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4.202514:01
[ HII, Goldman Sachs가 투자의견 이례적 상향(매도 → 매수) ]
- 종목: Huntington Ingalls Industries(HII)
- 투자의견: 매도(Sell) → 매수(Buy)
- 목표가: $145 → $234 (상향📈)
📌 상향 배경
- 미 해군의 함정 건조가 중기적으로 국방 예산 내에서 높은 우선순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
-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 내 해양 노동력, 공급망 및 생산 역량이 강화될 전망
- 향후 조선소 지원 및 노동력 관련 추가 입법(Shipyard Accountability and Workforce Support)이 도입될 가능성 존재
- 위 정책 추진 시 HII의 마진 확대(이익률 상승) 효과 기대
- 종목: Huntington Ingalls Industries(HII)
- 투자의견: 매도(Sell) → 매수(Buy)
- 목표가: $145 → $234 (상향📈)
📌 상향 배경
- 미 해군의 함정 건조가 중기적으로 국방 예산 내에서 높은 우선순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
-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 내 해양 노동력, 공급망 및 생산 역량이 강화될 전망
- 향후 조선소 지원 및 노동력 관련 추가 입법(Shipyard Accountability and Workforce Support)이 도입될 가능성 존재
- 위 정책 추진 시 HII의 마진 확대(이익률 상승) 효과 기대
17.03.202513:54
[ 디인포, 미디어텍의 구글 차세대 TPU 수주 언급 관련 코멘트 ]
- 디인포메이션이 미디어텍이 구글의 차세대 TPU 를 수주했다는 기사를 내며 브로드컴이 장초 하락
간략한 생각
- 미디어텍의 구글 차세대 TPU 수주는 이미 많이 알려진 소식
- 디인포에서 새로운 내용은 없었음
- 구글 차세대 TPU 는 학습, 추론 두 가지로 나올 가능성이 높으며 미디어텍은 추론의 I/O 부분만 담당할 가능성이 높음
- I/O 파트가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 코어 컴퓨팅 부분의 설계는 여전히 학습-브로드컴, 추론-구글 자체일듯
- 미디어텍 수주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추론 코어 설계는 빅테크가 내재화하고 있고 부가가치 낮은 부분은 대만에 외주를 주며 전반적인 ASIC 설계 효율화를 추구하고 있는 점
- ASIC 설계를 지원하는 팹리스들의 시장 파이가 학습용 ASIC으로 축소되는 모습이 관찰되고 있음
- 빅테크의 CAPEX 성장률은 둔화되지만 더 많은 컴퓨팅 자원을 확보하려는 노력은 지속되는 만큼 CAPEX 효율화 방법들은 계속해서 나올 것으로 예상됨
- 디인포메이션이 미디어텍이 구글의 차세대 TPU 를 수주했다는 기사를 내며 브로드컴이 장초 하락
간략한 생각
- 미디어텍의 구글 차세대 TPU 수주는 이미 많이 알려진 소식
- 디인포에서 새로운 내용은 없었음
- 구글 차세대 TPU 는 학습, 추론 두 가지로 나올 가능성이 높으며 미디어텍은 추론의 I/O 부분만 담당할 가능성이 높음
- I/O 파트가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 코어 컴퓨팅 부분의 설계는 여전히 학습-브로드컴, 추론-구글 자체일듯
- 미디어텍 수주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추론 코어 설계는 빅테크가 내재화하고 있고 부가가치 낮은 부분은 대만에 외주를 주며 전반적인 ASIC 설계 효율화를 추구하고 있는 점
- ASIC 설계를 지원하는 팹리스들의 시장 파이가 학습용 ASIC으로 축소되는 모습이 관찰되고 있음
- 빅테크의 CAPEX 성장률은 둔화되지만 더 많은 컴퓨팅 자원을 확보하려는 노력은 지속되는 만큼 CAPEX 효율화 방법들은 계속해서 나올 것으로 예상됨


13.02.202512:10
[ Crocs, 오랜만에 호실적 발표하며 장전 시장에서 16% 넘게 급등 ]
- 4분기 기대 이상 실적 기록 (매출 및 주당 순이익 예상치 상회)
- 1분기 및 2025년 연간 전망에서 HEYDUDE 브랜드의 매출 감소 예상
- Crocs 브랜드는 안정적인 성장세 유지 (2025년 연간 +4.5% 성장 예상).
- 외화 및 관세로 인해 마진 감소 영향이 존재하지만 견조한 이익률 유지
- 4분기 기대 이상 실적 기록 (매출 및 주당 순이익 예상치 상회)
- 1분기 및 2025년 연간 전망에서 HEYDUDE 브랜드의 매출 감소 예상
- Crocs 브랜드는 안정적인 성장세 유지 (2025년 연간 +4.5% 성장 예상).
- 외화 및 관세로 인해 마진 감소 영향이 존재하지만 견조한 이익률 유지
12.02.202521:11
[ The Trade Desk,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과 가이던스를 발표하며 장후 시장에서 20% 넘게 급락 ]
📊 2024년 4분기 및 연간 실적 요약
- 매출 : 7.41억달러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 (컨센서스 : 7.6억 달러)
- 순이익 1.82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
2025년 1분기 가이던스
- 매출 : 5.75억 달러 (컨센서스 : 5.827억 달러)
- 조정 EBITDA : 1.45억 달러
🚀 주요 비즈니스 하이라이트
- 플랫폼 총 지출: 2024년 총 $12억 달러로 기록적인 지출 달성
- 고객 유지율: 11년 연속 95% 이상의 높은 유지율 유지
- Unified ID 2.0 지원 확대:
- iHeartMedia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광고 파트너들에게 효과적인 타겟팅 및 정확한 측정 도구 제공
- FreeWheel, Index Exchange, Magnite, PubMatic 등 주요 공급 측 플랫폼과의 통합을 통해 유럽 통합 ID(EUID) 지원 강화
📈 주식 환매 프로그램 확대
- The Trade Desk는 클래스 A 보통주에 대한 주식 환매 승인 금액을 총 $10억 달러로 확대
💡 CEO 코멘트
- “2024년에 $24억 달러의 매출을 달성하며 디지털 광고의 거의 모든 부문을 능가했습니다. 2025년과 그 이후에도 데이터 기반 광고를 통해 고객들이 비즈니스 성장과 브랜드 충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독특한 위치에 있습니다.“
소결론
- 애드테크 기업들이 거의 모두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TTD 가 실적과 가이던스 모두 컨센서스를 하회하며 어닝 쇼크 발표
- 실제 컨콜에서 TTD 만 애드 테크에서 부진한 이유 확인 필요
📊 2024년 4분기 및 연간 실적 요약
- 매출 : 7.41억달러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 (컨센서스 : 7.6억 달러)
- 순이익 1.82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
2025년 1분기 가이던스
- 매출 : 5.75억 달러 (컨센서스 : 5.827억 달러)
- 조정 EBITDA : 1.45억 달러
🚀 주요 비즈니스 하이라이트
- 플랫폼 총 지출: 2024년 총 $12억 달러로 기록적인 지출 달성
- 고객 유지율: 11년 연속 95% 이상의 높은 유지율 유지
- Unified ID 2.0 지원 확대:
- iHeartMedia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광고 파트너들에게 효과적인 타겟팅 및 정확한 측정 도구 제공
- FreeWheel, Index Exchange, Magnite, PubMatic 등 주요 공급 측 플랫폼과의 통합을 통해 유럽 통합 ID(EUID) 지원 강화
📈 주식 환매 프로그램 확대
- The Trade Desk는 클래스 A 보통주에 대한 주식 환매 승인 금액을 총 $10억 달러로 확대
💡 CEO 코멘트
- “2024년에 $24억 달러의 매출을 달성하며 디지털 광고의 거의 모든 부문을 능가했습니다. 2025년과 그 이후에도 데이터 기반 광고를 통해 고객들이 비즈니스 성장과 브랜드 충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독특한 위치에 있습니다.“
소결론
- 애드테크 기업들이 거의 모두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TTD 가 실적과 가이던스 모두 컨센서스를 하회하며 어닝 쇼크 발표
- 실제 컨콜에서 TTD 만 애드 테크에서 부진한 이유 확인 필요
Переслав з:
HS아카데미 대표 이효석

06.02.202514:04
#연수르 #미국주식 #코치 #Tapestry
연수르는 진짜 히트레이트 높네요~!!
