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投資, 아레테 avatar
投資, 아레테
投資, 아레테 avatar
投資, 아레테
25.02.202502:44
#디엔에이링크
디엔에이링크, 충남 예산군 영구자석 생산공장 인허가 완료

디엔에이링크는 현재 예산군에 소재한 연산 1000t 규모의 영구자석 제조공장에서 올해 7월부터 네오디뮴 영구자석을 생산할 예정이다. 해당 장비들은 올해 6~7월에 예산공장에 설치된다. 디엔에이링크는 이번 제조 시설 설치 승인을 통해 영구자석 시생산 계획을 진행할 계획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12908?sid=101
23.02.202513:40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화장품/미용, 조선/LNG, 테크, 바이오, 이차전지, 철강, 방산, 밸류업
- 상대강도: 화장품/미용, LNG, 바이오, 이차전지, 방산
- 신고가(60일 기준): 방산, 밸류업, 미용, 철강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화장품/미용, LNG, 이차전지, 방산, 바이오
- 특이적인 유동성: 두산에너빌리티, 포스코인터내셔널, 대상, LS ELECTRIC

#수출입데이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666
- 초고압변압기(미국), 음반, 기초화장(미국), NCF(수입), 지혈제, 라이신

#실리콘투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21002845
- 글랜우드가 유한회사를 세워서 실리콘투에 RCPS로 1,500억 납입.
- 단가는 3.6% 할증하여 32,700원으로 들어왔기 때문에 해당 가격을 바닥으로 생각해볼 수 있음.
- 유통하는 업체가 돈이 모자라진 않은데 추가 유치를 통해 해외 확장을 하겠다는 그림.

#지엔씨에너지
- 3Q24 일회성이 좀 있었는데 4Q24에서도 데이터센터용 발전기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익 체력이 유지됨. 3Q24 당시 본업체력 연간 OP 250억>TP 2,000억 타겟했는데, 4Q24 실적을 보니 연간 OP 500억 이상 타겟 가능한 수준으로 파악됨.
- OPM도 1H24 6~7%>2H24 17~18%까지 급증하고 있음. 현재 수준의 이익 체력만 확보되어도 25E P/E 5.x배 수준에 불과.
- 데이터센터 수요가 지속된다는 가정 하에서는 25년은 본격 고성장이 시작되는 연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

#지누스
- 4Q 실적 무난하게 나오고 수출입데이터는 계속해서 우상향하는 등 수요 트렌드는 견조하게 상승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음.
- 1H25까지 비용 감축을 타이트하게 지속하면서 C 감소는 계속될 수 있는 상황
- 매크로적으로 생각보다 여유로워 24년 말 우려했던 상황 대비 개선되었으며 미국 공장을 보유해 중장기적으로 트럼프 수혜를 받을 수 있음. 중국 관련 리스크 해소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고려하고 있음.
- 반덤핑 관세는 최근 0% 확정 공시가 나왔으며 25.01월까지 과세를 지불했기 때문에 이전 생각했던 규모 대비 관세 환급 규모가 더 커진 상황.
- 전반적으로 1) 트렌드가 유지되면서(수요 확장 지속) 2) 비용 절감이 지속되고(비용 감소) 3) 시장 내 해자를 보유한 기업을 적절한 가격에 매수할 수 있는 시점이라고 생각.

#파마리서치
- 여러 이슈가 있었지만 결국 비에스테틱 판매 전담 자회사를 설립하고 파마리서치는 리쥬란 및 에스테틱 제품 연구개발 및 글로벌 판매를 담당하는 구조로 변화. 비에스테틱 전문 자회사 재상장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반복 언급.
- 1Q25부터 독일과 알바니아를 시작으로 유럽 내 마케팅 활동을 시작하며 2H25부터는 본격적으로 유럽 활동이 기대됨. 이에 맞춰 휴젤 출신의 대표이사를 선임하는 등의 과정을 밟고 있음.

#배당
- 최근 배당 이야기 나오지 않고 있지만 생각보다 배당 관련한 주식들의 상승이 조금씩 보이는 상황.
- 관심이 적다는 점에서 배당락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고 배당도 받을 수 있음. 고배당 중심으로 관심.

