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4.202502:03
제목 : 퍼플렉서티, 모토로라 스마트폰에 AI 검색엔진 탑재 *연합인포맥스*
CNBC는 “퍼플렉서티는 모토로라 스마트폰에 인공지능(AI) 검색엔진을 탑재했다”고 보도했다. “퍼플렉시티의 AI 기능은 모토로라의 모토 AI 기능에 포함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모토로라는 퍼플렉시티를 기기에 직접 통합한 최초의 스마트폰 브랜드가 되었다”고 전했다. “모토로라는 마이크로소프트(MSFT) 코파일럿, 알파벳(GOOG) 산하 구글의 제미나이 및 메타 플랫폼스(META)와도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CEO는 “퍼플렉시티는 매출보다 사용자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CNBC는 “퍼플렉서티는 모토로라 스마트폰에 인공지능(AI) 검색엔진을 탑재했다”고 보도했다. “퍼플렉시티의 AI 기능은 모토로라의 모토 AI 기능에 포함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모토로라는 퍼플렉시티를 기기에 직접 통합한 최초의 스마트폰 브랜드가 되었다”고 전했다. “모토로라는 마이크로소프트(MSFT) 코파일럿, 알파벳(GOOG) 산하 구글의 제미나이 및 메타 플랫폼스(META)와도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CEO는 “퍼플렉시티는 매출보다 사용자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23.04.202512:41
제목 : [개장 전 특징주] 테슬라, 인튜이티브 서지컬 등 실적발표 이후 상승 *연합인포맥스*
▲ 테슬라(TSLA): 1분기 실적이 저조했음에도 불구하고, 머스크 CEO가 DOGE 활동을 축소할 것이라고 언급하고 로보택시 사업이나 휴머노이드로봇 기술 등을 강조하면서, 프리마켓에서 7.63% 상승하고 있다. ▲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6.60% 상승하고 있다. ▲ SAP(SAP): 매출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EPS는 컨센서스를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마켓에서 8.32% 급등하고 있다. ▲ 인페이즈 에너지(ENPH):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을 발표했고, 배터리 조달 과정에서 중국 관세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다는 점이 경계받고 있다. 프리마켓에서 9.98% 급락하고 있다. ▲ 카바(CAVA): 번스타인은 경기둔화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기업이라고 평가하면서, 주가 상승여력이 크다고 판단했다. 프리마켓에서 6.33% 상승 중이다. ▲ 일라이 릴리(LLY): 다이어트약 마운자로(Mounjaro), 젭바운드(Zepbound)의 조제약을 판매하는 통신의약품 기업들에게 소송을 제기했다. 프리마켓에서 2.44% 상승 중이다. ▲ 듀오링고(DUOL): 모간스탠리는 소비자인터넷 섹터에서 차별화된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하며 비중확대 의견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프리마켓에서 4.95% 상승 중이다.
▲ 테슬라(TSLA): 1분기 실적이 저조했음에도 불구하고, 머스크 CEO가 DOGE 활동을 축소할 것이라고 언급하고 로보택시 사업이나 휴머노이드로봇 기술 등을 강조하면서, 프리마켓에서 7.63% 상승하고 있다. ▲ 인튜이티브 서지컬(ISRG):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6.60% 상승하고 있다. ▲ SAP(SAP): 매출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EPS는 컨센서스를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마켓에서 8.32% 급등하고 있다. ▲ 인페이즈 에너지(ENPH):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을 발표했고, 배터리 조달 과정에서 중국 관세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다는 점이 경계받고 있다. 프리마켓에서 9.98% 급락하고 있다. ▲ 카바(CAVA): 번스타인은 경기둔화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기업이라고 평가하면서, 주가 상승여력이 크다고 판단했다. 프리마켓에서 6.33% 상승 중이다. ▲ 일라이 릴리(LLY): 다이어트약 마운자로(Mounjaro), 젭바운드(Zepbound)의 조제약을 판매하는 통신의약품 기업들에게 소송을 제기했다. 프리마켓에서 2.44% 상승 중이다. ▲ 듀오링고(DUOL): 모간스탠리는 소비자인터넷 섹터에서 차별화된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하며 비중확대 의견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프리마켓에서 4.95% 상승 중이다.
23.04.202511:55
제목 : [실적 속보] 보잉(BA), 손실 축소 이루어지면서 상승 *연합인포맥스*
보잉은 ‘25년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195억 달러(+17.7%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2.9억 달러 하회한다. ▲ 비GAAP EPS -0.49달러(전년 동기 -1.13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81달러 상회한다. 매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손실 규모가 예상보다 작게 나타나면서,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4.79% 상승 중이다. 1분기에 민간항공기 130대(+57% YoY)를 인도한 것이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737 항공기 생산량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경영진은 ‘25년 내로 월 38대 생산 라인이 구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총 수주잔고는 5,450억 달러였다. 부문별로는 민간항공기 매출 81.5억 달러(+75%), 영업손실 -5.4억 달러(적자 축소) / 군수, 우주, 안보 매출 63.0억 달러(-9%), 영업이익 1.6억 달러(+3%) / 글로벌 서비스 매출 50.6억 달러(전년 동기 동등), 영업이익 9.4억 달러(+3%) 등을 기록했다. 비GAAP 영업이익은 1.99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흑자를 달성했고 이익률은 1%로 나타났다. 잉여현금흐름은 -22.9억 달러로, 컨센서스 -34.2억 달러보다 양호했다.
보잉은 ‘25년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195억 달러(+17.7%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2.9억 달러 하회한다. ▲ 비GAAP EPS -0.49달러(전년 동기 -1.13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81달러 상회한다. 매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손실 규모가 예상보다 작게 나타나면서,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4.79% 상승 중이다. 1분기에 민간항공기 130대(+57% YoY)를 인도한 것이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737 항공기 생산량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경영진은 ‘25년 내로 월 38대 생산 라인이 구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총 수주잔고는 5,450억 달러였다. 부문별로는 민간항공기 매출 81.5억 달러(+75%), 영업손실 -5.4억 달러(적자 축소) / 군수, 우주, 안보 매출 63.0억 달러(-9%), 영업이익 1.6억 달러(+3%) / 글로벌 서비스 매출 50.6억 달러(전년 동기 동등), 영업이익 9.4억 달러(+3%) 등을 기록했다. 비GAAP 영업이익은 1.99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흑자를 달성했고 이익률은 1%로 나타났다. 잉여현금흐름은 -22.9억 달러로, 컨센서스 -34.2억 달러보다 양호했다.
23.04.202511:03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매일 밤 8시30분 네이버 블로그에서
전하는 뉴욕증시 프리뷰 (2025.04.23)
"미중 긴장 완화로 급등세.. 테슬라 +6.5%"
https://blog.naver.com/101ancha/223844161239
#뉴욕증시 #장전시황 #관세전쟁 #TSLA #VRT #GEV
매일 밤 8시30분 네이버 블로그에서
전하는 뉴욕증시 프리뷰 (2025.04.23)
"미중 긴장 완화로 급등세.. 테슬라 +6.5%"
https://blog.naver.com/101ancha/223844161239
#뉴욕증시 #장전시황 #관세전쟁 #TSLA #VRT #GEV
23.04.202508:25
제목 : 테슬라(TSLA), 실적 저조했고 로봇 시장기회도 가능성에 불과 - 거버 *연합인포맥스*
거버가와사키의 Ross Gerber 창립자는 테슬라 주가가 실적발표 이후 상승하고 있지만, 테슬라의 1분기 실적이 매우 저조했으며 휴머노이드 로봇의 미래 시장기회도 분명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테슬라를 커버리지하고 11년 동안, ‘25년 1분기 실적만큼 저조한 실적은 나타난 적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테슬라는 1분기에 EPS가 40% 감소했다. "그러나 머스크 CEO는 휴머노이드 로봇 Optimus가 수 조 달러에 달하는 총유효시장(TAM)을 누릴 수 있으며, 앞으로 전세계적으로 휴머노이드로봇 도입이 확대될 것이라고 발언하면서 투자자들이 실적이 아닌 가능성만을 바라보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Gerber 창립자는 대표적인 테슬라 강세론자 중 한 명이었지만, 최근에는 테슬라 주가 전망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벤징가는 머스크 CEO가 발언한 내용들을 인용하여, "테슬라의 Optimus 양산 계획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등으로 인해 차질을 빚고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 CEO는 연내 수천 대의 휴머노이드 로봇 생산을 희망한다고 발언했지만, 현시점에서는 생산량을 예상하기 어렵다고 시인했다"고 정리했다.
