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2.202508:09
내가 이 업계에서 활동한 35년 동안 가치 기반 투자가 대세를 이룬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인간에게는 쉬운 일을 어렵게 하려고 하는 묘한 고집이 있는 모양이다.
#워런버핏
인간에게는 쉬운 일을 어렵게 하려고 하는 묘한 고집이 있는 모양이다.
#워런버핏
25.02.202507:03
이 책 전반에 걸쳐 수시로 언급할 내용인데, 전체 시장에서 이처럼 신규 종목의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일이 일반적이며 이것이 바로 성장 함정의 본질이다.
S&P500 지수나 기타 지수가 주가지수로서의 대표성을 유지하려면 특정 부문이나 종목에 대해 가격이 고평가됐다는 생각이 들더라도 이런 기업을 지수에 편입하지 않을 수 없다.
#투자의미래
S&P500 지수나 기타 지수가 주가지수로서의 대표성을 유지하려면 특정 부문이나 종목에 대해 가격이 고평가됐다는 생각이 들더라도 이런 기업을 지수에 편입하지 않을 수 없다.
#투자의미래
25.02.202506:45
성장에만 초점을 맞추면 차세대 우량주로 기대되는 종목에 자산을 몰아넣는 함정에 빠지게 된다. 그러나 가장 혁신적인 기업이 최적의 투자처인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시장 평균을 웃도는 beat the market 전략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거의 맹목적으로 기술 혁신에 목을 맨다. 그러나 기술 혁신이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저조한 실적으로 계속해서 투자자에게 큰 실망을 안기는 일종의 '양날의 검'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투자의미래 #제레미시걸
시장 평균을 웃도는 beat the market 전략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거의 맹목적으로 기술 혁신에 목을 맨다. 그러나 기술 혁신이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저조한 실적으로 계속해서 투자자에게 큰 실망을 안기는 일종의 '양날의 검'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투자의미래 #제레미시걸
24.02.202504:21
여기서도 우리가 봐야 할 팩트가 있다. 누가 '돈을 벌었는가'이다. 컴퓨터를 만들던 기업이 돈을 벌었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를 만들던 IBM, HP, DELL, 삼성, 삼보 등은 돈을 벌지 못했다.
정작 돈을 번 기업은 컴퓨터가 많이 팔리면 팔릴수록 이득이었던 Windows를 만들던 MS이다. 그 외에도 컴퓨터의 핵심소재인 CPU를 만들던 인텔, 그래픽카드의 엔비디아와 같은 기업들이다.
컴퓨터를 조립하던 기업이 아니고 컴퓨터를 만들면 꼭 필요한 OS, 소재기업들이 돈을 벌었다.
#4차산업혁명시대투자의미래
정작 돈을 번 기업은 컴퓨터가 많이 팔리면 팔릴수록 이득이었던 Windows를 만들던 MS이다. 그 외에도 컴퓨터의 핵심소재인 CPU를 만들던 인텔, 그래픽카드의 엔비디아와 같은 기업들이다.
컴퓨터를 조립하던 기업이 아니고 컴퓨터를 만들면 꼭 필요한 OS, 소재기업들이 돈을 벌었다.
#4차산업혁명시대투자의미래
24.02.202503:01
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시장조사를 하지 않는다. 소비자는 새롭고 혁신적인 제품을 보여줄 때까지 그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지 못한다.
#스티브잡스
#스티브잡스
25.02.202507:38
투자자에게 주식 거품을 알려주는 또 다른 징후가 있다.
가장 중요한 투자 원칙 가운데 하나가 자신이 산 주식과 사랑에 빠지지 말라는 것이다. 항상 객관성을 잃지 말아야 한다.
주가가 펀더멘털에 부합하지 않는다 싶으면, 즉 펀더멘털을 고려했을 때 도저히 나올 수 없는 가격 수준이다 싶으면 아무리 낙관적인 생각이 들더라도 그 종목으로 낸 수익이나 손실은 신경 쓰지 말고 무조건 팔아야 한다.
#투자의미래
가장 중요한 투자 원칙 가운데 하나가 자신이 산 주식과 사랑에 빠지지 말라는 것이다. 항상 객관성을 잃지 말아야 한다.
주가가 펀더멘털에 부합하지 않는다 싶으면, 즉 펀더멘털을 고려했을 때 도저히 나올 수 없는 가격 수준이다 싶으면 아무리 낙관적인 생각이 들더라도 그 종목으로 낸 수익이나 손실은 신경 쓰지 말고 무조건 팔아야 한다.
#투자의미래
25.02.202507:02
왜 이런 결과가 나타났을까? 우리 경제의 성장을 이끌었고 미국을 세계 최고의 경제국으로 우뚝 세우는 데 큰 몫을 한 신규 기업이 어떻게 기존 기업들보다 낮은 실적을 기록했을까?
