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메리츠 윤여삼 채권/자산 이야기 avatar

메리츠 윤여삼 채권/자산 이야기

메리츠증권 채권/자산분석

안녕하세요 메리츠 채권/자산배분 담당 윤여삼입니다. 금융시장이라는 정글을 함께 헤쳐나가는 길잡이와 같은 전문가가 되겠습니다
투자전략
Рейтинг TGlist
0
0
ТипПубличный
Верификация
Не верифицированный
Доверенность
Не провернный
Расположение
ЯзыкДругой
Дата создания каналаJan 12, 2022
Добавлено на TGlist
Oct 21, 2024

Рекорды

17.04.202523:59
2KПодписчиков
04.01.202523:59
300Индекс цитирования
03.04.202511:14
11.3KОхват одного поста
17.04.202506:53
868Охват рекламного поста
12.04.202523:59
4.91%ER
04.04.202516:15
601.33%ERR

Популярные публикации 메리츠 윤여삼 채권/자산 이야기

11.04.202500:57
진정되지 않는 미국채 금리 - 메리츠 윤여삼 -

미국채 10년 금리가 다시 아시아 시장에서 4.5%를 향해 오르고 있습니다. 동시에 NYBT 달러인덱스는 100pt를 하회하며, 유로화와 엔화가 1%를 넘는 강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전일 트럼프 관세유예로 안정을 찾는 듯 보였던 금융시장은 다시 패닉 분위기입니다. 미국채 매도를 촉발하고 있는 본드스왑 베이시스 트레이딩 청산도 아직 마무리 되지 않았다(스왑베이시스 정상화 지연)는 소식과 외부 세력의 미국채 매도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중국의 미국채 매도가 부각되었는데 정부보다는 은행 중심 금융회사 매도가 핵심이라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여기에엔화 절상 부담으로 일본 금융회사(보험사)들의 미국채 매도 이야기까지 가세하고 있는데 금일 일본금리 하락과 연결해 스토리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독일채나 영국채 금리가 미국대비 하락하는 것에도 스토리는 적용됩니다. 심지어 최근 국내 채권시장 외국인 유입까지도 일부 연관지어 해석하기 시작했습니다.

과거 위기국면 엔화가 절상되더라도 하락했던 미국금리가 이번에 인과관계가 깨진 것은 신뢰성 문제와 직결됩니다. 국가간 정치적 이해관계보다 민간의 공포에 따른 매도라면 트럼프의 정책은 빨리 균형을 찾아야 합니다.

미국채의 안전자산 지위를 담보로 나선 모험은 중단되어야 합니다. 작금의 달러약세가 마러라고 협정이 의미하는 내용과 다르다는 점은 분명해 보입니다.

미국채 금리안정이 기존 금융시장 인과관계를 복원시키는 첫단추입니다.
09.04.202507:50
📮[메리츠증권 채권전략 윤여삼]

Policy Watcher: 미국채 금리급등: Trump Tariff의 나비효과 2025.4.9(목)

- 4월 2일 미국 ‘해방의 날’ 관세부과 이후 4월 4일과 7일까지 장중 3.8%대 중반까지 급락하던 미국채10년 금리가 4월 9일 불과 2영업일만에 4.5%를 넘어서며 급등

- 미국채 급등의 내부적 요인은 1)단기간 금리가 급락할 것에 베팅한 과도한 레버리지(스왑 및 선도거래 등)에 대한 역작용이 본질. 이는 2020년 펜데믹 과정에서도 일시적 유동성 위기로 유사성 존재. 다만, 트리거는 2)중국 중심 미국채 매도 가능성 주목. 실제 데이터 확인은 어렵지만, 2020년과 달리 달러 약세 & 아시아 시장 급등

- 트럼프 관세충격의 수습은 정치적 타협 & 연준의 유동성 공급 여부 중요할 것

(자료) https://tinyurl.com/y8xt8mt2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채권전략 개별 텔래그램 링크: https://t.me/bondasset
09.04.202504:12
미국채10년 4.5% 급등 - 메리츠 윤여삼 -

이건 말이 안되는 투매입니다

표면적으로는 지금 본드스왑 문제 즉 금리 급락에 과하게 베팅하다가 그게 언와인딩이 걸리면서 투매가 나오고 있다고 하는데요. 가격 민감도가 가장 높은 30년이 가장 심각한 모습입니다.