거버가와사키의 Ross Gerber 창립자는 테슬라 주가가 실적발표 이후 상승하고 있지만, 테슬라의 1분기 실적이 매우 저조했으며 휴머노이드 로봇의 미래 시장기회도 분명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테슬라를 커버리지하고 11년 동안, ‘25년 1분기 실적만큼 저조한 실적은 나타난 적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테슬라는 1분기에 EPS가 40% 감소했다. "그러나 머스크 CEO는 휴머노이드 로봇 Optimus가 수 조 달러에 달하는 총유효시장(TAM)을 누릴 수 있으며, 앞으로 전세계적으로 휴머노이드로봇 도입이 확대될 것이라고 발언하면서 투자자들이 실적이 아닌 가능성만을 바라보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Gerber 창립자는 대표적인 테슬라 강세론자 중 한 명이었지만, 최근에는 테슬라 주가 전망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벤징가는 머스크 CEO가 발언한 내용들을 인용하여, "테슬라의 Optimus 양산 계획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등으로 인해 차질을 빚고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 CEO는 연내 수천 대의 휴머노이드 로봇 생산을 희망한다고 발언했지만, 현시점에서는 생산량을 예상하기 어렵다고 시인했다"고 정리했다.
22.04.202522:29
25.04.202501:25
제목 : 메타, 리얼리티랩스 부문 김원...VR 전략 재편 신호 *연합인포맥스*
CNBC는 “메타 플랫폼스(META)는 리얼리티랩스 부문의 직원을 감원했다”고 보도했다. “동사는 가상 현실, 증강 현실 및 웨어러블 기기 개발을 담당하는 리얼리티랩스 부문의 직원을 감축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동사는 “이번 감원이 오큘러스 사업부에서 근무하는 불특정 다수의 직원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다. “오큘러스 스튜디오 내 일부 팀은 구조와 역할의 변화를 겪고 있다”고 발언했다. 한편 “이러한 변화는 훌륭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고 덧붙였다.
CNBC는 “메타 플랫폼스(META)는 리얼리티랩스 부문의 직원을 감원했다”고 보도했다. “동사는 가상 현실, 증강 현실 및 웨어러블 기기 개발을 담당하는 리얼리티랩스 부문의 직원을 감축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동사는 “이번 감원이 오큘러스 사업부에서 근무하는 불특정 다수의 직원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다. “오큘러스 스튜디오 내 일부 팀은 구조와 역할의 변화를 겪고 있다”고 발언했다. 한편 “이러한 변화는 훌륭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고 덧붙였다.
23.04.202512:35
제목 : 테슬라(TSLA), 주가 상승여력 충분히 커 TD 코웬 외 *연합인포맥스*
테슬라의 ‘25년 1분기 실적발표 이후, 다수의 성장촉매제들을 바탕으로 상승여력이 크다고 판단하는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 TD 코웬의 Itay Michaeli 애널리스트는 “당사는 테슬라의 1분기 실적이 우려되었던 것에 비해서는 양호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컨퍼런스 콜에서 제시된 앞으로의 성장촉매제들은, 매크로 악재들에도 불구하고 테슬라에 투자할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저가형 차량 출시 계획, 자율주행 기술 도입 전망, 로보틱스 사업 등 테슬라의 미래 시장들은 여전히 견고하다. 그간의 투자심리 악화 이후, 테슬라의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은 매력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지만, 목표주가를 388달러에서 330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파이퍼샌들러의 Alexander Potter 애널리스트는 “1분기 실적 악화에도 불구하고, 테슬라 경영진은 ‘25년 상반기 중 로보택시 사업을 시작할 것이며 저가형 차량도 준비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는 단기 내로 상승촉매제가 등장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와 목표주가 400달러를 유지했다. ▲ 캐너코드 제뉴이티의 George Gianarikas 애널리스트는 “테슬라 주가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그 성장곡선이 분명하게 플러스를 회복해야 한다. 그리고 당사는 Model Y 리프레시 등이 출시되면서 이러한 성장세 개선이 달성될 수 있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테슬라는 자율주행 기술, 에너지 저장장치, 로보틱스 등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이며, 이 세 가지 시장을 수직적통합하는 데 성공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하지만 목표주가는 404달러에서 303달러로 하향했다.
테슬라의 ‘25년 1분기 실적발표 이후, 다수의 성장촉매제들을 바탕으로 상승여력이 크다고 판단하는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 TD 코웬의 Itay Michaeli 애널리스트는 “당사는 테슬라의 1분기 실적이 우려되었던 것에 비해서는 양호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컨퍼런스 콜에서 제시된 앞으로의 성장촉매제들은, 매크로 악재들에도 불구하고 테슬라에 투자할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저가형 차량 출시 계획, 자율주행 기술 도입 전망, 로보틱스 사업 등 테슬라의 미래 시장들은 여전히 견고하다. 그간의 투자심리 악화 이후, 테슬라의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은 매력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지만, 목표주가를 388달러에서 330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파이퍼샌들러의 Alexander Potter 애널리스트는 “1분기 실적 악화에도 불구하고, 테슬라 경영진은 ‘25년 상반기 중 로보택시 사업을 시작할 것이며 저가형 차량도 준비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는 단기 내로 상승촉매제가 등장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비중확대와 목표주가 400달러를 유지했다. ▲ 캐너코드 제뉴이티의 George Gianarikas 애널리스트는 “테슬라 주가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그 성장곡선이 분명하게 플러스를 회복해야 한다. 그리고 당사는 Model Y 리프레시 등이 출시되면서 이러한 성장세 개선이 달성될 수 있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테슬라는 자율주행 기술, 에너지 저장장치, 로보틱스 등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이며, 이 세 가지 시장을 수직적통합하는 데 성공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하지만 목표주가는 404달러에서 303달러로 하향했다.
23.04.202511:31
제목 : [실적 속보] 필립 모리스(PM), 높은 EPS 가이던스 제시하며 상승 *연합인포맥스*
필립 모리스는 ‘25년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93억 달러(+5.7%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1.6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1.69달러(+12.7%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8달러 상회한다. 컨센서스 상회하는 EPS 가이던스를 제시하면서,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4.77%상승하고 있다. 총 출하량은 1,878억 개로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가열형담배(HTU) +11.9% / 니코틴파우치 등 +27.2% / 일반담배 +1.1%등을 기록했다. 또한 액상형 전자담배 판매가 실적에 기여하기 시작했다고 언급했다. 경영진은 ‘25년 2분기 EPS 가이던스를 1.80~1.85달러로 제시했다. 여기에는 환율 변동에 따라 +0.06달러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컨센서스 1.80달러를 상회했다. ‘25년 전체 EPS 가이던스는 유리한 환율 여건 등을 반영하여 기존 7.04~7.17달러에서 7.36~7.49달러로 상향 조정되었고, 역시 컨센서스 7.24달러를 상회했다.
필립 모리스는 ‘25년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93억 달러(+5.7%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1.6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1.69달러(+12.7%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8달러 상회한다. 컨센서스 상회하는 EPS 가이던스를 제시하면서,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4.77%상승하고 있다. 총 출하량은 1,878억 개로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가열형담배(HTU) +11.9% / 니코틴파우치 등 +27.2% / 일반담배 +1.1%등을 기록했다. 또한 액상형 전자담배 판매가 실적에 기여하기 시작했다고 언급했다. 경영진은 ‘25년 2분기 EPS 가이던스를 1.80~1.85달러로 제시했다. 여기에는 환율 변동에 따라 +0.06달러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컨센서스 1.80달러를 상회했다. ‘25년 전체 EPS 가이던스는 유리한 환율 여건 등을 반영하여 기존 7.04~7.17달러에서 7.36~7.49달러로 상향 조정되었고, 역시 컨센서스 7.24달러를 상회했다.
