DRAM 영업이익 내 45% 차지)
- 2) 순부채의 반사이익 발생. 그룹 OI (영업개선) 노력은 동사의 신중한 투자를 유도 중. 가시성이 확보된 수주 중심 산업 (HBM 등)에만 투자 실시. 올해 Capex 23조원 (현금기준)
- 3) 2Q25 사상 최대 이익 경신. 시장 우려와 달리 2H25내 재경신. 이 과정에서 과격한 밸류에이션 정상화 발생 전망 (현주가는 1.28배 25E P/B vs 사이클 범위 1.0~2.3배)
-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27만원 유지 (25E P/B 2.0배)
https://vo.la/oxfVZq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3.04.202522:51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SK하이닉스 1Q25 실적발표 안내드립니다.
매출액: 17조 6,391억원 (vs 컨센서스 17조 2,865억원)
영업이익: 7조 4,401억원 (vs 컨센서스 6조 5,993억원)
지배주주순이익: 8조 1,071억원 (vs 컨센서스 5조 2,923억원)
https://buly.kr/FWSo2iO (Dart)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SK하이닉스 1Q25 실적발표 안내드립니다.
매출액: 17조 6,391억원 (vs 컨센서스 17조 2,865억원)
영업이익: 7조 4,401억원 (vs 컨센서스 6조 5,993억원)
지배주주순이익: 8조 1,071억원 (vs 컨센서스 5조 2,923억원)
https://buly.kr/FWSo2iO (Dart)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23.04.202511:01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LG이노텍(011070): 끝나지 않는 경사
- 1Q25 연결 매출액(4.9조원)과 영업이익(1,251억원)은 각각 시장 컨센서스를 11.7%, 17.5% 상회
- 관세 부과 전 재고 비축 수요와 긍정적인 환율 효과에 힘입어 광학솔루션 외형이 기대를 상회한 영향
- 다만 컨센서스는 상회했으나 전년부터 높아진 원재료 부담이 지속되며 외형 성장에 비해 다소 아쉬운 수익성을 기록
- 2분기는 래거시 모델에 대한 재고조정이 진행되는 전형적인 애플 공급망의 비수기로, 올해는 1분기 중 발생한 재고 비축 수요 영향으로 예년 대비 강도 높은 재고조정을 예상
- 이를 반영하여 2Q25 영업이익은 시장 컨센서스를 9.8% 하회하는 730억원을 전망
- 관세 영향으로 하반기 IT 세트 수요의 불확실성이 확대 중. 이는 관세 부과 전 조기 구매가 발생하였고, 관세 전가에 따른 소비 위축 가능성이 높기 때문
- 특히 북미 지역 중심의 IT 수요 둔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2024년 고객사 출하량의 28%를 북미가 차지했다는 점은 큰 부담 요인
- 또한 다른 핵심 시장인 중국에서도 수요 부진이 심화되는 중(그림7).
- 올해 기대요인이었던 Apple Intelligence의 업데이트마저 지연되었기 때문에 하반기 고객사 출하 전망에 대한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
- 주가가 역사적 저점에 위치한 만큼, 단기 트레이딩 기회는 존재
- 예를 들어 5월 2일 오전 6시(한국시간) 예정된 애플 실적 발표에서 2Q25 및 하반기(2H25)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제시될 경우, 주가의 단기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
- 다만 동사를 둘러싼 구조적인 시장 우려는 여전히 해소되기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
- 투자의견은 Buy를 유지하나, 적정주가는 12MF BPS 253,406원에 ‘24년 저점 P/B 0.69배를 부여, 18만원으로 하향 제시
https://vo.la/nppjiH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LG이노텍(011070): 끝나지 않는 경사
- 1Q25 연결 매출액(4.9조원)과 영업이익(1,251억원)은 각각 시장 컨센서스를 11.7%, 17.5% 상회
- 관세 부과 전 재고 비축 수요와 긍정적인 환율 효과에 힘입어 광학솔루션 외형이 기대를 상회한 영향
- 다만 컨센서스는 상회했으나 전년부터 높아진 원재료 부담이 지속되며 외형 성장에 비해 다소 아쉬운 수익성을 기록
- 2분기는 래거시 모델에 대한 재고조정이 진행되는 전형적인 애플 공급망의 비수기로, 올해는 1분기 중 발생한 재고 비축 수요 영향으로 예년 대비 강도 높은 재고조정을 예상
- 이를 반영하여 2Q25 영업이익은 시장 컨센서스를 9.8% 하회하는 730억원을 전망
- 관세 영향으로 하반기 IT 세트 수요의 불확실성이 확대 중. 이는 관세 부과 전 조기 구매가 발생하였고, 관세 전가에 따른 소비 위축 가능성이 높기 때문
- 특히 북미 지역 중심의 IT 수요 둔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2024년 고객사 출하량의 28%를 북미가 차지했다는 점은 큰 부담 요인
- 또한 다른 핵심 시장인 중국에서도 수요 부진이 심화되는 중(그림7).