#LNG #조선
- 트럼프 첫 LNG 터미널 수출 승인으로 9.5MPTA의 29년 수요가 발생. 셰니어 역시 운영 중인 CAPA를 50% 이상 증설하는 계획을 밝힘. 또한 알래스카 가스 프로젝트 참여 관련해서도 LNG 내 밸류체인이 수혜를 볼 가능성 존재. 25년 당장 이뤄지는 내용들은 아니지만 26년 이후 LNG 터미널 및 파이프라인들이 상향되는 것들이 눈에 보이고 있음.
- 25.03월 USTR 공청회를 거치고 늦어도 2H25에는 제재안이 시행될 가능성이 높음. 주요 중국 제재안으로 1) 중국 선사 수수로, 2) 중국산 선박 항만 수수료, 3) 중국 조선소에서 선박을 발주한 선주 및 선사 수수료 등이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선사'를 기준으로 해서 포괄적으로 적용한다는 점이 기대치 대비 서프라이즈 요인이라고 생각. 이전에도 일본 및 유럽 선주들의 중국 발주 주저 움직임이 있었는데, 이번 기준을 기점으로 더욱 한국 선박 발주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
21.02.202501:49
#수출데이터 2월 20일 잠정치
- 변압기: 전체 및 미국향 데이터 모두 1월 대비 매우 우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 음반: 주요국 MoM, YoY 수출데이터 돌아서는 모습.
- 기초화장: 미국향 데이터가 오랜만에 MoM으로 우호적인 모습.
- NCF(수입): 삼성향 HBM 수입 데이터 오랜만에 MoM, YoY 턴어라운드 모습
- 지혈제: 무난한 데이터 추이를 보여주고 있음.
- 라이신: EU의 중국 제재 이후 한국에서 수출되는 라이신 급증 추세
18.02.202523:42
#방산 #사우디
EU가 정부지출한도에서 방위비는 면제해주겠다는 제안 내용과 더불어 사우디 국제품질보증협정 체결까지 했네용
https://vo.la/QZYqRF
18.02.202502:24
삼성전자의 급등과 개별주 주주들의 반응
#지엔씨에너지
3Q24 실적발표에 이어 4Q24 실적발표에서도 발전기와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큰 폭의 서프라이즈 기록.

3Q24 실적발표 당시 본업 체력으로 연간 250억은 무난하다고 평가했으나 이번 실적으로 반기만에 250억 가량 기록하며 25년을 기대하게 만듬.

24.08월 증여 이후 주가 우수한 모습.

반기 260억 실적 대비 아직 시가총액 2,600억 수준.
25.02.202500:49
#국제정치
- 미국과 러시아 양국 모두 국방예산 감축 등과 같은 내용 논의
- 미국은 미국이 진행중인 군비 감축의 일환으로 활용해볼 수 있음
- 최근 미국과 유럽의 사이가 틀어지는 가운데, 러시아와 직접 국경을 맞닿게 되는 상황 발생.
이런 관점에서 생각해보고 있습니다.

언제나 영원한 동맹은 없으니까요. 미국도 중국과 친하게 지내려고 했던 적도 있고 지금은 제재하고 있고 상황에 따라 국제정치는 다 바뀌는거 아니겠습니까. 그렇다고 러시아와 미국이 이번을 계기로 완전히 붙는다고 보는 것도 무리고 지금은 유럽과 미국의 관계가 변화하고 있다는 것 정도만 체크해보는 중입니다.
https://www.ytn.co.kr/_cs/_ln_0104_202502250654290603_005.html
22.02.202514:15
#실적
안녕하세요 아레테입니다. 4Q 실적시즌 위클리 실적 서프/쇼크 공유드립니다. 기준일은 2월 21일 입니다.

해당 시트는 회사의 개별적인 내용을 고려하지 않은 정량적 시트임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서프섹터: 엔터/미디어, 제약/바이오, 미용, 게임, 전력, 에너지

쇼크섹터: IT, 2차전지, 화학, 제약/바이오, 금융/증권, 화장품, 음식료

혼재섹터: 조선, 건설, 제약/바이오, 반도체
#SNT에너지
4Q24 확정 수주잔고(이월잔액)

예상치 8,000억 대비 서프를 기록하는 8,200억.

신규수주 거의 모두 해외향이라는 것이 유의미하며, 22년 이후 2H24 처음으로 해외 수주잔고 90%대 회복.
18.02.202523:00
#데이터센터 #AI
WSJ에 따르면 계획이 완성되면 한국에는 전력 사용량만 3기가와트에 이르는 총비용 350억달러(약 50조원)짜리 세계 최대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 WSJ은 전세계에 1기가와트 이상의 전력이 필요할 만큼 엄청난 규모의 AI 반도체가 집적된 곳은 없다고 지적했다.

