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coin Community
Notcoin Community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avatar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avatar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Період
Кількість переглядів

Цитування

Дописи
Сховати репости
17.02.202508:51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에서는 2주마다 애널리스트 회의록인 "Mirae Asset Minutes"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섹터 아이디어와 하우스 탑픽, 회의록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 발간 자료 Top Stories는 1)조선(HD현대중공업), 2)IT서비스(더존비즈온), 3)IT하드웨어(삼성전기), 4)의류(F&F) 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Mirae Asset Minutes(2025년 4호, 2/17)
https://han.gl/aIcAh

*미래에셋증권 전략/퀀트
t.me/eqmirae

감사합니다.
14.02.202508:51
쑤닝이거우, 6,000위안 이상 스마트폰 대상 최대 1,000위안 추가 보조금 실시

기간 및 적용 대상: 2월 14일~3월 16일,
쑤닝이거우 전국 직영점에서 1인 1대 한정

보조금 세부 내용:
• 애플 아이폰: 250~400위안 지원
• 안드로이드·훙멍OS 스마트폰: 500~1,000위안 지원
• 보조금 적용 후 6,000위안 이하로 내려가면 국가 보조금도 추가 적용 가능

대상 모델:
• 화웨이 메이트 시리즈, 아이폰 16 시리즈, 아너 매직 7, 비보 X200, 오포 리노13, 홍미 K80 등
• 행사 기간 내 출시되는 신제품도 보조금 적용

추가 혜택:
• ‘미봉카(蜜蜂卡)’ 멤버십 도입, 가입 시 365일 내 무료 교환·환불
• 무료 화면·배터리 교체, 보호필름 부착, 데이터 이용권 제공

기대 효과: 고가 스마트폰 교체 수요 촉진, 소비 시장 활성화 및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 증가

출처: https://www.cs.com.cn/ssgs/gsxw/202502/t20250213_6474284.html
05.02.202500:21
2025.02.05 09:18:45
기업명: 이녹스첨단소재(시가총액: 5,664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1,042억(예상치 : 927억)
영업익 : 250억(예상치 : 145억)
순이익 : 261억(예상치 : 129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1,042억/ 250억/ 261억
2024.3Q 1,007억/ 184억/ 82억
2024.2Q 1,157억/ 276억/ 186억
2024.1Q 1,022억/ 158억/ 149억
2023.4Q 836억/ 21억/ -38억

* 변동요인
고객사의 OLED 수요 증가에 따른 매출 및 이익 상승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0590008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72290
03.02.202522:03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4(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애플, 중국 아이폰에 '딥시크' 탑재할까
- Phonearena는 애플이 중국에서 딥시크 적용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 중국 아이폰에 딥시크를 적용할 경우 중국 정부의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 현재 애플은 딥시크를 애플 기기에 통합하는 실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https://han.gl/X13cH (ZDNet, 2.3)

(가전) 英 BBC “트럼프 1기 '한 세탁기 관세' 결국 美소비자 부담”
- BBC는 트럼프 대통령이 2017∼2020년에 부과한 관세는 최종적으로 미국 소비자 부담으로 돌아갔다고 지적. 트럼프 대통령이 2018년 수입 세탁기에 50% 관세를 부과하자 세탁기 가격은 12% 상승. BBC는 트럼프 행정부가 향후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고 해도 경제적 부담을 져야 하는 대상이 달라질 이유는 없다고 진단
https://han.gl/VB7y2 (전자신문, 2.3)

(개발) 오픈AI, AI 전용 단말기 만든다··· 넥스트 아이폰 나오나?
- 오픈AI는 생성형 AI 전용 단말기 개발에 착수함. AI 전용 컴퓨팅 하드웨어 개발 계획을 공식화한 것은 처음임. 음성이 사용자 UI 수단이 될 것이라고 밝힘. 오픈AI는 단말기 시제품 공개까지 몇 년이 걸릴 수 있다고 말함. 다만 NPU와 칩렛의 개발이 전무한 오픈AI가 제 시간에 칩 개발할 수 있을지 의문은 많음
https://han.gl/aBKPW (The Elec, 2.3)

(스마트폰) 2024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2025년 난관을 대비하는 업체들로 인해 7% 급증
-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2024년에 7% 성장하여, 12억 2천만 대에 달하며,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인 후 반등. 시장의 프리미엄화 추세 지속. 신흥 시장은 2024년 업계의 성장 동력이었지만, 일부 시장이 포화 상태에 도달하면서 성장이 둔화되고 있음. 애플의 경우, 16형 프로와 프로 맥스의 출하량은 2023년 15형 프로와 프로 맥스보다 11% 더 많은 5,500만 대를 기록함
https://han.gl/w8j0R (Canalys, 2.3)

(폴더블) 2번 접는 삼성폰, 갤Z폴드 아닌 '갤G폴드'로 오나
- IT팁스터 란즈크는 삼성전자가 자사 트리폴드폰을 '갤럭시 G 폴드'로 명명할 것이라고 밝힘. 갤럭시 G 폴드의 메인 스크린 너비는9.96인치, 무게는 약 298g으로 예상됨. 태블릿PC에 준하는 넓은 화면이 적용. 출고가는 2,500~3,000달러(약 366만~440만원)으로 책정될 것으로 보고 있음(메이트XT는 400만원 수준). 출하량은 올 3분기 20만대 예상
https://han.gl/zsyvx (뉴시스, 2.3)

■ 디스플레이

(전망) 2025년 1분기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 팹 가동률 증가
- 4Q24 팹 가동률 둔화는 예상보다 일찍 끝났고, 11월부터 가동률이 증가. 1Q25 가동률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4년 11월과 12월의 투입량 증가 속도에 근접할 것으로 보임. TV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며, 스마트폰 시장의 일반적인 계절적 둔화 현상은 올해는 약한 것으로 판단. 1Q25 LCD, OLED 팹 가동률 모두 전년비 상승할 것
https://han.gl/zqqow (DSCC, 2.3)