- 올해 기대요인이었던 Apple Intelligence의 업데이트마저 지연되었기 때문에 하반기 고객사 출하 전망에 대한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
- 주가가 역사적 저점에 위치한 만큼, 단기 트레이딩 기회는 존재
- 예를 들어 5월 2일 오전 6시(한국시간) 예정된 애플 실적 발표에서 2Q25 및 하반기(2H25)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제시될 경우, 주가의 단기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
- 다만 동사를 둘러싼 구조적인 시장 우려는 여전히 해소되기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
- 투자의견은 Buy를 유지하나, 적정주가는 12MF BPS 253,406원에 ‘24년 저점 P/B 0.69배를 부여, 18만원으로 하향 제시
https://vo.la/nppjiH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3.04.202510:41
22.04.202522:50
Meritz Overnight Tech 2025. 4. 23 (수)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61%, 1W +1.68%, 1M +8.85%)
NAND(MLC 64Gb: 1D 0.00%, 1W +1.15%, 1M +5.93%)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中 "희토류 쓴 제품, 美수출 말라"…韓 압박 (한국경제)
https://buly.kr/2Uij5Nn
보조금 확대에도 中 스마트폰 시장 다시 위축 (ZDNET Korea)
https://buly.kr/FWSnfnz
두바이 통신사 du, 마이크로소프트와 20억 디르함(5억 4,454만달러) 규모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계약 체결 (Reuters)
https://buly.kr/FWSnf8c
구글 해체?… 막 오른 ‘반독점 재판’ 2라운드 (조선일보)
https://buly.kr/E78jpFm
오픈AI "구글 크롬 브라우저 강제 매각 시 인수 관심" (BLOTER)
https://buly.kr/2Uij5ON
메타, 트럼프의 대중 강경 관세에 올해 최대 70억달러 타격 전망 (CNBC)
https://buly.kr/A45JGay
삼성전자 DDR4 D램 2027년 생산 종료, 전영현 중국 추격에 고부가 D램 비중 늘린다 (Business Post)
https://buly.kr/GE7pb7b
삼성전자 갤럭시Z플립7 엑시노스2500 탑재 무산되나, 퀄컴 AP 적용 전망 (Business Post)
https://buly.kr/DwDyqV6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Micron(+5.2%), Western Digital(+2%), Apple(+3.4%), Lenovo(+2%), Asus(-3.6%), Intel(+3.6%), Nvidia(+2%), Marvell(+2.5%), Mediatek(-3.3%), DB하이텍(-2.3%), TSMC(-2.3%), 원익 IPS(-2%), AMAT(+2%), KLA(+2.5%), Air Product(+3%), UDC(+2%)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61%, 1W +1.68%, 1M +8.85%)
NAND(MLC 64Gb: 1D 0.00%, 1W +1.15%, 1M +5.93%)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中 "희토류 쓴 제품, 美수출 말라"…韓 압박 (한국경제)
https://buly.kr/2Uij5Nn
보조금 확대에도 中 스마트폰 시장 다시 위축 (ZDNET Korea)
https://buly.kr/FWSnfnz
두바이 통신사 du, 마이크로소프트와 20억 디르함(5억 4,454만달러) 규모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계약 체결 (Reuters)
https://buly.kr/FWSnf8c
구글 해체?… 막 오른 ‘반독점 재판’ 2라운드 (조선일보)
https://buly.kr/E78jpFm
오픈AI "구글 크롬 브라우저 강제 매각 시 인수 관심" (BLOTER)
https://buly.kr/2Uij5ON
메타, 트럼프의 대중 강경 관세에 올해 최대 70억달러 타격 전망 (CNBC)
https://buly.kr/A45JGay
삼성전자 DDR4 D램 2027년 생산 종료, 전영현 중국 추격에 고부가 D램 비중 늘린다 (Business Post)
https://buly.kr/GE7pb7b
삼성전자 갤럭시Z플립7 엑시노스2500 탑재 무산되나, 퀄컴 AP 적용 전망 (Business Post)
https://buly.kr/DwDyqV6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Micron(+5.2%), Western Digital(+2%), Apple(+3.4%), Lenovo(+2%), Asus(-3.6%), Intel(+3.6%), Nvidia(+2%), Marvell(+2.5%), Mediatek(-3.3%), DB하이텍(-2.3%), TSMC(-2.3%), 원익 IPS(-2%), AMAT(+2%), KLA(+2.5%), Air Product(+3%), UDC(+2%)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1.04.202508:32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Witsview 4월 하반월 LCD 패널가 발표]
<모니터 패널가 상승 추세 지속, TV 및 노트북 패널가 보합세 유지>
TV 패널: 전 사이즈에서 전월 가격 유지하며 상승세 종료
85인치 보합, 75인치 보합, 65인치 보합, 55인치 보합, 50인치 보합, 43인치 보합, 32인치 보합 (전월 대비)
IT 패널: 모니터 패널은 상승세 지속, 노트북 패널은 보합세 유지. 모니터 0.0~1.0% 상승
(자료: Witsview)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Witsview 4월 하반월 LCD 패널가 발표]
<모니터 패널가 상승 추세 지속, TV 및 노트북 패널가 보합세 유지>
TV 패널: 전 사이즈에서 전월 가격 유지하며 상승세 종료
85인치 보합, 75인치 보합, 65인치 보합, 55인치 보합, 50인치 보합, 43인치 보합, 32인치 보합 (전월 대비)
IT 패널: 모니터 패널은 상승세 지속, 노트북 패널은 보합세 유지. 모니터 0.0~1.0% 상승
(자료: Witsview)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4.04.202501:18
23.04.202522:50
[삼성전자 2차 자사주 매매 현황]
- 전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체결내역입니다.
