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DAOL퀀트 김경훈] 바텀업 전략 avatar
[DAOL퀀트 김경훈] 바텀업 전략
[DAOL퀀트 김경훈] 바텀업 전략 avatar
[DAOL퀀트 김경훈] 바텀업 전략
# 관세 업데이트: 순조로운 관세 협상? - 4월 18일

■ 트럼프 대통령, 미국을 방문한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를 EU 대표자로 간주하고 미국과 EU는 공정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고 100% 믿는다 강조

* 멜로니 총리는 유럽 내에서도 대표적인 친(親)트럼프 정치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EU에 20%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처음으로 만나는 유럽 정상

* EU 집행위원회, 모든 유럽 국가의 대미 접촉을 환영하지만 유럽의 무역 정책을 총괄하는 건 EU라고 강조

■ 트럼프 대통령, 중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가 미국과 대화하고 싶어하고 미국과 중국은 매우 좋은 거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매일 중국을 언급 중

■ 트럼프 대통령,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인플레이션 우려 등 미 경제에 경고음을 울리자 파월 연준 의장의 해임은 빠를수록 좋다며 압박

■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대 중국 반도체 수출을 강화한 가운데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초청으로 중국을 방문하여 계속 중국과 협력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힘

■ 베선트 재무장관, 이른바 빅15이라 불리는 나라들과 협상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며 다음주에 백악관 방문 예정인 한국을 언급

■ 작일 미국에서 개최된 미·일 첫 관세 협상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의 방위비 확대를 공개적으로 요구

(자료 원본 ☞ https://buly.kr/9tAWTiH)
# 관세 업데이트: 말 한마디에 요동치는 주가 - 4월 9일

■ 트럼프 대통령,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상호관세 발표 후 처음으로 약 28분간 통화

* 트럼프 대통령, 통화 후 소셜미디어 Truth Social에 훌륭한 전화 통화를 했고 관세, 조선업, 대규모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구매에 대한 알래스카 합작 투자, 방위비 등에 대해 논의했다 언급

* 상호관세 협상 과정에서 무역이나 관세와 관련 없는 사안도 (방위비 등) 각국이 거론하고 있는것은 아름답고 효율적이라 언급

* 마지막으로 중국 또한 미국과 협상을 하고 싶어하지만 방식이 잘못 되었다며 미국에 보복관세를 부과한 것을 다시 언급하며 우리(미국)은 그들(중국)의 전화를 기다리고 있다고 강조

* 한덕수 권한대행, 미국 신정부 하에서도 외교안보 근간인 한미 동맹관계가 더욱 확대·강화해 나가기를 희망하고, 무역균형을 포함한 경제협력 분야에서 건설적인 협의를 계속해 나가자 강조

■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상호관세 부담을 줄이려고 세계 각국이 앞다퉈 미국과 협상하려는 상황이며 그 중, 한국과 일본 같은 동맹국들과 먼저 협상한다는 방침을 세웠다고 밝힘

■ 중국 상무부 대변인,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을 비난하며 미국이 고집대로 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끝까지 맞설 것이라 강경 대응

■ 레빗 백악관 대변인, 중국 정부가 8일까지 34% 보복관세를 철회하지 않자,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50% 추가 대중 관세는 9일 (현지시간)에 발효된다 재확인하며 보복 조치를 하는 것은 중국의 실수라고 강하게 비판

* 미국증시, 관세 협상 진행 소식에 4%대 급등 출발했으나, 중국 보복관세 여파로 상승폭 되돌리며 하락 마감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무역 질서가 흔들리는 가운데 EU와 중국은 오는 7월 정상회담 개최를 확정

(자료 원본 ☞ https://buly.kr/CLz4wqF)
07.04.202505:02
└ 평상시와는 다르게 이번 1분기는 삼성전자가 아닌 LG 그룹주들이 실적시즌 포문을 열었습니다.

