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2차전지 김희제 avatar
2차전지 김희제
2차전지 김희제 avatar
2차전지 김희제
21.02.202500:53
[Tesla Equity Research Report]

안녕하세요, 김희제입니다. Tesla 및 간략한 연내, 중장기 EV 시장 전망 리포트 업데이트 드립니다. 본 리포트는 매수 혹은 매도 추천 리포트가 아님을 밝힙니다. 감사합니다.

[Investment Point]

-Model Y Juniper & Q 출시
2025년 02월 18일부로 상하이 공장에서 새로운 버전의 Model Y Juniper를 대량 양산하기 시작했고 5seats, 7seats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동시에 저가형 모델인 Model Q(2)를 상반기 내로 출시할 예정이다. Model Q는 약 3만 달러 미만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미국 현지 세액공제를 받을 경우 실제 구매 가격이 3만 달러를 하회하게 된다. 이는 2024년 북미 내 평균 전기차 판매 가격 대비 -46.0% 하락한 수치로 내연기관과 비교해도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Energy 사업부 매출액 및 수익성 증가 기대감 존재
에너지 사업부의 급격한 성장이 기대된다. 동사의 주력 제품인 Powerwall 및 Megapack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저장 솔루션이 글로벌 시장에서 호응을 얻으며 매출과 수익성 모두 크게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Powerwall은 가정용 에너지 저장 솔루션으로, 13.5kWh의 용량을 갖추고 있으며 태양광 패널과 연계하여 가정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제품이다. 전기차 충전이나 가정용 전력 공급에 활용되며,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25년 Powerwall 3 출시를 계획하고 있어 경쟁력 강화 및 매출액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2024년 Powerwall과 Megapack의 합계 설치량은 +113.6% 증가한 바 있다. 특히 주목할만한 점은 에너지 사업의 마진이 15.1%에 달했다는 점으로 높은 매출액 증가율을 기록하는 동시에 고수익 사업으로 현금흐름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추정된 동 사업부의 2025년 및 026년 매출액은 각 +18.5% YoY, +30.6% YoY 증가할 전망이다.

-FSD 중국 출시 및 Robotaxi, Optimus 등 본격적인 시장 진입 예정
FSD 허가 및 Robotaxi 진출에 따른 1) 기존 모델 판매량 증가, 2) FSD 구독료 수입 증가가 기대된다. Tesla는 FSD를 연내 1분기 중 중국과 유럽에서 판매할 계획을 밝혔는데, 규제 승인 절차 등의 문제 해결이 관건이다. FSD의 월 구독료는 $99으로 북미 시장 운행 수 약 255만 명, 추정 가입자 수 37.5만 명 기준 구독률은 약 15%로 추정된다. 때문에 중국과 유럽 내 판매가 개시된다면 구독료 수입과 FSD 활용을 위한 모델 판매가 두드러지게 증가할 전망이다. Robotaxi에 따른 부가적인 수입 또한 예상되며 UBS는 2030년 Robotaxi 시장 규모를 최대 2조 달러로 예상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기업가치 평가 시 기관들의 자율주행 사업 가치 최저치인 $800,000M을 반영해 주었다.

감사합니다.

t.me/EvAtZchuno
15.02.202505:12
BYD, 브라질 리튬 밸리 광산권 보유. 2023년 후반의 광물 채굴권 인수는 그 해 5월에 설립된 BYD 자회사인 Exploracao Mineral do Brasil이 수행했다고 문서에 기록돼 있어

또한 브라질에서 연간 15만 대 전기차 생산 가능 공장 건설 중으로 남미 시장 진출 가속화 계획

https://www.reuters.com/markets/commodities/chinas-byd-holds-mining-rights-brazils-lithium-valley-documents-show-2025-02-14/
06.02.202513:10
[금일 2차전지 시장 주요 뉴스]

📩SK온, 美테네시 공장 상업 가동 연기. SOP 2025년 > 2026년 중

https://www.yna.co.kr/view/AKR20250206087500003?input=1195m

📩
LG엔솔, 회사채 수요예측서 3조7450억 몰려.2년물은 ―15bp, 3년물은 0bp, 5년물은 ―10bp, 7년물은 ―5bp에 목표액

https://biz.chosun.com/stock/stock_general/2025/02/06/KMS4LK6W25D7XGQCZKA2PESE4U/?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폭스바겐, 3천만 원짜리 저가형 EV 공개. 2027년부터 판매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7513

📩스텔란티스 지프 랭글러루비콘, 실내서 '2급 발암물질' 기준 초과 검출

http://www.koreastock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454

📩中, 인도네시아 니켈 정제시설 75% 장악...공급망 통제 우려. C4AD는 최근 펴낸 보고서에서 “지난 2023년 기준 인도네시아의 니켈 정제 용량은 총 800만t으로 이는 33개 기업에 분포돼 있다”면서 “그러나 주주 구조를 추적한 결과 상당수 기업이 중국 기업과 연결돼 있어 중국 기업들이 전체 정제 능력의 75%를 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http://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5020608024641769a1f309431_1/article.html
05.02.202506:53
엘앤에프 4Q24 실적발표 자료
05.02.202502:54
📩폴스타4, SK온 배터리 탑재 유력

