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17.04.202522:42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4.18)

1) 1Q25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3.3% 성장. 글로벌 성장률 상회(IDC)
- 1Q25 출하량 7,160만대 기록. 글로벌 출하량 성장률 1.5% 상회. 정부 보조금과 춘절 성수기 판매가 성장 주도했으나, IDC의 기존 전망치는 하회
- https://tinyurl.com/bd2pwxw3

2) 미국 관세로 재고 축적 수요 급증, 2분기 메모리 계약 가격 추가 상승 전망(TrendForce)
- 상호 관세 부과가 90일 유예되며, 구매자와 공급 업체들의 전략 조정. 양쪽 모두 유예 기간 내 거래와 출하를 완료하기 위해 서두르는 중. 디램과 낸드 예상 계약 가격 상승폭 3~8%로 확대. 다만, 이러한 가격 상승 모멘텀은 단기간에 그칠 전망
- https://tinyurl.com/4eef8ymf

3) Yageo, 1분기 매출 총이익률 9개 분기만에 최고치. 2분기 매출 한자릿수 초반 성장 전망(YahooFinance)
- 1분기 매출액은 AI향 제품 출하 증가로 전년 대비 9% 성장. 2분기 매출액, 영업이익 모두 QoQ 성장 전망.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은 관리 가능하다고 언급, 고객 재고는 계속해서 건전한 수준으로 조정되고 있다고 설명
- https://tinyurl.com/2phkc29k

4) iPhone18 시리즈, 프로세서 비용으로 인한 가격 인상 우려(AppleInsider)
- iPhone18 시리즈에 탑재될 것으로 예상되는 2nm 프로세서 제조 비용으로 인해, 가격 인상 우려 제기. 2nm 공정의 낮은 수율 때문에 제조 비용 높아질 것으로 우려
- https://tinyurl.com/yv7b9m3d

5) OLED 수요 증가에 힘입어 디스플레이 설비투자 확대 전망(연합뉴스)
- Counterpoint, 2020~2027년 디스플레이 장비 지출 규모 기존 대비 2% 상향된 770억 달러로 예상. OLED가 전체 장비 지출의 58% 차지할 전망. 2027년까지 중국이 매년 장비 지출 선두 유지할 전망
- https://tinyurl.com/pf49zht3

6) 세계 OLED 모니터·패널 모두 '삼성 1위'(전자신문)
- 모니터 세트, 패널 모두 시장 점유율 1위. 작년 OLED 모니터 124만대 출하, 2022년 대비 약 16배 이상 성장. OLED 모니터 시장 금액 기준 점유율 35%, 2년 연속 1위
- https://tinyurl.com/4v4wap5x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13.04.202522:42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4.14)

1) 트럼프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 관세 면제 아니다"(한국경제)
- 스마트폰, 컴퓨터 및 기타 전자제품은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는 면제. 하지만, 1~2개월 내 발표될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 포함되어 관세 부과될 예정
- https://tinyurl.com/4rcp6hy7

2)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로 대만 IT 기업 긴급 주문 급증(TrendForce)
- 정책 변화로 일부 대만 산업용 PC 및 칩 제조업체에 긴급 주문 쇄도. 일부 기업들은 뚜렷한 수요 변화를 관찰하지 못했다고 언급. 관세 영향을 받지 않는 멕시코 지역 생산 시설의 생산 계획은 변동 없는 것으로 확인
- https://tinyurl.com/bddcjne9

3) 일본 Meiko, 아이폰 부품 생산을 위해 베트남에 공장 신설 계획(NikkeiAsia)
- FY2026부터 인도 아이폰 공장에 PCB 공급하기 위해, 베트남에 신규 공장 건설 예정
- https://tinyurl.com/ybw8se4b

4) 2025년 2월 OLED TV 출하량, 전년 대비 19% 성장(Omdia)
- 같은 기간 LCD TV 출하량은 2.4% 감소. 4Q24 OLED TV 출하량 200만대, 미니LED TV 출하량 300만대 기록. 처음으로 미니LED TV 출하량이 OLED TV를 상회
- https://tinyurl.com/3p4jfbeb

5) 2025년 노트북 디스플레이 시장 전년 대비 8% 성장 전망(DSCC)
- Windows10 지원 종료, AI PC 등장, 3~5년의 교체 주기 등이 PC 수요 견인할 전망
- https://tinyurl.com/h3jj4wuk

6) OLED 스마트폰 패널 매출, 전년 대비 2% 증가 전망(DSCC)
- OLED 스마트폰 판매량은 6% 증가 예상. OLED 스마트폰 패널 매출 감소는 Rigid 및 Foldable OLED 출하 감소에서 기인할 전망
- https://tinyurl.com/mtzt2jr3

7) 테슬라, 삼성파운드리-삼성디스플레이 연이어 방문. '패키지 딜' 기대감(Kipost)
- 파운드리 및 차량용 OLED 연계 수주 가능성 기대
- https://tinyurl.com/mr37pzzz

8) 화웨이 두 번 접는 폰 '메이트XT', 글로벌서 2조원어치 팔렸다(전자신문)
- 메이트XT Ultimate 글로벌 판매량 40만대 돌파. 글로벌 출시 2개월만의 성과. 500만원이 넘는 고가 스마트폰에 대한 글로벌 수요 입증
- https://tinyurl.com/2afj87y5

9) 삼성 '6년 내공' 깐깐한 애플 뚫었다. 파격 결정에 '환호'(한국경제)
- 삼성디스플레이, 애플 첫번째 폴더블폰 모델에 OLED 전량 공급. 폴더블 아이폰 판매량 1,500만대 상회 전망도 제기. SDC의 폴더블 OLED 점유율 70% 상회 전망
- https://tinyurl.com/a3k6yret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08.04.202522:36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4.8)

1) 미국 관세로 투자 및 소비 모멘텀 억제. 2025년 글로벌 end-market 전망 하향 조정(TrendForce)
- 2025년 서버, 스마트폰, 노트북 등 최종 기기 시장 전망 하향 조정. 제품별 출하량 성장률을 AI 서버 18~24.5%, 일반 서버 2~5.4%, 스마트폰 -5~0%, PC 2~3%로 조정. 미국 가치가 20%를 넘는 상품에 대한 면세 조항으로 일부 프리미엄 스마트폰은 면세 자격 확보, 중저가 제품은 여전히 관세 영향
- https://tinyurl.com/yjccfzxc

2) 2025년 PC 시장 변동성 확대 전망(IDC)
- 1Q25 PC 출하량, 전년 대비 4.9% 증가한 6,320만대. 1분기에는 공급업체와 구매자 모두 관세 영향에 대비하며, 시장 성장. 관세가 소비자들에게 직접 전가될 것으로 분석, 향후 PC 소비에 영향을 미치며 변동성 확대될 전망
- https://tinyurl.com/53eyf9sd

3) 애플, 1Q25 PC 시장 점유율 상승(AppleInsider)
- 1Q25 Mac 출하량 550만대, 전년 대비 15% 성장. PC 시장 점유율 8.7% 차지하며, 전년 대비 0.7%P 개선
- https://tinyurl.com/2er4nhjj

