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2.202504:59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티엘비 4Q24 실적 안내드립니다
매출액: 499억원 (vs 컨센서스 473억원)
영업이익: 9억원 (vs 컨센서스 23억원)
순이익: 16억원 (vs 컨센서스 22억원)
https://buly.kr/8eksJfD (Dart)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티엘비 4Q24 실적 안내드립니다
매출액: 499억원 (vs 컨센서스 473억원)
영업이익: 9억원 (vs 컨센서스 23억원)
순이익: 16억원 (vs 컨센서스 22억원)
https://buly.kr/8eksJfD (Dart)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17.02.202523:23
Meritz Overnight Tech 2025. 2. 18 (화)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17%, 1W -0.35%, 1M -0.80%)
NAND(MLC 64Gb: 1D +0.25%, 1W 0.25%, 1M +1.01%)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野, 이 와중에 ‘삼성생명법 폭탄’… ‘3중 리스크’ 떠안는 삼성 (문화일보)
https://buly.kr/Aweiyxc
최태원 트럼프 2기 행정부 인사들 만난다, 19~20일 주요 기업 CEO와 미국행 (Business Post)
https://buly.kr/NjG7aa
미중 기술 경쟁 속,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례적으로 기업 지도자들과 회동 (Reuters)
https://buly.kr/74W3Op5
중국 CXMT 미국 제재로 반도체 장비 인력 철수, "한국 메모리 기업 반사이익" (Business Post)
https://buly.kr/7mB5JpW
마이크론, HBM3E 12단 대량 생산 예정, NVIDIA 공급 계약 확보 전망 (TrendForce)
https://buly.kr/4FrvhiI
차세대 HBM? NVIDIA, 삼성/SK하이닉스와 손잡고 2025년 양산 목표로 SOCAMM 추진 (TrendForce)
https://buly.kr/1n3Jwyu
삼성전자, 스마트폰 위탁생산 '탈중국' 가속 (전자신문)
https://buly.kr/3YCtmVv
한국, OLED 및 MicroLED 부문 강화를 위해 2,650만 달러 배정 (TrendForce)
https://buly.kr/DPTKhyg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Micron(+4%), Nanya(+6.3%), Sony(+4.1%), ZTE(+2.9%), Intel(-2.2%), Nvidia(+2.6%), Marvell(+2.9%), Mediatek(+2.7%), DB하이텍(+4.2%), TSMC(+2.4%), SMIC(+4.3%), 에스에프에이(+3.5%), 테스(-2.2%), AMAT(-8.2%), 원익머트리얼즈(+5.5%), Kanto Denka(-5.8%), 덕산네오룩스(+2.4%), Idemitsu Kosan(-2.5%), Murata(+2.1%), 삼성SDI(+2.8%), BYD(-2.1%)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17%, 1W -0.35%, 1M -0.80%)
NAND(MLC 64Gb: 1D +0.25%, 1W 0.25%, 1M +1.01%)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野, 이 와중에 ‘삼성생명법 폭탄’… ‘3중 리스크’ 떠안는 삼성 (문화일보)
https://buly.kr/Aweiyxc
최태원 트럼프 2기 행정부 인사들 만난다, 19~20일 주요 기업 CEO와 미국행 (Business Post)
https://buly.kr/NjG7aa
미중 기술 경쟁 속,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례적으로 기업 지도자들과 회동 (Reuters)
https://buly.kr/74W3Op5
중국 CXMT 미국 제재로 반도체 장비 인력 철수, "한국 메모리 기업 반사이익" (Business Post)
https://buly.kr/7mB5JpW
마이크론, HBM3E 12단 대량 생산 예정, NVIDIA 공급 계약 확보 전망 (TrendForce)
https://buly.kr/4FrvhiI
차세대 HBM? NVIDIA, 삼성/SK하이닉스와 손잡고 2025년 양산 목표로 SOCAMM 추진 (TrendForce)
https://buly.kr/1n3Jwyu
삼성전자, 스마트폰 위탁생산 '탈중국' 가속 (전자신문)
https://buly.kr/3YCtmVv
한국, OLED 및 MicroLED 부문 강화를 위해 2,650만 달러 배정 (TrendForce)