23.04.202510:20
제목 : [실적 속보] 버티브(VRT), 매출 가이던스 상향 중심으로 급등 *연합인포맥스*
버티브는 ‘25년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20.4억 달러(+24.4%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1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64달러(+49%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2달러 상회한다. 연간 매출 가이던스가 높은 수준으로 상향되면서,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18.63% 급등하고 있다. 1분기 수주는 전년 동기 대비 약 13% 증가했으며, 후행 12개월 수주는 약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주-출하 비율은 1.4배였고, 수주잔고는 연말 대비 10%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16.5%로 전년 동기 대비 1.3%p 상승했다. 경영진은 ‘25년 2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23.25억~23.75억 달러로 / EPS 가이던스를 0.77~0.85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컨센서스 0.88달러를 하회하는 것이다. 영업이익률 가이던스는 18~19%로 제시했다. 또한 ‘25년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93.25억~95.75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고 / EPS 가이던스를 3.45~3.65달러로 유지했다. 매출 가이던스는 컨센서스 91.77억 달러를 상회하며 / EPS 가이던스는 컨센서스 3.54달러에 부합한다. 영업이익률은 19.75~21.25%로 예상했다.
버티브는 ‘25년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20.4억 달러(+24.4%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1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64달러(+49%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2달러 상회한다. 연간 매출 가이던스가 높은 수준으로 상향되면서,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18.63% 급등하고 있다. 1분기 수주는 전년 동기 대비 약 13% 증가했으며, 후행 12개월 수주는 약 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주-출하 비율은 1.4배였고, 수주잔고는 연말 대비 10%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16.5%로 전년 동기 대비 1.3%p 상승했다. 경영진은 ‘25년 2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23.25억~23.75억 달러로 / EPS 가이던스를 0.77~0.85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컨센서스 0.88달러를 하회하는 것이다. 영업이익률 가이던스는 18~19%로 제시했다. 또한 ‘25년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93.25억~95.75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고 / EPS 가이던스를 3.45~3.65달러로 유지했다. 매출 가이던스는 컨센서스 91.77억 달러를 상회하며 / EPS 가이던스는 컨센서스 3.54달러에 부합한다. 영업이익률은 19.75~21.25%로 예상했다.
23.04.202505:38
키움증권 WM부문 안석훈 부장
매일 아침 7시30분 채널K글로벌에서
전하는 뉴욕증시 브리핑 (2025.04.22 미국 기준)
“기술적 반등 마감 후 머스크와 트럼프 발언에 지수선물 급등”
- 지수 : 강세 출발 후 상승폭 확대.. 마감 후 급등세
*다우 +2.66%, 나스닥 +2.71%
*S&P500 +2.51%, 러셀2000 +2.71%
*반도체지수 +2.14%, 비트코인 +4.21%
- 섹터 : 11개 모두 +1% 이상 상승
*금융 +3.28%, 경기소비재 +3.23%
*필수소비재 +1.61%, 산업재 +1.77%
- BIG7 : 모두 +2% 이상 상승
*AAPL +3.41%.. 마감 후 +2.63%
*NVDA +2.04%.. 마감 후 +3.65%
*TSLA +4.60%.. 마감 후 +5.39%
- 종목과 ETF : 실적과 가이던스
*종목 : EFX NOC GE HXL SAP
*ETF : FXI BLOK TAN
https://www.youtube.com/live/980BXsdIQW8?si=f_nP84BRrCqxCPIs
매일 아침 7시30분 채널K글로벌에서
전하는 뉴욕증시 브리핑 (2025.04.22 미국 기준)
“기술적 반등 마감 후 머스크와 트럼프 발언에 지수선물 급등”
- 지수 : 강세 출발 후 상승폭 확대.. 마감 후 급등세
*다우 +2.66%, 나스닥 +2.71%
*S&P500 +2.51%, 러셀2000 +2.71%
*반도체지수 +2.14%, 비트코인 +4.21%
- 섹터 : 11개 모두 +1% 이상 상승
*금융 +3.28%, 경기소비재 +3.23%
*필수소비재 +1.61%, 산업재 +1.77%
- BIG7 : 모두 +2% 이상 상승
*AAPL +3.41%.. 마감 후 +2.63%
*NVDA +2.04%.. 마감 후 +3.65%
*TSLA +4.60%.. 마감 후 +5.39%
- 종목과 ETF : 실적과 가이던스
*종목 : EFX NOC GE HXL SAP
*ETF : FXI BLOK TAN
https://www.youtube.com/live/980BXsdIQW8?si=f_nP84BRrCqxCPIs
22.04.202512:40
제목 : [개장 전 특징주] 3M, 캘릭스 등 호실적에 주가 상승 *연합인포맥스*
▲ 3M(MMM):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6.34% 상승 중이다. ▲ 캘릭스(CALX): 우수한 실적을 발표하면서 프리마켓에서 13.89% 급등하고 있다. ▲ 허츠(HTZ): 퍼싱 스퀘어가 동사 지분을 확보하면서 지난 주 큰 폭으로 상승한 뒤, 상승폭이 축소되고 있다. 프리마켓에서 2.17% 하락 중이다. ▲ 자이언스 뱅코프(ZION):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4.70% 하락하고 있다. ▲ 메드페이스(MEDP): 1분기 신규수주가 5억 달러라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것이다. 프리마켓에서 8.30% 급락 중이다.
▲ 3M(MMM):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6.34% 상승 중이다. ▲ 캘릭스(CALX): 우수한 실적을 발표하면서 프리마켓에서 13.89% 급등하고 있다. ▲ 허츠(HTZ): 퍼싱 스퀘어가 동사 지분을 확보하면서 지난 주 큰 폭으로 상승한 뒤, 상승폭이 축소되고 있다. 프리마켓에서 2.17% 하락 중이다. ▲ 자이언스 뱅코프(ZION):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프리마켓에서 4.70% 하락하고 있다. ▲ 메드페이스(MEDP): 1분기 신규수주가 5억 달러라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것이다. 프리마켓에서 8.30% 급락 중이다.
24.04.202522:59
[키움 미국전략/주식 김승혁/조민주]
🌏US Daily (4/25)
(4/24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484.77 / 2.03%
NASDAQ 종합 17,166.04 / 2.74%
다우산업 40,093.40 / 1.23%
러셀2000 1,957.59 / 2.00%
필라델피아 반도체 4,208.19 / 5.63%
- 섹터별 수익률
High 3: 반도체 및 장비 (4.64%), 소프트웨어 (3.58%), 자동차 및 부품 (3.39%)
Low 3: 가정용품 (-2.72%), 음식료 및 담배 (-1.17%), 보험 (-0.02%)
- 세부 업종별 수익률
반도체 및 장비 4.64%
소프트웨어 3.58%
자동차 및 부품 3.39%
자본재 2.58%
엔터/미디어 2.50%
내구소비재/의류 2.28%
유통 2.25%
운송 2.22%
하드웨어 2.20%
소재 2.02%
은행 1.94%
에너지 1.47%
제약 1.37%
호텔/레저 1.34%
금융 1.10%
헬스케어 1.07%
통신 0.85%
상업 및 전문서비스 0.74%
식료품 0.37%
부동산 0.18%
유틸리티 0.18%
보험 -0.02%
음식료 및 담배 -1.17%
- 종목별 수익률
High 3: NOW (15.49%), HAS (14.58%), MCHP (12.38%)
Low 3: FI (-18.52%), LKQ (-11.56%), TYL (-6.81%)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2.28%
Growth 2.65%
Quality 1.58%
High Dividend 0.86%
Low Votality -0.08%
Enhanced value 1.00%
Value 1.38%
High Beta 4.61%
- 주요 뉴스
▶ 100 days of DOGE: lots of chaos, not so much efficiency
https://www.reuters.com/world/us/100-days-doge-lots-chaos-not-so-much-efficiency-2025-04-24/
▶ Republican task force chief wants to shield Fed from political influence, including Trump
https://www.reuters.com/world/us/republican-task-force-chief-wants-shield-fed-political-influence-including-trump-2025-04-24/
▶ As FDA delays Novavax' COVID vaccine approval, patients fight back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fda-delays-novavax-covid-vaccine-approval-patients-fight-back-2025-04-24/
▶ US labor market holds steady for now; tariffs keep businesses on edge
https://www.reuters.com/business/us-weekly-jobless-claims-increase-moderately-amid-low-layoffs-2025-04-24/
▶ Kentucky farmers hit by one-two punch of trade war, historic floods
https://www.reuters.com/world/us/kentucky-farmers-hit-by-one-two-punch-trade-war-historic-floods-2025-04-24/
▶ Trump on Russia strikes on Kyiv: 'Vladimir, STOP!"
