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4.202523:02
[인터뷰] 유튜브 쇼핑 콘텐츠, 1년에 350억 시간 시청… 트래비스 카츠 부사장 “韓 제휴 파트너 확대해 생태계 키우겠다”
카츠 부사장은 “한국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물건을 구입하는 게 익숙하다. 이커머스가 문화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비디오 커머스도 마찬가지다. 제휴 프로그램을 한국에 먼저 론칭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지난 3월 기준 한국에선 2만5000명 이상의 크리에이터가 유튜브 쇼핑에 참여하고 있다. 제휴 프로그램 출시 후 제품이 태그된 동영상의 수는 95만개가 넘는다”고 덧붙였다.
(...)
시장조사기관 입소스(Ipsos)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인스타그램, 틱톡 등 다른 소셜 플랫폼 크리에이터 대비 유튜브 크리에이터의 추천을 98% 더 신뢰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
시청자가 크리에이터의 영상에 태그된 제품을 클릭하면 유튜브 안에서 주문, 결제를 하는 것이 아니라 쿠팡 또는 판매자의 스토어로 이동하게 된다. 카츠 부사장은 “시청자 편의를 위해 향후 유튜브에서 (팝업 형태로) 구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지만, 유튜브가 직접 결제를 처리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
유튜브 쇼핑 제휴프로그램은 미국과 한국에 이어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인도, 싱가포르 등에 선보였다. 카츠 부사장은 “온라인 쇼핑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지역에 제휴 프로그램을 먼저 선보였는데 전 세계로 확장할 예정”이라며 “시청자들이 모든 제품을 유튜브 쇼핑을 통해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다. 사용자, 크리에이터, 브랜드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글로벌 마켓플레이스를 만들겠다”라고 했다.
https://naver.me/G58q3qJ8
카츠 부사장은 “한국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물건을 구입하는 게 익숙하다. 이커머스가 문화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비디오 커머스도 마찬가지다. 제휴 프로그램을 한국에 먼저 론칭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지난 3월 기준 한국에선 2만5000명 이상의 크리에이터가 유튜브 쇼핑에 참여하고 있다. 제휴 프로그램 출시 후 제품이 태그된 동영상의 수는 95만개가 넘는다”고 덧붙였다.
(...)
시장조사기관 입소스(Ipsos)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인스타그램, 틱톡 등 다른 소셜 플랫폼 크리에이터 대비 유튜브 크리에이터의 추천을 98% 더 신뢰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
시청자가 크리에이터의 영상에 태그된 제품을 클릭하면 유튜브 안에서 주문, 결제를 하는 것이 아니라 쿠팡 또는 판매자의 스토어로 이동하게 된다. 카츠 부사장은 “시청자 편의를 위해 향후 유튜브에서 (팝업 형태로) 구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지만, 유튜브가 직접 결제를 처리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
유튜브 쇼핑 제휴프로그램은 미국과 한국에 이어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인도, 싱가포르 등에 선보였다. 카츠 부사장은 “온라인 쇼핑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지역에 제휴 프로그램을 먼저 선보였는데 전 세계로 확장할 예정”이라며 “시청자들이 모든 제품을 유튜브 쇼핑을 통해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다. 사용자, 크리에이터, 브랜드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글로벌 마켓플레이스를 만들겠다”라고 했다.
https://naver.me/G58q3qJ8


21.04.202523:28
한국전력, 장기 채널 상단 Try


20.04.202523:40
모멘텀, LowVol 200ma 하회


20.04.202514:54
연속적인 외국인 수급도 눈에 띔


20.04.202514:54
Dollar Index Futures 99.13
USD/KRW 1,423.5
U.S. 10Y 4.332
Crude Oil WTI (NYMEX 선물) 64.0
GOLD (COMEX 선물) 3,341
구리 (LME 선물) 9,230
Bitcoin 84,485
USD/KRW 1,423.5
U.S. 10Y 4.332
Crude Oil WTI (NYMEX 선물) 64.0
GOLD (COMEX 선물) 3,341
구리 (LME 선물) 9,230
Bitcoin 84,485


