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Four Pillars Research (KR) avatar
Four Pillars Research (KR)
Four Pillars Research (KR) avatar
Four Pillars Research (KR)
: : 올마이티 수이 풀스택
작성자: 재원

- 수이는 실행, 합의, 스토리지, 네트워크, UX, 개발 툴링, MEV 처리 등의 기능들을 한데 묶은 풀스택 전략을 지향한다.

- 땜질식 접근을 답습하지 않고, 제 1원칙에 입각하여 각 레이어를 처음부터 다시 설계함으로써 중앙화 요소 및 설계 부채(design debt)를 최소화했다.

- 서브-세컨드 파이널리티를 달성하는 미스티세티(Mysticeti) V2, 선형 확장성을 제공하는 레모라(Remora), 온체인 대용량 스토리지 월루스(Walrus) + 씰(SEAL), 그리고 안전한 네트워킹을 위한 싸이온(SCION)이 서로 보완적으로 작동한다

- 전용 콘솔 ‘수이플레이0X1(SUIPLAY0X1)’ 출시 및 70종 이상의 신규 타이틀 준비, TVL 20억 달러 돌파 등 게이밍 및 디파이 섹터에서 특히 유의미한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

- 수이는 프랭클린 템플턴, 그레이스케일 같은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웹2 수준의 편의성과 웹3의 탈중앙화를 결합해 차세대 블록체인 인프라로 부상 중이다.

▫️월드 컴퓨터가 허풍이 아닌 체인
▫️제1원칙에 입각한 아키텍쳐 설계
▫️하나의 스택에 모든 것을 담다
▫️수이의 트로이 목마, 게이밍
▫️게임을 넘어: 유의미하게 성장하고 있는 수이의 디파이 생태계
▫️기관급 수요: 월가부터 웹2 대기업까지
▫️엔드게임

아티클 전문 (트위터)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리포트] 아시아 스테이블코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상호운용성이 필수적이다
작성자: 강희창

- 스테이블코인은 빠르게 시장에 자리 잡았다. 데이터를 보더라도 스테이블코인의 총 공급량은 작년에 크게 증가하여 2025년 2월 기준으로 2,250억 달러에 달했으며, 활성 유저수 및 거래량도 급증했다. 각 국가에서의 규제가 명확해지면서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이다.

- 특히 여러 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일본과 홍콩은 정부 주도, 싱가포르는 기관 주도, 한국은 리테일 주도로 각 국가마다 다양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반면에 중국과 인도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스테이블코인 대신 CBDC에 집중하고 있다.

-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한 이후에 상호 운용성은 필수적이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에게는 발행량을 늘리는 것이 중요한데 더 다양한 앱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른 블록체인으로의 확장이 필요하다. 현재 발행사들은 여러 블록체인에서 원활한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토큰 프레임워크, 자체적인 크로스체인 인프라, 모니터링 솔루션과 같은 전략을 구축하고 있다.

- 현재 테더 USDT, 에테나 USDe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상위 스테이블코인들은 레이어제로의 OFT 표준 및 맞춤형 보안 스택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여러 체인에서 발행된 토큰들을 쉽게 관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옵션의 DVN를 통해 보안이 강화된다. 일부 발행사들은 더 많은 컨트롤을 위해 자체 DVN을 운영하기도 한다.

- 아시아 국가들은 이제 스테이블코인의 성장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며 그 이점이 분명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아시아 스테이블코인은 규제와 발행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을 고민해야 한다. 결국 스테이블코인은 온체인에서 사용되어야 하며, 각 이더리움, 솔라나 등 여러 블록체인 생태계에 어떻게 활용되게 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며, 그러기에 상호 운용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 스테이블코인의 성장
▫️ 각 아시아 국가들이 스테이블코인에 대응하는 방식
▫️ 스테이블코인을 위한 인프라 - 발행부터 상호 운용성까지
▫️ 스테이블코인의 상호 운용성 전략
▫️ 케이스 스터디: 스테이블코인이 레이어제로를 활용하는 방법
▫️ 아시아는 늦었고 상호 운용성을 활용해 더 대담하게 움직여야 한다

트위터 요약
트위터 전문
리포트 전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BUIDL 2025 기간에 스토리북 2025를 만나보세요 😁

비들 아시아 기간이 다가오고있습니다 🌸

아래의 행사에서 포필러스의 스토리북 2025을 챙기는 것을 잊지 마세요!

