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Инсайдер UA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Инсайдер UA
상상인증권 리서치 avatar

상상인증권 리서치

TGlist рейтинг
0
0
ТипАчык
Текшерүү
Текшерилбеген
Ишенимдүүлүк
Ишенимсиз
Орду
ТилиБашка
Канал түзүлгөн датаСіч 18, 2023
TGlistке кошулган дата
Вер 11, 2024

"상상인증권 리서치" тобундагы акыркы жазуулар

💡 [ESG] Global ETS 동향과 정책 적용 이슈 분석
[상상인증권 화학/에너지/ESG 백영찬]

1. 정치적 갈등으로 붉어진 Anti-ESG, 그럼에도 ETS 시장은 성장 중
-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더욱 공격적이고 구조적인 Anti-ESG 정책을 전개하며 ESG를 정치 쟁점화
- 그럼에도 글로벌 ETS 시장은 확대 중. 각국은 실효적 ETS 시장 정착을 위해 노력 중

2. 환경 우선주의 1보 후퇴, 그러나 親 ESG 기조는 변함없다
- SEC 기후공시 규칙은 반발로 중단. Anti-ESG는 과거 ESG 정책의 실효성 부족에 따른 부작용에서 기인한 역풍
- ESG 자산과 ETF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자금 유입이 이어지며 성장세 유지

3. IMO 사례는 ESG 규제가 각국의 이해관계가 교차하는 영역임을 시사
- MEPC 83차에서 국제해운의 GHG 저감을 위한 중기조치 승인. 10월 공식 채택 시 2027년 3월 발효
- 이는 EU ETS 확산에 대응한 다자주의적 조율의 사례로, 향후 국제 해운 규제의 주도권의 향방을 가를 전망

* 리포트 주소: https://iii.ad/b6f696 👈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5. 19 (월)

● Top News
- “美 신용등급 강등, 예고된 ‘확인 사살’”…코스피, ‘하방 압력’ 장기화 가능성은?
https://naver.me/Gag6genE

● Economy
- 한미 관세 '2차 기술협의' 범정부 대표단 내일 오전 방미
https://naver.me/GlGp9Nv1
- "美, 2037년까지 최대 448척 선박 발주…'윈윈' 협력안 마련해야"
https://naver.me/G3PWPMb3

● Stock Market
- 코스피 美 신용등급 강등에 장중 2,600선 내줘…코스닥 1.9%↓
https://naver.me/GmteG7cM
- 코스피 기업 1분기 영업이익 23% 늘었다…코스닥은 절반이 적자
https://naver.me/GYGlMyhm

● Fixed Income
- 국고채 금리, 1bp 내외 상승 출발…외인, 10선 매수
https://naver.me/GFCHAGJW
- 아시아장서 미 10년물 보합세…2.5조원 규모 10년물 입찰
https://naver.me/xpB4NqHT

● Currency
- “1400원 뉴노멀이라더니”…커진 변동성에 환율 ‘안갯속’
https://naver.me/xF2lPXgn
- 美 신용등급 강등 영향, 국채금리·금값 오르고 달러 약세
https://naver.me/5XpS6kdn

● Commodity
- 브라질산 닭고기 금수… 할당관세·제3국 수입 등 초비상
https://naver.me/GhSnlncj
- 코코아 선물 급등…주간 기준 15%↑
https://naver.me/FjCy2Mxa

● Real Estate
- 서울 아파트 분양 3개월 만에 재개…구로·은평 오늘 특별공급
https://naver.me/FGEM3XuF
- "가격부담 덜하다"…이번엔 이 동네가 '후끈'
https://naver.me/xg7WKUBS

● ESG
- 트럼프 행정부, 세계은행 기후정책 개혁 시동
https://naver.me/5gYQ86LW
- APEC 회원국, "공급망·기후 대응 협력 강화"
https://naver.me/5lfls8mb

● ETC
- 美신용등급 하락에도 비트코인 10만5000달러대…역대 최고가 목전
https://naver.me/5JGnp5R6
- SKT 개인정보·IMEI 유출 가능성…3년전 악성코드 설치 추정
https://naver.me/IFGbEcxg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상상인 리서치 Report 5/19(월)]

💡 기업분석
✅ 하나제약(293480)/BUY(유지)/16,000원(하향)/마취제 CMO 점진적이지만 진척 있다/[에스테틱/스몰캡 하태기]
https://iii.ad/c18cda
- 일부 제네릭 의약품 경쟁 심화와 약가 인하, 의료 파업 영향으로 2025년 1분기 매출 정체
- 영업실적 성장 둔화, 독일의 바이오벤처사 Paion사와 판권 계약 및 생산 계약을 맺고 글로벌 CMO 비전을 키우는 중
- 장기적 관점에서 글로벌 마취제 CMO의 잠재력을 지켜보자
- 아직 시간은 좀 필요하다, 2025년 하반기 중반 이후에 보자

✅ DB하이텍(000990)/BUY(신규)/53,000원(신규)/높은 가동률과 신사업 효과 기대/[IT/반도체 정민규]
https://iii.ad/85f0ed
- 1분기 실적은 매출액 2,974억원(+13.7% YoY, +4.9% QoQ), 영업이익 525억원 (+28.0% YoY, +48.8% QoQ)으로 시장 기대치(영업이익 컨센서스 628억원) 하회
- 투자 포인트 (1) 견조한 중국 수요 기반의 높은 가동률 및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 (2) 차량용 반도체향 매출 성장 및 Si Capacitor/SiC/GaN 등
신사업 중장기 성장 잠재력
- 2025년 연간 매출액 1.25조원(+10.1% YoY), 영업이익 2,243억원(+17.5% YoY)을 전망

✅ 인텍플러스(064290)/BUY(유지)/14,000원(하향)/구조조정에 따른 고정비 부담 완화/[IT/반도체 정민규]
https://iii.ad/ad9993
- 동사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144억원(-23.8% YoY, -41.2% QoQ), -45억원(적자지속)으로 시장 기대치에 매출은 하회, 영업이익 부합
- 1분기 단행한 전사적인 구조조정으로 2분기부터 본격적인 고정비 부담 완화 효과 예상
- 흑자전환 및 신규 반도체 검사장비 매출 회복이
기대됨에 따라, 투자의견 Buy를 유지

✅ 하나마이크론(067310)/BUY(유지)/15,000원(하향)/기업가치 제고 계획: 성장과 환원/[IT/반도체 정민규]
https://iii.ad/e1ad59
-동사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3,118억원(+15.9% YoY, -18.7% QoQ), 117억원(+8.4% YoY, -80.4% QoQ)으로 컨센서스를 하회
- 본사 별도, 해외 법인 모두 1분기를 저점으로 가동률 회복 및 실적 개선 예상
- 5월 14일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통해 2030년 매출 3.25조원 달성 및 RoIC 10.8% 이상 유지라는 중장기 성장 목표를 제시

✅ OCI홀딩스(010060)/BUY(신규)/112,000원(신규)/새로운 기회의 시작/[화학/에너지 백영찬]
https://iii.ad/192ea3
- 투자포인트 (1) 하반기 미국 태양광밸류체인 가격 상승 (2)중국 태양광 산업 구조조정 시작
-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8947억원 (-5.8% YoY), 218억원 (-75.7% YoY)으로 예상
- 하반기 미국 태양광모듈 가격 상승과 관세 이슈 불확실성 해소되며 2분기를 저점으로 이익 개선 가능할 전망

📌산업분석
✅ [Global Chemical Watch] 1Q25 Review 롯데케미칼, 개선속도의 문제/[화학/에너지 백영찬]
https://iii.ad/b7149e
- 1분기 롯데케미칼의 외형과 영업손익 4조 9018억원 (-3.6% YoY), -1266억원 (적자축소 YoY)
기록, 컨센서스 OP -1034억원에 부합
- 전년 4분기대비 제품 스프레드 개선과 경비 절감, 일부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영업적자 개선
- 다만 미국 관세이슈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 확대로 하반기 화학제품 수요 둔화, 지속 전망. 하반기 실적 개선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둔화될 것

✅ [상상인 2차전지 Weekly] 주요업체, 단기투자 및 자금조달 마무리/[자동차/2차전지 유민기]
https://iii.ad/59ebdf
- 5월 3주차 기준, 상상인 2차전지 산업지수(-5.8%) 하락. 주간수익률 LG에너지솔루션(-8.6%), 삼성SDI(-3.3%), 포스코퓨처엠(-7.8%) 하락
- 포스코퓨처엠 1.1조 유상증자 발표. 증자금액은 1.1조원, 증자비율 14.8%, 할인율 20%
- 2025년 목표 양극재 생산량 7만톤 내외인 가운데, 가동률 60% 상회할만한 수요 확보여부는 불확실

