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MYU's GameFi Diary
리서치한 정보를 끄적이는 방
GameFI TMI위주로 공부
래퍼런스 체크용 채널
채팅방: https://t.me/myuguild
문의: @moon_ys_yu
#GAMEFI #P2E #NFT
GameFI TMI위주로 공부
래퍼런스 체크용 채널
채팅방: https://t.me/myuguild
문의: @moon_ys_yu
#GAMEFI #P2E #NFT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Жовт 18, 2021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Черв 22, 2024Прикрепленная группа

MYU(MOONYU) Guild
828
Рекорды
19.01.202519:44
3.6KПодписчиков28.02.202522:25
33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18.10.202423:59
1.5KОхват одного поста11.03.202503:14
2.5K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17.02.202523:59
21.74%ER11.03.202510:16
38.73%ERRpost.reposted:
마샬 공유방 2.0



27.03.202508:57
❓ 요즘 많이 쓰는 BNB 대출에 대해서.txt
BNB 활용이 늘어난 시장 상황, Loan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하는건지에 대해 다뤄봤습니다.
❓ 바이빗 예시로 Loan 간단 설명
*BNB의 변동성이 그리 크지 않아서 대부분 편하게 빌리나 코인판은 곳곳에 지뢰가 있기에 유념은 해야함
➡️ BNB 대출하는법 노션 상세 가이드 (킨자 추가 예정)
✍️ 플랫폼마다 청산을 시키는 LTV나 이자율, 이자 징수 방식 등이 달라서 꽤 난이도 있는 분야입니다. 활용 방법도 상황별로 다양하구요.
다만 최근들어 BNB 활용한 바낸월렛 캠페인이나 런치풀이 많아져서 작성해보았으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BNB #렌딩 #대출 #바이빗 #Kinza
BNB 활용이 늘어난 시장 상황, Loan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하는건지에 대해 다뤄봤습니다.
❓ 바이빗 예시로 Loan 간단 설명
1. 바이빗에서 USDT를 맡기고 BNB를 빌릴 수 있음
2. 숏 헷징보단 인풋이 적어서 더 효율적
3. 빌릴 때 LTV라는게 있음
4. 담보금 대비 대출금 비율을 의미
5. 빌려간 금액이 담보보다 높아지면(LTV가 커지면) 위험
6. 그래서 빌릴 때 LTV를 낮게 해두는게 더 안전함
7. 빌린 BNB 가치가 올라가면 담보를 더 넣거나
8. 빨리 상환해야함
9. 상환할 여력이 안된다고 판단해 담보물이 청산될 수 있음
10. 담보물 USDT 청산되도 BNB가 더 많이 오르면 이득일 수도
11. 이자도 있음, 바이빗 BNB는 시간당 0.04%
12. 바낸월렛처럼 참여 기간이 짧은 경우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
*BNB의 변동성이 그리 크지 않아서 대부분 편하게 빌리나 코인판은 곳곳에 지뢰가 있기에 유념은 해야함
➡️ BNB 대출하는법 노션 상세 가이드 (킨자 추가 예정)
✍️ 플랫폼마다 청산을 시키는 LTV나 이자율, 이자 징수 방식 등이 달라서 꽤 난이도 있는 분야입니다. 활용 방법도 상황별로 다양하구요.
다만 최근들어 BNB 활용한 바낸월렛 캠페인이나 런치풀이 많아져서 작성해보았으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BNB #렌딩 #대출 #바이빗 #Kinza


22.04.202506:00
⭐️NXPC 백서를 보고, 끄적임
백서: https://docs.nexpace.io/
🕹백서를 읽고 느낀 점: "아, 졸라 어렵네."
이 백서는 "$NXPC는 상장을 위한 토큰"이라는 인상을 강하게 준다. 왜냐면 백서가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 일단 B2C관점의 백서는 아니다. 메이플 캐릭터의 아기자기한 그림 하나 없이, 글과 수식, 그래프만 가득하다.
