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2.202500:57
**우선 성장률 전망치까지는 2분기 인하 가능성을 닫지 않았는데, 통방문 문구 변경 여부와 포워드가이던스도 함께 지켜봐야 겠습니다.
24.02.202523:02
작년 12월 기준 (저점 4.13%) 피보나치 되돌림 차트를 살펴보면 Key Level 4.39% (61.8% 레벨)를 하회하거나 작년 9월 기준 (저점 3.60%) Key Level 4.34% (38.2% 레벨)를 하회한다면 미 정책당국이 미국채 10년물 금리를 관리하겠다는 의지와 경기 측면에서도 상승 모멘텀이 둔화됐다는 내러티브가 강화될 수 있음
16.02.202510:59
환헤지 개념과 연금/개인의 환헤지 방법을 쉽게 설명해주셨네요~ 개인투자자분들에게 유익할 것 같습니다 🧑🏻🏫
한국은행 동영상 목록 보시면 44분짜리 풀버전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https://youtu.be/2LiH7WjIoAo?si=NvJBFAtvtfpK7FcU
한국은행 동영상 목록 보시면 44분짜리 풀버전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https://youtu.be/2LiH7WjIoAo?si=NvJBFAtvtfpK7FcU
13.02.202521:50
🇺🇸 1월 PPI는 CPI와 마찬가지로 서프라이즈를 기록. 전월비 0.4% 상승은 시장 예상치 0.3%를 상회했고, 직전 12월 상승률도 0.2%에서 0.5%로 상향조정
CPI와 유사하게 PPI에서도 달걀(+44%) 등 식품 물가가 1.1% 큰 폭 올랐고, 에너지 가격도 1.7% 상승하면서 헤드라인 물가 서프라이즈를 주도
단, PCE 물가에 들어가는 서비스 항목들 (헬스케어와 보험 관련)이 대부분 전월비 하락세를 시현
이에 1월 근원 PCE 물가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도 2.7%에서 2.6%로 하향조정됨. 전월비 증가율도 0.36%에서 0.27%로 하향조정. 참고로 직전 12월 수치는 2.8%와 0.16%였음
CPI와 유사하게 PPI에서도 달걀(+44%) 등 식품 물가가 1.1% 큰 폭 올랐고, 에너지 가격도 1.7% 상승하면서 헤드라인 물가 서프라이즈를 주도
단, PCE 물가에 들어가는 서비스 항목들 (헬스케어와 보험 관련)이 대부분 전월비 하락세를 시현
이에 1월 근원 PCE 물가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도 2.7%에서 2.6%로 하향조정됨. 전월비 증가율도 0.36%에서 0.27%로 하향조정. 참고로 직전 12월 수치는 2.8%와 0.16%였음


12.02.202522:46
즉, 비계절조정 전월비 증가율이 작년과 유사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절조정 수치가 큰 차이를 보였다는 점에 유의


12.02.202504:40
🇺🇸 미시간대 1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은 1월 3.3%에 이어 2월에도 4.3%로 2개월 연속 비정상적으로 급등하면서 2023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
1%p 이상 기대인플레이션이 급등한 적은 14년 동안 다섯 번에 불과. 단, 이는 당파 성격이 강함 (민주당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과거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생각)
반면, 오늘 발표된 1월달 뉴욕 연은의 1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은 3.0%를 유지. 참고로 지난 8개월 중 7차례가 3.0%
1%p 이상 기대인플레이션이 급등한 적은 14년 동안 다섯 번에 불과. 단, 이는 당파 성격이 강함 (민주당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과거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생각)
반면, 오늘 발표된 1월달 뉴욕 연은의 1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은 3.0%를 유지. 참고로 지난 8개월 중 7차례가 3.0%
25.02.202500:55
올해 성장률도 1.5%로 하향 조정해 하나증권 전망에 부합. 한국은행은 직전 11월 수정경제전망에서 1.9%, 올해 1월 경제평가에서 1.6~1.7%로 각각 낮춰 제시했지만 하나증권 추정치 1.4~1.5%의 상단까지 추가 하향 조정하였음
24.02.202522:52
아직 초기 단계라 DOGE 영향력을 논하기에 무리가 있지만 연방 정부 급여만 살펴보면 1월 대비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큰 폭 둔화
14.02.202514:04
13.02.202501:09
🇺🇸 헤드라인 CPI 경로 추정 업데이트
▶️ 1~12월 평균 2.48%
▶️ 1~12월 평균 2.48%
12.02.202522:35
“January effects”
🇺🇸 1월 근원 (core) 물가의 비계절조정 전월비 증가율 (NSA MoM%)은 0.56%로 작년 1월의 0.55%와 갭이 1~2bp 정도에 불과. 하지만 계절조정 전월비 증가율 (SA MoM%)은 0.45%로 작년 1월의 하향수정된 0.37% 대비 8bp 갭이 발생
차트에서 빨간 막대 그래프는 전년비 계절조정 증가율 변화폭에서 전년비 비계절조정 증가율 변화폭을 차감한 수치
참고로 BLS는 매년 1월에 CPI 데이터의 계절조정 요인 (seasonal adjustment factor)을 업데이트 하면서 지난 5년간의 데이터를 수정
🇺🇸 1월 근원 (core) 물가의 비계절조정 전월비 증가율 (NSA MoM%)은 0.56%로 작년 1월의 0.55%와 갭이 1~2bp 정도에 불과. 하지만 계절조정 전월비 증가율 (SA MoM%)은 0.45%로 작년 1월의 하향수정된 0.37% 대비 8bp 갭이 발생
차트에서 빨간 막대 그래프는 전년비 계절조정 증가율 변화폭에서 전년비 비계절조정 증가율 변화폭을 차감한 수치
참고로 BLS는 매년 1월에 CPI 데이터의 계절조정 요인 (seasonal adjustment factor)을 업데이트 하면서 지난 5년간의 데이터를 수정
11.02.202521:21
이틀 연속 자정에 파월 의회 증언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상원 의회 증원 Hearing Website>
https://www.banking.senate.gov/hearings/02/04/2025/the-semiannual-monetary-policy-report-to-the-congress
<하원 의회 증원 Hearing Website>
https://financialservices.house.gov/calendar/eventsingle.aspx?EventID=409453
<상원 의회 증원 Hearing Website>
https://www.banking.senate.gov/hearings/02/04/2025/the-semiannual-monetary-policy-report-to-the-congress
<하원 의회 증원 Hearing Website>
https://financialservices.house.gov/calendar/eventsingle.aspx?EventID=409453
25.02.202500:50
🇰🇷 2월 금통위, 기준금리 2.75%로 25bp 인하
24.02.202522:50
🇺🇸 재무부 연방 고용세를 작년과 비교하면 (TTM, 최근 12개월 누적 기준으로 2024~2025 vs 2023~2024를 비교) 올해 1월과 2월 모두 작년 같은 기간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참고로 작년 2월 논팜은 275k를 기록해 컨센서스 200k를 상회했지만 직전 1월 수치는 큰 폭 하향조정 되었음. 실업률은 상승, 임금상승률은 둔화되었음
참고로 작년 2월 논팜은 275k를 기록해 컨센서스 200k를 상회했지만 직전 1월 수치는 큰 폭 하향조정 되었음. 실업률은 상승, 임금상승률은 둔화되었음