감사합니다
31.01.202501:20
[Apple 1Q25 Earnings Call 주요 내용]

◆ 1Q25 실적 및 2025년 가이던스 요약

매출액: $124.3B (+4% YoY)
EPS: $2.40 (+10% YoY)
서비스 매출: $26.3B (+14% YoY)
활성 기기 수: 2.35B+ (역대 최고)

제품별 매출:
iPhone: $69.1B (전년과 유사, 주요 시장에서 성장)
Mac: $9.0B (+16% YoY, AI PC 성장 기대)
iPad: $8.1B (+15% YoY, 신제품 효과)
웨어러블, 홈, 액세서리: $11.7B (-2% YoY, Watch Ultra 2 출시 효과 비교)

◆ 발표/Q&A 중 주요 내용 정리

Apple Intelligence(AI) 도입 효과: AI 지원 시장에서 iPhone 16 판매가 비지원 시장보다 강세. 4월부터 추가 언어 지원 예정.
중국 시장: 매출 -11% YoY, 절반 이상이 채널 재고 조정 영향. 국가 차원의 소비 촉진 정책이 발표되었으나, 1Q25에는 반영되지 않음.

서비스 부문 성장: 10억 개 이상의 유료 구독 계정 보유, Apple TV+ 포함 모든 서비스 성장 지속.

Mac & iPad 판매 증가: Mac +16%, iPad +15% YoY로 성장. AI PC로서 Mac의 성장 가능성 언급.

Emerging Market 성장: 인도 iPhone 판매 1위, 4개 매장 추가 오픈 예정. 신흥 시장에서 두 자릿수 성장.

주주환원: $30B+ 환원, 배당 $0.25/주 (2월 15일 지급). $23.3B 자사주 매입.

◆ 경영진 발표

[CEO - 팀 쿡 (Tim Cook)]
iPhone 16 AI 지원 시장에서 성과 우수. AI 기능 사용 증가.
Mac 및 iPad 시장 성장 지속.
신흥 시장(특히 인도)에서 성장 강세, 추가 매장 오픈 예정.
AI 및 Apple Intelligence가 차세대 혁신을 주도할 것.

[CFO - Kevan Parekh]
제품 매출 $98B (+2% YoY), 서비스 매출 $26.3B (+14% YoY).
총 마진율 46.9%, 제품 마진 39.3%, 서비스 마진 75%.
2Q25 매출 성장률은 한 자릿수 증가 전망, 서비스 매출은 두 자릿수 성장 예상.

◆ 질의응답 (Q&A)

1. Apple Intelligence(AI) 영향
Q: AI가 iPhone 16 판매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A: AI 지원 시장에서 iPhone 16 판매가 더 강력했으며, 주요 기능(Genmoji, Siri 개선, Visual Intelligence 등)의 사용률이 높음.

2. 중국 시장 감소 원인
Q: 중국 시장 매출이 감소한 원인은?
A: 매출 -11% YoY, 절반 이상이 채널 재고 조정 영향. 국가 차원의 소비 촉진 정책이 발표되었지만 1Q25에는 반영되지 않음.

3. AI PC 시장과 Mac의 역할
Q: Mac이 AI PC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나?
A: Mac 매출 +16% YoY, M4 칩과 AI 활용으로 강력한 경쟁력 보유. AI PC 시장 성장 기대.

4. Emerging Market 전략
Q: 인도 및 신흥 시장에서의 성과와 전략은?
A: 인도 iPhone 판매 1위, 4개 매장 추가 오픈 예정. 신흥 시장에서 두 자릿수 성장.

5. 주주환원 정책
Q: 향후 주주환원 계획은?
A: 1Q25 동안 $30B+ 환원. 배당 $0.25/주, $23.3B 자사주 매입.

6. iPhone 교체 주기와 판매 전망
Q: iPhone 교체 주기와 판매량 증가 전망?
A: iPhone 16이 15보다 더 좋은 성과를 기록. AI 도입 시장에서 성과가 두드러짐.

7. 향후 서비스 매출 성장 가능성
Q: 서비스 부문의 매출과 마진 향후 전망?
A: 1Q25 서비스 매출 +14% YoY, 구독자 증가 지속. 마진율 75%, 향후 지속적 성장 기대.
17.02.202501:13
2025.02.17 10:09:35
기업명: 피엔티(시가총액: 9,925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동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3,891억(예상치 : 3,292억)
영업익 : 680억(예상치 : 510억)
순이익 : 689억(예상치 : 392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3,891억/ 680억/ 689억
2024.3Q 2,009억/ 310억/ 181억
2024.2Q 2,405억/ 261억/ 215억
2024.1Q 2,045억/ 381억/ 337억
2023.4Q 2,287억/ 374억/ 278억

* 변동요인
수주증가에 따른 매출 증대 및 원가절감을 통한 이익 증대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790040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37400
10.02.202506:20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BOE, 2분기 아이폰 OLED 공급 차질...삼성D·LGD '반사이익'

-BOE가 2분기 애플 아이폰에 공급할 OLED 물량이 바닥 수준인 것으로 파악됨. 품질 문제가 원인

-품질 문제가 발생한 모델은 아이폰 15, 16 일반 라인업용 LTPS TFT OLED

-BOE가 해당 OLED 품질 문제를 해결하려면 최소 6주는 걸릴 것

-BOE가 담당하는 아이폰15·16용 OLED 물량은 700만~800만대 수준. 양산 차질로 소량이나마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반사 이익 기대

-BOE는 아직 아이폰 프로 라인업용 LTPO TFT OLED 양산 승인을 받지 못함. LTPO OLED가 LTPS OLED 대비 가격 2배 수준

-BOE 아이폰SE4용 OLED는 안정적인 양산 가능. SE4 OLED 퍼스트 벤더인 BOE 물량 비중은 50~70%로 추정

-애플은 올해 아이폰SE4를 2,000만대 내외 출하할 계획

-아이폰17 시리즈는 처음으로 4종 모두 LTPO OLED를 적용함으로써, 이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두 곳이 전량 납품할 가능성이 큼