20.04.202514:53
외국인 순매수 TOP 5
- 시가총액 대비 비중 기준
1) 유틸리티 +0.26%, +736억 원
2) 통신서비스 +0.13%, +395억 원
3) 호텔,레저서비스 +0.12%, +117억 원
4) 조선 +0.09%, +993억 원
5) 필수소비재 +0.08%, +455억 원
- 절대금액 기준
1) 조선 +993억 원
2) 유틸리티 +736억 원
3) 필수소비재 +455억 원
4) 통신서비스 +395억 원
5) 보험 +323억 원
- 시가총액 대비 비중 기준
1) 유틸리티 +0.26%, +736억 원
2) 통신서비스 +0.13%, +395억 원
3) 호텔,레저서비스 +0.12%, +117억 원
4) 조선 +0.09%, +993억 원
5) 필수소비재 +0.08%, +455억 원
- 절대금액 기준
1) 조선 +993억 원
2) 유틸리티 +736억 원
3) 필수소비재 +455억 원
4) 통신서비스 +395억 원
5) 보험 +323억 원
post.reposted: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3.04.202522:50
2025.04.24 07:43:04
기업명: SK하이닉스(시가총액: 131조 7,68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76,391억(예상치 : 173,839억+/ 1%)
영업익 : 74,405억(예상치 : 66,324억/ +12%)
순이익 : 81,071억(예상치 : 53,761억+/ 5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76,391억/ 74,405억/ 81,071억
2024.4Q 197,670억/ 80,828억/ 80,065억
2024.3Q 175,731억/ 70,300억/ 57,534억
2024.2Q 164,233억/ 54,685억/ 41,200억
2024.1Q 124,296억/ 28,860억/ 19,17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48000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660
기업명: SK하이닉스(시가총액: 131조 7,68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76,391억(예상치 : 173,839억+/ 1%)
영업익 : 74,405억(예상치 : 66,324억/ +12%)
순이익 : 81,071억(예상치 : 53,761억+/ 5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76,391억/ 74,405억/ 81,071억
2024.4Q 197,670억/ 80,828억/ 80,065억
2024.3Q 175,731억/ 70,300억/ 57,534억
2024.2Q 164,233억/ 54,685억/ 41,200억
2024.1Q 124,296억/ 28,860억/ 19,170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480000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660


