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투자자문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avatar

투자자문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TGlist рейтинг
0
0
ТипАчык
Текшерүү
Текшерилбеген
Ишенимдүүлүк
Ишенимсиз
Орду
ТилиБашка
Канал түзүлгөн датаЛист 23, 2021
TGlistке кошулган дата
Вер 09, 2024

Telegram каналы 투자자문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статистикасы

Катталгандар

6 936

24 саат
27
0.4%Жума
31
0.5%Ай
13
-0.2%

Цитация индекси

0

Эскерүүлөр0Каналдарда бөлүштү0Каналдарда эскерүүлөр0

1 посттун орточо көрүүлөрү

748

12 саат7480%24 саат748
46.3%
48 саат511
41.9%

Катышуу (ER)

1.37%

Кайра посттошту9Комментарийлер0Реакциялар1

Көрүүлөр боюнча катышуу (ERR)

7.4%

24 саат0%Жума0%Ай
2.34%

1 жарнама посттун орточо көрүүлөрү

791

1 саат32140.58%1 – 4 саат23029.08%4 - 24 саат29136.79%
Биздин ботту каналыңызга кошуп, анын аудиториясынын жынысын билүү.
Акыркы 24 саатта бардык посттор
1
Динамика
6

"투자자문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тобундагы акыркы жазуулар

한국과 미국 모두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인데요

금리인하 효과가 누적되다 보면 경기도 점차 다시 살아날 확률이 높아지고,주식시장 역시 할인률 하락으로 인해 상방에 대한 프레셔가 강해지게 됩니다.

현재 코스피의 주가 레벨은 해당 내용이 거의 반영되지 않은 매우 저렴한 구간이라고 판단 되는데요

상반기에 국장이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조정을 받은 것도 이미 기존에 미국 대비 조정을 많이 받았던만큼 다운사이드가 제한적이였던 점이 큰 것 같습니다.

따라서 많이 하락한 주식 중 퀄리티 대비 주가가 저렴하여 확률적으로 유리한 배팅기회가 될 수 있는 주식들을 수량을 확대하는 기회로 적극 활용해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와이즈리서치 프리덤 연구원입니다.

오늘은 기준금리가 무엇인지, 기준금리 정책이 경제와 자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기준금리란? 📌
2.금리 결정 과정 비교 🔍
3.역사적 금리 추이 📉
4.기준금리 정책의 경제·자산 시장 영향 ✨
5.결론 및 시사점 ✍️

✅ 1. 기준금리란? 📌

자금을 조달하거나 운용할 때 적용하는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리입니다.

한 나라의 중앙은행에서 금융 정세의 변화에 따라 일정 기간마다 결정하며, 금융 시장에서 각종 금리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

✅ 2. 금리 결정 과정 비교 🔍

📌 결정 주체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 >미국 연준(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 회의 주기

🇰🇷 > 연 8회 (통상 매월 둘째 주·넷째 주 목요일)
🇺🇸 > 연 8회 정례 회의 (약 6주 간격)

📌 주요 고려 지표

물가 동향, 국내외 경제 상황, 금융시장 여건
인플레이션, 실업률, 경제성장 전망

✅ 3.역사적 금리 추이 비교 📉

팬데믹 초기: 코로나 충격 완화 차원에서 양국 모두 대규모 긴급 금리 인하에 나섰습니다.

긴축기: 2022년 중반 이후 급격한 물가 압박에 대응해 한국은 1.25→3.50%, 미국은 0.25→4.50%로 연속 인상했습니다.

완화·안정기: 한·미 모두 인플레이션 안정화 국면에 진입하며 금리 인하(또는 동결)로 전환했습니다.