- 지난해 아이폰 OLED 출하량 추정치는 2억 3,000만~2억 4,000만대
> 삼성디스플레이 물량 1억 2,000만~1억 3,000만
> LG디스플레이 물량 6,000만대 중후반
> BOE는 전량 LTPS에서 4,000만대 내외

출처: The Elec(https://han.gl/5L0iF)
감사합니다
06.02.202523:50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삼성전자가 쏘아올린 유리기판

■삼성전자의 유리기판 진출 모색.유리기판 사업이 중요해지고 있음
-최근 삼성전자가 여러 소부장 업체와 직접 미팅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져, 유리 기판 사업 진출 가능성이 시사. 계열사 내 생산 또는 외주 생산이 검토될 가능성이 있는데, 계열사 간 이해 상충을 고려해 글라스 패키징은 삼성전기, 글라스 인터포저는 삼성전자가 맡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음

■PLP 사업 인수 이후 유리기판 포함 차세대 패키지 확보에 집중
-삼성전자는 PLP 사업 인수 이후 유리기판 포함 차세대 패키지 기술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삼성전기는 2019년 4월 PLP 사업을 7,850억 원에 삼성전자에 양도. 이는 인력, 영업권 포함 모든 사업 부문이 이전되는 영업양수도 방식이었음. 이후 최첨단 패키징 기술 개발을 지속해왔으며 유리기판 사업 투자 가능성도 높아짐

■유리기판, 차세대 기판으로 부각은 지속
-최근 버틀넥은 동 도금이 용이한 유기 기판과 달리 유리 기판은 물성이 매끄러워 동 도금이 어렵다는 점으로 판단. 이를 해결하기 위해 Ti/CU Seed Layer 증착 → 전해 도금 등의 공정이 필요하나 균일한 도금 품질 확보도 쉽지 않은 상황. 이에 대한 해결책이 유리 기판의 사업성 시기를 단축시켜줄 것으로 판단

보고서 원문: https://han.gl/JQspn
감사합니다
04.02.202523:57
삼성전기, 자율주행 핵심장치 라이다용 MLCC 세계 최초 개발

삼성전기는 자동차 자율주행을 위한 초소형 고전압 MLCC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삼성전기는 자율주행의 핵심 장치인 라이다(LiDAR) 시스템에 탑재되는 MLCC를 개발하고, 고성능 전장용 시장 공략에 나선다.

MLCC는 전자제품의 회로에 전류가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부품으로 스마트폰, PC, IT기기, 가전제품, 자동차, 5G, IoT 관련 제품에 두루 사용된다. 자동차에는 동력전달, 안전, 주행, 인포테인먼트 등에 최소 3000~1만개의 MLCC가 탑재된다.

이번에 삼성전기가 개발한 MLCC는 1005크기(가로 1.0mm, 세로 0.5mm)의 2.2uF(마이크로패럿) 용량, 10V(볼트) 고전압을 가진 제품이다. 고전압을 기존 6.3V 대비 약 60% 높여 동일 규격에서 세계 최초로 전장제품 필수 신뢰성 규격인 AEC-Q200인증을 받았다.

AEC-Q200는 자동차 메이커와 미국의 전자 부품 메이커로 구성된 단체(AEC: Automotive Electronics Council)에서 제정한 자동차기기용 전자 부품 신뢰성 규격으로, Q200은 특히 수동 부품에 특화된 규격을 말한다.

https://naver.me/FbO4TWuG
02.02.202522:08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3(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미국 스마트폰 판매량, 2024년 4분기 전년 대비 3% 감소, 300달러 미만 제품이 하락세 견인

- 4Q24 미국 스마트폰 판매량은 저가 스마트폰 판매 부진으로 인해 YoY 3% 감소. 반면, 프리미엄화 추세로 600달러 이상 스마트폰 판매량은 YoY 4% 증가함. iPhone 16 시리즈의 판매량은 출시일로부터 판매 첫해 말까지 iPhone 15 대비 1% 증가함. 통신사들은 2025년 매출 성장에 대해 다소 낙관적. 이는 가입자들이 계약 기간을 지나면서 그리고 교체 주기가 2024년에 정점을 찍은 이후, 기기 판매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임
https://han.gl/60d9p (Counterpoint, 1.31)

(로봇) "대당 2300만원, 테슬라 반값"…중국발 '2차 충격' 온다
- 업계에 따르면 로봇 산업이 ‘딥시크 모먼트’에 다가가고 있음. 유니트리가 최근 출시한 휴머노이드 로봇 G1의 가격은 1.6만 달러로 테슬라의 중장기 옵티머스 목표 가격 보다 20~50%가량 저렴. 가정용 로봇 또한 1,600달러로, PC 가격에 근접. 유니트리의 사례는 AI로봇이 예상보다 일찍 일상으로 다가오고 있다는 증거로 꼽힘
https://han.gl/Xj5wG (한국경제, 2.1)

(폴더블) "애플, 폴더블 디스플레이 공급사 선정 임박"
- 애플이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공급사를 아직 최종 결정하지 않았으나 2월 말~ 4월 초까지 결정할 가능성이 높음. 애플이 기존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와 크기, 경도, R 수치를 유지하면서 외부 충격과 보호 주름이 더 개선된 기술요구조건을 여전히 고수 중이라고 언급
https://han.gl/7iUwo (ZDNet, 2.1)

(AR/VR) 저커버그 "'스마트안경' 올 500만대 판매 목표"
- 메타가 2025년 '스마트 안경' 판매 확대에 주력할 계획. 메타의 스마트 안경 판매가 연간 100만대를 넘었을 것이라는 예상은 나왔으나 이를 공식 확인. 저커버그는 올해 200만대 판매를 예상하면서 목표치는 500만대로 설정함. 스마트 안경은 미국에서 약 48만원에 판매 중으로, 단순 계산 시 약 4,800억원 수준임
https://han.gl/SNsOI (매일경제, 2.2)

