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증권 전략/시황 김대준/박기훈]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906e14bc-d40b-4a30-a3b7-078cb7b603b8.jpg%3Fw%3D240%26h%3D240&w=640&q=75)
[한투증권 전략/시황 김대준/박기훈]
한국투자증권 전략 김대준, 시황 박기훈입니다.
동 채널을 통해 아래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매일 오후 - 일일 시황 정리
2) 수시 - 시장 급변 요인
문의사항은 언제든 개별 연락주세요!
감사합니다!
동 채널을 통해 아래 자료를 공유합니다.
1) 매일 오후 - 일일 시황 정리
2) 수시 - 시장 급변 요인
문의사항은 언제든 개별 연락주세요!
감사합니다!
TGlist рейтинг
0
0
ТипАчык
Текшерүү
ТекшерилбегенИшенимдүүлүк
ИшенимсизОрду
ТилиБашка
Канал түзүлгөн датаJul 03, 2018
TGlistке кошулган дата
Nov 01, 2024"[한투증권 전략/시황 김대준/박기훈]" тобундагы акыркы жазуулар
24.04.202522:00
24.04.202522:00
24.04.202522:00
24.04.202522:00
24.04.202522:00
24.04.202507:42
[2025년 4월 24일 시장 정리]
■ KOSPI 2,522.33p (-0.13%), KOSDAQ 726.08p (보합)
■ 코스피는 약세 마감. 미중 갈등 완화에도 국내 경제 역성장에 부진. 한미 관세 협상을 앞두고 반도체, 자동차는 부진. 조선, 건설은 호실적에 급등
■ 코스닥은 보합 마감. 종목 차별화 부각. 일부 바이오 기업들이 임상 성공과 학회 호평 등에 상승. 화장품, 미용기기는 수출 호조 전망에 상승세
* 국내 경제 역성장: 1분기 GDP는 전기 대비 0.2% 감소. 정치 불확실성, 관세 우려, 산불 피해 등에 영향. 설비투자 성장률은 3년 6개월 중 최저 기록
■ 코스피: 외국인 -78억원, 개인 +1,351억원, 기관 -1,987억원(16시 KRX 기준)
■ 코스피 업종: 제약(-1.21%), 일반서비스(-0.91%), 운송창고(-0.86%) 등 약세. 건설(+2.07%), 기계장비(+1.34%), 운송장비부품(+0.85%) 등 강세
■ 특징주: 삼성바이오로직스(-1.88%)는 1분기 연결 매출 1.3조원, 영업이익 4,867억원으로 컨센서스 상회. 분기 역대 최대 실적에도 매도세 강화
■ 원/달러 환율: 1,435.0원 (+14.4원), 국고채 3년물: 2.341% (+0.4bp)
■ KOSPI 2,522.33p (-0.13%), KOSDAQ 726.08p (보합)
■ 코스피는 약세 마감. 미중 갈등 완화에도 국내 경제 역성장에 부진. 한미 관세 협상을 앞두고 반도체, 자동차는 부진. 조선, 건설은 호실적에 급등
■ 코스닥은 보합 마감. 종목 차별화 부각. 일부 바이오 기업들이 임상 성공과 학회 호평 등에 상승. 화장품, 미용기기는 수출 호조 전망에 상승세
* 국내 경제 역성장: 1분기 GDP는 전기 대비 0.2% 감소. 정치 불확실성, 관세 우려, 산불 피해 등에 영향. 설비투자 성장률은 3년 6개월 중 최저 기록
■ 코스피: 외국인 -78억원, 개인 +1,351억원, 기관 -1,987억원(16시 KRX 기준)
■ 코스피 업종: 제약(-1.21%), 일반서비스(-0.91%), 운송창고(-0.86%) 등 약세. 건설(+2.07%), 기계장비(+1.34%), 운송장비부품(+0.85%) 등 강세
■ 특징주: 삼성바이오로직스(-1.88%)는 1분기 연결 매출 1.3조원, 영업이익 4,867억원으로 컨센서스 상회. 분기 역대 최대 실적에도 매도세 강화
■ 원/달러 환율: 1,435.0원 (+14.4원), 국고채 3년물: 2.341% (+0.4bp)
23.04.202522:53
23.04.202522:04
23.04.202522:04
23.04.202522:04
23.04.202522:04
23.04.202522:04
23.04.202507:52
[2025년 4월 23일 시장 정리]
■ KOSPI 2,525.56p (+1.57%), KOSDAQ 726.08p (+1.39%)
■ 코스피는 강세 마감. 미중 갈등 완화 기대감에 투자심리 개선. 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 등 대형 수출주 약진. 방산은 차익실현 매도 압력에 노출
■ 코스닥은 강세 마감. 위험자산 선호 회복에 외국인도 순매수세 전환. 2차전지 소재, 소부장 등이 반등. 대선 테마는 거래소 투자유의 발동에 조정
* 미중 갈등 완화: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이 중국과의 관세가 지속 불가능하다고 주장. 트럼프 대통령도 대중 관세가 협상 후 낮아질 것이라고 발언
■ 코스피: 외국인 -1,978억원, 개인 -5,484억원, 기관 +6,866억원(16시 KRX 기준)
■ 코스피 업종: 기계장비(+2.82%), 전기전자(+2.70%), 의료정밀기기(+2.64%) 등 강세. 음식료(-1.10%), 통신(-0.53%), 종이목재(-0.44%) 등 약세
■ 특징주: LG에너지솔루션(+5.12%)은 테슬라 주가 호조에 강세. 머스크 CEO는 정부효율부 업무를 마무리하고 5월부터 테슬라에 전념한다는 계획
■ 원/달러 환율: 1,420.6원 (보합), 국고채 3년물: 2.337% (+0.7bp)
■ KOSPI 2,525.56p (+1.57%), KOSDAQ 726.08p (+1.39%)
■ 코스피는 강세 마감. 미중 갈등 완화 기대감에 투자심리 개선. 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 등 대형 수출주 약진. 방산은 차익실현 매도 압력에 노출
■ 코스닥은 강세 마감. 위험자산 선호 회복에 외국인도 순매수세 전환. 2차전지 소재, 소부장 등이 반등. 대선 테마는 거래소 투자유의 발동에 조정