올 하반기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에서 생산될 폴스타4의 배터리셀 제조사에 대한 관심이 커질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상품 전체에 대한 10% 추가 관세를 시행한 만큼 폴스타4 국내 생산분 배터리셀 제조사는 중국이 아닌 우리나라 업체가 될 가능성이 높다. 업계에 따르면 폴스타4 국내 생산분의 배터리셀 제조사는 5일 기준으로 SK온이 유력하다. 

https://www.bloter.net/news/articleView.html?idxno=630765
04.02.202513:29
중국, 대미 향 텅스텐부터 인듐, 비스무트, 텔루륨, 몰리부덴까지 5가지 핵심 금속 수출 제한 발표

발효 시점은 미정

https://www.reuters.com/world/china/chinas-curbs-exports-strategic-minerals-2025-02-04/
18.02.202509:06
📩 LG에너지솔루션, 올해 북미 ESS LFP 생산 본격화…2조 투자

LG에너지솔루션이 올해 하반기부터 미국 공장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양산에 나선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 ESS 생산설비 투자를 위한 2조319억원 규모 채무보증을 진행했다고 18일 공시했다. 올해 상반기 중 가동 준비를 마치고 하반기부터 양산을 본격화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29/0000365785?rc=N&ntype=RANKING&sid=001
12.02.202509:30
📩SK가스, 4번째 신성장동력 美ESS사업 본격 가동

LPG사업을 주력하고 하고 있는 SK가스가 4번째 신성장사업인 미국 에너지저장장치(ESS)사업의 상업 가동에 들어갔다. 석유화학사업이 극심한 부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발전사업에 이어 ESS사업이 캐시카우가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SK가스는 SK이터닉스와의 미국 합작법인인 그리드플랙스를 통해 현지 재생에너지 기업인 에이펙스 클린에너지와 합작법인 SA 그리드솔루션을 설립하고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207028013365
05.02.202507:13
엘앤에프가 1분기부터 4분기 누적 순손실을 기록했음에도 불구 영업활동현금이 (+)개선된 이유는 매출채권과 기타채권 그리고 재고자산이 두드러지게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비현금 항목 조정과 운전자본 변화로 현금 관리 능력이 개선된 것은 사실이나 '긍정적 현금 Trend 지속 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입니다.
05.02.202506:39
Nikkei에 따르면 Nissan, Honda 합병 협상 중단 선언

Nissan 대변인 측은 2월 중순까지 확정 후 공식 발표할 계획이라고 언급

Honda 대변인 측은 Nissan으로부터 양해각서 철회 결정에 대한 아무런 소식을 듣지 못했다고 밝혀

https://www.reuters.com/markets/deals/nissan-honda-may-call-off-merger-talks-asahi-says-2025-02-04/
05.02.202502:53
📩崔 “배터리·바이오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최소 34조 규모

첨단산업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관련 중소·중견기업 재정지원도 획기적으로 확대한다.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한국의 첨단산업이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국책금융기관을 통해 첨단산업 투자·지원을 주도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https://www.mk.co.kr/article/11232810
04.02.202512:08
📩LG에너지솔루션, 8000억 규모 회사채 발행

조달 자금은 양극재 구매, 채무상환, 글로벌 생산시설 투자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앞서 두 차례 원화 회사채를 발행했다. 2023년 1조원 규모 첫 회사채를 발행한 데 이어 작년에는 1조6000억원의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432546
17.02.202523:13
📩중국산 LFP 배터리 ‘관세 험로’… 중국 제품 내년부터 관세 최대 38%

17일 산업계에 따르면 미국은 내년부터 ESS용을 포함한 중국산 리튬이온 배터리에 최대 38.4%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이는 기존에 예고했던 대중국 관세 인상과 추가 관세가 더해진 결과다. 지난해 5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7.5%인 비(非)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한 대중국 관세를 내년부터 25%로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여기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지난 4일 중국산 전 품목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 부과를 결정하면서 리튬이온 배터리 관세는 일반 관세 3.4%를 더해 최대 38.4%까지 오를 예정이다.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39784303&code=11151400&cp=nv
07.02.202500:23
📩테슬라, 텍사스 기가팩토리 화재 발생…트레일러 원인 추정

미국 테슬라 텍사스 기가팩토리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는 소방당국의 빠른 대처로 진화됐지만 공장으로까지 불이 번질 뻔한 아찔한 상황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2953
05.02.202504:16
Wall Street analysts, Tesla Cyber truck 2025년 예상 판매량 6.5만 대 추정. 이는 전년 대비 약 +58% YoY 증가한 수치
05.02.202500:31
Ford, EV 계획 변경에 따라 Super Duty Trucks 생산 계획