(가전) 관세 직격탄 맞은 韓 가전·자동차·배터리, 美 소비자가격 오르나
- 1일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 보편적 관세를 각각 부과하기로 최종 결정함. 삼성전자는 미국 세탁기 공장에서 건조기를 추가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LG전자는 미국 내 생산량을 확대하거나 유럽, 베트남에서 생산량을 늘려 북미로 수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임. 당장 추가 관세로 인한 현지 소비자 가격 인상 여부에 대해서는 미결정 상태임
https://han.gl/aZbRy (전자신문, 2.2)

■ 디스플레이

(OLED) 비전옥스, 8.6세대 OLED 장비 입찰 시작…증착기 3월 결정할 듯
- 차이나비딩에 따르면 비전옥스는 이온 도핑 장비 입찰 공고를 게시. 비전옥스가 8.6세대 OLED 관련 장비를 발주 낸 건 처음. 증착기는 3월께 윤곽이 잡힐 전망. 비전옥스가 지방정부로부터 80%의 투자 자금을 지원받고 있어 설비를 결정해야 하는 기한이 정해져 있는 것으로 파악됨
https://han.gl/s3t0M (전자신문, 2.2)

감사합니다
31.01.202500:00
AMD, 2028년 첨단 반도체에 유리기판 적용

AMD가 2028년 고성능컴퓨팅(HPC)용 반도체에 유리기판을 적용한다. 고가의 미세 회로 기판인 '실리콘 인터포저'를 대체하려는 목적으로, 내년 시생산 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본격적인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 개화를 알리는 신호탄일 될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AMD는 2026년 반도체 유리기판 시생산(파일럿), 2028년 제품 적용이라는 기술 로드맵을 수립한 것으로 파악됐다. 반도체 업계에서 차세대 기판으로 꼽히는 유리기판 로드맵이 확인된 건 처음이다.

AMD 사정에 정통한 업계 관계자는 “AMD가 빠르게 반도체 유리기판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공급망을 구축하고 현재 샘플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며 “내년 시생산 성과를 확인한 후 대량 생산체제를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AMD는 말레이시아에 반도체 시생산 및 양산 거점을 두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직접 라인을 구축하지 않고 패키징 협력사를 통해 위탁 생산할 예정이다. 이 패키징 협력사는 현재 국내외 주요 소부장 업계와 라인 조성을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279826?sid=105
17.02.202501:00
켐트로닉스, 'TTV 적용' 유리기판 삼성전기에 4Q 시제품 납품 개시...평탄도 잡는다

17일 IT업계에 따르면 켐트로닉스는 올해 4분기 중으로 삼성전기에 자사의 TTV(Total Thickness Variation) 컨트롤 기술을 적용한 반도체 유리기판 500*500 패널 레벨 사이즈 시제품을 납품한다.

현재 패널 레벨 사이즈의 개발이 순차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사이즈 확대가 원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양산품의 공급은 2027년을 목표로 제품 개발을 진행 중이다. 

삼성전기 반도체 유리기판 컨소시엄에 속한 켐트로닉스는 글로벌 글라스 메이커로부터 반도체용 유리기판 소재를 공급 받아 양산품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반도체 유리기판은 소재 가공, TGV 공정, 구리도금, 에칭(ethcing), 슬리밍(slimming) 등 후가공을 거쳐 완성되는 프로세스를 거친다. 켐트로직스의 최종 목표는 TGV 공정 이후 후가공까지 이르는 밸류체인을 확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켐트로닉스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축적한 식각 기술을 바탕으로 유리기판 제조의 핵심 공정인 글라스관통전극(TGV)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레이저로 구멍을 뚫은 후 이를 식각하는 방식으로 TGV를 구현하고 있다. TGV 기술은 파트너사인 독일 레이저 솔루션 제조 기업 LPFK로부터 확보했다. 

TGV(Through Glass Via) 공정은 유리 기판에 미세한 전기적 연결 통로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레이저를 이용한 건식 공정과 습식 식각 공정으로 구성된다. 관련 공정은 먼저 레이저를 통해 유리 기판에 미세한 구멍을 생성한다. 이후 습식 식각을 통해 홀 내부의 파티클 제거 및 평탄도(Total Thickness Variation, TTV)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고품질의 유리기판을 생산할 수 있다. 

https://www.finance-scope.com/article/view/scp202502170003
10.02.202505:07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상무부: 새 휴대폰 및 기타 디지털 제품 구매에 대한 국가 보조금 신청자 수가 2,0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1월 15일, 상무부는 '휴대폰, 태블릿 PC, 스마트워치 구매 보조금 시행 계획'을 발표

-춘절 수요 촉진을 위해, 지방에 정책 시행 속도를 높이도록 촉구. 1월 20일 전국 28개 성에서 보조금 정책을 시작했으며 다른 지역도 순차적으로 정책 도입

-전국 가전제품 교체 및 디지털 제품 구매 데이터 플랫폼에 따르면, 1월 20일~2월 8일까지 총 2,009.2만 명의 소비자가 2,541.4만 대의 휴대폰 등 디지털 제품 구매 보조금을 신청함

-중국 유니온페이의 모니터링 데이터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6,000개 이상의 가맹점이 유니온페이를 통한 디지털 제품 구매 보조금 활동에 참여. 626.84만건의 보조금 거래가 발생, 판매액은 약205.8억 위안(3.9조원) 기록

-보조금 정책 효과로, 춘절 직전 1주일간 휴대폰 판매량은 +74% MoM, +30% YoY, 매출액은 +65% MoM, +34% YoY 기록

-춘절 기간 동안 판매량
2,000위안 이하 제품: YoY 10% 증가
2,000~4,000위안 제품: YoY 52% 증가
4,000~6,000위안 제품: YoY 108% 증가

출처: https://han.gl/5skCT (2.9)
06.02.202522:12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7(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MLCC) 무라타, AI 서버 관련 MLCC 수요가 두 배로 증가하여 2025년에 시장 회복을 촉발할 것으로 예측