✅ 4. 기준금리 정책이 경제·자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

📌 금리인상 ⬆️

📍 경제

• 대출 이자 부담↑ → 가계·기업 소비·투자 위축

• 성장률 둔화·경기 냉각

📍 물가

• 수요 압력↓ → 소비자물가 상승 억제

• 인플레 기대 안정화

📍 자산 시장

• 주식 시장: 할인율↑ → 주가 하락

• 채권 시장: 가격↓ · 수익률↑

• 부동산 시장: 수요 ↓, 거래 위축

📌 금리인하 ⬇️

📍 경제

• 대출 비용↓ → 가계·기업 소비·투자 확대

• 성장률 회복·경기 부양

📍 물가

• 수요 압력↑ → 소비자물가 상승 견인

• 인플레 기대 상승

📍 자산 시장

• 주식 시장: 할인율↓ → 주가 상승

• 채권 시장: 가격↑ · 수익률↓

• 부동산 시장: 수요 ↑, 거래 활성화

금리인상이 소비·투자·자산 가격을 억제하며 물가 안정을 도모하는 반면, 금리인하는 자금 흐름을 촉진해 경기 회복과 인플레 상승 압력을 가져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결론 및 시사점 ✍️

이번 글에서는 한국은행 기준금리와 미국 연방기금금리의 개념, 결정 과정, 그리고 역사적 추이를 비교하며 살펴보았습니다.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핵심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통화정책의 출발점은 기준금리

중앙은행이 설정하는 기준금리는 금융시장과 실물경제를 연결하는 핵심 변수입니다.

금리 조정은 대출 비용, 소비·투자 심리, 자산 가격, 환율 등 경제 전반에 폭넓은 파급 효과를 일으킵니다.

📍 2. 금리 사이클별 투자 전략

금리 인상기 ⬆️: 지나치게 높은 멀티플을 부여받고 있는 기업, 기업의 이자 부담 증가를 고려해 유동성 리스크가 높은 기업 투자에 신중해야 합니다.

또한 금리인상에 따라 수요가 크게 둔화되는 기업 역시 투자에 유의가 필요합니다.

금리 인하기 ⬇️: 성장주·고배당주·부동산과 채권의 자산 가격 상승 매력이 부각되며, 레버리지 기회가 커집니다.

📍 3. 지속적 모니터링의 중요성

글로벌 경기 흐름, 물가 동향, 중앙은행의 스탠스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앞으로 기준금리 환경이 투자 기회와 리스크를 어떻게 바꿀지를 유의 깊게 살펴보시면서 투자에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인생 종목을 만나야한다. 깡통을 세번 차야 제대로 주식을 알수 있다.. 그런 얘기 많이들 하시는데요.

저는 인생종목 하나도 없습니다. 텐베이거는 커녕 2배 수익 전에 팔기 바쁘구요. 깡통은 세번은 커녕 한번도 찬적 없구요. 상폐 당한 경험 없구요.

그냥 꾸준하게 수익을 만들어갔어요. 가끔 유튜브 나오라고 말씀하시는 분들 계시는데.. 나가서 할 얘기도 없어요. 드라마틱한 스토리가 없어서..ㅋㅋ

나만의 스타일로 잃지않고 꾸준하게 돈버는 방법을 찾으세요. 그리고 그것을 반복하세요. 그럼 결국 부자가 됩니다.
10% 수익률이라도 꾸준히 낼수 있다면.. 씨드만 키우면 되요.. 10% 수익률이 별거 아닌거같지만.. 씨드가 10억이면 연간 1억입니다. 왠만한 직장인 연봉 이상..
저도 맨날 드리는 말씀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소형주투자자 텔레그램 avatar
소형주투자자 텔레그램
100% 수익나도 인생 크게 안 변해요
📍유안타증권 - 이창영 애널리스트님

📝 크래프톤 - 선순환 진행중

✅ 1분기 시장 컨센 하회 전망

✅ 신년 프로모션 효과 및 지속적인 트래픽 상승(스팀 기준 최고 동시접속자수의 분기 월평균 QoQ +25%, YoY +50%)