(LG전자가 컨센에 이렇게 딱 떨어지게 부합했던 적이....?? 👀)
06.04.202522:42
[DAOL 퀀트 김경훈] 1분기 전종목 실적발표 스케줄

1Q25 Earnings Calendar - 4/6 업데이트

■ 실적발표 예정
- (4/7) LG전자 1.3조원 (-6%y / +831%q)
- (4/8) 삼성전자 5.1조원 (-23%y / -21%q)
- (4/8) ISC 129억원 (-51%y / -72%q)

* P.S. 노랑색 음영부분은 회사가 공시한 실적발표 확정일이며, 기타 종목들은 예정일임을 알려드립니다. 예정일은 공시일자가 다소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료 원본 ☞ https://tinyurl.com/85ydbcxf)
# 실적발표 앞둔 반도체 BIG2 근황

위에가 전자, 아래가 닉스

두 기업 모두 시장 내 이익 비중이 12%에서 만난 랑데뷰, 5년 중 최저치인 전자와 최고치인 닉스

이를 입증하는 각각의 밸류에이션 레벨
[DAOL퀀트 김경훈] 4월 국내증시 스타일 전략

"4월 가치주 장"

▪︎ 이번달 매크로 환경은 작년 하반기 이후 성장주 환경이 가장 약해지면서, "가치 전략"으로 전환

▪︎ 이는 글로벌 물동량(Baltic Dry) 및 외국인 자금유입(FX Carry) 변수들이 모처럼 개선되며 "가치" 시그널로 전환된 것에 주로 기인

▪︎ 국내 주식 듀레이션 상 가치주에 해당되는 업종에는 금융, 통신, 자동차, 운송, 유틸리티 등이 존재하며, 공매도 재개와 맞물린 전략으로 가치주 내 배당업종 선호

(보고서 원본 ☞ https://buly.kr/jZ14th)
# 관세 업데이트: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 4월 17일

■ 미국, 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 H20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했으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반도체 산업을 상대로 부과한 첫 수출 제한 사례

* H20 칩은 그간 미국 정부의 규제 적용을 받지 않는 한도 내에서 중국에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최고급 사양의 AI 칩

* 엔비디아는 기업들에게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라고 압박해 온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에 발맞춰 미국에서 향후 4년간 최대 5천억달러(약 700조원) 규모의 AI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으나 결과적으로는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를 피하지 못함

■ 로이터 통신,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전쟁이 과열되면서 사이버캡과 전기 트럭 '세미' 등 테슬라 모델 제조에 쓰이는 중국산 부품 운송 계획이 중단됐다고 보도

■ 트럼프 대통령, 미일 관세 협상이 끝난 후 큰 진전 (big progress)이였고 일본 무역 대표단과 만나서 큰 영광이라 밝힘

* 미국과 일본은 협상과정에서 관세, 군사지원 비용, 그리고 무역 공정성 등을 논의 했으며 트럼프 대통령도 직접 협상에 참여

* 내주 최상목 경제부총리의 미국 방문에 앞서 한국에도 의미 있는 참고자료가 될 예정

■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 트럼프 행정부는 파괴적인 관세로 생애에서 최대 규모의 세금 인상을 일방적으로 부과할 권한이 없다며 관세 정책에 맞서 소송을 제기

■ 파월 연준의장,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면서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 가능성이 있다고 밝힘

■ 세계무역기구 (WTO), 트럼프발 관세 충격을 반영해 올해 세계 상품 무역 성장률이 0.2%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이는 지난해 10월 제시한 전망치인 3.0% 증가와 비교할 때 크게 후퇴한 수치

(자료 원본 ☞ https://buly.kr/1n3ezj3)
# 관세 업데이트: 너가 보복하면 나도 한다 - 4월 8일

■ 트럼프 대통령, 중국이 미국의 상호관세에 맞서 같은 세율(34%)의 대미 보복관세를 예고한 데 대해 8일까지 중국이 34%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미국은 중국에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 밝힘