이 투자 그룹 설립자는 LG그룹 창업자 손자인 브라이언 구, 런던과 요르단에 본사들 둔 바드르(BADR) 인베스트먼츠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아민 바드르 엘 딘이다.

-> '브라이언 구' 이러길래 검머외인가 순간 생각했는데 LG그룹 손자&LS그룹 장남이네용
https://naver.me/FdCavQrB
18.02.202500:02
22년초 컨빅션 바이&홀딩, 24년 6월 바이&홀딩, 24년 12월 바이더딥&홀딩 의견 드렸는데, 헷제는 거의 안하는데 방산은 헷제 한번 해보겠읍니다.

방위산업에서 지속적으로 말씀드린 핵심은 변하지 않았으나 시장의 무관심과 관심의 차이
국제정치학적으로도 NATO의 자주적인 국방비 증가는 필연적이었고 트럼프의 당선은 이를 가속화.

NATO와 함께 중동, 미국, 제3세계로 수출 국가 다변화와 함께 K2, K9, 천무, M-SAM, FA-50 등 외 차륜형, 비궁, L-SAM, 레드백 등의 파이프라인 확장도 동시에 나타날 수 있는 국면. 무기체계는 아니지만 탄 역시 훌륭한 제품.

방위산업 수출은 오랜기간 걸리며 조만간은 연간 단위로 이뤄지는 시계열이라는 것도 항상 인지해야 할 것.
#이구환신 #테크 #모바일
오랜만에 중국 스마트폰 업데이트
24.08~9월을 저점으로 4개월 연속 턴어라운드 중.

로컬 스마트폰 중심으로 최근 2년 내 고점 경신.
24.02.202523:32
#상법개정
- 자료참고: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4130300001
- 상법은 모든 회사에 적용되는 법으로, 기업활동 전반을 규율하는 법이면서 인수, 합병, 양업양수도에 관해 초점이 맞춰진 개정 방안. 합병 과정 내에서 먼저 거를 수 있는 이사회에서 이사 역할을 명확히 할 수 있는 상법 개정으로 주주 권리 보호가 합리적으로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이사의 충실 의무를 회사>모든주주로 확대하는 상법개정안 법사위 소위 통과. 당장은 1)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2) 대규모 사장회사 집중투표제 의무적용, 3) 상장회사 전자주주총회, 4) 대규모 상장회사 감사위원 분리 선출 확대 4가지 중 1. 3번만 우선 처리된 상황. 법사위 전체회의> 본회의>표결>통과 등의 일정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1Q25 내 본회의까지 우선 통과되는 것을 기대 가능.
- 현재까지는 상법개정안 자체는 기대치를 충족하는 수준이며, 본회의 통과와 함께 향후 자본시장법까지 같이 보면 좋을 듯. 이러한 개정으로 대주주가 적은 지분을 가지고 이사회 장악이 어려워질 것. 일반 주주 영향력이 강해지면서 수혜를 볼 회사들 선별 필요.
- 알짜 자회사들 상장 혹은 합병 등과 관련한 업체, 최대주주 및 자사주 비율이 낮아 비과세 배당 등을 통해 재원을 확보할 수 있는 업체, 증여를 위해 주가를 누르고 있는 업체 등이 수혜를 받을 수 있을 듯함.
22.02.202505:34
#가스 #LNG
EU, 러시아 공급 대체 위해 미국산 가스 및 재생에너지 확대 모색

EU 집행위원회는 직접 가스를 구매하지 않지만, LNG 공급업체와 협력하고 해외 LNG 수출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검토하여 안정적인 가격으로 장기 계약을 확보하려는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고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eu-seeks-more-us-gas-renewable-energy-replace-russian-supplies-2025-02-21/?utm_campaign=trueAnthem%3A+Trending+Content&utm_medium=trueAnthem&utm_source=facebook&fbclid=IwZXh0bgNhZW0CMTEAAR26qTFeqnT_bly-XuFp79kXI_cE9ShYO9Uzw0WVx_fZAGezT-AEl00vAqw_aem_hA0ajSU8fjLaum7Hw4FBlQ
20.02.202509:03
여기서 말했던 반덤핑 이슈 공식적으로 해소. 이제 환입되겠네요. 더 크게.
18.02.202522:46
EU ready to move fast on easing spending rules for defence