✅ 3/28 출시한 ‘인조이’ 판매량 (70만장 가정) 포함 2,996억원 YoY +23%. 모바일 : 1월 ‘화평정영’ 론도 맵 출시 및 춘절 효과 등으로 4,346억원 YoY +9% 전망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키움증권 전략/시황 한지영 avatar
키움증권 전략/시황 한지영
[4/8, 장 시작 전 생각: 절박한 시장,키움 한지영]

- 다우 -0.9%, S&P500 -0.2%, 나스닥 +0.1%
- 엔비디아 +3.6%, 테슬라 -2.5%, 애플 -3.6%, 메타 +2.3%
- 미 10년물 금리 4.2%, 달러 인덱스 103.2pt, 달러/원 1,470.9원

1.

미국 증시도 가짜뉴스에 휘둘리는 증시였네요.

장 초반 “중국 제외 국가 90일간 관세 부과 중단” 소식에 -5%에서 +4%까지 순식간에 움직였지만,

이내 가짜뉴스로 판명이 나면서 일장 춘몽의 주가 되돌림을 연출했습니다.

다행히 낙폭을 줄인 채로 마감을 했지만,

이런 찌라시성 뉴스 하나에도 미국 증시가 요동을 친 것은,

절이라도 박아야할 정도로 그만큼 시장이 관세 완화에 대한 절박함을 느낄 수 있었던 부분이었네요.

2.

여전히 시장은 트럼프로 시작해서 트럼프로 끝이 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중국의 대미 34% 보복관세를 9일 전에 철회하지 않으면 50% 추가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네요.

그렇지만 중국과 대화 의지는 여전하다는 입장이며, 여타 국가들과 협상 의향이 이전보다 커져가고 있는 듯 합니다.

상호관세 시작되는 9일전까지 극적인 소식이 전해지는 것은 어려운 일일 수 있겠지만,

공화당 포함 정치권, 유권자들의 현 관세 정책 비난 수위 등을 고려 시, 9일 이후 분위기 호전의 재료가 등장할 가능성도 열고가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3.

어제 국내 증시는 항셍(-13.2%), 일본 닛케이(-7.8%) 등 아시아 증시와 함께 동반 폭락했고(코스피 -5.6%, 코스닥 -5.3%),

오늘은 전일 폭락에 대한 기술적, 저가매수세 유입, 미증시 낙폭 축소 등에 영향을 받아 반등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어제 엔비디아(+3.6%), 마이크론(+5.6%) 등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7%)가 급 반등에 성공한 가운데,

국내 장 시작 전 삼성전자의 잠정 실적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도체주 향방이 중요해졌네요.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4.9조원~5.1조원대로 형성됐으며, 이번 1분기 실적이 저점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상존 중이긴 하나,

이들 역시 관세의 잠재적인 영향권에 있으며, 베트남 생산 스마트폰의 관세 부담 등의 불확실성에 둘러 쌓여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실적 발표 직후 시장의 평가가 엇갈리면서, 단기적인 수급 변동성이 높아질 듯 합니다.

4.

한편, 코스피 후행 PBR은 0.79배로 22년 9월 러우전쟁(0.83배), 19년 8월 미중 무역분쟁(0.80배) 뿐만 아니라, 08년 10월 금융위기(0.81배)보다 낮아졌네요.

단순 과거 주가 저점(ex: 2023년 10월 31일 2,277pt, 2022년 9월 30일 2,155pt 등), 기술적 저점(ex: 월간 200월선 2,160pt)을 테스트해볼 수는 있어도, 밸류에이션 상 과매도권(or 매수 대응영역)에 진입한 것임을 시사합니다.

물론 코스피 역사상 최저 밸류에이션은 20년 3월 코로나 판데믹 시절이었지만(0.59배까지 하락), 당시의 밸류에이션을 현 시점에서 예상가능한 하단으로 상정하는 것은 과한 감이 있습니다.

코로나난 예측 불가능했던 블랙스완급 이벤트였지만, 현재는 트럼프 관세라는 알려진 악재로 주가 조정을 겪고 있다는 것이 차별점입니다.

