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브이티

본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
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
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Feb 18, 2025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Mar 25, 2025

Последние публикации в группе "브이티"

이형 찐이네
https://vt.tiktok.com/ZSrwKs2DG
Pdrn soldout
3월 매출이 좋아서 홍대쪽 매장 구경
러시아 주위 국가들에서도 반응이 좋은 것으로 추정

Рекорды

27.04.202523:59
739Подписчиков
24.03.202523:59
0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31.03.202523:59
2KОхват одного поста
27.04.202523:59
1.8K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26.03.202523:59
5.36%ER
07.03.202514:07
619.19%ERR

Развитие

Подписчиков
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Охват 1 поста
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ER
ERR
MAR '25APR '25APR '25APR '25

Популярные публикации 브이티

17.04.202503:12
신한투자증권 화장품/의복 담당 박현진 입니다. 금일 화장품/의류주들 주가 창이 대체로 빨강빨강하네요, 미국 관세 상승에 대한 노이즈, 시장 우려를 좋게 해석하고자 하는 분위기가 생겨나는거 같기도 합니다.

🔜 금일 주가 상승 이유는
☑️ 1) 미국 관세 인상으로 한국 화장품의 미국/서구권 수요가 낮아지지 않을 것이다란 뷰가 공감대를 형성하고
☑️ 2) 미국-중국 관세 폭등으로 중국산 제품 대비 한국산 제품이 가격 경쟁력 확보에 유리할 전망이며
☑️ 3) 각국의 추경 확대 기조로 내수 소비가 좋아질 것이란 뷰 확산으로 요약됩니다.

화장품사들의 2025년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부합하는 기업들이 상당수고, 일부는 1분기 실적이 에프엔가이드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이라 보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한국콜마, 아모레퍼시픽, 펌텍코리아, 에이피알, 실리콘투 등이죠.

1분기가 아니라도, 2~4분기 실적 회복 기대감을 높이는 경우가 다수 입니다. 관련기업으로 코스메카코리아, 씨앤씨인터내셔널, 아이패밀리에스씨 등이 있지요.

지난번 자료에서도 언급 드렸지만, 미국 관세 인상으로 인해 2분기 화장품 공급 계획에 변화가 있는건 아니라는게 업계 중론이다 말씀 드렸습니다.

또한 3)에 관심이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미국이 관세를 올리는 만큼 소비자가격에 전가될 가능성과 그로 인해 소비 경기가 나빠질 우려가 커지면서 각국이 추경확대에 집중하는 양상으로 가고 있어 보입니다. 일본, 한국, 중국 다 마찬가지 입니다.

내수 실적이 회복될 가능성이 있고, 화장품/의류브랜드사에 대해 재평가 기회가 생기지 않을까해요, 물론 화장품을 수출산업이 되어 내수 의미가 크진 않지만, 의류는 아직 내수 비중이 높습니다.

제 지갑에 현금이 생긴다면, 지역화폐를 받는다면 외식비, 교육비에 먼저 지출할 것으로 보이며, 그렇게 쓰고도 돈이 남으면 저가 화장품, 저가 의류 소비도 늘리지 싶어요, 그 점에서 내수소비가 하나의 테마가 될수 있다 생각합니다. 참고하세요!
08.04.202507:38
https://m.blog.naver.com/ssinmusa/223826300883
#예스아시아홀딩스 #실리콘투 #K뷰티 #관세
* 일정 추후 변경 가능(변경 시 재공지)
* 해외기업은 현지 시간 기준
post.reposted:
YM리서치 avatar
YM리서치
🌟기초화장품 수출데이터
작년 10월 최대치 이후 역대 2번째
$435,577,910
31.03.202506:27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업종의 펀더멘털은 변함없이 견고

- 오늘 공매도 재개 영향,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임박 영향 등으로 증시 급락
- 이에 따라 화장품 섹터 또한 변동성 확대 국면

- 다만 기업의 펀더멘털은 비교적 견고
- 공매도 재개 영향으로 아모레/LG생활건강/코스맥스/한국콜마 정도는 영향권
- 관련해서 이미 선제적으로 움직였다고 판단함

-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관련해서는
- 소비자 수요 저하 등의 영향 및 가격 전가 가능성 등으로
- 업종 영향 크지 않을 전망

- K뷰티는 과거 중국 사이클과 다르게 뷰티 선진국으로
- 혁신적 제품, 좋은 품질, 높은 가격 경쟁력으로 정식으로 침투하고 있음
- 그 어느 때보다 계급장 떼고, 프랑스/미국/일본 화장품의 넘어서고 있음


- 코로나 이후 일본 침투 시작 본격화 되었고, 현재는 K뷰티가 일본 시장에서 J뷰티의 점유율을 잠식 중. K뷰티 따라하는 브랜드도 많아짐
- 23~24년은 미국 시장 침투 가속화 시기, 현재는 오프라인 침투가 시작되었으며, 도심에서 부도심 등으로 영역 확대 중
- 올해는 유럽 시장 침투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 수출 데이터 뿐만아니라 최근 있었던 코스모프로프 볼로냐에서 가능성 확인
- 단기간에 끝날 모멘텀이 아니라 판단