14.02.202514:04
트리거 레벨인 4.5%를 재차 하회
13.02.202500:09
**국고 3/10년 스프레드가 스팁 내러티브가 강화되었을 때 30bp (제가 제시드린 레벨은 27.6bp)에서 레벨보다 듀레이션 확대를 말씀드렸고, 지금은 20bp 하회하자 다시 스팁으로 전환되는 양상입니다.
변동성이 축소된 올해 장에서 레벨과 커브 모두 상하단 잡고 트레이딩 필요
변동성이 축소된 올해 장에서 레벨과 커브 모두 상하단 잡고 트레이딩 필요


12.02.202522:07
🇺🇸 $42b 미국채 10년 입찰 결과 부진
(1월 결과➡️2월 결과)
High yield: 4.680%➡️4.632% (When-Issued: 4.623%)
응찰률: 2.53➡️2.48
간접입찰자: 61.4%➡️71.5%
직접입찰자: 23.0%➡️13.6%
**이 중에서 긍정적인 부분을 찾아보자면 간접입찰자 비중이 전월과 6개월 평균치 (68.8%), 12개월 평균치 (67.2%)를 모두 상회했다는 점
(1월 결과➡️2월 결과)
High yield: 4.680%➡️4.632% (When-Issued: 4.623%)
응찰률: 2.53➡️2.48
간접입찰자: 61.4%➡️71.5%
직접입찰자: 23.0%➡️13.6%
**이 중에서 긍정적인 부분을 찾아보자면 간접입찰자 비중이 전월과 6개월 평균치 (68.8%), 12개월 평균치 (67.2%)를 모두 상회했다는 점


11.02.202515:07
1월 FOMC 기자회견 때 내용을 반복
25.02.202500:18
외인은 3선을 전일 순매도에서 오늘 순매수로 시작. 국고 3년 금리는 금통위 결과를 앞두고 2월 6일 이후 2.6%를 재차 하회. "매파적 인하"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수립


19.02.202506:44
30년물 3~12월 발행물량 추정치를 마지막에 계산할 때 1~2월 기발행 물량에 경쟁+비경쟁만 차감했다는 실수를 발견하여 수정 테이블 올려드립니다!
수치가 더 줄어들었습니다.
수치가 더 줄어들었습니다.


13.02.202521:52
PCE 물가에 포함되는 주요 PPI 서비스 항목들의 전월비 추이
항공료(-0.3%), 의사 치료비(-0.5%), 외래진료비(-0.4%), 입원진료비(-0.3%)
물론 포트폴리오 운용수수료는 +0.4% 상승했지만 직전 12월보다는 상승폭 둔화
항공료(-0.3%), 의사 치료비(-0.5%), 외래진료비(-0.4%), 입원진료비(-0.3%)
물론 포트폴리오 운용수수료는 +0.4% 상승했지만 직전 12월보다는 상승폭 둔화


12.02.202522:59
물론 1월 물가를 과소평가하려는 것은 아니나 이번 계절조정 전월비 증가율 (+0.47%) 서프라이즈에 달걀이 이례적으로 크게 기여함 (0.026%)
그럼에도 슈퍼코어 CPI가 전월비 0.76% 급등했는데, 이 역시 아래 5개 품목이 크게 기여함
1⃣Auto Insurance (0.21%contribution)
2⃣Admissions (0.064%)
3⃣Audio & Video Subscriptions (0.059%)
4⃣Parking (0.047%)
5⃣Internet (0.037%)
그럼에도 슈퍼코어 CPI가 전월비 0.76% 급등했는데, 이 역시 아래 5개 품목이 크게 기여함
1⃣Auto Insurance (0.21%contribution)
2⃣Admissions (0.064%)
3⃣Audio & Video Subscriptions (0.059%)
4⃣Parking (0.047%)
5⃣Internet (0.037%)


12.02.202513:31
금리는 다시 4.6%까지 상승..
10.02.202504:53
한국도 오늘 일중 변동폭이 요란하네요 ㅠ 외인은 3선을 순매도하다 순매수 전환하더니 다시 순매도
Көрсөтүлдү 1 - 24 ичинде 558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