21.04.202508:13
■ 화장품 Charts of week: 로레알 실적 발표에서 찾는 투자 아이디어 (한국투자증권 김명주 위원)
[요약]
- 로레알 1QFY25 실적 시장 기대치를 2.5% 상회
: 이번 실적에서 북미 매출은 기대보다 부진했고(YoY -1.4%), 중국은 우려보다는 양호(중국 포함된 북아시아 +8.4%)
: 24년 역성장했던 중국 시장에서 매출 증가를 목표하고 있다고 코멘트
- 로레알의 실적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중국 화장품 산업 바닥 다지는 중
: 중국 경기 부양 의지가 강하기에 2~3분기에는 산업 매출이 증가할 가능성 높다고 판단
: 로레알도 중국 시장이 현재 안정화 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판단한다고 언급
[첨언]
중국 화장품 시장이 살아날 조짐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한다는 데이터와 코멘트들이 최근 늘어나고 있습니다.
K뷰티 입장에서는 유럽/중동 등 새로운 지역으로의 빠른 확장이 나타나고 있으며, 북미도 높아진 레벨에서 추가 성장이 나오고 있는 구간에서 중국까지 턴어라운드 해준다면 또 다른 업사이드가 생길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아직까지 명확한 턴어라운드 데이터가 나온 것은 아니며 과거 대비 중국 시장 내 K뷰티 입지가 줄어든 상태라는 점은 고려해야겠으나, 한한령 해제 분위기 및 조기 대선으로 인한 정권 교체 가능성 등 중국과의 관계 개선 흐름이 강해진다면 생각보다 더욱 수혜를 받을 가능성도 충분합니다.
이미 분위기가 좋은 K뷰티에 또 다른 업사이드 요인이 추가될 수 있을 지 추적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작성: 우산 X NNN의 아이디어 https://t.me/WoosanXNNN)
[요약]
- 로레알 1QFY25 실적 시장 기대치를 2.5% 상회
: 이번 실적에서 북미 매출은 기대보다 부진했고(YoY -1.4%), 중국은 우려보다는 양호(중국 포함된 북아시아 +8.4%)
: 24년 역성장했던 중국 시장에서 매출 증가를 목표하고 있다고 코멘트
- 로레알의 실적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중국 화장품 산업 바닥 다지는 중
: 중국 경기 부양 의지가 강하기에 2~3분기에는 산업 매출이 증가할 가능성 높다고 판단
: 로레알도 중국 시장이 현재 안정화 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판단한다고 언급
[첨언]
중국 화장품 시장이 살아날 조짐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한다는 데이터와 코멘트들이 최근 늘어나고 있습니다.
K뷰티 입장에서는 유럽/중동 등 새로운 지역으로의 빠른 확장이 나타나고 있으며, 북미도 높아진 레벨에서 추가 성장이 나오고 있는 구간에서 중국까지 턴어라운드 해준다면 또 다른 업사이드가 생길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아직까지 명확한 턴어라운드 데이터가 나온 것은 아니며 과거 대비 중국 시장 내 K뷰티 입지가 줄어든 상태라는 점은 고려해야겠으나, 한한령 해제 분위기 및 조기 대선으로 인한 정권 교체 가능성 등 중국과의 관계 개선 흐름이 강해진다면 생각보다 더욱 수혜를 받을 가능성도 충분합니다.
이미 분위기가 좋은 K뷰티에 또 다른 업사이드 요인이 추가될 수 있을 지 추적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작성: 우산 X NNN의 아이디어 https://t.me/WoosanXNNN)


20.04.202523:40
퀄리티, 밸류 200ma & 20ma 모두 상회


20.04.202514:54
성과순위 그리 높지 않았던 유틸리티 연속 좋은 모습


20.04.202514:54
S&P500 12m fwd P/E 19.1x
S&P500 12m fwd P/E 3yr Avg. 19.2x
S&P500 12m fwd P/E 5yr Avg. 20.1x
S&P500 12m fwd EPS 277.09
S&P500 12m fwd P/E 3yr Avg. 19.2x
S&P500 12m fwd P/E 5yr Avg. 20.1x
S&P500 12m fwd EPS 277.09