미국에는 진짜 잼있는 주식들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ㅎㅎ
Coach 트렌드의 매출화, 아래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https://youtu.be/s9dDyRYHSu8?si=vns6toRGoAeNI6n1
연수르는 진짜 히트레이트 높네요~!!
미국에는 진짜 잼있는 주식들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ㅎㅎ
Coach 트렌드의 매출화, 아래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https://youtu.be/s9dDyRYHSu8?si=vns6toRGoAeNI6n1
Переслав з:
HS아카데미 대표 이효석

29.01.202512:16
#연수르의_미국주식
연수르 영상 10부작!!!
연휴 동안 틀어놓으셔도 좋습니다~!
[연수르의 미국주식 몰아보기] 앞으로 미국 주식은 '이렇게' 투자하셔야 합니다
https://youtu.be/Z8cOjdoIooc
연수르 영상 10부작!!!
연휴 동안 틀어놓으셔도 좋습니다~!
[연수르의 미국주식 몰아보기] 앞으로 미국 주식은 '이렇게' 투자하셔야 합니다
https://youtu.be/Z8cOjdoIooc
07.04.202515:22
[ 미국 군함 조선소 HII, 한국 HD 현대중공업과 MOU 체결 ]
📅 일자: 2025년 4월 7일
📍 장소: Sea Air Space 해양박람회, 미국 메릴랜드주 내셔널하버
🔖 핵심 내용
- 미국 최대 방산 조선기업 HII와 한국의 HD현대중공업(HHI)이 함정 및 상선 건조 협력을 위한 MOU 체결
- 양사는 방산 및 상업용 선박 건조 가속화, 생산 효율성 증대, 기술 혁신을 목표로 협력 추진
- 미-한 양국의 해양 산업기반 강화 및 글로벌 방산 경쟁력 확대 기대
🎤 양사 주요 인사 발언
HII 브라이언 블란쳇(Brian Blanchette) 부사장:
"이번 협약은 미국 국가안보 강화를 위한 조선 역량 확대에 큰 기여가 될 것"
HD현대중공업 주원호 특수선사업부 대표:
"HII와의 협력을 통해 조선 분야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고객 가치를 극대화할 것"
🌏 기대 효과
- 양국의 방위 산업 역량 강화
- HII 의 생산속도 향상 및 첨단기술 개발 촉진
📅 일자: 2025년 4월 7일
📍 장소: Sea Air Space 해양박람회, 미국 메릴랜드주 내셔널하버
🔖 핵심 내용
- 미국 최대 방산 조선기업 HII와 한국의 HD현대중공업(HHI)이 함정 및 상선 건조 협력을 위한 MOU 체결
- 양사는 방산 및 상업용 선박 건조 가속화, 생산 효율성 증대, 기술 혁신을 목표로 협력 추진
- 미-한 양국의 해양 산업기반 강화 및 글로벌 방산 경쟁력 확대 기대
🎤 양사 주요 인사 발언
HII 브라이언 블란쳇(Brian Blanchette) 부사장:
"이번 협약은 미국 국가안보 강화를 위한 조선 역량 확대에 큰 기여가 될 것"
HD현대중공업 주원호 특수선사업부 대표:
"HII와의 협력을 통해 조선 분야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고객 가치를 극대화할 것"
🌏 기대 효과
- 양국의 방위 산업 역량 강화
- HII 의 생산속도 향상 및 첨단기술 개발 촉진
17.03.202513:42
[ Intel, 신임 CEO 의 파운드리 / AI 전략 개편 계획이 로이터 발 보도되며 강세 ]
- 리푸 탄 CEO, 인텔의 제조 역량 강화 및 AI 전략 재정비 추진
- 중간관리층 축소 등 조직 구조조정 계획
- 파운드리 사업 강화 및 AI 서버용 칩 생산 확대 계획
- 탄 CEO, 고객 및 기술 서비스 개선 목표로 경쟁사(TSMC)에 적극 대응 방침
- 출처 기사 링크 : https://www.reuters.com/technology/intels-new-ceo-plots-overhaul-manufacturing-ai-operations-2025-03-17/
간략한 생각
- Intel 의 향후 전략이 신임 CEO 이후 JV 보다는 자체 역량 강화와 구조 개선에 집중할 듯
- Intel 의 가장 주력 공정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18A 공정이 예상보다 잘 나올 가능성이 높음
- 문제는 수율인데 연말까지 수율 개선에 집중해 개선될 경우 인텔의 턴어라운드 정책이 어느 정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됨
- 정부의 지원 및 18A 공정을 내세운 턴어라운드 계획이 올해 실행될 수 있는지 지속 주목 필요
- 리푸 탄 CEO, 인텔의 제조 역량 강화 및 AI 전략 재정비 추진
- 중간관리층 축소 등 조직 구조조정 계획
- 파운드리 사업 강화 및 AI 서버용 칩 생산 확대 계획
- 탄 CEO, 고객 및 기술 서비스 개선 목표로 경쟁사(TSMC)에 적극 대응 방침
- 출처 기사 링크 : https://www.reuters.com/technology/intels-new-ceo-plots-overhaul-manufacturing-ai-operations-2025-03-17/
간략한 생각
- Intel 의 향후 전략이 신임 CEO 이후 JV 보다는 자체 역량 강화와 구조 개선에 집중할 듯
- Intel 의 가장 주력 공정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18A 공정이 예상보다 잘 나올 가능성이 높음
- 문제는 수율인데 연말까지 수율 개선에 집중해 개선될 경우 인텔의 턴어라운드 정책이 어느 정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됨
- 정부의 지원 및 18A 공정을 내세운 턴어라운드 계획이 올해 실행될 수 있는지 지속 주목 필요
12.02.202521:42
[ Cisco, AI 로 수요 호조가 이어지며 어닝 서프라이즈 발표. 장후 시장에서 6% 넘게 상승 ]
2분기 2025년 주요 실적:
- 매출: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한 $140억
- Non-GAAP 순이익: $38억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
- Non-GAAP 주당순이익(EPS): $0.94로,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
- 제품 주문량: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했으며, Splunk를 제외하면 11% 증가했습니다.
- AI 인프라 주문량: 이번 분기에 $3.5억을 기록하여, 2025 회계연도 상반기 총 $7억을 달성했습니다.
3분기 2025년 가이던스:
- 매출: $139억에서 $141억 사이로 예상됩니다.
- Non-GAAP 주당순이익(EPS): $0.90에서 $0.92 사이로 예상
2025 회계연도 전체 가이던스:
- 매출: $560억에서 $565억 사이로 예상
- 이전 예상치인 $553억에서 $563억보다 상향 조정
- Non-GAAP 주당순이익(EPS): $3.68에서 $3.74 사이로 예상
추가 사항:
- 배당금 인상: 분기별 배당금을 주당 $0.41로 3% 인상
-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 추가로 $150억을 승인하여, 총 승인된 자사주 매입 규모를 약 $170억으로 확대
CEO인 척 로빈스 코멘트
- AI가 더욱 보편화됨에 따라, 우리는 고객들이 네트워크 인프라를 확장하고 데이터 용량 요구를 증가시키며, 최고 수준의 AI 보안을 채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소결론
- 전일 Vertiv 까지 아쉬운 실적을 발표하며 IT 하드웨어 기업들이 이제는 쉽게 돈을 벌 수 없다는 사례가 계속 많아지고 있음
- 이제 AI 하드웨어 파이가 줄어서보다 다수의 영역에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
-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섹터는 기본적으로 가장 어닝 서프라이즈가 많이 나오고 있음
- AI 로 요구되는 네트워크 스펙이 계속 상향되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아시아 기업들과의 경쟁이 자유로운 덕분으로 추정됨
- 800G 사이클은 이제 시작이며 1.6T 싸이클도 바로 올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네트워크 밸류체인들에 대한 팔로우업 지속 필요
2분기 2025년 주요 실적:
- 매출: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한 $140억
- Non-GAAP 순이익: $38억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
- Non-GAAP 주당순이익(EPS): $0.94로,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
- 제품 주문량: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했으며, Splunk를 제외하면 11% 증가했습니다.