4) 4월 초 패널 가격, 관세 불안이 다가오며 TV 및 노트북 패널 가격 안정세 유지(TrendForce)
- TV 패널 수요 약화에 대한 우려 확산. 브랜드사 재고 수준 증가하며, 패널 제조사들도 수요 약화 인식. 4월 TV 패널 가격 보합세 전망. 노트북 패널도 2분기 수요 약세 예상, 4월 패널 가격 보합세 전망
- https://tinyurl.com/s49f2p2k

5) 중국, 소비자 보조금으로 미니 LED TV 판매 급증(NikkeiAsia)
- 중국 내 보조금 정책 효과로 미니LED TV 수요 급증. 4Q24에 중국에서 출하된 미니LED TV는 전분기 대비 130% 급증한 202만대, 글로벌 점유율 65%. 미니LED 생산 증가로 가격 하락 기대
- https://tinyurl.com/58fyjy7n

6) 관세 폭탄에 스마트폰 공장 美로 옮긴다? "가능성 희박"(ZDNETKorea)
- 카운터포인트리서치,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제조 시설 이전은 역부족이라고 분석. 미국 내 제조가 비용 측면에서 전혀 이점이 없다고 지적
- https://tinyurl.com/43fhj2vw

7) "관세 오르기 전에 사자". 美, 아이폰 구매 이상열풍(ZDNETKorea)
- 향후 아이폰 가격 상승을 우려해 미리 아이폰 구매하려는 수요 증가. 애플, 미리 재고 비축. 인도서 만든 아이폰 미국으로 더 많이 가져올 계획
- https://tinyurl.com/za6ujvuf

8) LG이노텍, 반도체 유리기판 투자 개시. 구미에 시생산 라인 구축(전자뉴스)
- https://tinyurl.com/477ppah9

9) 매그나칩, DDI 사업 청산. 임직원 해고 통보(전자뉴스)
- 올해 2분기 말까지 청산 절차 완료 예정
- https://tinyurl.com/ywztb8mb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07.04.202501:50
▶ LG전자 1Q25 잠정실적

1Q25 매출액 22조 7,447억원, 영업이익 1조 2,590억원(opm 5.5%)

(컨센서스: 매출액 22조 688억원, 영업이익 1조 2,593억원)

▶ 실적 공시 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7800355

[김소원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02.04.202522:36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4.3)

1) 트럼프의 상호 관세, 애플의 모든 해외 제조 파트너에게 영향(AppleInsider)
- 기본 관세 10%에 각 국가별로 상호 관세 부과. 애플의 생산 기지가 있는 중국과 인도의 상호관세율은 각각 34%, 26%. 애플 제품들의 가격 상승 우려
- https://tinyurl.com/hrh2n59a

2) 중국 전자제품 보조금 정책으로 고급 스마트폰 판매 급증(Digitimes)
- 중국 이구환신 보조금, 2025년 상반기 전자 제품 판매 강화. 스마트폰 부문 강세, 그 중에서도 플래그십 모델 점유율 확대 관찰. IDC에 따르면, 25년 1~2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5,000만대, 전년 대비 15% 증가
- https://tinyurl.com/yy5u7ka6
- https://tinyurl.com/3tjvkh5k

3) OLED 수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자본지출 전망 상향(DSCC)
- 2020~2027년 디스플레이 장비 지출 예측은 이전 대비 2% 상승한 770억 달러 예상. 이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83%. OLED 장비 지출은 G8.7 OLED 팹 추가, flexible/LTPO 전환 등으로 매년 증가해 2027년 83억 달러 도달 전망
- https://tinyurl.com/5n84s73y

4) 삼성, '초슬림폰' 갤럭시S25엣지 공개 5월 이후로(전자신문)
- 갤럭시S25 엣지 공개 행사 시점을 5월과 6월 사이로 논의 중. 원래 공개 시점은 4월 15일로 예정. 가격 정책은 그대로 유지. 갤럭시S25엣지 256GB 모델은 150만원선으로 출고될 전망
- https://tinyurl.com/muk8b997

5) DB글로벌칩, 스마트폰용 OLED 구동칩 양산. 삼성디스플레이에 공급(ZDNETKorea)
- 갤럭시 A26 모델에 최종 적용. 향후 고사양 스마트폰용 OLED용 구동칩 시장으로 영역 확대 목표
- https://tinyurl.com/4632h5ks

6) 삼성디스플레이, 中 BOE 무역 비밀 침해 고소. “OLED 기술 빼가”(서울와이어)
- 현지시간 4/1일 미국 텍사스 연방 동부지방법원에 무역 비밀 침해 고소장 제출. “산업 스파이·전 직원 채용 등으로 기밀 훔쳤다"고 주장. BOE와 OLED 특허침해 전쟁 연장선
- https://tinyurl.com/3um5m555

7) LG전자, HAVC솔루션 싱가포르 초대형 물류센터에 낙점(이데일리)
- 상업용 에어컨 ‘멀티브이 아이’ 공급. 동남아 공조시장 입지 확대. 맞춤형 솔루션·현지화 전략 주효
- https://tinyurl.com/42fuek3k

8) 메타, 올해 화면 달린 스마트 안경 출시. 가격 200만원(ZDNETKorea)
- 블룸버그 "코드명 하이퍼노바, 중간급 스마트안경 시장 공략" 보도. 가격은 최대 1,300~1,400달러 수준으로 예상. 현재 시장에 출시된 메타 레이벤 스마트 안경 가격은 299달러부터
- https://tinyurl.com/4bcuznyn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30.03.202522:37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3.31)

1) 폴더블폰 출하량, 2025년 첫 역성장 후 2026년 강력한 성장 전망(Counterpoint)
- 2024년 글로벌 폴더블폰 출하량 전년 대비 3% 성장. 2025년에는 한자릿수 마이너스 성장 예상. 2026년 애플의 시장 진입으로 반전 기대
- https://tinyurl.com/4795wbya

2) 애플의 차기 폴더블 아이폰에 대한 6가지 정보들(MacRuomrs)
- 주름 없는 내부 화면 목표, 폴드 타입, iPad mini와 유사한 사이즈, 접었을 때 9~9.5mm 사이의 두께, 2,000~2,500달러 사이의 비싼 가격 등
- https://tinyurl.com/3jeyzxba

3) 3월 스마트폰 플렉시블 OLED 가격 하락. 리지드 OLED와 격차 줄어(THEELEC)
- 가격차 2월 4.2달러→3월 3.7달러로 축소. 중가 스마트폰 제조원가 부담이 커져, 일부 플렉시블 OLED 가격이 하락했다고 풀이. 스마트폰 업체들의 플렉시블 OLED 재고비축 수요는 강력하다고 분석
- https://tinyurl.com/3uat4x5z

4) M5 iPad Pro, 2025년 하반기 출시 앞두고 테스트 중(AppleInsider)
- Bloomberg, 차기 iPad Pro가 예상보다 일찍 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애플은 이미 M6 기반 iPad Pro 작업도 시작, 2027년 출시 기대
- https://tinyurl.com/bdfyrr7e

5) 전면 유리 Apple Watch, 전면 유리 iPhone보다 먼저 출시될 전망(AppleInsider)
- 알루미늄이나 금속 소재 없이 본체 모든 부분을 유리로 만든 애플워치 출시 예상
- https://tinyurl.com/4furh56u