* 트럼프 대통령, 중국과의 모든 (관세 관련) 회담 요청은 종료되지만 다른 나라들과의 협상은 즉시 시작될 것이라 밝히면서도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를 일시 중단하는 것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 밝힘

* 만약 중국이 이를 무시하고 34%의 대미 보복관세를 부과할 시,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는 관세는 104%

■ 백악관, 로이터 통신 등이 보도한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에 관세를 90일간 일시 중단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는 뉴스는 가짜 뉴스라며 입장 표명

■ 로이터 통신, EU는 미국에 상호 무관세 협상을 제안하며 앞서 발표된 260억 유로(약 41조원)의 보복 조치 대상에서 버번 위스키, 와인, 유제품도 제외하며 축소 시행 될것이라 보도

■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상호관세 발표 이후 각국 정상 중 처음으로 워싱턴에 방문해 미국의 대이스라엘 무역 적자를 빨리 없애겠다 발언

■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 가능한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피하고 싶다면서 그것을 배제하진 않지만, 우리는 대화를 지속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밝힘

■ 이시바 일본 총리, 트럼프 대통령과 약 25분 통화하며 일본에 대한 관세 부과를 재고해달라고 요청했고, 양측은 조만간 만나 고위급 협상을 진행하기로 결정

(자료 원본 ☞ https://buly.kr/B7Zlj3o)
「LG전자」 1Q25 실적발표

04/07 10:47 DART 공시

◆ 수급 정보
- 종목주인: 기관
- 수급레벨: 적정

◆ 실적 정보
- 매출액 22조 7447억원 (8% y // 0% q)
- 영업익 1조 2590억원 (-6% y // 830% q)

→ 과거 6개 분기 평균치(3.8%)를 상회하는 OPM(5.5%) 발표

◆ 퀀트 결론
- 실적강도(SUE): 중분위 (컨센 부합)
- 센티먼트(△P/E): 저분위 (소외주)

☞ 이는 주가 Drift가 발생하기에 무의미한 「NO POSITION」 실적임을 알려드립니다!

P.S. 금일 오전 외부일정으로 업로드가 늦어진 점 양해의 말씀 올립니다. 🫡
# 관세 업데이트: Black Thursday - 4월 4일

■ 트럼프 대통령, 반도체 관세는 곧 시작될 것이라며 도입이 임박했음을 공식화했고 의약품 분야 관세도 별개로 검토 중이며 가까운 미래에 발표할 계획이라 밝힘

■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가 글로벌 무역전쟁을 격화시키며 무역 상대국은 물론 미국 경제에도 막대한 타격을 가할 것이란 우려에 미국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은 이날 하루 새 3조 달러 넘게 증발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금융시장 상황에 대한 질문에 예상됐던 대로라며 미국경제를 환자에, 관세 정책을 수술에 비유하면서 경제는 다시 호황을 누릴 것이라 호언장담

■ 상호관세 후 각 주요국의 반응

* 캐나다: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이 적용되지 않은 미국에서 수입된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 밝힘

* EU: 미국 정부와 협상 불발 시 우선 오는 9일, 약 42조 원 상당의 미국산 상품에 최대 50%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안을 회원국 표결에 부칠 계획

* 중국: 자국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단호히 반격 조치를 취할 것이라 밝힘

* 프랑스: 잔인하고 근거 없는 결정이라고 비난하며 당분간 프랑스 기업이 대미 투자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

■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보복 조치를 한다면 상황은 더 악화할 것이라며 모든 국가에 상호관세를 순순히 받아들인 뒤 어떻게 상황이 전개되는지 지켜보라고 경고

■ 백악관, 작일 상호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에서 한국산 수입품 관세율을 26%에서 25%로 정정

(자료 원본 ☞ https://buly.kr/FWSgnCK)
# 4월 섹터별 매력도 순위 변동

▪︎ 빨간색 박스는 지난달 상위권 순위 급등 업종, 노랑색 음영은 같은 컨셉으로 이번달 상위권으로 뛰어오른 유망 업종

▪︎ 4월 로테이션 탑픽
IT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디스플레이, 상사/자본재(방산), 비철/목재