[Turn on Your Story Mode] by DSRV
📅 April 10, 2025 | 18:00-21:00 (KST)
📍 DSRV HQ B1, Seoul
🔗 Register: https://lu.ma/pq05yypc


[BUIDL AI Hackathon] by Buidl Asia
📅 April 11-13, 2025
🔗 Register: https://buidlai.dev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국내 스테이블코인 법안 제안
작성자: 김효봉

- 주요 국가(미국, EU, 영국, 싱가포르, 홍콩)들은 발행자 자격 요건, 준비자산 구성 및 관리, 사용자 자산 보호 절차, 투명성 의무 등에 중점을 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구체적인 규제 체계를 이미 도입했거나 도입 과정에 있다.

- 스테이블코인은 지급 수단과 투자 자산으로서 이중적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러한 이중적 성격을 반영하고 잠재적 금융 안정성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포괄적인 규제가 필요하다.

- 한국은 국내외 발행 스테이블코인 관리, 발행자 감독, 준비자산 요건, 비상 상황 발생 시 개입을 위한 명확한 절차 등 포괄적인 감독 메커니즘을 갖춘 전용 스테이블코인 법안 마련이 시급하다.

▫️ 서론
▫️ 스테이블코인 규제 개요
▫️ 해외 주요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동향
▫️ 국내 스테이블코인 법안 제안
▫️ 결론

아티클 전문 (트위터)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이슈]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자생적 DeSci 미래를 향하여: 바이오 V1 런치패드
작성자: 100y

- 다른 일회성 내러티브들과 달리 DeSci는 꾸준히 언급되고 있으며, 유명 벤처 캐피털, 레이어 1 프로젝트들으로부터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 바이오 프로토콜(Bio Protocol)은 DeSci 펀딩 분야의 선두 주자로, 지금까지 이더리움, 베이스, 솔라나 네트워크 위에서 10개 이상의 바이오 다오들을 성공적으로 큐레이팅, 펀딩 및 지원했다.

- 이번 바이오 V1 업데이트는 기존에 중앙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수작업이 필요했던 큐레이팅 및 펀딩 프로세스를 개선함으로써 BIO 토큰 홀더라면 누구나 큐레이팅에 참여할 수 있고, 프로젝트들이 유동성을 쉽게 조성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BIO 토큰 홀더, 프로젝트 투자자, 연구자 등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투명성, 편의성 을 제공함으로써 바이오 생태계의 확장을 가속할 것이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블록체인 유동성에도 혁신이 필요하다: 유동성 가용성
작성자: 스티브

- 모듈러 vs 모놀리틱 블록체인 논쟁에서 빠지지 않는 주제 중 하나가 바로 ‘유동성’이다. 모듈러 블록체인에서는 각각의 롤업들이 유동성을 파편화시키는 반면, 모놀리틱 체인에서는 단일 샤드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구동되기 때문에 유동성이 통합되어 있다고 모놀리틱 체인을 옹호하는 쪽에서는 주장한다.

- 하지만 유동성이 통합되어 있다고 주장하는 모놀리틱 체인들도 사실상 유동성이 파편화되어 있다. 같은 샤드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구동되더라도, 유동성이 특정 앱에 고립되어 있다면 그 유동성을 활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놀리틱 체인에 유동성이 통합되어 있다는 주장은 다소 비약일 수 있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젝티브 리서치는 ‘유동성 가용성(Liquidity Accessibility)’이라는 개념을 소개하며, 어떻게 하면 이 유동성 가용성을 효율화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했다. 유동성 가용성을 극대화하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만약 이를 실현할 수 있다면 우리는 온체인 금융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 유동성 가용성이란?
▫️ 전통 금융(TradFi)으로부터 배운다
▫️ 블록체인에서의 유동성 가용성 효율화
▫️ 맺으며: 필자의 의견

아티클 전문 (트위터)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이슈] 리더십 혼란과 문화적 침체가 불러온 이더리움의 위기
작성자: 재원

- L2간 생태계 및 유동성 파편화, 울트라사운드 머니(ultrasound money) 내러티브 약화 등의 이유도 있지만, 이더리움이 침체기에 빠진 근본 원인은 사용자 및 빌더가 소외되는 내부 문화와 재단 리더십의 분열이다.