20.04.202514:53
KOSPI 외국인 -1.27조 원 순매도
KOSPI 기관 -0.61조 원 순매수
코스닥 외국인 -0.15조 원 순매도
코스닥 기관 -564억 원 순매도
KOSPI 기관 -0.61조 원 순매수
코스닥 외국인 -0.15조 원 순매도
코스닥 기관 -564억 원 순매도
22.04.202509:57
■ 우산 X NNN Pick 하루를 돌아보는 뉴스 정리(04.22)
(https://m.blog.naver.com/s1kkw/223842954802)
"트럼프, 시진핑과 '직접 대화' 고집하며 밀당…무역협상 지연"(뉴시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95391?sid=104
: 자존심 싸움 양상으로 진행되는 중. 미국 언론에서는 시진핑이 트럼프와의 대화를 수차례 거절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음. 트럼프가 더 급해보이는 모습이 자꾸 포착되는 중
트럼프, 연준의장 또 압박…관세 역효과시 '희생양' 삼을까(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43362?sid=104
: 실제 금리 인하 압박 목적도 있겠으나 현재의 답답한 상황에 대한 핑계거리로도 쓰려는 생각도 엿보임. 파월의 스탠스로 보아 실제 금리 인하에 영향을 크게 주기는 어려울 듯
트럼프 지지율, 취임후 최저 42%…'3선 도전 반대' 75%(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43790?sid=104
: 여론은 점점 트럼프의 행동에 대해 피로감을 느끼는 중. 트럼프의 시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음
美, 6월부터 동남아産 中 태양광 제품에 고율 관세… 한화솔루션 반사이익(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71225?sid=101
: 미국이 태양광 관련해서 중국의 우회로까지 확실히 차단해주는 움직임이 나오고 있음. IRA 보조금까지 유지된다면 확실히 턴어라운드에 대한 기대감이 올라올 수 있음
엔비디아, 중국용 AI 칩 이어 그래픽카드도 제동… “美 정부 눈치에 선제적 출하 중단”(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71074?sid=105
: 일반 GPU까지 중국 수출이 중단
화웨이, 엔비디아 빈 자리 채운다...AI칩 대량 출하(문화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704676?sid=104
: 중국 자체적으로 얼마나 이에 대한 타격을 커버할 수 있을 지는 차후에 확인이 필요하겠으나 물량 출하는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임
MS 이어 아마존도 데이터센터 확장 제동…"美 관세 타격"(지디넷코리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71560?sid=105
: 용량 관리 차원이라고 언급하였으나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는 뉴스. MS에 이어 아마존도 데이터 센터 확장 속도조절 시작. 다만 AI 과잉투자 이슈 자체보다는 관세로 인한 이커머스 타격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음
軍정찰위성 4호기도 발사 성공…대북 감시망 더 촘촘해진다(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44489?sid=100
: 자체 발사는 아니지만 위성 기술력 자체는 우리나라도 올라오고 있음. 꿈이 있기에 꾸준한 관심이 필요한 섹터
[오일 Drive]“건조한 모래바람…K뷰티 바람으로 막아볼까”(이데일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93784?sid=101
: 중동/유럽 등 새로운 지역 확장에 대한 K뷰티 뉴스 플로우는 여러 갈래로 계속해서 나오고 있음
해외 진출 올리브영, 미·일 전략 다른 이유는(더벨)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4161804517520104820
: 이미 많은 데이터를 쌓고 있기에 브랜드/유통 기업 모두 지역에 맞는 알맞은 전략을 설정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것으로 판단됨
세계서 25억명이 하루 평균 49분 시청… 광고 수익만 年 51조(조선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00892?sid=104
: 유튜브의 영향력 확대는 전 세계에 걸쳐서 계속 강해지고 있음. 이러한 흐름이 당분간 꺾이기는 매우 어려워 보임
(https://m.blog.naver.com/s1kkw/223842954802)
"트럼프, 시진핑과 '직접 대화' 고집하며 밀당…무역협상 지연"(뉴시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95391?sid=104
: 자존심 싸움 양상으로 진행되는 중. 미국 언론에서는 시진핑이 트럼프와의 대화를 수차례 거절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음. 트럼프가 더 급해보이는 모습이 자꾸 포착되는 중
트럼프, 연준의장 또 압박…관세 역효과시 '희생양' 삼을까(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43362?sid=104
: 실제 금리 인하 압박 목적도 있겠으나 현재의 답답한 상황에 대한 핑계거리로도 쓰려는 생각도 엿보임. 파월의 스탠스로 보아 실제 금리 인하에 영향을 크게 주기는 어려울 듯
트럼프 지지율, 취임후 최저 42%…'3선 도전 반대' 75%(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43790?sid=104
: 여론은 점점 트럼프의 행동에 대해 피로감을 느끼는 중. 트럼프의 시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음
美, 6월부터 동남아産 中 태양광 제품에 고율 관세… 한화솔루션 반사이익(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71225?sid=101
: 미국이 태양광 관련해서 중국의 우회로까지 확실히 차단해주는 움직임이 나오고 있음. IRA 보조금까지 유지된다면 확실히 턴어라운드에 대한 기대감이 올라올 수 있음