* 미중 갈등 완화: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이 중국과의 관세가 지속 불가능하다고 주장. 트럼프 대통령도 대중 관세가 협상 후 낮아질 것이라고 발언
■ 코스피: 외국인 -1,978억원, 개인 -5,484억원, 기관 +6,866억원(16시 KRX 기준)
■ 코스피 업종: 기계장비(+2.82%), 전기전자(+2.70%), 의료정밀기기(+2.64%) 등 강세. 음식료(-1.10%), 통신(-0.53%), 종이목재(-0.44%) 등 약세
■ 특징주: LG에너지솔루션(+5.12%)은 테슬라 주가 호조에 강세. 머스크 CEO는 정부효율부 업무를 마무리하고 5월부터 테슬라에 전념한다는 계획
■ 원/달러 환율: 1,420.6원 (보합), 국고채 3년물: 2.337% (+0.7bp)
22.04.202500:55
[한투증권 박기훈] 알래스카 프로젝트 설명해줘!
일반투자자에게 직관적인 투자정보 제공을 위해 주기적으로 인포그래픽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금번 인포그래픽으로 대미 관세 협상의 핵심 이슈인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에너지 패권 회복을 주된 정책 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습니다. 지난 1기에 이어 2기에 들어서도 LNG와 같은 화석에너지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미국 내 최종 투자결정을 앞둔 LNG 프로젝트만 11개에 달합니다. 그 중에서도 알래스카에 주목해야하는 이유는 트럼프가 이를 단순한 자원 개발이 아닌 아시아 시장 공략의 교두보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알래스카는 아시아 시장 확보에 있어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고, 특히 아세안 지역에 집중된 상호관세 협상의 카드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과거 경제성을 이유로 수차례 좌절된 경험이 있기에 성급한 투자결정을 내리기보다 협상 타결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관련 수혜 종목 선별에 집중해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합니다.
------------------------------
- 대미 협상의 키 포인트인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주목
- 에너지 패권을 되찾으려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강한 정책 추진 의지
- 협상 타결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밸류체인 내 국내 관련 종목에 관심
보고서 링크: https://bit.ly/4ioqCpx
------------------------------
일반투자자에게 직관적인 투자정보 제공을 위해 주기적으로 인포그래픽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금번 인포그래픽으로 대미 관세 협상의 핵심 이슈인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에너지 패권 회복을 주된 정책 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습니다. 지난 1기에 이어 2기에 들어서도 LNG와 같은 화석에너지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미국 내 최종 투자결정을 앞둔 LNG 프로젝트만 11개에 달합니다. 그 중에서도 알래스카에 주목해야하는 이유는 트럼프가 이를 단순한 자원 개발이 아닌 아시아 시장 공략의 교두보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알래스카는 아시아 시장 확보에 있어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고, 특히 아세안 지역에 집중된 상호관세 협상의 카드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과거 경제성을 이유로 수차례 좌절된 경험이 있기에 성급한 투자결정을 내리기보다 협상 타결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관련 수혜 종목 선별에 집중해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합니다.
------------------------------
- 대미 협상의 키 포인트인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주목
- 에너지 패권을 되찾으려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강한 정책 추진 의지
- 협상 타결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밸류체인 내 국내 관련 종목에 관심
보고서 링크: https://bit.ly/4ioqCpx
------------------------------
21.04.202523:22
기술적 분석을 맹신하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무시할 필요도 없습니다.
현재 달러인덱스는 코로나 이후 형성된 고점과 저점 간격 중 38.2%에 위치합니다.
어떤 변화가 나오든 위 아래 변동이 커질 수 있는 시점입니다.
현재 달러인덱스는 코로나 이후 형성된 고점과 저점 간격 중 38.2%에 위치합니다.
어떤 변화가 나오든 위 아래 변동이 커질 수 있는 시점입니다.
Өнүгүү
Катталуучулар
Citation индекси
Бир посттун көрүүсү
Жарнамалык посттун көрүүсү
ER
ERR
Канал өзгөрүүлөр тарыхы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