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coin Community
Notcoin Community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The ticker is ETH avatar
The ticker is ETH
The ticker is ETH avatar
The ticker is ETH
Период
Количество просмотров

Цитирования

Посты
Скрыть репосты
이더리움 재단 오픈 인텐트 프레임워크 발표

- Open Intents Framework는 30개 이상의 이더리움 관련 팀들이 협력하여 개발한 모듈식 오픈 프레임워크입니다.

- 이 프레임워크는 모든 체인에서 사용자들이 쉽게 인텐트(intent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크로스체인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크로스체인 자산 이전을 원활하게 만들기 위한 인텐트 시스템들 간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 현재 이더리움 생태계의 여러 L2, 월렛, 인프라 제공자들이 이 프레임워크를 지원하고 있으며, 더 많은 참여가 예상됩니다.

Open Intents Framework
Переслал из:
아무거나 리서치 avatar
아무거나 리서치
🪙 L1 가스 한도를 높이는 이유; L2 중심 이더리움에서도 필요한가? - 비탈릭

🔥 L1 가스 한도 확장이 필요한 이유

1. 검열 저항성 (Censorship Resistance)

- L2에서는 중앙화된 시퀀서가 검열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음
- L1 수수료가 낮고 공간이 충분하다면, L2에서 검열을 당한 사용자들이 L1을 통해 강제적으로 트랜잭션을 포함시킬 수 있음
- 현재 L1에서 검열을 우회하는 비용은 약 $4.5, 이를 $1 이하로 낮추려면 L1을 약 4.5배 확장해야 함


2. L2 간 자산 이동 비용 절감


- L2 간 직접적인 자산 이동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대부분 L1을 거쳐야 함
- L1에서 출금(250,000 가스)과 입금(120,000 가스)을 합하면 오늘날 비용이 약 $13.87
- 최적화된 설계를 적용하면 $0.28까지 줄일 수 있음
- 그러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려면 비용이 $0.05 이하가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L1을 5.5배 확장해야 함


3. L2의 대량 탈출(mass exit) 문제 해결

- L2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사용자들은 L1으로 자산을 이동해야 함
- 현재는 1주일 안에 약 7.56백만 명이 탈출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사용자를 감당하려면 확장이 필수적
- 이를 위해 L1을 최대 9배까지 확장할 필요가 있음


4. ERC20 발행 및 보안성 강화

- L2에서 발행된 ERC20 토큰이 악의적인 거버넌스 변경을 겪으면 무제한 발행될 수 있음
- L1에서 발행된 토큰이라면 이 문제가 L2에 한정되지만, L2에서 발행된 경우 전체 생태계로 퍼질 위험이 있음
- 이를 해결하기 위해 L1에서 ERC20 발행을 더 원활하게 만들 필요가 있음


5. L2 간 상호운용성 및 증명 제출 비용 절감

- L2 간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위해 L1에 자주 증명을 제출해야 함
- 현재 500,000 가스가 소요되어 연간 약 $49M의 비용이 발생
- 이 비용을 10만 가스 이하로 낮추려면 L1을 최소 10배 확장해야 함


✍️ 결론: L2 시대에도 L1 확장은 필요함. L1을 최소 10배 확장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가치 있음
13.02.202501:32
Lido V3 : ETF 등의 기관 스테이킹을 위한 stVaults

기존 구조에서 Lido에 스테이킹된 $ETH 는 다음 3곳의 풀에 나눠져 운영되고 있습니다.
1.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39곳의 Curated 오퍼레이터들 - 97.5%
2. SSV, Obol과 같은 DVT기술을 사용해 분산화된 Simple DVT 풀 - 1.8%
3. 커뮤니티 기반의 Community Staking 풀 - 0.64%

ETF와 같은 기관들은 각자의 기준에서 더 안전하고, 규제를 준수하는 오퍼레이터에게 스테이킹하고 싶을 것이며 수수료도 커스터마이징 하고 싶을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의 구조에서는 어떤 오퍼레이터에게 위임하게 될지는 Lido 거버넌스와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되며, 수수료도 10%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즉, 기존의 Lido는 ETF스테이킹을 받기에 알맞은 구조가 아닙니다.