- 라이도(Lido) 같은 성공적 스테이킹 솔루션마저 배척하고, 일반 사용자나 디젠 트레이딩을 폄하하는 엘리트주의적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이더리움 생태계의 개방성과 유연성이 훼손되고 있다.

- 이더리움 재단이 거버넌스를 투명화하고, 사용자와 빌더 중심의 철학을 다시 견지해야만 경쟁 체인에 빼앗긴 모멘텀을 되찾고 장기적으로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인젝티브 빌더 하우스 이벤트에서 인젝티브 메가 레포트를 만나보세요 🇰🇷

인젝티브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나요? 저희가 준비한 메가 레포트와 개발자 입문 가이드 팜플렛을 통해 인젝티브 생태계에 쉽게 온보딩하세요!

👉RSVP: https://lu.ma/InjectiveSeoul2025?tk=WyXMu8

📆시간 및 장소
- 시간: 4월 11일(금), 4pm-9pm KST
- 장소: 해시드 라운지

🕐일정 ​
4:00 - 4:30 PM | 입장 및 체크인
4:30 - 5:10 PM | 인젝티브, 포필러스, 하이드로 프로토콜(Hydro Protocol)의 발표
5:10 - 5:40 PM | 인젝티브 생태계 빌더 패널 토크
5:40 - 6:00 PM | 럭키 드로우
6:00 - 6:30 PM | 네트워킹
6:30 - 9:00 PM | 개발자 세션 & 자유 네트워킹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이슈] 베이스드 롤업에게 프리컨퍼메이션이란?
작성자: 인근

- 베이스드 롤업은 기존 롤업들과 달리 중앙화된 시퀀서를 사용하지 않고, 이더리움 블록 생성 참여자들이 시퀀싱을 수행하여 탈중앙성과 경제적 보안을 상속받는다. 다만, 이더리움 블록 시간(12초)에 종속되는 구조적 한계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트랜잭션 포함을 미리 보장하는 프리컨퍼메이션이라는 방식이 도입되고 있다.

- 프리컨퍼메이션은 사용자의 트랜잭션 확정을 보장해 트레이딩, 게임, 결제 등 빠른 처리 속도가 중요한 서비스에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베이스드 롤업에 다양한 서비스를 온보딩하여 생태계를 확대할 수 있다. 프리컨퍼메이션의 도입은 이더리움에겐 확장성을, 베이스드 롤업에겐 주류 입성의 기회를 줄 수 있다.

- 프리컨퍼메이션은 사용자와 블록 생성 참여자 모두에게 이익을 제공하며, 이더리움 및 베이스드 롤업 기반 타이코 생태계의 확장과 활성화를 견인할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리포트] 스토리북 2025
작성자: 재원

- 스토리는 카카오에 4억 4천만 달러 규모로 기업을 매각한 연쇄 창업자와 구글 딥마인드(DeepMind) 역사상 최연소 프로덕트 매니저가 공동 설립한 IP 특화 블록체인으로, 특히 생성형 AI 시대에 드러난 IP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스토리는 IP를 블록체인의 진정한 PMF로 정의하고, IP를 프로그래밍 가능한 자산으로 재구성하여 투명한 저작자 귀속 및 자동화된 라이선싱, 로열티 정산을 가능하게 한다.

- 스토리의 L1 블록체인은 IP 관리에 최적화된 아키텍처로 구축되었으며, PoC (Proof-of-Creativity) 프로토콜, PIL (Programmable IP License), C2PA 표준 연계를 통해 온체인 효율성과 오프체인 법적 집행력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

- 스토리 생태계는 소비자 애플리케이션, AI, IPfi 분야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으며, 특히 아리아 프로토콜(Aria Protocol)이 BTS, 블랙핑크, 셀레나 고메즈(Selena Gomez) 등 유명 아티스트들의 음악 로열티를 스토리에 토큰화하여 실질적인 시장 검증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다.