엔비디아, 중국용 AI 칩 이어 그래픽카드도 제동… “美 정부 눈치에 선제적 출하 중단”(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71074?sid=105
: 일반 GPU까지 중국 수출이 중단
화웨이, 엔비디아 빈 자리 채운다...AI칩 대량 출하(문화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704676?sid=104
: 중국 자체적으로 얼마나 이에 대한 타격을 커버할 수 있을 지는 차후에 확인이 필요하겠으나 물량 출하는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임
MS 이어 아마존도 데이터센터 확장 제동…"美 관세 타격"(지디넷코리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71560?sid=105
: 용량 관리 차원이라고 언급하였으나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는 뉴스. MS에 이어 아마존도 데이터 센터 확장 속도조절 시작. 다만 AI 과잉투자 이슈 자체보다는 관세로 인한 이커머스 타격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음
軍정찰위성 4호기도 발사 성공…대북 감시망 더 촘촘해진다(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44489?sid=100
: 자체 발사는 아니지만 위성 기술력 자체는 우리나라도 올라오고 있음. 꿈이 있기에 꾸준한 관심이 필요한 섹터
[오일 Drive]“건조한 모래바람…K뷰티 바람으로 막아볼까”(이데일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993784?sid=101
: 중동/유럽 등 새로운 지역 확장에 대한 K뷰티 뉴스 플로우는 여러 갈래로 계속해서 나오고 있음
해외 진출 올리브영, 미·일 전략 다른 이유는(더벨)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4161804517520104820
: 이미 많은 데이터를 쌓고 있기에 브랜드/유통 기업 모두 지역에 맞는 알맞은 전략을 설정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것으로 판단됨
세계서 25억명이 하루 평균 49분 시청… 광고 수익만 年 51조(조선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00892?sid=104
: 유튜브의 영향력 확대는 전 세계에 걸쳐서 계속 강해지고 있음. 이러한 흐름이 당분간 꺾이기는 매우 어려워 보임
21.04.202507:32
■ 우산 X NNN Pick 하루를 돌아보는 뉴스 정리(04.21)
(https://m.blog.naver.com/s1kkw/223841592523)
트럼프가 적시한 8가지 비관세장벽…첫번째는 '환율 조작'(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41194?sid=104
: 관세 압박이 어느 정도 마무리 된 이후에는 환율을 건드릴 수 있을 듯. 트럼프의 뜻대로 된다면 원화 강세 구간이 나타날 수 있음
美 "지분 25% 이상 보유만해도 中 선박"..K조선 역할 중요(파이낸셜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38595?sid=101
: 규제 강도는 당초 예상보다 약간은 약해졌으나 범위는 꽤나 넓은 것으로 파악됨. 특히 제재가 실제로 시작되었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평가
이재명 "주가지수 5천 시대 열겠다…상법 개정 재추진"(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41375?sid=100
: 점점 이재명 후보의 공약이 구체화되는 중. 워낙 디스카운트 요인이 많기 때문에 실적 성장과 상관없이 디스카운트만 해소되더라도 올라갈 룸은 크게 열릴 수 있음. 특히 자사주 매입시 소각 원칙도 언급
이재명 "첨단 기술만이 세계 주도…과학기술 R&D 예산 대폭 확대할 것"(뉴시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94943?sid=100
: R&D 예산도 다시 대폭 늘리겠다고 선언. 수혜를 입는 기업들이 분명 나타날 수 있음. AI나 반도체 관련 소부장 등이 혜택을 입을 수 있을 듯
[AI는 지금] 대선 후보들, AI 전쟁 돌입…누가 미래 기술의 설계자 될까(지디넷코리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71287?sid=105
: 세부 방향은 다르겠으나 누가 정권을 잡더라도 AI에 대한 국내 투자는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임
“엔비디아 H20 中 수출 통제로 웃는 건 화웨이”(조선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00054?sid=105
: 수출 규제가 결국 중국 AI 반도체 기술력을 더 빠르게 발전시킬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음. 실제로도 통제 이후에 오히려 발전 속도가 빨라진 면도 있기에 계속 살펴봐야할 부분
中 CXMT, 올해 D램 생산량 68% 확대… “SK하이닉스 절반 근접”(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70273?sid=105
: 메모리 분야에서도 중국 침투가 계속되고 있고 생산량을 지속 확대중. 다만 품질 문제가 있어서 국내 메모리 업체들에게 재차 주문이 몰리고 있다는 이야기도 업계에서 나오고 있기에 너무 공포에 빠질 필요는 없음
美 공장서 1조7000억 손실 낸 TSMC… 2나노 양산 앞두고 수익성 ‘고심’(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71054?sid=105
: 미국 내에서 경제성을 맞추면서 생산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닌 상황. 생산성을 높이려는 작업도 계속되겠으나 고객사에게 전가하려는 움직임도 계속될 수도 있음
삼성전자, 건설 중인 자산만 53조…美 테일러 공장 내년말 가동(머니투데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83136?sid=101