물론 이건 농담이고, 개인적인 소감으론
(최근 CEX들은 유통량이 풀려있는 토큰을 선호)
다 필요없고 Fission과 Fusion에 대해서만 설명하겠음
아마 매 주 Reward물량이 풀리는 것을 감안하면 F&F는 매 주 월드업적? 퀘스트?의 느낌으로 운영될 것으로 보임. 아마 기존 RPG게임의 특성인 컨텐츠 고갈을 매 주 FF를 기본 컨텐츠로 활용하려는 것.
왜 msu에서 RX(보상경험)을 강조하는 지를 알 수 있는 대목.
⬇️아래에 이어짐⬇️
백서: https://docs.nexpace.io/
🕹백서를 읽고 느낀 점: "아, 졸라 어렵네."
이 백서는 "$NXPC는 상장을 위한 토큰"이라는 인상을 강하게 준다. 왜냐면 백서가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 일단 B2C관점의 백서는 아니다. 메이플 캐릭터의 아기자기한 그림 하나 없이, 글과 수식, 그래프만 가득하다.
물론 이건 농담이고, 개인적인 소감으론
1. Fission & Fusion(F&F)이라는 새로운 구조를 도입하며, 토큰의 특이한 시도를 소개함으로써 CEX에 토큰의 매력을 어필.
2. 초기 유통량을 20%나 풀어 거래소 입장에선 안정적인 풀을 유지할 수 있기때문.
(최근 CEX들은 유통량이 풀려있는 토큰을 선호)
다 필요없고 Fission과 Fusion에 대해서만 설명하겠음
아마 매 주 Reward물량이 풀리는 것을 감안하면 F&F는 매 주 월드업적? 퀘스트?의 느낌으로 운영될 것으로 보임. 아마 기존 RPG게임의 특성인 컨텐츠 고갈을 매 주 FF를 기본 컨텐츠로 활용하려는 것.
왜 msu에서 RX(보상경험)을 강조하는 지를 알 수 있는 대목.
⬇️아래에 이어짐⬇️


25.03.202509:28
현재 zentry가 뜨거운 이유_트윗
1. 3/28 라그나로크 런칭.
ㄴ 이건 길드 vs 길드의 정체성을 가진 라그나로크장르인듯. zentry는 여기에 몰빵할 각.
2. 깐부인 Sophon에서 yapper 50명에게 $150k 이벤트를 진행함(3개월간)
ㄴ 이건 걍 소셜용이긴 함.
3. Meta Madness 커밍쑨!
26일인 내일 진행됨, 이게 뭘까? 일단 광기스러운 것 같은데,, nexus와 연관 있을 듯.
https://nexus.zentry.com/ 가 이 번 인터페이스 업데이트를 함. 갑자기 지난 주부터 달리는 것을 보니 뭔가 엄청난 것을 들고오려는듯?
위에 beam과도 연관있으려나.
1. 3/28 라그나로크 런칭.
ㄴ 이건 길드 vs 길드의 정체성을 가진 라그나로크장르인듯. zentry는 여기에 몰빵할 각.
2. 깐부인 Sophon에서 yapper 50명에게 $150k 이벤트를 진행함(3개월간)
ㄴ 이건 걍 소셜용이긴 함.
3. Meta Madness 커밍쑨!
26일인 내일 진행됨, 이게 뭘까? 일단 광기스러운 것 같은데,, nexus와 연관 있을 듯.
https://nexus.zentry.com/ 가 이 번 인터페이스 업데이트를 함. 갑자기 지난 주부터 달리는 것을 보니 뭔가 엄청난 것을 들고오려는듯?
위에 beam과도 연관있으려나.
