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reposted: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23.04.202500:12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4/24(목) 예정된 '키움 AI 콥데이' 안내드립니다.
장소: 여의도 TP타워 5층 (1층 인포에 문의 후 게이트 통해 올라오시면 됩니다)
참여기업: 한글과컴퓨터/더존비즈온/엠로/비아이매트릭스/이스트소프트
자세한 사항은 팜플렛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4/24(목) 예정된 '키움 AI 콥데이' 안내드립니다.
장소: 여의도 TP타워 5층 (1층 인포에 문의 후 게이트 통해 올라오시면 됩니다)
참여기업: 한글과컴퓨터/더존비즈온/엠로/비아이매트릭스/이스트소프트
자세한 사항은 팜플렛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7.04.202522:55
[키움 글로벌 ETF/주식 김진영]
🌏글로벌 ETF Daily (4/18)
(4/17 종가기준)
(Daily Return)
*시장 대표 ETF : QQQ -0.02%, SPY 0.14%, DIA -1.36%, IWM 0.82%
*미국 상승 업종 : XLE 2.26%, XLP 2.13%, XLRE 1.58%, XLU 1.03%
*미국 하락 업종 : XLV -0.59%, XLK -0.54%
*1M Highs : KDEF 4.40%(한국 방산주), EWW 3.60%(멕시코 주식), FLMX 3.58%(멕시코 주식), INQQ 3.56%(인도 인터넷주)
*1M Lows : QRMI -0.81%(나스닥 100 커버드콜), KMLM -0.23%(Managed Futures), FLGV -0.20%(미국 국채 1~30Y), XRMI -0.20% (S&P 옵션)
(Daily News)
▶ YieldMax Debuts Real Estate Options ETF
- YieldMax, 17일(현지시간) 부동산 옵션 전략에 기반한 ETF 'YieldMax Target 12 Real Estate Option Income ETF(RNTY)' 출시
- RNTY는 직접 또는 합성 방식으로 주식과 옵션 전략을 결합한 액티브 ETF로, 부동산 관련 주식에 옵션을 매도해 연간 12% 수익률을 목표로 함
- 포트폴리오는 15~30개 부동산 관련 기업으로 구성되며, 최대 10%는 현금, 머니마켓펀드(MMF), 단기 미국 국채 등 현금성 자산에 투자할 계획
https://buly.kr/3YDFABb
▶ Harbor Targets Transformative Tech Companies With New ETF
- Harbor Capital Advisors, 17일(현지시간) 혁신적인 기술 발전을 이끄는 기업에 투자하는 ETF 'Harbor Transformative Technologies ETF(TEC)'를 출시
- 서브어드바이저 Jennison Associates는 바텀업(Bottom-Up) 리서치 기반의 펀더멘털 접근 방식으로 투자 대상을 선정하며, 제3자 리서치와 운용 경험을 결합해 장기 성장성이 높은 기술 기업을 선별
- 자산은 주로 미국 주식 및 ADR(미국예탁증서)에 투자되며, 최대 20%까지는 해외 기업에도 투자 가능
https://buly.kr/GZxJkYg
▶ VanEck Launches New Crypto Stock ETF Called NODE
- VanEck, 17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산업 전반에 종사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액티브 ETF 'VanEck Onchain Economy ETF(NODE)' 출시 계획 발표
- 암호화폐 자체에 직접 투자하지 않고, 거래소, 채굴업체, 데이터센터, 에너지 기업, 반도체, 게임사 등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구성하는 30~60개 기업에 분산 투자
- 전체 자산의 80%는 블록체인 및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디지털 전환 기업’에 투자할 계획이며, 최대 25%는 관련 ETF, 선물, 기타 파생상품에도 투자 가능
https://buly.kr/uTsRx9
🌏글로벌 ETF Daily (4/18)
(4/17 종가기준)
(Daily Return)
*시장 대표 ETF : QQQ -0.02%, SPY 0.14%, DIA -1.36%, IWM 0.82%
*미국 상승 업종 : XLE 2.26%, XLP 2.13%, XLRE 1.58%, XLU 1.03%
*미국 하락 업종 : XLV -0.59%, XLK -0.54%
*1M Highs : KDEF 4.40%(한국 방산주), EWW 3.60%(멕시코 주식), FLMX 3.58%(멕시코 주식), INQQ 3.56%(인도 인터넷주)
*1M Lows : QRMI -0.81%(나스닥 100 커버드콜), KMLM -0.23%(Managed Futures), FLGV -0.20%(미국 국채 1~30Y), XRMI -0.20% (S&P 옵션)
(Daily News)
▶ YieldMax Debuts Real Estate Options ETF
- YieldMax, 17일(현지시간) 부동산 옵션 전략에 기반한 ETF 'YieldMax Target 12 Real Estate Option Income ETF(RNTY)' 출시
- RNTY는 직접 또는 합성 방식으로 주식과 옵션 전략을 결합한 액티브 ETF로, 부동산 관련 주식에 옵션을 매도해 연간 12% 수익률을 목표로 함
- 포트폴리오는 15~30개 부동산 관련 기업으로 구성되며, 최대 10%는 현금, 머니마켓펀드(MMF), 단기 미국 국채 등 현금성 자산에 투자할 계획
https://buly.kr/3YDFABb
▶ Harbor Targets Transformative Tech Companies With New ETF
- Harbor Capital Advisors, 17일(현지시간) 혁신적인 기술 발전을 이끄는 기업에 투자하는 ETF 'Harbor Transformative Technologies ETF(TEC)'를 출시
- 서브어드바이저 Jennison Associates는 바텀업(Bottom-Up) 리서치 기반의 펀더멘털 접근 방식으로 투자 대상을 선정하며, 제3자 리서치와 운용 경험을 결합해 장기 성장성이 높은 기술 기업을 선별
- 자산은 주로 미국 주식 및 ADR(미국예탁증서)에 투자되며, 최대 20%까지는 해외 기업에도 투자 가능
https://buly.kr/GZxJkYg
▶ VanEck Launches New Crypto Stock ETF Called NODE
- VanEck, 17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산업 전반에 종사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액티브 ETF 'VanEck Onchain Economy ETF(NODE)' 출시 계획 발표
- 암호화폐 자체에 직접 투자하지 않고, 거래소, 채굴업체, 데이터센터, 에너지 기업, 반도체, 게임사 등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구성하는 30~60개 기업에 분산 투자
- 전체 자산의 80%는 블록체인 및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디지털 전환 기업’에 투자할 계획이며, 최대 25%는 관련 ETF, 선물, 기타 파생상품에도 투자 가능
https://buly.kr/uTsRx9
post.reposted:
키움증권 전략/시황 한지영

17.04.202522:32
[4/18, 장 시작 전 생각: 체념 vs 달관, 키움 한지영]
- 다우 -1.3%, S&P500 +0.1%, 나스닥 +0.1%
- 유나이티드헬스 -22.4%, 엔비디아 -2.9%, 애플 +1.4%, 넷플릭스 +1.3%(시간외 +2%대)
- 미 10년물 금리 4.32%, 달러 인덱스 99.1pt, 달러/원 1,418.2원
1.
어제 미국 증시는 무덤덤한 하루를 보냈습니다.
다우가 1% 넘게 빠지긴 했는데,
건보험체 유나이티드헬스가 의료비 지출증가 등으로 가이던스를 대폭 내리면서 주가가 22% 폭락하는 등 개별 주식의 영향이 더 컸습니다.
또 IMF 총재가 관세로 경제 혼란이 예상되고, 금융시장의 스트레스 위험도 증가했다고 지적하면서,
곧 발표 예정인 성장률 전망을 하향할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침체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네요.
설문에 기반한 소프트데이터인 필라델피아제조업지수(-26.4pt vs 2.2pt)는 망가지긴 했는데,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1.5만 vs 컨센 22.5만)와 같은 하드 데이터는 아직 견조하다는 점이 위안거리였습니다.
2.
어제 ECB가 성장 하방 위험을 이유로 25bp 금리인하를 단행한걸 놓고,
트럼프가 파월한테 또 몽니를 제대로 부렸습니다.
“일을 제대로 안한다, ECB 처럼 금리 안내리고 뭐하냐”, “의사 결정도 늘 늦고, 전망도 틀린다 걘”, “그를 내보낼 것이다”
와 같은 말들을 서슴없이 뱉어 냈내요.
보통 주식시장이 폭락 후 V자 반등이 나오기 위해선 정부와 중앙은행의 정책 공조가 수반되어야 하는데,
지금 트럼프와 파월은 서로 공격 모드로 들어간 상태이니, 이 부분이 아쉽긴 합니다.
그래도, 뭐라고 해야하나,
상실과 체념의 영역까지 내려간 것인지, 아니면 초월과 달관의 경지에 이른 것인지 몰라도,
4월 1~2주차 보다는 증시 변동성의 진폭이 줄어들고 있다는 느낌이 들고 있네요.
트럼프의 땡깡(?)에도 이전 만치 격한 주가 반응을 보이고 있진 않네요.
3.
또 관세 측면에서 이전보다 분위기가 호전되고 있다는 점 역시
V자 반등은 어려워도, 증시 바닥권, 분할매수로 들어갈만한 영역이라는 데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듯 하네요.
한국, 일본, EU 국가들과 큰 마찰없이 협상을 진행 중이라는 점은 관세발 경기 하방, 기업 실적 추정의 어려움을 완화시켜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미국 장 끝나고 나온 나온 소식인데,
트럼프가 이미 관세 부과 이후 중국과 몇차례 접촉하고 있으며,
중국과 협상이 3~4주 이내로 타결될 수 있다고 언급한 것도 나쁜 재료는 아니네요.
주식 측면에서는 엊그제 ASML 실적 쇼크로 증시가 한차례 홍역을 치렀지만,
어제 TSMC가 실적 서프라이즈를 기기록하며 CoWoS 수요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제시하는 등
관세발 반도체 업황 불안감을 덜어주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봐야할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4.
얼마전 2,200pt대까지 보고온 코스피는 더이상 잃을게 없는 레벨까지 다녀오다보니,
요 며칠새 불안한 대외 증시 환경에도 상대적으로 선방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오늘은 미국 증시 휴장 대기심리 vs 미국과 중국의 3~4주이내 협상 소식, 넷플릭스의 호실적 등이 공방을 펼치면서.
큰 하방 압력없는 하루를 보낼 듯 합니다.
————
벌써 주말입니다.
평일도 이래 빨리지나가니, 주말은 더 순식간에 지나가겠지만,
다들 리프레쉬 잘하시면서 좋은 주말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한주도 정말 고생많으셨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길 바랍니다.
늘 건강도 잘 챙기시구요
키움 한지영
- 다우 -1.3%, S&P500 +0.1%, 나스닥 +0.1%
- 유나이티드헬스 -22.4%, 엔비디아 -2.9%, 애플 +1.4%, 넷플릭스 +1.3%(시간외 +2%대)
- 미 10년물 금리 4.32%, 달러 인덱스 99.1pt, 달러/원 1,418.2원
1.
어제 미국 증시는 무덤덤한 하루를 보냈습니다.
다우가 1% 넘게 빠지긴 했는데,
건보험체 유나이티드헬스가 의료비 지출증가 등으로 가이던스를 대폭 내리면서 주가가 22% 폭락하는 등 개별 주식의 영향이 더 컸습니다.
또 IMF 총재가 관세로 경제 혼란이 예상되고, 금융시장의 스트레스 위험도 증가했다고 지적하면서,
곧 발표 예정인 성장률 전망을 하향할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침체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네요.
설문에 기반한 소프트데이터인 필라델피아제조업지수(-26.4pt vs 2.2pt)는 망가지긴 했는데,
주간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21.5만 vs 컨센 22.5만)와 같은 하드 데이터는 아직 견조하다는 점이 위안거리였습니다.
2.
어제 ECB가 성장 하방 위험을 이유로 25bp 금리인하를 단행한걸 놓고,
트럼프가 파월한테 또 몽니를 제대로 부렸습니다.