- 스토리는 에이전트 TCP/IP 구축 및 MCP(Model Context Protocol) 통합을 통해 AI 에이전트들이 독자적으로 IP를 생성하고, 라이선스하며, 수익화할 수 있는 자율적인 경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 1장. 서사의 시작
▫️ 2장. 기술 스택
▫️ 3장. 목적 중심의 블록체인
▫️ 4장. 생태계 구축 현황
▫️ 5장. 주요 사업 성과 및 향후 과제
▫️ 6장. 맺으며

요약본 (트위터)
리포트 전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이슈] Stablecoin: Future of Money
작성자: 김용범 (해시드오픈리서치)

- 글로벌 경제는 디지털, AI 중심의 미래로 나아가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은 국경 없는 세계에서 화폐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재정의할 수 있는 새로운 통화로 부상하고 있다.

- 미국은 현재 심각한 재정 위기에 직면해 있어, 정책 입안자들은 증가하는 경제적 도전에 대한 잠재적 해결책으로 스테이블코인과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를 포함한 대안적 금융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 주요 경제국들은 디지털 화폐를 경제적 관련성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 도구로 점점 더 인식하고 있으며, 스테이블코인은 금융 혁신과 전략적 경제 계획의 중요한 초점이 되고 있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포필러스가 인젝티브의 밸리데이터로 합류합니다!

신뢰받는 리서치 파트너로서, 인젝티브 생태계의 성장을 리서치와 인사이트를 통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습니다.

스테이킹 페이지
인젝티브 공식 공지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애니메이코노미 2030
작성자: 재원

- 실사용 강조: 애니메코인은 거버넌스, 굿즈 거래, 창작 후원, 펀딩 등 팬덤 활동 전반에 토큰 가치를 연동해, 투기가 아닌 실사용에 기반한 생태계를 구축하려 한다.

-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보전: 계층적 보상 체계, 소울바운드 NFT, 자유로운 창작 공간 등을 통해 팬덤 고유의 재미와 열정을 지키면서, 보상은 이를 인정 및 보완하는 수단으로 활용한다.

- 과도한 인센티브 지양: 무분별한 금전 보상은 팬덤의 순수성을 훼손할 위험이 있다. 애니메코인은 창작 및 참여 동기가 애정과 열정에서 출발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 거버넌스 설계: “1토큰=1표” 거버넌스만으로는 부족하므로, 이원화 DAO(양원제), 대리인 위임(delegate), 사중투표(quadratic voting) 등 다양한 방식을 혼합해 팬들과 투자자 간 이해관계를 조율한다.

- 애니메이코노미 2030: 기존 애니 산업 구조를 팬 소유 형태로 재편하여 팬, 창작자, 스튜디오 등이 모두 오너십을 가지고 창작활동을 하는 온체인 경제가 자리잡는다.

▫️ 팬클럽에서 토큰 경제로
▫️ 열정과 이익의 균형
▫️ 거버넌스는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
▫️ 생태계 파편화 및 유령 체인을 피하는 법
▫️ 애니메코노미 2030

아티클 전문 (트위터)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이슈] 프로메테우스의 AI, 블록체인의 구원
작성자: 100y

- AI는 마치 현대판 프로메테우스의 불과 같다. AI는 인류에게 막대한 효용과 부를 가져다줄 것이지만, 인류는 AI의 발전 과정에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이를 잘 다뤄야할 것이다.

- 데이터 프라이버시 문제는 AI 기술이 야기하는 대표적인 부작용들 중 하나이다. AI 모델의 학습과 추론에는 개인정보와 같은 민감한 정보들이 필연적으로 활용될 수 밖에 없는데, 닐리언(Nillion)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암호화 데이터 연산 기술과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받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 닐리언 팀은 크립토 산업에서 비지니스와 연구에서 모두에서 뛰어난 백그라운드를 가진 몇 안되는 팀이다. 닐리언은 공격적인 비지니스와, 뛰어난 연구 실력을 기반으로 인터넷의 블라인드 컴퓨팅 레이어를 빌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커뮤니티란 도대체 무엇인가? Pt.2: 프로젝트 평가
작성자: 재원

- BARD 접근법: 본 보고서는 2024~2025년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18개 주요 L1 프로젝트의 커뮤니티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신념(Belief), 활동(Action), 탄력성(Resilience), 밀도(Density)로 구성된 BARD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였다.