이에 Lido는 기관 스테이킹을 위한 stVaults를 제시했습니다.
- 개인화된 스테이킹 (Personalized Staking)
기관, 대량 보유자, 전문 밸리데이터가 맞춤형 검증 파라미터, 수수료 구조, 접근 권한, 통합 방식 및 리스크-보상 프로필을 설정하여 전용 stVaults를 생성.
- 초과 담보화된 발행 (Overcollateralized Minting)
“예비 비율 (Reserve Ratio)”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stETH의 담보 비율을 안정적으로 유지, 슬래싱 발생 시에도 복원력을 높입니다.
- 모듈형 기반 (Modular Foundation)
stVaults는 타사 빌더를 위한 기반 레이어 역할을 하며, DeFi 통합, 맞춤형 스테이킹 제품, 유연한 전략 수립을 지원합니다.

stVaults를 통해 기관들은 자신들의 자산을 스테이킹하고 운영할 오퍼레이터를 직접 결정할수 있게되면서도 스테이킹 자산의 유동성을 확보할수 있게 됩니다.
Lido V3는 Early Adopters 실험단계와 테스트넷을 거쳐 Lido DAO의 거버넌스를 통해 메인넷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11.02.202512:32
🎮 Lattice에 대해 알아보자

Lattice는 이더리움에 자율 세계(Autonomous Worlds)를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모든 로직이 온체인에 기록되어 있는 FOCG(Fully Onchain Game)을 만들고 있습니다.

MUD 엔진 (MUD Engine)

-2022년 이더리움 위에 게임을 개발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게임 엔진 MUD 출시
-MUD Engine을 바탕으로 옵티미즘 외에 OPCraft라는 마인크래프트류 샌드박스 게임을 완전한 온체인 게임으로 구현
-2024년 MUD v2 출시

레드스톤 네트워크(Redstone Network)

Lattice는 기존 레이어 2도 장기적으로 MUD 기반 게임을 감당하기엔 어렵다고 판단
레드스톤 네트워크는 OP Stack 기반으로 구축된 플라즈마 L2
플라즈마는 이더리움에 트랜잭션을 제출하지 않음으로써, 보안이 상대적으로 낮은 대신 트랜잭션 처리가 매우 싸고 빠름
즉, 레드스톤 네트워크는 완전히 게임에 초점을 맞춰짐
cf. 레드스톤 오라클과 무관한 네트워크

게임 소개

⁃이브 프론티어(EVE Frontier): 이브 온라인의 웹3 버전
⁃오피크래프트(OPCraft): 옵티미즘 위의 마인크래프트 웹3 버전
⁃스카이 스크래프트(Sky Strife): 액션 어드벤처 게임
⁃프리모디움(Primodium):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

다음에는 창업자 시리즈와 MUD 엔진으로 만들어진 게임 소개로 돌아오겠습니다!

출처
Based and Native Rollups - X Space 요약

이더리움은 하나의 운동

•이더리움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금융 및 디지털 주권을 위한 운동
•중앙 기관의 개입 없이 개인이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거래할 수 있음
•이는 기존 금융 시스템과 달리 신뢰할 수 있는 오픈 네트워크를 제공

기관 및 정부의 관심

•대형 금융기관 및 정부 기관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이더리움을 검토 중
•토지 등록 시스템: 신뢰할 수 있는 부동산 데이터 기록
•국제 결제 시스템: 기존 은행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금융 네트워크
•기업용 블록체인 솔루션: 보안이 강화된 환경에서 기업 간 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Based Rollups

•정의: Based Rollups는 이더리움의 검증자가 트랜잭션의 순서를 결정하는 구조
•장점: 중앙화된 시퀀서 없이 블록을 정렬함으로써, 트랜잭션의 보안성과 투명성을 보장
•활용 사례: 금융 기관, 기업 및 정부 시스템에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소로 활용 가능

Native Rollups

•정의: Native Rollups는 실행 상태를 직접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검증
•장점: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완전히 동일한 실행 환경 제공하고, 롤업이 별도로 유지보수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업데이트 가능
•활용 사례: DeFi 및 dApp에서 빠르고 저렴한 트랜잭션을 필요로 하는 환경에 적합