6) 삼성 '엑시노스' 스마트폰으로 이관? “득보다 실”(전자신문)
- 엑시노스' 개발, DS부문서 MX사업부로 이관설' 나와. 이유는 스마트폰과 AP의 시너지를 위한 것으로 분석
- https://tinyurl.com/4fn4nc6k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16.04.202522:35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4.17)

1) 1Q25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3% 성장(Counterpoint)
- 중국, 라틴아메리카, 동남아시아 지역 성장에 힘입어 전년 대비 3% 성장. 당초 성장률 예상치인 6%를 하회했는데, 분기 말 관세 관련 불확실성과 OEM 업체들의 조심스러운 재고 축적 때문. 2025년 연간 성장률 전망치도 4%에서 마이너스~제로 성장으로 하향
- https://tinyurl.com/33c9xyj9

2) 중국 보조금 제도, 지속적인 스마트폰 수요 창출 실패(Counterpoint)
- 주간 스마트폰 판매량은 춘절 전 일시적인 급증세 이후, 5~11주차까지 연속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 해당 기간 누적 판매량 전년 대비 5% 감소. 시장 회복을 위해서는 인센티브 뿐만 아니라 제품 혁신이 필요
- https://tinyurl.com/2s3w4b93

3) QD-OLED, 2025년 OLED 모니터 출하량의 73% 차지할 전망(TrendForce)
- 기술 발전과 신제품 출시로 인해, QD-OLED 점유율은 2024년 68%에서 2025년 73%로 상승 예상. 새로운 발광 소재 기술, 잉크 재활용 기술 발전,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라인 감가상각 종료(2027년) 등으로 생산비용 더욱 낮아질 전망
- https://tinyurl.com/mr25wyz6

4) 차세대 Apple Vision Pro, 무게 줄이기 위해 티타늄 사용 가능할 전망(AppleInsider)
- Apple Vision Pro2, 2026년 4월 출시 전망 제기. 무게를 줄이기 위해 알루미늄 대신 티타늄 사용될 전망. 대부분 외부 소재는 알루미늄이나, 일부 내부 구조에 티타늄이 사용될 것으로 관측
- https://tinyurl.com/36dff5n2

5) LG전자 '글로벌 사우스' 전략 가속. 인니에 에어컨 생산능력 확대(파이낸셜뉴스)
- 인도네시아 법인, 에어컨 생산능력 확충. 연 180만대 생산 목표, 인도네시아, 아시아, 중동 시장 겨냥. '글로벌 사우스' 전략 박차
- https://tinyurl.com/2s3hmyve

6) 삼성전기 “반도체 유리기판 생태계 만들겠다”(전자신문)
- 소재·부품·장비 및 공정 협력 체계 구축해 시장 주도권 확보하겠다는 의지 표명. 삼성전기는 2Q25 세종 사업장 유리기판 시생산 라인 가동 준비. 2027년 이후 양산 목표
- https://tinyurl.com/5arc4nhz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10.04.202522:57
(유가)LG디스플레이 - [기재정정]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처분결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411800016
2025-04-11
07.04.202522:45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 LG전자 [BUY, 110,000원(하향)]

  : 가전과 전장이 이끈 실적. 시선은 2Q25로

1) 1Q25 영업이익 1조 2,590억원, 가전과 전장이 이끈 실적

   LG전자의 1Q25 연결 실적은 매출액 22.7조원(flat QoQ, +8% YoY), 영업이익 1조 2,590억원(+830% QoQ, -6% YoY)으로, 상향된 시장 기대치(1조 2,593억원)에 부합

   다만 당사 추정치(1조 3,267억원)는 5% 하회. 이는 사업부 조정 관련 일회성 비용이 반영된 영향

   LG이노텍 제외 기준 단독 영업이익은 1조 1,310억원(-2% YoY) 예상. 가전(HS&ES)과 전장(VS) 사업부의 실적이 기대치를 상회한 반면, TV 및 IT(MS) 부문은 부진. LG이노텍의 영업이익은 1,285억원으로, 이전 추정치 부합한 것으로 판단

2) 사업부별 예상 영업이익

   - HS(가전): 6,811억원(+16% YoY), opm 10.2%(+0.6%p YoY) 예상. 글로벌 가전 시장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동사는 신흥국 중심의 성장세 지속. 특히 가전 구독 매출과 중저가(볼륨존) 제품의 점유율 확대가 지속됐으며, 운임비 하락에 따른 수익성 개선 효과 반영

   - MS(TV/IT/ID): -23억원(적전 YoY), opm BEP(-3.6%p YoY) 예상. TV 및 IT 수요 둔화와 LCD 패널 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성 부담 지속

   - VS(전장): 1,197억원(+131% YoY), opm 4.1%(+2.2%p YoY) 예상. IVI 제품 중심의 믹스 개선으로 기대치를 크게 상회. 다만, 관세 우려에 따른 일부 pull-in 수요가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

   - ES(에어컨, 칠러 등): 3,804억원(+13% YoY), opm 12.5%(-0.5%p YoY) 예상. 가정용 및 B2B향 냉난방 공조 시스템 모두 성장세 지속

   - 기타(LG PRI 등): -478억원(적전 YoY), opm -13.6%(-14.4%p YoY) 예상. 프로젝트 인식 시점에 따른 매출 감소 및 사업부 조정 관련 일회성 비용 반영되며 수익성 악화

3) 주가는 12개월 Forward P/B 0.5배, 바닥 다지는 구간

   2Q25 연결 매출액 21.9조원(-4% QoQ, +1% YoY), 영업이익 1조 167억원(-19% QoQ, -15% YoY)로, 미 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이 본격화될 전망

   2024년 기준 연결 매출액의 약 26%가 미주 지역에서 발생하는 만큼 관세 영향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

   그러나 현재 주가는 12개월 Forward P/B 0.5배 수준으로, 역사적 저점인 2020년 3월 코로나 시기의 수준까지 근접

   2Q25 실적에 따라 주가의 방향성이 보다 명확해질 것으로 예상되나, 현 주가에서는 저가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고 판단

   이익 추정치 및 Target multiple(0.84배)을 조정함에 따라 목표주가는 110,000원으로 하향하나, 투자의견 ‘BUY’ 유지.