보통주: 700,000주
우선주: 100,000주
* 2차 자사주 매입 공시 금액인 3조원 중 전일까지 매수 진행률은 89.6% (2조 6,894억원) 입니다.
- 금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신청내역입니다.
보통주: 700,000주
우선주: 100,000주
(자료: KIND)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전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체결내역입니다.
보통주: 700,000주
우선주: 100,000주
* 2차 자사주 매입 공시 금액인 3조원 중 전일까지 매수 진행률은 89.6% (2조 6,894억원) 입니다.
- 금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신청내역입니다.
보통주: 700,000주
우선주: 100,000주
(자료: KIND)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23.04.202510:42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Unimicron의 HDI 매출은 스마트폰(애플)과 AI(엔비디아)로 구분됩니다
스마트폰이 비수기에 진입한 상황에서도 GB200 기판용 매출 증가에 힘입어 전체 HDI 매출이 큰 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본 자료는 당사의 의견 없이 국내외 언론 보도 및 전자공시 자료를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Unimicron의 HDI 매출은 스마트폰(애플)과 AI(엔비디아)로 구분됩니다
스마트폰이 비수기에 진입한 상황에서도 GB200 기판용 매출 증가에 힘입어 전체 HDI 매출이 큰 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본 자료는 당사의 의견 없이 국내외 언론 보도 및 전자공시 자료를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됩니다.
23.04.202506:40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LG이노텍 1Q25 실적발표 안내드립니다.
매출액: 4조 9,828억원 (vs 컨센서스 4조 4,612억원)
영업이익: 1,251억원 (vs 컨센서스 1,065억원)
지배주주순이익: 856억원 (vs 컨센서스 740억원)
https://buly.kr/3j824tw (Dart)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LG이노텍 1Q25 실적발표 안내드립니다.
매출액: 4조 9,828억원 (vs 컨센서스 4조 4,612억원)
영업이익: 1,251억원 (vs 컨센서스 1,065억원)
지배주주순이익: 856억원 (vs 컨센서스 740억원)
https://buly.kr/3j824tw (Dart)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21.04.202522:45
[삼성전자 2차 자사주 매매 현황]
- 전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체결내역입니다.
보통주: 700,000주
우선주: 100,000주
* 2차 자사주 매입 공시 금액인 3조원 중 전일까지 매수 진행률은 86.8% (2조 6,025억원) 입니다.
- 금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신청내역입니다.
보통주: 700,000주
우선주: 100,000주
(자료: KIND)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전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체결내역입니다.
보통주: 700,000주
우선주: 100,000주
* 2차 자사주 매입 공시 금액인 3조원 중 전일까지 매수 진행률은 86.8% (2조 6,025억원) 입니다.
- 금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신청내역입니다.