: 예정대로 내년 말 가동 예정. TSMC처럼 슈퍼 을의 위치라면 가격 전가가 가능하겠으나 삼성전자는 그러기 어려운 상황. 파운드리는 가뜩이나 손실이 많은 상황인데 미국 공장에서 어떻게 돈을 벌 수 있을 지 걱정이 되는 것도 사실
샤넬·디올 제치고 '넘버1' 꿰찬 K뷰티…도쿄 시부야 홀렸다[비크닉](중앙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35192?sid=101
: 최근 주요 매체에서 K뷰티 관련하여 실제 행사장, 외국 매장 방문 등을 통한 심층 분석 기사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음. 눈으로 확장이 보이고 있으며 이제는 하나의 카테고리가 아니라 주류라고 보아야하는 단계
북미 휩쓰는 K-애니 '킹 오브 킹스'…일주일 만에 '500억' 수익(JTBC)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437916?sid=103
: K콘텐츠도 여러 방면에서 계속해서 꿈틀대고 있음
아나패스, '엔비디아 블랙웰' 기반 최신 기술 호환성 인증(한국경제TV)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206484?sid=101
: 아나패스 입장에서는 게이밍 노트북 시장 내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
(https://m.blog.naver.com/s1kkw/223841592523)
트럼프가 적시한 8가지 비관세장벽…첫번째는 '환율 조작'(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41194?sid=104
: 관세 압박이 어느 정도 마무리 된 이후에는 환율을 건드릴 수 있을 듯. 트럼프의 뜻대로 된다면 원화 강세 구간이 나타날 수 있음
美 "지분 25% 이상 보유만해도 中 선박"..K조선 역할 중요(파이낸셜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38595?sid=101
: 규제 강도는 당초 예상보다 약간은 약해졌으나 범위는 꽤나 넓은 것으로 파악됨. 특히 제재가 실제로 시작되었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평가
이재명 "주가지수 5천 시대 열겠다…상법 개정 재추진"(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341375?sid=100
: 점점 이재명 후보의 공약이 구체화되는 중. 워낙 디스카운트 요인이 많기 때문에 실적 성장과 상관없이 디스카운트만 해소되더라도 올라갈 룸은 크게 열릴 수 있음. 특히 자사주 매입시 소각 원칙도 언급
이재명 "첨단 기술만이 세계 주도…과학기술 R&D 예산 대폭 확대할 것"(뉴시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94943?sid=100
: R&D 예산도 다시 대폭 늘리겠다고 선언. 수혜를 입는 기업들이 분명 나타날 수 있음. AI나 반도체 관련 소부장 등이 혜택을 입을 수 있을 듯
[AI는 지금] 대선 후보들, AI 전쟁 돌입…누가 미래 기술의 설계자 될까(지디넷코리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71287?sid=105
: 세부 방향은 다르겠으나 누가 정권을 잡더라도 AI에 대한 국내 투자는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임
“엔비디아 H20 中 수출 통제로 웃는 건 화웨이”(조선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900054?sid=105
: 수출 규제가 결국 중국 AI 반도체 기술력을 더 빠르게 발전시킬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음. 실제로도 통제 이후에 오히려 발전 속도가 빨라진 면도 있기에 계속 살펴봐야할 부분
中 CXMT, 올해 D램 생산량 68% 확대… “SK하이닉스 절반 근접”(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70273?sid=105
: 메모리 분야에서도 중국 침투가 계속되고 있고 생산량을 지속 확대중. 다만 품질 문제가 있어서 국내 메모리 업체들에게 재차 주문이 몰리고 있다는 이야기도 업계에서 나오고 있기에 너무 공포에 빠질 필요는 없음
美 공장서 1조7000억 손실 낸 TSMC… 2나노 양산 앞두고 수익성 ‘고심’(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71054?sid=105
: 미국 내에서 경제성을 맞추면서 생산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닌 상황. 생산성을 높이려는 작업도 계속되겠으나 고객사에게 전가하려는 움직임도 계속될 수도 있음
삼성전자, 건설 중인 자산만 53조…美 테일러 공장 내년말 가동(머니투데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5183136?sid=101
: 예정대로 내년 말 가동 예정. TSMC처럼 슈퍼 을의 위치라면 가격 전가가 가능하겠으나 삼성전자는 그러기 어려운 상황. 파운드리는 가뜩이나 손실이 많은 상황인데 미국 공장에서 어떻게 돈을 벌 수 있을 지 걱정이 되는 것도 사실
샤넬·디올 제치고 '넘버1' 꿰찬 K뷰티…도쿄 시부야 홀렸다[비크닉](중앙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35192?sid=101
: 최근 주요 매체에서 K뷰티 관련하여 실제 행사장, 외국 매장 방문 등을 통한 심층 분석 기사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음. 눈으로 확장이 보이고 있으며 이제는 하나의 카테고리가 아니라 주류라고 보아야하는 단계
북미 휩쓰는 K-애니 '킹 오브 킹스'…일주일 만에 '500억' 수익(JTBC)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437916?sid=103
: K콘텐츠도 여러 방면에서 계속해서 꿈틀대고 있음
아나패스, '엔비디아 블랙웰' 기반 최신 기술 호환성 인증(한국경제TV)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206484?sid=101
: 아나패스 입장에서는 게이밍 노트북 시장 내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