▶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283.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06.04.202522:36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4.7)

1) 트럼프 관세 영향으로 아이폰 가격 2,3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을 전망(Reuters)
- 관세로 인한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한다면, 아이폰 가격 30~40% 인상될 전망. iPhone16 Pro Max는 현재 1,599달러에 판매 중이나, 43% 인상 시 2,300달러 도달
- https://tinyurl.com/2rx9nm6t

2) 애플, 가격 인상 연기하려고 노력 중이나, 오래 가기 어려울 것(AppleInsider)
- Bloomberg, 애플이 미국 및 기타 지역에서 제품 가격 인상해야 하나, 다음 신제품 업그레이드까지 인상을 연기하려고 노력 중. 그럼에도 가까운 미래에 제품 가격 오를 것으로 예상. iPhone17 Pro 가격이 2,000달러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을 전망
- https://tinyurl.com/39b497vw

3) 美, 애플에 관세 면제설 '모락'. "삼성 기댈 곳은 전 세계 공장"(연합뉴스)
- 트럼프 1기서 면제 전례 있는 애플, 이번에도 관세 예외 품목에 포함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 현실화될 경우, 삼성 스마트폰 큰 타격. 관세 실현 시, 인도, 브라질, 한국 등을 대미 생산기지로 대체 활용할 것으로 예상
- https://tinyurl.com/jtz493rf

4) 베트남 “대미 관세 0%까지 내리겠다” 람 총서기-트럼프 통화(문화일보)
- 트럼프 대통령, 람 베트남 공산당 총서기와 매우 생산적인 통화를 했다고 언급. 대미 관세를 0%까지 내릴 수 있으며, 가까운 미래 회담을 기대한다고 언급
- https://tinyurl.com/4c3trx78

5) 트럼프 관세폭탄에 HP·애플 등 美 PC 제조사 '직격탄'(ZDNETKorea)
- PC 최종 생산 국가 따라 관세 달라져. HP "북미 공급 제품 생산 거점 중국 밖에서 만들 계획". 궈밍치, "애플 생산 거점, 脫 중국 가속" 전망
- https://tinyurl.com/2jwv4c3w

6) 삼성디스플레이, 아이패드 프로 13인치 OLED 승인. LGD와 경쟁(전자신문)
- 품질인증 통과, 5월부터 납품 예정. 작년 11인치 이어 공급 확대. LG디스플레이와 물량 경쟁
- https://tinyurl.com/ka3h7nny

7) 시스템LSI가 설계한 아이폰용 DDI, TSMC가 생산한다(Kipost)
- 아이폰용 DDI 위탁생산, 2027년부터 TSMC가 담당. 16nm HV 공정 지원 여부 때문인 것으로 파악
- https://tinyurl.com/ye22db2k

8) 삼성, 듀얼 폴딩 폰을 넘어 쿼드 폴딩 폰 개발 모색(TrendForce)
- 삼성, 3개의 힌지와 단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춘 4중 접이식 기기 특허 출원. 듀얼 폴딩 폰은 곧 출시될 예정
- https://tinyurl.com/3rnzhuyn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01.04.202522:37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스몰캡 오현진, 중국주식 박주영]

안녕하세요, 키움증권 김소원 입니다. 폴더블 아이폰과 OLED 산업을 다룬 자료를 발간했습니다.

애플의 첫 폴더블 스마트폰은 2026년 말 출시가 예상되며, 2Q25에 제품 스펙과 서플라이 체인이 확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6년은 폴더블 아이폰, 아이패드 미니, 맥북 프로용 OLED 패널 양산이 본격화되고, 프리미엄 시장에서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중국과의 격차를 더욱 벌릴 것으로 전망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자료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빼앗긴 들에 봄이 온다

   : 폴더블 아이폰과 IT OLED를 기다리며

1) 빼앗긴 들에 봄이 온다

   지난달 19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중국 BOE가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특허를 침해했다고 판정

   수입 금지 조치는 내려지지 않았지만 이번 판정으로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기술력이 입증되고, 향후 중국 업체들과의 특허 소송에서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정부 보조금을 기반으로 OLED Capa를 공격적으로 확대하며 저가형 패널 공급을 통해 점유율 확대

   그러나 2025년부터는 아이폰 17 시리즈 전 모델에 LTPO 패널이 적용되며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프리미엄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전망

   특히 BOE가 아이폰용 LTPO 패널 양산 승인을 받지 못하며,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시장 점유율 확대 예상

2) 2026년에 집중된 폴더블 및 IT OLED 모멘텀

   2026년은 폴더블 아이폰과 IT OLED가 이끄는 OLED 전성기이자, 새로운 기술 혁신의 원년이 될 전망. 2026년에는 폴더블 아이폰, 아이패드 미니, 맥북 프로용 OLED 패널의 양산 본격화

   폴더블 아이폰과 맥북 프로용 OLED 패널은 삼성디스플레이의 단독 공급이 예상되며, OLED 아이패드 미니와 2027년 출시될 OLED 아이패드 에어는 LG디스플레이의 수혜로도 이어질 전망

   더불어 2025년 말부터 삼성디스플레이의 8.6세대 OLED 생산 라인(A6) 양산 본격화. 삼성디스플레이는 8.6세대 OLED 양산을 통해 IT OLED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확고히 하며, 경쟁사들과의 기술 격차를 확대할 전망

3) 폴더블 및 IT OLED 수혜 업체 주목

   2026년부터 가속화될 폴더블 아이폰과 IT OLED 시장 확대의 최대 수혜주로 덕산네오룩스를 디스플레이 업종 Top Pick으로 추천

  관심 종목으로 LG디스플레이, 이녹스첨단소재, 유티아이, 세경하이테크, 파인엠텍 제시.

▶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CI5286.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27.03.202522:37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3.28)

1) 폴더블 아이폰, 변형에 강한 금속 유리(액체 금속) 힌지 적용(MacRumors)
- 굽힘, 변형 등에 더 강한 금속 유리 소재 사용. 급속 냉각 기술을 통해, 티타늄 합금 대비 2.5배 더 단단할 전망. 화면 주름 개선 효과 기대. 다만, 복잡한 힌지 구조 등은 과제
- https://tinyurl.com/yk4jzpa7
- https://tinyurl.com/426z4v8s

2) 일본 분석가, 2029년까지 서버용 커패시터 수요 4배 증가 전망(Digitimes)
- JEITA, AI 데이터센터 성장이 서버에 사용되는 커패시터 수요 급증 견인할 전망
- https://tinyurl.com/mpt68vjh

3) BOE HC Semi, 마이크로LED 제품 공급 시작(TrendForce)
- 세계 최초 6인치 마이크로LED 양산 라인에서 제품 공급 시작. 연간 생산 용량은 마이크로LED 웨이퍼 24,000세트
- https://tinyurl.com/26akp3kv

4) 다나와 "국내 시장서 PC용 D램 모듈 가격 상승세"(ZDNETKorea)
- DDR5 8GB 제품 10% 상승. DDR4 메모리 가격도 동반 상승. DRAM 소매 가격 상승세 당분간 지속될 전망
- https://tinyurl.com/35mk4ewv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15.04.202522:35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4.16)

1) 폴더블 아이폰, 2,000달러 이상 가격 형성될 전망(AppleInsider)
- 소비자 가격 2,100~2,300달러 사이가 될 전망. 애플의 일반적인 아이폰 이익률 반영한 수치
- https://tinyurl.com/5fpewzhm

2) 폴더블 아이폰, 화면 사양 나왔다. "폴더블 화면에 UDC 지원"(ZDNETKorea)
- 폴더블 아이폰 내부 디스플레이 2,713 x 1,920 해상도 지원. 내부 디스플레이에는 언더디스플레이 카메라(UDC) 기술 탑재 예정
- https://tinyurl.com/3n7wxe9j

3) 삼성전기, 세계1위 전기차 BYD 뚫었다. 中자율차 심장부에 핵심부품 공급(매일경제)
- BYD와 전장용 MLCC 대규모 납품 최종 승인. BYD는 올해 전기차 약 550만대 생산 예정, MLCC 잠재 수요는 수십억~수백억 개에 달할 전망. BYD 포함 중화향 고객과 수천억원 규모 거래 전망
- https://tinyurl.com/9xyr8bcw