👉 모두 "성장주"에 해당되는 업종들입니다.
이는 4월 "가치주" 환경과 상반된 결과입니다.
상충된 결론, 결국 증시 내 설명변수가 부재한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
# 관세 업데이트: 상호관세❓보편관세❓ - 4월 1일

■ 월스트리트저널,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별로 상이한 관세율을 책정할지, 모든 무역 상대국에 동일하게 20% 관세를 부과하는 보편관세를 도입할지 고심하고 있다고 보도

■ 트럼프 대통령, 상호관세 발표에 앞서 여러 국가에 면제를 시사해 유연성을 강조했지만 태도를 바꿔 모든 국가에 관세를 매긴다고 밝힘

* 대미 흑자가 많거나 불공정 무역 논란이 있는 이른바 Dirty 15에 먼저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계획하느냐 묻자 트럼프 대통령은 10~15개 나라에 대한 루머를 들은 적이 없다고 답함

■ 레빗 백악관 대변인, EU의 50% 유제품 관세, 일본의 700% 쌀 관세, 인도의 100% 농산물 관세, 캐나다의 300% 버터·치즈 관세 등 다른 나라의 불공정 무역 사례를 구체적으로 나열하며 4월 2일 발표될 상호관세는 국가별이라는 입장을 재확인

* 트럼프 대통령의 보편관세 부과 발언과 백악관의 국가별 관세 부과 내용은 다소 다른 결을 보이면서, 현지시간 2일 공식 발표가 나올 때까지 상호관세를 둘러싼 혼란은 지속

■ 미국 무역대표부(USTR),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2025 국가별 무역 장벽 보고서'를 공개

* 한국과 관련해서는 쇠고기 수입 금지, 자동차 배출 관련 부품(ERC) 규제 등을 지적하면서도 한국 자동차 시장 접근 확대가 여전히 미국 자동차 업계의 주요 우선순위임을 강조

■ 김동연 경기도지사, 31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수입 자동차 관세 부과 예고와 관련해 "경기도 자동차 분야 관세 피해 중소기업에 500억원 규모의 긴급특별경영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밝힘

(자료 원본 ☞ https://buly.kr/9XKuLut)
# 관세 업데이트: 중국의 전화를 기다리는 미국 - 4월 16일

■ 미국과 EU는 협상에서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관세와 함께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상호 관세 철폐 방안 등을 논의했지만 입장차만 확인하고 별다른 진전 없이 종료

* EU, 모든 공산품에 대한 관세 상호 인하를 거듭 제안하면서도 식품, 건강 및 안전과 관련된 EU 표준은 신성불가침이라며, 기술 및 디지털 시장 관련 규제와 함께 협상에서 배제될 것이라 밝힘

* 미국, EU에 LNG 수입 확대를 요구하고 있고 미국산 자동차 수입 규모와 육류 수입 규제, 부가가치세, 디지털 규제 등도 비관세 장벽으로 규정하며 문제 제기

* 이에 따라 로이터 통신은 EU 집행위원회가 러시아산 석유와 가스의 수입을 점진적으로 중단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5월 6일 공개할 예정이라 보도

■ 트럼프 대통령, 중국과의 관세 전쟁으로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 농민들을 보호할 것이라며 밝힘

*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선 중국과의 협정을 통해 미국 농민들에게 280억달러를 보상했지만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오면서 중국이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며 중국과 바이든 정부를 동시에 비판

■ 레빗 백악관 대변인, 중국은 미국과 협상이 필요하지만, 미국은 반드시 중국과 협상할 필요가 없다면서 보복관세로 악화된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중국이 먼저 움직여야 한다고 주장

■ 베선트 미 재무장관, 한국, 영국, 호주, 인도, 일본 5개국을 '5대 우선협상국'으로 밝힘

* 내주 한국과의 무역 협상을 예고하면서 한국 등 상대국들이 가져오는 최선의 제안에 따라 협상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고 언급