- 초기 단계 vs. 성숙 단계: 신생 체인은 조직적 탑다운 구조와 제한된 역경 경험 탓에 활동·회복력 측면에서 낮은 점수를 보이지만, 오랜 기간 축적된 프로젝트는 바텀업 정체성과 안정적인 문화 기반을 갖추는 경향이 뚜렷하다.

- 메타 커뮤니티: 코스모스 혹은 폴카닷처럼 상호연결성이 높은 플랫폼들은 프로젝트 간 협업 또는 갈등이 밀도와 공동 회복력에 큰 영향을 주는 메타-커뮤니티를 형성한다.

- 정성 지표 반영 필요: BARD는 단순 데이터나 단기적 관심을 넘어, 밋업, 밈 문화, 사용자 주도 행사 등 정성적, 사회적 요소를 고려함으로써 일시적 거품에 가려지지 않는 커뮤니티의 지속 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 BARD 점수 한눈에 보기
▫️ 프로젝트별 해석

아티클 전문 (트위터)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커뮤니티란 도대체 무엇인가?
작성자: 재원

- “커뮤니티”는 크립토에서 흔히 남용되는 단어다. BARD 프레임워크는 커뮤니티를 신념(Belief), 행동(Action), 회복력(Resilience), 밀도(Density) 네 가지 축으로 구조화해, 그 실체를 분석 가능하게 만든다.

- 신념은 커뮤니티의 철학과 감정적 해자다. 공통의 가치와 서사가 있을 때만, 홀더 집단은 하나의 운동(movement)으로 진화한다.

- 행동은 가장 강력한 신호다. 진짜 커뮤니티는 관망하지 않고 재단과 함께 빌딩한다. 커뮤니티의 진짜 가치는 그들이 만들어낸 코드, 밈, 콘텐츠, 툴 등 모든 기여 행위의 총합이다.

- 회복력은 위기의 순간에서 드러난다. 약세장에도 밈과 코드로 응답하는 커뮤니티만이 살아남는다. 나머지는 투기적 청중일 뿐이다.

- 밀도는 커뮤니티의 자생성과 지속성을 결정한다. 강한 커뮤니티는 단단한 네트워크 (지역 밋업, 소규모 그룹 채팅방, 하위 DAO)을 형성하며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 크립토 생태계의 진부한 수사
▫️ 신념(Belief): 커뮤니티의 교리
▫️ 행동(Action): 토큰 홀더에서 자발적 참여자로
▫️ 회복력(Resilience): 다이아몬드 핸즈의 조건
▫️ 밀도(Density): 커뮤니티 수가 아닌 교감의 깊이
▫️ 맺으며

아티클 전문 (트위터)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02.04.202501:50
: : 포필러스와 함께하는 인젝티브 빌더 데이(Injective Builder Day)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이번 빌더 데이는 숙련된 개발자부터 인젝티브를 처음 접하는 분들까지 모두 함께할 수 있도록, 네트워킹과 실습 세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습니다. 인젝티브의 기술과 앞으로 선보일 계획들을 직접 경험하고, 또 함께 알아가보실 수 있는 자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시간 및 장소
- 시간: 4월 11일(금), 4pm-9pm KST
- 장소: 해시드 라운지

🕐 일정
​4:00 - 4:30 PM | 입장 및 체크인
4:30 - 5:10 PM | 인젝티브, 포필러스, 하이드로 프로토콜(Hydro Protocol)의 발표
5:10 - 5:40 PM | 인젝티브 생태계 빌더 패널 토크
5:40 - 6:00 PM | 럭키 드로우
6:00 - 6:30 PM | 네트워킹
6:30 - 9:00 PM | 개발자 세션 & 자유 네트워킹

👉RSVP: https://lu.ma/InjectiveSeoul2025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유틸리티는 죽지 않는다
작성자: 변주웅