- AI 인프라 주문량: 이번 분기에 $3.5억을 기록하여, 2025 회계연도 상반기 총 $7억을 달성했습니다.
3분기 2025년 가이던스:
- 매출: $139억에서 $141억 사이로 예상됩니다.
- Non-GAAP 주당순이익(EPS): $0.90에서 $0.92 사이로 예상
2025 회계연도 전체 가이던스:
- 매출: $560억에서 $565억 사이로 예상
- 이전 예상치인 $553억에서 $563억보다 상향 조정
- Non-GAAP 주당순이익(EPS): $3.68에서 $3.74 사이로 예상
추가 사항:
- 배당금 인상: 분기별 배당금을 주당 $0.41로 3% 인상
-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 추가로 $150억을 승인하여, 총 승인된 자사주 매입 규모를 약 $170억으로 확대
CEO인 척 로빈스 코멘트
- AI가 더욱 보편화됨에 따라, 우리는 고객들이 네트워크 인프라를 확장하고 데이터 용량 요구를 증가시키며, 최고 수준의 AI 보안을 채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소결론
- 전일 Vertiv 까지 아쉬운 실적을 발표하며 IT 하드웨어 기업들이 이제는 쉽게 돈을 벌 수 없다는 사례가 계속 많아지고 있음
- 이제 AI 하드웨어 파이가 줄어서보다 다수의 영역에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
-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섹터는 기본적으로 가장 어닝 서프라이즈가 많이 나오고 있음
- AI 로 요구되는 네트워크 스펙이 계속 상향되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아시아 기업들과의 경쟁이 자유로운 덕분으로 추정됨
- 800G 사이클은 이제 시작이며 1.6T 싸이클도 바로 올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네트워크 밸류체인들에 대한 팔로우업 지속 필요
10.02.202521:45
[ Fluence Energy,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과 가이던스 하향으로 장후 시장에서 35% 넘게 급락 ]
🔹 1분기 실적 요약 (2024년 12월 31일 종료 분기)
- 매출: 약 1억 8,680만 달러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 (컨센서스 : 1억 8,673만 달러)
- GAAP 기준 총이익률: 11.4% (전년 동기 10.0%)
- 조정 총이익률: 12.5% (전년 동기 10.5%)
- 순손실: 약 5,700만 달러 (전년 동기 2,560만 달러)
- 조정 EBITDA: -4,970만 달러 (전년 동기 -1,830만 달러)
- 신규 수주: 7억 7,800만 달러
- 수주 잔고: 51억 달러 (역대 최고치)
🔹 재무 현황
- 총 현금 보유액: 6억 5,440만 달러 (2024년 9월 대비 1억 3,570만 달러 증가)
- 전환사채 발행: 2024년 12월, 4억 달러 규모 (2.25%, 2030년 만기)
🔹 2025년 연간 실적 전망 하향 조정
- 매출 전망: 31~37억 달러 (기존 36~44억 달러에서 하향 조정)
- 조정 EBITDA 전망: 7,000만~1억 달러 (기존 1억 6,000만~2억 달러에서 하향 조정)
- 연간 반복 수익 (ARR) 전망: 1억 4,500만 달러 유지
🔍 이유:
- 호주 계약 지연
- 경쟁 심화로 인한 마진 감소
🔹 CEO 발언 (Julian Nebreda)
🗣️ “고객 계약 체결이 지연되면서 연간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해야 했지만,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배터리 저장 시장은 여전히 강력합니다.”
🗣️ “51억 달러의 수주 잔고는 우리의 시장 경쟁력을 보여줍니다.”
🗣️ “2026년부터 더 나은 재무 성과를 기대합니다.”
📌 소결론
- Fluence Energy는 2025년 1분기 실적에서 매출 감소 및 순손실 확대를 발표하며 연간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
- 테슬라의 에너지 사업부는 사업 호조를 보여주고 있지만 그 이외 업체들은 중국, 테슬라와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쉽지 않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음
🔹 1분기 실적 요약 (2024년 12월 31일 종료 분기)
- 매출: 약 1억 8,680만 달러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 (컨센서스 : 1억 8,673만 달러)
- GAAP 기준 총이익률: 11.4% (전년 동기 10.0%)
- 조정 총이익률: 12.5% (전년 동기 10.5%)
- 순손실: 약 5,700만 달러 (전년 동기 2,560만 달러)
- 조정 EBITDA: -4,970만 달러 (전년 동기 -1,830만 달러)
- 신규 수주: 7억 7,800만 달러
- 수주 잔고: 51억 달러 (역대 최고치)
🔹 재무 현황
- 총 현금 보유액: 6억 5,440만 달러 (2024년 9월 대비 1억 3,570만 달러 증가)
- 전환사채 발행: 2024년 12월, 4억 달러 규모 (2.25%, 2030년 만기)
🔹 2025년 연간 실적 전망 하향 조정
- 매출 전망: 31~37억 달러 (기존 36~44억 달러에서 하향 조정)
- 조정 EBITDA 전망: 7,000만~1억 달러 (기존 1억 6,000만~2억 달러에서 하향 조정)
- 연간 반복 수익 (ARR) 전망: 1억 4,500만 달러 유지
🔍 이유:
- 호주 계약 지연
- 경쟁 심화로 인한 마진 감소
🔹 CEO 발언 (Julian Nebreda)
🗣️ “고객 계약 체결이 지연되면서 연간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해야 했지만,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배터리 저장 시장은 여전히 강력합니다.”
🗣️ “51억 달러의 수주 잔고는 우리의 시장 경쟁력을 보여줍니다.”
🗣️ “2026년부터 더 나은 재무 성과를 기대합니다.”
📌 소결론
- Fluence Energy는 2025년 1분기 실적에서 매출 감소 및 순손실 확대를 발표하며 연간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
- 테슬라의 에너지 사업부는 사업 호조를 보여주고 있지만 그 이외 업체들은 중국, 테슬라와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쉽지 않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음
06.02.202507:12
닛토 방직 (Nitto Boseki) 2024년 3분기 실적 및 가이던스 요약
1. 실적 개요 (2024년 3분기, 2024년 4월~12월)
- 매출: 815억 엔 (+19.8% YoY)
- 영업이익: 118억 엔 (+107.1% YoY)
- 경상이익: 132억 엔 (+94.8% YoY)
- 순이익: 94억 엔 (+75.6% YoY)
- ROE (자기자본이익률): 57.5% (전년 대비 +1.8%)
>> 닛토 방직은 전년 대비 크게 성장했으며, 특히 전자재료(특수유리) 및 의료 사업이 실적 개선을 견인
📌 핵심 포인트
- 전자재료 부문이 AI 서버 및 반도체 기판용 특수 유리 판매 호조로 실적 급등.
- 의료 부문은 안정적인 성장세 유지.
- 복합재료 및 소재 솔루션 부문은 원가 상승과 설비 유지보수 영향으로 수익성 악화.
- 단열재 부문은 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고성능 단열재 판매 증가로 선방.
2. 가이던스 상향 (2025년 3월 기준 연간 전망)
- 매출 목표: 1,090억 엔 (+16.9% YoY)
- 영업이익 목표: 160억 엔 (+90.8% YoY) (기존 150억 엔 → 160억 엔 상향)
- 경상이익 목표: 170억 엔 (+74.3% YoY) (기존 160억 엔 → 170억 엔 상향)
- 순이익 목표: 115억 엔 (+57.6% YoY) (기존 105억 엔 → 115억 엔 상향)
- 주당순이익 (EPS) 전망: 315.87엔 (기존 288.40엔 → 315.87엔 상향)
📌 핵심 포인트
- 전자재료 부문에서 AI 서버 및 반도체 기판용 특수유리 판매 지속 증가 전망.
- 의료 부문은 안정적인 매출 유지하며 연구개발 및 인력 확충 계획.
- 복합재료 부문은 하반기 회복 예상되나 원가 부담 지속.