https://www.reuters.com/world/trump-russia-strikes-kyiv-vladimir-stop-2025-04-24/
▶ Trump pushes training for skilled trades that do not require college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expected-sign-order-pushing-training-skilled-trades-2025-04-23/
▶ Americans sour on Trump's handling of the economy, Reuters/Ipsos poll finds
https://www.reuters.com/world/us/americans-sour-trumps-handling-economy-reutersipsos-poll-finds-2025-04-23/
🌏US Daily (4/25)
(4/24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484.77 / 2.03%
NASDAQ 종합 17,166.04 / 2.74%
다우산업 40,093.40 / 1.23%
러셀2000 1,957.59 / 2.00%
필라델피아 반도체 4,208.19 / 5.63%
- 섹터별 수익률
High 3: 반도체 및 장비 (4.64%), 소프트웨어 (3.58%), 자동차 및 부품 (3.39%)
Low 3: 가정용품 (-2.72%), 음식료 및 담배 (-1.17%), 보험 (-0.02%)
- 세부 업종별 수익률
반도체 및 장비 4.64%
소프트웨어 3.58%
자동차 및 부품 3.39%
자본재 2.58%
엔터/미디어 2.50%
내구소비재/의류 2.28%
유통 2.25%
운송 2.22%
하드웨어 2.20%
소재 2.02%
은행 1.94%
에너지 1.47%
제약 1.37%
호텔/레저 1.34%
금융 1.10%
헬스케어 1.07%
통신 0.85%
상업 및 전문서비스 0.74%
식료품 0.37%
부동산 0.18%
유틸리티 0.18%
보험 -0.02%
음식료 및 담배 -1.17%
- 종목별 수익률
High 3: NOW (15.49%), HAS (14.58%), MCHP (12.38%)
Low 3: FI (-18.52%), LKQ (-11.56%), TYL (-6.81%)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2.28%
Growth 2.65%
Quality 1.58%
High Dividend 0.86%
Low Votality -0.08%
Enhanced value 1.00%
Value 1.38%
High Beta 4.61%
- 주요 뉴스
▶ 100 days of DOGE: lots of chaos, not so much efficiency
https://www.reuters.com/world/us/100-days-doge-lots-chaos-not-so-much-efficiency-2025-04-24/
▶ Republican task force chief wants to shield Fed from political influence, including Trump
https://www.reuters.com/world/us/republican-task-force-chief-wants-shield-fed-political-influence-including-trump-2025-04-24/
▶ As FDA delays Novavax' COVID vaccine approval, patients fight back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fda-delays-novavax-covid-vaccine-approval-patients-fight-back-2025-04-24/
▶ US labor market holds steady for now; tariffs keep businesses on edge
https://www.reuters.com/business/us-weekly-jobless-claims-increase-moderately-amid-low-layoffs-2025-04-24/
▶ Kentucky farmers hit by one-two punch of trade war, historic floods
https://www.reuters.com/world/us/kentucky-farmers-hit-by-one-two-punch-trade-war-historic-floods-2025-04-24/
▶ Trump on Russia strikes on Kyiv: 'Vladimir, STOP!"
https://www.reuters.com/world/trump-russia-strikes-kyiv-vladimir-stop-2025-04-24/
▶ Trump pushes training for skilled trades that do not require college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expected-sign-order-pushing-training-skilled-trades-2025-04-23/
▶ Americans sour on Trump's handling of the economy, Reuters/Ipsos poll finds
https://www.reuters.com/world/us/americans-sour-trumps-handling-economy-reutersipsos-poll-finds-2025-04-23/
23.04.202512:25
제목 : 테슬라(TSLA), 1분기 실적 실망 속에 투자매력 떨어져 GS 외 *연합인포맥스*
테슬라의 ‘25년 1분기 실적발표에서는 EPS가 전년 동기 대비 40% 감소하는 등, 저조한 실적이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이언급하고 있다. ▲ 골드만삭스의 Mark Delaney 애널리스트는 “장기적으로는 테슬라가 FSD를 중심으로 한 소프트웨어 매출을 성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중단기적으로는 실망스러운 실적 속에 컨센서스 하향이 이루어질 것이며 주가에 하방압력이 발생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260달러에서 235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웰스파고의 Colin Langan 애널리스트는 “테슬라의 1분기 실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인도대수 가이던스는 하향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상승했는데, 이러한 주가는 지지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테슬라 에너지 사업은 관세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어 앞으로의 실적 기여가 제한될 것이며, 저렴한 차량 출시가 언급되었지만 이것이 강력한 성장모멘텀을 제공하기는 어렵다”고 보았다. 투자의견 비중축소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130달러에서 120달러로 하향했다. ▲ UBS의 Joseph Spak 애널리스트는 “오는 6월에 로보택시 사업 출범이 예정되어 있고, 이것이 단기 주가 상승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뉴스에 파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테슬라가 준비하고 있는 저가형 차량은 ‘25년 상반기 생산이 이루어질 계획인데, 기존 차량들과 완전히 새로운 차량은 아닐 것이다. 단순히 저가형 트림에 불과하다면, 이는 고가형 트림 판매를 잠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투자의견 매도와 목표주가 190달러를 유지했다.
테슬라의 ‘25년 1분기 실적발표에서는 EPS가 전년 동기 대비 40% 감소하는 등, 저조한 실적이 나타났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이언급하고 있다. ▲ 골드만삭스의 Mark Delaney 애널리스트는 “장기적으로는 테슬라가 FSD를 중심으로 한 소프트웨어 매출을 성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중단기적으로는 실망스러운 실적 속에 컨센서스 하향이 이루어질 것이며 주가에 하방압력이 발생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260달러에서 235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웰스파고의 Colin Langan 애널리스트는 “테슬라의 1분기 실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인도대수 가이던스는 하향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상승했는데, 이러한 주가는 지지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테슬라 에너지 사업은 관세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어 앞으로의 실적 기여가 제한될 것이며, 저렴한 차량 출시가 언급되었지만 이것이 강력한 성장모멘텀을 제공하기는 어렵다”고 보았다. 투자의견 비중축소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130달러에서 120달러로 하향했다. ▲ UBS의 Joseph Spak 애널리스트는 “오는 6월에 로보택시 사업 출범이 예정되어 있고, 이것이 단기 주가 상승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뉴스에 파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테슬라가 준비하고 있는 저가형 차량은 ‘25년 상반기 생산이 이루어질 계획인데, 기존 차량들과 완전히 새로운 차량은 아닐 것이다. 단순히 저가형 트림에 불과하다면, 이는 고가형 트림 판매를 잠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투자의견 매도와 목표주가 190달러를 유지했다.