https://buly.kr/DPTKhyg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Micron(+4%), Nanya(+6.3%), Sony(+4.1%), ZTE(+2.9%), Intel(-2.2%), Nvidia(+2.6%), Marvell(+2.9%), Mediatek(+2.7%), DB하이텍(+4.2%), TSMC(+2.4%), SMIC(+4.3%), 에스에프에이(+3.5%), 테스(-2.2%), AMAT(-8.2%), 원익머트리얼즈(+5.5%), Kanto Denka(-5.8%), 덕산네오룩스(+2.4%), Idemitsu Kosan(-2.5%), Murata(+2.1%), 삼성SDI(+2.8%), BYD(-2.1%)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3.02.202522:58
Meritz Overnight Tech 2025. 2. 14 (금)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00%, 1W -0.29%, 1M -0.80%)
NAND(MLC 64Gb: 1D 0.00%, 1W 0.00%, 1M +0.76%)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AMAT 4Q24 실적발표. 매출액 71.7억 달러(+7% YoY) 기록하며 예상치 상회. 수출 규제 강화로 다음 분기 매출 가이던스 하향 조정하며 시간외 주가 -5% 하락 중 (Reuters)
https://buly.kr/6XlkzwX
트럼프, 미국 CHIPS법 조건 변경 준비 (Reuters)
https://buly.kr/28soSJS
샘 올트먼 "수 주 내 GPT-4.5 출시…일반·추론 AI 통합" (중앙일보)
https://buly.kr/28soG8S
마이크로소프트 나델라도 '韓 순방'..."중국 견제에 한국 역량 기대" (아이뉴스)
https://buly.kr/4mcAyOd
TSMC가 인텔과 파운드리 합작?…美 애널리스트 가능성 제기 (전자신문)
https://buly.kr/CLyl9Vo
HBM4 공정 '플럭스리스 본딩' 부상…하이브리드 본딩 대체 관건 (디지털데일리)
https://buly.kr/9MPsgxl
대만 패널 제조업체 AUO, 마이크론에 공장 매각으로 5,500만 달러 이익 예상 (TrendForce)
https://buly.kr/9iFOefN
Arm, 메타의 첫 반도체 구매 소식에 주가 +6% 상승 (CNBC)
https://buly.kr/3j7dIym
삼성, 중국 시안 공장에서 286단 NAND로 업그레이드 예정… 치열해지는 중국과의 경쟁 대응 (TrendForce)
https://buly.kr/9MPsfon
LGD·삼성D, 현대모비스 '롤러블 OLED' 입찰서 대격돌 (TheElec)
https://buly.kr/6tbGkHj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SK하이닉스(+4.8%), Micron(+4.3%), Nanya(+9.9%), Apple(+2%), Lenovo(-5%), ZTE(-5.2%), Intel(+7.3%), Nvidia(+3.2%), STMicro(+2.9%), Mediatek(+2.4%), DB하이텍(-3.3%), UMC(+3.2%), SMIC(-4.1%), AUO(+2.9%), 원익 IPS(-2.3%), AP시스템(+2%), 테스(+4.3%), ASML(+2.7%), LAM Research(+2.1%), 솔브레인(-2.3%), 덕산네오룩스(-4%), 이녹스첨단소재(-3.5%), Idemitsu Kosan(-2.2%), Yageo(+2.6%), 삼성SDI(+2.4%), LG에너지솔루션(+5.8%), CATL(+2.4%)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00%, 1W -0.29%, 1M -0.80%)
NAND(MLC 64Gb: 1D 0.00%, 1W 0.00%, 1M +0.76%)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AMAT 4Q24 실적발표. 매출액 71.7억 달러(+7% YoY) 기록하며 예상치 상회. 수출 규제 강화로 다음 분기 매출 가이던스 하향 조정하며 시간외 주가 -5% 하락 중 (Reuters)
https://buly.kr/6XlkzwX
트럼프, 미국 CHIPS법 조건 변경 준비 (Reuters)
https://buly.kr/28soSJS
샘 올트먼 "수 주 내 GPT-4.5 출시…일반·추론 AI 통합" (중앙일보)
https://buly.kr/28soG8S
마이크로소프트 나델라도 '韓 순방'..."중국 견제에 한국 역량 기대" (아이뉴스)
https://buly.kr/4mcAyOd
TSMC가 인텔과 파운드리 합작?…美 애널리스트 가능성 제기 (전자신문)
https://buly.kr/CLyl9Vo
HBM4 공정 '플럭스리스 본딩' 부상…하이브리드 본딩 대체 관건 (디지털데일리)
https://buly.kr/9MPsgxl