결국, 현 시점에서는 매도 대응 보다는 기존 포지션을 보유하면서 상황 변화를 지켜보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

거의 24시간 전세계 금융시장이 트럼프 하나로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고 하네요.

그래도 오늘 날씨는 미세먼지가 없는 날이니 중간중간 따스한 햇볕과 함께 광합성도 하시면서,

컨디션, 스트레스 관리 잘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힘내세요

키움 한지영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6567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Rafiki Research avatar
Rafiki Research
디램 현물가격 상승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Rafiki Research avatar
Rafiki Research
4 -> 5

Рекорддор

24.01.202523:59
7KКатталгандар
09.09.202423:59
0Цитация индекси
16.11.202423:59
3.2K1 посттун көрүүлөрү
17.01.202523:59
3.3K1 жарнама посттун көрүүлөрү
27.12.202423:59
3.23%ER
17.01.202523:59
32.34%ERR
Катталуучулар
Citation индекси
Бир посттун көрүүсү
Жарнамалык посттун көрүүсү
ER
ERR
ЖОВТ '24СІЧ '25КВІТ '25

투자자문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популярдуу жазуулары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요약하는 고잉 avatar
요약하는 고잉
■ 세계증시 상승률 (1.1~4.5)

-홍콩 항셍 : 16.4%

-폴란드 : 12.5%
-브라질 : 5.8%
-독일 : 3.6%
-코스피 : 2.7%
-코스닥 : 1.3%

-이탈리아 : 1.3%
-상해 : -0.2%
-프랑스 : -1.4%
-영국 : -1.4%
-인도 : -3.5%
-대만 : -7.5%
-다우 : -9.9%
-에스엔피 : -13.7%
-니케이 : -15.3%
-나스닥 : -19.2%


*나스닥은 주봉기준 RSI과매도에 들어갔으며 기술적반등이 언제든 나올 구간.

나스닥이 주봉에서 과매도 들어간거는 최근으로보면 2002년, 2008년, 2020년, 2022년, 그리고 이번.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키움증권 전략/시황 한지영 avatar
키움증권 전략/시황 한지영
07.04.202522:43
[4/8, 장 시작 전 생각: 절박한 시장,키움 한지영]

- 다우 -0.9%, S&P500 -0.2%, 나스닥 +0.1%
- 엔비디아 +3.6%, 테슬라 -2.5%, 애플 -3.6%, 메타 +2.3%
- 미 10년물 금리 4.2%, 달러 인덱스 103.2pt, 달러/원 1,470.9원

1.

미국 증시도 가짜뉴스에 휘둘리는 증시였네요.

장 초반 “중국 제외 국가 90일간 관세 부과 중단” 소식에 -5%에서 +4%까지 순식간에 움직였지만,

이내 가짜뉴스로 판명이 나면서 일장 춘몽의 주가 되돌림을 연출했습니다.

다행히 낙폭을 줄인 채로 마감을 했지만,

이런 찌라시성 뉴스 하나에도 미국 증시가 요동을 친 것은,

절이라도 박아야할 정도로 그만큼 시장이 관세 완화에 대한 절박함을 느낄 수 있었던 부분이었네요.

2.

여전히 시장은 트럼프로 시작해서 트럼프로 끝이 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중국의 대미 34% 보복관세를 9일 전에 철회하지 않으면 50% 추가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았네요.

그렇지만 중국과 대화 의지는 여전하다는 입장이며, 여타 국가들과 협상 의향이 이전보다 커져가고 있는 듯 합니다.

상호관세 시작되는 9일전까지 극적인 소식이 전해지는 것은 어려운 일일 수 있겠지만,

공화당 포함 정치권, 유권자들의 현 관세 정책 비난 수위 등을 고려 시, 9일 이후 분위기 호전의 재료가 등장할 가능성도 열고가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3.