- 무라타의 4Q24 영업이익은 QoQ 기준 17.2% 감소. 스마트폰과 커패시터 리튬이온 배터리의 판매 부진 때문. 그러나 2Q24~4Q24 실적은 YoY +8.9% 기록하며 3년만에 이익 반등. 이는 주로 AI 서버 효과. 4분기 수주액은 4,493억 엔으로 3분기 수준을 넘어섰고, 지속적인 사업 모멘텀을 예고. 1Q25 MLCC 생산량 확대할 계획. 향후 수요가 명확해졌다고 판단
https://han.gl/zrJ9Z (Digitimes, 2.6)

(PCB)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직접 뛰어든다
- “삼성전자가 유리기판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자체적인 공급망을 물색 중이며 이미 기술 논의는 시작됨. DS 사업부 내 첨단 패키징 관련 인력을 중심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됨. 삼성전자의 유리기판 개발 추진이 확인된 건 처음. 우선 반도체 패키징에 활용되는 인터포저 기판을 유리로 대체할 계획
https://han.gl/PQVtB (전자신문, 2.6)

(MLCC) 2025년 MLCC 붐으로 Yageo와 Walsin이 활기를 띨 것으로 예상됩니다
- 무라타는 25년 AI 서버 강세로 MLCC 수요가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이는 수동 부품 업계의 수혜로 이어질 것. Yageo는 2024년 매출이 YoY 13.1% 증가, Walsin은 YoY +5.9% 증가. 2025년을 내다보면, Yageo와 Walsin 모두 AI 서버와 AI PC가 중요한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생각. AI 서버의 평균 MLCC 수량은 기존 서버의 약 8배에 달함
https://han.gl/MLUGD (Digitimes, 2.6)

(PC) 2024년 글로벌 태블릿 출하량 9% 증가

- 2024년 글로벌 태블릿 출하량은 1억 4,760만 대로 YoY 9.2% 증가. 북미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성장세를 보이며 2023년의 최저치에서 회복세를 보임. 2024년, 중국 업체들이 특히 태블릿 시장에서 강력한 성과. 그럼에도 애플은 4Q24 1,690만대를 출하, YoY 5.3% 성장하면서 선두 지위를 유지
https://han.gl/P0i9l (Canalys, 2.6)

(로봇) 전세계 로봇시장 2026년 107조… 팹리스 반도체 기업들 "로봇용 반도체 진출"[글로벌 파운드리 경쟁 격화]

- 팹리스 반도체 기업들이 로봇 사업진출 확대로 전략을 제시. 넥스트칩은 최근 로봇사업부를 출범. 자율주행 기능을 접목한 서비스 로봇에 들어가는 반도체를 상용화할 방침. 픽셀플러스는 모바일과 보안, 자동차에 이어 로봇 분야로 이미지센서 적용 범위 확대를 추진. 텔레칩스는 로봇용 반도체 사업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관련 R&D 진행
https://han.gl/0U1VY (파이낸셜 뉴스, 2.6)

■ 디스플레이

(특허) 삼성D·BOE 美 특허분쟁 내달 결론…中 추격 제동 걸릴까
- ITC는 3월 17일 BOE의 SDC의 OLED 특허 침해 여부 등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 앞서 ITC는 지난해 11월 BOE가 삼성디스플레이 특허 3건을, 미국 수입·도매업체는 삼성디스플레이 특허 4건을 무단 사용했다고 판단하며 특허 침해를 예비결정. 이 결정이 바뀔 가능성은 낮다고 봄
https://han.gl/IRL4R (이데일리, 2.6)

 
감사합니다
Видалено05.02.202500:33
04.02.202523:31
[알파벳 4Q24 공시 주요내용]
미래에셋증권 박준서

※ 4Q24 실적 요약
매출액: 964억 7천만 달러 (+11.8% YoY)
컨센 대비 소폭 하회

조정EPS: 2.15달러 (+50%YoY)
컨센 2.13달러 +1% 상회

※ Capex 가이던스
(25년 목표) 750억 달러
(24년 목표) 600억 달러 내외

※ CEO 주주서한
2025년 AI 및 핵심 사업 부문에 750억 달러 투자 계획
AI 인프라 확장 지속, 클라우드 및 검색 사업 성장 기대
31.01.202507:23
2025.01.31 16:13:27
기업명: 대덕전자(시가총액: 9,142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경

재무제표 종류 : 연결

매출액 : 2,064억(예상치 : 2,167억)
영업익 : -60억(예상치 : 55억)
순이익 : 43억(예상치 : 53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2,064억/ -60억/ 43억
2024.3Q 2,327억/ 92억/ 52억
2024.2Q 2,382억/ 109억/ 122억
2024.1Q 2,148억/ -29억/ 20억
2023.4Q 2,344억/ 64억/ 61억

* 변동요인
- 반도체 시장 수요의 약세로 수익 감소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3180054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53200
30.01.202522:15
미래에셋증권 전기전자 박준서

Apple 1Q25 공시 주요내용

※ 컨콜은 한국시각 31일(금) 07:00~

※ 1Q25 실적 요약

매출액: 1,243억 달러(+4% YoY)
컨센서스 1,250억 달러 대비 0.6% 하회

조정EPS: 2.40달러(+10% YoY)
컨센서스 2.36달러 대비 1.7% 상회

※ 제품별 매출 세부사항

iPhone 691.4억 달러(-0.8% YoY)
Service 263.4억 달러(+13.9% YoY)
iPad 89.9억 달러(+28.0% YoY)
Mac 80.9억 달러(+4.0% YoY)
Wearables 117.5억 달러(-1.7% YoY)

※ CEO 주주서한
1Q25 역대 최고 매출 및 EPS 달성
서비스 부문 사상 최대 매출 기록
활성화기기 수 전 제품/지역에서 사상 최고치 달성

※ 주주환원
분기 배당금 주당 0.25달러 선언
(2월 10일 기준 주주 대상, 2월 13일 지급 예정)