지난주,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유럽이 스스로 방위비를 조달해야 한다는 압력을 가하는 가운데, EU 집행위원회 위원장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은 위원회가 EU의 정부 지출 한도에서 방위비를 면제하는 방안을 제안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폰 데어 라이엔은 군사 지출 제한을 해제하는 것은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차입 한도를 철폐한 것과 같은 논리를 따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https://vo.la/SzWGpS
#방산
- 폴란드는 EU 국가들이 국방비 증액 기조에 동의하고 있다고 언급. 종전에 따라 유럽 각국의 국방비 지출 확대 가능성 언급.
- 라인메탈은 최근 탄약 관련 사업 증설을 진행 중인데, 해당 사업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탄 사업과 관련되어 있음.
17.02.202502:54
#SAMG엔터 #파산핑
티니핑으로 84.6만 유튜브에서 스케치코미디도 만드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0Bs-7fygXMQ
24.02.202500:22
#조선 #USTR #해운
- USTR에서 제시한 제재안을 보면 1) 중국 국적 선사에 대한 수수료, 2) 중국산 선박에 대한 항만 수수료, 3) 중국 조선소에서 선박을 발주한 선사 및 선주에 대한 수수료, 4) 미국산 선박 사용 시 수수료 환급, 5) 미국 제품 수출 시 미국 국적 선박 의무 비율, 6) 중국 물류 플랫폼 사용 제한 등이 있음. 이 중 1~3번이 가장 핵심 사항.
- 해당 제재안에 가장 많이 걸리는 선종은 컨테이너와 벌크에 해당. 그 중 입항 빈도가 높은 선종을 고르면 컨테이너선이 정기적으로 항구를 드나드는 만큼 고빈도 운항이 특징이기에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전망. 컨테이너선은 중국 건조 비중도 높음.
- 컨테이너선 중에서 1) 운항거리에 따라 항구 방문 횟수가 구조적으로 높고, 2) 중간의 여러 중소 항만은 연계해 입항하는 점에서 소형 컨테이너선이 가장 핵심이 될 수 있으며 소형 컨테이너선은 비용 민감도도 상대적으로 높아 한국과 일본의 수혜가 될 수 있을 것.
- 결과적으로 소형, 컨테이너선에 집중해야 하는데, 조선에서는 해당 부분에 강점이 있는 건 HJ중공업와 HD현대미포, 해운에서는 HMM, 흥아해운 등이 있음.
21.02.202502:19
#방산 무기체계만 간단하게 요약했습니다

#한국항공우주
- 사우디 KF-21은 GCAP 이슈로 인해 나타난 것. 무조건 된다가 아니고 가능성은 높고 합리적이다가 조금 더 정확한 표현.
- GCAP는 사우디가 들어간다고 해도 영국, 이태리, 일본 이후에 순서가 나오는 상황이며 그 사이 브릿지 역할을 할 전투기는 유로파이터 및 라팔 등을 비교할 때 KF-21이 훨씬 가동 및 후속조치 등이 우수한 상황. 여기에 GCAP 가입을 반대하는 모습을 보이면 현실적으로 사우디 KF-21은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게 맞음.
- 그 외 KF-21 파이프라인은 블록1 기준 동남아, 블록2 기준 유럽까지 확장 가능. 다만 장기적으로 봐야 함.
- 전일 말레이 뉴스의 경우 원래 있던 파이프라인이기 때문에 특별히 놀랄 뉴스는 아님. 전일 급등은 외인 자금쪽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것 외 특별한 뉴스 없음.
- 25년도 어느정도 미래를 준비하는 해가 될 것으로 생각되나, 25년 말부터는 그 결실을 조금씩 생각해볼 수 있는 시점이 될 것.

#현대로템
- K2 2-1차 계열사 및 소부장 업체와 소통해보면 구두계약 및 선급금 지급 관련으로 어느정도 계약이 완성되어 있는 모습.
- 진짜 계약만 나오면 됨. 회사에서 직접 절대 K2 수출 공백은 없을 것이라고 하며 현재 상황을 볼 때 1H25 내에는 합리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기대.
- 딜이 나오게 되면 여기서도 추가 업사이드는 유의미하게 나온다고 판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4Q24 가장 큰 실적 서프라이즈 주인공이라는 점에서 EPS 상승만으로도 현재 주가를 합리적으로 설명 가능.
- 조만간 기대해볼 수 있는(방산의 조만간은 시장의 조만간과 다름) 무기체계들은 레드백, K9, 천무, L-SAM(체계), 차륜형 등이 있으며 지역별로는 NATO, 중동, 동남아, 남미, 북미 등 글로벌리 분포되어 있음.
- 또한 탄약 역시 생각보다 더 업사이드가 높다고 생각하는데, 글로벌 방위산업체의 탄약 증설과 현지 조달 수준을 고려할 때 역외(EU 외) 조달 수요가 큰 것으로 추정되며 동사는 관련된 후보로 볼 수 있음.