- 소재 솔루션 부문은 신제품 개발에 집중하는 준비 단계.
- 단열재 부문은 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고성능 제품 수요 증가 예상.
3. 주주환원 정책
- 기본 배당 정책: 연간 87엔 (전년 55엔 → 증가)
- 중간 배당 27.5엔 → 기말 배당 59.5엔
- 배당성향: 30% 유지 목표
📌 핵심 포인트:
- 안정적인 배당정책 유지 및 전년 대비 배당 확대.
- 수익 증가에 따라 주주환원 강화 기조 유지.
4. 종합 요약
- 2024년 3분기 실적 호조, 특히 전자재료 (특수유리) 부문이 강한 성장을 보이며 매출 및 이익이 크게 증가.
- 2025년 3월 연간 가이던스 상향, 특히 영업이익과 순이익 전망이 상향 조정됨.
- AI 서버, 반도체 기판 시장의 특수유리 수요가 지속 증가, 이에 따라 전자재료 부문이 향후 실적을 견인할 전망.
- 배당도 증가하며 주주 환원 정책 강화.
📌 결론: 닛토 방직은 반도체 및 AI 서버 시장 성장에 힘입어 실적 개선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가이던스도 상향 조정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가능.
바바리안 이전 니토 보세키 글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205103430341bz
1. 실적 개요 (2024년 3분기, 2024년 4월~12월)
- 매출: 815억 엔 (+19.8% YoY)
- 영업이익: 118억 엔 (+107.1% YoY)
- 경상이익: 132억 엔 (+94.8% YoY)
- 순이익: 94억 엔 (+75.6% YoY)
- ROE (자기자본이익률): 57.5% (전년 대비 +1.8%)
>> 닛토 방직은 전년 대비 크게 성장했으며, 특히 전자재료(특수유리) 및 의료 사업이 실적 개선을 견인
📌 핵심 포인트
- 전자재료 부문이 AI 서버 및 반도체 기판용 특수 유리 판매 호조로 실적 급등.
- 의료 부문은 안정적인 성장세 유지.
- 복합재료 및 소재 솔루션 부문은 원가 상승과 설비 유지보수 영향으로 수익성 악화.
- 단열재 부문은 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고성능 단열재 판매 증가로 선방.
2. 가이던스 상향 (2025년 3월 기준 연간 전망)
- 매출 목표: 1,090억 엔 (+16.9% YoY)
- 영업이익 목표: 160억 엔 (+90.8% YoY) (기존 150억 엔 → 160억 엔 상향)
- 경상이익 목표: 170억 엔 (+74.3% YoY) (기존 160억 엔 → 170억 엔 상향)
- 순이익 목표: 115억 엔 (+57.6% YoY) (기존 105억 엔 → 115억 엔 상향)
- 주당순이익 (EPS) 전망: 315.87엔 (기존 288.40엔 → 315.87엔 상향)
📌 핵심 포인트
- 전자재료 부문에서 AI 서버 및 반도체 기판용 특수유리 판매 지속 증가 전망.
- 의료 부문은 안정적인 매출 유지하며 연구개발 및 인력 확충 계획.
- 복합재료 부문은 하반기 회복 예상되나 원가 부담 지속.
- 소재 솔루션 부문은 신제품 개발에 집중하는 준비 단계.
- 단열재 부문은 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고성능 제품 수요 증가 예상.
3. 주주환원 정책
- 기본 배당 정책: 연간 87엔 (전년 55엔 → 증가)
- 중간 배당 27.5엔 → 기말 배당 59.5엔
- 배당성향: 30% 유지 목표
📌 핵심 포인트:
- 안정적인 배당정책 유지 및 전년 대비 배당 확대.
- 수익 증가에 따라 주주환원 강화 기조 유지.
4. 종합 요약
- 2024년 3분기 실적 호조, 특히 전자재료 (특수유리) 부문이 강한 성장을 보이며 매출 및 이익이 크게 증가.
- 2025년 3월 연간 가이던스 상향, 특히 영업이익과 순이익 전망이 상향 조정됨.
- AI 서버, 반도체 기판 시장의 특수유리 수요가 지속 증가, 이에 따라 전자재료 부문이 향후 실적을 견인할 전망.
- 배당도 증가하며 주주 환원 정책 강화.
📌 결론: 닛토 방직은 반도체 및 AI 서버 시장 성장에 힘입어 실적 개선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가이던스도 상향 조정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가능.
바바리안 이전 니토 보세키 글입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205103430341bz
29.01.202506:36
[ ASML 4분기 실적 및 2025년 전망 발표 ]
-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과 Bookings 로 오버나이트에서 6% 이상 상승
4분기 실적
- GAAP 주당순이익: 6.85유로 (+0.12유로 상회)
- 매출: 92억 6,000만 유로 (+27.9% YoY, 예상 대비 +2억 유로)
- Bookings : 71억 유로 (EUV 30억 유로 포함)
2025년 전망
- 총 순매출: 300억~350억 유로
- 총 마진: 51%~53%
2025년 1분기 가이던스
- 총 순매출: 75억~80억 유로 (컨센서스 72억 4,000만 유로 상회)
- 총 마진: 52%~53%
- R&D 비용: 약 11억 4,000만 유로
- 판관비: 약 2억 9,000만 유로
배당금
- 2024년 보통주당 총 배당금 6.40유로 (전년 대비 +4.9%)
- 중간 배당금 1.52유로, 2025년 2월 19일 지급 예정
ASML CEO Christophe Fouquet:
"두 대의 High-NA EUV를 매출로 인식했으며 4분기에 3번째 High-NA EUV를 고객사에 출하"
"AI의 성장은 반도체 업계의 핵심 동력입니다. 하지만 모든 고객이 동일한 혜택을 받지는 않으며, 이는 2025년 매출 전망에도 반영되었습니다. 이는 기회와 위험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 간단한 코멘트
- ASML 이 AI 와 High-NA EUV 출하를 통해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오버나이트에서 6% 이상 상승
- 최근 DeepSeek 발 AI 하드웨어 수요 우려가 있었지만 단기적으로는 문제 없는 모습을 확인
- High-NA EUV 가 순조롭게 출하되고 있는데 이는 TSMC 선단 공정, 인텔의 선단 공정 개발 덕분으로 추정됨
- 다만, CEO 코멘트를 보면 AI 만 좋고 레거시는 안 좋은 뉘앙스가 있어 보임
- 이는 연초 반도체 업황에 대한 컨센서스이며 올해 반도체 장비 성장률이 5% 내외로 제한될 가능성 또한 높아보임
- 당장, AI 발 반도체 수요는 살아있다는 것이 확인된 만큼 이에 대한 수혜가 가능한 반도체 기업 + 장비 기업들로 선별적으로 접근해야하며 레거시 업황 비중 높은 기업들은 여전히 조심해야할 가능성이 높을듯
-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과 Bookings 로 오버나이트에서 6% 이상 상승
4분기 실적
- GAAP 주당순이익: 6.85유로 (+0.12유로 상회)
- 매출: 92억 6,000만 유로 (+27.9% YoY, 예상 대비 +2억 유로)
- Bookings : 71억 유로 (EUV 30억 유로 포함)
2025년 전망
- 총 순매출: 300억~350억 유로
- 총 마진: 51%~53%
2025년 1분기 가이던스
- 총 순매출: 75억~80억 유로 (컨센서스 72억 4,000만 유로 상회)
- 총 마진: 52%~53%
- R&D 비용: 약 11억 4,000만 유로
- 판관비: 약 2억 9,000만 유로
배당금
- 2024년 보통주당 총 배당금 6.40유로 (전년 대비 +4.9%)
- 중간 배당금 1.52유로, 2025년 2월 19일 지급 예정
ASML CEO Christophe Fouquet:
"두 대의 High-NA EUV를 매출로 인식했으며 4분기에 3번째 High-NA EUV를 고객사에 출하"
"AI의 성장은 반도체 업계의 핵심 동력입니다. 하지만 모든 고객이 동일한 혜택을 받지는 않으며, 이는 2025년 매출 전망에도 반영되었습니다. 이는 기회와 위험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 간단한 코멘트
- ASML 이 AI 와 High-NA EUV 출하를 통해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오버나이트에서 6% 이상 상승