※ 2Q25F 컨센서스
매출액 +4% YoY
EPS +8% YoY 증가한 2.35달러로 전망
16.02.202522:02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17(월)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스마트폰) 아이폰 SE 4, 다음 주 출시 앞두고 역대 최대 판매 기록 기대
- 궈밍치에 따르면, 아이폰 SE 4가 25년 상반기 1,000만 대 출하할 것이며, 하반기에는 1,200만 대가 추가로 출하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궈밍치는 새로운 아이폰 SE가 아이폰 16 시리즈 출시 이후와 올해 아이폰 17 모델 출시 사이의 아이폰 판매 감소를 보완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함.
https://han.gl/E6Emb (tom's guide, 2.15)

(애플) 애플, 올해 중반까지 중국 아이폰에 AI 기능 대대적 개편 예정
- 애플은 중국 내 아이폰에 AI 기능을 대대적으로 개편하여 이르면 5월에 출시할 것으로 전망. 중국 내 데이터 보안 규정 준수를 위해 클라우드 기반이 아닌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정. 애플은 기알리바바, 바이두와 협력하여 AI 서비스를 제공할 가능성 높을 것으로 예상.
https://han.gl/eVzTV (Bloomberg, 2.14)

(AR/VR) 애플, Vision Pro용 visionOS 2.4 업데이트…AI·공간 콘텐츠 강화
- 애플이 4월 중으로 비전 프로의 차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인 visionOS 2.4를 준비 중이며, 애플 인텔리전스와 공간 콘텐츠 지원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됨. 이 업데이트에는 AI 기반 이미지 생성, 실시간 번역, 음성 비서 개선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음. 또한, 공간 영상 및 3D 콘텐츠 경험을 확장하는 기능이 추가될 것으로 전망.
https://han.gl/H3bI1 (Bloomberg, 2.15)

(애플) 애플 인텔리전스 Siri 개편 일정 지연 가능성
- 애플은 iOS 18.4에서 새로운 Siri 기능을 도입할 계획이지만, 다음주 출시될 iOS 18.4 베타에서 소프트웨어 버그로 인해 Siri 업데이트가 준비되지 않을 것으로 보임. 일부 기능들은 기존 애플이 계획했던 4월이 아닌 5월로 연기해야 할 가능성이 존재하여 iOS 18.5 업데이트에 도입될 것으로 예상.
https://han.gl/klSMF (Trendforce, 2.14)

(중국) 12월 중국 모바일 4년중 최대 출하 기록
- 24년 12월, 중국 핸드폰 출하량은 3,452만 8000대(yoy +22.1%). 이 중 5G 핸드폰은 2억 7,200만 대(yoy +13.4%)로 전체 출하량의 86.4% 차지. 24년 12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3,240만 8,000대(yoy +20.8%), 24년 전체로는 2억 9,400만대(yoy +6.5%). 24년 전체 신규 스마트폰 모델은 284종으로 yoy 20.2% 감소.
https://han.gl/bmL4b (CAICT, 2.14)

(로봇) 메타, AI 기반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규모 투자 계획
- 메타는 AI 기반 휴머노이드 진출을 위해 Reality Labs 하드웨어 사업부 내에서 새로운 팀을 구성하고 있다고 전해짐. 또한, Unitree Robotics와 Figure AI를 포함한 로봇 기업들과 협력 논의 중에 있음. GM의 자율주행 자회사 크루즈(Cruise)의 전 CEO 마크 휘튼이 팀을 이끌 것이라고 전해짐.
https://han.gl/XC6gM (Bloomberg, 2.15)

감사합니다
07.02.202500:34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LG전자, 로보티즈서 실외로봇 40대 도입

-LG전자가 조만간 로보티즈의 실외 자율주행로봇을 도입할 예정

-초도 물량은 약 40대, 대당 3,000만원 수준으로, 수주금액은 12억원이 넘을 전망

-LG전자는 이번 납품으로 자사의 배송로봇 사업 분야를 실내에서 실외로 확장할 계획

-양산과 납품 규격뿐 아니라 인증 등 테스트도 모두 마침

-LG전자는 로보티즈 지분 7.5%를 보유한 2대 주주로, 그동안 양사는 이동 로봇의 핵심인 자율주행모듈 개발 등에 협력해왔음

-현재 국내에서 실외 자율주행로봇의 상용화·양산 체계를 구축한 기업은 로보티즈가 유일. LG전자 외 서울 양산구청과도 약 20대 물량의 공급계약을 맺음

-로보티즈의 일개미 로봇은 실외에서 물품 배송 서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 제품 단가는 옵션에 따라 2,500~3,000만원 수준으로 책정

-LG전자는 현재 AI 로봇과 로봇 관제 솔루션을 통해 배송·물류 등 B2B 분야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음

-LG전자 관계자는 로보티즈와 실외용 로봇 사업에 대한 협업을 진행 중이라고 언급

출처: Dealsite(https://han.gl/QP5De)
05.02.202522:18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6(목)
 
■ 전기전자/IT하드웨어
 
(규제) 중국, 애플의 정책과 앱스토어 수수료에 대한 조사 고려
- 중국의 시장 규제 국가 행정기관은 애플의 정책, 즉 앱 내 구매에 대한 최대 30% 수수료와 외부 결제 서비스 및 앱 스토어에 대한 제한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또한 중국은 구글, 엔비디아에 이어 인텔의 반독점 조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https://han.gl/h3c4P,
https://han.gl/2C976 (Reuters, Digitimes, 2.5)

(양산) 애플 M5 양산 개시…'신공정으로 AI 성능 업그레이드'
- 애플이 지난달부터 M5 칩 패키징을 시작함. 초도 생산 제품은 M5 일반 모델로 알려짐. 애플 M5 칩 패키징은 대만 ASE, 미국 앰코, 중국 JCET이 담당. M5 양산 물량 확대를 위한 장비 등 발주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음. 기판 제조는 대만 유니마이크론과 삼성전기가 맡아, 램프업 일정에 맞춰 기판 양산이 가능하도록 설비 투자가 진행됨
https://han.gl/1BZRY (전자신문, 2.5)