27.03.202509:03
🪙 MISS BLUM 오프라인 행사함.(feat.눈나들)
- Binance Labs 투자, tap to earn에서 밈코인
트레이딩 플랫폼으로 변경한 BLUM
– 바이낸스 C레벨이 만든 DEX, 유저 수 9천만+
MISSW
– MISSW: 밈토큰 보상 기반 V2E 플랫폼
– MISSBLUM: 둘의 크로스 이벤트로 현재 3라운드 대회 진행 중 ($3K 상금 + NFT 4,000개 풀림)
3명의 눈나들을 투표, MISSW 미니앱에서 진행되며, 최종 선정자는 BLUM 공식 대사로 팬토큰 런칭 기회줌.
일자: 4월 5일 토요일, 오후 6시 ~ 11시 30분
위치: WEPLE GALLERY, 서울 용산구 원효로 7
➡️ 루마 링크
🦕: tap to earn 3대장인 블럼에서 MISSW랑 신기한거 함. 예전 미스봉크가 생각났는데 미스W가 똑같이 진행하는 거였음. 신기하게 봉크나 BLUM처럼 커뮤가 빵빵한 곳들과 연계되는 게 좀 신기함. 가면 톤 재단쪽 분들이나 BLUM관계자도 오니 스몰톡하기도 좋을 듯.
🖊🖊🖊🖊🖊🖊🖊🖊🖊🖊🖊🖊🖊
앱 링크
✔️MISSW: 앱 l 커뮤니티 l X
✔️ BLUM: 밈패드 l 트레이딩 봇
#MissBLUM #BLUM #MISSW
BLUM
- Binance Labs 투자, tap to earn에서 밈코인
트레이딩 플랫폼으로 변경한 BLUM
– 바이낸스 C레벨이 만든 DEX, 유저 수 9천만+
MISSW
– MISSW: 밈토큰 보상 기반 V2E 플랫폼
– MISSBLUM: 둘의 크로스 이벤트로 현재 3라운드 대회 진행 중 ($3K 상금 + NFT 4,000개 풀림)
3명의 눈나들을 투표, MISSW 미니앱에서 진행되며, 최종 선정자는 BLUM 공식 대사로 팬토큰 런칭 기회줌.
일자: 4월 5일 토요일, 오후 6시 ~ 11시 30분
위치: WEPLE GALLERY, 서울 용산구 원효로 7
➡️ 루마 링크
🦕: tap to earn 3대장인 블럼에서 MISSW랑 신기한거 함. 예전 미스봉크가 생각났는데 미스W가 똑같이 진행하는 거였음. 신기하게 봉크나 BLUM처럼 커뮤가 빵빵한 곳들과 연계되는 게 좀 신기함. 가면 톤 재단쪽 분들이나 BLUM관계자도 오니 스몰톡하기도 좋을 듯.
🖊🖊🖊🖊🖊🖊🖊🖊🖊🖊🖊🖊🖊
앱 링크
✔️MISSW: 앱 l 커뮤니티 l X
✔️ BLUM: 밈패드 l 트레이딩 봇
#MissBLUM #BLUM #MISSW


26.03.202501:38
이제 진짜 gamefi의 시대인가, Ronin x Opensea
로닌이 오픈씨에 입성했다.
두 팀의 파운더는 Cryptokitties의 커뮤의 초기멤버로 유명하다.양측의 샤라웃은 로닌의 생태계를 조금 더 확장하는 계기가 되는 일.
기념 NFT 주조하기
1. Ronke on a Sailing Ship (6만개 민팅완)
2. Jin on a Sailing Ship (10만개 민팅완)
OS2에도 물론 사용할 수 있음, devin finzer*오픈씨 파운더)의 샤라웃을 받아 파밍하기도 괜찮을 것 같음.
로닌이 오픈씨에 입성했다.
두 팀의 파운더는 Cryptokitties의 커뮤의 초기멤버로 유명하다.양측의 샤라웃은 로닌의 생태계를 조금 더 확장하는 계기가 되는 일.