- 최근 DeepSeek 발 AI 하드웨어 수요 우려가 있었지만 단기적으로는 문제 없는 모습을 확인
- High-NA EUV 가 순조롭게 출하되고 있는데 이는 TSMC 선단 공정, 인텔의 선단 공정 개발 덕분으로 추정됨
- 다만, CEO 코멘트를 보면 AI 만 좋고 레거시는 안 좋은 뉘앙스가 있어 보임
- 이는 연초 반도체 업황에 대한 컨센서스이며 올해 반도체 장비 성장률이 5% 내외로 제한될 가능성 또한 높아보임
- 당장, AI 발 반도체 수요는 살아있다는 것이 확인된 만큼 이에 대한 수혜가 가능한 반도체 기업 + 장비 기업들로 선별적으로 접근해야하며 레거시 업황 비중 높은 기업들은 여전히 조심해야할 가능성이 높을듯
04.04.202500:59
[ Nvidia GB300 레퍼런스 디자인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딜레이 가능성 높음 ]
GB300 연말이나 내년 출시로 딜레이 가능성 높음
- Nvidia, 고급 AI 서버 GB300을 GTC 2025에서 공식 발표
- 초기 목표는 2025년 3분기 출시
- 현재 시장은 설계 결정 미확정 및 공급망 문제로 출시 지연 가능성 전망 (2025년 말~2026년 초 예상)
- 전원 관련 솔루션의 디자인 확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추정됨
- JPM, 대만 언론들이 모두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지연 가능성 높아 예의 주시 필요
GB300 연말이나 내년 출시로 딜레이 가능성 높음
- Nvidia, 고급 AI 서버 GB300을 GTC 2025에서 공식 발표
- 초기 목표는 2025년 3분기 출시
- 현재 시장은 설계 결정 미확정 및 공급망 문제로 출시 지연 가능성 전망 (2025년 말~2026년 초 예상)
- 전원 관련 솔루션의 디자인 확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추정됨
- JPM, 대만 언론들이 모두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지연 가능성 높아 예의 주시 필요
10.03.202504:58
안녕하세요 바바리안 리서치 BK 입니다
최근 IT 하드웨어 기업들의 주가가 안 좋을 뿐만 아니라 변동성이 큰 상황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빅테크들이 CAPEX 효율화를 본격적으로 추구함에 따라 ASIC 설계도 복잡하게 여러 기업들에게 발주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최근 ASIC 발주 및 상황이 어떤지 구체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전체적인 상황도 알기 좋은 CoWoS 캐파도 어떤 상황인지 정리해보았습니다
그리고 IT 하드웨어 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 중 하나인 Nvidia 의 GTC 2025 에 대한
프리뷰도 작성했습니다
Nvidia 의 Blackwell 이 왜 구조적으로 이슈가 많이 생길 수 밖에 없었는지
차세대 Rubin 은 그래서 무엇을 개선해서 준비했는지 정리했습니다
Nvidia 가 Rubin 은 Blackwell 과 다르게 많은 준비를 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번 GTC 행사는 다시 한 번 크게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310004255945ks
최근 IT 하드웨어 기업들의 주가가 안 좋을 뿐만 아니라 변동성이 큰 상황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빅테크들이 CAPEX 효율화를 본격적으로 추구함에 따라 ASIC 설계도 복잡하게 여러 기업들에게 발주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최근 ASIC 발주 및 상황이 어떤지 구체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전체적인 상황도 알기 좋은 CoWoS 캐파도 어떤 상황인지 정리해보았습니다
그리고 IT 하드웨어 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 중 하나인 Nvidia 의 GTC 2025 에 대한
프리뷰도 작성했습니다
Nvidia 의 Blackwell 이 왜 구조적으로 이슈가 많이 생길 수 밖에 없었는지
차세대 Rubin 은 그래서 무엇을 개선해서 준비했는지 정리했습니다
Nvidia 가 Rubin 은 Blackwell 과 다르게 많은 준비를 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번 GTC 행사는 다시 한 번 크게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arbarian/stockideas/contents/250310004255945ks
12.02.202521:29
[ Dutch Bros, 어닝 서프라이즈로 장후 시장에서 26% 넘게 상승]
4분기 주요 실적
- 매출: $3.428억 (+34.9% YoY) (컨센서스 : 3.19억 달러를 크게 상회)
- 동일 매장 매출 성장률: 시스템 전체 +6.9%, 회사 운영 매장 +9.5%
- 동일 매장 거래 건수: 시스템 전체 +2.3%, 회사 운영 매장 +5.2%
- 순이익: $640만 (전년 동기 순손실 $380만에서 개선)
2024년 연간 실적
- 매출: $12.6억 (+33.8% YoY)
- 동일 매장 매출 성장률: 시스템 전체 +4.5%, 회사 운영 매장 +6.8%
- 동일 매장 거래 건수: 시스템 전체 +0.4%, 회사 운영 매장 +2.6%
- 순손실: $1,000만 (전년 순손실 $3,100만에서 개선)
- 조정 EBITDA: $1.7억 (+45.1% YoY)
📌 2025년 전망
- 매출 예상: $15.0억~$15.5억 (컨세서스 : 15.3억 달러)
- 동일 매장 매출 성장: 중간 한 자릿수 성장 예상
- 신규 매장 오픈: 150~170개 매장 추가
- 조정 EBITDA: $2.25억$2.35억
💬 CEO 크리스틴 바론 코멘트:
“혁신적인 전략과 로열티 프로그램 덕분에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긍정적인 성장을 기대합니다!” 🚀
소결론
- Dutch Bros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 발표로 장후 시장에서 급등
- 내년에도 신규 매장 오픈이 지속되며 동일 매장 매출 성장 또한 올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측면이 긍정적
-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Dutch Bros 는 아침 점심 저녁 시간대 모두 균형 잡힌 매출이 나오는 것이 특징적
- 최근 주가 상승을 많이 했음에도 트렌드가 꾸준히 좋아 계속 주목할 소비재 기업
4분기 주요 실적
- 매출: $3.428억 (+34.9% YoY) (컨센서스 : 3.19억 달러를 크게 상회)
- 동일 매장 매출 성장률: 시스템 전체 +6.9%, 회사 운영 매장 +9.5%
- 동일 매장 거래 건수: 시스템 전체 +2.3%, 회사 운영 매장 +5.2%
- 순이익: $640만 (전년 동기 순손실 $380만에서 개선)
2024년 연간 실적
- 매출: $12.6억 (+33.8% YoY)
- 동일 매장 매출 성장률: 시스템 전체 +4.5%, 회사 운영 매장 +6.8%
- 동일 매장 거래 건수: 시스템 전체 +0.4%, 회사 운영 매장 +2.6%
- 순손실: $1,000만 (전년 순손실 $3,100만에서 개선)
- 조정 EBITDA: $1.7억 (+45.1% YoY)
📌 2025년 전망
- 매출 예상: $15.0억~$15.5억 (컨세서스 : 15.3억 달러)
- 동일 매장 매출 성장: 중간 한 자릿수 성장 예상
- 신규 매장 오픈: 150~170개 매장 추가
- 조정 EBITDA: $2.25억$2.35억
💬 CEO 크리스틴 바론 코멘트:
“혁신적인 전략과 로열티 프로그램 덕분에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긍정적인 성장을 기대합니다!” 🚀
소결론
- Dutch Bros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 발표로 장후 시장에서 급등