- 크립토 시장에서 단기적 가격 변동보다 실질적 비즈니스 가치와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기반이나 매출 등 실질적 성과를 보여주는 프로토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 크립토 산업 내에서 시장 적합성을 검증한 주요 영역으로 블록체인(플랫폼), 거래소, 자산 관리 분야를 꼽을 수 있으며, 각 영역마다 성공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가 다르므로 영역별 특성에 맞는 평가 지표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 프로토콜의 실제 성과와 토큰 가치 사이의 연결고리가 중요해지면서, 시장에서는 토큰 가치 환원을 위한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바이백 및 소각 모델 또는 자체 체인 출시를 통한 토큰 유틸리티 확장 등 프로토콜의 성장을 토큰 가치로 축적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 크립토의 주요 비즈니스 모델과 평가 기준 설정
▫️ 주요 프로토콜의 평가 지표 비교 및 분석
▫️ 프로토콜의 성공은 토큰의 가치로 연결되는가?
▫️ 결론

아티클 전문 (트위터)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14.04.202505:55
: : BUIDL Asia 주간에 포필러스를 만나보세요 🇰🇷

아래의 행사들에 포필러스 코파운더 희창님이 모더레이터 및 패널로 참여할 예정입니다 👋

1. [DeFi Pulse Check] hosted by 유니스왑
📆 Apr. 15th, 2025 (10:00-18:00 KST)
📍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
🔗 링크

2. [Unveil the Myth of Performant Blockchain Stack] hosted by 비하베스트
📆 Apr. 16th, 2025 (19:00-21:00 KST)
📍 Merkle 머클
🔗 링크

3. [AI, Depin, RWA, Infra Summit] hosted by 071랩스
📆 Apr. 16th, 2025 (12:00-16:00 KST)
📍 청담 나인
🔗 링크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이슈] 얄라: 비트코인의 잠재력을 깨우는 유동성 레이어
작성자: 100y

- 이더리움, 솔라나와 달리 비트코인은 낮은 확장성, 튜링 불완전성 등의 이유로 전체 공급의 약 1%만이 활용되고 있다. 비트코인 생태계가 진정한 의미의 신용 창출을 달성하기 위해선 새로운 해결책이 필요하다.

- 얄라는 비트코인의 유동성 레이어로 작용하여 패시브 자산인 비트코인을 액티브한 이자수익형 자산으로 변모시킨다. 얄라의 사용자들은 비트코인을 네이티브한 방식으로 안전하게 예치하고, 타겟 체인에서 YBTC를 발행할 수 있으며, 다시 이를 담보로 예치하고 $YU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함으로써 디파이/RWA라는 거대한 유동성을 가진 시장에 접근할 수 있다.

- 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친 크립토 정책을 펼치며 비트코인과 스테이블 코인에 호의적인 스탠스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상황은 비트코인의 거대한 유동성을 깨우는 것이 목표인 얄라에게 최적의 기회이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이슈] 간략한 유니스왑의 역사 - AMM에서부터 통합된 디파이 생태계까지
작성자: 에렌

- 유니스왑 프로토콜은 2016년 비탈릭 부테린의 AMM(x*y=k) 아이디어에서 시작된 이래로, v1에서 v4까지 발전을 거듭하며 현재는 약 2조 7,500억 달러의 누적 거래량을 달성하였다.

- 각 유니스왑 프로토콜 버전은 중요한 개선 사항을 도입하였다: v2는 ERC-20/ERC-20 거래 페어와 TWAP을 도입했고, v3는 자본 효율성 향상을 위해 집중 유동성을 구현하였으며, v4는 싱글톤 아키텍처와 유동성 풀의 사용자 정의를 가능케하는 훅을 통해 유니스왑 프로토콜을 개발자 플랫폼으로 변모시키고자 한다.