일단 핵심은 중국이 미국채 매도를 하고 있다는 이야기 같습니다. 미국채 공급이 비대해진 상황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심을 무너뜨렸다는 점에서 이게 예상치 못한 채권 패닉장세를 만든것 같습니다.

실데이터로 확인이 불가하나 현재 아시아 시장에서 미국금리가 급등한다는 점과 달러의 급격한 약세를 연결하면 외국인 미국채 매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중국 등 외인들 매도가 진정되고 그래야 미국내 스왑 스프레드 등의 위험이 낮아져야 진정될 것 같습니다. 일부 주가 하락에 따른 헷지펀드의 마진콜이 채권 시장에 영향을 주었다고 말하기에 이전 위기국면에서 금리가 하락했던 것과는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현재 미국채 금리급등은 일단 수급적 이유와 정치적 논란이 크다는 점에서 펀더멘탈로 설명이 안됩니다. 금일 트럼프의 상호관세 부과와 맞물려 금리급등이 중요한 변수가 될 공산이 커졌습니다.

우리는 여전히 미국채10년 2분기 4% 중심 등락을 예상하며, 현재는 수급 왜곡 구간으로 판단합니다.
📮 [메리츠 선진국 투자전략 황수욱]
2025.4.14

미국 상/하원 감세안 통과와
재정위기 우려

(자료) https://tinyurl.com/yz299meu

TCJA 감세안 연장 및 부채한도 상향 내용을 담은 예산안이 4/5 상원통과에 이어 4/10 하원까지 통과했습니다. 2034년까지 5.8조의 추가 적자를 용인하지만, 40억 달러의 지출 삭감만을 요구하는 내용입니다.

CRFB(연방예산위원회)는 해당 예산안 실행시 2034년까지 이자비용 추정치 1.1조 달러를 포함, 약 7조 달러의 추가 부채 부담을 유발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에 따라 GDP 대비 정부부채 규모는 2025년말 100% 수준에서 2034년 134%로 늘어나 현행법 하에서 예상되던 117% 대비 부채가 두배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부채-이자 스파이럴, 재정위기를 우려한다고 평가했습니다.

* 메리츠 선진국 전략 개별 텔레그램 링크: https://t.me/soowook_hwang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4.04.202508:17
당사 황수욱 연구원이 작성한 지난 주말 미국 하원을 통과한 예산안 내용입니다

현재 누가 미국채를 매도하느냐에 관심이 많지만 재정 건전화에 대한 의구심도 커지고 있습니다. 계획대로 감세가 진행되면 미국 재정적자는 급격히 확대될 수 있습니다. 베센트의 재정건전화 계획에 전면적 배치되는 결과입니다.

이제 미국채권 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무역전쟁 충격이 절반 이하로 줄어야 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감세를 위한 관세부과가 불가피할 수 있습니다. 향후 잘 관찰해서 향후 미국금리 전망에 녹이도록 하겠습니다.
17.04.202504:23
📮 [메리츠증권 채권전략 윤여삼]

Policy Watcher: 한국 금통위(4월) 지금은 알 수 없어 2025.4.17(목)

- 2.75% 동결, 인하 소수의견 1명(신성환), 포워드 가이던스 3개월 이내 6명 인하 가능성, 5월 금리인하 시사 등 예상한 범위에서 전혀 벗어나지 않은 4월 금통위

- 포인트는 1)경기둔화 관련 1분기 마이너스(-) 성장까지 인정하면서도 둔화폭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높고, 2)추가 인하폭에 대한 여지 또한 현재는 이야기할 수 없다고 전언. 5월 수정경제전망과 함께 금리인하 단행 이후 연내 인하 기대치 정리될 것

- 당사는 한은 성장 전망치 1%초반 하향을 예상하나, 6월 대선 전후 재정정책의 강도를 고려할 때 올해 금리인하는 2.25%에 그친다는 기존 의견을 유지 중

(자료) https://tinyurl.com/yf5peybm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 채권전략 개별 텔래그램 링크: https://t.me/bondasset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