4) LG전자, 동남아 증설 계획 접는다(서울경제)
-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지의 TV·가전 공장 증설 계획 전면 중단. 트럼프 상호관세로 매력 반감. 멕시코와 미국 등 북미 지역 생산량 확대로 가닥. 美공장 옆 대형창고 신규 건설하는 등 공급망 재편 돌입
- https://tinyurl.com/y8dmvwaw

5) LG전자, 내달 인도 3공장 착공. '국민 브랜드' 박차 가한다(뉴스1)
- 다음 달 세 번째 생산공장 착공.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열교환기 등 가전 8종 생산 예정. 상반기 중 인도 법인 IPO 마무리 전망, 약 2조 5천억원 조달 기대
- https://tinyurl.com/4w3x6sm8

6) 디스플레이 내 퀀텀닷 채택 증가로 두자릿수 매출 성장(DSCC)
- 2024년 퀀텀닷 필름과 확산판 시장은 전년 대비 42% 성장. QD-LCD와 MiniLED TV 확대 덕분. 2025년에도 두자릿수 성장 지속될 것으로 예상. QD-OLED용 퀀텀닷 소재 매출액은 2024년 38% 증가, 2025년에는 재활용 기술 도입으로 소재 매출 감소 예상
- https://tinyurl.com/2f3xxd9z

7) 삼성전자 LEDoS 개발, 삼성디스플레이로 가나(Kipost)
- 삼성전자 LEDoS 개발 사업을 삼성디스플레이로 이관하는 방안 논의. LEDoS는 조직 옮겨 사업화 타진할 듯
- https://tinyurl.com/3hzbxcss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10.04.202522:53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4.11)

1) OLED 스마트폰 패널 매출 YoY +2%, 출하량은 YoY +6% 성장 전망(Counterpoint)
- 프리미엄 스마트폰 부문이 강세가 유지되며 플렉서블 OLED에서 패널 수익 증가할 전망이며, 가장 큰 매출 감소는 중가형 및 폴더블 제품에서 발생 예상
- https://buly.kr/3u2iZUQ

2) AI PC, 윈도우 10의 지원 종료로 2025년 프리미엄 노트북 PC 디스플레이 성장률 YoY +8% 성장 전망(Counterpoint)
- 가장 큰 성장 동인은 윈도우 10의 지원 종료에 따른 AI PC의 부상, 그리고 3~5년의 교체주기 영향. 4Q24 첨단 노트북 PC패널 출하량은 QoQ+19%, YoY+45% 증가
- https://buly.kr/7bGdAPq

3) 애플, 고용량 아이폰 모델 중심의 판매 전략으로 수익성 방어할 가능성(AppleInsider)
-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애플이 아이폰17 프로 가격을 관세 인상에서 보호하기 위해 구매자를 더 큰 저장용량으로 유도하는 등의 장기적인 전략 추진 가능
- https://buly.kr/E78fTj5

4) LG전자, 역대급 더위 예보에 1분기 국내 가정용 일반 에어컨 판매량이 YoY 60% 증가(한국경제)
- 기상청은 '2025 여름 기후전망'을 통해 올여름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을 전망. 프리미엄 에어컨 제품은 여름철을 피해 연초 선구매 수요가 상당
- https://buly.kr/EziSNqw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07.04.202522:38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4.8)

1) 애플, 관세 정책에 맞춰 아이폰, PC 조기 출하(TrendForce)
- 3월 말 아이폰과 PC 등을 인도에서 미국으로 운송. 향후 몇 달 간의 재고를 비축해 놓은 것으로 확인. 선적을 서두름으로써 소매 가격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
- https://tinyurl.com/5n7h3tbe

2) 美 ITC 조사국 “BOE, 삼성D 영업비밀 침해. 수입금지 조치 필요”(전자신문)
- ITC 불공정수입 조사국, BOE 제품에 대한 제한배제 명령과 행위중지 명령 내려야 한다고 주장. BOE가 생산하는 OLED와 완제품에 대한 수입 금지와 이미 수입한 BOE 제품을 판매하는 것이 금지될 전망. 예비 판결은 5월 1일 예정. 조사국 결론이 예비판결에 인용되면, 최종 판결에서 뒤집히는 경우는 많지 않음
- https://tinyurl.com/2vzzwm7e

3) 국내 PC 시장에 '봄바람' 불까. "불확실성 해소에 회복 기대"(ZDNETKorea)
- 윈도10 단종·게이밍 PC·조달 수요 긍정적.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소비 심리 개선도 기대. 기업용 PC 교체 수요 2분기부터 본격화 기대. 상호관세와 환율은 변수
- https://tinyurl.com/4nmzusha

4) 삼성전자, AI TV로 프리미엄 시장 뚫는다. "OLED 1등 할 것"(ZDNETKorea)
- 올해 AI TV 라인업, 기존 Neo QLED와 OLED에서 QLED와 더 프레임까지 확대, 총 61개 모델. 작년 OLED TV 출하량 140만대, 올해는 전년 대비 확대 계획. 초대형과 프미리엄 시장에서 1등을 하겠다는 기조 유지
- https://tinyurl.com/r5ucespa

5) 2024년 상업용 PC 시장 회복, 교체 수요 기대(IDC)
- 2024년 대만 PC 출하량 216.5만대, 전년 대비 1.2% 성장. 상업용 PC는 전년 대비 4.6% 성장. 윈도우 10 지원 중단 등으로 2025년 상업용 PC 2.1%, 소비자용 PC 2.9% 성장 전망
- https://tinyurl.com/k24u3xn5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03.04.202523:04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 삼성전기 전일 주가 급락 comment

  : 제한적인 대미 수출 비중 vs. 과도한 주가 하락

1) 1Q25 매출액 2조 6,586억원(+7% QoQ, +2% YoY), 영업이익 1,972억원(+71% QoQ, +7% YoY)으로, 시장 기대치 부합할 전망. MLCC가 실적 성장을 주도하며, 특히 갤럭시S25 출시 효과와 중국 이구환신 정책 수혜 예상

   Counterpoint에 따르면 1~2월 글로벌 누적 스마트폰 판매량 +3% YoY 증가. 지역별로는 중국 +3% YoY, 유럽 -3% YoY, 미국 -5% YoY, 인도 -4% YoY 기록하며, 중국 중심의 판매량 증가세 시현

   2025년 영업이익은 9,214억원(+25% YoY) 전망. 2Q25부터 AI 서버/디바이스 출하량 확대 및 AI 가속기용 FC-BGA 공급 확대가 실적 성장 견인 예상

   2H25부터는 휴머노이드 로봇용 광학솔루션 및 AI 서버향 실리콘 커패시터 공급 또한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

2) 세트 수요 불확실성은 예상되나, 직접적인 관세 영향은 제한적

   전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영향으로 동사의 주가는 -8.5% 급락

   특히 중국뿐 아니라 베트남 등 기타 주요 제조업 국가 또한 높은 관세율을 적용하며 동사에 대한 우려 확대

   그러나 동사의 대미 수출 비중은 제한적. 현재 MLCC는 한국, 중국, 필리핀에 공장 위치해 있으며, 일부 MLCC를 중국에서 생산 중이나, 이 또한 상대적으로 상호 관세율이 낮은 필리핀 공장을 중심으로 Capa 확대 예상

   패키지 기판의 공장은 한국과 베트남에 위치해 있으나 패키지 기판은 대만 OSAT 업체를 통해서 미국으로 공급

   전일 주가는 12개월 Forward P/B 1.0배까지 하락하며, 이는 밸류에이션 밴드 하단 수준

   전방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은 예상되나 동사의 직접적인 대미 수출 비중은 제한적. 2Q25부터 강화될 AI 및 휴머노이드 로봇 등의 성장 모멘텀 고려 시 과도한 주가 하락은 매수 기회로 판단.