- CEX 대비 DEX 거래량이 처음으로 20%를 초과하며 크립토 마켓이 온체인 중심으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2024년에 7,100억 달러 거래량을 기록하여 전년 대비 91% 성장을 보인 유니스왑 프로토콜은 새로운 사용자들이 온체인 마켓의 진입하는 주요 관문으로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이에 유니스왑 랩스는 사용자 경험의 향상을 위한 인프라 개발을 지속하고 있으며, 특히 레이어2에 걸쳐 파편화된 유동성 문제를 크로스체인 인프라를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어크로스 프로토콜과 함께 ERC-7643 크로스체인 인텐트를 개발하고, 유니체인을 구축함으로써 “디파이와 크로스체인 유동성의 거점”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티클을 읽으신 후 추가로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본 구글 폼을 통해 질문해 주세요. 유니스왑 랩스(Uniswap Labs) 공식 한국 채널을 통해 Q&A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과 한국의 대응 방안
작성자: 변주웅

-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2024년 기준 2,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했으며(전년 대비 64% 증가), 미국 달러 기반 코인이 시장의 95%를 장악하고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은 담보로 보유한 미 재무부 채권을 통해 수십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하면서 글로벌 경제와 디지털 경제에서 달러 패권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스테이블코인은 24시간 접근성, 저렴한 수수료, 프로그래밍 가능성을 제공하며 블록체인의 "킬러 앱"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은 거래소의 필수 인프라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통화 불안정성이 있는 국가들에서는 중요한 금융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한국에서는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주요 거래소 거래량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이는 주로 실물 경제 필요보다는 해외 암호화폐 시장 접근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외 플랫폼으로의 자본 이탈은 국내 시장 경쟁력과 디지털 금융에서 원화의 중요성을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은 한국이 스테이블코인 시장 경쟁에서 규제 주권을 확보하고, 한국의 높은 거래량이라는 전략적 이점을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는 김치 프리미엄과 같은 시장 비효율성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한국의 혁신을 위한 기반 인프라를 구축하고 글로벌 디지털 금융에서 한국의 위상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스테이블코인 시장 현황
▫️ 스테이블코인 활용 사례 분석
▫️ 국내 스테이블코인 시장 현황
▫️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기회 및 기대 효과

아티클 전문 (트위터)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이슈] 솜니아: 모두가 병렬화를 외칠 때, 직렬화를 외치다
작성자: 100y

- 인터넷의 역사는 속도와 함께했다. 인터넷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이를 기반한 새로운 형태의 웹2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하며 지금의 인터넷 생태계가 만들어졌다. 블록체인 또한 궁극적으로 메타버스, AR/VR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목표로 한다면 지금보다 훨씬 더 큰 확장성을 달성해야할 것이다.

- 최근 확장성에 중점을 둔 솔라나, 수이, MegaETH, Fuel 등의 프로젝트들은 모두 병렬처리에 집중하였다. 병렬처리는 실제로 확장성에 도움이 되긴 하지만, 인기있는 NFT 민팅 이벤트와 같이 같은 스테이트를 건드는 트랜잭션이 단기간내에 몰릴 경우 병렬 처리가 불가능하여 확장성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 솜니아는 다른 프로젝트들과 달리 단일 코어 내에서 EVM 트랜잭션의 순차적 처리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솜니아는 EVM 바이트코드를 CPU가 직접 처리할 수 있는 네이티브 코드로 변환하며, CPU 하드웨어 내에서의 병렬 처리 기능을 활용한다.

리서처 코멘트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 : [이슈] 세이의 23andMe 인수 고려: DeSci에 무엇을 시사하는가?
작성자: 100y

- 최근 대표적인 유전자 검사 기업인 23andMe가 챕터 11 파산 보호 신청을 했으며, 5월에 23andMe의 보유 자산에 대한 경매가 예정되어있다. 파산 및 인수 과정에서 기존 사용자들의 유전자 데이터 보안과 관련된 불안과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 세이(Sei)는 트랜잭션 병렬처리를 통해 확장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레이어1 네트워크로, 최근 DeSci V2 이니셔티브를 통해 세이의 높은 확장성을 기반으로 DeSci 섹터로의 확장을 도모한다. 오늘 세이는 23andMe의 인수 고려 발표를 하며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보호하고, 데이터 주권을 기반으로 한 수익화 계획을 공개했다.

- 본 글은 유저를 온보딩하기 위한 전략, 데이터 저장 및 보호 프로세스, 다른 디앱들과의 상호결합성(composability) 및 탈중앙화 로드맵 등 세이가 23andMe를 성공적으로 인수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점들에 대해 다룬다.

이슈 아티클 전문 (트위터)
이슈 아티클 전문 (웹사이트)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Показано 1 - 24 из 123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