#LIG넥스원
- 미국 비궁과, 중동 L-SAM이 가장 큰 25년 파이프라인으로 대기 중. 비궁은 아직 예산이 잡히지 않았지만 합리적으로 가능하다고 생각하며 L-SAM은 RFI/RFP 등으로 이메 구매의사를 타진한 바 연내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음. 루마니아의 경우 방공시스템 입찰 탈락인데, 1) 현재 사업상 신궁만 있고, 2) 이의를 제기하겠다는 입장.
- 4Q 실적과 함께 25년은 천궁 실적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며 2H25부터 UAE, 사우디향 매출이 가세하면서 수출 비중이 본격 상승 궤도에 위치할 것으로 기대.
- 중장기적으로 지대공미사일은 과거 구소련이 SA-2/3시리즈를 친공산 국가에 뿌려 시리즈로 나가는 것을 고려할 때 친서방 국가들에게 미국/독일 외 선택지로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친서방 국가에 지대공미사일 시리즈가 뿌려지는 그림을 생각해볼 수 있음.
- 기본적으로 경쟁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마진이 구조적으로 우월할 수는 없겠지만 연속성 및 확장성 측면에서 글로벌리 기대해볼 수 있는 회사. 길게 길게 봐야 하는 회사.
Переслав з:
AWAKE 플러스 avatar
AWAKE 플러스
20.02.202509:00
📌 지누스(시가총액: 4,384억)
📁 기타경영사항(자율공시)
2025.02.20 17:24:47 (현재가 : 19,700원, +1.55%)

제목 : 미국 상무부의 반덤핑 관세율 재판정에 대한 미국국제무역법원(CIT)의 인용 결정

* 주요 내용
- 결정 내용 : 미국행 당사 인도네시아 매트리스 수출품에 대해 반덤핑 관세율을 0.00%로 최종 재판정한다는 미국상무부(DOC)의 제출 의견을 미국국제무역법원(CIT)이 인용함

- 당사에 미치는 영향 : 이와 관련하여 미국행 당사 인도네시아 매트리스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율은 0.00%로 적용될 예정임

* 기타 사항 :
- 현재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행정절차가 발생할 예정임. - 관련한 구체적인 사항은 2024년 5월 21일 자율공시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2080079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13890
18.02.202522:36
#LNG
EU는 신뢰할 수 있는 공급업체와 "즉시 참여"하여 에너지 가격을 낮추기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LNG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것을 고려할 것.

현재 유럽의 주요 LNG 공급국은 미국. 러우 전쟁 이후 파이프라인 가스 사용 대폭 감소 후 미국 구매 증가.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eu-seeks-immediately-engage-with-lng-suppliers-draft-shows-2025-02-18/
17.02.202519:55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바이오, 화장품/미용, 테크, 조선/LNG, 방산, 로봇, 밸류업, 이차전지, 전력
- 상대강도: 바이오, 이차전지, 미용, 조선/LNG, 방산, AI SW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방산, 음식료, 밸류업, 테크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바이오, 이차전지, 미용, 조선/LNG, 방산
- 특이적인 유동성: 에코프로머티, 두산에너빌리티

#지엔씨에너지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639
- 에너지 관련 사업과 데이터센터 관련 사업 수요가 숫자로 보이는 국면. OPM도 1H24 6~7%>2H24 17~18%까지 급증.
- 25년 높은 성장률이 전망(이익 기준 YoY50%)되는데, 현재도 5.x배 수준. AI수요 급증이 숫자로 보이는 상황이며 높은 성장률이 이뤄진다면 25E P/E 3.x배까지 내려오는 수준.
- 24년은 성장 초입을 증명했다면 25년은 본격 고성장 궤도에 들어온 것으로 판단.