✅ [화장품 산업] 하반기 옥석 가리기/[소비재 김혜미]
https://iii.ad/5ff9dd
- 1Q25 화장품 업종은 고성장에 따른 역기저와 관세 불확실성 속 주가 변동성 확대, 하반기 종목 간 실적 격차 심화될 것. 옥석가리기 가속화 전망
- 올해는 과거 ‘선택과 집중’ 전략에서 벗어나 ‘다변화’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 다만 밸류에이션에 대한 신중한 고려 필요
- Top-Pick 아모레퍼시픽: 해외 다변화는 물론 하반기 실적 모멘텀, 밸류에이션 및 현재 주가 대비 잔여 상승 여력 등을 고려

🔎 투자전략
✅[한상자 Weekly] 다시 돌아온 훈풍/[투자전략팀]
https://iii.ad/7e9a91
- 협상에 들어간 미국과 중국, 시장 투심 급격하게 회복
- 관세 정책 여파로 하락했던 미 증시, 정책 기조 변화 확인되자 가장 급격하게 반등. 다만 채권 및 외환 시장 투심 회복은 제한적
- 한-미 환율 협상 진행, 대만 달러와 유사하게 흘러가는 원화
- 조기 대선 국면이 시작, 향후 국내 금융 시장의 함수는 보다 고차원적으로 전개될 가능성 확대

✅[QLW](5월 3주) 1분기 실적 마무리 & Moody's 신용등급 강등/[퀀트 김경태]
https://iii.ad/516fe0
- 주도주 과열 해소, 관세 악재에 눌려왔던 반도체/내수주 추세반전 조짐
- 한편,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5월 16일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하향 조정
- 현재 예상되는 펀더멘탈과 관계없는 단기 조정 시기를 이용하여 해당 종목 비중 확대 제안
-5월 3주차 Top Pick 두산, JYP Ent. 엘앤에프, OCI홀딩스, SK이터닉스
-5월 3주차 Short Pick은 한미반도체, 넥슨게임즈

✅[상상인 Macro Daily 5/19(월)]/[투자전략팀]
https://iii.ad/040b9f
🧮(5월 3주)Quant Lens Weekly: 1분기 실적 마무리 & Moody’s 신용등급 강등 (두산, JYP Ent. 엘앤에프, OCI홀딩스, SK이터닉스)
[상상인증권 퀀트 김경태] 02-3779-3427

- 1Q 실적은 약 290개 상장사 중 150개 기업이 영업이익 예상치 상회하며 우려대비 양호, 하반기에는 관세 선반영 수요에 따른 성장 둔화 및 성장 모멘텀 부재로 하향 리스크 부각

- 관세 우려로 부진했던 업종들이 반등세를 보이며 시장 심리를 회복, 특히 AI 모멘텀 및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가 반도체 중심으로 긍정적 영향. 반면 미용 기기, 화장품, 백화점, 방산, 제약/바이오 등은 차익 실현으로 조정받으며 주도주의 순환매가 나타남

- 무디스는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Aa1로 하향하며 재정 건전성 악화를 경고, 시장 반응은 제한적이며 과거 강등 사례에 비해 충격이 완화된 흐름. 관세 정책과 국채 발행 확대에 따른 재정 부담 증가는 이미 예상된 내용

- 코스피는 3월 이후 낙폭을 회복하며 단기 과열 우려 속 조정 가능성도 제기, 반도체 업황 개선과 함께 낙폭과대·배당 매력주 중심의 순환매가 유입 가능성. 따라서 현재 예상되는 펀더멘탈과 관계없는 단기 조정 시기를 이용하여 해당 종목에 대한 비중 확대 제안

- 5월 3주차 Top Pick 두산, JYP Ent. 엘앤에프, OCI홀딩스, SK이터닉스 / Short Pick : 한미반도체, 넥슨게임즈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B7a0b6b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 OCI홀딩스
: 새로운 기회의 시작
[상상인증권 화학/에너지 백영찬]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12,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 P/B-ROE모델을 통해 산출
- 2025년 예상 실적 기준 Implied P/E 23.7배, P/B 0.54배 수준

▶️ 2025년 투자 포인트
- 미국의 태양광밸류체인 가격 상승
- 중국 태양광 산업 구조조정 시작

▶️ 2Q25 Preview: 분기 기준 연중 저점이 될 전망
-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8947억원 (-5.8% YoY), 218억원 (-75.7% YoY)으로 예상
- 당사의 폴리실리콘 가동률 또한 전분기 대비 낮아지면서 수익성 하락이 불가피할 전망
- 다만 하반기에는 미국 태양광모듈 가격 상승과 관세 이슈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이익 개선이 가능할 것

* 리포트 주소:
https://iii.ad/5c0a54 👈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상상인증권 음식료/유통/화장품 김혜미]
💡 화장품 산업

[화장품 산업] 하반기 옥석 가리기

▶️ 화장품 업종 투자의견 Overweight 유지
- 1Q25 화장품 업종은 고성장에 따른 역기저와 미국발 관세 불확실성 속에서 주가 변동성 확대
- 주요 업체들의 실적은 대체로 양호. 에이피알, 코스맥스, 펌텍코리아 등이 역대 최대 실적 기록, 아모레퍼시픽 역시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
- 다만, 일부 업체는 기대치 하회
- 하반기에는 종목 간 실적 격차가 더욱 심화될 것. 옥석가리기가 가속화될 전망

▶️ 하반기 핵심 키워드는 '다변화'
- 높은 실적 기저를 극복하고 추가 성장세를 시현한 브랜드 업체들은 안정적인 지역 포트폴리오를 구축 중, 상위 제조업체들도 생산 거점과 매출처 분산을 통해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지역 확대 기조에 대응 가능
- 올해는 과거 ‘선택과 집중’ 전략에서 벗어나 ‘다변화’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
- 다만, 실적이 견조하고 향후 모멘텀을 확보한 업체들은 이미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된 경우가 많아 밸류에이션에 대한 신중한 고려 필요

▶️ Top-Pick: 아모레퍼시픽
- 해외 다변화는 물론 하반기 실적 모멘텀, 밸류에이션 및 현재 주가 대비 잔여 상승 여력 등을 고려

▶️ 기업분석

1) 아모레퍼시픽 (BUY/TP 185,000원)
2) LG생활건강 (BUY/TP 430,000원)
3) 한국콜마 (BUY/TP 100,000원)
4) 코스맥스 (HOLD/TP 230,000원)
5) 펌텍코리아 (HOLD/TP 60,000원)
6) 클리오 (HOLD/TP 17,000원)

* 리포트 주소: https://iii.ad/0e976d 👈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상상인 소비재 뉴스 (05/19)
[상상인증권 소비재 김혜미, RA 송지연]

▶️음식료

물가 오름세에 정부 '단기 진화' 돌입…"美관세에 암흑기 올수도" (뉴시스)
ㅁ 기획재정부가 지난 16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5월호' 등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 4개월 연속 2%대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 생활 물가 역시 전방위로 오르고 있어
ㅁ 정부는 지난 16일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추가경정예산(1200억원)을 활용한 농산물 할인 지원 확대 방침을 밝혀. 오는 22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 전국 온오프라인 유통업체에서 소비자들이 최대 40% 할인 가격으로 국산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

매출 높아도 남는 장사 아냐...식품업계 1분기 실적 '어닝쇼크' (푸드투데이)
ㅁ 식품업계가 올 1분기에 부진한 실적을 기록. CJ제일제당.농심.롯데웰푸드 등 제조원가.관리비 부담으로 아쉬운 성적표
ㅁ 삼양.오리온, 해외공략 업체는 최대실적 기록


▶️유통

“월마트 가격 올리지마…지켜본다” 트럼프식 가격통제 (국민일보)
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 대형 유통업체 월마트를 향해 관세를 이유로 상품 가격을 올리지 말라고 경고하며 “내가 지켜볼 것”이라고 작성
ㅁ 월마트는 최근 관세 영향을 받은 바나나, 아동용 카시트 등 일부 상품에 대해 이달 말부터 가격을 인상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어

'유통업 1등만 더 강해졌다'…쿠팡·이마트·올영 '호실적' (연합뉴스)
ㅁ 극심한 소비침체를 겪은 올해 1분기 유통 채널별로 선두 기업들이 선전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씀씀이가 전반적으로 줄어든 가운데 가격경쟁력과 고객 충성도가 높은 대형 업체로의 쏠림현상이 심화한 결과
ㅁ 유통업계에선 '승자 독식' 현상이 시간이 갈수록 더 강해질 것으로 전망. 지출 여력이 줄어든 소비자를 유인하는 핵심 요소는 가격과 신뢰도인데, 이는 시장지배 사업자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시각