Real-time Proving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실시간 증명 기술이 필수적
•목표: 6~12초 내에 트랜잭션을 검증하여 실시간 처리 가능하도록 개선
•GPU 기반 증명 기술: 여러 개의 GPU를 활용하여 트랜잭션을 병렬 처리
•실제 적용 시기: 2025년까지 실시간 증명 시스템 완전 구현 목표

Pre-confirmations

•사전 확인: 트랜잭션이 온체인에서 완전히 확정되기 전에도 높은 확률로 결과를 예측하고 제공하는 기술
•Based Rollups와 통합하여 사용자가 즉각적인 트랜잭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할 예정

이더리움 롤업의 미래

•향후 Based Rollups 및 Native Rollups이 발전하며 확장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이 될 것
•롤업 기술을 통해 더욱 저렴하고 빠른 트랜잭션이 가능해질 것
•기관 및 정부와의 협업이 증가할 것
•더욱 강력한 탈중앙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 지속해야 함

출처
06.02.202523:10
Ethereum foundation의 Tim beiko에 따르면, Pectra 하드포크의 테스트넷 일정이 확정되었다고 합니다.

Holesky 테스트넷은 한국시간 2/25 오전 6시55분경,
Sepolia 테스트넷은 한국시간 3/5일 오후 4시 29분경 입니다.
(메인넷 일정은 3/6일 콜에서 확정될것으로 예상됩니다.)
Переслал из:
마인부우의 크립토볼 avatar
마인부우의 크립토볼
19.02.202500:36
앱스트랙트 어제밤 Cardex 보안 취약점 요약

원문 트윗
Cygaar의 사후 리포트

어제밤 Cardex의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Cardex 앱을 승인한 사용자들의 AGW (앱스트랙트 월렛)으로부터 약 400,000불이 탈취. AGW 혹은 앱스트랙트 보안의 문제가 아닌 특정 앱으로부터 발생한 취약점

해킹 원인
Cardex 웹사이트 프론트앤드에 프라이빗키가 노출되어 있었고, 공격자는 이를 이용하여 Cardex 컨트랙트를 승인한 지갑들로부터 자금을 탈취

유저가 해야할 일
Cardex 컨트랙트가 업그레이드 됐으며 지금은 문제가 해결되어 유저가 할일은 없음. 다만 잠재적인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선 주기적으로 http://revoke.abs.xyz 를 통해 앱 승인들을 취소하는 것을 권장

앞으로의 방향
앱스트랙트 포탈에 앱이 올라가기 위해서는 1-on-1 온보딩, 보안 검토 등을 받지만, 웹사이트 프론트앤드는 보안 스코프에서 빠져있었음. 앞으로 빌더와 유저가 어떻게 더 안전할 수 있을지 보안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개선할 예정

#Abstract
[Reth, v1.2 공개]
Reth는 Rust로 개발된 이더리움 실행 클라이언트로, 모듈러와 확장성을 강조합니다.
이번 v1.2에서는 Pectra 업그레이드 지원, 최대 50%의 성능 향상, 디폴트 36M 가스 리밋 등이 업데이트 되었다고 하네요!
출처
13.02.202501:22
[Arbitrum, 메인넷에 BoLD 적용]

Arbitrum이 메인넷에 permissionless한 챌린지 프로토콜인 BoLD를 적용했습니다. 이를 통해, 필요한 자금만 가지고 있다면 누구나 Arbitrum의 상태 루트 검증에 참여하여 챌린지를 생성하고, 보안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번 BoLD 런칭으로 Arbitrum은 Stage 2에 한 발짝 더 다가가게 되었네요.
[SP1 Prover 네트워크 테스트넷 라이브]

가장 빠른 zkVM 중 하나인 SP1을 만들고 있는 Succinct가, SP1 prover 네트워크의 테스트넷을 공개했습니다. 단순히 중앙화된 클러스터에서 ZK 증명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토큰 리워드 중심의 탈중앙화된 네트워크를 통해 증명을 생성하겠다는 것입니다.