어제 국내 증시는 항셍(-13.2%), 일본 닛케이(-7.8%) 등 아시아 증시와 함께 동반 폭락했고(코스피 -5.6%, 코스닥 -5.3%),

오늘은 전일 폭락에 대한 기술적, 저가매수세 유입, 미증시 낙폭 축소 등에 영향을 받아 반등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어제 엔비디아(+3.6%), 마이크론(+5.6%) 등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2.7%)가 급 반등에 성공한 가운데,

국내 장 시작 전 삼성전자의 잠정 실적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도체주 향방이 중요해졌네요.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4.9조원~5.1조원대로 형성됐으며, 이번 1분기 실적이 저점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상존 중이긴 하나,

이들 역시 관세의 잠재적인 영향권에 있으며, 베트남 생산 스마트폰의 관세 부담 등의 불확실성에 둘러 쌓여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실적 발표 직후 시장의 평가가 엇갈리면서, 단기적인 수급 변동성이 높아질 듯 합니다.

4.

한편, 코스피 후행 PBR은 0.79배로 22년 9월 러우전쟁(0.83배), 19년 8월 미중 무역분쟁(0.80배) 뿐만 아니라, 08년 10월 금융위기(0.81배)보다 낮아졌네요.

단순 과거 주가 저점(ex: 2023년 10월 31일 2,277pt, 2022년 9월 30일 2,155pt 등), 기술적 저점(ex: 월간 200월선 2,160pt)을 테스트해볼 수는 있어도, 밸류에이션 상 과매도권(or 매수 대응영역)에 진입한 것임을 시사합니다.

물론 코스피 역사상 최저 밸류에이션은 20년 3월 코로나 판데믹 시절이었지만(0.59배까지 하락), 당시의 밸류에이션을 현 시점에서 예상가능한 하단으로 상정하는 것은 과한 감이 있습니다.

코로나난 예측 불가능했던 블랙스완급 이벤트였지만, 현재는 트럼프 관세라는 알려진 악재로 주가 조정을 겪고 있다는 것이 차별점입니다.

결국, 현 시점에서는 매도 대응 보다는 기존 포지션을 보유하면서 상황 변화를 지켜보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

거의 24시간 전세계 금융시장이 트럼프 하나로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고 하네요.

그래도 오늘 날씨는 미세먼지가 없는 날이니 중간중간 따스한 햇볕과 함께 광합성도 하시면서,

컨디션, 스트레스 관리 잘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힘내세요

키움 한지영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DDetailView?sqno=6567

23.04.202506:26
안녕하세요 와이즈리서치 프리덤 연구원입니다.

오늘은 기준금리가 무엇인지, 기준금리 정책이 경제와 자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기준금리란? 📌
2.금리 결정 과정 비교 🔍
3.역사적 금리 추이 📉
4.기준금리 정책의 경제·자산 시장 영향 ✨
5.결론 및 시사점 ✍️

✅ 1. 기준금리란? 📌

자금을 조달하거나 운용할 때 적용하는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리입니다.

한 나라의 중앙은행에서 금융 정세의 변화에 따라 일정 기간마다 결정하며, 금융 시장에서 각종 금리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

✅ 2. 금리 결정 과정 비교 🔍

📌 결정 주체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 >미국 연준(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 회의 주기

🇰🇷 > 연 8회 (통상 매월 둘째 주·넷째 주 목요일)
🇺🇸 > 연 8회 정례 회의 (약 6주 간격)

📌 주요 고려 지표

물가 동향, 국내외 경제 상황, 금융시장 여건
인플레이션, 실업률, 경제성장 전망

✅ 3.역사적 금리 추이 비교 📉

팬데믹 초기: 코로나 충격 완화 차원에서 양국 모두 대규모 긴급 금리 인하에 나섰습니다.

긴축기: 2022년 중반 이후 급격한 물가 압박에 대응해 한국은 1.25→3.50%, 미국은 0.25→4.50%로 연속 인상했습니다.