“일을 제대로 안한다, ECB 처럼 금리 안내리고 뭐하냐”, “의사 결정도 늘 늦고, 전망도 틀린다 걘”, “그를 내보낼 것이다”
와 같은 말들을 서슴없이 뱉어 냈내요.
보통 주식시장이 폭락 후 V자 반등이 나오기 위해선 정부와 중앙은행의 정책 공조가 수반되어야 하는데,
지금 트럼프와 파월은 서로 공격 모드로 들어간 상태이니, 이 부분이 아쉽긴 합니다.
그래도, 뭐라고 해야하나,
상실과 체념의 영역까지 내려간 것인지, 아니면 초월과 달관의 경지에 이른 것인지 몰라도,
4월 1~2주차 보다는 증시 변동성의 진폭이 줄어들고 있다는 느낌이 들고 있네요.
트럼프의 땡깡(?)에도 이전 만치 격한 주가 반응을 보이고 있진 않네요.
3.
또 관세 측면에서 이전보다 분위기가 호전되고 있다는 점 역시
V자 반등은 어려워도, 증시 바닥권, 분할매수로 들어갈만한 영역이라는 데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듯 하네요.
한국, 일본, EU 국가들과 큰 마찰없이 협상을 진행 중이라는 점은 관세발 경기 하방, 기업 실적 추정의 어려움을 완화시켜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미국 장 끝나고 나온 나온 소식인데,
트럼프가 이미 관세 부과 이후 중국과 몇차례 접촉하고 있으며,
중국과 협상이 3~4주 이내로 타결될 수 있다고 언급한 것도 나쁜 재료는 아니네요.
주식 측면에서는 엊그제 ASML 실적 쇼크로 증시가 한차례 홍역을 치렀지만,
어제 TSMC가 실적 서프라이즈를 기기록하며 CoWoS 수요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제시하는 등
관세발 반도체 업황 불안감을 덜어주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봐야할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4.
얼마전 2,200pt대까지 보고온 코스피는 더이상 잃을게 없는 레벨까지 다녀오다보니,
요 며칠새 불안한 대외 증시 환경에도 상대적으로 선방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오늘은 미국 증시 휴장 대기심리 vs 미국과 중국의 3~4주이내 협상 소식, 넷플릭스의 호실적 등이 공방을 펼치면서.
큰 하방 압력없는 하루를 보낼 듯 합니다.
————
벌써 주말입니다.
평일도 이래 빨리지나가니, 주말은 더 순식간에 지나가겠지만,
다들 리프레쉬 잘하시면서 좋은 주말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이번 한주도 정말 고생많으셨습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시길 바랍니다.
늘 건강도 잘 챙기시구요
키움 한지영
post.reposted:
키움증권 인터넷게임 김진구

17.04.202508:41
[키움증권/김진구] 팔란티어 테크놀로지 (PLTR.US) 기업리포트: 경쟁사 대비 압도적 우위가 발현될 것으로 기대
◆ 최근 NATO 가 동사 AI 전투 시스템인 MSS NATO(Maven Smart System NATO)를 도입하기로 하는 등 미국 정부 이외 유럽 등 국제 정부 기반의 수주 및 이에 연동한 매출 성장성이 발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레퍼런스는 유럽 및 서구권을 포함한 우방국 중심의 상업 계약의 증가에도 긍정적 팩터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 또한 최근 관세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 변수 및 리스크가 대두되는 상황에서 비용 절감과 원자재 확보 등을 위해 실시간 데이터에 연동한 동사의 토탈 밸류체인 솔루션에 대한 고객사의 니즈가 증가할 수 있다는 점과, 동사는 소프트웨어 특성상 관세 노이즈에 취약하지 않고 높은 GPM 에 대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여지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시 현재 상황은 동사에 대한 투자 매력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시점일 것으로 종합 판단
◆ 내재 솔루션의 가치 측면에서 동사 및 주요 경쟁사인 서비스나우와 세일즈포스를 비교해 보았을 때 최근 사업연도말 기준으로 동사의 직원수는 가장 낮은 3.9 천명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를 당해 연도 매출에 대비한 인당 생산성은 72.8 만달러로 전년비 22.2% 증가하면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음, 해당 3 개사가 각자 솔루션을 사내에서 엔터프라이즈 용도로 활용한다는 가정을 해본다면 팔란티어 테크놀로지 솔루션의 경쟁우위를 합리적으로 판단해볼 수 있을 것으로 강조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907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 최근 NATO 가 동사 AI 전투 시스템인 MSS NATO(Maven Smart System NATO)를 도입하기로 하는 등 미국 정부 이외 유럽 등 국제 정부 기반의 수주 및 이에 연동한 매출 성장성이 발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레퍼런스는 유럽 및 서구권을 포함한 우방국 중심의 상업 계약의 증가에도 긍정적 팩터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 또한 최근 관세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 변수 및 리스크가 대두되는 상황에서 비용 절감과 원자재 확보 등을 위해 실시간 데이터에 연동한 동사의 토탈 밸류체인 솔루션에 대한 고객사의 니즈가 증가할 수 있다는 점과, 동사는 소프트웨어 특성상 관세 노이즈에 취약하지 않고 높은 GPM 에 대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여지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시 현재 상황은 동사에 대한 투자 매력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시점일 것으로 종합 판단
◆ 내재 솔루션의 가치 측면에서 동사 및 주요 경쟁사인 서비스나우와 세일즈포스를 비교해 보았을 때 최근 사업연도말 기준으로 동사의 직원수는 가장 낮은 3.9 천명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를 당해 연도 매출에 대비한 인당 생산성은 72.8 만달러로 전년비 22.2% 증가하면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음, 해당 3 개사가 각자 솔루션을 사내에서 엔터프라이즈 용도로 활용한다는 가정을 해본다면 팔란티어 테크놀로지 솔루션의 경쟁우위를 합리적으로 판단해볼 수 있을 것으로 강조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C907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16.04.202523:02
[키움증권 보험/증권 안영준]
✅ 보험사 주가 바닥 잡기(배당수익률 vs 국채금리)
◆ 단기 주가 상승 모멘텀은 부족하지만, 높아진 밸류 매력
- 최근 증시 불확실성 확대와 다양한 실적 악화 요인 발생 등으로 보험사의 주가는 하락한 상황
- 1Q 실적 부진 및 연중 기대할 수 있는 주주환원이 없어 단기적으로 주가 상승 모멘텀을 찾기는 어려우나,
- 중장기적으로는 배당 가능한 보험사들에 대해 배당수익률에 근거한 주가 바닥을 생각해볼 시점
◆ 배당수익률 vs. 국채 금리 스프레드, 역대 최고치에 근접
- 최근 보험사들의 주가 하락으로 (배당수익률 – 국고채 3년물 금리) 스프레드는 역사적 최고치인 4%~6%까지 상승한 상황
- 과거 배당수익률이 국고채 금리를 큰 폭으로 상회했던 시기는
1) 코로나19로 단기적으로 주가가 급락했던 시기,
2) 연간 DPS 전년대비 급증으로 배당락 이후 연초 단기적으로 주가가 반등하지 못하던 기간
- 최근 보험주의 가격 매력도는 높아진 상황이며 추가적인 주가 하방 압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 단기 모멘텀 부재로 기간조정이 있을 가능성이 높으나, 주가 바닥은 가까워진 것으로 보임
◆ 연간 실적은 불확실하나, 배당컷 가능성은 매우 낮음
- 우려 요인은 실적 부진 및 DPS가 예상보다 적을 가능성
- 실적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전년대비 DPS가 줄어들 가능성(배당컷)은 매우 낮음
- 주요 보험사들은 주주환원 정책으로 DPS의 꾸준한 우상향을 내세우는 중이며, 연간 3%p의 주주환원성향 상향 계획
- (보험사 배당수익률 – 국고채) 스프레드가 급격히 확대된 바, 이를 근거로 주가는 바닥을 다질 것으로 예상
링크: https://bbn.kiwoom.com/rfCI5301
채널: https://t.me/yj_financial
✅ 보험사 주가 바닥 잡기(배당수익률 vs 국채금리)
◆ 단기 주가 상승 모멘텀은 부족하지만, 높아진 밸류 매력
- 최근 증시 불확실성 확대와 다양한 실적 악화 요인 발생 등으로 보험사의 주가는 하락한 상황
- 1Q 실적 부진 및 연중 기대할 수 있는 주주환원이 없어 단기적으로 주가 상승 모멘텀을 찾기는 어려우나,
- 중장기적으로는 배당 가능한 보험사들에 대해 배당수익률에 근거한 주가 바닥을 생각해볼 시점
◆ 배당수익률 vs. 국채 금리 스프레드, 역대 최고치에 근접
- 최근 보험사들의 주가 하락으로 (배당수익률 – 국고채 3년물 금리) 스프레드는 역사적 최고치인 4%~6%까지 상승한 상황
- 과거 배당수익률이 국고채 금리를 큰 폭으로 상회했던 시기는
1) 코로나19로 단기적으로 주가가 급락했던 시기,
2) 연간 DPS 전년대비 급증으로 배당락 이후 연초 단기적으로 주가가 반등하지 못하던 기간
- 최근 보험주의 가격 매력도는 높아진 상황이며 추가적인 주가 하방 압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 단기 모멘텀 부재로 기간조정이 있을 가능성이 높으나, 주가 바닥은 가까워진 것으로 보임
◆ 연간 실적은 불확실하나, 배당컷 가능성은 매우 낮음
- 우려 요인은 실적 부진 및 DPS가 예상보다 적을 가능성
- 실적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전년대비 DPS가 줄어들 가능성(배당컷)은 매우 낮음
- 주요 보험사들은 주주환원 정책으로 DPS의 꾸준한 우상향을 내세우는 중이며, 연간 3%p의 주주환원성향 상향 계획
- (보험사 배당수익률 – 국고채) 스프레드가 급격히 확대된 바, 이를 근거로 주가는 바닥을 다질 것으로 예상
링크: https://bbn.kiwoom.com/rfCI5301
채널: https://t.me/yj_financial
16.04.202522:41
[키움 중국 박주영]
중국은 지금 - 중국 경기, 산뜻한 출발과 여전한 불안
- 1Q25 중국 GDP는 YoY +5.4%로 시장 컨센서스(YoY +5.2%)를 상회하면서 긍정적인 출발을 보임. 생산, 소비, 수출 모두 예상치를 상회
- 다만 디플레이션, 부동산 등 기존 불안 요인도 지속됐으며, 2분기부터 수출 부진에 따른 경기 하방 압력은 커질 것으로 예상
- 수출 부진을 상쇄하기 위한 중국의 내수 관련 추가적인 부양책 발표가 예상되며 4월 말 정치국회의 내용 확인이 중요하다는 판단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H417
중국은 지금 - 중국 경기, 산뜻한 출발과 여전한 불안
- 1Q25 중국 GDP는 YoY +5.4%로 시장 컨센서스(YoY +5.2%)를 상회하면서 긍정적인 출발을 보임. 생산, 소비, 수출 모두 예상치를 상회
- 다만 디플레이션, 부동산 등 기존 불안 요인도 지속됐으며, 2분기부터 수출 부진에 따른 경기 하방 압력은 커질 것으로 예상
- 수출 부진을 상쇄하기 위한 중국의 내수 관련 추가적인 부양책 발표가 예상되며 4월 말 정치국회의 내용 확인이 중요하다는 판단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H417
17.04.202523:12
[04/18 데일리 증시 코멘트 및 대응 전략, 키움 시황/ESG 이성훈]
------
17일(목) 미 증시는 관세 경계감 속 방향성 탐색 국면이 이어지는 가운데 부진한 실적 및 가이던스를 제시한 유나이티드헬스(-22.3%) 급락 등의 영향으로 다우지수 중심으로 하락한 결과 3대 지수는 혼조세로 마감 (다우 -1.33%, S&P500 +0.13%, 나스닥 -0.13%).
