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avatar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avatar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24.04.202522:48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SK하이닉스 1Q25 Review: 긴 말 필요없이 훌륭한 실적

●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 1분기 실적은 매출액 17.64조원(-11% QoQ, 42% YoY), 영업이익 7.44조원(-8% QoQ, 158% YoY)으로 컨센서스 매출액 17.3조원과 영업이익 6.6조원을 각각 2%, 13% 상회
- 1분기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역대 두번째로 높은 분기 영업이익 달성이 가능했던 것은 무엇보다 견조한 HBM 실적 덕분
- 1분기 디램 내 HBM은 수량 기준 14%, 매출 기준 46%를 차지한 것으로 추정

● AI 메모리 전 라인업 보유한 유일한 공급사
- HBM3e 8Hi와 12Hi, 16Hi 등 HBM 전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는 공급사는 SK하이닉스가 유일
- 특히 엔비디아 B300, GB300을 위한 HBM3e 12Hi를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B200 및 H20을 주 응용처로 하는 HBM3e 8Hi 역시 엔비디아향 대부분을 SK하이닉스가 공급
- 후발 주자들의 개발과 인증 타임라인을 고려할 때 이 같은 리더십은 25년 연내 지속 유지될 전망
- 낸드에서는 61TB QLC eSSD를 시장에 독점 공급하고 있으며, 하반기부터는 서버용 LPDDR5x 역시 공급을 시작할 전망
- 디램과 낸드 공히 AI용 메모리 라인업을 전부 보유하고 있는 유일한 메모리 공급사이기 때문에, AI 중심으로 성장하는 메모리 시장 내 SK하이닉스의 독보적인 경쟁 우위는 향후 더욱 강화될 것

● 독보적인 실적, 섹터 내 탑픽으로 매수 추천
- 목표주가 320,000원(12MF BPS 164,000원, 목표PBR 2배)을 유지하고 섹터 내 탑픽으로 매수 추천
- 견조한 AI 수요를 바탕으로 HBM은 올해 전년 대비 약 2배 매출 성장을 목표
- 더불어 서버용 고용량 디램 모듈 및 eSSD 시장에서도 점유율 지속 확대 중
- 사실상 AI 시장 내 주요 라인업을 독점. 이 같은 리더십은 상당 기간 유지될 것
- 25년 1분기 메모리 역사상 처음으로 디램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2분기에도 점유율 1위를 유지할 전망. 경쟁사보다 높은 멀티플 프리미엄이 정당화될 수 있는 이유. 매수 추천

본문: https://vo.la/XfpvoX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알파벳 FY2025 CapEx 가이던스 750억달러 수준 유지. 기존 컨센 상회]

-알파벳, FY2025 CapEx 가이던스 750억달러로 유지. 분기별로 CapEx 투입 변동성 있겠지만 연간 기준은 유지

-클라우드 수급은 여전히 타이트 함



<컨콜 CapEx 가이던스 관련 내용>

Second, in cloud, we're in a tight demand supply environment and given that revenues are correlated with the timing of deployment of new capacity, we could see variability in cloud revenue growth rates dependent on capacity deployment each quarter. We expect relatively higher capacity deployment towards the end of 2025.

Moving to investments, starting with our expectation for CapEx for the full year 2025, we still expect to invest
approximately $75 billion in CapEx this year. The expected CapEx investment level may fluctuate from quarter to quarter due to the impact of changes in the timing of deliveries and construction schedules.
21.04.202521:5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Apr 22 2025)

● Daily News Clipping

▶ JEDEC, HBM4 표준을 확정. 패키징 두께 기준을 완화하면서 하이브리드 본딩에 대한 즉각적인 채택 필요성 줄어듦 (Trendforce) < https://vo.la/wksadB >

▶ 화웨이 Ascend 920, 25년 하반기 출시 예정. 다만, SMIC의 N+3 공정과 HBM에 대한 접근성 우려가 잔존 (Trendforce) < https://vo.la/oSFKlC >