▶️화장품

화장품 공개기업 76개사, 1분기 실적 호조 "매출, 수익 모두 성장" (코스인코리아닷컴)
ㅁ 코스인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공시자료인 분기보고서를 바탕으로 국내 화장품 공개기업 76개사의 올해 1분기 경영실적을 집계해 분석한 결과, 전체 매출액은 8조 8,596억 원, yoy +9.5%로 집계
ㅁ 영업이익은 7,832억 원, 당기순이익은 5,477억 원으로 각각 yoy +22.4%, 3.5% 증가

중소화장품 수출 비중 70%...'미국 수출 주도' (뷰티경제)
ㅁ 산자부의 수출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화장품 총 수출액은 3조 6천억원(2599백만 달러)이고 최근 중소벤처기업부는 1분기 중소뷰티의 총 수출액은 2조 5천억원(1840백만달러)로 발표해 중소뷰티가 전체의 70.8%를 차지
ㅁ 또 화장품은 최대 수출국인 미국에서 3억 달러(10.8%), 중국에서 2.8억 달러(-0.1%), 일본에서 1.9억 달러(11.7%)를 달성했으며 미국에서는 역대 분기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혀

아모레퍼시픽, 佛향수 '구딸' 인수 14년만에 韓서 철수 (뉴시스)
ㅁ 아모레퍼시픽은 구딸의 한국 사업을 다음 달부터 종료할 예정. 오프라인 매장은 지난달 말 모두 철수 완료
ㅁ 다만, 아모레퍼시픽 측은 구딸의 브랜드 사업은 지속적으로 유지한다는 계획
★상상인 FICC Brief 5월 19일 (월)★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영업일대비 4.0bp 하락한 2.670%에 마감. 미국 물가 지표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미국채 금리가 하락한 것에 연동된 가운데, 5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국고채 시장은 강세장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영업일대비 4.6bp 상승한 4.477%에 마감. 악화된 소비자 심리 및 높은 기대 인플레이션 등 경제지표를 반영하며 보합권 등락한 가운데,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하향 영향에 금리는 급등, 미국채 시장은 약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영업일대비 2.00원 상승한 달러당 1,400.0원에 마감. 미국 기대 인플레 상승에 달러 강세 압력이 작용, 최근 원화 강세에 따른 되돌림세도 발생하며 달러-원 환율은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영업일대비 0.21pt 상승한 101.09pt에 마감. 미국 경기 불안 여파로 인해 장 초반 하락 출발. 그러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급등하며 인플레 불안을 야기, 통화정책 완화 기대가 약화되며 상승 마감

◆ Commodity
- 금(6월물)은 전영업일대비 1.22% 하락한 온스당 3,187.2달러에 마감. 달러 강세 및 안전자산 선호심리 약화 지속 영향에 하락 마감
- WTI(6월물)은 전영업일대비 1.41% 상승한 배럴당 62.49달러에 마감. 이란 정부의 핵 협상 전면 부인 이후 핵 합의 기대심리가 냉각되며 WTI 선물 가격은 상승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영업일대비 0.21% 상승한 2,626.87pt에 마감. 4월 PPI가 둔화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는 완화되어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세가 유입되었으나, 전반적으로 반등세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한국 증시는 소폭 상승 마감
- S&P 500은 전영업일대비 0.70% 상승한 5,958.38pt에 마감. 소비자 심리지수의 예상치 하회 및 최근 상승 랠리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에도 불구하고 관세 우려 완화로 인해 경기 방어주 중심으로 미 증시는 상승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003%(+4.0bp)
5년물: 4.093%(+3.7bp)
10년물: 4.480%(+4.6bp)
30년물: 4.947%(+5.8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49.7bp(+4.0)
2년/10년: 47.7bp(+0.6)
10년/30년: 46.7bp(+1.2)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583%(-3.5bp)
미국: 4.480%(+4.6bp)
영국: 4.642%(-1.4bp)
프랑스: 3.264%(-3.7bp)
그리스: 3.339%(-6.7bp)
이탈리아: 3.593%(-3.5bp)
스페인: 3.206%(-4.3bp)
일본: 1.450%(-2.4bp)
호주: 4.407%(-7.8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315%(-3.5bp)
5년물: 2.440%(-4.0bp)
10년물: 2.670%(-4.0bp)
30년물: 2.572%(-1.3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43.5bp(-3.5)
3년/10년: 35.5bp(-0.5)
10년/30년: -9.8bp(+2.7)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7.66pt(+0.11)
10년 KTB: 120.32pt(+0.44)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22.7bp(-1.2)
3년: 25.7bp(-0.1)
5년: 23.5bp(par)

AAA 은행채
1년: 25.6bp(-0.2)
3년: 28.5bp(par)
5년: 30.5bp(par)

AA+ 회사채
1년: 40.2bp(-0.8)
3년: 49bp(+0.1)
5년: 48.1bp(par)

AA+ 카드채
1년: 34.6bp(-1.5)
3년: 45.8bp(-0.1)
5년: 44.8bp(par)

AA- 캐피탈
1년: 42.1bp(-1.5)
3년: 60.2bp(-0.1)
5년: 74.8bp(par)

A+ 캐피탈
1년: 105.6bp(-1.5)
3년: 144.9bp(par)
5년: 188.9bp(par)

◆ 외환시장
NDF환율(1M): 1,395.7원/전일 대비 8.2원 상승 출발
달러인덱스: 100.97pt(+0.16pt, +0.16%)
달러/유로: 1.1166달러(-0.002, -0.18%)
엔/달러: 145.64엔(-0.00, -0.00%)
달러/파운드: 1.3278달러(-0.002, -0.18%)
위안/달러: 7.210위안(+0.000pt, +0.00%)

◆ 상품시장 ($)
WTI: $62.5(+0.9, +1.4%)
브렌트: $64.5(-1.6, -2.4%)
천연가스(HH): $3.33(-0.0, -0.8%)
금: $3226.6(+38.3, +1.2%)
구리: $9577.0(-29.5, -0.3%)
옥수수: $448.5(+10.0, +2.2%)

◆ 미국 증시
DOW: 42654.7pt(+0.8%)
S&P500: 5958.4pt(+0.7%)
NASDAQ: 19211.1pt(+0.5%)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104,952.4USD(+1825.7, +1.7%)
이더리움(Binance): 2,423.3USD(-51.8, -2.1%)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5. 14 (수)

● Top News
- AI열풍에 140조원 냉난방공조 시장 열린다…삼성 '빅딜' 나선 이유는
https://naver.me/55PuedYS

● Economy
- KDI, 올해 韓 성장률 전망 1.6→0.8% '반토막'…추가 추경엔 부정적
https://naver.me/xI1Qk3kM
- 美 금리인하 기대 접자…월가 "올해 인하 50bp 미만, 일러야 7월"
https://naver.me/F8uPzP3L

● Stock Market
- 코스피, 반도체株 강세에 2620선 상승 출발
https://naver.me/II4sY9L7
- 삼양식품·한화시스템, MSCI 지수 신규 편입
https://naver.me/5Pl7n19k

● Fixed Income
- 국고채 금리, 1bp 미만 등락 출발…외인, 국채선물 매도세
https://naver.me/ximK3Sdu
- 1.1兆 유증 선택한 포스코퓨처엠 “신용등급 고려해 자금 조달 선택”
https://naver.me/G7CUXJyg

● Currency
- 원/달러 환율, 소폭 하락…미 CPI 둔화에 달러 약세 전환
https://naver.me/5xazSWiy
- 트럼프 관세 폭주에… 글로벌 자금, 달러와 ‘헤어질 결심’
https://naver.me/IGZo1dGc

● Commodity
- 중국, 희토류 생산업체 4곳 수출 허가…지난달 규제 이후 처음
https://naver.me/GUm6XWW5
- 휴전 합의될까…우크라·러, 전쟁발발 후 첫 美중재 직접협상
https://naver.me/xt4m7I5i

● Real Estate
- 부메랑 된 토허제...“4월 銀가계대출 7개월래 최대폭 급등”
https://naver.me/FnVJIoBk
- "서울·경기보다 인천"…지난달 30대 인천 집합건물 취득 94%↑
https://naver.me/GLzQmeQ4