보통주: 700,000주
우선주: 100,000주
(자료: KIND)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21.04.202508:28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SKT·SK브로드밴드, '국내 최대 연산' AI 데이터센터 울산에 짓는다
- SK브로드밴드는 지난 17일 SK케미칼로부터 울산광역시 남구 횡성동 소재 토지 및 건물을 약 283억원에 매수
- 해당 부지는 SK케미칼이 울산 미포 국가산업단지 내 보유하고 있던 약 6000평(19,834㎡) 규모이며, AI 데이터센터 건립에 사용될 예정
-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100메가와트(MW)급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구축을 추진 중이며, 이는 그래픽처리장치(GPU) 6만 장이 들어가는 규모
- SK 울산 AI 데이터센터가 설립되면 국내 최대 규모 연산량을 자랑하는 시설이 될 전망
- SK텔레콤은 울산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글로벌 1위 클라우드 플랫폼 업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다만, SK그룹 관계자는 “파트너십은 아직 협상 중으로 지금 단계에서 구체적으로 공개할 정보는 없다”고 언급
- 울산 미포산단 부지는 SK가스의 LNG 열병합발전소와 인접해 있어 직접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어 입지적으로 우수
- 또 GPU에서 발산하는 열을 제어하는 데 울산 북항에 건설 중인 코리아에너지터미널과 클린에너지복합단지에서 나오는 LNG 냉열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
- 울산시도 SK그룹의 데이터센터 설립을 ‘분산 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등을 활용하여 지원할 예정
https://buly.kr/1c8vbq5 (이데일리)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T·SK브로드밴드, '국내 최대 연산' AI 데이터센터 울산에 짓는다
- SK브로드밴드는 지난 17일 SK케미칼로부터 울산광역시 남구 횡성동 소재 토지 및 건물을 약 283억원에 매수
- 해당 부지는 SK케미칼이 울산 미포 국가산업단지 내 보유하고 있던 약 6000평(19,834㎡) 규모이며, AI 데이터센터 건립에 사용될 예정
-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100메가와트(MW)급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구축을 추진 중이며, 이는 그래픽처리장치(GPU) 6만 장이 들어가는 규모
- SK 울산 AI 데이터센터가 설립되면 국내 최대 규모 연산량을 자랑하는 시설이 될 전망
- SK텔레콤은 울산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글로벌 1위 클라우드 플랫폼 업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다만, SK그룹 관계자는 “파트너십은 아직 협상 중으로 지금 단계에서 구체적으로 공개할 정보는 없다”고 언급
- 울산 미포산단 부지는 SK가스의 LNG 열병합발전소와 인접해 있어 직접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어 입지적으로 우수
- 또 GPU에서 발산하는 열을 제어하는 데 울산 북항에 건설 중인 코리아에너지터미널과 클린에너지복합단지에서 나오는 LNG 냉열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
- 울산시도 SK그룹의 데이터센터 설립을 ‘분산 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등을 활용하여 지원할 예정
https://buly.kr/1c8vbq5 (이데일리)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23.04.202523:02
* SK하이닉스 1Q25 실적 공시 자료
- 영업이익 7.4조원 (vs 컨센서스 6.5조원)
- 1Q25 메모리 출하/가격
DRAM BG -9%, ASP flat QoQ
NAND BG -19%, ASP -20% QoQ
- 2Q25 가이던스
DRAM BG +11% QoQ
NAND BG +20% 이상 QoQ
- 순이익 8.1조원 (키옥시아 투자자산 평가이익 등 포함해 컨센 크게 상회)
- 1Q25말 기준 순부채 9.0조원 (순현금 향한 FCF 관리 지속 중이나, 전분기 8.5조원에서 소폭 증가)
- 거시경제 불확실성 불구 'AI 적극적인 투자 지속', 'Win10종료 교체수요와 AI PC 본격 성장' 등 수요 측면 긍정적 언급
- 반면 Capex는 완만한 증가 속 '수요 환경에 맞춘 신규 Fab 유연한 활용' 등 신중한 기조의 집행 언급
- M15X 4Q25 오픈, 용인1기 1Q25 착공 후 2Q27 준공 계획
- 영업이익 7.4조원 (vs 컨센서스 6.5조원)
- 1Q25 메모리 출하/가격
DRAM BG -9%, ASP flat QoQ
NAND BG -19%, ASP -20% QoQ
- 2Q25 가이던스
DRAM BG +11% QoQ
NAND BG +20% 이상 QoQ
- 순이익 8.1조원 (키옥시아 투자자산 평가이익 등 포함해 컨센 크게 상회)
- 1Q25말 기준 순부채 9.0조원 (순현금 향한 FCF 관리 지속 중이나, 전분기 8.5조원에서 소폭 증가)