- 내년에도 신규 매장 오픈이 지속되며 동일 매장 매출 성장 또한 올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측면이 긍정적
-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Dutch Bros 는 아침 점심 저녁 시간대 모두 균형 잡힌 매출이 나오는 것이 특징적
- 최근 주가 상승을 많이 했음에도 트렌드가 꾸준히 좋아 계속 주목할 소비재 기업
10.02.202521:18
[ Astera Labs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과 가이던스 발표에도 장후 시장에서 8% 넘게 급락 ]
2024년 4분기 실적
- 매출: $1억 4,110만 (전 분기 대비 +25%, 전년 동기 대비 +179%)
(컨센서스 : 1억 2,791만 달러)
- GAAP(일반 회계 기준) 영업 이익: $10만 (영업 이익률 0.1%)
- Non GAAP(조정 후) 영업 이익: $4,840만 (영업 이익률 34.3%)
- Non GAAP 희석 주당순이익(EPS): $0.37 (0.26 달러)
2024 회계연도 연간 실적
- 연간 매출: $3억 9,630만 (전년 대비 +242%)
- Non GAAP 영업 이익: $1억 1,960만 (영업 이익률 30.2%)
- Non GAAP 순이익: $1억 4,330만
- Non GAAP 희석 주당순이익: $0.84
주요 비즈니스 하이라이트
1. AI 인프라용 Scorpio Smart Fabric Switch 포트폴리오 출시
- PCIe Gen 6 연결을 위한 P-Series, AI 가속기 클러스터 확장을 위한 X-Series 개발
- 현재 사전 생산 단계에서 출하 중
2. Ultra Accelerator Link Consortium (UALink) 이사회 합류
- AI 가속기 간 고속 연결을 위한 기술 개발 주도
3. 업계 최초 PCIe 광 연결 솔루션 시연
- GPU 클러스터 확장용 PCIe/CXL 광 연결 솔루션 제공
4. Aries PCIe/CXL Smart DSP Retimer 포트폴리오 확장
- Aries 6 Retimer 출시 (업계 최저 전력 PCIe 6.x/CXL 3.x 리타이머)
5. AI 인프라용 Aries PCIe/CXL 스마트 케이블 모듈 출하
- 7m 길이의 유연한 구리 케이블을 통한 GPU 클러스터 확장 지원
6. PCIe 6.x 스위치 및 SSD 간 상호 운용성 첫 공개 시연
- Scorpio P-Series 스위치와 Micron PCIe 6.x SSD 간 26GB/s 이상의 읽기 속도 달성
2025 회계연도 1분기 전망
- 예상 매출: $1억 5,100만 ~ $1억 5,500만 (컨센서스 : 1억 3,392만 달러)
- GAAP 영업 비용: $1억 1,300만 ~ $1억 1,400만
- Non GAAP 주당순이익(EPS): $0.28 ~ $0.29 (0.25 달러)
결론
- 기존에 기대되었던 제품 출시와 기술 개발이 예상대로 진행되었고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였지만 장후 시장에서 급락
- 실적 발표 직후에는 주가가 급등했지만 상승폭을 금방 반납
- 자세한 이유 확인 컨퍼런스콜에서 확인 필요
2024년 4분기 실적
- 매출: $1억 4,110만 (전 분기 대비 +25%, 전년 동기 대비 +179%)
(컨센서스 : 1억 2,791만 달러)
- GAAP(일반 회계 기준) 영업 이익: $10만 (영업 이익률 0.1%)
- Non GAAP(조정 후) 영업 이익: $4,840만 (영업 이익률 34.3%)
- Non GAAP 희석 주당순이익(EPS): $0.37 (0.26 달러)
2024 회계연도 연간 실적
- 연간 매출: $3억 9,630만 (전년 대비 +242%)
- Non GAAP 영업 이익: $1억 1,960만 (영업 이익률 30.2%)
- Non GAAP 순이익: $1억 4,330만
- Non GAAP 희석 주당순이익: $0.84
주요 비즈니스 하이라이트
1. AI 인프라용 Scorpio Smart Fabric Switch 포트폴리오 출시
- PCIe Gen 6 연결을 위한 P-Series, AI 가속기 클러스터 확장을 위한 X-Series 개발
- 현재 사전 생산 단계에서 출하 중
2. Ultra Accelerator Link Consortium (UALink) 이사회 합류
- AI 가속기 간 고속 연결을 위한 기술 개발 주도
3. 업계 최초 PCIe 광 연결 솔루션 시연
- GPU 클러스터 확장용 PCIe/CXL 광 연결 솔루션 제공
4. Aries PCIe/CXL Smart DSP Retimer 포트폴리오 확장
- Aries 6 Retimer 출시 (업계 최저 전력 PCIe 6.x/CXL 3.x 리타이머)
5. AI 인프라용 Aries PCIe/CXL 스마트 케이블 모듈 출하
- 7m 길이의 유연한 구리 케이블을 통한 GPU 클러스터 확장 지원
6. PCIe 6.x 스위치 및 SSD 간 상호 운용성 첫 공개 시연
- Scorpio P-Series 스위치와 Micron PCIe 6.x SSD 간 26GB/s 이상의 읽기 속도 달성
2025 회계연도 1분기 전망
- 예상 매출: $1억 5,100만 ~ $1억 5,500만 (컨센서스 : 1억 3,392만 달러)
- GAAP 영업 비용: $1억 1,300만 ~ $1억 1,400만
- Non GAAP 주당순이익(EPS): $0.28 ~ $0.29 (0.25 달러)
결론
- 기존에 기대되었던 제품 출시와 기술 개발이 예상대로 진행되었고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였지만 장후 시장에서 급락
- 실적 발표 직후에는 주가가 급등했지만 상승폭을 금방 반납
- 자세한 이유 확인 컨퍼런스콜에서 확인 필요


06.02.202503:48
[ Palantir,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하는 발표로 장후 시장에서 15% 넘게 상승 ]
CEO 발언:
“AI 혁명의 중심에서 우리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 Alexander C. Karp, CEO
📈 Q4 2024 하이라이트
- 매출: $828M (+36% YoY, +14% QoQ, 46.28M 컨센서스 상회)
- 미국 매출: $558M (+52% YoY, +12% QoQ)
- 🇺🇸 미국 상업 매출: $214M (+64% YoY, +20% QoQ)
- 🇺🇸 미국 정부 매출: $343M (+45% YoY, +7% QoQ)
🔹 주요 실적 지표:
- 129건($1M+), 58건($5M+), 32건($10M+) 계약 성사
- 미국 상업 TCV: $803M (+134% YoY, +170% QoQ)
- 미국 상업 RDV: $1.79B (+99% YoY, +47% QoQ)
- 고객 수 증가: +43% YoY, +13% QoQ
🔹 재무 성과:
- 영업이익 (GAAP): $11M (1% 마진) / $142M (17% 마진, SAR 비용 제외)
- 조정 영업이익: $373M (45% 마진)
- 현금 창출: $460M (56% 마진)
- 조정 자유 현금 흐름: $517M (63% 마진)
- GAAP 순이익: $79M (10% 마진) / $165M (20% 마진, SAR 비용 제외)
- Rule of 40 점수: 81%
- GAAP EPS: $0.03 / 조정 EPS: $0.14
가이던스
1) 2025년 1분기
- 매출 : 8억 5,800만~8억 6,200만 달러 (컨센서스 : 7.99억을 크게 상회)
- 조정 영업이익 : 3억 5,400만~3억 5,800만 달러
2) 2025년 전체 연도
- 매출 : 37억 4,100만~37억 5,700만 달러 (컨센서스 35.3억을 크게 상회)
- 미국 상업 매출 : 10억 7,900만 달러 이상, 54% 이상의 성장률
- 조정 영업 이익 : 15억 5,100만~15억 6,700만 달러
- 조정 잉여현금흐름 : 15억~17억 달러
- 지금까지 AI 수익화를 제대로 보여준 소프트웨어 기업은 애드 테크 밖에 없었음
- 하지만, 팔란티어는 지난 분기부터 확실히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들을 계속 발표하며 AI 소프트웨어 대장주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CEO 발언:
“AI 혁명의 중심에서 우리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 Alexander C. Karp, CEO
📈 Q4 2024 하이라이트