대만 패널 제조업체 AUO, 마이크론에 공장 매각으로 5,500만 달러 이익 예상 (TrendForce)
https://buly.kr/9iFOefN
Arm, 메타의 첫 반도체 구매 소식에 주가 +6% 상승 (CNBC)
https://buly.kr/3j7dIym
삼성, 중국 시안 공장에서 286단 NAND로 업그레이드 예정… 치열해지는 중국과의 경쟁 대응 (TrendForce)
https://buly.kr/9MPsfon
LGD·삼성D, 현대모비스 '롤러블 OLED' 입찰서 대격돌 (TheElec)
https://buly.kr/6tbGkHj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SK하이닉스(+4.8%), Micron(+4.3%), Nanya(+9.9%), Apple(+2%), Lenovo(-5%), ZTE(-5.2%), Intel(+7.3%), Nvidia(+3.2%), STMicro(+2.9%), Mediatek(+2.4%), DB하이텍(-3.3%), UMC(+3.2%), SMIC(-4.1%), AUO(+2.9%), 원익 IPS(-2.3%), AP시스템(+2%), 테스(+4.3%), ASML(+2.7%), LAM Research(+2.1%), 솔브레인(-2.3%), 덕산네오룩스(-4%), 이녹스첨단소재(-3.5%), Idemitsu Kosan(-2.2%), Yageo(+2.6%), 삼성SDI(+2.4%), LG에너지솔루션(+5.8%), CATL(+2.4%)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3.02.202511:27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하이비젼시스템(126700)
기회요인을 재조명할 시점
- 4Q24 매출액(705억원)은 컨센서스를 -16.0% 하회했고 영업이익(-23억원)은 적자전환
- 이는 스마트폰 관련 매출 감소로 일부 물량이 계획 대비 이연되었고, 2차전지 부문에서는 고객사 납품이 완료되었음에도 양산 검증 및 최종 협의 지연으로 매출 인식이 지연되었기 때문
- 작년에 이어 올해도 모바일 업황 악화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은 지속되나 다른 모바일 밸류체인과 차별화된 동사만의 성장 모멘텀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
- 특히, 미국과 중국 간 지정학적 관계 악화로 고객사의 제조 시설 다각화가 진행되면서 동사 인도 비즈니스의 수혜 확대 예상
- 지난해 기준 인도의 아이폰 생산량은 전체의 14%에 불과했으나 향후 5년 내 30%까지 확대되어 중국과 유사한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 이에 대응해 동사는 인도 내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6,000평 공장 부지를 확보하였고, 최근 자회사의 지분 매각을 통해 현금을 마련하는 등 적극적인 전략을 추진 중
- 또한 카메라모듈 비즈니스는 중장기 관점에서 XR 시장의 성장, 고객사의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로 인한 카메라모듈의 변화, 전장 및 로봇 시장으로의 침투 확대 등이 기회 요인이라 판단
- 특히, 로봇의 카메라 모듈은 모바일과 동일한 플라스틱 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사의 장비 경쟁력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기대
- 카메라 모듈 외 2차전지 및 바이오 부문에서도 성장세도 지속될 전망
- 2025년 매출액 3,481억원(+11.6% YoY), 영업이익 428억원(+38.4% YoY)을 전망
- 모바일 업황 악화로 인한 우려가 상존하나 인도 시장의 성장 및 여러 신사업에서의 성장이 기대된다는 점에서 중장기 투자 매력도가 높다고 판단
https://vo.la/lILYKo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하이비젼시스템(126700)
기회요인을 재조명할 시점
- 4Q24 매출액(705억원)은 컨센서스를 -16.0% 하회했고 영업이익(-23억원)은 적자전환
- 이는 스마트폰 관련 매출 감소로 일부 물량이 계획 대비 이연되었고, 2차전지 부문에서는 고객사 납품이 완료되었음에도 양산 검증 및 최종 협의 지연으로 매출 인식이 지연되었기 때문
- 작년에 이어 올해도 모바일 업황 악화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은 지속되나 다른 모바일 밸류체인과 차별화된 동사만의 성장 모멘텀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
- 특히, 미국과 중국 간 지정학적 관계 악화로 고객사의 제조 시설 다각화가 진행되면서 동사 인도 비즈니스의 수혜 확대 예상