-------
관세 불확실성 등으로 미 증시는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고 있지는 않지만 이전 대비 금융 시장 변동성이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있다는 점은 안도 요인(VIX 지수는 고점 52.3 → 현재 29.6으로 하락 추세). 여기에 관세 측면에서는 국가별 맞춤형 협상 과정이 진행되는 가운데 전일 트럼프는 ‘미일 관세 협상에 있어 큰 진전’ 이 있다고 평가한 점도 관세발 불확실성을 완화시켜주는 기제로 작용. 한국도 차주 미국과 협상 진행에 나설 것으로 예정된 가운데 가늠자가 될 수 있는 일본 등 우방국과 미국이 원만한 협상을 이루어 내고 있다는 점은 국내 증시에 긍정적 요인.
또한 이코노미스트 기준, 트럼프 2기 지지율은 42%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 관세 정책이 야기한 경제 불확실성으로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연초 이후 14%p 감소했다는 점도 고려해볼 필요. 중국에 대한 강경 스탠스는 AI, 원자재를 둘러싼 미중 패권 경쟁을 감안한다면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최근 지지율 급락 및 국채금리 상승 등의 현상은 트럼프로 하여금 강경 정책을 구사하는데 있어 단기적으로 속도 조절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
이러한 가운데 1분기 실적시즌에 진입하며 개별 기업들의 실적에 대한 증시 민감도가 높아지는 국면으로 이동하는 흐름. 실제로, 전일 1분기 실적 부진 및 가이던스 하향 발표를 한 유나이티드헬스(-22.3%)는 급락한 반면, 다이어트약 임상시험 통과 소식을 발표한 일라이릴리(+14%)와 매출액 13% 급증 등 양호한 분기 실적 및 가이던스를 발표한 넷플릭스는 시간 외에서 2%대 상승을 하고 있다는 점이 이를 방증. 일괄적인 주가 동조화를 유발한 매크로 지배 장세에서 실적 시즌으로 초점이 이동함에 따라 개별 종목 선정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시점.
-------
전일 국내 증시는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매파적이었던 파월 연준 의장 발언에도 선반영 인식 속 하방 압력은 제한된 가운데 원만한 미일 관세 협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위험선호심리 재차 부각된 영향으로 양 지수는 상승 마감 (코스피 +0.94%, 코스닥 +1.81%).
금일 국내 증시도 관세 불확실성 정점 통과 인식 속 실적 모멘텀 혹은 대선 관련 이슈를 반영할 수 있는 테마 중심으로 종목장세 지속될 것으로 전망. 특히, 최근 국내 증시는 외국인 과매도에도 불구하고 미 증시와 디커플링 현상 나타나며 양호한 흐름 이어나가는 추세. 실제로 60일 롤링(rolling) 기준, S&P500과 코스피 지수는 ‘25년 연초 이후 처음으로 상관관계가 음(-)의 영역으로 진입(-0.12).
이는 지지부진했던 미 증시와는 별개로 금일에도 국내 증시의 상대 우위 현상이 지속될 수 있는 배경이라고 판단. 특히, 3월 31일 이후 전면 재개되었던 외국인 중심의 공매도 거래도 차츰 잦아들며 공매도에 따른 수급 왜곡 현상도 차츰 해소될 것으로 기대. 또한, 상호관세발 이슈에 따른 risk-off 심리로 4월 이후 약 8조원 수준의 외국인 매물이 급하게 대량 출회되었다는 점은 관세발 이슈가 진정될 경우 반대급부로 외국인 수급 유입을 촉진시킬 수 있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
자료 링크 : https://bbn.kiwoom.com/rfSD6582
------
17일(목) 미 증시는 관세 경계감 속 방향성 탐색 국면이 이어지는 가운데 부진한 실적 및 가이던스를 제시한 유나이티드헬스(-22.3%) 급락 등의 영향으로 다우지수 중심으로 하락한 결과 3대 지수는 혼조세로 마감 (다우 -1.33%, S&P500 +0.13%, 나스닥 -0.13%).
-------
관세 불확실성 등으로 미 증시는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고 있지는 않지만 이전 대비 금융 시장 변동성이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있다는 점은 안도 요인(VIX 지수는 고점 52.3 → 현재 29.6으로 하락 추세). 여기에 관세 측면에서는 국가별 맞춤형 협상 과정이 진행되는 가운데 전일 트럼프는 ‘미일 관세 협상에 있어 큰 진전’ 이 있다고 평가한 점도 관세발 불확실성을 완화시켜주는 기제로 작용. 한국도 차주 미국과 협상 진행에 나설 것으로 예정된 가운데 가늠자가 될 수 있는 일본 등 우방국과 미국이 원만한 협상을 이루어 내고 있다는 점은 국내 증시에 긍정적 요인.
또한 이코노미스트 기준, 트럼프 2기 지지율은 42%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 관세 정책이 야기한 경제 불확실성으로 유권자들의 지지율은 연초 이후 14%p 감소했다는 점도 고려해볼 필요. 중국에 대한 강경 스탠스는 AI, 원자재를 둘러싼 미중 패권 경쟁을 감안한다면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최근 지지율 급락 및 국채금리 상승 등의 현상은 트럼프로 하여금 강경 정책을 구사하는데 있어 단기적으로 속도 조절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
이러한 가운데 1분기 실적시즌에 진입하며 개별 기업들의 실적에 대한 증시 민감도가 높아지는 국면으로 이동하는 흐름. 실제로, 전일 1분기 실적 부진 및 가이던스 하향 발표를 한 유나이티드헬스(-22.3%)는 급락한 반면, 다이어트약 임상시험 통과 소식을 발표한 일라이릴리(+14%)와 매출액 13% 급증 등 양호한 분기 실적 및 가이던스를 발표한 넷플릭스는 시간 외에서 2%대 상승을 하고 있다는 점이 이를 방증. 일괄적인 주가 동조화를 유발한 매크로 지배 장세에서 실적 시즌으로 초점이 이동함에 따라 개별 종목 선정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시점.
-------
전일 국내 증시는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매파적이었던 파월 연준 의장 발언에도 선반영 인식 속 하방 압력은 제한된 가운데 원만한 미일 관세 협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위험선호심리 재차 부각된 영향으로 양 지수는 상승 마감 (코스피 +0.94%, 코스닥 +1.81%).
금일 국내 증시도 관세 불확실성 정점 통과 인식 속 실적 모멘텀 혹은 대선 관련 이슈를 반영할 수 있는 테마 중심으로 종목장세 지속될 것으로 전망. 특히, 최근 국내 증시는 외국인 과매도에도 불구하고 미 증시와 디커플링 현상 나타나며 양호한 흐름 이어나가는 추세. 실제로 60일 롤링(rolling) 기준, S&P500과 코스피 지수는 ‘25년 연초 이후 처음으로 상관관계가 음(-)의 영역으로 진입(-0.12).
이는 지지부진했던 미 증시와는 별개로 금일에도 국내 증시의 상대 우위 현상이 지속될 수 있는 배경이라고 판단. 특히, 3월 31일 이후 전면 재개되었던 외국인 중심의 공매도 거래도 차츰 잦아들며 공매도에 따른 수급 왜곡 현상도 차츰 해소될 것으로 기대. 또한, 상호관세발 이슈에 따른 risk-off 심리로 4월 이후 약 8조원 수준의 외국인 매물이 급하게 대량 출회되었다는 점은 관세발 이슈가 진정될 경우 반대급부로 외국인 수급 유입을 촉진시킬 수 있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
자료 링크 : https://bbn.kiwoom.com/rfSD6582
17.04.202522:53
[키움 디지털자산 김현정]
Kiwoom Digital Asset Weekly 04/18
▶ 새로운 SEC 위원장 ‘폴 앳킨스(Paul S. Atkins)’
- 4월 9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새로운 위원장으로 '폴 앳킨스'가 공식 취임. 이번 취임으로 관련 시장에서는 미국 내 가상자산 규제 환경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게 형성. 이는 그가 앞서 디지털상공회의소의 이니셔티브인 토큰 얼라이언스 공동 의장 경험이 있고, 가상자산에 친화적인 성향을 가진 인물로 분류되었기 때문. 그리고 폴 앳킨스 위원장 역시 취임 전 진행된 인사청문회에서 '디지털자산 시장 성장을 위해서 현재의 불명확한 규제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바 있음. 한편 SEC는 새로운 위원장 취임 이전부터 가상자산 TF를 신설하고 관련 업계와 회의를 지속적으로 개최하는 등 가상자산에 친화적인 모습이 확인됨. 따라서 폴 앳킨스 취임 이후 SEC의 친 가상자산 정책 기조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
▶ 비트코인, 4월 17일 기준 $85,139.14로 4월 10일 대비 +6.6%(Bloomberg)
- 이번주 비트코인 가격 상승. 비트코인 가격은 트럼프 대통령이 스마트폰 등 주요 전자제품을 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달된 영향으로 투자 심리 개선되며 상승 출발. 그러나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전자제품도 관세에 대한 입장을 번복하고 중국에는 여전히 강경한 모습을 보이며 비트코인은 상승 폭을 일부 축소. 그래도 지난주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한 관세 유예 결정과 다수의 국가에서 관세와 관련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는 내용이 전해진 영향으로 비트코인은 지난 주 대비 상승한 8만 3000달러 선과 8만 5000달러 선 사이 박스권에서 횡보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BC1316
Kiwoom Digital Asset Weekly 04/18
▶ 새로운 SEC 위원장 ‘폴 앳킨스(Paul S. Atkins)’
- 4월 9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새로운 위원장으로 '폴 앳킨스'가 공식 취임. 이번 취임으로 관련 시장에서는 미국 내 가상자산 규제 환경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게 형성. 이는 그가 앞서 디지털상공회의소의 이니셔티브인 토큰 얼라이언스 공동 의장 경험이 있고, 가상자산에 친화적인 성향을 가진 인물로 분류되었기 때문. 그리고 폴 앳킨스 위원장 역시 취임 전 진행된 인사청문회에서 '디지털자산 시장 성장을 위해서 현재의 불명확한 규제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바 있음. 한편 SEC는 새로운 위원장 취임 이전부터 가상자산 TF를 신설하고 관련 업계와 회의를 지속적으로 개최하는 등 가상자산에 친화적인 모습이 확인됨. 따라서 폴 앳킨스 취임 이후 SEC의 친 가상자산 정책 기조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
▶ 비트코인, 4월 17일 기준 $85,139.14로 4월 10일 대비 +6.6%(Bloomberg)
- 이번주 비트코인 가격 상승. 비트코인 가격은 트럼프 대통령이 스마트폰 등 주요 전자제품을 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달된 영향으로 투자 심리 개선되며 상승 출발. 그러나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전자제품도 관세에 대한 입장을 번복하고 중국에는 여전히 강경한 모습을 보이며 비트코인은 상승 폭을 일부 축소. 그래도 지난주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한 관세 유예 결정과 다수의 국가에서 관세와 관련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는 내용이 전해진 영향으로 비트코인은 지난 주 대비 상승한 8만 3000달러 선과 8만 5000달러 선 사이 박스권에서 횡보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BC1316
17.04.202522:28
[키움 미디어/엔터/레저 이남수]
미디어/엔터/레저 Daily News 25.04.18
● 엔터
마크, 써클차트 주간 3관왕, 지드래곤 2관왕(싱글리스트)
https://tinyurl.com/23aavcsy
아름답게 흐르는 방탄소년단 뷔 '슬로우 댄싱', 스포티파이 4억 9000만 스트리밍 돌파(스타뉴스)
https://tinyurl.com/2y7lpo5c
BTS 진 '겹겹경사'..솔로 컴백+'기안장' 흥행+스타랭킹 男아이돌 3위(스타뉴스)
https://tinyurl.com/24xqrdz7
● 미디어
CGV 3년만에 서울 신규 영화관…고덕강일점 오픈(에너지경제)
https://tinyurl.com/2ap4jjku
드라마 만들고 AI 기술 접목… 웹툰업계 수익화 고군분투(파이낸셜뉴스)
https://tinyurl.com/26f65kvc
[단독] "미디어산업 OTT 전환에"…태광그룹 티캐스트, 자체 제작 중단(서울경제TV)
https://tinyurl.com/2acao4dm
● 레저
[관광도 AI시대] 낯선 한국 여행 어렵지 않아요… AI 서비스로 외국인 관광객 유치(아주경제)
https://tinyurl.com/25ygy2kz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이투데이)