▶ CXMT, 2025년 디램 생산량이 기존 예상을 대폭 상회하는 수준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 현재 모멘텀이 유지된다면 곧 마이크론 생산량에 근접할 것 (Digitimes) < https://vo.la/JKksOz >

▶ 中 정부, 반도체 장비사 재편 추진…“200개→10개 '선택과 집중'” (전자신문) < https://vo.la/ziTsibv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17.04.202506:20
[한투증권 문승환] TSMC 1Q25 실적 Quick Comment

▶ 1Q25 실적
※ 매출액: 255억달러 (부합 vs 컨센서스 257억달러) -5.1% QoQ / +35.3% YoY
※ GPM: 58.8% (0.7%p 상회 vs 컨센서스 58.1%) -0.2%p QoQ / +5.7%p YoY
※ OPM 48.5% -0.5%p QoQ / +6.5%p YoY

▶ 공정별 매출 비중
※ 3nm: 22% (-4%p QoQ)
※ 5nm: 36% (+2%p QoQ)
※ 7nm: 15% (+1%p QoQ)
-7nm 이하 선단 공정 비중은 73%(-1%p QoQ)

▶ 응용처별 매출 비중 및 매출액 성장률
※ HPC: 59% (+7% QoQ)
※ Smartphone: 28% (-22% QoQ)
※ IoT: 5% (-9% QoQ)
※ Automotive: 5% (+14% QoQ)
※ DCE: 1% (+8% QoQ)
※ Others: 2% (+20% QoQ)

▶ 지역별 매출
※ 북미: 77% (+2%p QoQ)
※ 중국: 7% (-2%p QoQ)
※ 아시아태평양: 9% (+0%p QoQ)
※ 일본: 4% (+0%p QoQ)
※ EMEA: 3% (+0%p QoQ)

▶ 2Q25 가이던스
※ 매출액 284~292억달러(중간값 5.7% 상회 vs 컨센서스 271억달러)
※ GPM 57~59%(컨센서스 58.2%)
※ OPM 47~49%(컨센서스 47.9%)

실적발표 자료: https://bit.ly/4lAQqBM
15.04.202522:48
https://www.reuters.com/technology/nvidia-expects-up-55-billion-charge-first-quarter-2025-04-15/?utm_source=chatgpt.com

삼성전자는 아직 H20용으로 HBM 판매가 없고, SK하이닉스는 H20용 HBM3e 3월 추가 판매 완료해 엔비디아처럼 재고 손실처리 등의 비용 반영은 없을 것입니다.

SK하이닉스는 1분기부터 12Hi 위주로 엔비디아에 판매하고 있고, H20은 기존 계획 대비 추가된 물량이므로 H20 제재로 인한 연간 HBM 계획 변동 및 실적 추정치 변경은 없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다만 해당 이슈로 엔비디아가 시간외 6% 하락 중이기 때문에 국내 반도체주 투자 심리가 좋을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14.04.202522:32
[한투증권 조수헌] 넥스틴(348210): HBM 밸류체인 진입 성공

● HBM 검사장비 크로키 첫 PO 수주
- 지난 4월 13일(일) 언론을 통해 크로키 첫 PO 수주를 발표. 실제 PO는 4월 11일(금)에 수주한 것으로 확인
- 관련 수주 물량은 4월 15~17일사이 고객사에 납품 예정(고객사 납품 시 매출 인식)
- 납품 대수는 첫 PO인 만큼 수량은 적지만 4월 안으로 2차 추가 PO 수주 전망
- 2차 PO 수주 형식은 연간 물량 일괄 수주 혹은 매월 2~3대 부분 수주 방식
- 연간 납품 대수 가이던스는 기존 10대에서 15~17까지 상향 조정
- 당사는 1분기 Preview 자료를 통해 연간 15대로 추정(https://vo.la/KzglkX)