완화·안정기: 한·미 모두 인플레이션 안정화 국면에 진입하며 금리 인하(또는 동결)로 전환했습니다.

✅ 4. 기준금리 정책이 경제·자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

📌 금리인상 ⬆️

📍 경제

• 대출 이자 부담↑ → 가계·기업 소비·투자 위축

• 성장률 둔화·경기 냉각

📍 물가

• 수요 압력↓ → 소비자물가 상승 억제

• 인플레 기대 안정화

📍 자산 시장

• 주식 시장: 할인율↑ → 주가 하락

• 채권 시장: 가격↓ · 수익률↑

• 부동산 시장: 수요 ↓, 거래 위축

📌 금리인하 ⬇️

📍 경제

• 대출 비용↓ → 가계·기업 소비·투자 확대

• 성장률 회복·경기 부양

📍 물가

• 수요 압력↑ → 소비자물가 상승 견인

• 인플레 기대 상승

📍 자산 시장

• 주식 시장: 할인율↓ → 주가 상승

• 채권 시장: 가격↑ · 수익률↓

• 부동산 시장: 수요 ↑, 거래 활성화

금리인상이 소비·투자·자산 가격을 억제하며 물가 안정을 도모하는 반면, 금리인하는 자금 흐름을 촉진해 경기 회복과 인플레 상승 압력을 가져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결론 및 시사점 ✍️

이번 글에서는 한국은행 기준금리와 미국 연방기금금리의 개념, 결정 과정, 그리고 역사적 추이를 비교하며 살펴보았습니다.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핵심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통화정책의 출발점은 기준금리

중앙은행이 설정하는 기준금리는 금융시장과 실물경제를 연결하는 핵심 변수입니다.

금리 조정은 대출 비용, 소비·투자 심리, 자산 가격, 환율 등 경제 전반에 폭넓은 파급 효과를 일으킵니다.

📍 2. 금리 사이클별 투자 전략

금리 인상기 ⬆️: 지나치게 높은 멀티플을 부여받고 있는 기업, 기업의 이자 부담 증가를 고려해 유동성 리스크가 높은 기업 투자에 신중해야 합니다.

또한 금리인상에 따라 수요가 크게 둔화되는 기업 역시 투자에 유의가 필요합니다.

금리 인하기 ⬇️: 성장주·고배당주·부동산과 채권의 자산 가격 상승 매력이 부각되며, 레버리지 기회가 커집니다.

📍 3. 지속적 모니터링의 중요성

글로벌 경기 흐름, 물가 동향, 중앙은행의 스탠스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앞으로 기준금리 환경이 투자 기회와 리스크를 어떻게 바꿀지를 유의 깊게 살펴보시면서 투자에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윤과장 주식공부방 avatar
윤과장 주식공부방
03.04.202521:43
📉 나스닥 6% 이상 급락한 주요 사례

✅ 1. 2000년대 IT 버블 붕괴 (닷컴 버블)
2000년 4월 14일: -9.67%
• 닷컴 버블이 꺼지면서 기술주들이 대폭락
2000년 4월 3일: -7.64%
2000년 3월 15일: -6.16%

✅ 2.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08년 10월 15일: -7.87%
• 리먼 브라더스 파산 이후 금융 시스템 붕괴 우려 확산
2008년 9월 29일: -9.14%
• 미 의회가 금융구제법안을 부결하면서 증시 패닉
2008년 10월 9일: -7.29%

✅ 3.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2020년 3월 16일: -12.32%
• 코로나 팬데믹 공포로 증시가 연쇄 폭락

✅ 4. 2022년 인플레이션·금리 인상 쇼크
2022년 5월 5일: -7.73%
• 미 연준(Fed)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 우려로 기술주 급락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미래에셋증권 매크로/시황 김석환 avatar
미래에셋증권 매크로/시황 김석환
코스피, 선행 PBR 0.8배

8개월 만에 다시 PBR 0.8배를 다시 얘기하게 됐습니다.