23.04.202511:19
제목 : [실적 속보] AT&T(T), 강력한 가입자 증가세 바탕으로 상승 *연합인포맥스*
AT&T는 ‘25년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306.3억 달러(+2.0%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2.7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51달러(+6.3%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1달러 하회한다. 모바일 가입자 증가세가 강력하게 유지되면서,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4.23% 상승 중이다. 모바일 후불요금제 가입자는 32.4만 명 순증가하면서, 컨센서스 25.3만 명 증가를 크게 상회했다.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서비스 매출은 167 억 달러로 4.1% 증가했다. 또한 소비자 광대역망 가입자는 26.1만 명 순증가했고, 매출은 21억 달러로 19% 증가했다. 조정 EBITDA는 115억 달러로, 컨센서스 113.3억 달러를 상회했다. 경영진은 ‘25년 전체 EPS 가이던스를 1.97~2.07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컨센서스 2.09달러를 하회한다. 한편 조정 EBITDA 증가율 전망치를 3% 전후로 예상했다.
AT&T는 ‘25년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306.3억 달러(+2.0%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2.7억 달러 상회한다. ▲ 비GAAP EPS 0.51달러(+6.3%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1달러 하회한다. 모바일 가입자 증가세가 강력하게 유지되면서,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4.23% 상승 중이다. 모바일 후불요금제 가입자는 32.4만 명 순증가하면서, 컨센서스 25.3만 명 증가를 크게 상회했다.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서비스 매출은 167 억 달러로 4.1% 증가했다. 또한 소비자 광대역망 가입자는 26.1만 명 순증가했고, 매출은 21억 달러로 19% 증가했다. 조정 EBITDA는 115억 달러로, 컨센서스 113.3억 달러를 상회했다. 경영진은 ‘25년 전체 EPS 가이던스를 1.97~2.07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컨센서스 2.09달러를 하회한다. 한편 조정 EBITDA 증가율 전망치를 3% 전후로 예상했다.
23.04.202509:48
제목 : 퍼스트 솔라(FSLR), 동남아시아 태양광 관세 효과로 점유율 확대 예상 *연합인포맥스*
퍼스트 솔라는 오는 4월 29일에 ‘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며, 5월 14일에는 연례 주주총회가 예정되어 있다. 시킹 알파는 태양광 제품들에 대한 덤핑 조사 결과가 퍼스트 솔라의 점유율 확대 기회를 제공한다고 보도했다. "미국 상무부는 태양광 제품 덤핑 및 보조금 정책 조사 결과를 근거로,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수입되는 태양광 셀이나 패널 등에 대해 최대3,521%의 관세를 발표했다. 미국이 해당 국가들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제품들의 규모는 ‘24년 100억 달러 이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이러한 징벌적 관세로 인해, 이에 해당하는 제품들을 실질적으로 미국 시장에서 퇴출되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가장 유리한기업은 미국 내에 생산설비를 갖춰 차별화되는 퍼스트 솔라이다"고 언급했다. 퍼스트 솔라 주가는 22일에 10% 이상 급등했다. 모닝스타의 애널리스트는 "막대한 관세 시행으로 인해 미국 태양광 시장 전반에 가격 상승 충격이 나타날 것이나, 퍼스트 솔라는 여기서 자유롭기 때문에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미국 내 제조업 육성을 위한 정책들에 따른 수혜를 예상했을 때, 당사는 퍼스트 솔라의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본다"고 발언했다.
퍼스트 솔라는 오는 4월 29일에 ‘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며, 5월 14일에는 연례 주주총회가 예정되어 있다. 시킹 알파는 태양광 제품들에 대한 덤핑 조사 결과가 퍼스트 솔라의 점유율 확대 기회를 제공한다고 보도했다. "미국 상무부는 태양광 제품 덤핑 및 보조금 정책 조사 결과를 근거로,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수입되는 태양광 셀이나 패널 등에 대해 최대3,521%의 관세를 발표했다. 미국이 해당 국가들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제품들의 규모는 ‘24년 100억 달러 이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이러한 징벌적 관세로 인해, 이에 해당하는 제품들을 실질적으로 미국 시장에서 퇴출되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가장 유리한기업은 미국 내에 생산설비를 갖춰 차별화되는 퍼스트 솔라이다"고 언급했다. 퍼스트 솔라 주가는 22일에 10% 이상 급등했다. 모닝스타의 애널리스트는 "막대한 관세 시행으로 인해 미국 태양광 시장 전반에 가격 상승 충격이 나타날 것이나, 퍼스트 솔라는 여기서 자유롭기 때문에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미국 내 제조업 육성을 위한 정책들에 따른 수혜를 예상했을 때, 당사는 퍼스트 솔라의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본다"고 발언했다.
22.04.202523:03
[키움 미국전략/주식 김승혁/조민주]
🌏US Daily (4/23)
(4/22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287.76 / 2.51%
NASDAQ 종합 16,300.42 / 2.71%
다우산업 39,186.98 / 2.66%
러셀2000 1,890.28 / 2.71%
필라델피아 반도체 3,832.05 / 2.14%
- 섹터별 수익률
High 3: 자동차 및 부품 (4.25%), 보험 (3.54%), 금융 (3.25%)
Low 3: 음식료 및 담배 (1.25%), 운송 (1.25%), 가정용품 (1.30%)
- 세부 업종별 수익률
자동차 및 부품 4.25%
보험 3.54%
금융 3.25%
은행 3.18%
하드웨어 3.12%
엔터/미디어 3.08%
호텔/레저 3.08%
유통 3.03%
내구소비재/의류 2.90%
상업 및 전문서비스 2.84%
유틸리티 2.76%
에너지 2.62%
소재 2.35%
소프트웨어 2.29%
식료품 2.25%
반도체 및 장비 2.06%
부동산 2.01%
제약 1.80%
헬스케어 1.80%
자본재 1.64%
통신 1.61%
가정용품 1.30%
운송 1.25%
- 종목별 수익률
High 3: EFX (13.84%), FSLR (10.53%), PNR (9.22%)
Low 3: NOC (-12.66%), RTX (-9.81%), HAL (-5.57%)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2.93%
Growth 2.71%
Quality 2.70%
High Dividend 2.23%
Low Votality 1.92%
Enhanced value 2.66%
Value 2.31%
High Beta 2.94%
- 주요 뉴스
▶ Wall Street ends higher on earnings, hopes of easing tariff tensions
https://www.reuters.com/business/us-stock-futures-rebound-after-selloff-corporate-earnings-focus-2025-04-22/
▶ Trump: No plans to fire Fed Chair Powell, but wants lower rates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no-plans-fire-fed-chair-powell-wants-lower-rates-2025-04-22/
▶ Wall Street ends higher on earnings, hopes of easing tariff tensions
https://www.reuters.com/business/us-stock-futures-rebound-after-selloff-corporate-earnings-focus-2025-04-22/
▶ Musk to cut back DOGE work after Tesla sales skid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tesla-investors-await-details-affordable-electric-car-plans-boost-sales-2025-04-22/
▶ OpenAI would buy Google's Chrome, exec testifies at trial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boards-policy-regulation/google-contemplated-exclusive-gemini-ai-deals-with-android-makers-2025-04-22/
▶ IMF slashes global outlook as White House says trade talks pick up pace
https://www.reuters.com/business/aerospace-defense/imf-slashes-global-outlook-white-house-says-trade-talks-pick-up-pace-2025-04-22/
▶ Capital One's first-quarter profit rises on higher interest income
https://www.reuters.com/business/finance/capital-ones-first-quarter-profit-rises-higher-interest-income-2025-04-22/
▶ Baker Hughes flags tariff impact on full-year core profit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baker-hughes-reports-first-quarter-profit-beat-2025-04-22/
🌏US Daily (4/23)
(4/22 종가기준)
- 주요 지수 수익률
S&P500 5,287.76 / 2.51%
NASDAQ 종합 16,300.42 / 2.71%
다우산업 39,186.98 / 2.66%
러셀2000 1,890.28 / 2.71%
필라델피아 반도체 3,832.05 / 2.14%
- 섹터별 수익률
High 3: 자동차 및 부품 (4.25%), 보험 (3.54%), 금융 (3.25%)
Low 3: 음식료 및 담배 (1.25%), 운송 (1.25%), 가정용품 (1.30%)
- 세부 업종별 수익률
자동차 및 부품 4.25%
보험 3.54%
금융 3.25%