- 거시경제 불확실성 불구 'AI 적극적인 투자 지속', 'Win10종료 교체수요와 AI PC 본격 성장' 등 수요 측면 긍정적 언급
- 반면 Capex는 완만한 증가 속 '수요 환경에 맞춘 신규 Fab 유연한 활용' 등 신중한 기조의 집행 언급
- M15X 4Q25 오픈, 용인1기 1Q25 착공 후 2Q27 준공 계획
23.04.202522:50
Meritz Overnight Tech 2025. 4. 24 (목)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61%, 1W +1.68%, 1M +8.85%)
NAND(MLC 64Gb: 1D 0.00%, 1W +1.15%, 1M +5.93%)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TI 1Q25 실적발표. 매출액 40.7억달러 기록, 시장 기대치인 39.1억달러 상회. "미국의 관세 불확실성에도 아날로그 반도체 시장 회복과 관세 부과전 Pull-in 효과가 예상된다며" 기대치 상회하는 41.7~45.3억달러의 매출 가이던스 발표. 시간외 주가 +4.2% 상승 중 (Reuters)
https://buly.kr/ChogKJj
EU, 애플·메타에 1조원 과징금 때렸다 (조선일보)
https://buly.kr/6tbfojA
애플 인텔리전스, 탄력 받나…美 소비자 "아이폰 AI, 생각보다 유용" (ZDNET Korea)
https://buly.kr/H6hci9S
메타, 유럽서 Ray-Ban 스마트 글라스에 AI 기능 확대 (Reuters)
https://buly.kr/880yq0a
IBM, DOGE 예산 삭감 여파로 15건 계약 영향...시간외 주가 -6.3% 하락 중 (Reuters)
https://buly.kr/4xXLARr
中기업 "화웨이 칩만으로 오픈AI o1과 비슷한 성능 구현" (아이뉴스24)
https://buly.kr/uTuPEE
인텔, 전체 인력 20% 이상 대규모 감원 추진 (Reuters)
https://buly.kr/DlJE4lF
마이크론, 삼성 이어 DDR4 생산 감축… 대만 공급업체 수혜 전망 (TrendForce)
https://buly.kr/74WQnjz
Besi, AI 수요에 힘입어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 수주 급증 (Reuters)
https://buly.kr/58S60ow
“시장 수요 부진에”… LG디스플레이, 파주 ‘아이패드 OLED’ 라인서 모바일 패널 만든다 (조선비즈)
https://buly.kr/AlkLOlE
글로벌 경제환경 격변에…LG전자, 인도 IPO '속도조절' (전자신문)
https://buly.kr/6MrOsJT
SK하이닉스, CXL 2.0 기반 DDR5 고객 인증 완료 (TheElec)
https://buly.kr/DEYx8Dd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SK하이닉스(+4.1%), Micron(+3.9%), Western Digital(+2.8%), Apple(+2.4%), LG전자(+2.1%), Sony(+5.7%), Lenovo(+4.1%), Asus(+6.1%), Intel(+5.5%), TI(+3.7%), Nvidia(+3.9%), STMicro(+6%), Marvell(+6.2%), AMD(+4.8%), Mediatek(+5.4%), TSMC(+7%), LG디스플레이(+3.9%), AUO(+2.5%), 원익 IPS(+5%), 에스에프에이(+2.2%), AP시스템(+3.6%), 테스(+5.1%), ASML(+3.5%), AMAT(+3.8%), KLA(+3.3%), LAM Research(+5.1%), Tokyo Electron(+2.5%), 원익머트리얼즈(+2.6%), 덕산네오룩스(+3.7%), 이녹스첨단소재(+2.9%), UDC(+2.1%), 삼성전기(+2.5%), Murata(+2.3%), Yageo(+4.2%), 삼성SDI(+7.4%), LG에너지솔루션(+5.1%), BYD(+4.8%), Panasonic(+2%)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61%, 1W +1.68%, 1M +8.85%)
NAND(MLC 64Gb: 1D 0.00%, 1W +1.15%, 1M +5.93%)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TI 1Q25 실적발표. 매출액 40.7억달러 기록, 시장 기대치인 39.1억달러 상회. "미국의 관세 불확실성에도 아날로그 반도체 시장 회복과 관세 부과전 Pull-in 효과가 예상된다며" 기대치 상회하는 41.7~45.3억달러의 매출 가이던스 발표. 시간외 주가 +4.2% 상승 중 (Reuters)
https://buly.kr/ChogKJj
EU, 애플·메타에 1조원 과징금 때렸다 (조선일보)
https://buly.kr/6tbfojA
애플 인텔리전스, 탄력 받나…美 소비자 "아이폰 AI, 생각보다 유용" (ZDNET Korea)
https://buly.kr/H6hci9S
메타, 유럽서 Ray-Ban 스마트 글라스에 AI 기능 확대 (Reuters)
https://buly.kr/880yq0a
IBM, DOGE 예산 삭감 여파로 15건 계약 영향...시간외 주가 -6.3% 하락 중 (Reuters)
https://buly.kr/4xXLARr
中기업 "화웨이 칩만으로 오픈AI o1과 비슷한 성능 구현" (아이뉴스24)
https://buly.kr/uTuPEE
인텔, 전체 인력 20% 이상 대규모 감원 추진 (Reuters)
https://buly.kr/DlJE4lF
마이크론, 삼성 이어 DDR4 생산 감축… 대만 공급업체 수혜 전망 (TrendForce)
https://buly.kr/74WQnjz