Ford는 10년 내로 다양한 세그먼트에 걸쳐 장거리 주행 전기 자동차인 EREV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혀

EREV는 대용량 배터리와 모터가 장착된 전기 파워트레인을 장착하고 내연기관 또한 포함. 엔진은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한 발전기 역할을 수행

중국 OEM들은 2024년 약 62.3만 대의 EREV 판매

Stellantis는 690마일 주행거리를 갖춘 Ram 1500 Ramcharger 출시 준비 중

https://insideevs.com/news/749596/ford-erev-suvs-super-duty-truck-2027/?utm_source=Klaviyo&utm_medium=campaign&_kx=F3RU50SMz8OKp8fdHJEK5tfICekktFYp49-qK2q-BS0.VCGm8F
04.02.202509:25
2025.02.04 18:21:31
기업명: 에코프로머티(시가총액: 4조 6,864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경

재무제표 종류 : 개별

매출액 : 880억(예상치 : 771억)
영업익 : -78억(예상치 : -115억)
순이익 : -38억(예상치 : -113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880억/ -78억/ -38억
2024.3Q 659억/ -385억/ -277억
2024.2Q 667억/ -37억/ -8억
2024.1Q 792억/ -130억/ -85억
2023.4Q 1,884억/ 1억/ 44억

* 변동요인
1. 전방시장인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에 따른 판매량 감소 2. 주요 원재료인 니켈 국제 시세하락에 따른 판매단가 하락 및 재고평가손실 인식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0480118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50080
#주식고수들이더좋아하는대체투자

메자닌, 사모펀드 등 누군가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대체투자에 대한 개념서라고 볼 수 있다.

본래 특정 시장에 대한 구조 서술 중심의 책은 인공지능 발달로 인기가 없어지는 추세이나 불필요한 설명 없이 깔끔하게 서술되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었다.

아쉬웠던 점은 막바지 특례 상장 조건을 초석으로 일부 IT 기업 내지 콘텐츠 시장에 대해 설명하는 대목이 있는데 조금 부자연스러웠다. 오히려 시장이나 개별 기업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소수의 기업을 기반으로 대체투자 구조를 보다 세세히 설명해 줬다면 더 만족스러웠을 것 같다.
05.02.202504:08
📩[단독] '한국판 IRA' 군불떼기…정부, 투자세액공제 직접 환급 검토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말 국내 한 로펌에 연구용역을 의뢰하고, 기업에 투자세액공제를 직접 환급하는 방식에 대한 법리적 검토에 착수했습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현행 우리나라 투자세액공제 현황 평가와 해외 주요국의 투자세액공제 직접 환급 제도 조사, 또 국내 산업과 조세 환경을 감안한 한국형 직접 환급 제도화 방안 도출 등인데요.

산업부 관계자는 "해외에서 어떻게 하고 있는지, 적용 분야나 방법 등을 보고 어떻게 벤치마킹할 수 있을지가 목적"이라면서 "배터리나 반도체, 바이오 등 어떤 산업이 적용 대상이 될지는 미정"이라고 밝혔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423783?sid=101
04.02.202522:50
📩 삼성SDI의 미국 정부 관세정책 대응 외신 주목, "ESS용 LFP 배터리 전환"

삼성SDI는 북미 ESS 수요 성장세를 예상하고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로 전환하는 전략을 통해 시장 공략에 나서려 하는데 미국 정부의 중국 대상 관세를 계기로 이를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삼성SDI가 한국 ESS용 배터리 공장에 일부 라인을 기존 3원계에서 LFP로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는 내용도 언급됐다. 

중국산 ESS 배터리 가격은 킬로와트시(kWh)당 101달러로 미국이나 유럽산과 비교해 3분의 2 가량 저렴하다고 알려졌다.

https://m.businesspost.co.kr/BP?command=mobile_view&idxno=382059
과거 Panasonic modeling 중 OPM 추정치 4.13% > 4.6%으로 상회

Kansas 신공장 가동 계획 FY3/25 4Q로 유지. 이외 공장 CAPA 또한 변동 사항 없음

Mazda Motor JV, 연간 CAPA 10GWh으로 2027년 초기 물량 6.5GWh 확보 이후 2030년까지 총 10GWh 규모 CAPA 증설 계획 변동 부재

SUBARU CORPORATION은 지난 하반기 기준 2030년까지 16GWh CAPA 확보 계획을 공개. 금번 자료에서는 Suminoe (Osaka pref.)부지를 통해 FY3/28까지 4GWh를 우선 확보 후 Oizumi(Gunma pref.)에서 16GWh를 FY3/29까지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혀(총 20GWh). 다만 총 투자금액 및 수령 보조금은 동일하다는 점에서 생산 능력 추가 확대의 의미는 아닐 것

FY3/25 Energy 사업부의 ROIC는 초기 목표인 12.0% 대비 0.5%p 하회한 11.5%를 기록할 예정이나 전 사업부 기준 최대 투하자본이익률
Показано 1 - 24 із 484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