은행 3.18%
하드웨어 3.12%
엔터/미디어 3.08%
호텔/레저 3.08%
유통 3.03%
내구소비재/의류 2.90%
상업 및 전문서비스 2.84%
유틸리티 2.76%
에너지 2.62%
소재 2.35%
소프트웨어 2.29%
식료품 2.25%
반도체 및 장비 2.06%
부동산 2.01%
제약 1.80%
헬스케어 1.80%
자본재 1.64%
통신 1.61%
가정용품 1.30%
운송 1.25%
- 종목별 수익률
High 3: EFX (13.84%), FSLR (10.53%), PNR (9.22%)
Low 3: NOC (-12.66%), RTX (-9.81%), HAL (-5.57%)
- 팩터별 수익률
Momentum 2.93%
Growth 2.71%
Quality 2.70%
High Dividend 2.23%
Low Votality 1.92%
Enhanced value 2.66%
Value 2.31%
High Beta 2.94%
- 주요 뉴스
▶ Wall Street ends higher on earnings, hopes of easing tariff tensions
https://www.reuters.com/business/us-stock-futures-rebound-after-selloff-corporate-earnings-focus-2025-04-22/
▶ Trump: No plans to fire Fed Chair Powell, but wants lower rates
https://www.reuters.com/world/us/trump-no-plans-fire-fed-chair-powell-wants-lower-rates-2025-04-22/
▶ Wall Street ends higher on earnings, hopes of easing tariff tensions
https://www.reuters.com/business/us-stock-futures-rebound-after-selloff-corporate-earnings-focus-2025-04-22/
▶ Musk to cut back DOGE work after Tesla sales skid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tesla-investors-await-details-affordable-electric-car-plans-boost-sales-2025-04-22/
▶ OpenAI would buy Google's Chrome, exec testifies at trial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boards-policy-regulation/google-contemplated-exclusive-gemini-ai-deals-with-android-makers-2025-04-22/
▶ IMF slashes global outlook as White House says trade talks pick up pace
https://www.reuters.com/business/aerospace-defense/imf-slashes-global-outlook-white-house-says-trade-talks-pick-up-pace-2025-04-22/
▶ Capital One's first-quarter profit rises on higher interest income
https://www.reuters.com/business/finance/capital-ones-first-quarter-profit-rises-higher-interest-income-2025-04-22/
▶ Baker Hughes flags tariff impact on full-year core profit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baker-hughes-reports-first-quarter-profit-beat-2025-04-22/
22.04.202512:02
제목 : [실적 속보] 록히드 마틴(LMT), 우수한 EPS 바탕으로 주가 상승 *연합인포맥스*
록히드 마틴은 ‘25년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179.6억 달러(+4.4%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1.6억 달러 상회한다. ▲ GAAP EPS 7.28달러(+13.9%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93달러 상회한다. 1분기 EPS가 컨센서스를 15% 가량 상회하는 우수한 모습을 보이면서,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3.42% 상승하고 있다. 록히드 마틴은 ‘25년 중 F-35 전투기 170~190대를 인도할 계획이다. 1분기 인도대수는 47대로 예정보다 앞당겨졌으며, 이것이 1분기 실적에긍정적으로 기여했을 것이다. 부문별로는 Aeronautics 매출 +3.1%, 영업이익 +6.0% / Missiles and Fire Control 매출 +12.7%, 영업이익 +4.9% / Rotary and Mission Systems 매출 +5.9%, 영업이익 +21.1% / Space 매출 -1.9%, 영업이익 +16.6% 등을 기록했다. 경영진은 ‘25년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737.5억~747.5억 달러로 / EPS 가이던스를 27.00~27.30달러로 유지했다. 그러나 이는 중앙값 기준 월가 컨센서스 742.7억 달러 / 27.22달러를 하회하는 것이다. 1분기 EPS가 컨센서스를 큰 폭으로 상회했지만, 경영진은 관세 리스크 등 매크로 불확실성을 언급하면서 보수적인 접근을 유지했다.
록히드 마틴은 ‘25년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179.6억 달러(+4.4%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1.6억 달러 상회한다. ▲ GAAP EPS 7.28달러(+13.9%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93달러 상회한다. 1분기 EPS가 컨센서스를 15% 가량 상회하는 우수한 모습을 보이면서,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3.42% 상승하고 있다. 록히드 마틴은 ‘25년 중 F-35 전투기 170~190대를 인도할 계획이다. 1분기 인도대수는 47대로 예정보다 앞당겨졌으며, 이것이 1분기 실적에긍정적으로 기여했을 것이다. 부문별로는 Aeronautics 매출 +3.1%, 영업이익 +6.0% / Missiles and Fire Control 매출 +12.7%, 영업이익 +4.9% / Rotary and Mission Systems 매출 +5.9%, 영업이익 +21.1% / Space 매출 -1.9%, 영업이익 +16.6% 등을 기록했다. 경영진은 ‘25년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737.5억~747.5억 달러로 / EPS 가이던스를 27.00~27.30달러로 유지했다. 그러나 이는 중앙값 기준 월가 컨센서스 742.7억 달러 / 27.22달러를 하회하는 것이다. 1분기 EPS가 컨센서스를 큰 폭으로 상회했지만, 경영진은 관세 리스크 등 매크로 불확실성을 언급하면서 보수적인 접근을 유지했다.
23.04.202514:04
제목 : 4월 23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연합인포맥스*
▲ 애플(AAPL): 골드만삭스는 애플 실적발표에서 신제품 공개들이 이루어지면서 파이프라인이 보강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관세 시행을 앞두고 단기 판매가 호조를 보인 것이 실적에 기여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매수 의견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259달러에서 256달러로 하향했다. ▲ 오라클(ORCL): 파이퍼샌들러는 인공지능 수요를 공략하면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지만, 이러한 투자지출이 이익률에 부담이 되고 있다고경고했다.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중립으로, 목표주가를 190달러에서 130달러로 하향했다. ▲ 셰브론(CVX): 레드번 애틀랜틱은 오일메이저들의 밸류에이션이 잉여현금흐름 창출능력에 비해 고평가되어 있다고 경고했다.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도로 하향 조정했다. ▲ 록히드 마틴(LMT): 베어드는 글로벌 수요 전망과 경영진의 자신감 등을 종합했을 때, 하락리스크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투자매력이 높다고평가했다.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outperform으로 상향 조정했다. ▲ 로블록스(RBLX): 씨티는 서드파티 자료를 종합했을 때, 역대 최고의 결제액(bookings) 자료를 발표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Positive Catalyst Watch 종목으로 유지했다. ▲ 코인베이스(COIN): 벤치마크는 기관투자자들의 가상화폐 도입에 따른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투자의견 매수로 커버리지를 개시했고, 목표주가는 252달러로 제시했다.
▲ 애플(AAPL): 골드만삭스는 애플 실적발표에서 신제품 공개들이 이루어지면서 파이프라인이 보강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관세 시행을 앞두고 단기 판매가 호조를 보인 것이 실적에 기여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매수 의견을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259달러에서 256달러로 하향했다. ▲ 오라클(ORCL): 파이퍼샌들러는 인공지능 수요를 공략하면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지만, 이러한 투자지출이 이익률에 부담이 되고 있다고경고했다. 투자의견을 비중확대에서 중립으로, 목표주가를 190달러에서 130달러로 하향했다. ▲ 셰브론(CVX): 레드번 애틀랜틱은 오일메이저들의 밸류에이션이 잉여현금흐름 창출능력에 비해 고평가되어 있다고 경고했다.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도로 하향 조정했다. ▲ 록히드 마틴(LMT): 베어드는 글로벌 수요 전망과 경영진의 자신감 등을 종합했을 때, 하락리스크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투자매력이 높다고평가했다.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outperform으로 상향 조정했다. ▲ 로블록스(RBLX): 씨티는 서드파티 자료를 종합했을 때, 역대 최고의 결제액(bookings) 자료를 발표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Positive Catalyst Watch 종목으로 유지했다. ▲ 코인베이스(COIN): 벤치마크는 기관투자자들의 가상화폐 도입에 따른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투자의견 매수로 커버리지를 개시했고, 목표주가는 252달러로 제시했다.