(로봇) 레인보우 '로봇개' 삼성전자 현장 투입...로봇사업 시너지 노린다
- 삼성전자는 삼성리서치아메리카에 레인보우로보틱스 사족보행로봇을 도입한 것으로 파악됨.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봇개가 삼성에 도입된 건 처음. SRA에서 쓰던 기존 로봇개도 이번에 레인보우 로봇으로 교체됨. 삼성의 레인보우 로봇개 확대 적용과 본격적인 양사 협업이 주목됨
https://han.gl/wSFYC (전자신문, 2.5)

(구독) AI 구독 생태계 확장 나선 삼성…구독클럽에 PC·태블릿 추가
- 삼성전자는 기존 TV·가전 제품 중심의 ‘AI 구독클럽’에 PC와 태블릿 제품을 추가한다고 5일 밝힘. PC의 경우, 요금제에 따라 16개 모델, 51개 모델 대상으로 나뉨. 태블릿의 경우에도 요금제에 따라 28개, 60개 모델 대상으로 나뉨. 삼성전자는 2분기 출시 예정인 AI 집사 로봇 ‘볼리’도 구독 서비스 대상에 포함시킬 계획
https://han.gl/7ngCj (매일경제, 2.5)

(로봇) 아마존 로봇, 2030년까지 연간 100억달러 절감 기대
- 2030년까지 미국 내 아마존 주문의 30-40%가 로봇 기반 차세대 물류 센터를 통해 처리되면 연간 최대 100억달러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됨. 현재 아마존 물류 과정 전반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봇은 75만 대 이상. 아마존은 24년 9월 슈리브포트에 최첨단 로봇을 모두 통합한 차세대 물류 센터를 개설. 아마존은 이 창고에서 물류비용 25% 절감 기대. 다만 시간은 걸림
https://han.gl/bdo2s (디지털투데이, 2.5)

■ 디스플레이

(전망)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해 IT 패널 가격이 상승 전망
- LCD 모니터 패널 가격은 1월에 안정화되었고, 2월에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 24년 말 미국의 관세 인상 예상에 따른 노트북 업체들의 패널 조달을 강화 기조는 1Q25에도 계속될 것으로 봄. 현재 노트북 패널 시장의 수급은 비교적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가격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 1Q25 팹 가동률 80~85% 예상
https://han.gl/OzU2T (Digitimes, 2.5)

감사합니다
04.02.202522:05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2. 5(수)
 
■ 전기전자/IT하드웨어
 
(AI) 이재용·손정의·올트먼 한자리에… “韓·美·日 주축 AI ‘드림팀’ 뭉쳤다”
- 이재용 회장, 샘 올트먼,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한 자리에 모여 AI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에 대해서 논의. 이 자리에서 올트먼 CEO와 손 회장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삼성전자의 투자를 요청하며 모바일, AI 반도체 기술 협력과 생산 등의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추정됨. 향후에도 논의를 지속할 것이라고 함
https://han.gl/5lK6F (조선비즈, 2.4)

(스마트폰) Omdia: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업계 회복세 속에서 2024년 7.1% 성장으로 반등
- 애플은 2년 연속 삼성을 제치고 출하량 1위를 차지. 24년 한해 동안 애플은 2억 2,590만 대의 스마트폰을 출하, 이는 YoY 1.4% 감소한 수치. 4분기에는 아이폰 16 시리즈가 이전 모델보다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전체 판매량은 전년비 감소. 글로벌 스마트폰의 2025년 출하량은 2024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적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2023년의 최저치로 다시 떨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
https://han.gl/HpMaL (Omdia, 2.4)

(로봇) 삼성, 휴머노이드 개발 본격화…레인보우와 TF 가동

- 삼성전자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본격화를 위해 최근 사무실을 임대하고 이달부터 레인보우로보틱스와 협력 근무에 나섬. 50여명의 특별 조직을 꾸린 것으로 알려짐.
https://han.gl/7IwqW (ZDNet, 2.4)

(스마트폰) AI폰 열풍 타고 130만대 갤S25, 사전판매 신기록
- 갤럭시S25 시리즈가 국내 사전 판매량 130만대를 기록(S24시리즈는 121만대). 이 중 갤럭시S25 울트라 비중이 52%로 가장 컸음. 삼성은 삼성닷컴에서 갤럭시S25 시리즈를 사전 구매한 소비자 가운데 약 30%는 '뉴 갤럭시 AI 구독클럽'에 가입했다고 전함
https://han.gl/WY1Sa (매일경제, 2.4)

(관세) 중국의 무역 전쟁 보복: 구글에 대한 독점 금지 조사; 특정 미국 수입품에 최대 15%의 관세 부과
- 2월 4일부터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은 4일 구글에 대한 독점 금지 조사를 시작하고 미국산 제품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함, 중국은 2월 10일부터 미국에서 수입되는 특정 상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 대상 예상 품목은 LNG, 원유, 농기계 등 다양함
https://han.gl/L1eoV (Trendforce, `.4)

■ 디스플레이

(전망) “스마트폰·TV 가격 또 오르나” 트럼프 관세 직격탄 현실
- Counterpoint에 따르면, 미국 ITC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국에 수입되는 디스플레이 관련 중국산 완제품의 80%가 관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예측. 단기적으로는 유럽과 동남아시아에서 생산 물량을 늘려 대응하더라도, 관세 전쟁으로 인해 글로벌 TV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담
https://han.gl/GyRKt (이데일리, 2.4)

감사합니다
31.01.202501:45
[미래에셋 전기전자/IT 하드웨어 박준서]

삼성전기(009150/매수) - 거를 타선이 없다

■4Q24 리뷰: 계절적인 재고 조정
-4Q24 실적은 매출액 2.47조 원(+7.3% YoY), 영업이익 1,150억 원(+4.2% YoY)으로, 컨센서스 대비 각각 -10%, -42%를 기록. 이는 MLCC 계절적 재고 조정에 따른 것. IT 수요 둔화에도, 전장, 산업용 MLCC와 같은 고부가 제품 비중 증가로 구조적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 MLCC 재고도 4~5주로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 유지. AI 수혜에 주목해야 할 시기