https://tinyurl.com/29r6bqzu
오사카 엑스포 개막, 오사카·교토·나라 벚꽃 만개 관광객 몰려와(바끄로뉴스)
https://tinyurl.com/27kdtt9k
미디어/엔터/레저 Daily News 25.04.18
● 엔터
마크, 써클차트 주간 3관왕, 지드래곤 2관왕(싱글리스트)
https://tinyurl.com/23aavcsy
아름답게 흐르는 방탄소년단 뷔 '슬로우 댄싱', 스포티파이 4억 9000만 스트리밍 돌파(스타뉴스)
https://tinyurl.com/2y7lpo5c
BTS 진 '겹겹경사'..솔로 컴백+'기안장' 흥행+스타랭킹 男아이돌 3위(스타뉴스)
https://tinyurl.com/24xqrdz7
● 미디어
CGV 3년만에 서울 신규 영화관…고덕강일점 오픈(에너지경제)
https://tinyurl.com/2ap4jjku
드라마 만들고 AI 기술 접목… 웹툰업계 수익화 고군분투(파이낸셜뉴스)
https://tinyurl.com/26f65kvc
[단독] "미디어산업 OTT 전환에"…태광그룹 티캐스트, 자체 제작 중단(서울경제TV)
https://tinyurl.com/2acao4dm
● 레저
[관광도 AI시대] 낯선 한국 여행 어렵지 않아요… AI 서비스로 외국인 관광객 유치(아주경제)
https://tinyurl.com/25ygy2kz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이투데이)
https://tinyurl.com/29r6bqzu
오사카 엑스포 개막, 오사카·교토·나라 벚꽃 만개 관광객 몰려와(바끄로뉴스)
https://tinyurl.com/27kdtt9k
17.04.202504:49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4/17(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파인엠텍'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자료: https://buly.kr/Awf3l4W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4/17(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파인엠텍'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자료: https://buly.kr/Awf3l4W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6.04.202523:01
[키움 글로벌 ETF/주식 김진영]
🌏글로벌 ETF Daily (4/17)
(4/16 종가기준)
(Daily Return)
*시장 대표 ETF : QQQ -3.02%, SPY -2.22%, DIA -1.72%, IWM -0.96%
*미국 상승 업종 : XLE 0.82%
*미국 하락 업종 : XLK -3.47%, XLC -2.69%, XLY -2.47%, XLF -1.57%
*1M Highs : BWET 9.29%(원유 유조선 운임 선물), YGLD 4.09%(금 옵션), BTGD 4.02%(비트코인·금), GOLY 3.95%(美 투자등급 회사채 금 인플레이션 헤지)
*1M Lows : UNG -1.90%(천연가스), UUP -0.84%(美 달러), RBIL -0.10%(美 초단기 TIPS), KMLM -0.49%(Managed Futures)
(Daily News)
▶ New BlackRock S&P 500 ETF Caps Companies at 3% Weight
- Blackrock, 16일(현지시간) S&P 500 구성 종목에 대해 3% 상한을 적용한 ETF 'iShares S&P 500 3% Capped ETF (TOPC)' 출시
- 기술 및 금융 섹터 중심의 포트폴리오 구성, 3%를 초과하는 기업의 비중은 아직 상한에 도달하지 않은 종목들에 재분배되어 보다 균형 잡힌 분산 투자를 구현
- 대부분의 자산은 지수 내 종목에 투자되나, 펀드 자산의 최대 20%까지 선물, 옵션, 현금 전략 등에 유연하게 활용 가능
https://buly.kr/BeK5vKd
▶ Global X Launches 2 Domestic-Focused ETFs
- Global X, 16일(현지시간) 미국 내 기업에 투자하는 신규 ETF 2종 'Global X S&P 500 U.S. Revenue Leaders ETF(EGLE)', 'Global X S&P 500 U.S Market Leaders Top 50 ETF (FLAG)' 출시
- EGLE는 S&P 500 U.S. Revenue Leaders Index를 추종하며, 미국 내 매출 비중 50% 이상인 S&P 500 기업에 분산 투자함으로써 특정 종목 집중 리스크를 완화
- FLAG는 S&P 500 U.S. Revenue Market Leaders 50 Index를 기초지수로 삼고, 부동산 섹터를 제외한 상위 50개 미국 기업에 투자하며 현금창출력·시장 점유율 등을 고려한 종목 선정 방식 적용
https://buly.kr/uTs5Z5
▶ World’s 1st Spot Solana ETF To Go Live In Canada On April 16
- 캐나다 온타리오 증권위원회(OSC), 16일(현지시간) 세계 최초로 SOL(솔라나) 토큰을 직접 보유하는 SOL 현물 ETF 출시 예정
- 이 ETF는 투자자들이 직접 SOL을 구매하지 않고도 자산에 직접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며, TD Bank가 스테이킹 정보 처리를 지원하여 접근성과 수익성 향상 기대
- 승인 발표 이후 고래 거래 등 대규모 움직임이 포착되며 시장 모멘텀 형성, 미국 내에서는 2025년 중 Solana ETF 승인 확률이 81%로 전망됨
https://buly.kr/H6haKco
🌏글로벌 ETF Daily (4/17)
(4/16 종가기준)
(Daily Return)
*시장 대표 ETF : QQQ -3.02%, SPY -2.22%, DIA -1.72%, IWM -0.96%
*미국 상승 업종 : XLE 0.82%
*미국 하락 업종 : XLK -3.47%, XLC -2.69%, XLY -2.47%, XLF -1.57%
*1M Highs : BWET 9.29%(원유 유조선 운임 선물), YGLD 4.09%(금 옵션), BTGD 4.02%(비트코인·금), GOLY 3.95%(美 투자등급 회사채 금 인플레이션 헤지)
*1M Lows : UNG -1.90%(천연가스), UUP -0.84%(美 달러), RBIL -0.10%(美 초단기 TIPS), KMLM -0.49%(Managed Futures)
(Daily News)
▶ New BlackRock S&P 500 ETF Caps Companies at 3% Weight
- Blackrock, 16일(현지시간) S&P 500 구성 종목에 대해 3% 상한을 적용한 ETF 'iShares S&P 500 3% Capped ETF (TOPC)' 출시
- 기술 및 금융 섹터 중심의 포트폴리오 구성, 3%를 초과하는 기업의 비중은 아직 상한에 도달하지 않은 종목들에 재분배되어 보다 균형 잡힌 분산 투자를 구현
- 대부분의 자산은 지수 내 종목에 투자되나, 펀드 자산의 최대 20%까지 선물, 옵션, 현금 전략 등에 유연하게 활용 가능
https://buly.kr/BeK5vKd
▶ Global X Launches 2 Domestic-Focused ETFs
- Global X, 16일(현지시간) 미국 내 기업에 투자하는 신규 ETF 2종 'Global X S&P 500 U.S. Revenue Leaders ETF(EGLE)', 'Global X S&P 500 U.S Market Leaders Top 50 ETF (FLAG)' 출시
- EGLE는 S&P 500 U.S. Revenue Leaders Index를 추종하며, 미국 내 매출 비중 50% 이상인 S&P 500 기업에 분산 투자함으로써 특정 종목 집중 리스크를 완화
- FLAG는 S&P 500 U.S. Revenue Market Leaders 50 Index를 기초지수로 삼고, 부동산 섹터를 제외한 상위 50개 미국 기업에 투자하며 현금창출력·시장 점유율 등을 고려한 종목 선정 방식 적용
https://buly.kr/uTs5Z5
▶ World’s 1st Spot Solana ETF To Go Live In Canada On April 16
- 캐나다 온타리오 증권위원회(OSC), 16일(현지시간) 세계 최초로 SOL(솔라나) 토큰을 직접 보유하는 SOL 현물 ETF 출시 예정
- 이 ETF는 투자자들이 직접 SOL을 구매하지 않고도 자산에 직접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며, TD Bank가 스테이킹 정보 처리를 지원하여 접근성과 수익성 향상 기대
- 승인 발표 이후 고래 거래 등 대규모 움직임이 포착되며 시장 모멘텀 형성, 미국 내에서는 2025년 중 Solana ETF 승인 확률이 81%로 전망됨
https://buly.kr/H6haKco
post.reposted:
키움증권 인터넷게임 김진구

16.04.202522:39
[키움증권/김진구] 카카오게임즈 기업리포트, Outperform(Maintain), 목표주가 1.5만원(하향)
◆ 동사의 목표주가를 1.8만원에서 1.5만원으로 하향하고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 모바일 세그먼트에서 오딘을 제외한 주요 게임별 하향 안정화가 진행 중인 상황과 올해 신작 기여를 프로젝트 Q 중심으로 가정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감안시 지배주주지분 기준 동사의 실적 기여도는 라이온하트스튜디오를 중심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해 이를 실적에 투영했음을 부연 제시
◆ 동사 1Q25E 실적은 매출액 1,331억원과 영업손실 65억원으로 제한적 성과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또한 카카오브이엑스 중단영업 분류에 따른 25E 중단영업순손실 100억원 반영 등으로 동사의 25E 매출액과 지배주주지분은 기존 대비 각각 14.8% 및 15.5% 하향 조정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R11302
◆ 동사의 목표주가를 1.8만원에서 1.5만원으로 하향하고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 모바일 세그먼트에서 오딘을 제외한 주요 게임별 하향 안정화가 진행 중인 상황과 올해 신작 기여를 프로젝트 Q 중심으로 가정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감안시 지배주주지분 기준 동사의 실적 기여도는 라이온하트스튜디오를 중심으로 형성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해 이를 실적에 투영했음을 부연 제시
◆ 동사 1Q25E 실적은 매출액 1,331억원과 영업손실 65억원으로 제한적 성과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또한 카카오브이엑스 중단영업 분류에 따른 25E 중단영업순손실 100억원 반영 등으로 동사의 25E 매출액과 지배주주지분은 기존 대비 각각 14.8% 및 15.5% 하향 조정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R11302
17.04.202523:12
[키움증권 투자전략 / 매크로 김유미]
Weekly Macro : 한국 성장 하방 리스크와 정책 대응
▶ 다음 주에는 연준위원들의 발언과 한국 경제성장률에 관심을 주목할 필요. 최근 파월 연준의장이 물가 상승과 성장 둔화 사이에서의 정책 딜레마를 언급하며 추가 금리 인하 기대는 약화. 트럼프 관세 정책 불확실성에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는 상황을 고려할 때 연준위원들의 발언은 당분간 관망할 가능성이 높음. 연준의 정책적 대응에 대한 기대 약화는 미국 경기에 대한 우려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미 달러화는 약세 구간에 머물고, 국채금리의 변동성은 커질 수 있음.
▶ 한국에는 1 분기 경제성장률이 발표될 예정. 금주 금통위에서 한국은행은 1/4 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보다 부진할 가능성을 열어둠. 기존 0.5% 성장에서 0.2%로 하향 조정하며 당초 예상보다 경제 여건이 좋지 않음을 지적. 현재 시장 컨센서스는 1 분기 역성장을 전망하지 않지만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 대형 산불, 고성능 반도체 수요 이연 등을 고려할 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국내 성장률 부진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추경 편성 등 경기 부양을 위한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
https://bbn.kiwoom.com/rfSE364
Weekly Macro : 한국 성장 하방 리스크와 정책 대응
▶ 다음 주에는 연준위원들의 발언과 한국 경제성장률에 관심을 주목할 필요. 최근 파월 연준의장이 물가 상승과 성장 둔화 사이에서의 정책 딜레마를 언급하며 추가 금리 인하 기대는 약화. 트럼프 관세 정책 불확실성에 기대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는 상황을 고려할 때 연준위원들의 발언은 당분간 관망할 가능성이 높음. 연준의 정책적 대응에 대한 기대 약화는 미국 경기에 대한 우려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미 달러화는 약세 구간에 머물고, 국채금리의 변동성은 커질 수 있음.