지난 28일 종가 기준, 코스피 200 지수의 12개월 선행 P/B는 0.84배(코스피 종가 2,558p) 입니다.

산술적으로 계산 시, P/B 0.8배는 코스피 종가 기준 2,436p 정도 입니다.

지난해 12월 9일 2,360p가 P/B 0.79배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코스피 하단 주요 지지구간은 2,400p 내외가 유의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선진짱 주식공부방 avatar
선진짱 주식공부방
31.03.202503:34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프리라이프 avatar
프리라이프
05.04.202501:10
[프랑스 제친 K뷰티, 트럼프 상호관세로 '직격탄'](https://core.asiae.co.kr/article/2025040407351245603)

미국의 25% 상호관세 부과로 한국 화장품 업계 타격 예상
트럼프 행정부, 한국산 제품에 25% 상호관세 부과 결정
한국 화장품, 지난해 미국 수출액 약 17억100만 달러로 프랑스를 제치고 1위 달성
높은 관세로 가격 경쟁력 약화 우려 → 글로벌 K뷰티 열풍에 부정적 영향 예상

K뷰티의 미국 시장 성공 요인과 관세 영향
한국 화장품, 프랑스 명품 대비 10분의 1 수준의 가격과 우수한 품질로 인기
25% 관세 부과 시 가격 인상 불가피 → 1020세대 젊은 소비층 이탈 가능성
뷰티업계 관계자: "K뷰티의 핵심 경쟁력은 저렴한 가격인데, 가격 저항이 생기면 중소 브랜드들은 마진을 더 낮춰야 할 것"

화장품 기업들의 대응 방안
아모레퍼시픽 등 주요 기업, 가격 인상 및 프로모션 비용 관리 등 대책 마련 중
코스맥스, 한국콜마 등 ODM 업체들, 미국 법인을 활용한 대응 방안 모색

OTC 제품의 관세 적용 여부 혼란
자외선차단제, 여드름 치료제 등 일반의약품(OTC)으로 분류되는 제품의 관세 적용 여부에 대한 혼선 발생
정부 및 대한화장품협회 확인 결과, 해당 제품들도 25% 관세 적용 대상임이 확인됨

패션 업계의 관세 영향 및 대응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해외 생산공장을 운영하는 국내 ODM 기업들, 높은 상호관세 부과로 타격 예상
한세실업, 미국 수출 비중 85%로 생산량 조절, 'Made in USA' 제품 확대 등 다각적 대응책 마련 중
세아상역 등 다른 기업들도 미국의 관세 정책에 따른 세부 전략 수립 중

원문 발췌: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 제품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확정하면서 국내 화장품 업계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 "지난해 한국의 대미 화장품 수출 규모는 약 17억100만달러(2조5000억원)로 종전 1위를 기록했던 프랑스(12억6300만달러)보다 많았다."
- "한국 화장품은 프랑스 명품 제품의 10분의 1 수준의 가격으로 품질이 좋다는 평가를 많으면서 미국 시장에서 불티나게 팔렸다."
- "뷰티업계 관계자는 '일본과 프랑스 등 제품은 프리미엄 제품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은 반면 K뷰티는 저렴하다는 것이 핵심 경쟁력'이라며 '제품에 대한 가격저항이 생길 경우 중소브랜드들은 마진을 더 낮춰서 팔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자외선차단제, 여드름 피부용 제품 등은 일반의약품(OTC)으로 미국에 수출돼 25%의 상호관세가 부과되지 않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다."
- "정부와 대한화장품협회에 확인한 결과 백악관 행정명령 부속서에 따르면 선크림 등을 포함한 화장품은 상호관세를 적용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
당분간 라면만 먹어야 할거 같은데.. 기왕이면 맛있게..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뭘 좋아할지 몰라 다 준비 했어 avatar
뭘 좋아할지 몰라 다 준비 했어
01.04.202503:54
3월 잠정 수출입

YoY 높은 수출
(조선: 선박) +51.71%
(변압기: 중대형) +42.58%
(화장품: 기초화장품) +30.26%
(가공식품: 라면) +25.80%
(화장품: 총계) +24.13%
(미용 의료기기: 레이저장비 및 부속품) +23.89%
(화장품: 색조화장품) +22.18%
23.04.202505:39
인생 종목을 만나야한다. 깡통을 세번 차야 제대로 주식을 알수 있다.. 그런 얘기 많이들 하시는데요.