■1Q25 프리뷰: AI 수혜로 증익 사이클 진입. 중국 보조금 정책 수혜도 기대
-1Q25 실적은 매출액 2.7조 원(+7.3% YoY), 영업이익 1,996억 원(+10.7% YoY, OPM 8%)으로 전망됨. 동사의 가동률은 1Q25부터 단계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 이는 AI 디바이스의 MLCC 탑재량 증가와 중국 이구환신 정책 효과로 인해 본격적인 증익 사이클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임. 산업용(AI 서버, 파워) MLCC 비중은 4Q24 15%에서 1Q25 18%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보조금 정책으로, 중국 내수 시장 판매 개선과 세트 업체들의 선제적인 부품 재고 축적이 기대됨

■목표 주가 유지
-Top Pick 및 목표주가 200,000원 유지. 4분기 실적 아쉬우나 25년은 매분기 실적 개선 전망. MLCC 가동률은 1Q25 83% → 2Q25 86% → 3Q25 90%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 또한 패키지 사업부에서는 Asic 기판 글로벌 고객사 유치가 기대됨

보고서 원문: https://han.gl/NJ3PM
감사합니다
30.01.202522:04
[미래에셋 전기전자/IT하드웨어 박준서]
 
전기전자/IT하드웨어 주요 뉴스 정리
2025. 1. 31(금)
 
■ 전기전자/IT하드웨어

(실적)애플, 아이폰 매출 부족한 상황에서도 이익 목표치 상회
-
애플의 FY1Q25 매출액은 1,243억 달러로 월가의 목표치인 1,241.2억 달러를 소폭 상회, 주당 순이익은 2.40달러로 컨센 2.35달러 대비 상회하는 실적 기록. 아이폰 판매는 부진했으나 맥과 아이패드 판매가 기대치를 초과하여 아이폰 판매 감소를 상쇄. 서비스 사업이 13.9% 성장하여 컨센을 상회한 것으로 판단됨
https://han.gl/Ksqlc
(Reuters, 1.31)

(스마트폰) 2024년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 전년 대비 1.5% 증가
- 24년 중국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대비 1.5% 증가. 브랜드 별로 실적 성장 차이가 커짐. 화웨이는 전년 대비 36%, 샤오미가 10%, 비보가 6%의 성장률을 기록. 반면, 애플은 전년 대비 13%, OPPO는 9%, HONOR는 3% 하락. 2025년은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신중한 낙관 유지
https://han.gl/yrmMV (Counterpoint, 1.27)

(PCB) AMD, 2028년 첨단 반도체에 유리기판 적용
- AMD는 2026년 반도체 유리기판 시생산(파일럿), 2028년 제품 적용이라는 기술 로드맵을 수립한 것으로 파악됨. 동사는 빠르게 반도체 유리기판 소부장 공급망을 구축하고 현재 샘플 테스트를 진행 중이고 내년 시생산 성과를 확인한 후 대량 생산체제를 갖출 예정. AMD는 반도체 칩 인터포저에 유리기판을 첫 적용할 계획
https://han.gl/FWUZB (전자신문, 1.30)

(AI) 마크 저커버그 “딥시크 영향 말하기 일러… 대규모 AI 투자 지속”
- 마크 저커버그는 딥시크가 AI 관련 인프라와 자본지출 동향에 어떤 의미가 될지와 관련해 강한 의견을 가지기에는 너무 이른 단계라는 입장을 보임. AI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지속할 의지를 드러냈으며 올해 AI 인프라 구축에 600억∼6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 MS 또한 현재 회계연도에 AI에 800억 달러를 할당함
https://han.gl/2XDRR,
https://han.gl/L4Pj4 (Reuters, 조선비즈, 1.30)

(가전) 美, 현지 생산 늘리고 제품 변별력 낮추고…韓 가전 불확실성 고조
- 미국국제무역위원회는 트럼프1기의 세이프가드 조치로 미국 업계의 생산, 규모,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지만 결과적으로 가장 큰 수혜자는 미국 기업이 아닌 삼성전자와 LG전자라고 분석. 트럼프 2기 행정부는 현지 생산에 더해 일부 가전 에너지 효율 규제 철회 또한 예고하고 있어, 고효율 에너지 가전제품 분야 선두 기업인 양사의 불확실성이 고조됨. 양사 모두 이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을 표함
https://han.gl/ZttPx (전자신문, 1.30)

(스마트폰) "애플, 아이폰 SE 4 3월 출시"
- 9To5Mac에 따르면, 애플은 '아이폰 SE 4'를 3월 중 공개할 예정. 아이폰 16에 탑재된 칩셋 A18을 사용하며 AI 인텔리전스 지원, 48MP 카메라 탑재. 또한 애플이 자체적으로 설계한 5G 모뎀을 최초로 선보임. 아이폰16과 유사한 기능에도, 아이폰 SE 4의 출고가는 아이폰 16 대비 300달러 가량 저렴한 499달러로 책정됨
https://han.gl/lZmOb (디지털타임스, 1.30)

■ 디스플레이

(폴더블) 세경하이테크-삼성D, 폴더블 패널 보호필름·내충격층 특허 공동 출원
- 세경하이테크와 SDC가 폴더블 패널에 사용할 수 있는 보호필름·내충격층 특허를 공동 출원함. 두 업체의 특허 공동 출원은 이번이 처음. 이 기술은 폴더블 패널에 적용 가능하며, 해당 특허는 보호필름과 내충격층, 차광층을 포함. 현재 폴더블 패널 부품 협력사는 애플 폴더블 부품 공급망 진입 또는 주도권 확보를 노리고 있음
https://han.gl/I1Fg9 (The Elec, 1.30)


감사합니다
Показано 1 - 24 із 78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