▶ 한국에는 1 분기 경제성장률이 발표될 예정. 금주 금통위에서 한국은행은 1/4 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보다 부진할 가능성을 열어둠. 기존 0.5% 성장에서 0.2%로 하향 조정하며 당초 예상보다 경제 여건이 좋지 않음을 지적. 현재 시장 컨센서스는 1 분기 역성장을 전망하지 않지만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 대형 산불, 고성능 반도체 수요 이연 등을 고려할 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국내 성장률 부진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추경 편성 등 경기 부양을 위한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
https://bbn.kiwoom.com/rfSE364
17.04.202522:43
[키움증권 미국 전략 김승혁]
미국은 지금 - 관세 리스크 대응 매뉴얼
▶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별 전략
- 안정적 현금흐름 바탕의 1)수도/천연가스 유틸리티, 2)통신타워 리츠, 3)담배
- 건강보험 및 의류/식료품 소매 산업은 부정적 변수 남아있어 유의할 필요
▶ 일관성이 사라진 트럼프의 관세 정책
- 전자제품에 대한 품목 관세 2일만에 예외 결정 번복
- 자동차 부품 관세 연기 가능성 시사로 일관성 훼손 중
▶ 관세 정책으로 인한 미국의 소탐대실?
-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이용하여 무제한 지출을 누려온 미국
- 관세 정책으로 달러에 대한 글로벌 신뢰 훼손은 기축통화로서의 특권 훼손 가능
▶ 관세 정책 향후 경로와 연준 풋(Fed Put)의 관계
- 하드데이터 침체가 보이면 빠르게 수정될 가능성이 높은 관세 정책
- 연준 풋은 관세 충격 막는 보험이 아니라 금융시장 위험 줄이기 위한 대응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09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미국은 지금 - 관세 리스크 대응 매뉴얼
▶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별 전략
- 안정적 현금흐름 바탕의 1)수도/천연가스 유틸리티, 2)통신타워 리츠, 3)담배
- 건강보험 및 의류/식료품 소매 산업은 부정적 변수 남아있어 유의할 필요
▶ 일관성이 사라진 트럼프의 관세 정책
- 전자제품에 대한 품목 관세 2일만에 예외 결정 번복
- 자동차 부품 관세 연기 가능성 시사로 일관성 훼손 중
▶ 관세 정책으로 인한 미국의 소탐대실?
-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이용하여 무제한 지출을 누려온 미국
- 관세 정책으로 달러에 대한 글로벌 신뢰 훼손은 기축통화로서의 특권 훼손 가능
▶ 관세 정책 향후 경로와 연준 풋(Fed Put)의 관계
- 하드데이터 침체가 보이면 빠르게 수정될 가능성이 높은 관세 정책
- 연준 풋은 관세 충격 막는 보험이 아니라 금융시장 위험 줄이기 위한 대응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09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17.04.202521:59
[키움 채권 안예하]
◆채권 Daily 코멘트(25.04.18.)
[미 채권시장 동향]
미국채 금리 상승 마감. 부활절 연휴를 앞두고 거래가 축소된 가운데 국제유가 상승 등에 상승 압력을 받음. 장 초반에는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하락하는 등 강세를 보이기도 함.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는 21만 5천 건으로 양호했으나, 4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가 -26.4로 전월과 시장 예상치 대비 큰 폭 하락하면서 경기 위축 신호를 나타냈기 때문이었음. 다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64달러 수준으로 전일 대비 3% 이상 상승하면서 시장금리도 동반 상승.
[경제지표](발표, 전망, 이전)
(한국)4월 한국은행 금통위: 2.75%, 2.75%, 2.75%
(미국)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215K, 225K, 224K
(미국)4월 필라델피아연은 제조업활동지수: -26.4, 2.8, 12.5
(미국)5년물 TIPS 입찰
*발표예정 경제지표(전망, 이전)
(미국)휴장(부활절)
(일본)3월 근원 CPI YoY: 3.2%, 3.0%
(미국)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발언
◆ 미국 증시
- DOW: 39142.23p (-527.16p, -1.33%)
- S&P500: 5282.70p (+7.00p, +0.13%)
- NASDAQ: 16286.45p (-20.71p, -0.13%)
◆ 외환시장
- NDF 환율(1개월물): 1416.6원, 전일 대비 보합 출발 예상
- 달러인덱스: 99.418 (+0.038, +0.04%)
- 유로/달러: 1.1365 (-0.0034, -0.30%)
- 달러/엔: 142.43 (+0.55, +0.39%)
- 파운드/달러: 1.3266 (+0.0022, +0.17%)
◆ 미 채권시장
- 2년물: 3.7982% (+2.9bp)
- 5년물: 3.9381% (+3.5bp)
- 10년물: 4.3249% (+4.8bp)
- 30년물: 4.7980% (+5.9bp)
(스프레드)
- 기준금리-2Y: 70.2bp
- 10Y-2Y: 52.7bp
- 30Y-10Y: 47.3bp
◆ 국내 국채시장
- 3년물: 2.385% (+5.3bp)
- 5년물: 2.487% (+3.5bp)
- 10년물: 2.647% (+2.7bp)
- 30년물: 2.492% (+3.7bp)
(스프레드)
- 5Y-3Y: 10.2bp
- 10Y-3Y: 26.2bp
- 30Y-10Y: -15.5bp
(국채선물)
- 3년 KTB 107.49 (-13)
- 10년 KTB 120.52 (-29)
◆ 상품시장 (달러)
- WTI: 64.68 (+2.21, +3.54%)
- 브렌트유: 67.96 (+2.11, +3.20%)
- 금: 3328.4 (-18.0, -0.54%)
*당사 콘텐츠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채권 Daily 코멘트(25.04.18.)
[미 채권시장 동향]
미국채 금리 상승 마감. 부활절 연휴를 앞두고 거래가 축소된 가운데 국제유가 상승 등에 상승 압력을 받음. 장 초반에는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하락하는 등 강세를 보이기도 함.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는 21만 5천 건으로 양호했으나, 4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가 -26.4로 전월과 시장 예상치 대비 큰 폭 하락하면서 경기 위축 신호를 나타냈기 때문이었음. 다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64달러 수준으로 전일 대비 3% 이상 상승하면서 시장금리도 동반 상승.
[경제지표](발표, 전망, 이전)
(한국)4월 한국은행 금통위: 2.75%, 2.75%, 2.75%
(미국)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215K, 225K, 224K
(미국)4월 필라델피아연은 제조업활동지수: -26.4, 2.8, 12.5
(미국)5년물 TIPS 입찰
*발표예정 경제지표(전망, 이전)
(미국)휴장(부활절)
(일본)3월 근원 CPI YoY: 3.2%, 3.0%
(미국)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발언
◆ 미국 증시
- DOW: 39142.23p (-527.16p, -1.33%)
- S&P500: 5282.70p (+7.00p, +0.13%)
- NASDAQ: 16286.45p (-20.71p, -0.13%)
◆ 외환시장
- NDF 환율(1개월물): 1416.6원, 전일 대비 보합 출발 예상
- 달러인덱스: 99.418 (+0.038, +0.04%)
- 유로/달러: 1.1365 (-0.0034, -0.30%)
- 달러/엔: 142.43 (+0.55, +0.39%)
- 파운드/달러: 1.3266 (+0.0022, +0.17%)
◆ 미 채권시장
- 2년물: 3.7982% (+2.9bp)
- 5년물: 3.9381% (+3.5bp)
- 10년물: 4.3249% (+4.8bp)
- 30년물: 4.7980% (+5.9bp)
(스프레드)
- 기준금리-2Y: 70.2bp
- 10Y-2Y: 52.7bp
- 30Y-10Y: 47.3bp
◆ 국내 국채시장
- 3년물: 2.385% (+5.3bp)
- 5년물: 2.487% (+3.5bp)
- 10년물: 2.647% (+2.7bp)
- 30년물: 2.492% (+3.7bp)
(스프레드)
- 5Y-3Y: 10.2bp
- 10Y-3Y: 26.2bp
- 30Y-10Y: -15.5bp
(국채선물)
- 3년 KTB 107.49 (-13)
- 10년 KTB 120.52 (-29)
◆ 상품시장 (달러)
- WTI: 64.68 (+2.21, +3.54%)
- 브렌트유: 67.96 (+2.11, +3.20%)
- 금: 3328.4 (-18.0, -0.54%)
*당사 콘텐츠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16.04.202523:53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4/17(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파인엠텍'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자료: https://buly.kr/Awf3l4W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4/17(목) 오후 2시에 예정된 '파인엠텍' 그룹 IR 안내드립니다.