저는 인생종목 하나도 없습니다. 텐베이거는 커녕 2배 수익 전에 팔기 바쁘구요. 깡통은 세번은 커녕 한번도 찬적 없구요. 상폐 당한 경험 없구요.

그냥 꾸준하게 수익을 만들어갔어요. 가끔 유튜브 나오라고 말씀하시는 분들 계시는데.. 나가서 할 얘기도 없어요. 드라마틱한 스토리가 없어서..ㅋㅋ

나만의 스타일로 잃지않고 꾸준하게 돈버는 방법을 찾으세요. 그리고 그것을 반복하세요. 그럼 결국 부자가 됩니다.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키움증권 전략/시황 한지영 avatar
키움증권 전략/시황 한지영
[4/7, 가짜뉴스가 만들어낸 미국 증시의 무빙, 키움 한지영]

지금 미국 증시 무빙이 동전주, 잡주마냥 엄청난 상태네요.

아까 전에

"X에서 하셋 백악관 위원장의 말을 빌려, 트럼프가 90일간 중국 제외한 모든 국가들의 관세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을 고려"

vs

"CNBC는 백악관 내부 정보에 의하면 90일 유예를 들은 바가 없다"

이런 혼재된 뉴스가 대전을 펼치면서 이 같은 잡주 식의 무빙을 보였고,

결국 백악관에서 90일 유예는 가짜 뉴스라고 못을 박았네요.

찌라시성 뉴스에 미국 증시 시총이 이렇게 요동을 치다니 별일 다있네요.

시장이 SNS 글 하나에 요동을 치고 있다는 것은 그정도로 센티가 무척이나 취약해 졌음을 여실히 드러내는 대목이고,

앞으로 그게 뭐가 됐던 트럼프가 직접 등판하기 전까지는 뉴스나 SNS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면 안되겠네요.

이따 새벽에 트럼프 연설이 예정되어 있는데, EU의 협상 제안 등을 포함해 오늘 벌어진 주요국들의 대응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키움 한지영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키움증권 전략/시황 한지영 avatar
키움증권 전략/시황 한지영
06.04.202514:12
[4/6, 과거 위기 시 증시는 얼마까지 빠졌나, 키움 한지영]

S&P500과 코스피가 과거 위기 시절, 직전 고점대비 얼마나 빠졌는지를 한번 그려본 차트들입니다.

확실히 시장이 대형 위기 상황이라고 받아들이면, 주가 빠지는게 살벌하긴 했네요.

지금 S&P500이 고점대비 17%, 코스피가 고점대비 18% 하락한 상태이고,

금요일 미국 장 연쇄 폭락으로 인해 월요일 국내 증시에 대해 걱정만 한가득이신 분들이 많을거 같습니다.

하지만 과거 5차례 대표 위기 당시와 데이터, 맥락 등이 다르다는 점도 있고,

역 인디케이터나, 밸류에이션, 미국 내 정치권 및 유권자들의 여론, 관세 맞은 국가들의 대응 방식 등을 살펴보면,

상황 반전의 재료들도 잠복해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내일자 발간하는 이슈분석을 통해 이야기 드리겠습니다.

숙면 취하시고 좋은 컨디션으로 내일 뵙겠습니다

키움 한지영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소형주투자자 텔레그램 avatar
소형주투자자 텔레그램
100% 수익나도 인생 크게 안 변해요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