Besi, AI 수요에 힘입어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 수주 급증 (Reuters)
https://buly.kr/58S60ow
“시장 수요 부진에”… LG디스플레이, 파주 ‘아이패드 OLED’ 라인서 모바일 패널 만든다 (조선비즈)
https://buly.kr/AlkLOlE
글로벌 경제환경 격변에…LG전자, 인도 IPO '속도조절' (전자신문)
https://buly.kr/6MrOsJT
SK하이닉스, CXL 2.0 기반 DDR5 고객 인증 완료 (TheElec)
https://buly.kr/DEYx8Dd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SK하이닉스(+4.1%), Micron(+3.9%), Western Digital(+2.8%), Apple(+2.4%), LG전자(+2.1%), Sony(+5.7%), Lenovo(+4.1%), Asus(+6.1%), Intel(+5.5%), TI(+3.7%), Nvidia(+3.9%), STMicro(+6%), Marvell(+6.2%), AMD(+4.8%), Mediatek(+5.4%), TSMC(+7%), LG디스플레이(+3.9%), AUO(+2.5%), 원익 IPS(+5%), 에스에프에이(+2.2%), AP시스템(+3.6%), 테스(+5.1%), ASML(+3.5%), AMAT(+3.8%), KLA(+3.3%), LAM Research(+5.1%), Tokyo Electron(+2.5%), 원익머트리얼즈(+2.6%), 덕산네오룩스(+3.7%), 이녹스첨단소재(+2.9%), UDC(+2.1%), 삼성전기(+2.5%), Murata(+2.3%), Yageo(+4.2%), 삼성SDI(+7.4%), LG에너지솔루션(+5.1%), BYD(+4.8%), Panasonic(+2%)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3.04.202510:42
23.04.202503:42
오늘 선익시스템 Micro OLED 증착기 수주 관련 이전에 당사에서 올렸던 내용 참고 부탁드립니다
21.04.202522:44
Meritz Overnight Tech 2025. 4. 22 (화)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61%, 1W +1.33%, 1M +8.20%)
NAND(MLC 64Gb: 1D +1.15%, 1W +1.15%, 1M +5.93%)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트럼프 파월 흔들기에 뉴욕 증시 급락세...월가 우려 (YTN)
https://buly.kr/58S5Qvl
화웨이, 中서 엔비디아 대체할까…"최신 AI 칩 대량 출하 준비" (BLOTER)
https://buly.kr/6MrOIem
中 정부, 반도체 장비사 재편 추진…“200개→10개 '선택과 집중'” (전자신문)
https://buly.kr/G3D4FZB
아마존, 일부 데이터센터 임대 계약 보류? (CNBC)
https://buly.kr/611sKzh
LG·삼성, 전자폐기물 부담금 정책 두고 인도 정부 상대 소송 제기 (Reuters)
https://buly.kr/FLY2KWC
‘엔비디아’ 젠슨 황, 日 이시바 만나 “AI, 혁명 일으킬 것” (조선비즈)
https://buly.kr/1REAps6
UAE '인공지능 입법부' 세계 첫 도입…AI가 정부 자료·데이터 검토 (전자신문)
https://buly.kr/7FRBCoA
엔비디아 미국 수출규제 피해 중국용 AI칩 개발할 듯, 삼성전자 중국 HBM 수혜 이어지나 (Business Post)
https://buly.kr/DaOSWGT
삼성D, 올해부터 신규 차량 OLED 프로젝트 모두 '투 탠덤'으로 (TheElec)
https://buly.kr/DEYwYYy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컴퓨텍스 2025, 올해 테마 '넥스트 AI' (ZDNET Korea)
https://buly.kr/9XL1xN6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Micron(-3%), Nanya(+9.9%), Sony(-2.6%), Lenovo(+2.4%), Asus(-2.2%), Nvidia(-4.5%), Marvell(-4.5%), AMD(-2.2%), Magnachip(+2.4%), 테스(+2.7%), KLA(-2.1%), LAM Research(-2.1%), Air Product(-2%), Idemitsu Kosan(-2.1%), Murata(-3.1%), Yageo(-2.9%), CATL(+2.6%), Panasonic(-2.5%)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61%, 1W +1.33%, 1M +8.20%)
NAND(MLC 64Gb: 1D +1.15%, 1W +1.15%, 1M +5.93%)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트럼프 파월 흔들기에 뉴욕 증시 급락세...월가 우려 (YTN)
https://buly.kr/58S5Qvl
화웨이, 中서 엔비디아 대체할까…"최신 AI 칩 대량 출하 준비" (BLOTER)
https://buly.kr/6MrOIem
中 정부, 반도체 장비사 재편 추진…“200개→10개 '선택과 집중'” (전자신문)
https://buly.kr/G3D4FZB
아마존, 일부 데이터센터 임대 계약 보류? (CNBC)
https://buly.kr/611sKzh
LG·삼성, 전자폐기물 부담금 정책 두고 인도 정부 상대 소송 제기 (Reuters)
https://buly.kr/FLY2KWC