Webex 링크: https://buly.kr/5UGhfhs
자료: https://buly.kr/Awf3l4W
'기관_성함'으로 입장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ost.reposted:
키움증권 인터넷게임 김진구

16.04.202522:46
[키움증권/김진구] 카카오 기업리포트, BUY(Maintain), 목표주가 7만원
◆ 최근 불거진 카카오모빌리티 및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지분 이슈는 마이너 지분을 보유한 이해관계자간 진입시점과 밸류 차이를 둔 단기적 이슈이며 카카오가 중기 이상 AI 시대로 진입하면서 발현될 모빌리티 FSD 여지와 능동형 피드 잠재력과 맞닿아 있는 엔터테인먼트 저작권 및 사업가치 이슈를 감안할 때 카카오가 연결 권한을 내려놓을 가능성은 전략적으로 상당히 낮을 것으로 종합 판단
◆ 향후 카카오가 모색할 피드 방향성도 검색과 결합을 통한 프로덕트 라인을 구축하고 오픈 AI 통합 최신 모델이 탑재되면서 유저 인게이지먼트를 증폭시켜 이에 따른 타겟팅 기반 광고사업의 기회를 창출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 카카오톡이 현 슈퍼앱에서 향후 피드 기반의 소셜앱으로 강화될 방향성과 이에 대한 오픈 AI의 소셜앱 관심 히스토리 및 글로벌 확장 여지도 주목할 점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R11301
◆ 최근 불거진 카카오모빌리티 및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지분 이슈는 마이너 지분을 보유한 이해관계자간 진입시점과 밸류 차이를 둔 단기적 이슈이며 카카오가 중기 이상 AI 시대로 진입하면서 발현될 모빌리티 FSD 여지와 능동형 피드 잠재력과 맞닿아 있는 엔터테인먼트 저작권 및 사업가치 이슈를 감안할 때 카카오가 연결 권한을 내려놓을 가능성은 전략적으로 상당히 낮을 것으로 종합 판단
◆ 향후 카카오가 모색할 피드 방향성도 검색과 결합을 통한 프로덕트 라인을 구축하고 오픈 AI 통합 최신 모델이 탑재되면서 유저 인게이지먼트를 증폭시켜 이에 따른 타겟팅 기반 광고사업의 기회를 창출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 카카오톡이 현 슈퍼앱에서 향후 피드 기반의 소셜앱으로 강화될 방향성과 이에 대한 오픈 AI의 소셜앱 관심 히스토리 및 글로벌 확장 여지도 주목할 점
◆ 보고서: https://bbn.kiwoom.com/rfCR11301
16.04.202522:30
[키움 미국전략/주식 김승혁/조민주]
🌏US Daily (4/17)
(4/16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275.70 / -2.24%
NASDAQ 종합 16,307.16 / -3.07%
다우산업 39,669.39 / -1.73%
러셀2000 1,863.48 / -1.03%
필라델피아 반도체 3,857.17 / -4.10%
- 섹터별 수익률
High 3: 에너지 (0.80%), 헬스케어 (0.06%), 부동산 (-0.06%)
Low 3: 반도체 및 장비 (-5.35%), 자동차 및 부품 (-4.43%), 하드웨어 (-3.49%)
- 세부 업종별 수익률
에너지 0.80%
헬스케어 0.06%
부동산 -0.06%
보험 -0.58%
음식료 및 담배 -0.74%
소재 -0.77%
유틸리티 -0.93%
상업 및 전문서비스 -1.21%
가정용품 -1.24%
자본재 -1.30%
호텔/레저 -1.51%
식료품 -1.60%
은행 -1.65%
금융 -1.81%
운송 -1.86%
제약 -1.90%
내구소비재/의류 -1.99%
통신 -2.05%
엔터/미디어 -2.54%
유통 -2.66%
소프트웨어 -3.01%
하드웨어 -3.49%
자동차 및 부품 -4.43%
- 종목별 수익률
High 3: APA (3.22%), TRGP (2.76%), ABT (2.76%)
Low 3: JBHT (-7.68%), IPG (-7.44%), AMD (-7.35%)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2.51%
Growth -2.87%
Quality -1.86%
High Dividend -1.06%
Low Votality -0.92%
Enhanced value -0.85%
Value -1.59%
High Beta -2.44%
- 주요 뉴스
▶ Powell says Fed remains in wait-and-see mode; markets processing policy shifts
https://www.reuters.com/markets/us/fed-chair-powell-deliver-fresh-economic-view-tariffs-inject-uncertainty-2025-04-16/
▶ White House looking to slash $40 billion from health department, Washington Post reports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white-house-looking-slash-40-billion-health-department-washington-post-reports-2025-04-16/
▶ Powell does not think Trump's labor board firings case will apply to Fed
https://www.reuters.com/world/us/powell-does-not-think-trumps-labor-board-firings-case-will-apply-fed-2025-04-16/
▶ US orders halt on construction of Equinor New York offshore wind project
https://www.reuters.com/world/us/us-orders-halt-construction-new-york-offshore-wind-project-2025-04-16/
▶ Fed Chair Powell: Cutting discretionary federal spending will not fix US debt problem
https://www.reuters.com/world/us/fed-chair-powell-cutting-discretionary-federal-spending-will-not-fix-us-debt-2025-04-16/
▶ Pre-tariffs buying fuels US retail sales, weakness lies ahead
https://www.reuters.com/markets/us/us-retail-sales-surge-march-due-motor-vehicle-buying-ahead-tariffs-2025-04-16/
▶ California sues Trump administration to block tariffs
https://www.reuters.com/legal/california-sues-trump-administration-block-tariffs-2025-04-16/
▶ Top US, Indonesian diplomats discuss tariffs, defense in meeting
https://www.reuters.com/world/top-us-indonesian-diplomats-discuss-tariffs-defense-meeting-2025-04-16/
🌏US Daily (4/17)
(4/16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275.70 / -2.24%
NASDAQ 종합 16,307.16 / -3.07%
다우산업 39,669.39 / -1.73%
러셀2000 1,863.48 / -1.03%
필라델피아 반도체 3,857.17 / -4.10%
- 섹터별 수익률
High 3: 에너지 (0.80%), 헬스케어 (0.06%), 부동산 (-0.06%)
Low 3: 반도체 및 장비 (-5.35%), 자동차 및 부품 (-4.43%), 하드웨어 (-3.49%)
- 세부 업종별 수익률
에너지 0.80%
헬스케어 0.06%
부동산 -0.06%
보험 -0.58%
음식료 및 담배 -0.74%
소재 -0.77%
유틸리티 -0.93%
상업 및 전문서비스 -1.21%
가정용품 -1.24%
자본재 -1.30%
호텔/레저 -1.51%
식료품 -1.60%
은행 -1.65%
금융 -1.81%
운송 -1.86%
제약 -1.90%
내구소비재/의류 -1.99%
통신 -2.05%
엔터/미디어 -2.54%
유통 -2.66%
소프트웨어 -3.01%
하드웨어 -3.49%
자동차 및 부품 -4.43%
- 종목별 수익률
High 3: APA (3.22%), TRGP (2.76%), ABT (2.76%)
Low 3: JBHT (-7.68%), IPG (-7.44%), AMD (-7.35%)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2.51%
Growth -2.87%
Quality -1.86%
High Dividend -1.06%
Low Votality -0.92%
Enhanced value -0.85%
Value -1.59%
High Beta -2.44%
- 주요 뉴스
▶ Powell says Fed remains in wait-and-see mode; markets processing policy shifts
https://www.reuters.com/markets/us/fed-chair-powell-deliver-fresh-economic-view-tariffs-inject-uncertainty-2025-04-16/
▶ White House looking to slash $40 billion from health department, Washington Post reports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white-house-looking-slash-40-billion-health-department-washington-post-reports-2025-04-16/
▶ Powell does not think Trump's labor board firings case will apply to Fed
https://www.reuters.com/world/us/powell-does-not-think-trumps-labor-board-firings-case-will-apply-fed-2025-04-16/
▶ US orders halt on construction of Equinor New York offshore wind project
https://www.reuters.com/world/us/us-orders-halt-construction-new-york-offshore-wind-project-2025-04-16/
▶ Fed Chair Powell: Cutting discretionary federal spending will not fix US debt problem
https://www.reuters.com/world/us/fed-chair-powell-cutting-discretionary-federal-spending-will-not-fix-us-debt-2025-04-16/
▶ Pre-tariffs buying fuels US retail sales, weakness lies ahead
https://www.reuters.com/markets/us/us-retail-sales-surge-march-due-motor-vehicle-buying-ahead-tariffs-2025-04-16/
▶ California sues Trump administration to block tariffs
https://www.reuters.com/legal/california-sues-trump-administration-block-tariffs-2025-04-16/
▶ Top US, Indonesian diplomats discuss tariffs, defense in meeting
https://www.reuters.com/world/top-us-indonesian-diplomats-discuss-tariffs-defense-meeting-2025-04-16/
17.04.202522:55
[키움증권 미국 주식 조민주]
미국은 지금 - “갑작스러운” 엔비디아 H20 수출 제한과 영향
▶ H20 수출 제한 영향은 제한적
- 4/9 미국 정부, 엔비디아에 H20 수출 시 라이선스 승인 필요 통보 (‘무기한’ 공시)
- 중국 및 D:5 국가 대상 수출은 라이선스 필수, FY1Q26 실적에 최대 55억 달러 충당금 반영 예상되며 이에 동사 주가 하락
- 중국 AI 성과 부각 속 미국은 반도체를 협상 카드로 활용
- H20은 마진 기여도 낮아 총이익률 개선 가능성, 중국의 사전 구매 및 관세 영향도 실적에 기반영
- 블랙웰 수요 견조, 향후 라이선스 승인 시 충당금 상쇄 가능성 있어 실질 영향은 시장 우려 대비 제한적
▶ 다만 우려되는 건 트럼프가 반도체를 협상 카드로 사용하는 것
- 수출 금지 아닌 라이선스 규제지만, 즉시 발효·무기한 공시로 불확실성 확대
- AMD·인텔도 유사 통보, AMD는 최대 8억 달러 비용, 인텔은 가우디 칩 수출 시 라이선스 필요
- 동사의 AI 인프라 투자 발표 직후 규제 발표하는 등 트럼프 정책의 일관성 결여, 예고 없는 제재 전력 감안 시 정책 리스크 여전
- 5/15 시행 ‘AI 확산 규칙'으로 대부분 국가에 수출 시 라이선스 필요, H20보다 광범위한 영향
- 글로벌 데이터센터 설립 시에도 허가 필요, 지연 가능성 존재하여 업계 내 강력한 반발 초래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08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미국은 지금 - “갑작스러운” 엔비디아 H20 수출 제한과 영향
▶ H20 수출 제한 영향은 제한적
- 4/9 미국 정부, 엔비디아에 H20 수출 시 라이선스 승인 필요 통보 (‘무기한’ 공시)
- 중국 및 D:5 국가 대상 수출은 라이선스 필수, FY1Q26 실적에 최대 55억 달러 충당금 반영 예상되며 이에 동사 주가 하락
- 중국 AI 성과 부각 속 미국은 반도체를 협상 카드로 활용
- H20은 마진 기여도 낮아 총이익률 개선 가능성, 중국의 사전 구매 및 관세 영향도 실적에 기반영
- 블랙웰 수요 견조, 향후 라이선스 승인 시 충당금 상쇄 가능성 있어 실질 영향은 시장 우려 대비 제한적
▶ 다만 우려되는 건 트럼프가 반도체를 협상 카드로 사용하는 것
- 수출 금지 아닌 라이선스 규제지만, 즉시 발효·무기한 공시로 불확실성 확대
- AMD·인텔도 유사 통보, AMD는 최대 8억 달러 비용, 인텔은 가우디 칩 수출 시 라이선스 필요
- 동사의 AI 인프라 투자 발표 직후 규제 발표하는 등 트럼프 정책의 일관성 결여, 예고 없는 제재 전력 감안 시 정책 리스크 여전
- 5/15 시행 ‘AI 확산 규칙'으로 대부분 국가에 수출 시 라이선스 필요, H20보다 광범위한 영향
- 글로벌 데이터센터 설립 시에도 허가 필요, 지연 가능성 존재하여 업계 내 강력한 반발 초래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08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17.04.202522:42
[키움 미국전략/주식 김승혁/조민주]
🌏US Daily (4/18)
(4/17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282.70 / 0.13%
NASDAQ 종합 16,286.45 / -0.13%
다우산업 39,142.23 / -1.33%
러셀2000 1,880.62 / 0.92%
필라델피아 반도체 3,832.47 / -0.64%
- 섹터별 수익률
High 3: 제약 (3.38%), 식료품 (2.62%), 가정용품 (2.50%)
Low 3: 헬스케어 (-5.32%), 반도체 및 장비 (-2.07%), 보험 (-1.06%)
- 세부 업종별 수익률
제약 3.38%
식료품 2.62%
가정용품 2.50%
내구소비재/의류 2.39%
에너지 2.27%
운송 2.06%
부동산 1.69%
음식료 및 담배 1.68%
하드웨어 1.20%
유틸리티 1.03%
은행 0.89%
통신 0.77%
호텔/레저 0.70%
소재 0.68%
금융 0.41%
자본재 0.31%
상업 및 전문서비스 0.17%
자동차 및 부품 0.13%
유통 0.07%
엔터/미디어 -0.31%
소프트웨어 -0.78%
보험 -1.06%
반도체 및 장비 -2.07%
- 종목별 수익률
High 3: LLY (14.30%), FIS (8.65%), DLTR (8.10%)
Low 3: UNH (-22.38%), GPN (-17.43%), SNA (-8.00%)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0.07%
Growth 0.04%
Quality 0.55%
High Dividend 1.44%
Low Votality 0.81%
Enhanced value 0.97%
Value 0.22%
High Beta 0.29%
- 주요 뉴스