23.04.202512:11
제목 : [실적 속보] 넥스트에라 에너지(NEE), 견고한 성장세 재확인되며 상승 *연합인포맥스*
넥스트에라 에너지는 ‘25년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비GAAP EPS 0.99달러(+8.8%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1달러 상회한다. 수주잔고 증가 등 견고한 실적 성장세가 확인되면서,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1.77% 상승 중이다. 부문별로는 Florida Power & Light(FLP) 매출 40.0억 달러(+4.3%), 순이익 13.2억 달러(+12.3%) / NextEra Energy Resources 매출 21.6억 달러(+16.0%), 순이익 9.1억 달러(+9.7%) 등을 기록했다. Energy Resources 부문은 1분기에 걸쳐 수주잔고가 추가로 3.2GW 증가한 27.7GW라고 밝혔다. 동사는 지난 7개 분기 중 5개 분기에 3GW 이상의 수주잔고 증가세를 달성하고 있다. 경영진은 ‘27년까지 연간 EPS 증가율이 6~8%로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했다.
넥스트에라 에너지는 ‘25년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비GAAP EPS 0.99달러(+8.8%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01달러 상회한다. 수주잔고 증가 등 견고한 실적 성장세가 확인되면서,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1.77% 상승 중이다. 부문별로는 Florida Power & Light(FLP) 매출 40.0억 달러(+4.3%), 순이익 13.2억 달러(+12.3%) / NextEra Energy Resources 매출 21.6억 달러(+16.0%), 순이익 9.1억 달러(+9.7%) 등을 기록했다. Energy Resources 부문은 1분기에 걸쳐 수주잔고가 추가로 3.2GW 증가한 27.7GW라고 밝혔다. 동사는 지난 7개 분기 중 5개 분기에 3GW 이상의 수주잔고 증가세를 달성하고 있다. 경영진은 ‘27년까지 연간 EPS 증가율이 6~8%로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했다.
23.04.202511:09
제목 : [실적 속보] GE 베르노바(GEV), 관세 반영에도 가이던스 유지하며 *연합인포맥스*
GE 베르노바는 ‘25년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80억 달러(+10.2%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4.5억 달러 상회한다. ▲ GAAP EPS 0.91달러(전년 동기 -0.47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31달러 상회한다. 관세 리스크 반영 이후에도 가이던스가 유지됨에 따라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8.06% 상승하고 있다. 1분기 중 102억 달러 수주가 이루어졌다. 서비스 수주는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고 / 전력 장비 수주는 43% 증가했다. 경영진은 ‘25년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360억~370억 달러로 유지했다. 이는 중앙값 기준 월가 컨센서스 367.6억 달러를 하회한다. 반면 잉여현금흐름 가이던스는 20억~25억 달러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앙값 기준 컨센서스 20.9억 달러를 상회했다. 경영진은 이와 같이 가이던스를 유지하면서, 이것이 현재 발표된 관세와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영향을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GE 베르노바는 ‘25년 1분기 실적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 매출 80억 달러(+10.2% YoY)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4.5억 달러 상회한다. ▲ GAAP EPS 0.91달러(전년 동기 -0.47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컨센서스를 0.31달러 상회한다. 관세 리스크 반영 이후에도 가이던스가 유지됨에 따라 동사의 주가는 프리마켓에서 8.06% 상승하고 있다. 1분기 중 102억 달러 수주가 이루어졌다. 서비스 수주는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고 / 전력 장비 수주는 43% 증가했다. 경영진은 ‘25년 전체 매출 가이던스를 360억~370억 달러로 유지했다. 이는 중앙값 기준 월가 컨센서스 367.6억 달러를 하회한다. 반면 잉여현금흐름 가이던스는 20억~25억 달러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앙값 기준 컨센서스 20.9억 달러를 상회했다. 경영진은 이와 같이 가이던스를 유지하면서, 이것이 현재 발표된 관세와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영향을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23.04.202508:43
[키움증권 미국 주식 조민주]
테슬라 (TSLA.US) : 예상대로 최악의 실적, But 오너 리스크 해소는 긍정적
▶ FY1Q25 실적 Review
- FY1Q25 실적 : 매출액 193.4 억달러(YoY -9.2%, QoQ -24.8%, 컨센서스 대비 -9.5%), 영업이익 4.0 억달러(YoY -65.9%, QoQ -74.8%, 컨센서스 대비 -65.0%), 영업이익률 2.1%(YoY -3.4%p, QoQ -4.1%p, 컨센서스 대비 -3.3%p), 조정 EPS 0.27 달러(YoY -40.0%, QoQ - 55.0%, 컨센서스 대비 -37.8%)
▶ 예상대로 부진했던 실적
- 동사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차량 부문 매출이 컨센서스 대비 큰 폭으로 하락하고 에너지와 서비스 부문도 시장 예상보다 낮은 매출액 기록함에 따라 탑라인 부진했던 반면, AI 와 R&D 비용 증가하면서 이익도 함께 하락
-부진한 FY1Q25 실적과 함께 대외 불확실성 확대되는 상황 속에서 가이던스 제공되지 않았고, 2 분기에 FY2025 가이던스 재검토할 예정
▶ 그럼에도 주가는 반등, Why?
- 머스크가 테슬라에 집중하겠다고 밝히며 오너 리스크 해소 의지 강조, 동시에 로보택시, 옵티머스 등 미래 비전 강력 표명
- FY1Q25 실적 부진은 이미 주가에 선반영되어 충격 제한적, 실적 부진과 연간 가이던스 부재에도 주가는 실적 발표 직후 반등
▶ 양치기 소년도 진실을 말한다
- 테슬라는 실적 대비 밸류에이션이 과도하게 높으며 주가는 오너 리더십과 미래 비전에 따라 결정되는 경향
- 실적 추정치 하향과 대외 리스크 등 구조적 의문점은 여전, 중기적 관점에서는 중립적 입장 유지하나 단기적 관점에서는 긍정적 모멘텀이 일부 작용해 반등 가능성 존재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16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테슬라 (TSLA.US) : 예상대로 최악의 실적, But 오너 리스크 해소는 긍정적
▶ FY1Q25 실적 Review
- FY1Q25 실적 : 매출액 193.4 억달러(YoY -9.2%, QoQ -24.8%, 컨센서스 대비 -9.5%), 영업이익 4.0 억달러(YoY -65.9%, QoQ -74.8%, 컨센서스 대비 -65.0%), 영업이익률 2.1%(YoY -3.4%p, QoQ -4.1%p, 컨센서스 대비 -3.3%p), 조정 EPS 0.27 달러(YoY -40.0%, QoQ - 55.0%, 컨센서스 대비 -37.8%)
▶ 예상대로 부진했던 실적
- 동사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차량 부문 매출이 컨센서스 대비 큰 폭으로 하락하고 에너지와 서비스 부문도 시장 예상보다 낮은 매출액 기록함에 따라 탑라인 부진했던 반면, AI 와 R&D 비용 증가하면서 이익도 함께 하락
-부진한 FY1Q25 실적과 함께 대외 불확실성 확대되는 상황 속에서 가이던스 제공되지 않았고, 2 분기에 FY2025 가이던스 재검토할 예정
▶ 그럼에도 주가는 반등, Why?