■ 혼다, 미국에서 주력 차종 생산을 최대 30% 늘릴 계획

(자료 원본 ☞ https://buly.kr/9XKzn73)
「삼성전자」 1Q25 실적발표

04/08 7:41 DART 공시

◆ 수급 정보
- 종목주인: 외국인
- 수급레벨: 빈집

◆ 실적 정보
- 매출액 79조 0000억원 (10% y // 4% q)
- 영업익 6조 6000억원 (0% y // 2% q)

→ 과거 6개 분기 평균치(8.5%)를 하회하는 OPM(8.4%) 발표

◆ 퀀트 결론
- 실적강도(SUE): 최고분위 (서프라이즈)
- 센티먼트(△P/E): 중분위 (시장 동행)

☞ 이는 주가 상향 Drift가 발생하는 「LONG」 실적임을 알려드립니다!
「LG에너지솔루션」 1Q25 실적발표

04/07 10:19 DART 공시

◆ 수급 정보
- 종목주인: 외국인
- 수급레벨: 적정

◆ 실적 정보
- 매출액 6조 2650억원 (2% y // -3% q)
- 영업익 3747억원 (흑전 y // 흑전 q)

→ 과거 6개 분기 평균치(-1.1%)를 상회하는 OPM(6%) 발표

◆ 퀀트 결론
- 실적강도(SUE): 고분위 (컨센 상회)
- 센티먼트(△P/E): 고분위 (주도주)

☞ 이는 주가 Drift가 발생하기에 무의미한 「NO POSITION」 실적임을 알려드립니다!

P.S. 금일 오전 외부일정으로 업로드가 늦어진 점 양해의 말씀 올립니다. 🫡
# 내일 트럼프 관세도 무서울 것 없는 코스피 현위치 🇰🇷

아래로 최대 -3%, 위로는 +8%!

맞을거 빨리 맞고 시원하게 바닥부터 다시 시작하는게!! 😭
# 업종별 실적 기여도 증분 - "주도 업종을 찾아라" 🔍

▪︎ 상단 차트는 업종별 전년비 시장내 이익 기여도 증분. 이는 추세적인 주도주 및 소외주를 구분하는데 용이

▪︎ 업종 나열순은 연간(i.e. 수치) 기여도 순이며 이 중 상반기 증분이 하늘색, 하반기가 회색 막대

▪︎ 예컨대, 시장 내 비중이 큰 반도체, 건강관리, 자동차, 또는 금융 업종이 기여도 상위권에 자리해야 "가는 장"인데, 올해의 모습은...

FYI,
화학 + IT가전 = 2차전지 👉 기저효과
상사,자본재 = 방산
자동차 👉 기고효과
[DAOL퀀트 김경훈] 4월 국내증시 리스크 시그널

"아직 절반에도 못 미친 경기수축 싸이클"

▪︎ 국내 경기 사이클은 작년 5월을 기점으로 확장 추세에서 벗어났으며, 8월에는 본격적인 수축 사이클로 전환. 그 이후 9개월 내내 완만한 속도로 둔화 중인 국내 경기의 모습은 올해들어 그 강도가 재차 강해지는 중. 트럼프의 관세와 이에 따른 글로벌 보복관세 움직임은 우리나라와 같은 수출의존 국가에 불리한 환경. 이러한 움직임은 상당기간 환율 및 시장금리 상방압력으로 작용할 개연성이 높은 만큼, 글로벌 증시는 박스권 안에서 등락 반복할 개연성

▪︎ 경기 사이클에는 탄성이 존재하는 것을 감안시, 그간 경기 사이클의 수축은 아직 절반도 못 온 것을 암시. 특히, 프록시 지표 가공에 input 데이터로 적용되는 경기 선행 및 후행지표의 현 위치는 빠르면 다음 달부터 서로 교차 될 개연성. 이는 경기 선행지표가 후행지표를 밑도는 시기가 임박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과거 유사국면으로 "2021 하반기"가 여기에 해당