●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필요
- 그동안 높은 중국향 매출 비중(2024년 88%) 및 단일 장비(BF장비, 이지스) 의존은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작용
- 2025년 중국향 매출 비중은 63%까지 하락할 전망. 크로키(HBM), IRIS(낸드) 검사장비 납품으로 장비 다변화에도 성공
- 특히 하반기 ResQ(정전기 제거 장비) 및 BF 검사장비 출시로 product mix는 한 층 더 다변화될 것
- 현재 주가는 12MF PER 10.5배로 밴드 하단에 근접
- Peer 업체인 Camtek, Onto, KLA가 받은 멀티플이 30~40배인 점을 감안하면 저평가 판단

본문: https://vo.la/jtHdp
24.04.202522:45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주성엔지니어링 1Q25 Preview: 지켜보아 주세요

●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부합 예상
- 매출액 1,094억원(1% QoQ, 93% YoY), 영업이익 317억원(1,542% QoQ, 351% YoY)으로 컨센서스 310억원에 부합할 것
- 전분기 대비 매출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음에도 이익률 개선이 상대적으로 컸던 것은 1분기 매출 대부분이 이익률이 높은 반도체 장비 매출이기 때문일 것
- 다만 아직까지 국내 주력 고객사가 신규 라인 확장보다 공정 전환에 집중하면서 전분기대비 매출 확대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추정

● 고객사 다변화 계획대로 진행 중
- 25년 실적 측면, 전년 대비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 매출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와 태양광 수주가 하반기 이후 진행돼 26년 실적에 반영되기 때문
- 그러나 올해는 고객사 다변화의 원년으로, 국내 및 중국 디램 고객사에 한정되었던 당사의 고객사 라인업이 글로벌 다수의 반도체 회사로 확대되기 시작할 것
- 북미 메모리, 비메모리 고객사향 신규 장비는 상반기 출하를 목표로 계획대로 진행 중
- 글라스기판용 ALG 장비는 기 확보한 고객사 외에 다수의 고객사로부터 문의가 접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글라스기판의 공정 난이도가 높아, 기존의 전통적인 증착 방식으로는 글라스기판의 품질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
- 25년 하반기로 갈수록 신규 응용처 확대와 고객사 다변화 효과가 반영돼 26년 이후 실적 기대감을 높여갈 것으로 판단

● 멀티플 리레이팅 기대, 매수 추천
- 목표주가 47,000원(12MF EPS, 목표PER 20배)을 유지하고 매수 추천
- 25년은 실적보다는 고객사 다변화에 따른 멀티플 리레이팅을 기대할 수 있는 해
- 디램은 물론 낸드, 인터포저, 글라스 기판 등 다양한 반도체 공정으로 동사 장비의 응용처가 확대될 것
- 본격적인 탑라인 성장은 26년 이후 기대되나, 25년 하반기부터 기대감을 반영해 밸류에이션 부담을 낮출 수 있을 것

본문: https://vo.la/Vvhwnp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24.04.202522:07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Apr 25 2025)

● Daily News Clipping

▶ 인텔 1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했으나 실망스러운 가이던스 발표 (CNBC) < https://vo.la/BXYRcM >

▶ 알파벳,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700억달러 상당의 자사주 매입 계획 발표 (Reuters) < https://vo.la/kgTvwY >

▶ 1분기 최대 실적 SK하이닉스 “수요 변화 無, 올해 HBM 2배 성장” (전자신문) < https://vo.la/MxQGvA >

▶ 삼성전자, HBM2E 제품도 생산을 중단할 것이란 보도. HBM3E 및 HBM4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에 집중하려는 의도로 추측 (Trendforce) < https://vo.la/NCpOOI >

▶ TSMC, 북미 기술 심포지엄에서 차세대 초미세공정인 ‘A14’ 노드에 대한 정보 공개. A14는 2028년에 생산 돌입할 예정 (Trendforce) < https://vo.la/fyutdF >

▶ 엔비디아·아마존 “AI 데이터센터 수요 강하다” (Bloter) < https://vo.la/eJKPAW >

▶ UMC, 2분기 웨이퍼 출하량 5~7% QoQ 증가하며 실적 반등이 기대. 글로벌파운드리와의 합병 루머는 부인 (Digitimes) < https://vo.la/mmubzl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20.04.202523:36
한투 하우스 주니어 김정찬 연구원이 통신 섹터 커버를 시작합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리겠습니다.