- 매출: $828M (+36% YoY, +14% QoQ, 46.28M 컨센서스 상회)
- 미국 매출: $558M (+52% YoY, +12% QoQ)
- 🇺🇸 미국 상업 매출: $214M (+64% YoY, +20% QoQ)
- 🇺🇸 미국 정부 매출: $343M (+45% YoY, +7% QoQ)
🔹 주요 실적 지표:
- 129건($1M+), 58건($5M+), 32건($10M+) 계약 성사
- 미국 상업 TCV: $803M (+134% YoY, +170% QoQ)
- 미국 상업 RDV: $1.79B (+99% YoY, +47% QoQ)
- 고객 수 증가: +43% YoY, +13% QoQ
🔹 재무 성과:
- 영업이익 (GAAP): $11M (1% 마진) / $142M (17% 마진, SAR 비용 제외)
- 조정 영업이익: $373M (45% 마진)
- 현금 창출: $460M (56% 마진)
- 조정 자유 현금 흐름: $517M (63% 마진)
- GAAP 순이익: $79M (10% 마진) / $165M (20% 마진, SAR 비용 제외)
- Rule of 40 점수: 81%
- GAAP EPS: $0.03 / 조정 EPS: $0.14
가이던스
1) 2025년 1분기
- 매출 : 8억 5,800만~8억 6,200만 달러 (컨센서스 : 7.99억을 크게 상회)
- 조정 영업이익 : 3억 5,400만~3억 5,800만 달러
2) 2025년 전체 연도
- 매출 : 37억 4,100만~37억 5,700만 달러 (컨센서스 35.3억을 크게 상회)
- 미국 상업 매출 : 10억 7,900만 달러 이상, 54% 이상의 성장률
- 조정 영업 이익 : 15억 5,100만~15억 6,700만 달러
- 조정 잉여현금흐름 : 15억~17억 달러
- 지금까지 AI 수익화를 제대로 보여준 소프트웨어 기업은 애드 테크 밖에 없었음
- 하지만, 팔란티어는 지난 분기부터 확실히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들을 계속 발표하며 AI 소프트웨어 대장주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17.01.202514:13
[ Intel, 아직 알려지지 않은 기업이 인수하려고 한다는 소식에 8% 넘게 상승 ]
- Intel 이 알려지지 않은 기업이 인수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확도가 90% 가 넘는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8% 넘게 상승중
- Intel 이 알려지지 않은 기업이 인수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확도가 90% 가 넘는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8% 넘게 상승중
26.03.202508:45
[ Micron, 가격 인상 공지 250325 ]
마이크론 가격 인상 공지
- AI 관련 기술 및 수요 증가에 따라 제품 수요 상승 중
- 긴축된 시장 상황 대응 위해 Micron 제품 가격 인상 예정
- 구체적 인상률은 별도 메모 통해 채널 파트너들에게 안내됨
대응 권장 사항
- 고객 및 파트너들에 장기적 수요 예측 및 주문 계획 권장
- 주문 백로그 수요를 포함한 장기적 전망 공유 요청
Micron HBM
- 2025년 HBM 생산량 이미 '완전 매진'
- 2026년 수요 급증 예상, 고객사 계약 논의 중
시장 회복 및 가격 인상
- 메모리 및 스토리지 시장, 2025-2026년 본격적 회복세 진입
- Micron, 공급 긴축 및 AI 수요 증가로 '가격 인상 추진'
- 예상 인상률: 최대 11% (정확한 수치는 미공개)
- 주요 원인: 1월 싱가포르 공장 정전 사태로 인한 공급 부족
다른 기업 가격 인상 현황
- 샌디스크: 4월 1일부터 '10% 이상' 인상 예정
- 중국 YMTC: 4월 내 '10% 이상' 인상 가능성
- 삼성·SK하이닉스: 다음 달 NAND 웨이퍼 가격 인상 준비 중
🔸 DRAM/NAND 가격 전망 (TrendForce)
DRAM
- 기존 DRAM 가격: 2Q25 전분기 대비 0~5% 하락 예상
- 평균 DRAM 가격 (HBM 포함): '3~8% 상승' 전망 (HBM3e 12hi 출하량 증가 영향)
NAND
- NAND 웨이퍼 가격: '10~15% 상승' 전망
- 클라이언트 SSD 가격: '3~8% 상승' 전망
- 2Q25부터 NAND 가격 안정화 기대
주요 원인 및 이슈
- AI 수요 증가가 메모리 가격 상승 주도
- 미국의 관세 인상 및 재고 감소 영향, 공급 긴축 심화 중
마이크론 가격 인상 공지
- AI 관련 기술 및 수요 증가에 따라 제품 수요 상승 중
- 긴축된 시장 상황 대응 위해 Micron 제품 가격 인상 예정
- 구체적 인상률은 별도 메모 통해 채널 파트너들에게 안내됨
대응 권장 사항
- 고객 및 파트너들에 장기적 수요 예측 및 주문 계획 권장
- 주문 백로그 수요를 포함한 장기적 전망 공유 요청
Micron HBM
- 2025년 HBM 생산량 이미 '완전 매진'
- 2026년 수요 급증 예상, 고객사 계약 논의 중
시장 회복 및 가격 인상
- 메모리 및 스토리지 시장, 2025-2026년 본격적 회복세 진입
- Micron, 공급 긴축 및 AI 수요 증가로 '가격 인상 추진'
- 예상 인상률: 최대 11% (정확한 수치는 미공개)
- 주요 원인: 1월 싱가포르 공장 정전 사태로 인한 공급 부족
다른 기업 가격 인상 현황
- 샌디스크: 4월 1일부터 '10% 이상' 인상 예정
- 중국 YMTC: 4월 내 '10% 이상' 인상 가능성
- 삼성·SK하이닉스: 다음 달 NAND 웨이퍼 가격 인상 준비 중
🔸 DRAM/NAND 가격 전망 (TrendForce)
DRAM
- 기존 DRAM 가격: 2Q25 전분기 대비 0~5% 하락 예상
- 평균 DRAM 가격 (HBM 포함): '3~8% 상승' 전망 (HBM3e 12hi 출하량 증가 영향)
NAND
- NAND 웨이퍼 가격: '10~15% 상승' 전망
- 클라이언트 SSD 가격: '3~8% 상승' 전망
- 2Q25부터 NAND 가격 안정화 기대
주요 원인 및 이슈
- AI 수요 증가가 메모리 가격 상승 주도
- 미국의 관세 인상 및 재고 감소 영향, 공급 긴축 심화 중


13.02.202512:20
[ Datadog, 약한 가이던스 전망에 장전 7% 넘게 하락 ]
> 전반적인 클라우드 산업 경기 조심해야할수도
- 클라우드 모니터링 기업인 Datadog 의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
- 문제는 2025년 연간 가이던스가 컨센서스를 하회하며 장전 시장에서 주가 하락
- AI 로 컴퓨팅 / 데이터 수요가 증가하면서 동사가 수혜 받는 부분이 존재
-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이던스가 약한 것은 AI 수혜 분보다 전통 클라우드 경기가 현재 컨센서스보다 약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
- Datadog 은 IT 모니터링 시장에서 가장 선도적인 기업으로 Datadog 의 가이던스 부진은 올해 클라우드 산업이 예상보다 부진할 수도 있음을 의미
- 다음 분기 비트하며 다시 가이던스를 올리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대비하여 클라우드 산업 부진에 대한 경계와 팔로우업 필요
- 컨콜에서 의미있는 내용이 나오는지 주의 필요!
> 전반적인 클라우드 산업 경기 조심해야할수도
- 클라우드 모니터링 기업인 Datadog 의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
- 문제는 2025년 연간 가이던스가 컨센서스를 하회하며 장전 시장에서 주가 하락
- AI 로 컴퓨팅 / 데이터 수요가 증가하면서 동사가 수혜 받는 부분이 존재
-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이던스가 약한 것은 AI 수혜 분보다 전통 클라우드 경기가 현재 컨센서스보다 약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
- Datadog 은 IT 모니터링 시장에서 가장 선도적인 기업으로 Datadog 의 가이던스 부진은 올해 클라우드 산업이 예상보다 부진할 수도 있음을 의미
- 다음 분기 비트하며 다시 가이던스를 올리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대비하여 클라우드 산업 부진에 대한 경계와 팔로우업 필요
- 컨콜에서 의미있는 내용이 나오는지 주의 필요!