● ESG
- 한은, 은행·보험사와 '기후 리스크 측정 기법' 공유한다
https://naver.me/5ZSBK9pm

● ETC
- 이번엔 이더리움 랠리…비트코인 10만달러 돌파 후 잠잠할 때 급등세
https://naver.me/5BwdJXIF
- 트럼프 차남 참여한 비트코인 회사, 나스닥 상장 추진
https://naver.me/5BwdhBNC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상상인 소비재 뉴스 (04/18)
[상상인증권 소비재 김혜미, RA 송지연]

▶️음식료

‘맛김’, 전년 동기보다 20.4% 올라…가격 상승률 3분기 연속 최고 (식품저널)
ㅁ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따르면 올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가격 상승률이 가장 컸던 생활필수품은 맛김으로, 가격이 전년 동기보다 20.4% 상승. 맛김은 지난해 3분기부터 3분기 연속 가격 상승률 1위를 기록
ㅁ 맛김은 원재료인 김 생산량 감소와 해조류 수급 불안정으로 지난해 2분기부터 가격이 크게 오르더니, 올 1분기에는 평균 가격이 5452원으로 전년 동기 4528원에서 20.4% 상승

맥도날드 넘어섰다...日 정복한 맘스터치 (이코노미스트)
ㅁ 24년 4월 16일 오픈한 도쿄 1호 직영점 ‘시부야 맘스터치’의 매장 누적 방문객 수는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70만명을 넘어서, 누적 매출은 한화 약 50억원 달성
ㅁ ‘치즈싸이버거’(단품 570엔, 세트 900엔)는 매장이 위치한 시부야 중심가의 평균 점심값(1000~1500엔)보다 약 10~30% 저렴하며 맛과 양을 갖춰 가성비를 중시하는 일본의 ‘코스파’(Cost+Performance) 트렌드를 저격

▶️유통

봄 실종?… 기후 변화에 유통업계 희비 (세계일보)
ㅁ 기후변화 영향으로 간절기가 짧아지며 백화점들은 봄옷 판매에 직격탄을 맞았고 가전업계는 여름 가전 특수에 분주한 상황
ㅁ 올해 2∼3월 롯데백화점의 패션 카테고리 매출은 전년 수준에 머물러. 같은 기간 신세계백화점은 0.9%, 현대백화점은 0.2% 각각 증가. 패션 카테고리가 평균 6∼7% 성장세를 보였던 예년과 비교하면 부진한 실적. 때 이른 더위 탓에 매출 증가율이 2% 안팎에 불과했던 지난해보다도 성장세가 크게 둔화

이마트도 뷰티 경쟁 참전… 4950원 갓성비 기능성 화장품 출시 (대한경제)
ㅁ 이마트가 주요 화장품 브랜드의 뷰티 제품 30여종을 선보여. 이마트 전용 상품으로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이 다이소 전용 브랜드를 별도 구성한 것과 같은 맥락
ㅁ 이마트 관계자는 "20대 이하 세대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성비 상품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고, 그 중심에는 화장품이 있다”고 언급

▶️화장품

화장품 기업 74개사 2024년 연구개발비 지출 평균 113억…전년比 3.8%↑ (약업신문)
ㅁ 화장품 관련 기업 74개사(코스피 14, 코스닥 52, 코넥스 1, 외감 7)가 2024년 한해 동안 사용한 연구개발비 평균 금액은 113억원으로 집계. 전년동기 109억원 대비 3.8% 증가
ㅁ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3.1%로 전년동기 대비 0.2%p 감소

설화수, 美럭셔리 뷰티 공략… 메이시스百 입점 (파이낸셜뉴스)
ㅁ 설화수는 지난 2월 메이시스의 온라인 채널인 메이시스닷컴을 시작으로 3월 뉴욕 플러싱점과 LA의 산타 애니타점, 사우스 코스트 플라자점에 각각 입점. 향후 입점 매장을 점차적으로 확대할 계획. 1858년에 뉴욕에서 설립된 메이시스 백화점은 미국 전역에 420여 개 지점을 보유하고 있는 최대 백화점 체인
ㅁ 설화수는 2010년 미국 시장 첫 진출 이후 꾸준히 위상을 높여와. 최근 3년 간 미국시장에서의 설화수 성장률은 CAGR 약 20%에 달해

2080 닥터크리닉 치약 ‘누적 판매량 1,200만개 돌파’ (장업신문)
ㅁ 애경산업의 오럴케어 브랜드 ‘2080’의 ‘닥터크리닉 치약’이 2021년 5월 출시된 이후 약 4년 만에 누적 판매량 1,200만개를 돌파
ㅁ 2080 닥터크리닉 치약은 21년부터 24년까지 연평균 판매량이 103%씩 증가
★상상인 FICC Brief 4월 18일 (금)★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2.7bp 상승한 2.647%에 마감. 4월 금통위에서 한국 경제 둔화가 확인되었으나, 금리 인하 속도에 관련하여 시장 컨센 대비 덜 비둘기파적이었다는 인식 속에 국고채 시장은 전반적으로 약세장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8bp 상승한 4.325%에 마감. ECB의 금리 인하 이후 미국채 지위에 대한 의문제기 영향에 금리는 상승, 무역 협상에 대한 기대가 상승폭을 일부 축소하며 미국채 시장은 약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0.80원 상승한 달러당 1,416.6원에 마감. 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을 소화한 가운데, 주요 통화들이 큰 변동을 보이지 않으며 위안화 강세 영향에 원화 가치는 상승하며 원/달러 환율은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03pt 상승한 99.41pt에 마감. 기축통화로써 달러화의 지위가 하향되는 가운데, ECB 금리 인하 영향에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며 달러 인덱스는 상승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0.54% 하락한 온스당 3,380.7달러에 마감. 달러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국채 금리 상승 및 차익 실현 매물 출회 영향에 하락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3.54% 상승한 배럴당 64.68달러에 마감. 미국의 이란 원유 수출 추가 제재 발표 영향에 상승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0.94% 상승한 2,470.41pt에 마감. 미국 정부의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소식 및 파월 연준 의장의 인플레이션 우려 발언에도 불구하고, 기관 투자자들의 저가 매수세 유입 및 태양광 소재 상호 관세 면제 소식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국내 증시는 상승 마감
- S&P 500은 전일대비 0.13% 상승한 5,282.70pt에 마감. 경제지표의 견조세 속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협상 진전 소식에 상방 압력이 작용한 가운데, 옵션 만기일 여파로 변동성이 확대되며 혼조세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3.811%(+3.4bp)
5년물: 3.946%(+4.2bp)
10년물: 4.330%(+5.2bp)
30년물: 4.806%(+6.6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68.9bp(+3.4)
2년/10년: 51.9bp(+1.8)
10년/30년: 47.6bp(+1.3)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468%(-4.1bp)
미국: 4.330%(+5.2bp)
영국: 4.565%(-3.8bp)
프랑스: 3.228%(-3.3bp)
그리스: 3.340%(-7.7bp)
이탈리아: 3.645%(-4.3bp)
스페인: 3.168%(-4.0bp)
일본: 1.307%(+1.5bp)
호주: 4.234%(-5.8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385%(+5.3bp)
5년물: 2.487%(+3.5bp)
10년물: 2.647%(+2.7bp)
30년물: 2.492%(+3.7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36.5bp(+5.3)
3년/10년: 26.2bp(-2.6)
10년/30년: -15.5bp(+1.0)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7.49pt(-0.13)
10년 KTB: 120.52pt(-0.29)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19.5bp(+1.6)
3년: 25.4bp(-0.2)
5년: 22.6bp(-0.5)

AAA 은행채
1년: 19.1bp(+1.3)
3년: 28.2bp(-1.0)
5년: 30.5bp(-0.5)

AA+ 회사채
1년: 38.4bp(+1.7)
3년: 49.4bp(-1.0)
5년: 49.6bp(+0.2)

AA+ 카드채
1년: 32.3bp(+1.5)
3년: 44.3bp(-0.2)
5년: 44bp(par)

AA- 캐피탈
1년: 40.3bp(+1.4)
3년: 59.1bp(-0.2)
5년: 74.1bp(par)

A+ 캐피탈
1년: 104bp(+1.5)
3년: 143.6bp(-0.5)
5년: 187.9bp(par)

◆ 외환시장
NDF환율(1M): 1,416.3원/전일 대비 0.2원 상승 출발
달러인덱스: 99.41pt(+0.14pt, +0.14%)
달러/유로: 1.1370달러(-0.003, -0.26%)
엔/달러: 142.44엔(+0.55, +0.39%)
달러/파운드: 1.3266달러(+0.003, +0.20%)
위안/달러: 7.300위안(-0.007pt, -0.09%)