[한투증권 김정찬] 통신서비스: 고요한 전환

▶ 통신 서비스 업종 비중 확대 및 3사 매수 의견 제시

- 2025~2027년까지 이어질 비용 절감기로 수익성 개선
- 이러한 추세는 6G 상용화를 위한 표준의 윤곽이 드러나기 전까지 지속될 전망
- CAPEX ↓ + EBITDA ↑ = 자본 지출의 효율성 증가 = 인프라 구축의 레버리지를 향유하는 시기
- 과거보다 높아진 이익 체력. 밸류에이션 눈높이를 높일 시점

▶ AI는 업사이드만 존재하는 요소. B2B에 주목

- 통신사의 ‘인프라 + 서비스’의 본질을 고려하면, ‘네트워크 + AI’는 새로운 기회의 영역
- 서비스의 확장성이 큰 B2B에 주목하자는 의견. 유/무선 사업의 저성장 속 성장성이 높고, B2C는 AI 수익화가 느리기 때문
- 3사 합산 B2B 매출액 성장률은 ’25년 +6.2% YoY vs. 유/무선은 각각 1.7% YoY, 1.3% YoY에 불과

▶ Top pick: KT - 확실한 체질 개선 및 B2B 비중 높아 성장성 보유
- 1) ‘25년 확실한 수익성 개선을 전망. 일회성 요인을 제거하더라도 OP +14.9% YoY 증가
- 2) B2B 비중도 경쟁사 대비 2배 가까운 수준
- 업종 내 선호도: KT > LG유플러스 > SK텔레콤으로 제시
- LG유플러스는 이익 턴어라운드 + 자사주 정책 = 저평가 해소 예상
- SK텔레콤은 안정적인 이익률과 배당 수익률은 매력적이나 밸류에이션 업사이드가 제한

보고서 링크: https://zrr.kr/LCBC4A
17.04.202505:49
14.04.202521:57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Apr 15 2025)

● Daily News Clipping

▶ 엔비디아, 4년 내 5,000억달러 규모의 ai 서버 생산 시설을 미국에 구축 (Reuters) < https://vo.la/pxjbmK >

▶ 트럼프, 다음주에 수입 반도체에 대한 관세율을 발표할 것. 섹터 내 몇몇 기업들에게 유연성을가질 것이라 언급 (Reuters) < https://vo.la/fnnwUw >

▶ 트럼프 반도체 관세 부과의 세가지 시나리오 (Trendforce) < https://vo.la/qRClyM >

▶ 美 반도체 추가 관세 '초읽기'...年 23조원 수출 타격 (Zdnet) < https://vo.la/WaYEln >

▶ 중국의 새로운 원산지 규정으로 퀄컴과 AMD가 수혜를 입을 수 있음. 주로 TSMC에 생산을 아웃소싱하기 때문. 역으로 미국 내에서 생산하는 인텔, TI 등의 기업은 타격을 받을 것 (Trendforce) < https://vo.la/DvWKrH >

▶ TSMC·마이크론은 치고 나가는데…삼성·SK 반도체 투자는 '뒷걸음' (전자신문) < https://vo.la/SpNaaMw >

▶ 중국 내 AI 수요는 관세 영향을 능가. 딥시크 이후 GPU 조달 증가가 나타났으며, 2분기까지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Digitimes) < https://vo.la/rGOSTG >