▶ Exclusive: FDA fires most negotiators for pharma user fee talks, sources say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fda-fires-most-negotiators-pharma-user-fee-talks-sources-say-2025-04-17/
▶ Trump amps up feud with Fed over rates, accuses Powell of 'playing politics'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says-fed-chair-powells-termination-cant-come-fast-enough-2025-04-17/
▶ Google holds illegal monopolies in ad tech, US judge finds
https://www.reuters.com/technology/us-judge-finds-google-holds-illegal-online-ad-tech-monopolies-2025-04-17/
▶ Exclusive: Musk's SpaceX is frontrunner to build Trump's Golden Dome missile shield
https://www.reuters.com/business/aerospace-defense/musks-spacex-is-frontrunner-build-trumps-golden-dome-missile-shield-2025-04-17/
▶ US labor market stable; tariffs depress single-family homebuilding
https://www.reuters.com/markets/us/us-weekly-jobless-claims-fall-labor-market-remains-stable-2025-04-17/
▶ Tariffs to trigger sharp US economic slowdown; chance of recession jumps to 45%: Reuters Poll
https://www.reuters.com/markets/us/tariffs-trigger-sharp-us-economic-slowdown-chance-recession-jumps-45-2025-04-17/
▶ Trump says Fed's Powell will leave if he asks him; Powell has said he won't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says-fed-chair-powell-will-leave-if-he-asks-him-2025-04-17/
▶ Lilly weight-loss pill works as well as Ozempic, shares surge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lilly-pill-leads-79-weight-loss-40-weeks-trial-2025-04-17/
🌏US Daily (4/18)
(4/17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282.70 / 0.13%
NASDAQ 종합 16,286.45 / -0.13%
다우산업 39,142.23 / -1.33%
러셀2000 1,880.62 / 0.92%
필라델피아 반도체 3,832.47 / -0.64%
- 섹터별 수익률
High 3: 제약 (3.38%), 식료품 (2.62%), 가정용품 (2.50%)
Low 3: 헬스케어 (-5.32%), 반도체 및 장비 (-2.07%), 보험 (-1.06%)
- 세부 업종별 수익률
제약 3.38%
식료품 2.62%
가정용품 2.50%
내구소비재/의류 2.39%
에너지 2.27%
운송 2.06%
부동산 1.69%
음식료 및 담배 1.68%
하드웨어 1.20%
유틸리티 1.03%
은행 0.89%
통신 0.77%
호텔/레저 0.70%
소재 0.68%
금융 0.41%
자본재 0.31%
상업 및 전문서비스 0.17%
자동차 및 부품 0.13%
유통 0.07%
엔터/미디어 -0.31%
소프트웨어 -0.78%
보험 -1.06%
반도체 및 장비 -2.07%
- 종목별 수익률
High 3: LLY (14.30%), FIS (8.65%), DLTR (8.10%)
Low 3: UNH (-22.38%), GPN (-17.43%), SNA (-8.00%)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0.07%
Growth 0.04%
Quality 0.55%
High Dividend 1.44%
Low Votality 0.81%
Enhanced value 0.97%
Value 0.22%
High Beta 0.29%
- 주요 뉴스
▶ Exclusive: FDA fires most negotiators for pharma user fee talks, sources say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fda-fires-most-negotiators-pharma-user-fee-talks-sources-say-2025-04-17/
▶ Trump amps up feud with Fed over rates, accuses Powell of 'playing politics'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says-fed-chair-powells-termination-cant-come-fast-enough-2025-04-17/
▶ Google holds illegal monopolies in ad tech, US judge finds
https://www.reuters.com/technology/us-judge-finds-google-holds-illegal-online-ad-tech-monopolies-2025-04-17/
▶ Exclusive: Musk's SpaceX is frontrunner to build Trump's Golden Dome missile shield
https://www.reuters.com/business/aerospace-defense/musks-spacex-is-frontrunner-build-trumps-golden-dome-missile-shield-2025-04-17/
▶ US labor market stable; tariffs depress single-family homebuilding
https://www.reuters.com/markets/us/us-weekly-jobless-claims-fall-labor-market-remains-stable-2025-04-17/
▶ Tariffs to trigger sharp US economic slowdown; chance of recession jumps to 45%: Reuters Poll
https://www.reuters.com/markets/us/tariffs-trigger-sharp-us-economic-slowdown-chance-recession-jumps-45-2025-04-17/
▶ Trump says Fed's Powell will leave if he asks him; Powell has said he won't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says-fed-chair-powell-will-leave-if-he-asks-him-2025-04-17/
▶ Lilly weight-loss pill works as well as Ozempic, shares surge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lilly-pill-leads-79-weight-loss-40-weeks-trial-2025-04-17/
17.04.202521:46
◈ 4월 18일(금) 전일 철강금속 지표
▶ 철강사 주가 (시장대비) : POSCO ADR 0.2% (0.0%), ArcelorMittal -0.8% (-0.7%), US Steel -0.6% (-0.8%), Nippon Steel 1.5% (0.2%), Baoshan -1.5% (-1.6%), Angang(HK) 1.4% (-0.2%), Albemarle 0.6% (0.5%)
▶ 중국 철강가격(VAT 포함): 열연 $450 ($-2, -0.4%), 철근 $466 ($-0.5, -0.1%), 냉연 $545 ($-2, -0.4%), 열연선물(AC) -0.4%, 철근선물(AC) 0.1%, 철근선물 시간 외 -0.1%
▶ 철광석: 현물 $97 (0.0%), SGX 선물 $98 (-0.4%), DCE 선물(AC) -0.1%, DCE 시간 외 0.0%
▶ 강점탄: 호주 현물 $188 (0.0%), SGX 선물 $184 (0.8%), DCE 선물 -1.6%
▶ LME 비철/귀금속: 구리 $9,189 (-0.2%), 아연 $2,577 (-0.2%), 납 $1,922 (0.7%), 니켈 $15,622 (-0.4%), 금 $3,327 (-0.5%), 은 $32.6 (-0.6%)
▶ 탄산리튬: 중국 현물 $9,768 (0.0%), GFEX 선물 70,460위안 (0.1%)
- 중국 철강선물 하락 / 철광석 선물 약보합 / 호주 강점탄 보합
- LME 비철은 나흘째 뚜렷한 방향없이 품목별 혼조 / 귀금속은 미 국채금리 상승에 약세
- 중국 탄산리튬 약보합
(키움증권 철강 이종형)
* 상기 코멘트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철강사 주가 (시장대비) : POSCO ADR 0.2% (0.0%), ArcelorMittal -0.8% (-0.7%), US Steel -0.6% (-0.8%), Nippon Steel 1.5% (0.2%), Baoshan -1.5% (-1.6%), Angang(HK) 1.4% (-0.2%), Albemarle 0.6% (0.5%)
▶ 중국 철강가격(VAT 포함): 열연 $450 ($-2, -0.4%), 철근 $466 ($-0.5, -0.1%), 냉연 $545 ($-2, -0.4%), 열연선물(AC) -0.4%, 철근선물(AC) 0.1%, 철근선물 시간 외 -0.1%
▶ 철광석: 현물 $97 (0.0%), SGX 선물 $98 (-0.4%), DCE 선물(AC) -0.1%, DCE 시간 외 0.0%
▶ 강점탄: 호주 현물 $188 (0.0%), SGX 선물 $184 (0.8%), DCE 선물 -1.6%
▶ LME 비철/귀금속: 구리 $9,189 (-0.2%), 아연 $2,577 (-0.2%), 납 $1,922 (0.7%), 니켈 $15,622 (-0.4%), 금 $3,327 (-0.5%), 은 $32.6 (-0.6%)
▶ 탄산리튬: 중국 현물 $9,768 (0.0%), GFEX 선물 70,460위안 (0.1%)
- 중국 철강선물 하락 / 철광석 선물 약보합 / 호주 강점탄 보합
- LME 비철은 나흘째 뚜렷한 방향없이 품목별 혼조 / 귀금속은 미 국채금리 상승에 약세
- 중국 탄산리튬 약보합
(키움증권 철강 이종형)
* 상기 코멘트는 외신 보도 등 사실 자료에 기반해 작성하였으며 내부통제기준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16.04.202523:20
[04/17 데일리 증시 코멘트 및 대응 전략, 키움 시황/ESG 이성훈]
------
16일(수) 미 증시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파월연준 의장의 ‘시장 개입 의사 없다’는 발언 등 파월 풋 기대감 소멸 등의 요인으로 주요 기술주 및 반도체주 중심으로 급락한 결과 3대 지수는 하락 마감
(다우 -1.73%, S&P500 -2.24%, 나스닥 -3.07%).
-------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 이후 트럼프는 중국을 제외한 국가와는 협상에 착수하는 가운데 중국에게는 강경한 태도를 보이며 본격적으로 미중 패권 경쟁 구도로 관세 전쟁 국면이 이동하는 모습. 실제로, 전일 미 증시를 비롯해서 글로벌 증시 하락을 유발했던 배경 중 하나는 엔비디아의 H20 칩 등 대중 반도체 수출 제한 조치였음.
금번 수출 제한으로, 엔비디아는 1분기 55억 달러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발표함에 따라 주가는 6.8% 급락, 반도체 수출 우려 부각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4.1% 하락. ASML(-7.1%)은 관세 불확실성으로 부진한 1분기 수주액 전망치(39.4억 유로 vs 컨센 48.9억 유로)를 언급, AMD도 대중 수출 규제로 인해 8억 달러 규모의 손실 추정. 1분기 실적 시즌에 진입하며 기업들의 어닝 콜에서 관세 관련 부정적인 코멘트가 야기할 변동성에 유의할 필요.
한편, 미국 3월 소매판매 지표는 전월 대비 1.4% 증가하며 전월치(0.2%)를 큰 폭 상회, 트럼프의 관세 인상 계획 발표에 따른 가격 상승 우려에 소비자들이 선제적으로 구매를 늘린 점이 금번 지표 호조의 배경으로 풀이. 특히,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판매가 3월 한 달 동안 5.3% 급증한 점이 주된 원인. 다만, 관세로 인한 단기적인 소비 급증 영향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금번 소비 지표가 증시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았음.
미중 강대강 대치가 지속됨에 따라 증시 입장에서는 파월(혹은 연준) 풋에 대한 기대감이 조금씩 올라오던 시기였음. 다만, 파월 연준 의장은 아직까지 파월 풋 기대는 시기상조라는 점을 명시적으로 언급. 그는 관세로 인해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향후 발표될 데이터를 확인하며 대응할 것이라는 원론적인 답변을 통해 ‘당분간 금리 인하’는 없다고 언급. 이는 파월풋을 기대하던 증시 입장에서는 하락 재료의 명분으로 작용.
결국, 반등의 트리거로서 작용할 수 있는 트럼프 혹은 파월 풋 두가지 기제가 단기적으로 작동하기 힘든 상황인만큼 뚜렷한 방향성을 구축하기보다는 당분간 관세 뉴스플로우에 따른 등락 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전일 국내 증시는 장 초반 약보합 출발하였으나, 이후 엔비디아 H20 대중 수출 규제 강화, ASML 관세 정책 불확실성 점증에 따른 수주 부진 등이 악재로 작용하며 외국인 중심으로 매도세가 재차 출회된 결과 후반부 낙폭확대하며 양 지수는 하락 마감 (코스피 -1.21%, 코스닥 -1.80%).
금일 국내 증시는 미중 무역 분쟁 우려 점증에 따른 전일 미 증시에서의 반도체주 급락을 반영하며 하락세로 출발할 것으로 전망. 다만, 해당 재료는 일부 전일 반영되었다는 인식 속 장 중반부 이후 낙폭을 회복하는 흐름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 전반적으로 관세 이슈에서 벗어나기 힘든 장세인만큼, 개별 모멘텀을 가진 일부 기업 위주로 종목장세 흐름이 금일에도 연출될 것으로 예상.
자료 링크 : https://bbn.kiwoom.com/rfSD6580
------
16일(수) 미 증시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파월연준 의장의 ‘시장 개입 의사 없다’는 발언 등 파월 풋 기대감 소멸 등의 요인으로 주요 기술주 및 반도체주 중심으로 급락한 결과 3대 지수는 하락 마감
(다우 -1.73%, S&P500 -2.24%, 나스닥 -3.07%).
-------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 이후 트럼프는 중국을 제외한 국가와는 협상에 착수하는 가운데 중국에게는 강경한 태도를 보이며 본격적으로 미중 패권 경쟁 구도로 관세 전쟁 국면이 이동하는 모습. 실제로, 전일 미 증시를 비롯해서 글로벌 증시 하락을 유발했던 배경 중 하나는 엔비디아의 H20 칩 등 대중 반도체 수출 제한 조치였음.
금번 수출 제한으로, 엔비디아는 1분기 55억 달러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발표함에 따라 주가는 6.8% 급락, 반도체 수출 우려 부각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4.1% 하락. ASML(-7.1%)은 관세 불확실성으로 부진한 1분기 수주액 전망치(39.4억 유로 vs 컨센 48.9억 유로)를 언급, AMD도 대중 수출 규제로 인해 8억 달러 규모의 손실 추정. 1분기 실적 시즌에 진입하며 기업들의 어닝 콜에서 관세 관련 부정적인 코멘트가 야기할 변동성에 유의할 필요.
한편, 미국 3월 소매판매 지표는 전월 대비 1.4% 증가하며 전월치(0.2%)를 큰 폭 상회, 트럼프의 관세 인상 계획 발표에 따른 가격 상승 우려에 소비자들이 선제적으로 구매를 늘린 점이 금번 지표 호조의 배경으로 풀이. 특히,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판매가 3월 한 달 동안 5.3% 급증한 점이 주된 원인. 다만, 관세로 인한 단기적인 소비 급증 영향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금번 소비 지표가 증시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았음.