▪︎ KOSPI의 상방은 이러한 펀더먼털 부재로 제한적인 반면, 하방은 국내 밸류에이션 상 락바텀인 2,400P 대에서 지지하는 횡보장세 지속 예상. 결론적으로 향후 경기 기초체력의 점진적 둔화는 불가피한 가운데, 중기적 주식전략 차원에서 건강관리,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통신과 같은 성장주이자 방어주 컨셉을 띄는 "NON-CYCLICAL DEFENSIVE” 업종 유망 시각 지속 유지

(리포트 원본 ☞ https://buly.kr/9BVOA0C)
# 관세 업데이트: 치킨게임 - 4월 11일

■ CNBC등 다수의 언론사,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상호관세에 보복 대응을 한 중국에 부과한 총 합계 관세율이 125%가 아닌 145%라 확인 해줬다 보도

* 작일 발표한 125% 관세는 기존의 미국으로 유입되는 중국산 펜타닐 원료를 문제삼아 부과한 20%의 관세는 포함되지 않은 오로지 상호관세율로, 총 합산시 145%가 정확하게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중국에 부과한 추가 관세율

■ 우르줄라 EU 집행위원장, 미국에게 협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싶다고 밝히며 내주 시행하려 했던 미국 철강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를 90일간 보류하기로 결정

■ 중국, 84%의 보복관세가 10일 발효돼 시행에 들어감으로써 중국은 미국에 절대로 물러서지 않겠다는 뜻을 강하게 표출

* 다만 중국은 앞으로 추가 보복관세 조치는 자제하고, 미국 영화 수입을 줄이겠다는 등의 방침을 세우며 비관세 보복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

■ 트럼프 대통령, 중국과도 합의를 할 수 있길 바란다며 대화의 여지를 남김

■ 트럼프 대통령, 중국 이외의 상호관세 대상국들에 대한 유예기간인 90일이 끝난 뒤 유예 기간을 연장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봐야 한다며 열린 답변을 내놓으면서도, 상호관세 대상국과 유예기간 중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각국에 책정한 상호관세율로 돌아갈 것이라 밝힘

■ 해싯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이미 15개국 이상으로부터 구체적인 제안을 받았으며 아직 거래가 성사됐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대화를 원한다고 요청하는 사람들의 수가 훨씬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힘

(자료 원본 ☞ https://buly.kr/3u2iaZX)
# 내일 삼성전자 👀

2주전 4조원 초반대까지 빠졌던 이번 1분기 추정치가 실발 하루 앞두고 5조원 후반대까지 급반등!?

시장 5.1조원 vs 다올퀀트 5.7조원
밸류에니션은 여전히 딥 디스카운트
# 관세 업데이트: 'Hang Tough vs Hands Off" - 4월 7일

■ 미국, 전세계를 상대로 부과한다고 발표한 10%의 기본 관세가 5일(현지시간) 발효

■ 중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에 대응해 오는 10일(현지시간)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34% 관세를 추가 부과한다 보도

* 트럼프 대통령, 중국은 잘못된 결정을 했고 그들이 감당할 수 없는 일이라 반응하며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 제기

■ 중국, 미국 군수기업 16곳에 대한 이중용도 물품 수출을 금지하는 제재 조치 단행하고 희토류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

■ 베트남,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에서 대미 관세를 0%로 낮추기 위해 협상할 준비가 되어있다며 9일 발효 예정인 상호관세를 1~3개월 연기 요청

■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각국을 대상으로 기본 관세와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이틀간 역대 최대인 6조6천억 달러 (9,645조 9,000억 원) 증발

■ 상호관세 후 폭풍

* 트럼프 대통령, 끈기 있게 버텨내라 (HANG TOUGH) 쉽지 않겠지만 최종 결과는 역사적일 것이다. 우리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 것이라며 절대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 확고

* 민권 단체, 노동조합, 성소수자 권익 옹호 단체, 퇴역군인 단체 등을 망라하는 150여 개 민간 단체, 손을 떼라는 의미인 핸즈오프 (HANDS OFF)라는 타이틀로 미국 전역에서 시위와 행진에 참여