▶ 바이든과 트럼프 행정부는 2024년부터 2025년까지 중국을 대상으로 네 차례의 신규 관세 부과. 관세가 계속 쌓이면서 중국산 전기차는 최대 245%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음 (Digitimes) < https://vo.la/NWIXPW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24.04.202522:43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HPSP 1Q25 Preview: 아직은 조금 기다릴 시점

●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하회 전망
- 1분기 실적은 매출액 406억원(-39% QoQ, 8% YoY), 영업이익 211억원(-41% QoQ, 6% YoY)으로 컨센서스 256억원을 17% 하회할 것
- 상반기까지 주요 파운드리 고객사는 물론 국내 메모리사들의 신규 장비 투자가 보수적으로 집행될 것이기 때문
- Tier2 신규 고객사 및 글로벌 낸드 고객사향 신규 매출은 하반기 이후부터 매출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추정

● 하반기 이후 다시 성장을 기대해볼만
- 디램이 선단 공정으로 미세화됨에 따라 1c nm부터 동사의 HPA(고압수소어닐링) 장비가 채택될 것으로 예상. 그러나 이미 디램 공정에 HPA를 사용하고 있는 북미 고객사 외 국내 메모리사들은 아직 디램용으로는 동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있음
- 디램보다는 낸드 고단화에 따른 하이브리드 본딩 공정 적용과 연계해 HPA 장비가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
- HPA 장비는 하이브리드 본딩의 어닐링 단계에서 접합 계면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개선함으로써 구리 및 유전체 접합부의 결합 강도를 강화할 수 있음
- 25년부터 QLC 낸드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낸드 공급사들은 ASP가 낮은 QLC 낸드에서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낸드 고단화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하이브리드 본딩 도입 시기를 앞당기고 있음
- 아직까지 낸드에서 보수적인 투자 기조가 이어지고 있으나, 하반기 이후 V9 이상으로의 낸드 공정 전환 투자가 시작됨에 따라 HPA 장비 적용처가 확대돼 탑라인 성장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

● 목표주가 하향, 투자의견 매수 유지
- 투자의견 매수와 비중확대 유지하지만, 연간 실적 추정치 하향을 감안해 목표주가를 38,000원(12MF EPS 1,262원, 목표 PER 30배)으로 7% 하향 조정
- 25년 매출은 24년 대비 소폭 증가하는 데 그치겠으나, 26년 및 중장기적으로 고객사 다변화와 포트폴리오 증가를 통한 성장을 이어 나갈 수 있을 것
- 장비 독점 공급으로 인한 50% 이상의 이익률은 여전히 매력적. 매수 추천

본문: https://vo.la/wlVCfn
텔레그램: https://t.me/KISemicon
24.04.202520:17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Intel 1Q25 실적 요약

▶ 1Q25 실적 (Non-GAAP 기준)
※ 매출액: 127억달러 (-10.9% QoQ/ flat% YoY)
[vs. 컨센서스 123.1억달러]

※ GPM: 39.2% (-2.9%p QoQ/-5.9%p YoY)
[vs. 컨센서스 36.0%]

※ EPS: 0.13달러 (flat% QoQ/-27.8% YoY)
[vs. 컨센서스 0.01달러]


▶ 주요 사업 부문별 매출액
※ CCG: 76억달러 (-8% YoY)

※ DCAI: 41억달러 (+8% YoY)

※ NEX: CCG 및 DCAI 사업부로 통합하는 조직 변경 단행

※ IFS: 47억달러 (+7% YoY)
[vs. 컨센서스 43.0억달러]


▶ 2Q25 가이던스(중간값 기준)
※ 매출액: 118억달러 (vs. 컨센서스 128.8억달러)
※ GPM: 36.5% (vs. 컨센서스 36.8%)
※ EPS: 0.00달러 (vs. 컨센서스 0.07달러)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20.04.202522:02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Apr 21 2025)

● Daily News Clipping

▶ 화웨이, 엔비디아 H20 수출 규제로 인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Ascend 920 AI 칩 출시 (Tom’s hardware) < https://vo.la/BJtvMZ >