기념 NFT 주조하기
1. Ronke on a Sailing Ship (6만개 민팅완)
2. Jin on a Sailing Ship (10만개 민팅완)
OS2에도 물론 사용할 수 있음, devin finzer*오픈씨 파운더)의 샤라웃을 받아 파밍하기도 괜찮을 것 같음.
28.03.202513:50
Off the grid가 마지막 희망?
https://x.com/huntersolaire_/status/1905611142720094258?s=19
한국이 msu를 보는 것과 비슷한 뷰네요.
글이 너무 좋으니 꼭 읽어보시길.
https://x.com/huntersolaire_/status/1905611142720094258?s=19
한국이 msu를 보는 것과 비슷한 뷰네요.
글이 너무 좋으니 꼭 읽어보시길.
post.reposted:
마인부우의 크립토볼

25.03.202502:40
아비트럼다오의 GCP (게이밍 지원 프로그램) 자금 회수 제안
https://forum.arbitrum.foundation/t/non-constitutional-gcp-clawback/28809/11
- 때는 바야흐로 2024년 2월 TreasureDAO와 XAI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힘을 합쳐 아비트럼에 게임을 지원하는 프로포절 제안 (당시 총 4천억 규모)
- 2024년에 6월에 최종 승인됐으나, 이후 몇개월간 매우 느린 일처리를 보임. 이후 답답했던 TreasureDAO가 Zksync로 떠남
- 어제 NathanVDH라는 유저가 DAO 포럼에 CGP 자금을 회수하자는 제안을 올림
- 주요 골자는 GCP 위원회의 투명성 부족, 지속 불가능성, 주요 기여자였던 TreasureDAO의 아비트럼 탈출 등을 근거로 자금 회수 제안
- 해당 포럼에서 현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토론 중이며, 위원회 멤버 중 한명인자 offchain Labs의 게이밍 파트너쉽 헤드인 David Bolger도 댓글을 담. 댓글에선 Arbitrum에서의 게이밍의 중요성, Ubisoft, Square Enix 같은 기존 빅 게임 회사들이 아비트럼에서 개발 중인 것을 어필
개인적인 생각으론 해당 자금 철회 제안이 통과될 것이라 보기는 어렵지만 민심을 알 수 있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너무 많은 이해관계자들로 인해 GCP가 추진력을 얻지 못한다고 느끼며, 일처리 속도가 너무 느린게 한목 하는 것 같네요
관련 더 블록 기사 보기
#GCP #Arbitrum
https://forum.arbitrum.foundation/t/non-constitutional-gcp-clawback/28809/11
- 때는 바야흐로 2024년 2월 TreasureDAO와 XAI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힘을 합쳐 아비트럼에 게임을 지원하는 프로포절 제안 (당시 총 4천억 규모)
- 2024년에 6월에 최종 승인됐으나, 이후 몇개월간 매우 느린 일처리를 보임. 이후 답답했던 TreasureDAO가 Zksync로 떠남
- 어제 NathanVDH라는 유저가 DAO 포럼에 CGP 자금을 회수하자는 제안을 올림
- 주요 골자는 GCP 위원회의 투명성 부족, 지속 불가능성, 주요 기여자였던 TreasureDAO의 아비트럼 탈출 등을 근거로 자금 회수 제안
- 해당 포럼에서 현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토론 중이며, 위원회 멤버 중 한명인자 offchain Labs의 게이밍 파트너쉽 헤드인 David Bolger도 댓글을 담. 댓글에선 Arbitrum에서의 게이밍의 중요성, Ubisoft, Square Enix 같은 기존 빅 게임 회사들이 아비트럼에서 개발 중인 것을 어필
개인적인 생각으론 해당 자금 철회 제안이 통과될 것이라 보기는 어렵지만 민심을 알 수 있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너무 많은 이해관계자들로 인해 GCP가 추진력을 얻지 못한다고 느끼며, 일처리 속도가 너무 느린게 한목 하는 것 같네요
관련 더 블록 기사 보기
#GCP #Arbitrum
11.04.202505:38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온-히의 FDV와 비비다가 빠르 게 치고갈 것 같음.(뇌피셜 냥냥) 사실상 현재 시점에 들이 박는 것은 진짜 고민이 많이 될 것 같고, 차라리 코인사서 매매하는 게..?