(자료 원본 ☞ https://tinyurl.com/bdcv3xzt)
# 관세 업데이트: D-1 "미국을 더 부유하게" - 4월 2일

■ 레빗 백악관 대변인, 현지시간 2일 오후 4시 (한국시간 3일 오전 5시) '미국을 더 부유하게'라는 행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할 것임을 시사하며 이는 그 즉시 발효된다고 재확인

■ 레빗 백악관 대변인,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가 2일부터 시행된다 재확인했고 2일 만료되는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의 적용을 받는 캐나다 및 멕시코 물품에 대한 관세 유예 조치 재연장 여부는 즉답하지 않음

■ 레빗 백악관 대변인, 관세의 불확실성으로 주식 시장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 합당한 우려라며 대통령은 이런 우려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고 그것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 중이지만 주식시장은 끊임없이 오르내리기에 어느 한 시점을 특정해서 정책을 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의 ’시간의 스냅샷‘이라고 주장

■ 상호관세 발표를 하루 앞뒀지만 각종 언론사에서는 새로운 관세가 정확히 어떤 모습인지 아직은 명확하지 않다면서 백악관 관계자는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20%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고 보도

■ 우르줄라 EU 집행위원장,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둔 협상 의지를 재발신하면서도 '강력한 보복 계획'이 준비됐다고 경고

(자료 원본 ☞ https://buly.kr/BTPFVIi)
# 잠재적 공매도 타겟 리스트 ✅

▪︎ 상단 차트는 최근 저가 매수세로 펀더먼털과 무관한 "수급-driven" 공매도 예상 리스트

▪︎ 지난 60일간 주가 및 실적간 괴리가 큰 종목 중 동시에 대차잔고가 확대된 종목들

* 아이디어 용으로 참고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P.S. 공매도 장치는 기술적 수단일 뿐 증시의 큰 방향성까지 바꿀 순 없습니다. 다만, 공매도가 재개됨으로써 일정부분 증시가 펀더먼털로 수렴할 수 있는 계기는 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과거 코멘트 참조 👉 https://t.me/purequant/12013)
# 관세 업데이트: 🇺🇸 vs 🌎 - 3월 31일

■ 트럼프 대통령,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강한 불만을 드러내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휴전이 지연될 경우 러시아산 석유를 수입하는 국가에 최대 25~50%의 2차 관세를 부과하겠다 선언

* 최근 러시아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 평화 협상을 시작하려면 임시정부를 수립해 대선을 치러야 한다 주장을 해 우크라이나 젤린스키 대통령을 사실상 축출하려는 의도를 내비침

■ 트럼프 대통령, 최근 핵협상 재개를 둘러싸고 갈등을 겪고 있는 이란을 상대로 핵무기 개발 중단 합의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전례 없는 폭격과 2차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말했으나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은 미국과의 직접적인 협상은 없다며 강경 대응

■ 트럼프 대통령, 외국산 자동차 가격이 올라가면 사람들은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 미국산 자동차를 살 것이기에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에 의한 자동차 가격 상승 우려에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고 말함

■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중국 측에 정상적인 무역 파트너에게 부여하는 최혜국 지위인 항구적 정상무역관계(PNTR)를 박탈하는 내용의 '2000년 미·중관계법 수정안'을 4월 1일 발표한다 통보

* 현재 미국의 최혜국 지위를 받지 못하는 국가는 러시아, 북한, 벨라루스, 쿠바 총 4개국

■ 숄츠 독일 총리, 유럽의 목표는 여전히 협력이라 강조했지만 유럽은 순진하거나 약하지 않다면서 미국이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와 같이 유럽에게 선택의 여지를 주지 않는다면 EU는 하나로 대응할 것이라 미국을 겨냥

(자료 원본 ☞ https://buly.kr/1n3Ypgi)
Показано 1 - 24 из 92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