◆ 상품시장 ($)
WTI: $64.7(+2.2, +3.4%)
브렌트: $68.0(+2.1, +3.1%)
천연가스(HH): $3.25(-0.0, -0.1%)
금: $3380.7(+18.4, +0.5%)
구리: $9203.5(+39.5, +0.4%)
옥수수: $482.3(-2.0, -0.4%)

◆ 미국 증시
DOW: 39142.2pt(-1.3%)
S&P500: 5282.7pt(+0.1%)
NASDAQ: 16286.5pt(-0.1%)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85,000.0USD(+969.6, +1.1%)
이더리움(Binance): 1,589.9USD(+12.8, +0.8%)
[상상인 Macro Daily 4/18(금)]

◆ Stock Market

- KOSPI는 전일대비 0.94% 상승한 2,470.41pt에 마감. 미국 정부의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 소식 및 파월 연준 의장의 인플레이션 우려 발언에도 불구하고, 기관 투자자들의 저가 매수세 유입 및 태양광 소재 상호 관세 면제 소식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국내 증시는 상승 마감

- S&P 500은 전일대비 0.13% 상승한 5,282.70pt에 마감. 경제지표의 견조세 속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협상 진전 소식에 상방 압력이 작용한 가운데, 옵션 만기일 여파로 변동성이 확대되며 혼조세 마감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2.7bp 상승한 2.647%에 마감. 4월 금통위에서 한국 경제 둔화가 확인되었으나, 금리 인하 속도에 관련하여 시장 컨센 대비 덜 비둘기파적이었다는 인식 속에 국고채 시장은 전반적으로 약세장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일대비 4.8bp 상승한 4.325%에 마감. ECB의 금리 인하 이후 미국채 지위에 대한 의문제기 영향에 금리는 상승, 무역 협상에 대한 기대가 상승폭을 일부 축소하며 미국채 시장은 약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0.80원 상승한 달러당 1,416.6원에 마감. 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을 소화한 가운데, 주요 통화들이 큰 변동을 보이지 않으며 위안화 강세 영향에 원화 가치는 상승하며 원/달러 환율은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일대비 0.03pt 상승한 99.41pt에 마감. 기축통화로써 달러화의 지위가 하향되는 가운데, ECB 금리 인하 영향에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며 달러 인덱스는 상승 마감

◆ Commodity

- 금(5월물)은 전일대비 0.54% 하락한 온스당 3,380.7달러에 마감. 달러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국채 금리 상승 및 차익 실현 매물 출회 영향에 하락 마감

- WTI(5월물)은 전일대비 3.54% 상승한 배럴당 64.68달러에 마감. 미국의 이란 원유 수출 추가 제재 발표 영향에 상승 마감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3j808qo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4. 18 (금)

● Top News
- 트럼프, '관세파장' 지적한 연준의장에 "그는 내가 원하면 사임"
https://naver.me/5IS3V9Ge

● Economy
- ECB, 7번째 금리인하 단행…핵심 예치금리 2.25%로
https://naver.me/GOPoyevc
- "1분기 역성장" 한은마저 경고
https://naver.me/xCBN9kF0

● Stock Market
- 뉴욕증시, 파월 압박하는 트럼프에도 '무덤덤'…혼조 마감
https://naver.me/Gn0ETMCi
- 코스피, 美 반도체 규제에도 2470선 회복…한화에어로 '사상 최고가'
https://naver.me/xAFjr46J

● Fixed Income
- 중국 2월 미국채 보유액 7843억$…전월비 235억$↑
https://naver.me/xDJrOvxj
- 4월 국고채 모집 방식 비경쟁인수 발행 미실시…"수급여건 감안"
https://naver.me/Gq82O47J

● Currency
- 미국의 신뢰 위기, 자금 엑소더스 촉발…안전자산 대우 못 받는 달러
https://naver.me/5hunZI2Q
- 美·日 “관세 조기 협상 타결”… 日, 환율은 의제 빠져 안도
https://naver.me/xFLmHTG5

● Commodity
- 한미, 알래스카 LNG 본격 협상 목전…"신중 접근해야"
https://naver.me/xq39GLtX
- ‘金’ 미국 M7보다 매력적… 장중 최고치 또 돌파
https://naver.me/GpCdaFGG

● Real Estate
- 대치동 상징 '은마아파트', 49층·5962가구 규모로 재건축
https://naver.me/5qD4O9lm
- 전셋값 안정에 HUG '안도'…전세보증 사고액 3분의 1로 줄었다
https://naver.me/xFLmH11i

● ESG
- 금감원, 한화에어로 유상증자 또 제동
https://naver.me/5ssRvfTW

● ETC
- 파리서 美·유럽·우크라 고위급 회담…"평화 열망으로 단합"
https://naver.me/xQeqr4p1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 상상인 반도체/IT 정민규 ]
👨‍💻 4.18(금) - 오늘도 6시 54분 3, 2, 1

▶️ 中 CXMT, 올해 D램 생산량 68% 확대… “SK하이닉스 절반 근접”(조선비즈)
https://vo.la/qRhwEi

▶️ 구형GPU·관세쇼크에 MS 데이터센터 축소…머스크만 가속페달(뉴스1)
https://vo.la/vPLHCi

▶️ 美 `딥시크 쇼크`에 칩 잠그고 차단…중국은 “활용에서 앞선다”(디지털타임스)
https://vo.la/TpruZl

▶️ 美, AMD·인텔 AI 칩도 '대중 봉쇄'(조선일보)
https://vo.la/rDKafb

▶️ TSMC, 트럼프 관세에도 실적 자신감 유지…인텔 인수설은 부인(블로터)
https://vo.la/mGeKQe

▶️ ASML: China Sales Could Top 25% in 2025, but Homegrown EUV Still Years Off(Trendforce)
ASML은 2025년 중국 매출 비중이 25%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며 수요가 예상보다 견조함. 중국은 자국산 EUV 장비 개발이 임박했다고 주장하지만, ASML CEO는 실제 상용화까지는 수년이 걸릴 것이라 판단함. 미국 수출 규제 속에서도 중국 업체들이 기존 DUV 장비를 집중 구매하며 매출을 견인 중이며, 중국의 EUV 개발은 아직 연구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임
https://vo.la/fQytZj

▶️ Nvidia H20 export restrictions: local AI chips in China see opening(Digitimes)
미 상무부가 엔비디아 H20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면서, 중국 내 AI용 고성능 컴퓨팅 칩 시장에 국산 솔루션의 기회가 열림. 클라우드 업체들은 동남아나 중동 등을 활용한 우회적 모델 학습을 병행 중이나, 추론 중심 수요에 맞춘 로컬 칩 도입이 증가하고 있음. 다만 학습용 ASIC 성능 격차는 여전히 크며,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추가 규제로 중국 내 자립 생태계 강화를 통한 내순환 구조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음
https://vo.la/FcjlpS

✈️채널: https://t.me/nudgetech

Рекорддор

19.05.202523:59
1.6KКатталгандар
04.03.202523:59
100Цитация индекси
10.03.202514:52
4.3K1 посттун көрүүлөрү
10.03.202514:52
4.3K1 жарнама посттун көрүүлөрү
19.10.202423:59
3.33%ER
10.03.202514:52
283.16%ERR
Катталуучулар
Citation индекси
Бир посттун көрүүсү
Жарнамалык посттун көрүүсү
ER
ERR
ЖОВТ '24СІЧ '25КВІТ '25

상상인증권 리서치 популярдуу жазуулары

18.05.202522:48
[상상인증권 음식료/유통/화장품 김혜미]
💡 화장품 산업

[화장품 산업] 하반기 옥석 가리기

▶️ 화장품 업종 투자의견 Overweight 유지
- 1Q25 화장품 업종은 고성장에 따른 역기저와 미국발 관세 불확실성 속에서 주가 변동성 확대
- 주요 업체들의 실적은 대체로 양호. 에이피알, 코스맥스, 펌텍코리아 등이 역대 최대 실적 기록, 아모레퍼시픽 역시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
- 다만, 일부 업체는 기대치 하회
- 하반기에는 종목 간 실적 격차가 더욱 심화될 것. 옥석가리기가 가속화될 전망

▶️ 하반기 핵심 키워드는 '다변화'
- 높은 실적 기저를 극복하고 추가 성장세를 시현한 브랜드 업체들은 안정적인 지역 포트폴리오를 구축 중, 상위 제조업체들도 생산 거점과 매출처 분산을 통해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지역 확대 기조에 대응 가능
- 올해는 과거 ‘선택과 집중’ 전략에서 벗어나 ‘다변화’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
- 다만, 실적이 견조하고 향후 모멘텀을 확보한 업체들은 이미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된 경우가 많아 밸류에이션에 대한 신중한 고려 필요