▶ 리포트 링크: https://bbn.kiwoom.com/rfSN3580.pdf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김소원]
*컴플라이언스 검필
01.04.202522:31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4.2)

1) LGD 광저우 LCD 공장 CSOT로 공식 이전되며, 대형 LCD 생산능력 점유율 22.9%로 증가(TrendForce)
- CSOT는 이번 인수로 6세대 2개, 8.5세대 4개, 8.6세대 1개, 10.5세대 2개의 LCD 생산 라인 보유. T9 8.6세대 생산능력 확대까지 반영하면, 대형 LCD 생산 면적 점유율 22.9%로 상승. CSOT는 인수한 광저우 공장에서 TV 패널 외에도 IT 패널 생산 지원도 고려
- https://tinyurl.com/mtej7h3r

2) 일본 Ajinomoto(아지노모토), ABF 생산 확대를 위해 2030년까지 250억엔 투자(TrendForce)
- FCBGA 기판 생산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인 ABF 생산 능력 50% 확대 계획. 지난 2년 동안 생산 확대를 위해 250억엔 지출, 추가 투자 계획. 아지노모토는 GPU/CPU 기판에 사용되는 ABF 소재 글로벌 점유율 95% 이상 차지
- https://tinyurl.com/3chv4p4x

3) 트럼프 관세, 중국 보조금 정책 피로도 누적되며, LCD TV 패널 랠리 침체(Digitimes)
- LCD TV 패널 가격, 선제적 주문 수요로 2024년 말부터 시작된 짧은 랠리 이후 둔화
- https://tinyurl.com/3jtmpzzj

4) PC 교체 주기 예상 속 IT 패널 수요는 여전히 강세(Digitimes)
- LCD TV 패널 수요 둔화에도, IT 패널 제조사들은 IT 기기 교체 수요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 유지. 모니터 패널 시장에서는 3월 공급 부족 상황에서도 강력한 수요 관찰
- https://tinyurl.com/277zjtfs

5) 태블릿 시장, 작년 하반기부터 교체수요 나타나(THEELEC)
- Omdia, 코로나19 기간에 태블릿 구매했던 소비자들의 교체수요가 작년 하반기부터 관찰됐다고 발표. 2024년 글로벌 태블릿 터치모듈 출하량 전년 대비 11% 상승한 1억 3,000만대, 연초 예상치 상회. 2025년, 2026년 성장률은 각각 4%, 3%로 둔화
- https://tinyurl.com/6p67ua3h

6) 삼성 트리폴드폰 ‘갤럭시G 폴드’ 10월 출시 전망(ZDNETKorea)
- GSMA 데이터베이스에서 삼성 트리폴드폰 모델번호 포착. 올해 10월에 한국, 중국에서 출시 가능성 제기
- https://tinyurl.com/mpdwfa4a

7) 구글, 부품 문제로 Pixel 9a 출시 연기, 50만대 재작업 예정(Digitimes)
- 3월 19일 Pixel 9a 공개했으나, 일부 구성 요소 문제로 출시 일정 지연. 수동 소자 부품 하나가 품질 기준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
- https://tinyurl.com/3bnx78cr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26.03.202522:38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3.27)

1) 마이크론, 고객에게 가격 인상 통지. 2025~2026년 강력한 수요 예고(TrendForce)
- SanDisk에 이어 향후 메모리 가격 인상이 불가피함을 통지. TrendForce, 2Q25 DRAM 평균 가격 3~8% 상승, NAND 평균 가격 0~5% 반등 전망. 클라이언트 SSD 가격 3~8%, NAND 웨이퍼 계약 가격 10~15% 상승 예상
- https://tinyurl.com/y5by938n
- https://tinyurl.com/4ckz4tj4

2) 대만 PCB 제조사, 2Q25 AI와 네트워크향 수요가 성장 견인 예상(Digitimes)
- AI 서버와 위성 통신을 포함한 하이엔드 애플리케이션의 지속적인 수요에 힘입어, 시장 회복에 대한 낙관적으로 전망
- https://tinyurl.com/ypstpwt4

3) 블룸버그 "LG전자 인도법인 가치 105억 달러에 그칠 수도, 인도 증시 약세 때문"(BusinessPost)
- LG전자 인도법인 IPO 규모, 기존 150억 달러에서 105~115억 달러로 하락할 수 있다는 관측 제기. 작년 9월 이후 인도 시장 지수 약 10% 하락
- https://tinyurl.com/y7mxfe5v

4) 삼성디스플레이, 아이폰17 4개 모델에 M14 OLED 공급(전자신문)
- 상용화된 최고 성능 재료세트, 아이폰17 전 모델에 적용 확대. 듀폰, UDC, 덕산네오룩스 등 핵심 소재 협력사도 훈풍 기대
- https://tinyurl.com/28fan432

5) KH바텍, 폴더블폰 힌지 연간 매출 처음으로 꺾였다. 지난해 29% 감소(THEELEC)
- 삼성 폴더블폰 판매 부진과 중국 환리 추격 영향. 2025년은 힌지 폼팩터 변경으로 판매 가격 상승 기대. 갤럭시Z플립&폴드7 힌지가 작년보다 얇게 설계됐다는 점, 올해 2번 접는 폴더블폰 출시 등 고려. Z플립&폴드7 힌지 최종 양산 승인은 4월 말로 예정
- https://tinyurl.com/jxhwb8nz

6) 이녹스첨단소재, 신임 대표에 강정태. “폴더블 소재 경쟁력 강화”(전자신문)
- 폴더블폰 소재 사업 확대할 전망. 삼성에 이어 애플도 내년 신제품 출시 목표, 시장의 본격 성장 기대되기 때문. 이녹스첨단소재는 폴더블폰 핵심 소재 생산 중
- https://tinyurl.com/2s9hn3pz

7) Dell, "올해 국내 PC 교체 수요 증가세 전망"(ZDNETKorea)
- 복잡한 PC·모니터 브랜드 '델'로 일원화. 델 프로 13 프리미엄, 탠덤 OLED 모델도 추가 출시 예정. 코로나19 유행 시 도입된 기기들의 교체 주기 도래 기대
- https://tinyurl.com/2s3b7rfv

8) LG전자, 2025년형 올레드 TV 글로벌 시장에 본격 출시(ZDNETKorea)
- 이달 국내 시작으로 4월 초 북미, 유럽 등 순차 출시 예정
- https://tinyurl.com/mthj8rbe