- 머스크가 테슬라에 집중하겠다고 밝히며 오너 리스크 해소 의지 강조, 동시에 로보택시, 옵티머스 등 미래 비전 강력 표명
- FY1Q25 실적 부진은 이미 주가에 선반영되어 충격 제한적, 실적 부진과 연간 가이던스 부재에도 주가는 실적 발표 직후 반등
▶ 양치기 소년도 진실을 말한다
- 테슬라는 실적 대비 밸류에이션이 과도하게 높으며 주가는 오너 리더십과 미래 비전에 따라 결정되는 경향
- 실적 추정치 하향과 대외 리스크 등 구조적 의문점은 여전, 중기적 관점에서는 중립적 입장 유지하나 단기적 관점에서는 긍정적 모멘텀이 일부 작용해 반등 가능성 존재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C916
더 많은 해외주식 리서치 자료를 보고싶으신 분은 키움증권 앱 영웅문S#에 접속하셔서 해외주식/리서치 메뉴에서 확인하세요!
(참고: 영웅문S#이 설치된 단말기에서만 확인이 가능 합니다. https://invest.kiwoom.com/inv/no/3176)
22.04.202523:01
[키움 글로벌 ETF/주식 김진영]
🌏글로벌 ETF Daily (4/23)
(4/22 종가기준)
(Daily Return)
*시장 대표 ETF : QQQ 2.63%, SPY 2.60%, DIA 2.69%, IWM 2.59%
*미국 상승 업종 : XLF 3.31%, XLY 3.16%, XLU 2.73%, XLC 2.61%
*1M Highs : MAXI 9.09%(비트코인 인컴 전략), BETH 4.93%(비트코인·이더리움 선물), BTCW 4.80%(비트코인 현물) , BTC 4.75%(비트코인 현물)
*1M Lows : UNG -1.50%(천연가스), UNL -1.06%(천연가스), TFJL -0.12%(美 장기채 20Y+), KMLM -0.08%(Managed Futures)
(Daily News)
▶ 미래에셋, 中 빅테크 집중투자 ETF 출시···美 M7 열풍 재현?
- 미래에셋자산운용, 내달 20일 중국 빅테크 10종목에 투자하는 ‘TIGER 차이나테크TOP10 ETF’ 출시 예정
- 샤오미, 알리바바, 텐센트 등 주요 테크기업에 투자하며 종목당 최대 편입 비중은 12%로 제한
- 미국 M7처럼 중국 ‘T10(테리픽텐)’의 성장성에 주목한 ETF로, 빅테크 중심의 집중 투자 전략이 특징
https://buly.kr/58S5o0t
▶ CORRECTING and REPLACING Quantify Funds Redefines Single Stock Investing with Launch of First-Ever Double-Stacked ETFs
- Quantify Funds, 22일(현지시간) 두 종목에 각각 100% 비중으로 투자하는 ‘Double-Stacked ETF’ 4종을 출시
- 'STKd 100% MSTR + 100% COIN(APED)', 'STKd 100% NVDA + 100% AMD(LAYS)' 등 기술, 암호화폐, 운송 분야 대표 종목을 쌍으로 구성해 고성장 자산에 동시 투자 가능
- ReturnStacked™ 전략을 적용해, 스왑과 옵션 등 파생상품을 활용한 레버리지 구조로 두 종목에 집중 투자할 수 있도록 설계됨
https://buly.kr/4Qn3sN4
▶ Trump Media , Crypto.com, and Yorkville America Digital Finalize Agreement for ETF Launch
- 트럼프 미디어, 22일(현지시간) Crypto.com 및 Yorkville America Digital과 협력해 디지털 자산 및 미국 산업 중심 ETF 출시 계획 공식 발표
- ETF는 Crypto.com의 브로커딜러 Foris Capital US LLC를 통해 제공되며, 디지털 자산과 ‘Made in America’ 산업군(에너지 등) 관련 증권 포함할 예정
- Truth.Fi 브랜드의 개별관리계좌(SMA) 상품도 함께 출시되며, 트럼프 미디어는 최대 2억5천만 달러를 찰스 슈왑을 통해 운용할 계획
https://buly.kr/1c8wBJv
🌏글로벌 ETF Daily (4/23)
(4/22 종가기준)
(Daily Return)
*시장 대표 ETF : QQQ 2.63%, SPY 2.60%, DIA 2.69%, IWM 2.59%
*미국 상승 업종 : XLF 3.31%, XLY 3.16%, XLU 2.73%, XLC 2.61%
*1M Highs : MAXI 9.09%(비트코인 인컴 전략), BETH 4.93%(비트코인·이더리움 선물), BTCW 4.80%(비트코인 현물) , BTC 4.75%(비트코인 현물)
*1M Lows : UNG -1.50%(천연가스), UNL -1.06%(천연가스), TFJL -0.12%(美 장기채 20Y+), KMLM -0.08%(Managed Futures)
(Daily News)
▶ 미래에셋, 中 빅테크 집중투자 ETF 출시···美 M7 열풍 재현?
- 미래에셋자산운용, 내달 20일 중국 빅테크 10종목에 투자하는 ‘TIGER 차이나테크TOP10 ETF’ 출시 예정
- 샤오미, 알리바바, 텐센트 등 주요 테크기업에 투자하며 종목당 최대 편입 비중은 12%로 제한
- 미국 M7처럼 중국 ‘T10(테리픽텐)’의 성장성에 주목한 ETF로, 빅테크 중심의 집중 투자 전략이 특징
https://buly.kr/58S5o0t
▶ CORRECTING and REPLACING Quantify Funds Redefines Single Stock Investing with Launch of First-Ever Double-Stacked ETFs
- Quantify Funds, 22일(현지시간) 두 종목에 각각 100% 비중으로 투자하는 ‘Double-Stacked ETF’ 4종을 출시
- 'STKd 100% MSTR + 100% COIN(APED)', 'STKd 100% NVDA + 100% AMD(LAYS)' 등 기술, 암호화폐, 운송 분야 대표 종목을 쌍으로 구성해 고성장 자산에 동시 투자 가능
- ReturnStacked™ 전략을 적용해, 스왑과 옵션 등 파생상품을 활용한 레버리지 구조로 두 종목에 집중 투자할 수 있도록 설계됨
https://buly.kr/4Qn3sN4
▶ Trump Media , Crypto.com, and Yorkville America Digital Finalize Agreement for ETF Launch
- 트럼프 미디어, 22일(현지시간) Crypto.com 및 Yorkville America Digital과 협력해 디지털 자산 및 미국 산업 중심 ETF 출시 계획 공식 발표
- ETF는 Crypto.com의 브로커딜러 Foris Capital US LLC를 통해 제공되며, 디지털 자산과 ‘Made in America’ 산업군(에너지 등) 관련 증권 포함할 예정
- Truth.Fi 브랜드의 개별관리계좌(SMA) 상품도 함께 출시되며, 트럼프 미디어는 최대 2억5천만 달러를 찰스 슈왑을 통해 운용할 계획
https://buly.kr/1c8wBJv
22.04.202512:02
PulteGroup(PHM.US) (장시작전 +2.3%)
FY 1Q25 실적 실제 VS 예상(Bloomberg기준)
REV: 3.89B VS 3.84B (Beat)
EPS adj: $2.57 VS $2.43 (Beat)
Net New Orders: 7,765 VS 8,166 (Miss)
Home closed: 6,583 VS 6,595 (Miss)
Home Sales GPM: 27.5% VS 27.8% (Miss)
PulteGroup 코멘트
가계 주택 구매 여력 감소와 매크로 불확실성으로 순 신규 주문은 감소
출처: Bloomberg
FY 1Q25 실적 실제 VS 예상(Bloomberg기준)
REV: 3.89B VS 3.84B (Beat)
EPS adj: $2.57 VS $2.43 (Beat)
Net New Orders: 7,765 VS 8,166 (Miss)
Home closed: 6,583 VS 6,595 (Miss)
Home Sales GPM: 27.5% VS 27.8% (Miss)
PulteGroup 코멘트
가계 주택 구매 여력 감소와 매크로 불확실성으로 순 신규 주문은 감소
출처: Bloomberg
Көрсөтүлдү 1 - 24 ичинде 3793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