▶ 삼성전자, 테일러 팹 2027년 지연 루머를 부인하고 2026년말 가동 목표 재확인 (Trendforce) < https://vo.la/WJJLutA >

▶ 마이크론, HBM 전담 사업부 신설. 클라우드 메모리 사업부(CMBU)에서 CSP를 위한 메모리 솔루션에 집중하고 마이크론의 HBM 사업을 지휘할 것 (Trendforce) < https://vo.la/zoObGz >

▶ 인텔의 차세대 CPU 아키텍처인 “노바 레이크”에 새로운 LGA 1954 소켓이 사용될 수 있음. 노바 레이크 아키텍처는 2026년 제품에 적용 (Tom’s hardware) < https://vo.la/UeMYgF >

▶ 인텔 "알테라에 2035년까지 10나노급 웨이퍼 공급" (Zdnet) < https://vo.la/ShhSWf >

▶ 美 의회 "엔비디아 GPU 중국 유출 여부 조사 착수" (Zdnet) < https://vo.la/ZnOnj >

▶ 캐나다 인공지능 반도체 팹리스 기업 ‘텐스토렌트(Tenstorrent)’, 일본 내 칩 설계 엔지니어 수를 6배 이상 대폭 늘릴 계획. 라피더스 등 현지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 (Nikkei Asia) < https://vo.la/CqrOwQ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16.04.202523:31
https://www.reuters.com/technology/intel-will-need-license-export-ai-chips-chinese-clients-ft-reports-2025-04-16/

인텔 대중 수출 제한은 AI칩 한정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인텔 가우디 칩은 24년도 기준 내부 매출 목표 5백만달러를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시장 점유율은 1% 미만으로 실제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입니다.
15.04.202521:5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Apr 16 2025)

● Daily News Clipping

▶ AMD, 미국 내 생산을 두배로 증가시킬 것. AMD 최신 칩은 TSMC 애리조나 팹에서 생산될 예정 (Trendforce) < https://vo.la/RZUDFH >

▶ 인텔, Altera 지분 51%를 사모펀드인 Siver Lake에 44.6억달러로 매각 (Trendforce) < https://vo.la/XagLuk >

▶ SK하이닉스 HBM3E, 엔비디아 HGX B200 탑재 확인 (Techworld) < https://vo.la/xFwdzz >

▶ 난야, 10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 1b 공정으로의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2분기 말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 (Digitimes) < https://vo.la/doKkwJ >

▶ 마이크론, HBM3E 12단 엔비디아 퀄테스트 통과. 곧 출시될 엔비디아 GB300에 메모리를 공급할 것 (Digitimes) < https://vo.la/iGvbX >

▶ 美어플라이드, 네덜란드 베시 최대주주로… 하이브리드본딩 시장 대비 (디일렉) < https://vo.la/wkQmhH >

▶ 램리서치, 베벨 에처 특허 1건 정정 실패...PSK와 특허분쟁 '빨간불' (디일렉) < https://vo.la/XVWCYt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13.04.202522:0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Apr 14 2025)

● Daily News Clipping

▶ 美상무 "반도체 관세 한 달 내, 의약품은 한두 달 내 발표" (한국경제) < https://vo.la/kUrqjE >

▶ 트럼프, 면제된 전자제품에 별도 관세 부과할 것 (Rueters) < https://vo.la/WJhGRx >

▶ 트럼프발 관세 폭탄에 반도체 장비 업계 부담 전가될까 전전긍긍 (디일렉) < https://vo.la/LCuGrq >

▶ SK하이닉스, 올 설비투자액 30% 늘린다 (디일렉) < https://vo.la/ClglgM >

▶ SK하이닉스, 인텔 낸드 인수 완료에도 '제2공장' 투자 장고 (Zdnet) < https://vo.la/UVJIEX >

▶ SK하이닉스, 넥스틴에 HBM3E 검사장비 양산 발주…수율 확보 주력 (Zdnet) < https://vo.la/dDhOlJ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한투증권 전략/시황 김대준/박기훈] avatar
[한투증권 전략/시황 김대준/박기훈]
24.04.202520:15
17.04.202521:59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Apr 18 2025)

