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Mutt Technologies avatar

Mutt Technologies

돈 이야기 안해요 (아마도)
English speakers might want https://x.com/haxxton1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
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
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Бер 14, 2025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Бер 19, 2025
Прикрепленная группа

Рекорды

17.04.202523:59
545Подписчиков
15.03.202523:59
0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09.04.202503:21
7KОхват одного поста
01.04.202515:03
13.9K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01.04.202515:03
2.99%ER
09.04.202503:21
1299.63%ERR

Развитие

Подписчиков
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Охват 1 поста
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ER
ERR
БЕР '25БЕР '25БЕР '25КВІТ '25КВІТ '25КВІТ '25

Популярные публикации Mutt Technologies

4월에는 화이팅합시다. 라이터 하세요 여러분
17.04.202504:16
apidocs.lighter.xyz 내려갔네요. 라이터는 봇이 싫어잉
02.04.202504:58
바낸의 (예비) 조사결과 발표

https://www.binance.com/en/support/announcement/detail/77d0e3b33ed2460e87abd2e98466f40d

계정 4개에서 ACT 총 15억어치를 던졌고 이로 인해 flash crash 발생. 추가적으로 조사 중. ACT는 이미 100% 유통중이니 파는 것 자체를 뭐라 할 명분은 없음
(본문에 그런 내용은 없는데, 7시 30분에 MMR 바뀌면서 보고 타이밍 맞춰서 의도적으로 청산 유도한듯?)
그러면서 mm들한테 은근히 호가좀 잘채워달라고 쿠사리로 마무리

한줄요약: 누가 공지보고 장난질했는데 암튼바낸은잘못없어잉 ㅎ
14.04.202502:16
팬텀월렛 인증샷은 흐린눈뜨고 봐야하는게, 월렛에 뜨는 손익은 실제 손익이 아니라 "현재 들고있는 포트폴리오"의 "24시간전" 가격과의 차이를 계산한겁니다
어제 1불이었던 토큰이 방금전에 0.1불이 되었고 그 직후에 그걸 100불 샀으면 -90% (-$900) 으로 찍힘
10.04.202514:16
바로 밑에 설명 읽어보니, 머클증명(클레임 지분에 대한 해시값목록)을 제출할때 실제 수령인이 제출한건지 체크하는 조건이 없어서, 멤풀에서 누가 클레임하는거 보고 그대로 증명 복사해서 더 빨리 클레임해가는 건듯
01.04.202511:16
하리에 액트선물 어디감?
(있었던거같은데 진짜몰라서물어봄, 방금상폐했다는뜻아님)
01.04.202512:02
https://x.com/lookonchain/status/1907037714014515336
현재 정설은, 바이낸스가 정확히 7시 30분에 ACT를 포함한 여러 선물의 포지션 캡을 변경해서 어떤 고래의 롱포지션이 날아가고 연쇄청산이 발생했다? 는 것 같습니다


Before (Leverage, Size, Maintenance Margin Rate)

2x
3,000,000 < Position ≤ 4,000,000
25.00%

1x
4,000,000 < Position ≤ 4,500,000
50.00%

After

2x
2,000,000 < Position ≤ 3,000,000
25.00%

1x
3,000,000 < Position ≤ 3,500,000
50.00%


Maintance Margin Rate(MMR, 유지증거금율)는 항상 이 위로 지켜야 하는 포지션의 담보비율인데, 쉽게 말해 MMR이 5%라는 것은 최소한 내 포지션의 5% 가치만큼은 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pnl이 양음인것과 관계 없이).
선물을 쉽게 설명할 때에는 "2배 롱치면 1불 떨어질때마다 2불씩 잃으니까, 50불 들고 100불 롱치면 50% 빠지면 청산이다" 라는 식으로 이야기합니다만, 2배 롱치고 50% 빠지는 것은 내 잔고가 "0" 이 되는 시점이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청산을 시키면 거래소 입장에서 손해를 봅니다. 계좌가 0이 된 시점에 롱을 청산시키면 숏을 쳐야하고, 그러면 호가가 긁히면서 가격이 내려가니까요(=슬리피지).

그렇기 때문에 거래소, 레버리지, 종목별로 거래소가 유지증거금율을 설정해서, "최소한 이만큼의 여유는 두고 포지션을 유지해라, 이 밑으로 가면 얄짤없다" 라는 기준을 세우는 데 이게 MMR입니다. 비트코인 같은 경우에는 엄청나게 유동성이 좋은 편이니까 사실상 매우 작아서 체감이 안 되는데, 포지션이 크고 유동성이 낮은 코인일수록 요구하는 유지증거금율이 커집니다. ACT는 시총 작은 밈코인이니까 훨씬 큰 게 당연하고요.