▶️ Top-Pick: 아모레퍼시픽
- 해외 다변화는 물론 하반기 실적 모멘텀, 밸류에이션 및 현재 주가 대비 잔여 상승 여력 등을 고려

▶️ 기업분석

1) 아모레퍼시픽 (BUY/TP 185,000원)
2) LG생활건강 (BUY/TP 430,000원)
3) 한국콜마 (BUY/TP 100,000원)
4) 코스맥스 (HOLD/TP 230,000원)
5) 펌텍코리아 (HOLD/TP 60,000원)
6) 클리오 (HOLD/TP 17,000원)

* 리포트 주소: https://iii.ad/0e976d 👈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18.05.202523:57
🧮(5월 3주)Quant Lens Weekly: 1분기 실적 마무리 & Moody’s 신용등급 강등 (두산, JYP Ent. 엘앤에프, OCI홀딩스, SK이터닉스)
[상상인증권 퀀트 김경태] 02-3779-3427

- 1Q 실적은 약 290개 상장사 중 150개 기업이 영업이익 예상치 상회하며 우려대비 양호, 하반기에는 관세 선반영 수요에 따른 성장 둔화 및 성장 모멘텀 부재로 하향 리스크 부각

- 관세 우려로 부진했던 업종들이 반등세를 보이며 시장 심리를 회복, 특히 AI 모멘텀 및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가 반도체 중심으로 긍정적 영향. 반면 미용 기기, 화장품, 백화점, 방산, 제약/바이오 등은 차익 실현으로 조정받으며 주도주의 순환매가 나타남

- 무디스는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Aa1로 하향하며 재정 건전성 악화를 경고, 시장 반응은 제한적이며 과거 강등 사례에 비해 충격이 완화된 흐름. 관세 정책과 국채 발행 확대에 따른 재정 부담 증가는 이미 예상된 내용

- 코스피는 3월 이후 낙폭을 회복하며 단기 과열 우려 속 조정 가능성도 제기, 반도체 업황 개선과 함께 낙폭과대·배당 매력주 중심의 순환매가 유입 가능성. 따라서 현재 예상되는 펀더멘탈과 관계없는 단기 조정 시기를 이용하여 해당 종목에 대한 비중 확대 제안

- 5월 3주차 Top Pick 두산, JYP Ent. 엘앤에프, OCI홀딩스, SK이터닉스 / Short Pick : 한미반도체, 넥슨게임즈

* 원문 보고서 링크: https://buly.kr/B7a0b6b

*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https://t.me/ssi_research

*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https://t.me/ssi_macro
18.05.202523:22
💡 OCI홀딩스
: 새로운 기회의 시작
[상상인증권 화학/에너지 백영찬]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12,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 P/B-ROE모델을 통해 산출
- 2025년 예상 실적 기준 Implied P/E 23.7배, P/B 0.54배 수준

▶️ 2025년 투자 포인트
- 미국의 태양광밸류체인 가격 상승
- 중국 태양광 산업 구조조정 시작

▶️ 2Q25 Preview: 분기 기준 연중 저점이 될 전망
-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8947억원 (-5.8% YoY), 218억원 (-75.7% YoY)으로 예상
- 당사의 폴리실리콘 가동률 또한 전분기 대비 낮아지면서 수익성 하락이 불가피할 전망
- 다만 하반기에는 미국 태양광모듈 가격 상승과 관세 이슈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이익 개선이 가능할 것

* 리포트 주소:
https://iii.ad/5c0a54 👈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19.05.202500:29
[상상인 리서치 Report 5/19(월)]

💡 기업분석
✅ 하나제약(293480)/BUY(유지)/16,000원(하향)/마취제 CMO 점진적이지만 진척 있다/[에스테틱/스몰캡 하태기]
https://iii.ad/c18cda
- 일부 제네릭 의약품 경쟁 심화와 약가 인하, 의료 파업 영향으로 2025년 1분기 매출 정체
- 영업실적 성장 둔화, 독일의 바이오벤처사 Paion사와 판권 계약 및 생산 계약을 맺고 글로벌 CMO 비전을 키우는 중
- 장기적 관점에서 글로벌 마취제 CMO의 잠재력을 지켜보자
- 아직 시간은 좀 필요하다, 2025년 하반기 중반 이후에 보자

✅ DB하이텍(000990)/BUY(신규)/53,000원(신규)/높은 가동률과 신사업 효과 기대/[IT/반도체 정민규]
https://iii.ad/85f0ed
- 1분기 실적은 매출액 2,974억원(+13.7% YoY, +4.9% QoQ), 영업이익 525억원 (+28.0% YoY, +48.8% QoQ)으로 시장 기대치(영업이익 컨센서스 628억원) 하회
- 투자 포인트 (1) 견조한 중국 수요 기반의 높은 가동률 및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 (2) 차량용 반도체향 매출 성장 및 Si Capacitor/SiC/GaN 등
신사업 중장기 성장 잠재력
- 2025년 연간 매출액 1.25조원(+10.1% YoY), 영업이익 2,243억원(+17.5% YoY)을 전망

✅ 인텍플러스(064290)/BUY(유지)/14,000원(하향)/구조조정에 따른 고정비 부담 완화/[IT/반도체 정민규]
https://iii.ad/ad9993
- 동사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144억원(-23.8% YoY, -41.2% QoQ), -45억원(적자지속)으로 시장 기대치에 매출은 하회, 영업이익 부합
- 1분기 단행한 전사적인 구조조정으로 2분기부터 본격적인 고정비 부담 완화 효과 예상
- 흑자전환 및 신규 반도체 검사장비 매출 회복이
기대됨에 따라, 투자의견 Buy를 유지

✅ 하나마이크론(067310)/BUY(유지)/15,000원(하향)/기업가치 제고 계획: 성장과 환원/[IT/반도체 정민규]
https://iii.ad/e1ad59
-동사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3,118억원(+15.9% YoY, -18.7% QoQ), 117억원(+8.4% YoY, -80.4% QoQ)으로 컨센서스를 하회
- 본사 별도, 해외 법인 모두 1분기를 저점으로 가동률 회복 및 실적 개선 예상
- 5월 14일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통해 2030년 매출 3.25조원 달성 및 RoIC 10.8% 이상 유지라는 중장기 성장 목표를 제시

✅ OCI홀딩스(010060)/BUY(신규)/112,000원(신규)/새로운 기회의 시작/[화학/에너지 백영찬]
https://iii.ad/192ea3
- 투자포인트 (1) 하반기 미국 태양광밸류체인 가격 상승 (2)중국 태양광 산업 구조조정 시작
-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8947억원 (-5.8% YoY), 218억원 (-75.7% YoY)으로 예상
- 하반기 미국 태양광모듈 가격 상승과 관세 이슈 불확실성 해소되며 2분기를 저점으로 이익 개선 가능할 전망

📌산업분석
✅ [Global Chemical Watch] 1Q25 Review 롯데케미칼, 개선속도의 문제/[화학/에너지 백영찬]
https://iii.ad/b7149e
- 1분기 롯데케미칼의 외형과 영업손익 4조 9018억원 (-3.6% YoY), -1266억원 (적자축소 YoY)
기록, 컨센서스 OP -1034억원에 부합
- 전년 4분기대비 제품 스프레드 개선과 경비 절감, 일부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영업적자 개선
- 다만 미국 관세이슈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 확대로 하반기 화학제품 수요 둔화, 지속 전망. 하반기 실적 개선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둔화될 것

✅ [상상인 2차전지 Weekly] 주요업체, 단기투자 및 자금조달 마무리/[자동차/2차전지 유민기]
https://iii.ad/59ebdf
- 5월 3주차 기준, 상상인 2차전지 산업지수(-5.8%) 하락. 주간수익률 LG에너지솔루션(-8.6%), 삼성SDI(-3.3%), 포스코퓨처엠(-7.8%) 하락
- 포스코퓨처엠 1.1조 유상증자 발표. 증자금액은 1.1조원, 증자비율 14.8%, 할인율 20%
- 2025년 목표 양극재 생산량 7만톤 내외인 가운데, 가동률 60% 상회할만한 수요 확보여부는 불확실