- 펀더는 여전히 다이나믹, 견고함
- 핵심 종목 중심으로 저가 매수할 필요


---
- LG생활건강: 1) 비중국 수요 가속화: 더페이스샵/CNP/빌리프 등 중저가 브랜드를 통한 비중국 진출 가속화, 2) 중국 수요: 면세는 부진하나, 중국 수요는 지난해 부터 점진적 개선, 3) 생활용품: 수출 확대, 마진 하락 일단락, 4) 음료: 수익성 중심 경영, 5) 비유기적 성장 가능: 현금 1.2조원을 통한 M&A 의지, 6) 밸류에이션 매력 보유

- 아모레퍼시픽: 1) COSRX 매출 부진으로 최근 기업가치는 반영 중, 2) 중국 손익 1분기 저점으로 개선(연간 BEP 전망), 3) 라네즈/이니/에스트라 등 중저가 대표 브랜드 중심으로 비중국 진출 확대, 4) 밸류에이션 밴드 하단

- 에이피알: 1) 희소한 성장, 올해 북미 2배 성장 예상, 2) 일본/홍콩/B2B를 통한 해외 확장 가속

- 한국콜마: 1) 북미법인 고성장 + 스킨케어 신공장 가동 예정, 2) 스킨케어 중심 K뷰티 글로벌 확장 수혜, 3) 중국법인 성장 전환, 4) 밸류에이션 매력 보유

- 코스맥스: 1) K뷰티 글로벌 확장 수혜, 2) 중국 저점 지나, 3) 인니/태국 고성장(동남아 강세), 4) 하반기 북미 턴어라운드 예상

- 코스메카: 1) 국내법인 + 잉글 모두 고객사 확대 주력, 1분기를 저점으로 회복 예상, 2) 저밸류 매력

- 씨앤씨: 1) 국내법인 + 중국 모두 고개사 확대 주력, 지난해 4분기를 저점으로 회복 추세

- 브이티: 일본/국내 QoQ로 감소하나, 이는 주가에 반영, 1) 2분기 부터 개선세 예상, 2) 2분기 미국/중국 수출 확대 예상, 3) 최근 밸류 하단 근접

- 아이팸: 신제품 효과 역대급 호조 흐름, 1) 국내 올리브영 매출 사상 최대, 이를 바탕으로 2) 수출 국가, 국가별 수출액 확대 중, 체질 개선 모습, 3) 최근 밸류 하단 근접


***
16.04.202510:38
[컨콜노트] 브이티, 미·중 관세 불확실성에도 글로벌 시장 본격 공략

✅ O사와 D사 등 국내 주요 채널에서 안정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음

✅ 일본 오프라인 특화 매장 확대와 맞춤형 SKU로 추가 성장 계획

✅ 미국과 중국 시장도 3분기 이후 본격 진입하여 글로벌 확장 모색 중

👉 전문보기
https://is.gd/bxUcnW
메리츠증권
올리브영
post.reposted:
[인베스퀴즈] avatar
[인베스퀴즈]
03.04.202507:17
#화장품 #피부미용

특정 브랜드를 폄하할 의도는 아니지만, 화장품 시장서 니들제형은 이제 대중화 되다 못해 쉰 떡밥이 아닐까 싶음. 왠만한 브랜드들 죄다 스피큘 제품이 쏟아지는 가운데, 이처럼 특수한 제형이 과연 브랜드력으로 받쳐줄 수 있을지. 그야말로 검증의 시간.

사견으론 화장품은 마케팅이 90%며 나머지 10%는 트렌드인거 같다. 유통구조가 바껴 이젠 SNS/왕홍이 가장 우선적으로 여겨지는 마당에, 오프에 깔리고 안깔리고의 문제는 크게 중요하지 않아 뵘.

블리블리(VELY VELY)는 중국 틱톡(Douyin)에서 활동하는 왕홍 Qiu Qiu와 협업해 약 3개월 만에 ‘나노 스피큘 1200 리프팅 크림’ 누적 판매량 20만개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지난 16일 진행된 Qiu Qiu의 라이브 방송에서는 1시간 만에 4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판매력을 입증했다.

https://www.segyebiz.com/newsView/20250327516361?OutUrl=naver
post.reposted:
[인베스퀴즈] avatar
[인베스퀴즈]
03.04.202508:15
#화장품 #에이피알

대세오브대세가 된 PDRN과 니들이 만난 PDRN엑소좀샷이 요즘 그렇게 핫하다고. HA니들도 이미 하이드롭-스피큘 이런 형식으로 깔린지 오래된 떡밥이 됨.

결국 니들이 중요한게 아니라 어떤 성분이 붙고, 또 어떻게 마케팅하느냐가 이젠 관건이 아닐까 싶다.

현재 하기와 같은 제품들이 나온 상태이고,

리들샷(브이티) = 마이크로니들 + CICA
엑소좀샷(메디큐브) = 마이크로니들 + 엑소좀


제 느낌으로는 이제 남은건 피부과에서 시술하는 스킨부스터 제품을 생각햇을 때 PDRN과 HA정도입니다. 아마도 하기와같은 마이크로니들을 적용한 PDRN제품이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PDRN샷 or 리쥬란샷 = 마이크로니들 + PDRN
HA샷 or 물광샷 = 마이크로니들 + HA

https://blog.naver.com/briller_research/223323280072
4월 10일 오후 5 ~ 8시
post.reposted:
브이티
올해는 본격 투자
post.reposted:
브이티
02.04.202503:30
간혹 헷갈려 하시는 분이 있으시던데, 올해 시작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