20.04.202514:54
■ 다음 주 스케쥴 점검 (현지시각 기준)
Check Point 1) 테슬라(화), SK하이닉스/알파벳(목) 등 주요 종목 실적발표
Check Point 2) 최상목 경제부총리 G20 재무장관회의 참석
Check Point 3) 민주당 대선 후보 선출(금)
Check Point 4) 다음주 MSFT/META/AAPL 및 삼성전자 등 주요종목 실적 발표
Check Point 1) 테슬라(화), SK하이닉스/알파벳(목) 등 주요 종목 실적발표
Check Point 2) 최상목 경제부총리 G20 재무장관회의 참석
Check Point 3) 민주당 대선 후보 선출(금)
Check Point 4) 다음주 MSFT/META/AAPL 및 삼성전자 등 주요종목 실적 발표


20.04.202514:54
대형주 보다도 중형주-소형주 회복 빠름


20.04.202514:54
US Sector GICS Level 2 기준 성과 TOP 5
- Food, Beverage & Tobacco등 필수소비재(방어주) 등만 200ma & 20ma 상회
1) Equity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REITs)
2) Energy
3) Utilities
4) Pharmaceuticals, Biotechnology & Life Sciences
5) Telecommunication Services
- Food, Beverage & Tobacco등 필수소비재(방어주) 등만 200ma & 20ma 상회
1) Equity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REITs)
2) Energy
3) Utilities
4) Pharmaceuticals, Biotechnology & Life Sciences
5) Telecommunication Services


20.04.202514:53
KOSPI 12m fwd P/E 8.58x
KOSPI 12m fwd 순이익 215.3조 원
코스닥 12m fwd P/E 19.4x
코스닥 12m fwd 순이익 8.35조 원
KOSPI 12m fwd 순이익 215.3조 원
코스닥 12m fwd P/E 19.4x
코스닥 12m fwd 순이익 8.35조 원