✅ [화장품 산업] 하반기 옥석 가리기/[소비재 김혜미]
https://iii.ad/5ff9dd
- 1Q25 화장품 업종은 고성장에 따른 역기저와 관세 불확실성 속 주가 변동성 확대, 하반기 종목 간 실적 격차 심화될 것. 옥석가리기 가속화 전망
- 올해는 과거 ‘선택과 집중’ 전략에서 벗어나 ‘다변화’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 다만 밸류에이션에 대한 신중한 고려 필요
- Top-Pick 아모레퍼시픽: 해외 다변화는 물론 하반기 실적 모멘텀, 밸류에이션 및 현재 주가 대비 잔여 상승 여력 등을 고려

🔎 투자전략
✅[한상자 Weekly] 다시 돌아온 훈풍/[투자전략팀]
https://iii.ad/7e9a91
- 협상에 들어간 미국과 중국, 시장 투심 급격하게 회복
- 관세 정책 여파로 하락했던 미 증시, 정책 기조 변화 확인되자 가장 급격하게 반등. 다만 채권 및 외환 시장 투심 회복은 제한적
- 한-미 환율 협상 진행, 대만 달러와 유사하게 흘러가는 원화
- 조기 대선 국면이 시작, 향후 국내 금융 시장의 함수는 보다 고차원적으로 전개될 가능성 확대

✅[QLW](5월 3주) 1분기 실적 마무리 & Moody's 신용등급 강등/[퀀트 김경태]
https://iii.ad/516fe0
- 주도주 과열 해소, 관세 악재에 눌려왔던 반도체/내수주 추세반전 조짐
- 한편,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5월 16일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하향 조정
- 현재 예상되는 펀더멘탈과 관계없는 단기 조정 시기를 이용하여 해당 종목 비중 확대 제안
-5월 3주차 Top Pick 두산, JYP Ent. 엘앤에프, OCI홀딩스, SK이터닉스
-5월 3주차 Short Pick은 한미반도체, 넥슨게임즈

✅[상상인 Macro Daily 5/19(월)]/[투자전략팀]
https://iii.ad/040b9f
18.05.202522:46
상상인 소비재 뉴스 (05/19)
[상상인증권 소비재 김혜미, RA 송지연]

▶️음식료

물가 오름세에 정부 '단기 진화' 돌입…"美관세에 암흑기 올수도" (뉴시스)
ㅁ 기획재정부가 지난 16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5월호' 등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 4개월 연속 2%대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 생활 물가 역시 전방위로 오르고 있어
ㅁ 정부는 지난 16일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추가경정예산(1200억원)을 활용한 농산물 할인 지원 확대 방침을 밝혀. 오는 22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 전국 온오프라인 유통업체에서 소비자들이 최대 40% 할인 가격으로 국산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

매출 높아도 남는 장사 아냐...식품업계 1분기 실적 '어닝쇼크' (푸드투데이)
ㅁ 식품업계가 올 1분기에 부진한 실적을 기록. CJ제일제당.농심.롯데웰푸드 등 제조원가.관리비 부담으로 아쉬운 성적표
ㅁ 삼양.오리온, 해외공략 업체는 최대실적 기록


▶️유통

“월마트 가격 올리지마…지켜본다” 트럼프식 가격통제 (국민일보)
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 대형 유통업체 월마트를 향해 관세를 이유로 상품 가격을 올리지 말라고 경고하며 “내가 지켜볼 것”이라고 작성
ㅁ 월마트는 최근 관세 영향을 받은 바나나, 아동용 카시트 등 일부 상품에 대해 이달 말부터 가격을 인상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어

'유통업 1등만 더 강해졌다'…쿠팡·이마트·올영 '호실적' (연합뉴스)
ㅁ 극심한 소비침체를 겪은 올해 1분기 유통 채널별로 선두 기업들이 선전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씀씀이가 전반적으로 줄어든 가운데 가격경쟁력과 고객 충성도가 높은 대형 업체로의 쏠림현상이 심화한 결과
ㅁ 유통업계에선 '승자 독식' 현상이 시간이 갈수록 더 강해질 것으로 전망. 지출 여력이 줄어든 소비자를 유인하는 핵심 요소는 가격과 신뢰도인데, 이는 시장지배 사업자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의 대체적인 시각


▶️화장품

화장품 공개기업 76개사, 1분기 실적 호조 "매출, 수익 모두 성장" (코스인코리아닷컴)
ㅁ 코스인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공시자료인 분기보고서를 바탕으로 국내 화장품 공개기업 76개사의 올해 1분기 경영실적을 집계해 분석한 결과, 전체 매출액은 8조 8,596억 원, yoy +9.5%로 집계
ㅁ 영업이익은 7,832억 원, 당기순이익은 5,477억 원으로 각각 yoy +22.4%, 3.5% 증가

중소화장품 수출 비중 70%...'미국 수출 주도' (뷰티경제)
ㅁ 산자부의 수출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화장품 총 수출액은 3조 6천억원(2599백만 달러)이고 최근 중소벤처기업부는 1분기 중소뷰티의 총 수출액은 2조 5천억원(1840백만달러)로 발표해 중소뷰티가 전체의 70.8%를 차지
ㅁ 또 화장품은 최대 수출국인 미국에서 3억 달러(10.8%), 중국에서 2.8억 달러(-0.1%), 일본에서 1.9억 달러(11.7%)를 달성했으며 미국에서는 역대 분기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혀

아모레퍼시픽, 佛향수 '구딸' 인수 14년만에 韓서 철수 (뉴시스)
ㅁ 아모레퍼시픽은 구딸의 한국 사업을 다음 달부터 종료할 예정. 오프라인 매장은 지난달 말 모두 철수 완료
ㅁ 다만, 아모레퍼시픽 측은 구딸의 브랜드 사업은 지속적으로 유지한다는 계획
19.05.202508:49
💡 [ESG] Global ETS 동향과 정책 적용 이슈 분석
[상상인증권 화학/에너지/ESG 백영찬]

1. 정치적 갈등으로 붉어진 Anti-ESG, 그럼에도 ETS 시장은 성장 중
-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더욱 공격적이고 구조적인 Anti-ESG 정책을 전개하며 ESG를 정치 쟁점화
- 그럼에도 글로벌 ETS 시장은 확대 중. 각국은 실효적 ETS 시장 정착을 위해 노력 중

2. 환경 우선주의 1보 후퇴, 그러나 親 ESG 기조는 변함없다
- SEC 기후공시 규칙은 반발로 중단. Anti-ESG는 과거 ESG 정책의 실효성 부족에 따른 부작용에서 기인한 역풍
- ESG 자산과 ETF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자금 유입이 이어지며 성장세 유지

3. IMO 사례는 ESG 규제가 각국의 이해관계가 교차하는 영역임을 시사
- MEPC 83차에서 국제해운의 GHG 저감을 위한 중기조치 승인. 10월 공식 채택 시 2027년 3월 발효
- 이는 EU ETS 확산에 대응한 다자주의적 조율의 사례로, 향후 국제 해운 규제의 주도권의 향방을 가를 전망

* 리포트 주소: https://iii.ad/b6f696 👈
* 해당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하였습니다
19.05.202504:10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5. 19 (월)

● Top News
- “美 신용등급 강등, 예고된 ‘확인 사살’”…코스피, ‘하방 압력’ 장기화 가능성은?
https://naver.me/Gag6genE

● Economy
- 한미 관세 '2차 기술협의' 범정부 대표단 내일 오전 방미
https://naver.me/GlGp9Nv1
- "美, 2037년까지 최대 448척 선박 발주…'윈윈' 협력안 마련해야"
https://naver.me/G3PWPMb3

● Stock Market
- 코스피 美 신용등급 강등에 장중 2,600선 내줘…코스닥 1.9%↓
https://naver.me/GmteG7cM
- 코스피 기업 1분기 영업이익 23% 늘었다…코스닥은 절반이 적자
https://naver.me/GYGlMyhm

● Fixed Income
- 국고채 금리, 1bp 내외 상승 출발…외인, 10선 매수
https://naver.me/GFCHAGJW
- 아시아장서 미 10년물 보합세…2.5조원 규모 10년물 입찰
https://naver.me/xpB4NqHT

● Currency
- “1400원 뉴노멀이라더니”…커진 변동성에 환율 ‘안갯속’
https://naver.me/xF2lPXgn
- 美 신용등급 강등 영향, 국채금리·금값 오르고 달러 약세
https://naver.me/5XpS6kdn

● Commodity
- 브라질산 닭고기 금수… 할당관세·제3국 수입 등 초비상
https://naver.me/GhSnlncj
- 코코아 선물 급등…주간 기준 15%↑
https://naver.me/FjCy2Mxa