#두산에너빌리티
- 폴란드 이슈는 24년부터 문제가 되던 부분이고 추가적인 이슈는 없는 상황. 체코가 중요한데, 체코는 정상적으로 원활히 진행 중이고 체코 산업장관이 신규 원전 곧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
- 25년 체코 2기+향후 5년간 SMR 60기 수주 등 원전에서 적극적인 수주 퍼포먼스를 보일 것으로 제시.
- 해외 터빈 및 SMR 대량수주는 다소 시간이 걸리는 것은 사실이나, 선진국 AI 투자 확대에 따른 수혜가 명확한 상황.
- 개인적으로 SMR은 미국만 플레이하지만 국내에서는 두에빌 외 실질적인 수혜 강도는 낮을 것 같아서 국내는 두에빌만 보는 중.

#LNG
- 트럼프는 행정명령을 통해 국가 에너지 지배 위원회를 신설해 미국 에너지 정책을 총괄할 계획이며 25.02월 첫 LNG 수출 허가를 승인.
- 트럼프가 국내 에너지 생산 확대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있고 풍부한 미국산 원유./가스를 강점으로 활용하겠다고 강조하고 있음.
- 트럼프는 이번 LNG 첫 수출 허가와 함께 알래스카 LNG프로젝트를 재추진하고 있음. 한국은 참여를 검토하는 중.
- 스타게이트 첫 프로젝트에도 천연가스 직접 계약이 이뤄지고 있음. 국가 단위 AI 프로젝트의 천연가스 직접 계약은 25년부터 본격화.
- LNG는 내러티브만 있다가 최근 위원회, 허가, 기존 프로젝트 재추진, 국가 프로젝트 공급 등 구체적인 움직임이 나오는 중.
- LNG 가격 하락에 따른 주가 하락을 언급하는 부분은 현재 한국 LNG가 어떠한 팩터로 오르는 건지 파악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

#전력
- 최근 관세 이슈를 원자재까지 끌고가면서 센티를 내리는 모습인데, 11월 관세 이슈와 유사한 상황이라고 생각.
-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3Q24~4Q24부터 칩 부족보다 전력 부족은 본격적으로 언급하고 있음.
- 미국이 하고자 하는 흐름 중 한국이 잘해줄 수 있는 대표적인 것에 해당하고 초고압쪽이 가장 쇼티지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관점 유지.
- 과거 17년 클라우드 사이클에서도 빅테크들은 높은 효용성을 기반으로 더 많은 지출을 한 바 있기에 전력 수요 감소는 합리적이지 않다고 생각.

#바이오
- 호재 있는 개별주 중심으로 플레이되는 중. 앞으로도 이벤트 남거나(알/보/리 등) 내용이 강한 개별주(올릭스 등) 중심으로 움직일 것으로 전망.
16.02.202513:08
개인적으로 정리할만한 내용들

Disclaimer: 내용은 최대한 신뢰할 만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주가적인 부분은 각자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유동성
- 유동성: 테크, 바이오, 화장품/미용, 조선/LNG, 전력, 밸류업, 방산
- 상대강도: 바이오, 화장품/미용, 음식료, 밸류업, 우주항공, 원전
- 신고가(60일 기준): 바이오, 미용, 음식료, 밸류업, 원전
- 정량적으로 유동성이 돌면서 상대강도가 강한 것들: 바이오, 화장품/미용, 밸류업
- 특이적인 유동성: 두산에너빌리티, RFHIC, SNT에너지, 주성엔지니어링, 현대건설
- 예탁금 대비 거래대금 증가가 유의미한 것을 보면 장이 좋은 와중에 회전이 되게 빠른 시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음.

#수출데이터
- 자료참고: https://t.me/mstaryun/7628
- 파마리서치, 삼양식품, 일진전기, 대웅제약, 리노공업, 티앤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지누스
- 개인적으로 현재 시가총액은 소외와 쏠림이 몰리면서 발생한 시가총액이라고 생각.
- 0) 현재 회사의 상황은 이전보다 나아진 상황이며 1) 수요는 매트리스를 통해 계속 우호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2) 비용은 계속해서 타이트하게 줄이고 있음.
- 휴젤도 주가 급락과 함께 차트가 깨지면서 버리던 사람 많았는데 결과적으로 적당한 밸류에 트렌드 유지되는 소비재를 산다면 손익비가 좋다는 것을 최근 알려주고 있음.
- 쏠림이 집중되는 현재 시장에서 향후 쏠림이 완화될 때 다시 봐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