물론 아직 prover를 직접 운영할 수는 없는 것으로 보이며, 네트워크에 10 USDC를 지불하고 증명 생성을 요청해볼 수만 있습니다. 향후 몇 달 내 prover 운영 부분도 퍼블릭하게 오픈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향후 Beam chain이나 Stage 1 ZK 롤업 등 누구나 ZK 증명을 생성할 수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더리움의 미래 톺아보기] 시리즈 #2: 검열 저항성

현재 이더리움 블록 생산은, 안타깝게도 매우 중앙화되어 있습니다. 90% 가량의 블록이 MEV-Boost를 통해 생성되는데, MEV-Boost의 블록 중 약 95%는 오직 두 명의 빌더에 의해서만 만들어지고 있죠.

PBS 및 MEV-Boost 구조에서 빌더가 중앙화되었다고 해서 사용자들의 자금이 탈취되거나 체인이 멈추는 일이 발생하진 않지만, 문제는 검열 저항입니다. 만약 모든 MEV-Boost 빌더들이 특정 유저의 트랜잭션을 검열한다고 하면, 사용자는 오로지 Non MEV-Boost 블록을 통해서만 트랜잭션을 보내야 하고, Non MEV-Boost 블록은 전체의 10% 가량만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해당 트랜잭션의 처리에는 평균 10블록(약 2분)이 걸릴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 이더리움 측은 다양한 방면의 솔루션을 고민하고 있고, 대표적으로 아래 세 가지의 솔루션이 있습니다.

1️⃣ FOCIL
⁃ 블록마다 지정된 IL 위원회가 빌더에게 ‘이 트랜잭션들은 무조건 블록에 포함해줘’하고 명령하는 방식
⁃ IL 위원회는 16명의 이더리움 밸리데이터로 구성
⁃ 빌더가 이를 블록에 포함하지 않으면, 해당 블록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빌더는 무조건 IL 위원회의 명령을 들어야 함.
⁃ 밸리데이터 위원회는 랜덤으로 선정되기 때문에 높은 검열 저항성 보장 가능


2️⃣ BRAID (Multiple Concurrent Proposer)

⁃ 매 블록을 여러 명이 제안하여, 검열의 비용을 높이는 솔루션.
⁃ 제안된 블록들은 정해진 로직에 따라 하나의 이더리움 블록으로 합쳐짐.
⁃ 온체인 옥션과 같이 트랜잭션 순서가 중요한 앱들을 MEV 걱정 없이 런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
⁃ 다만 밸리데이터 네트워크 리소스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음.


3️⃣ BuilderNet (Multiple Concurrent Builder)
⁃ PBS의 빌더 단에서의 탈중앙화를 목표로 하여, 한 블록을 여러 명의 빌더가 빌딩하는 방식
⁃ Flashbot이 제안
⁃ 초기에는 한 개의 빌더를 여러 주체가 같이 운용하는 multioperator 구조로 운영되는 중.
⁃ 향후에는, 적어도 한 명의 빌더만 검열하지 않으면 해당 트랜잭션은 블록에 포함될 수 있게끔 하는, 검열 저항을 높인 구조로 나아갈 예정


자세한 설명은 원글을 참조해 주세요!
Переслал из:
Farcaster diving avatar
Farcaster diving
06.02.202509:40
supercast가 warpcast에 합병됩니다!

supercast 를 빌딩한 woj는 supercast의 기술력을 warpcast에 합치기로 하고, warpcast자체의 성장력을 키우는것에 동의했음.

최근 supercast는 스파르탄과 시드라운드를 논의하는 와중에 시드라운드 펀딩금액을 키우는 것보다 warpcast 팀에 합류하는것이 더욱 양측의 이익이 될 것이라고 모두가 판단함. 3개월간 라이브 상태가 유지되며 이후의 구독은 모두 환불됩니다!