이유는 간단하다. 신규 기업의 수익, 매출, 심지어 시장 가치마저 기존 기업보다 빠르게 성장했더라도 애초에 주식 매수가가 너무 높았기 때문에 만족할 만큼의 큰 수익을 올리지 못한 것이다. 주가가 너무 높으면 배당수익률이 낮다는 의미다. 따라서 배당금의 재투자를 통해 주식 수를 늘리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투자의미래
이유는 간단하다. 신규 기업의 수익, 매출, 심지어 시장 가치마저 기존 기업보다 빠르게 성장했더라도 애초에 주식 매수가가 너무 높았기 때문에 만족할 만큼의 큰 수익을 올리지 못한 것이다. 주가가 너무 높으면 배당수익률이 낮다는 의미다. 따라서 배당금의 재투자를 통해 주식 수를 늘리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투자의미래
25.02.202506:26
독서야말로 투자 아이디어를 찾아내는 최고의 원천이다. 대가들은 거의 모두 독서광이다.
이들은 신문, 업계 간행물, 증권회사의 분석보고서, 책, 사업보고서 등을 읽는다.
찰리 멍거에 의하면, 투자는 매우 광범위한 분야를 다루므로 수많은 책, 신문, 논문을 섭렵할 수밖에 없다.
#초과수익바이블
이들은 신문, 업계 간행물, 증권회사의 분석보고서, 책, 사업보고서 등을 읽는다.
찰리 멍거에 의하면, 투자는 매우 광범위한 분야를 다루므로 수많은 책, 신문, 논문을 섭렵할 수밖에 없다.
#초과수익바이블
24.02.202513:13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YM리서치

24.02.202504:15
상법 개정을 앞두고 살펴보는 CJ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https://blog.naver.com/a463508/223771349380
https://blog.naver.com/a463508/223771349380
24.02.202503:01
내가 만약 고객의 말에 귀를 기울였다면 자동차가 아니라 더 빨리 가는 말을 만들었을 것이다.
#헨리포드
#헨리포드
25.02.202507:28
투자자에게 고수익을 안기는 기업은 유명 상표를 보유한 필수 소비재와 제약 업종에 속한 기업이다.
워런 버핏도 같은 맥락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지속 가능한 넓은 경제적 해자를 지닌 제품이나 서비스가 투자자에게 고수익을 안긴다."
사람들이 다 알만한 친숙한 유명 상표를 지닌 기업이 주주(투자자)에게 높은 수익을 안겨주는 상황을 나는 '검증된 기업의 승리'라고 칭한다.
#투자의미래
워런 버핏도 같은 맥락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지속 가능한 넓은 경제적 해자를 지닌 제품이나 서비스가 투자자에게 고수익을 안긴다."
사람들이 다 알만한 친숙한 유명 상표를 지닌 기업이 주주(투자자)에게 높은 수익을 안겨주는 상황을 나는 '검증된 기업의 승리'라고 칭한다.
#투자의미래
25.02.202506:54
최고의 장기 주식은 '가치' 종목이라거나 '성장' 종목이라거나 하는 식으로 명확히 구분되지 않으며 오히려 그 경계가 불분명하다. 고성장주가 최고의 실적을 낼 수도 있으나 실적을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성장보다는 가치 평가가 더 합리적이라고 본다.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보다는 특정 국가에 국한하지 않고 전 세계 시장을 무대로 고품질 제품을 판매하며 국제적으로 명성과 신뢰를 얻는 경영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이어야 높은 실적을 올릴 수 있을 것이다.
#투자의미래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보다는 특정 국가에 국한하지 않고 전 세계 시장을 무대로 고품질 제품을 판매하며 국제적으로 명성과 신뢰를 얻는 경영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이어야 높은 실적을 올릴 수 있을 것이다.
#투자의미래
25.02.202506:17
버핏의 인재발탁 원칙 "학벌 절대 안본다"
제목만 보면? 학벌을 중시하지 않는다.
내용을 읽어보면? 타고나는 것이다. 가르쳐지는 것이 아니다? ㅎㅎ
https://m.blog.naver.com/circleofcompetence/223773150415
제목만 보면? 학벌을 중시하지 않는다.
내용을 읽어보면? 타고나는 것이다. 가르쳐지는 것이 아니다? ㅎㅎ
https://m.blog.naver.com/circleofcompetence/223773150415


24.02.202511:29
24.02.202503:17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자가 되려면 주식을 사야 한다. 돈이 남으면 남는 대로 사야 한다. 주식을 먼저 산 후 남은 돈으로 생활해야 한다. 그렇게 5년이고 10년이고 아니 은퇴 후까지 계속해서 산다. 기간이 길수록 부자가 될 확률도 높아진다.