22.04.202502:45
■ TSLA 1Q25 실적 Consensus
Revenue (USD bil) 21.45
Earnings (USD) 0.43
- TSLA 1Q25 실적 내일(수) 아침 확인
- 최근 실적 추정치 매출액/EPS 모드 추가 하향
Revenue (USD bil) 21.45
Earnings (USD) 0.43
- TSLA 1Q25 실적 내일(수) 아침 확인
- 최근 실적 추정치 매출액/EPS 모드 추가 하향
post.reposted:
루팡

21.04.202500:24
[속보]이재명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주가지수 5000' 시대 열겠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4213831b
[속보]이재명 "경제 성장 로드맵 발표…민간 전략에 예측가능성 더할 것"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2109105324723
[속보] 이재명 “상법 개정 재추진…코스피 5000시대 열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 같은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을 통해 코스피 지수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고도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SNS에 “주식시장의 활성화가 국민의 건전한 자산 증식을 위한 가장 쉽고 빠른 길”이라며 이런 내용의 정책들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불투명한 기업지배구조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고질적인 원인 중 하나”라며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소액주주를 대표하는 이사도 선임될 수 있도록 집중투표제를 활성화하고, 감사위원 분리 선출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경영 감시 기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쪼개기 상장’ 시 모회사의 일반주주에게 신주를 우선 배정하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또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해 한 번이라도 주가조작에 가담하면, 다시는 주식시장에 발을 들일 수 없게 하겠다”고도 적었다.
그는 “(이 같은 정책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시대를 끝내고,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를 열겠다”라며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업경영과 시장 질서가 확립되면, 우리 주식시장은 획기적인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의 회복과 성장으로 코스피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고도 덧붙였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4210910001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4213831b
[속보]이재명 "경제 성장 로드맵 발표…민간 전략에 예측가능성 더할 것"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2109105324723
[속보] 이재명 “상법 개정 재추진…코스피 5000시대 열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 같은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을 통해 코스피 지수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고도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SNS에 “주식시장의 활성화가 국민의 건전한 자산 증식을 위한 가장 쉽고 빠른 길”이라며 이런 내용의 정책들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불투명한 기업지배구조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고질적인 원인 중 하나”라며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소액주주를 대표하는 이사도 선임될 수 있도록 집중투표제를 활성화하고, 감사위원 분리 선출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경영 감시 기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쪼개기 상장’ 시 모회사의 일반주주에게 신주를 우선 배정하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또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해 한 번이라도 주가조작에 가담하면, 다시는 주식시장에 발을 들일 수 없게 하겠다”고도 적었다.
그는 “(이 같은 정책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시대를 끝내고,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를 열겠다”라며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업경영과 시장 질서가 확립되면, 우리 주식시장은 획기적인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의 회복과 성장으로 코스피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고도 덧붙였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4210910001


20.04.202514:54
Bloomberg 기준 미국 12m fwd EPS 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Service 탄력 없는 모습


20.04.202514:54
성장주 상대적으로 재빠르게 반등


20.04.202514:53
US Sector GICS Level 1 기준 성과 TOP 3
- 힘없는 시장 움직임 계속
- NVDA MDD 다시 -30% 하회
1) 부동산
2) 에너지
3) 유틸리티
- 힘없는 시장 움직임 계속
- NVDA MDD 다시 -30% 하회
1) 부동산
2) 에너지
3) 유틸리티


20.04.202514:53
South Korea Sector 성과 TOP 5
- 섹터 전반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상승비율 또한 대부분 높음
- 기관 수급 주도로 시장 움직임
1) 기계 (2주 연속)
2) 은행
3) 유틸리티 (2주 연속)
4) 자동차
5) 미디어,교육
- 섹터 전반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상승비율 또한 대부분 높음
- 기관 수급 주도로 시장 움직임
1) 기계 (2주 연속)
2) 은행
3) 유틸리티 (2주 연속)
4) 자동차
5) 미디어,교육
Показано 1 - 24 из 631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