반감기가 다가올 떄가 고점일 것으로 보임
"엥? 반감기면 더 올라야하는 거 아님?"
하지만 이 플젝은 75% 소각이 가장 큰 무기임. 반감기가 적용되는 순간 신규 투자자들은 마를 가능성이 높음. 지금 사이클대로 진행된다면 아마 일주일 정도가 상승 흐름이 유지되는 마지노선 아닐까. (반감기는 53.5일)
차주 XP를 얼마나 달달하게 주는 지도,,
반감기가 다가올 떄가 고점일 것으로 보임
"엥? 반감기면 더 올라야하는 거 아님?"
하지만 이 플젝은 75% 소각이 가장 큰 무기임. 반감기가 적용되는 순간 신규 투자자들은 마를 가능성이 높음. 지금 사이클대로 진행된다면 아마 일주일 정도가 상승 흐름이 유지되는 마지노선 아닐까. (반감기는 53.5일)
차주 XP를 얼마나 달달하게 주는 지도,,


22.04.202506:09
1. Fusion, ‘쌀먹’을 위한 컨텐츠
FUSION? NFT -> NXPC 교환
아이템을 엿 바꿔 먹는 시스템.
MSU는 자체 마켓을 갖추고 있고, 여기서 NESO로 아이템을 판매하고, NESO는 $NXPC로 교환할 수 있는 구조다. Fusion은 마켓이용 외에도 $NXPC로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런칭 초기에는 NESO의 유통 자체가 적을 것이고, 교환비도 정해지지 않아 NESO 관련은 지금 단계에서 배제한다.
Fusion은 일종의 글로벌 쌀먹 FCFS 시스템이라 보면 된다. 매 주(아마도) 공급량 대비 아이템 풀이 열리고, 모든 유저들이 아이템을 채워넣는다. 마켓에서 거래되거나 사냥을 통해 얻은 아이템을 바스켓에 넣고, 바스켓이 완성되면 NXPC를 분배받는다. (바스켓은 대충 장바구니 생각하면 됨)
1. 만약 NXPC : NESO비율이 1:10 이라 가정,
2. 특정 NFT가 마켓에서 8 NESO에 판매
3. 특정 NFT의 NXPC 교환비는 1:10
이럴경우 8네소로 1NXPC를 얻으면 20% 차익이 나가애 마켓 죽돌이들이 많아질 것이며,
팀은 온체인 거래량 + 마켓 수수료 = 안정적 수익 구조를 먹을 수 있을 것이다.다만, 봇이 전부 쓸어가 우리는 이런 차익은 기대도 못할지도,,
하지만 유저들은 사냥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이기에 Fusion은 rpg 쌀먹러들에겐 최고의 시스템이다.
⬇️아래에 이어짐⬇️
FUSION? NFT -> NXPC 교환
아이템을 엿 바꿔 먹는 시스템.
MSU는 자체 마켓을 갖추고 있고, 여기서 NESO로 아이템을 판매하고, NESO는 $NXPC로 교환할 수 있는 구조다. Fusion은 마켓이용 외에도 $NXPC로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런칭 초기에는 NESO의 유통 자체가 적을 것이고, 교환비도 정해지지 않아 NESO 관련은 지금 단계에서 배제한다.