12.02.202521:22
[ Applovin, 또 다시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과 가이던스를 발표하며 장후 시장에서 15% 넘게 상승 ]
📊 2024년 4분기 실적
- 총 매출 : 13.728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 (컨센서스 : 1.26억 달러를 크게 상회)
- 광고 부문 매출: 9.995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
- 앱 부문 매출 3.73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
- 순이익 5.992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48% 증가)
💡 주요 비즈니스 하이라이트
- 자사주 매입: 4분기 동안 160만 주, 연간 총 2,570만 주를 $2.1억 달러에 매입
📈 2025년 1분기 재무 전망
- 총 매출: 13.55~13.85억 달러 (컨센서스 : 13.2억 달러)
- 광고 부문 매출: 10.30~10.50억 달러
- 앱 부문 매출: 3.25억~3.35억 달러
- 조정 EBITDA: 8.55억~8.85억 달러
호실적 원인 추정
- Applovin이 공식적으로 아직 이번 호실적에 대해서 언급한 것은 없지만 최근 조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추정됨
- AppLovin 2025년 애드테크 공급 시장 점유율 +3.67% 상승
- MAX 플랫폼 이용 고객들의 CPM(1,000회 노출당 비용) 증가
소결론
- 애드테크 대장주인 Applovin 은 또다시 호실적을 발표하며 장후 시장에서 급등
- 실적, 가이던스 모두 높아진 컨센서스 조차 상회
- AI 를 통한 애드테크 수혜 + 애드 테크 내에서도 계속 확장되는 동사의 사업성 계속해서 주목 필요
📊 2024년 4분기 실적
- 총 매출 : 13.728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 (컨센서스 : 1.26억 달러를 크게 상회)
- 광고 부문 매출: 9.995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
- 앱 부문 매출 3.73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
- 순이익 5.992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248% 증가)
💡 주요 비즈니스 하이라이트
- 자사주 매입: 4분기 동안 160만 주, 연간 총 2,570만 주를 $2.1억 달러에 매입
📈 2025년 1분기 재무 전망
- 총 매출: 13.55~13.85억 달러 (컨센서스 : 13.2억 달러)
- 광고 부문 매출: 10.30~10.50억 달러
- 앱 부문 매출: 3.25억~3.35억 달러
- 조정 EBITDA: 8.55억~8.85억 달러
호실적 원인 추정
- Applovin이 공식적으로 아직 이번 호실적에 대해서 언급한 것은 없지만 최근 조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추정됨
- AppLovin 2025년 애드테크 공급 시장 점유율 +3.67% 상승
- MAX 플랫폼 이용 고객들의 CPM(1,000회 노출당 비용) 증가
소결론
- 애드테크 대장주인 Applovin 은 또다시 호실적을 발표하며 장후 시장에서 급등
- 실적, 가이던스 모두 높아진 컨센서스 조차 상회
- AI 를 통한 애드테크 수혜 + 애드 테크 내에서도 계속 확장되는 동사의 사업성 계속해서 주목 필요
10.02.202508:52
-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초대형 AI 인프라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를 발표했다. 정부 임기 초반 정책 드라이브의 초점이 AI 인프라 전력 사업에 있음을 시사한다
- 소형모듈원전인 SMR 기업으로 눈을 돌리는 게 조금 더 현실적입니다. SMR은 건설 비용이 대형 원전의 5분의 1에 불과하고 건설 시간이 짧아 원자력발전소 신규 확보보다 훨씬 더 빨리 구동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지난해 도미니언에너지 등 3곳과 소형 원자로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고, 구글도 원전 스타트업 카이로스파워에서 향후 가동할 SMR 에너지를 자신들이 쓰겠다고 구매계약을 맺은 것
SMR 상용화 진도가 가장 빠른 것은 뉴스케일이라 함께 주목할 필요가 있다!
https://m.mk.co.kr/news/stock/11236471
- 소형모듈원전인 SMR 기업으로 눈을 돌리는 게 조금 더 현실적입니다. SMR은 건설 비용이 대형 원전의 5분의 1에 불과하고 건설 시간이 짧아 원자력발전소 신규 확보보다 훨씬 더 빨리 구동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지난해 도미니언에너지 등 3곳과 소형 원자로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고, 구글도 원전 스타트업 카이로스파워에서 향후 가동할 SMR 에너지를 자신들이 쓰겠다고 구매계약을 맺은 것
SMR 상용화 진도가 가장 빠른 것은 뉴스케일이라 함께 주목할 필요가 있다!
https://m.mk.co.kr/news/stock/11236471
06.02.202500:30
[ Ibiden 3QFY25 실적 발표 이후 하락 지속중 (전일 -15%, 금일 : -3%) : 레거시 노출 높은 섹터와 플레이어 많은 경쟁 산업은 피해야 ]
주요 재무 실적 (2025년 3분기)
- 매출 (Revenue, ¥bn) : 88.8 (컨센서스 : 95.7)
- 영업이익 (Operating Profit, ¥bn) : 6.3 (컨센서스 : 8.9)
- 순이익 (Net Income, ¥bn) : 4.3 (컨센서스 : 6.1)
- 연간 영업이익 가이던스는 ¥40bn 유지
GPU & CPU 패키징 영향
🔹 GPU 패키징
- 3Q 매출 감소 이유: 프리미엄 가격 → 대량 생산 가격 전환으로 전환되며 P 하락
- 2H(하반기) 동안 생산 능력 30% 증가
- 그러나 매출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기대 이하
🔹 CPU 패키징
- 최대 CPU 고객(40% 비중)의 주문 선택적으로 수락
- 가격 압박이 심해 이익이 감소
- 가동률: 2Q(70~75%) → 3Q(60% 이하) → 4Q(60% 후반 예상)
- 수익성이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
📌 4Q 전망:
- 가동률 상승 전망이지만, 이익률은 보수적으로 유지
결론
- CPU 향 수요가 예상보다 더 안 좋음 > 레거시 비중 높은 하드웨어 밸류체인들 조심해야
- AI 밸류체인이어도 플레이어 많은 세부 섹터는 조심해야 함 > 가격 협상력이 없고 엔비디아도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P 하락 가능성
- CCL 기업들이 월별 최고 실적을 기록하는 것과 PCB 기업들이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은 AI 비중과 과점 시장 여부가 올해 하드웨어 투자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생각됨
주요 재무 실적 (2025년 3분기)
- 매출 (Revenue, ¥bn) : 88.8 (컨센서스 : 95.7)
- 영업이익 (Operating Profit, ¥bn) : 6.3 (컨센서스 : 8.9)
- 순이익 (Net Income, ¥bn) : 4.3 (컨센서스 : 6.1)
- 연간 영업이익 가이던스는 ¥40bn 유지
GPU & CPU 패키징 영향
🔹 GPU 패키징
- 3Q 매출 감소 이유: 프리미엄 가격 → 대량 생산 가격 전환으로 전환되며 P 하락
- 2H(하반기) 동안 생산 능력 30% 증가
- 그러나 매출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기대 이하
🔹 CPU 패키징
- 최대 CPU 고객(40% 비중)의 주문 선택적으로 수락
- 가격 압박이 심해 이익이 감소
- 가동률: 2Q(70~75%) → 3Q(60% 이하) → 4Q(60% 후반 예상)
- 수익성이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
📌 4Q 전망:
- 가동률 상승 전망이지만, 이익률은 보수적으로 유지
결론
- CPU 향 수요가 예상보다 더 안 좋음 > 레거시 비중 높은 하드웨어 밸류체인들 조심해야
- AI 밸류체인이어도 플레이어 많은 세부 섹터는 조심해야 함 > 가격 협상력이 없고 엔비디아도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P 하락 가능성
- CCL 기업들이 월별 최고 실적을 기록하는 것과 PCB 기업들이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은 AI 비중과 과점 시장 여부가 올해 하드웨어 투자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생각됨
16.01.202506:13
아이폰 비수기라 계절성+일부 AI 고객사의 가격 인상 반기 노이즈에도 불구하고 마진이 굉장히 잘 나오는 것 같습니다.
결국 TSMC 밖에 쓸 수 밖에 없는 것이 계속 크네요
결국 TSMC 밖에 쓸 수 밖에 없는 것이 계속 크네요
Показано 1 - 24 із 83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