9) SKC, “미국 유리기판 양산 라인 시운전 중. 톱 티어 고객사와 논의”(THEELEC)
- 복수 고객사 인증 거쳐 적기 양산 목표. 연내 가시적 성과 기대
- https://tinyurl.com/hpn87syb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14.04.202522:32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4.15)

1) 1Q25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1.5% 성장(IDC)
- 전년 대비 1.5% 증가한 3억 490만대 기록. 관세 부과 발표에 대비한 제조업체들의 생산 일정 가속화에 따른 결과로, 특히 미국 시장으로의 출하량 대폭 증가한 것으로 확인. 상호관세 90일 유예 조치가 2분기 판매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
- https://tinyurl.com/3dewntun

2) 1Q25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 전년 대비 3% 성장. 애플이 판매량 1위 차지(Counterpoint)
- 신흥 시장 성장과 중국 보조금 주도 수요 증가로, 판매량 증가. 애플은 iPhone16e 출시와 신흥 시장에서의 확장 지속되며 1위 차지, 점유율 19%. Counterpoint는 관세 불확실성이 소비자 수요를 약화시킬 것으로 예상, 2025년 연간 판매량 전망을 전년 대비 소폭 감소로 수정
- https://tinyurl.com/2s3db6ay

3) 중국 아이폰 생산 안정세. PC 제조업체, 관세 우려 속 미국 출하 중단(TrendForce)
- 중국 내 아이폰 조립 공장들이 4월 9일부터 가동 중단했다는 보도가 있었으나, 현재 중국 내 생산 라인은 정상 가동 중인 것으로 확인. 폭스콘 인도 공장은 긴급 주문 급증으로 인해 미국으로의 아이폰 생산 및 배송 가속화. Apple, Dell, HP 등 주요 PC 브랜드들은 미국으로의 수출 잠정 중단한 것으로 확인
- https://tinyurl.com/y5v5dy74

4) 미국 관세 인하로 인도산 아이폰 가격이 중국 대비 20% 저렴해질 전망(Digitimes)
- 최근 상호관세 면제 조치로, 인도산 아이폰 및 기타 전자기기의 미국 수출이 더욱 비용 효율적. 중국보다 약 20% 저렴할 것으로 예상
- https://tinyurl.com/mmbjtx5s

5) Apple VisionPro2, 올해 출시 전망(TrendForce)
- 애플의 2세대 XR 헤드셋, 핵심 부품 생산 본격화되며 성공적으로 양산 진입. 올해 말 출시 예상. 1세대 제품 대비 성능, 무게, 배터리 수명 개선될 것으로 기대
- https://tinyurl.com/4x4wwyz8

6) LG전자, 美 테네시 공장에 대규모 창고 신설. 생산라인 늘리나(뉴시스)
- 테네시 공장 옆 창고시설 건설 추진. 향후 냉장고, 오븐 등 생산라인으로 전환 가능성 주목
- https://tinyurl.com/yc2ef285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09.04.202522:38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4.10)

1) 트럼프 “對中 관세 125%로 인상. 韓 등 나라 상호관세 90일 유예”(전자신문)
-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즉시 인상. 미국에 대해 보복조치를 하지 않았던 나머지 국가들에게는 상호관세 90일 유예, 90일간 10%의 기본 관세만 적용
- https://tinyurl.com/33j2zmau

2) 1Q25 글로벌 PC 출하량 9% 성장. 다만, 관세로 인해 향후 시장 전망 위협(Canalys)
- 1Q25 PC 출하량, 전년 대비 9.4% 증가한 6,270만대. 관세 부과를 앞두고 OEM들이 미국으로의 출하량 확대. 다만, 관세 인상이 향후 PC 시장의 성장 모멘텀을 위협할 것으로 진단
- https://tinyurl.com/24n4as7d

3) 관세 영향으로 5대 노트북 대기업 제품 출하 중단(TrendForce)
- 4월 9일 자정부터 대만산 제품에 32%의 관세 부과. 이에 따라, HP, Dell, Acer, Asus, Lenovo 등 주요 PC 브랜드들은 생산지와 관계없이 미국으로 향하는 모든 제품 배송 중단. 수출 중단 조치는 2주간 지속 예상
- https://tinyurl.com/mtfz8h6u

4) 관세 불확실성이 디스플레이 수요, 가격 및 AMOLED 소재 공급에 영향 미칠 전망(TrendForce)
- LCD 패널 및 관련 부품은 미국으로 직접 수출되지 않아 직접적인 영향은 적음. 다만, 중국이 미국 수입품에 보복 관세 부과하면서, 미국의 광학 필름 및 AMOLED 유기 소재 공급업체에 타격 예상. 또한 관세가 최종 사용자 제품 수요 저해할 것으로 분석, 기존 재고를 감안하면 2H25부터 제품 가격 상승 전망
- https://tinyurl.com/7hahm3ws

5) '미국, 베트남에 46% 관세'. 삼성전자 스마트폰 협력사도 '비상'(THEELEC)
-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 2억 3천만대 중, 3천만대가 북미로 수출되며 플래그십 모델에 집중. 북미향 제품의 70% 이상이 베트남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추정. 휴대폰 카메라·OLED 모듈 등 베트남서 생산 중. 생산량 일부를 인도나 국내로 전환할 경우 물류비 상승 예상
- https://tinyurl.com/3728wmcj

6) 새로운 갤럭시 S25 시리즈, 서유럽에서 삼성의 입지 강화(Counterpoint)
- 서유럽에서 갤럭시 S25 시리즈 초기 4주 판매량은 전작 대비 9% 감소. 다만, 삼성 전체 판매량은 같은 기간 동안 17% 감소. S25 시리즈는 출시 후 몇 주간 삼성 전체 판매량의 약 25% 차지
- https://tinyurl.com/37k7ywd5

7) 2026년 아이폰 폴드 출시 가능성 높지만, 폴더블 iPad는 불투명(AppleInsider)
- 아이폰 폴드, 2026년 하반기 양산 전망. iPad Fold는 2027년 이후 출시 전망도 제기
- https://tinyurl.com/6j3mnkjz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07.04.202502:14
(유가)이수페타시스 - [기재정정]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407000884
2025-04-07
03.04.202522:39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4.4)

1) 관세 정책이 애플에 미치는 영향(AppleInsider)
- 현재 애플의 주요 생산 기지는 중국, 인도, 베트남. 관세율은 각각 54%, 26%, 46%. 중국에서는 모든 iPhone의 90%, Mac 55%, iPad 80% 조립. 인도에선 약 10~15%의 iPhone을 조립 중, 2025년 말 20% 수준으로 상승 계획. 베트남에서는 iPad 20%, Apple Watch의 90%를 조립. 일부 Mac을 생산 중인 태국, 말레이시아도 관세 영향권
- https://tinyurl.com/knfth88a

2) 궈밍치, 애플이 관세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방안 제시(MacRumors)
- 애플이 제품 가격을 인상하지 않을 경우, 비용 상승으로 인해 GPM 8.5~9% 하락 예상. 제시된 방법은 1)인도 내 iPhone 생산 확대, 2)iPhone Pro 모델 가격 인상, 3)아이폰에 대한 통신사 보조금 확대, 4)공급업체에 부품 가격 인하 압력 등. 애플의 매출총이익률이 40% 이하로 떨어지더라도, 단기적일 것으로 전망
- https://tinyurl.com/39ssmr6w