● Daily News Clipping

▶ TSMC, 미국 관세 불확실성에도 AI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견고한 수요로부터 낙관적인 전망 제시 (Reuters) < https://vo.la/YYNRFR >

▶ 젠슨 황, 중국은 엔비디아에게 중요한 시장이며 중국과 계속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언급 (Reuters) < https://vo.la/szgBR >

▶ 화웨이, 미국 엔비디아 H20 수출 금지 하루 만에 차세대 신규 AI 칩 Ascend 920 공개 (Digitimes) < https://vo.la/uayYtu >

▶ "엔비디아 H20 中 수출 통제로 웃는 건 화웨이" (조선일보) < https://vo.la/RZTten >

▶ 인텔, 가우디와 같은 하이엔드 AI 가속기에 대한 미국 수출 규제에 직면. 엔비디아와 AMD도 해당 규제에 영향 (Trendforce) < https://vo.la/bqZNTU >

▶ AMD, 트럼프 행정부의 수출 규제로 8억달러 규모의 비용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예상 (Digitimes) < https://vo.la/NAmlDu >

▶ 딥시크 돌풍 비결은…"더 큰 AI보다는 더 오래 생각하는 AI" (Zdnet) < https://vo.la/ZLoolP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16.04.202522:03
[한투증권 채민숙/황준태] Tech Daily (Apr 17 2025)

● Daily News Clipping

▶ Trendforce,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해 주간 디램 매수세 감소. 낸드 플래시는 관세 부과 유예 이후에 거래 재개 (Trendforce) < https://vo.la/PgTRVv >

▶ 화웨이, 미국의 금지 조치 이후에도 TSMC로부터 대량으로 칩을 조달하고 있어 미국 수출 통제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 (wccftech) < https://vo.la/yVcJIq >

▶ TSMC, 미국 애리조나 팹의 높은 비용으로 인해 가격 인상 30% 계획 (Digitimes) < https://vo.la/QTsSgW >

▶ 중국, 희토류 수출 제한 및 고순도 실리콘 개발을 발표하며 미국과의 무역 전쟁에 대응 (Digitimes) < https://vo.la/VYFyPp >

▶ 美 마이크론, HBM용 '플럭스리스 본딩' 도입 준비…TC본더 업계 격돌 예고 (Zdnet) < https://vo.la/syGRaK >

▶ 주성엔지니어링 “금속 박막 형성 난제, 원자층증착이 해법” (전자신문) < https://vo.la/uZeMnE >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15.04.202508:52
[한투증권 조수헌] 테크윙 1Q25 잠정실적 코멘트

▶ 1Q25 실적
※ 매출액: 346억원 (vs. 당사 추정치 393억원) -27% QoQ / -14% YoY
※ 영업이익: 18억원 (vs. 당사 추정치 31억원) -60% QoQ / -68% YoY
※ 매출액, 영업이익 모두 당사 추정치를 각각 12%, 43% 하회

▶ 실적 코멘트
※ 본업인 메모리/SoC 핸들러 수주가 예상보다 더 부진
※ COK, 인터페이스 보드 등 부품 매출은 QoQ 증가

▶ 큐브 프로버 코멘트
※ 큐브 프로버 매출인식 시작. 지금까지 첫번째 고객사향 수주했던 물량 중 일부분만 먼저 인식
※ 나머지 부분은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인식될 에정
※ 현재 두번째 고객사향 퀄 테스트 진행중
※ 두번째 고객사향 PO 수주 인식은 2분기말 일부,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전망
13.04.202513:44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18629?sid=104

월요일에 구체적으로 발표한다더니 아직 생각해둔 게 없나 보군요.
Көрсөтүлдү 1 - 24 ичинде 383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