#4차산업혁명시대투자의미래
#4차산업혁명시대투자의미래
24.02.202501:54
네이버 소버린 AI 전략 / 사우디 찍고 'AI 주권' 넓히기
https://m.blog.naver.com/circleofcompetence/223771450835
https://m.blog.naver.com/circleofcompetence/223771450835
25.02.202507:07
슘페터의 '창조적 파괴' 개념은 자본주의 경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하는 데는 매우 적절하다.
신규 기업이 변화를 주도하고, 성장을 이끌고, 현상 유지 기조를 뒤집으면서 기존 기업을 밀어낸다.
그러나 창조적 파괴 과정이 자본 시장에서는 사뭇 다르게 전개된다. 이른바 '창조적' 기업에 투자하는 사람은 너무 비싼 가격에 주식을 사기 때문에 수익 면에서 낭패를 본다.
#투자의미래
신규 기업이 변화를 주도하고, 성장을 이끌고, 현상 유지 기조를 뒤집으면서 기존 기업을 밀어낸다.
그러나 창조적 파괴 과정이 자본 시장에서는 사뭇 다르게 전개된다. 이른바 '창조적' 기업에 투자하는 사람은 너무 비싼 가격에 주식을 사기 때문에 수익 면에서 낭패를 본다.
#투자의미래
25.02.202506:47
왜 이런 일이 일어날까? 신기술을 적용해서 얻어냈던 상당 수준의 경제적 이득이 어떻게 해서 막대한 손실로 바뀌는 것일까? 여기에는 매우 단순한 이유가 있다.
새로운 것을 수용하려는 열의가 지나치면 투자자는 작은 변동 하나하나에 너무 높은 가치를 부여한다. 성장 개념에 지나치게 매몰되다 보니 급속한 변화와 극렬한 경쟁을 특징으로 하는 업종의 주식 가치를 과대평가하는 것이다.
#투자의미래
새로운 것을 수용하려는 열의가 지나치면 투자자는 작은 변동 하나하나에 너무 높은 가치를 부여한다. 성장 개념에 지나치게 매몰되다 보니 급속한 변화와 극렬한 경쟁을 특징으로 하는 업종의 주식 가치를 과대평가하는 것이다.
#투자의미래
25.02.202506:11
신한 넘어선 메리츠 … 금융株 시총 2위 등극
https://m.blog.naver.com/circleofcompetence/223773142623
https://m.blog.naver.com/circleofcompetence/223773142623
24.02.202507:48
투자 문제에 있어 사고팔 때와 전망과 상품을 묻는 것은 하수들의 행동이고 / 대답을 하는 사람도 하수다.
고수는 물어도 대답을 하지 않는다.
오직 '모른다'가 정답인데, 오직 하수들이 모른다고 말하는 것이 부끄러워 말을 함부로 할 뿐이다.
#돈의속성
고수는 물어도 대답을 하지 않는다.
오직 '모른다'가 정답인데, 오직 하수들이 모른다고 말하는 것이 부끄러워 말을 함부로 할 뿐이다.
#돈의속성
24.02.202503:14
남들이 알기 전 쌀 때 사기 위해서는 상상의 힘이 필요하다. 투자의 기본이다.
그러니 천재가 "어떤 세상이 올것이다"라고 얘기하면 자신의 머리로 '아! 맞아. 그러한 세상이 올 거야'라고 상상해야 하고, 그 천재의 생각에 동조하고 실천에 나서야 한다.
#4차산업혁명시대투자의미래
그러니 천재가 "어떤 세상이 올것이다"라고 얘기하면 자신의 머리로 '아! 맞아. 그러한 세상이 올 거야'라고 상상해야 하고, 그 천재의 생각에 동조하고 실천에 나서야 한다.
#4차산업혁명시대투자의미래
23.02.202508:35
나란다의 투자 철학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우리는 우량 기업을 영구히 소유하고자 한다.
다시 말하지만, 우리는 '영원히' 소유하고자 한다. 해당 기업을 영원히 소유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으면 투자하지 않는다.
아주 저렴한 나쁜 기업? 패스.
저렴한 가격에 평범한 기업? 고맙지만 사양한다.
적정한 가격에 우량 기업? 그런 기업을 놓치는 일이 없게, 계속 알려주기 바란다.
#투자진화를만나다
다시 말하지만, 우리는 '영원히' 소유하고자 한다. 해당 기업을 영원히 소유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으면 투자하지 않는다.
아주 저렴한 나쁜 기업? 패스.
저렴한 가격에 평범한 기업? 고맙지만 사양한다.
적정한 가격에 우량 기업? 그런 기업을 놓치는 일이 없게, 계속 알려주기 바란다.
#투자진화를만나다
Көрсөтүлдү 1 - 24 ичинде 885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