최근 댄라리머를 필두로 더이상 워프캐스트 커뮤니티내에서의 버블 하울링에 휘둘리지 말아야한다는 아웃메시징이 많이 들어왔고, 이에 따라서 댄라리머는 최대한 크리에이터들에게 리워드를 커뮤니티에 밀어주겠다는 자세를 취하는 듯 합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 같이 지켜보시죠 아직까지 워프캐스트는 웹2의 유입을 타겟할 수 있는 좋은 수단과 플랫폼은 맞습니다.. 화이팅!

https://x.com/superwoj/status/1887204561330311191
Переслал из:
마인부우의 크립토볼 avatar
마인부우의 크립토볼
18.02.202501:04
Why Ethereum?

https://x.com/minebuu_/status/1891500306682560843

1. The World Computer

2. 가장 분산화된 네트워크: Ethereum에는 약 1000K의 검증 노드들이 운영 중. 또한 다양한 클라이언트(Geth, Reth, Erigon 등)를 통해 네트워크의 다양성과 안정성을 유지

3. 항상 새로운 혁신이 먼저 나오는 곳: Uniswap, Opensea, Aave, Optimism Rollup, ZKP 등 수많은 혁신이 이더리움에서 시작

4. 가장 많은 블록체인 빌더: Solidity는 Ethereum의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을 위한 주요 언어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개발자들이 이를 사용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또한 Foundry, Tenderly, Alchemy, OpenZeppelin, Slither 등 풍부한 개발 인프라를 제공

5. 혁신 리더인 Vitalik과 개발자 커뮤니티에 의해 주도되는 수많은 EIP들

6. Ethereum을 중심으로 개발되는 다양한 체인들: Arbitrum, Base, Optimism, Zksync, Abstract, MegaETH, EigenLayer 등 다양한 체인들이 Ethereum 생태계를 확장 중

7. UX 개선: Account Abstraction(ERC-4337, EIP-7701), 크로스체인 솔루션 등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지속적으로 향상

단기적인 가격에 이더리움이 그동안 욕을 많이 먹었지만 비트코인도 사실 2018-2020까지 온갖 조롱을 당했다는 사실. 이더 가격이 다시 상승하면 사람들은 이더리움의 강점을 나열하기 시작할 것

#ETH
옵티미즘 레트로 펀딩이 시작되었습니다!

신청 링크 : https://atlas.optimism.io/missions/retro-funding-dev-tooling

기간 : 2월 5일 ~ 7월 31일
주제 : dev-tooling
대상 : 온체인 앱을 개발하는 개발자를 위한 컴파일러, 라이브러리, 디버깅툴과 같은 소프트웨어

이번년도부터는 레트로 펀딩의 룰이 변경되어 1회성으로 끝나지않고, 신청 기간 내내 진행됩니다.
기존에는 과거에 영향이 있던 공공재에 대한 보상을 받는 형식이었다면, 이번 회차부터는 평가 알고리즘을 통해 정기적인 주기로 제공되는 보상형태로 변경됩니다.

이에 대한 옵티미즘재단의 생각과 회고를 담은 글은 이곳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데브툴링 이외에 온체인 빌더를 위한 레트로펀딩이 상반기에 예정되어있으니, 빌더분들은 꼭 신청하시어 레트로펀딩에 참여하시길 바랍니다!

🔴✨stay optimistic
L2Beat의 리서처 Donnoh가 옵티미스틱 롤업의 출금 딜레이인 7일을 줄여도 되는지에 대한 논의의 장을 열었습니다. Donnoh는 현재로썬 두 가지 방식으로 합의를 할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1. 이더리움과 옵티미스틱 롤업에서, 7일 안에 강한 검열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구축

옵티미스틱 롤업의 출금 딜레이 7일은 이더리움에서 발생하는 강한 검열 공격에 대응하기 위함입니다. 공격자가 이더리움에 스테이킹된 지분의 일정량 이상을 차지하고 옵티미스틱 롤업의 챌린지 트랜잭션을 검열하기 시작하면, 유일한 대응 방법은 이더리움 자체를 하드 포크하는 것밖에 없습니다. 공격자가 포크 전에 자금을 다른 데로 탈취하여 현금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 하드 포크는 출금 딜레이 안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Donnoh는 리서치에서 출금 딜레이를 7일로 설정했을 때 강한 검열에 대응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다음과 같은 프로토콜을 제안합니다.
1) ~1일: 강한 검열 공격이 발생했음을 감지합니다.
2) 1일 ~ 6일: 이더리움 단에서 하드 포크를 준비합니다.
3) 6일 ~ 7일: 남은 하루 동안 챌린지 프로토콜을 마무리하여, 악의적인 상태 루트가 완결되는 것을 막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 이더리움에서 발생하는 강한 검열 공격을 하루 만에 감지할 수 있는 툴 혹은 프로토콜이 있어야 함
- 하드 포크를 5일 안에 할 수 있어야 함
- 검열이 없는 조건에서 챌린지가 하루 안에 이뤄질 만큼 챌린지 프로토콜이 효율적이여야 함