미중 강대강 대치가 지속됨에 따라 증시 입장에서는 파월(혹은 연준) 풋에 대한 기대감이 조금씩 올라오던 시기였음. 다만, 파월 연준 의장은 아직까지 파월 풋 기대는 시기상조라는 점을 명시적으로 언급. 그는 관세로 인해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향후 발표될 데이터를 확인하며 대응할 것이라는 원론적인 답변을 통해 ‘당분간 금리 인하’는 없다고 언급. 이는 파월풋을 기대하던 증시 입장에서는 하락 재료의 명분으로 작용.
결국, 반등의 트리거로서 작용할 수 있는 트럼프 혹은 파월 풋 두가지 기제가 단기적으로 작동하기 힘든 상황인만큼 뚜렷한 방향성을 구축하기보다는 당분간 관세 뉴스플로우에 따른 등락 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전일 국내 증시는 장 초반 약보합 출발하였으나, 이후 엔비디아 H20 대중 수출 규제 강화, ASML 관세 정책 불확실성 점증에 따른 수주 부진 등이 악재로 작용하며 외국인 중심으로 매도세가 재차 출회된 결과 후반부 낙폭확대하며 양 지수는 하락 마감 (코스피 -1.21%, 코스닥 -1.80%).
금일 국내 증시는 미중 무역 분쟁 우려 점증에 따른 전일 미 증시에서의 반도체주 급락을 반영하며 하락세로 출발할 것으로 전망. 다만, 해당 재료는 일부 전일 반영되었다는 인식 속 장 중반부 이후 낙폭을 회복하는 흐름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 전반적으로 관세 이슈에서 벗어나기 힘든 장세인만큼, 개별 모멘텀을 가진 일부 기업 위주로 종목장세 흐름이 금일에도 연출될 것으로 예상.
자료 링크 : https://bbn.kiwoom.com/rfSD6580
post.reposted:
키움증권 전략/시황 한지영

16.04.202522:46
[4/17, 장 시작 전 생각: 거의 모든 것의 원흉, 키움 한지영]
- 다우 -1.7%, S&P500 -2.2%, 나스닥 -3.1%
- 엔비디아 -6.9%, ASML -7.1%, 애플 -3.9%
- 미 10년물 금리 -4.28%, 달러 인덱스 99.0pt, 달러/원 1,415.2원
1.
어제도 미국 증시는 또 한번 크게 충격을 받았네요.
엔비디아, ASML, 파월 발언 등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한방씩 맞았고,
이 모든 것은 원흉 역시 관세였습니다.
미국의 3월 소매판매(1.4%MoM vs 컨센 1.3%)가 잘 나오긴 했지만, 자동차, 의류, 전제제품 같은 것들이 급증한 것을 미루어보아,
관세로 가격이 오르기전에 미리 사두자 식의 일시적 수요가 개입된 것도 있어서, 이번 소비지표를 시장에선 그리 좋게 받아들이진 않았네요.
반대로, 중국의 소매판매 서프라이즈가 중국이 더 버티면서 미국과 대응할 수 있다는 식의 의견에 힘을 실어준 것도 증시에는 중립 이하의 재료였습니다.
2.
어제 파월 의장의 연설도 시장 친화적이진 않았네요.
-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이 커졌다
- 물가안정, 완전고용이라는 이중 책무가 충돌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 불확실성이 높아졌지만, 그래도 지금 미국 경제는 견조하다
- 금융시장 변동성은 높을 것이지만, 시장은 예상하는 대로 잘 작동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이야기했고,
여기에 “연준 풋이 있을 것이냐”는 질문에 “아뇨”라고 답한게, 미국 증시 낙폭을 키우는 기폭제였습니다.
그의 발언들 이리저리 살펴보면, 저희처럼 심정이 참 복잡해보입니다.
채권시장은 계속 불안하고, 관세로 인해 경기 데이터들도 왜곡되는거 같고,
여러모로 상황 정리 좀 해보고 싶지만,
관세 불확실성과 트럼프의 오락가락, 여러사람 긁어대기 행보가 연준으로 하여금 그저 상황을 지켜보게 만들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3.
ASML은 1분기 실적 쇼크를 기록함과 동시에 가이던스도 부정적으로 제시하면서,
어제 오후에 국내 증시를 끌어내렸고, 미국 반도체주들에게도 동반 약세 압력을 가했네요.
또 컨콜에서 관세로 인해 매출 전망의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언급했다는 점은,
관세 리스크가 실적시즌에도 난입 했음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가 아닐까 싶습니다.
다음주부터 미국은 M7 실적들이 시작되고, 한국도 본격적인 1분기 실적시즌이 진행될 예정인데,
1분기 실적 기대치가 높진 않습니다.
아무래도 관세로 인한 선수요, 사전 물량 밀어내기 등의 성격들이 숫자에 반영될 가능성이 있어서 그런듯 합니다.
결국 1분기 실적 그 자체보단 컨퍼런스콜에서 기업들이 관세에 어떤식으로 대응하고 있는지,
실적 발표 이후 각 섹터 담당 애널리스트들의 추정치가 얼마나 조정이 되는지가 더 중요해지겠네요.
4.
오늘 국내 증시 역시 녹록지 않은 하루를 보낼 예정입니다.
다만 엔비디아 H20 대중 수출 규제 악재, ASML 실적 쇼크는 전일 장중에 선 반영했기에,
어제 미국 증시가 받은 주가 충격을 고스란히 받진 않을 듯하네요.
또 트럼프는 일본 등 여타국가와 일제히 협상 모드에 들어갔으며,
중국이나 미국 모두 서로간 100% 넘는 관세를 주고 받을 생각보다는,
협상을 통해 극단의 상황을 해결하려는 의지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다시금 되새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관세로 인한 데이터 왜곡, 실적 추정의 어려움을 해소해 갈 수 있지 않을까싶네요.
국내 장 오후에는 TSMC 실적이 발표될 예정인데,
어제처럼 “약속의 오후장 빠짐”이 재현되지 않길 바래야 겠습니다.
———
증시와 다르게, 아침부터 날씨가 무척 선선하고 좋네요.
미세먼지도 없는 하루라고 합니다.
도통 눈을 떼기 힘든 모니터, 스마트폰 시세 화면에서 잠시라도 벗어나,
산책을 즐길 수 있는 하루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화이팅하시구요
키움 한지영
- 다우 -1.7%, S&P500 -2.2%, 나스닥 -3.1%
- 엔비디아 -6.9%, ASML -7.1%, 애플 -3.9%
- 미 10년물 금리 -4.28%, 달러 인덱스 99.0pt, 달러/원 1,415.2원
1.
어제도 미국 증시는 또 한번 크게 충격을 받았네요.
엔비디아, ASML, 파월 발언 등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한방씩 맞았고,
이 모든 것은 원흉 역시 관세였습니다.
미국의 3월 소매판매(1.4%MoM vs 컨센 1.3%)가 잘 나오긴 했지만, 자동차, 의류, 전제제품 같은 것들이 급증한 것을 미루어보아,
관세로 가격이 오르기전에 미리 사두자 식의 일시적 수요가 개입된 것도 있어서, 이번 소비지표를 시장에선 그리 좋게 받아들이진 않았네요.
반대로, 중국의 소매판매 서프라이즈가 중국이 더 버티면서 미국과 대응할 수 있다는 식의 의견에 힘을 실어준 것도 증시에는 중립 이하의 재료였습니다.
2.
어제 파월 의장의 연설도 시장 친화적이진 않았네요.
-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이 커졌다
- 물가안정, 완전고용이라는 이중 책무가 충돌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 불확실성이 높아졌지만, 그래도 지금 미국 경제는 견조하다
- 금융시장 변동성은 높을 것이지만, 시장은 예상하는 대로 잘 작동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이야기했고,
여기에 “연준 풋이 있을 것이냐”는 질문에 “아뇨”라고 답한게, 미국 증시 낙폭을 키우는 기폭제였습니다.
그의 발언들 이리저리 살펴보면, 저희처럼 심정이 참 복잡해보입니다.
채권시장은 계속 불안하고, 관세로 인해 경기 데이터들도 왜곡되는거 같고,
여러모로 상황 정리 좀 해보고 싶지만,
관세 불확실성과 트럼프의 오락가락, 여러사람 긁어대기 행보가 연준으로 하여금 그저 상황을 지켜보게 만들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3.
ASML은 1분기 실적 쇼크를 기록함과 동시에 가이던스도 부정적으로 제시하면서,
어제 오후에 국내 증시를 끌어내렸고, 미국 반도체주들에게도 동반 약세 압력을 가했네요.
또 컨콜에서 관세로 인해 매출 전망의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언급했다는 점은,
관세 리스크가 실적시즌에도 난입 했음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가 아닐까 싶습니다.
다음주부터 미국은 M7 실적들이 시작되고, 한국도 본격적인 1분기 실적시즌이 진행될 예정인데,
1분기 실적 기대치가 높진 않습니다.
아무래도 관세로 인한 선수요, 사전 물량 밀어내기 등의 성격들이 숫자에 반영될 가능성이 있어서 그런듯 합니다.
결국 1분기 실적 그 자체보단 컨퍼런스콜에서 기업들이 관세에 어떤식으로 대응하고 있는지,
실적 발표 이후 각 섹터 담당 애널리스트들의 추정치가 얼마나 조정이 되는지가 더 중요해지겠네요.
4.
오늘 국내 증시 역시 녹록지 않은 하루를 보낼 예정입니다.
다만 엔비디아 H20 대중 수출 규제 악재, ASML 실적 쇼크는 전일 장중에 선 반영했기에,
어제 미국 증시가 받은 주가 충격을 고스란히 받진 않을 듯하네요.
또 트럼프는 일본 등 여타국가와 일제히 협상 모드에 들어갔으며,
중국이나 미국 모두 서로간 100% 넘는 관세를 주고 받을 생각보다는,
협상을 통해 극단의 상황을 해결하려는 의지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다시금 되새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관세로 인한 데이터 왜곡, 실적 추정의 어려움을 해소해 갈 수 있지 않을까싶네요.
국내 장 오후에는 TSMC 실적이 발표될 예정인데,
어제처럼 “약속의 오후장 빠짐”이 재현되지 않길 바래야 겠습니다.
———
증시와 다르게, 아침부터 날씨가 무척 선선하고 좋네요.
미세먼지도 없는 하루라고 합니다.
도통 눈을 떼기 힘든 모니터, 스마트폰 시세 화면에서 잠시라도 벗어나,
산책을 즐길 수 있는 하루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화이팅하시구요
키움 한지영
post.reposted:
허혜민의 제약/바이오 소식통

16.04.202522:26
★ [키움 허혜민] ★ 녹십자, 실적 하회 예상되나, 기반영. 향후 회복 기대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투자의견 Buy 상향. 목표주가 16만 원 하향
연초 대비 동사의 주가는 YTD -35% 하락.
시장의 1분기 실적 기대치가 높았던 탓에 이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미 기대치가 낮아지고 있어 추가적인 주가 하락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추정 이익 45억 원 vs 컨센서스 74억 원)
1분기 영업이익은 45억 원 추정되어 YoY, QoQ 대비 모두 흑자전환하며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추정.
하반기로 갈수록 자회사의 적자 폭 축소되어 실적 개선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300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투자의견 Buy 상향. 목표주가 16만 원 하향
연초 대비 동사의 주가는 YTD -35% 하락.
시장의 1분기 실적 기대치가 높았던 탓에 이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미 기대치가 낮아지고 있어 추가적인 주가 하락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추정 이익 45억 원 vs 컨센서스 74억 원)
1분기 영업이익은 45억 원 추정되어 YoY, QoQ 대비 모두 흑자전환하며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추정.
하반기로 갈수록 자회사의 적자 폭 축소되어 실적 개선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300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Показано 1 - 24 из 808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