‘엔비디아’ 젠슨 황, 日 이시바 만나 “AI, 혁명 일으킬 것” (조선비즈)
https://buly.kr/1REAps6
UAE '인공지능 입법부' 세계 첫 도입…AI가 정부 자료·데이터 검토 (전자신문)
https://buly.kr/7FRBCoA
엔비디아 미국 수출규제 피해 중국용 AI칩 개발할 듯, 삼성전자 중국 HBM 수혜 이어지나 (Business Post)
https://buly.kr/DaOSWGT
삼성D, 올해부터 신규 차량 OLED 프로젝트 모두 '투 탠덤'으로 (TheElec)
https://buly.kr/DEYwYYy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컴퓨텍스 2025, 올해 테마 '넥스트 AI' (ZDNET Korea)
https://buly.kr/9XL1xN6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Micron(-3%), Nanya(+9.9%), Sony(-2.6%), Lenovo(+2.4%), Asus(-2.2%), Nvidia(-4.5%), Marvell(-4.5%), AMD(-2.2%), Magnachip(+2.4%), 테스(+2.7%), KLA(-2.1%), LAM Research(-2.1%), Air Product(-2%), Idemitsu Kosan(-2.1%), Murata(-3.1%), Yageo(-2.9%), CATL(+2.6%), Panasonic(-2.5%)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1.04.202504:24
23.04.202522:52
23.04.202521:39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Whirlpool Says Tariffs to Benefit Business Going Forward
- Whirlpool, 관세가 외국 제조업체의 가격을 인상함으로써 "경쟁의 장을 공평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
- Whirlpool은 대부분의 가전제품을 미국에서 생산하며, 매출의 80%가 미국에서 발생
https://buly.kr/EziX59g (Bloomberg)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Whirlpool Says Tariffs to Benefit Business Going Forward
- Whirlpool, 관세가 외국 제조업체의 가격을 인상함으로써 "경쟁의 장을 공평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
- Whirlpool은 대부분의 가전제품을 미국에서 생산하며, 매출의 80%가 미국에서 발생
https://buly.kr/EziX59g (Bloomberg)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3.04.202510:42
22.04.202522:50
[삼성전자 2차 자사주 매매 현황]
- 전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체결내역입니다.
보통주: 700,000주
우선주: 100,000주
* 2차 자사주 매입 공시 금액인 3조원 중 전일까지 매수 진행률은 88.2% (2조 6,457억원) 입니다.
- 금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신청내역입니다.
보통주: 700,000주
우선주: 100,000주
(자료: KIND)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전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체결내역입니다.
보통주: 700,000주
우선주: 100,000주
* 2차 자사주 매입 공시 금액인 3조원 중 전일까지 매수 진행률은 88.2% (2조 6,457억원) 입니다.
- 금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신청내역입니다.
보통주: 700,000주
우선주: 100,000주
(자료: KIND)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21.04.202522:28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삼성디스플레이, 美서 BOE 추가 제소…“OLED 특허 4건 침해”
- 삼성디스플레이, BOE와 BOE 관계사 7곳이 자사 OLED 특허를 침해했다며 추가 소송 제기
- 삼성디스플레이는 소장을 통해 BOE가 자사 OLED 박막트랜지스터(TFT) 구조 , 박막봉지(TFE)의 셀 구조 관련 특허 등 특허 4건(미국 특허 11574990, 11574991, 10439015, 10013088)을 침해했다고 설명
- 또한 특허를 침해한 BOE OLED가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누비아 Z60 울트라, 레드매직9S 프로 등에 적용되었다고 주장
- 이와 별개로 삼성디스플레이가 BOE 상대로 미국 법원에서 진행 중인 지식재산권(IP) 관련 소송은 크게 3건
- 삼성디스플레이는 특허침해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손해배상과 판결 전후의 이자, 3배에 달하는 징벌적 손해배상금 등을 요청했으며 BOE에 강한 압박을 가하고 있는 상황
https://buly.kr/HSX86OK (전자신문)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삼성디스플레이, 美서 BOE 추가 제소…“OLED 특허 4건 침해”