● Real Estate
- 서울 아파트 분양 3개월 만에 재개…구로·은평 오늘 특별공급
https://naver.me/FGEM3XuF
- "가격부담 덜하다"…이번엔 이 동네가 '후끈'
https://naver.me/xg7WKUBS

● ESG
- 트럼프 행정부, 세계은행 기후정책 개혁 시동
https://naver.me/5gYQ86LW
- APEC 회원국, "공급망·기후 대응 협력 강화"
https://naver.me/5lfls8mb

● ETC
- 美신용등급 하락에도 비트코인 10만5000달러대…역대 최고가 목전
https://naver.me/5JGnp5R6
- SKT 개인정보·IMEI 유출 가능성…3년전 악성코드 설치 추정
https://naver.me/IFGbEcxg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18.05.202522:37
★상상인 FICC Brief 5월 19일 (월)★

◆ Fixed Income
-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전영업일대비 4.0bp 하락한 2.670%에 마감. 미국 물가 지표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미국채 금리가 하락한 것에 연동된 가운데, 5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국고채 시장은 강세장 시현
-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영업일대비 4.6bp 상승한 4.477%에 마감. 악화된 소비자 심리 및 높은 기대 인플레이션 등 경제지표를 반영하며 보합권 등락한 가운데,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하향 영향에 금리는 급등, 미국채 시장은 약세장 시현

◆ Currency
- 원/달러 환율은 전영업일대비 2.00원 상승한 달러당 1,400.0원에 마감. 미국 기대 인플레 상승에 달러 강세 압력이 작용, 최근 원화 강세에 따른 되돌림세도 발생하며 달러-원 환율은 상승 마감
- 달러 인덱스는 전영업일대비 0.21pt 상승한 101.09pt에 마감. 미국 경기 불안 여파로 인해 장 초반 하락 출발. 그러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급등하며 인플레 불안을 야기, 통화정책 완화 기대가 약화되며 상승 마감

◆ Commodity
- 금(6월물)은 전영업일대비 1.22% 하락한 온스당 3,187.2달러에 마감. 달러 강세 및 안전자산 선호심리 약화 지속 영향에 하락 마감
- WTI(6월물)은 전영업일대비 1.41% 상승한 배럴당 62.49달러에 마감. 이란 정부의 핵 협상 전면 부인 이후 핵 합의 기대심리가 냉각되며 WTI 선물 가격은 상승 마감

◆ Stock Market
- KOSPI는 전영업일대비 0.21% 상승한 2,626.87pt에 마감. 4월 PPI가 둔화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는 완화되어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세가 유입되었으나, 전반적으로 반등세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한국 증시는 소폭 상승 마감
- S&P 500은 전영업일대비 0.70% 상승한 5,958.38pt에 마감. 소비자 심리지수의 예상치 하회 및 최근 상승 랠리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에도 불구하고 관세 우려 완화로 인해 경기 방어주 중심으로 미 증시는 상승 마감

◆ 미국 국채시장
2년물: 4.003%(+4.0bp)
5년물: 4.093%(+3.7bp)
10년물: 4.480%(+4.6bp)
30년물: 4.947%(+5.8bp)
(스프레드)
기준금리/2년: -49.7bp(+4.0)
2년/10년: 47.7bp(+0.6)
10년/30년: 46.7bp(+1.2)

◆ 주요국 국채 10년물 금리
독일: 2.583%(-3.5bp)
미국: 4.480%(+4.6bp)
영국: 4.642%(-1.4bp)
프랑스: 3.264%(-3.7bp)
그리스: 3.339%(-6.7bp)
이탈리아: 3.593%(-3.5bp)
스페인: 3.206%(-4.3bp)
일본: 1.450%(-2.4bp)
호주: 4.407%(-7.8bp)

◆ 국내 국채 시장
3년물: 2.315%(-3.5bp)
5년물: 2.440%(-4.0bp)
10년물: 2.670%(-4.0bp)
30년물: 2.572%(-1.3bp)
(스프레드)
기준금리/3년: -43.5bp(-3.5)
3년/10년: 35.5bp(-0.5)
10년/30년: -9.8bp(+2.7)

◆ 국내 국채 선물시장(변동폭)
3년 KTB: 107.66pt(+0.11)
10년 KTB: 120.32pt(+0.44)

◆국내 크레딧 시장 SP(국고 대비, bp)
AAA 공사채
1년: 22.7bp(-1.2)
3년: 25.7bp(-0.1)
5년: 23.5bp(par)

AAA 은행채
1년: 25.6bp(-0.2)
3년: 28.5bp(par)
5년: 30.5bp(par)

AA+ 회사채
1년: 40.2bp(-0.8)
3년: 49bp(+0.1)
5년: 48.1bp(par)

AA+ 카드채
1년: 34.6bp(-1.5)
3년: 45.8bp(-0.1)
5년: 44.8bp(par)

AA- 캐피탈
1년: 42.1bp(-1.5)
3년: 60.2bp(-0.1)
5년: 74.8bp(par)

A+ 캐피탈
1년: 105.6bp(-1.5)
3년: 144.9bp(par)
5년: 188.9bp(par)

◆ 외환시장
NDF환율(1M): 1,395.7원/전일 대비 8.2원 상승 출발
달러인덱스: 100.97pt(+0.16pt, +0.16%)
달러/유로: 1.1166달러(-0.002, -0.18%)
엔/달러: 145.64엔(-0.00, -0.00%)
달러/파운드: 1.3278달러(-0.002, -0.18%)
위안/달러: 7.210위안(+0.000pt, +0.00%)

◆ 상품시장 ($)
WTI: $62.5(+0.9, +1.4%)
브렌트: $64.5(-1.6, -2.4%)
천연가스(HH): $3.33(-0.0, -0.8%)
금: $3226.6(+38.3, +1.2%)
구리: $9577.0(-29.5, -0.3%)
옥수수: $448.5(+10.0, +2.2%)

◆ 미국 증시
DOW: 42654.7pt(+0.8%)
S&P500: 5958.4pt(+0.7%)
NASDAQ: 19211.1pt(+0.5%)

◆ 암호화폐 시장 ($)
비트코인(Binance): 104,952.4USD(+1825.7, +1.7%)
이더리움(Binance): 2,423.3USD(-51.8, -2.1%)
14.05.202504:09
※ 상상인 리서치 투자전략 뉴스
25. 05. 14 (수)

● Top News
- AI열풍에 140조원 냉난방공조 시장 열린다…삼성 '빅딜' 나선 이유는
https://naver.me/55PuedYS

● Economy
- KDI, 올해 韓 성장률 전망 1.6→0.8% '반토막'…추가 추경엔 부정적
https://naver.me/xI1Qk3kM
- 美 금리인하 기대 접자…월가 "올해 인하 50bp 미만, 일러야 7월"
https://naver.me/F8uPzP3L

● Stock Market
- 코스피, 반도체株 강세에 2620선 상승 출발
https://naver.me/II4sY9L7
- 삼양식품·한화시스템, MSCI 지수 신규 편입
https://naver.me/5Pl7n19k

● Fixed Income
- 국고채 금리, 1bp 미만 등락 출발…외인, 국채선물 매도세
https://naver.me/ximK3Sdu
- 1.1兆 유증 선택한 포스코퓨처엠 “신용등급 고려해 자금 조달 선택”
https://naver.me/G7CUXJyg

● Currency
- 원/달러 환율, 소폭 하락…미 CPI 둔화에 달러 약세 전환
https://naver.me/5xazSWiy
- 트럼프 관세 폭주에… 글로벌 자금, 달러와 ‘헤어질 결심’
https://naver.me/IGZo1dGc

● Commodity
- 중국, 희토류 생산업체 4곳 수출 허가…지난달 규제 이후 처음
https://naver.me/GUm6XWW5
- 휴전 합의될까…우크라·러, 전쟁발발 후 첫 美중재 직접협상
https://naver.me/xt4m7I5i

● Real Estate
- 부메랑 된 토허제...“4월 銀가계대출 7개월래 최대폭 급등”
https://naver.me/FnVJIoBk
- "서울·경기보다 인천"…지난달 30대 인천 집합건물 취득 94%↑
https://naver.me/GLzQmeQ4

● ESG
- 한은, 은행·보험사와 '기후 리스크 측정 기법' 공유한다
https://naver.me/5ZSBK9pm

● ETC
- 이번엔 이더리움 랠리…비트코인 10만달러 돌파 후 잠잠할 때 급등세
https://naver.me/5BwdJXIF
- 트럼프 차남 참여한 비트코인 회사, 나스닥 상장 추진
https://naver.me/5BwdhBNC

[상상인증권 투자전략팀]
채널: https://t.me/ssi_macro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