3) 값싼 노동력 찾아 '베트남' 갔더니. 삼성·LG '초비상'(한국경제)
- 생산거점 베트남, 인도에 고율 관세. 베트남에서는 삼성전자(스마트폰), 삼성디스플레이,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등이 생산 법인 운영 중.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인도에서도 스마트폰 및 가전 공장 운영 중
- https://tinyurl.com/4utcfv8f

4) 디스플레이 제조사, 관세 불확실성으로 인해 가동률 하락(Omdia)
- 1Q25 팹 가동률 80% 이상이었으나, 2Q25에는 가동 줄일 것으로 예상. TV, PC,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에 대한 관세 불확실성과 OEM 주문 감소 영향 때문. 4월 가동률 80% 미만으로 하락, 5월 가동률은 76%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
- https://tinyurl.com/k8ckuajj

5) iPad mini, 2026년 출시 앞두고 테스트 돌입(AppleInsider)
- 삼성디스플레이가 제작한 8인치 OLED 패널 테스트 중인 것으로 파악. 패널 양산 시점은 2025년 말 예상
- https://tinyurl.com/y6uc7c96

6) 삼성D 2년 연속 차량 OLED 1위. 하이엔드선 LGD가 1위(THEELEC)
- 삼성D, 중국 자동차 등 적극 공략 주효. LGD는 프리미엄 시장서 2위와 큰 격차
- https://tinyurl.com/fhv8msar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31.03.202522:37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4.1)

1) Raymond James, 보조금으로 중국 스마트폰 판매 급증 보도(Investing)
- 2월 스마트폰 출하량 1,860만대. 전년 대비 33% 증가, 전월 대비 24% 감소. 보조금은 주로 국내 브랜드에 혜택을 주었으나, 2월부터 외국 브랜드 매출도 동반 상승
- https://tinyurl.com/mrwbwt4u

2) 2월 중국 내 해외 브랜드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9% 증가(Reuters)
- 2월 해외 브랜드 스마트폰 출하량 264만대 기록. 2월 중국 전체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대비 38% 증가한 1,966만대 달성
- https://tinyurl.com/4c3kz267

3) Huawei 2024년 매출액 급증하며, 역대 최고치에 근접. 스마트폰 판매 회복 덕분(CNBC)
- 2024년 매출액 8,621억 위안, 전년 대비 22% 증가하며 역대 두번째 매출액 달성. 소비자 사업 부문 매출액 3,390억 위안, 전년 대비 38% 성장. 중국 스마트폰 판매 급증 덕분
- https://tinyurl.com/bdfds6w4

4) 삼성디스플레이, '갤Z' 부진에 폴더블 OLED 성장 고심. 내년 애플에 기대(ZDNETKorea)
- 갤럭시 Z시리즈는 삼성디스플레이 폴더블 OLED 전체 물량의 약 90% 차지. 올해 총 공급량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 예상. 다음달 말부터 초도 물량 양산 개시
- https://tinyurl.com/3bt2tyma

5) 삼성전자 ‘터치스크린 가전’ 3배 늘린다(헤럴드경제)
- 2025년형 AI 가전 신제품 대거 공개. 스크린 달린 가전이 집안 ‘관제탑’ 역할하며, 집안 모든 가전·조명 한눈에 확인·제어
- https://tinyurl.com/juh9j46k

6) LG디스플레이, WOLED용 메탈 인캡 소재 변경(Kipost)
- 메탈 인캡은 OLED 내구성 확보하는 소재. 그동안 프로테리얼(옛 히타치메탈)로부터만 조달. 조달 원가 낮춰 원가 구조 개선 목표
- https://tinyurl.com/4eyuutu3

7) S25 엣지, 놀랍게도 울트라의 '이것' 쓴다(베타뉴스)
- 갤럭시S25엣지, 티타늄 합금 프레임 사용 전망. 튼튼한 내구성, 가벼운 무게, 고급스러운 외형 기대. 티타늄 합금 프레임은 갤럭시S25 울트라에서만 사용됐던 소재
- https://tinyurl.com/ys7aav3d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25.03.202522:37
▶ 전기전자/디스플레이 데일리 뉴스 (25.3.26)

1) 고객사 재고 감소로 2Q25 DRAM 가격 하락 완화(TrendForce)
- 1Q25 메모리 공급망 전반에서 재고 감소 가속화. 2분기 conventional DRAM 가격은 전분기 대비 0~5% 하락 예상되나, 평균 DRAM 가격은 3~8% 상승 전망. PC 및 서버 DRAM 가격 안정세 유지할 전망
- https://tinyurl.com/ycxenpa5

2) 2024년 OLED 발광재료 사용량 130톤 역대 최고, 2028년 200톤 돌파 전망(유비리서치)
- 작년 OLED 발광재료 사용량 전년 대비 약 30% 성장. 2025년에는 국내 패널사들의 아이폰용 패널 출하량 증가와 SDC의 IT OLED 출하량 증가로 발광재료 시장 성장 전망
- https://tinyurl.com/39aytj3d

3) 패널 업계, 2Q25 침체 가능성에 대비(Digitimes)
- 1분기 수요 개선 이후, 2분기부터 시장 트렌드의 둔화 혹은 반전에 대한 우려도 확대
- https://tinyurl.com/v58ss3dd

4) AR/VR 헤드셋 성장이 잠시 둔화될 것으로 예상(IDC)
- 2024년 글로벌 AR/VR 헤드셋 출하량 전년 대비 10% 성장. 2025년 주요 업체의 제품 출시 지연으로 출하량은 전년 대비 12% 감소할 전망. 다만, 2026년 성장률 87%로 반등하며, 2025~2029년 CAGR 38.6% 전망
- https://tinyurl.com/5n6pedcc

5) LG전자 조주완 "MS CEO 만나 사업 논의. 美생산확대 이미 준비"(연합뉴스)
- MS와 AI에이전트, 데이터센터 칠러 등 협업 방안 구체화 예정. 멕시코 지역 관세에 대비해 미국 내 부지 선정 및 가건물 건설 작업 진행 중
- https://tinyurl.com/mr3nff66

6) LG이노텍, 구미사업장에 6천억원 추가 투자. 기판·광학 사업 강화(ZDNETKorea)
- FC-BGA 양산 라인 확대, 고부가 카메라 모듈 신규설비 투자 등에 활용. 투자 기간은 2026년 12월까지
- https://tinyurl.com/yd7wjunp

7) KCC글라스, 반도체 유리기판 개발 나서(매일경제)
- 수입 소재에 의존했던 유리기판을 국내 소재로 개발할 수 있을지 주목. '차세대 패키징용 저유전손실 유리기판 소재 및 가공기술 개발' 국책과제 수행 기업으로 선정, 수행 기간은 2028년까지
- https://tinyurl.com/mwm354sz

▶ 키움 전기전자/디스플레이 채널: https://t.me/kiwoomdisplay
Показано 1 - 24 із 158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