- 삼성디스플레이, BOE와 BOE 관계사 7곳이 자사 OLED 특허를 침해했다며 추가 소송 제기
- 삼성디스플레이는 소장을 통해 BOE가 자사 OLED 박막트랜지스터(TFT) 구조 , 박막봉지(TFE)의 셀 구조 관련 특허 등 특허 4건(미국 특허 11574990, 11574991, 10439015, 10013088)을 침해했다고 설명
- 또한 특허를 침해한 BOE OLED가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누비아 Z60 울트라, 레드매직9S 프로 등에 적용되었다고 주장
- 이와 별개로 삼성디스플레이가 BOE 상대로 미국 법원에서 진행 중인 지식재산권(IP) 관련 소송은 크게 3건
- 삼성디스플레이는 특허침해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손해배상과 판결 전후의 이자, 3배에 달하는 징벌적 손해배상금 등을 요청했으며 BOE에 강한 압박을 가하고 있는 상황
https://buly.kr/HSX86OK (전자신문)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21.04.202504:19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2025년 4월 전기전자 수출입통계 잠정치 발표 (~4.20)
(MoM 증감률은 1~20일 기준)
1) 스마트폰
- 수출 금액: 2억 7,240만 달러
(+52.8% YoY, +53.8% MoM)
- 수출 단가: 2,241.4달러/kg
(+18.4% YoY, +31.4% MoM)
2) 카메라모듈
- 수출 금액: 3억 7,397만 달러
(+36.9% YoY, -2.4% MoM)
- 수출 단가: 3,418.8달러/kg
(+13.9% YoY, -1.8% MoM)
3) MLCC
- 수출 금액: 6,646.6만 달러
(-6.4% YoY, -3.4% MoM)
- 수출 단가: 201.4달러/kg
(-2.2% YoY, -6.6% MoM)
4) PI필름
- 수출 금액: 186.2만 달러
(+20.5% YoY, +134.8% MoM)
- 수출 단가: 37.9달러/kg
(+15.7% YoY, +37.7% MoM)
5) 리드프레임
- 수출 금액: 1,958.9만 달러
(-4.8% YoY, +4.1% MoM)
- 수출 단가: 85.6달러/kg
(-4.4% YoY, +3.0% MoM)
6) PCB
- 수출 금액: 1억 4,544만 달러
(+5.7% YoY, +1.0% MoM)
- 수출 단가: 183.4달러/kg
(+6.5% YoY, -2.0% MoM)
7) FPCB
- 수출 금액: 1억 374만 달러
(-11.5% YoY, -5.9% MoM)
- 수출 단가: 557.9달러/kg
(-0.2% YoY, -3.0% MoM)
8) 솔더볼
- 수출 금액: 238.3만 달러
(+37.2% YoY, +2.4% MoM)
- 수출 단가: 106.2달러/kg
(-6.5% YoY, +2.5% MoM)
9) 엑추에이터
- 수출 금액: 1,935.6만 달러
(-14.7% YoY, +13.6% MoM)
- 수출 단가: 18.9달러/kg
(-9.0% YoY, +11.2% MoM)
10) CCL(동박적층판)
- 수출 금액: 3,493.8만 달러
(+2.3% MoM)
- 수출 단가: 87.2달러/kg
(+6.0% MoM)
(자료: TRASS)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2025년 4월 전기전자 수출입통계 잠정치 발표 (~4.20)
(MoM 증감률은 1~20일 기준)
1) 스마트폰
- 수출 금액: 2억 7,240만 달러
(+52.8% YoY, +53.8% MoM)
- 수출 단가: 2,241.4달러/kg
(+18.4% YoY, +31.4% MoM)
2) 카메라모듈
- 수출 금액: 3억 7,397만 달러
(+36.9% YoY, -2.4% MoM)
- 수출 단가: 3,418.8달러/kg
(+13.9% YoY, -1.8% MoM)
3) MLCC
- 수출 금액: 6,646.6만 달러
(-6.4% YoY, -3.4% MoM)
- 수출 단가: 201.4달러/kg
(-2.2% YoY, -6.6% MoM)
4) PI필름
- 수출 금액: 186.2만 달러
(+20.5% YoY, +134.8% MoM)
- 수출 단가: 37.9달러/kg
(+15.7% YoY, +37.7% MoM)
5) 리드프레임
- 수출 금액: 1,958.9만 달러
(-4.8% YoY, +4.1% MoM)
- 수출 단가: 85.6달러/kg
(-4.4% YoY, +3.0% MoM)
6) PCB
- 수출 금액: 1억 4,544만 달러
(+5.7% YoY, +1.0% MoM)
- 수출 단가: 183.4달러/kg
(+6.5% YoY, -2.0% MoM)
7) FPCB
- 수출 금액: 1억 374만 달러
(-11.5% YoY, -5.9% MoM)
- 수출 단가: 557.9달러/kg
(-0.2% YoY, -3.0% MoM)
8) 솔더볼
- 수출 금액: 238.3만 달러
(+37.2% YoY, +2.4% MoM)
- 수출 단가: 106.2달러/kg
(-6.5% YoY, +2.5% MoM)
9) 엑추에이터
- 수출 금액: 1,935.6만 달러
(-14.7% YoY, +13.6% MoM)
- 수출 단가: 18.9달러/kg
(-9.0% YoY, +11.2% MoM)
10) CCL(동박적층판)
- 수출 금액: 3,493.8만 달러
(+2.3% MoM)
- 수출 단가: 87.2달러/kg
(+6.0% MoM)
(자료: TRASS)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Показано 1 - 24 із 1071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