마지막 조건은 필수는 아니나, 만약 이게 불가능하다면 이더리움 하드 포크 시 코드를 수정해 체인을 뒤로 돌려야 합니다. L2를 위해 이더리움이 UX 및 중립성 훼손을 감수하며 체인을 롤백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챌린지 프로토콜의 효율성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옵티미스틱 롤업이 ZK 롤업보다 보안이 낮음을 인정하고, 출금 딜레이를 7일보다 짧은 시간으로 단축

위와 같은 강한 검열 공격이 이뤄지지 않을 것을 가정한다면, 옵티미스틱 롤업의 출금 딜레이는 7일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습니다. 그러한 가정에서는 블록 빌더 단의 약한 검열만 걱정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Arbitrum BoLD의 경우 총 챌린지 기간을 약 4.5일로 줄일 수 있으며, FOCIL과 같은 검열 저항 솔루션이 적용되면 이 기간은 더욱 짧아질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전반적으로 옵티미스틱 롤업의 보안이 ZK 롤업보다 낮아지는 것을 감수해야 합니다. ZK 롤업은 강한 검열 공격이 발생해도 자금이 탈취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Base가 시퀀싱 수입으로 벌고있는 모든 이더리움을 꾸준히 Coinbase로 보내서 팔고있다는 의혹 (트위터)이 있었습니다.

이에 Base의 strategy, ops, and grants 담당자인 @kabir_base는 지금까지 Base의 총 시퀀싱 수입의 2배 이상인 10만ETH 이상을 축적하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트위터)
밸런서(Balancer) V3 아비트럼에서 출시

밸런서 v3 주요 특징: 100% Boosted Pools, Hooks, and Custom AMMs

Uniswap V4, Lido V3에 이어서 Balancer V3도 발표가 되었습니다.

DeFi들도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는게 느껴집니다.

https://x.com/Balancer/status/1887561984918626606
Переслал из:
MegaETH_KR avatar
MegaETH_KR
MegaETH 플래그십 NFT: The Fluffle

MegaETH는 10,000개의 소울바운드 NFT 컬렉션 The Fluffle을 출시합니다. 기존 포인트 기반 에어드롭의 부작용을 피하고, 네트워크 참여를 보다 의미 있게 만들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공정한 분배와 네트워크 확장

MegaETH는 내부자 중심의 낮은 유통량과 높은 FDV 모델을 지양하며, Echo 세일을 통해 3,200명 이상의 신규 투자자를 유치했습니다. 또한, 일부 VC들에게 높은 밸류에이션으로 추가 펀딩을 받는 방식을 피하며, 유저 중심의 네트워크 확장을 추구합니다.

NFT 판매 및 참여 방식

The Fluffle NFT는 1 ETH의 가격으로 판매되며, MegaETH 네트워크의 최소 5% 이상을 대표합니다. 화이트리스트 기반으로 retroactive 및 proactive 두 단계의 판매가 진행되며, 현재 80,000개 이상의 주소가 1차 화이트리스트에 포함되었습니다.

MegaETH 팀원은 공정성을 위해 NFT를 보유하지 않으며, 자세한 정보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화리체커도 있습니다
https://www.megaeth.com/thefluffle

🌐 MegaETH(KR) l MegaETH(KR_Chat)
😃 창립자 시리즈 #5. 래티스(Lattice) 창립자들은 누구일까?

창립자 시리즈 #4: 스타크웨어 창립자들은 누구일까? 는 여기로

래티스는 이더리움에 자율 세계를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로, 이더리움 게임 엔진 MUD와 OP Stack 기반 레이어 2인 레드스톤 네트워크를 개발 및 운영하는 팀입니다. 더 자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0년, 최초의 완전한 온체인 게임 다크 포레스트(Dark Forest)이 나왔습니다. 다크 포레스트는 ZK를 활용해 게임 정보를 구현했고, 이더리움 커뮤니티의 많은 관심을 끌었습니다. 다크 포레스트를 통해 온체인 게임의 가능성에 매료된 루덴스는 래티스를 창립합니다.