#화승엔터프라이즈
- 자료참고: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4800061
- 예상보다 수익성 개선이 가파르게 나타나며 완벽한 턴어라운드를 증명. 글로벌 Peer 그룹들이 턴어라운드와 함께 주가 상승을 기록했던 것 대비 부진한 모습을 보였는데, 실적은 이를 후행해서 따라가는 모습. 아디다스 관련 국내 벤더들 실적이 모두 우호적인 상황이며 아디다스 주가도 양호한 상황.
- 동사의 주요 고객사 아디다스가 최근 어닝콜에서 턴어라운드 흐름을 가속화하는 상황에서 고환율 및 가동률 추가 상승에 따른 효율 개선이 지속되면서 이익 추정치 상향 가능.

#아이패밀리에스씨
- 4Q 실적 쇼크와 함께 주가 급락 후 IR 직후까지 절반 가량 회복 완료.
- 25년 가이던스는 전체 20% 중반(한국/일본 10% 중반, 중화권/동남아/유럽 및 기타 30% 최소 이상, 미국 3배 이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25년 기대사항으로 더쥬시 해외 진출(2~3월 일본/4~5월 중국 및 동남아/7월 유럽 및 기타)과 많은 신규 국가 입점이 예정되어 있음.
- 일본은 1) 일본 편의점용 추가 런칭, 2) 돈키호터 전용 라인, 3) 더쥬시 신규 확대가 기대되며 미국은 미니소, Urban Outfitters, Anthropologie, Hot Topic 등 1,000개 이상의 신규 입점이 기대되는 등 해외 모멘텀 등이 예상보다 많은 것 같음.
- 악성재고 1Q25 내 정상재고화 한다는 가정 하에 2Q25부터 해외 모멘텀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있게 봐볼 만.

#코리아써키트(대신)
- AVGO 등 해외 반도체향 FA-BGA 중심의 신공장 매출 4Q24 200억 상회. 2Q25 213억>2Q25 240억> 4Q5 289억 전망. 25년 AI향 ASIC 칩 출하량 증가에 따라 FA-BGA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 추가적으로 2H25 AVGO향 ASIC에 해당된 14층 FC-BGA 추가 공급 가능성 등 기대.
- 이러한 AI 수혜로 24년 -334억> 25년 670억 이익 턴어라운드를 전망. 현재 컨센서스가 195억인 상황에서 추정치 대폭 상향조정한 셈.

#SNT에너지
- 자료참고: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acptno=20250214000384&docno=&viewerhost=&viewerport=
- 수주공시 기재정정 공시. Gulf 법인의 공시로, 계약 기간이 5개월 가량 길어지고 수주 금액도 8% 가량 증액됨.
- 중동뿐 아니라 미국 중심의 LNG 프로젝트 증가를 기대. 미국에서 첫 LNG 수출 허가가 나온만큼 추가 허가를 기대할 수 있음.

#한화오션 #조선
- 자료참고: https://oceanpress.co.kr/mobile/article.html?no=26099
- 에버그린으로부터 초대형 컨선 6척 수주했다는 내용의 뉴스. 해당 뉴스에서 체크해야할 것은 단가. 뉴스에서 보도된 단가는 척당 2.65~2.95억불 수준으로, 최근 단가 대비해 부합하거나 10% 이상 높은 가격으로 수주한 것으로 보임.
- 연초 HD현대그룹에서 2월부터 한국 조선사들의 본격적인 수주가 재개됨에 따라 2월 이후 선가 방향성은 참고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는데, 이러한 선가가 유지된다면 선가 상승에 우호적인 내용이 될 수 있음. 또한 24년 우려와 달리 컨테이너선 수주는 이미 24년에 육박할 수준으로 수주받은 것으로 보임.
- 아직 상선 핵심 이벤트인 중국 조선조 제재 관련한 구체적 내용이 나오지 않은 상황인데, 최근 선주들의 움직임을 보면 중국 조선소를 꺼리는 모습이 수주에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 움직인이 발견될 시 추가적인 상방 업사이드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기존에 우려했던 선종의 우호적 모습+중국 조선업 제재+미 해군 발주 수혜 본격화 등 우호적인 모습 존재. 그러나 최근에 주가가 급등해 수혜를 어느정도 주가에 반영한 것은 생각해볼 부분.

#밸류업
- 다음주 말이 배당기준일인 시가배당률 높은 회사들이 있음. 슬슬 관심 가져볼.
Показано 1 - 24 із 523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