7시 30분에 일어난 일은, $3~4M에서 허용되던 25% MMR이 $2~3M으로 크게 줄었다는 것입니다. 이러면 $4M짜리 포지션 들고 있던 사람은 유지증거금율이 한번에 두배가 뛰어서 청산가가 확 올라갑니다.
제가 저 정도의 포지션을 잡아보지 못해서 실제로 경험해본 것은 아닌데, 이렇게 엄청나게 큰 유지증거금율 변동이 생겼을 때 유예기간 없이 포지션을 청산시키면 7시 30분에 약속이라도 한 것마냥 폭포수가 터진 게 이해가 안 가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아직 해결되지 않은 의문은, 이전에도 많아야 포지션을 $4.5M 잡을 수 있었는데 어떻게 한번에 $72M의 OI가 쓸려나가지? 라는 것입니다. 참고로 바낸은 VIP 상대로는 포지션캡을 늘려주기는 합니다만 열배씩 늘려주는지는...모르겠네요. 아마 2배로 롱치던(아마 현물매도의 헷지겠죠) 어떤 MM이 휘말리면서 다른 페어도 교차로 청산되고, 더불어서 연쇄청산이 같이 발생했을 수도?


이번 유지증거금율 변동에 대한 공지는 https://www.binance.com/en/support/announcement/detail/4d5f22d4048345d4b7cbb7920d2af2ee 에서 확인하세요.
26.03.202514:10
https://x.com/haxxton1/status/1899802152996044950
(저번에 사고났을때 쓴 제 트윗입니다 ㅎ;)

정확한 수치상으로는 모르지만, 제가 알기로 HL 유동성의 아주 큰 부분을 HLP가 맡고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특히 거래량 낮은 페어일수록). 이런 구조는 HLP에게 특히 취약했던게, HLP는 외부 시장에서 헷징하는게 불가능하므로 전적으로 가격에 대한 방향성 베팅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HL이 퍼프덱스 치고 정말 말도 안되게 큰 볼륨을 처리중인 것은 대단하지만, 헷징을 하면 바이낸스와 같은 1티어 거래소의 유동성을 끌고 올 수 있다는 장점을 누리지 못하므로 HLP가 처리할 수 있는 볼륨은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HL이 더 성장하려면, HLP가 현재 갖고 있는 청산이나 메이커 리베이트 등의 특권을 다른 고티어 마켓메이커에게도 개방하여야 현재 HL이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 가능합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모르겠는데 윈터뮤트가 mm중인 VINE이 멀쩡한 걸로 봐서는 윈뮤가 청산난건 아닌 거 같네요...?
25.03.202507:10
오늘 올라온 바이낸스의 MM 제재 발표는 GPS와 비교보면 좀 더 적극적인 편입니다(좋게 말하면 적극적이고 나쁘게 말하면 기준이 고무줄임).

GPS 공지의 경우에는: "No buy orders were placed by the Market Maker during the aforementioned period." 즉 MM이 순수하게 팔기만 해서 명백히 덤핑
MOVE 공지의 경우에는: "One day after MOVE was listed, approximately 66 million MOVE tokens were sold by the Market Maker on 2024-12-10 (UTC), with little buy orders." 즉 MM이 "많이" 팔았지만 단 1개도 되사지 않은 것은 아님

추가적으로, "The Market Maker had an eventual net profit of 38 million USDT...(후략)" 도 "eventual net profit" 이라고 하는 것 보면 고점에서의 수익을 말한거지 지금 38M을 번 것은 아니라 봅니다

바이낸스가 유저 보호를 적극적으로 하는 건 좋은데, 이렇게 기준이 매번 달라지고 명확하지도 않으면 (토큰을 "조금만" 판 다는건 어디까지 허용되는지?) 기관입장에서 원하지 않는 불확실성을 떠안아야 하니 너무 가혹하다 생각합니다.

CZ나 허이가 정치적인 정책 변경을 하지 않았나 조심스럽게 추측해봅니다. (쉽게 말해서 리테일한테 호감작 하는 중 아닌지?)

https://www.binance.com/en/support/announcement/detail/478515187fab440fa80e56137c148a1b
01.04.202511:06
현물팔고 롱쳐서 차익거래중인 어떤 mm이 시장조작에 당했다(아마 act로 개쳐잃고 다른 교차포지션도 터진거 같음)는 추측을해보는중
근데 이걸로 뭘할수있는지는 모르겠네요
01.04.202511:24
분명히 예전에 액트선물을 봤었는데 제가 꿈에서봤나봐요 고멘나사이
만우절이니까봐줘잉 ㅎ
01.04.202511:49
윈뮤가 지속적으로 액트 거래중인건 온체인으로 확인 가능한데, 던진 주체가 윈뮤인지는 확신하기 어렵지 않나? 생각됨
저는 윈뮤가 모럴해저드가 있을 수는 있어도 주업무는 차익거래라고 알고 있고 그게 합리적이라 생각되기 때문에 (1. 지속적으로 리밸런싱하는 것으로 보이는 온체인동작 2. 그 큰돈을 방향성 베팅하기에는 리스크가...) 이번에도 dwf식으로 운전했다는 식의 주장에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01.04.202502:31
열화와 같은 성원에 힘입어 discussion 열었습니다
01.04.202502:31
테스트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