루덴스 (Ludens)

⁃래티스의 창립자이자 CEO
⁃다크 포레스트 커뮤니티와 교류하며 온체인 게임 개발을 더 쉽게 만들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고민
⁃2021년 프레임워크를 만들기 위해 래티스 창립

알바리우스 (Alvarius)

⁃래티스의 공동창립자
⁃zkDungeon이라는 온체인 게임을 개발하며 온체인 게임 프레임워크의 필요성을 절감
⁃MUD의 핵심 개념인 ECS(Entity-Component-System) 패턴을 도입하여 MUD v1을 설계

래티스는 초기에 다크 포레스트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Gubsheep, Kooshaba 등 다크 포레스트 개발자들이 래티스 활동에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래티스는 8명으로 구성된 소수 팀이지만, 게임 엔진, 네트워크, 게임을 모두 개발하며 온체인 게임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다음 번에는 래티스의 프로덕트인 레스트톤 네트워크나 게임의 구조를 자세히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13.02.202502:57
OP-stack 체인의 노드 운영자들을 위한 업데이트

펙트라 업그레이드가 다가오면서 OP-stack은 펙트라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https://docs.optimism.io/notices/pectra-changes

2월 6일 ACDC 에서 공개된 Pectra 임시 예정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홀스키 네트워크 - 블럭넘버 1740434112 (월, 2월 24일 21:55:12 UTC)
세폴리아 네트워크 - 블럭넘버 1741159776(수, 3월 5일 07:29:36 UTC)
메인넷 네트워크 - 블럭넘버 1744154711(화, 4월 8일 23:25:11 UTC)

펙트라 업그레이드가 진행되는 동안 OP-stack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업그레이드를 준비하고, OP-stack 을 펙트라에 대응하기 위한 업그레이드 두가지가 진행됩니다.

펙트라 업그레이드가 가시화되고있으니 노드 운영자분들은 잊지말고 참고하세요!
11.02.202514:37
Переслал из:
도리의 코인메모 avatar
도리의 코인메모
솔라나 SVM의 Layer2, Sonic

- Sonic은 솔라나 SVM을 사용하는 이더리움의 Layer2임.

- Sonic은 이더리움 L2는 이더리움과 공생하는 것이 아닌 이더리움을 착취한다고 주장함.

- 기존 L2들은 유저의 가스비에서 DA 비용을 제하면 나머지는 L2 수익으로 들어감.

- 여기서 기존 L2들은 수익화를 위해 가스비로 모인 $ETH 을 현금화해버림. 이는 이더리움에서 돈을 벌어 L2 운영 주체들이 가져가는 모델인 것임.

- Sonic이 하는 전략은 유저가 tx를 실행하면 가스비의 90%가 Dapp으로 전달하는 것임. 나머지 10%만 Validator에게 돌아감.

- Sonic의 목표는 생태계 내부에서 가치가 순환되도록 만드는 것임.

- Sonic은 이 수익구조로 팀을 운영하고, 커뮤니티를 성장시키고, 프로덕트를 개선하도록 만드는 것임.

https://x.com/SonicAssistant/status/1888339143459049883
[Lido V3 출시 예정]

Lido가 V3에 대한 티저를 공개했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공개하진 않은듯 하네요.

https://x.com/lidofinance/status/1887515767333089743?s=46&t=tS5tUnp3JbKDOzdjOqzBwQ
소니움 OG 뱃지 획득 방법

소니움이 초기 유저들을 위한 "OG 뱃지"를 발표했습니다. (출처)

OG 뱃지 신청 조건

25년 2월 27일 이전에 소니움에서 45개의 트랜잭션 생성

소니움 갤럭시 퀘스트 링크도 올린 것을 보아 퀘스트하면서 자연스럽게 트랜잭션을 만들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소니움 #이더리움L2
Показано 1 - 24 из 47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