Fusion은 일종의 글로벌 쌀먹 FCFS 시스템이라 보면 된다. 매 주(아마도) 공급량 대비 아이템 풀이 열리고, 모든 유저들이 아이템을 채워넣는다. 마켓에서 거래되거나 사냥을 통해 얻은 아이템을 바스켓에 넣고, 바스켓이 완성되면 NXPC를 분배받는다. (바스켓은 대충 장바구니 생각하면 됨)
1. 만약 NXPC : NESO비율이 1:10 이라 가정,
2. 특정 NFT가 마켓에서 8 NESO에 판매
3. 특정 NFT의 NXPC 교환비는 1:10
이럴경우 8네소로 1NXPC를 얻으면 20% 차익이 나가애 마켓 죽돌이들이 많아질 것이며,
팀은 온체인 거래량 + 마켓 수수료 = 안정적 수익 구조를 먹을 수 있을 것이다.다만, 봇이 전부 쓸어가 우리는 이런 차익은 기대도 못할지도,,
하지만 유저들은 사냥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이기에 Fusion은 rpg 쌀먹러들에겐 최고의 시스템이다.
⬇️아래에 이어짐⬇️


16.04.202512:00
십덕세팅 완료.
메이플 존버하면 되겠지?
메이플 존버하면 되겠지?
25.03.202506:00
$BEAM 이 수상하다.
22.04.202506:50
Fission이 웹3 디젠상품이라면?: 뇌절생각
단순히 메이플로 생각하지말아보자. $AI16Z나 $VIRTUAL의 사례처럼 Fission이 메이플 IP를 활용한 새로운 크리에이터 상품의 런치패드 역할이 될 수도 있다.
물론 이건 지극히 뇌절한 생각이겠지만 크리에이터들을 밈코인 빌더라고 생각해보자. 이들이 뭘 만들고, NFT를 밈코인처럼 찍어내고, MSU는 이를 Fission pool로 받게끔 넣어놓는다면?
MSU판 PUMP.FUN NFT버젼이라는 끔찍한 혼종이 될지도 ㅋ.ㅋ 느낌은 다르겠지만 크리에이터관련 시스템이 너무 빈약해 이런 생각도 해봄.
이건 그냥 뇌절이니 무시.
⬇️아래에 이어짐⬇️
단순히 메이플로 생각하지말아보자. $AI16Z나 $VIRTUAL의 사례처럼 Fission이 메이플 IP를 활용한 새로운 크리에이터 상품의 런치패드 역할이 될 수도 있다.
물론 이건 지극히 뇌절한 생각이겠지만 크리에이터들을 밈코인 빌더라고 생각해보자. 이들이 뭘 만들고, NFT를 밈코인처럼 찍어내고, MSU는 이를 Fission pool로 받게끔 넣어놓는다면?
MSU판 PUMP.FUN NFT버젼이라는 끔찍한 혼종이 될지도 ㅋ.ㅋ 느낌은 다르겠지만 크리에이터관련 시스템이 너무 빈약해 이런 생각도 해봄.
이건 그냥 뇌절이니 무시.
⬇️아래에 이어짐⬇️
28.03.202506:15
EARN의 매력은,, 음,,
진성 게이머들이 옵더그 안에서 순위를 다투고, 상자깡을 통해 '득템'하는 재미를 느끼는 게 킥이라고 생각.
즉, 게이머들에겐 더할나위없이 매력적임. 때문에 운영에서 지속성이 갈릴만한 래퍼런스라고 생각됨.
여태까지 '딸깍'하던 'Web3 game'들과는 토큰의 목적과 구성자체가 다름.
이게 진짜 게임이지.
진성 게이머들이 옵더그 안에서 순위를 다투고, 상자깡을 통해 '득템'하는 재미를 느끼는 게 킥이라고 생각.
즉, 게이머들에겐 더할나위없이 매력적임. 때문에 운영에서 지속성이 갈릴만한 래퍼런스라고 생각됨.
여태까지 '딸깍'하던 'Web3 game'들과는 토큰의 목적과 구성자체가 다름.
이게 진짜 게임이지.


12.04.202503:59
$big
부러짐주의
부러짐주의


09.04.202507:59
80 big짜리 2개 달아봄,
일단 추가로 2계정은 방만 설치
일단 추가로 2계정은 방만 설치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