- 지난해 기준 인도의 아이폰 생산량은 전체의 14%에 불과했으나 향후 5년 내 30%까지 확대되어 중국과 유사한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 이에 대응해 동사는 인도 내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6,000평 공장 부지를 확보하였고, 최근 자회사의 지분 매각을 통해 현금을 마련하는 등 적극적인 전략을 추진 중
- 또한 카메라모듈 비즈니스는 중장기 관점에서 XR 시장의 성장, 고객사의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로 인한 카메라모듈의 변화, 전장 및 로봇 시장으로의 침투 확대 등이 기회 요인이라 판단
- 특히, 로봇의 카메라 모듈은 모바일과 동일한 플라스틱 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사의 장비 경쟁력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기대
- 카메라 모듈 외 2차전지 및 바이오 부문에서도 성장세도 지속될 전망
- 2025년 매출액 3,481억원(+11.6% YoY), 영업이익 428억원(+38.4% YoY)을 전망
- 모바일 업황 악화로 인한 우려가 상존하나 인도 시장의 성장 및 여러 신사업에서의 성장이 기대된다는 점에서 중장기 투자 매력도가 높다고 판단
https://vo.la/lILYKo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2.02.202522:49
Meritz Overnight Tech 2025. 2. 13 (목)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17%, 1W -0.29%, 1M -0.80%)
NAND(MLC 64Gb: 1D 0.00%, 1W 0.00%, 1M +0.76%)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4Q24 Cisco 실적발표. 매출액 140억 달러 기록하며 예상치 상회. AI 기술 급성장으로 클라우드 네트워킹 장비에 대한 수요 증가가 이어지고 있다며 FY2025 연간 매출 가이던스 560~565억 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시간외 주가 +6.6% 상승 중 (Reuters)
https://buly.kr/4Qmeqlv
TSMC, 美 애리조나 반도체 시설 25조원 투자 이사회 승인 (아이뉴스24)
https://buly.kr/CWtVy7O
삼성전자, 파운드리 셧다운 해제… 평택라인 가동률 최대치로 높인다 (조선비즈)
https://buly.kr/C09F1ec
美 의원들, Lam Research의 중국 판매 조사에서의 비준수 문제 지적 (TrendForce)
https://buly.kr/90aMLfM
TSMC, 미국에서 3nm 진행 가속화, 장비 설치는 2026년 중반 시작 예정 (TrendForce)
https://buly.kr/3j7cvpq
中 바이두, 올해 차세대 AI 모델 출시 예정 (CNBC)
https://buly.kr/HSWjRVa
메타, 韓 스타트업 퓨리오사AI 인수 추진 (매일경제)
https://buly.kr/7bGIVHo
갤럭시S25엣지도 '스냅드래곤8 엘리트' 탑재 (Business Post)
https://buly.kr/7x5oSx9
애플 공급사 인도네시아에서 아이폰 제조 준비, 판매금지 해제될지 주목 (Business Post)
https://buly.kr/1n3I8Ph
삼성D-BOE '영업비밀' 분쟁 3월 윤곽…ITC 내달 21일 예비결정 (전자신문)
https://buly.kr/GZwwWu9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Micron(-2.6%), Western Digital(-2.4%), Lenovo(+5.3%), Intel(+7.2%), Marvell(-3.4%), Magnachip(-3.3%), SMIC(+5.8%), Sharp(+3.8%), 테스(+2.3%), LAM Research(-2%), BYD(+4.6%), Panasonic(+2.6%)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메리츠증권 반도체/디스플레이 김선우]
★ 메모리 스팟가격
DRAM(DDR4 8Gb: 1D -0.17%, 1W -0.29%, 1M -0.80%)
NAND(MLC 64Gb: 1D 0.00%, 1W 0.00%, 1M +0.76%)
★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뉴스 플로우
4Q24 Cisco 실적발표. 매출액 140억 달러 기록하며 예상치 상회. AI 기술 급성장으로 클라우드 네트워킹 장비에 대한 수요 증가가 이어지고 있다며 FY2025 연간 매출 가이던스 560~565억 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시간외 주가 +6.6% 상승 중 (Reuters)
https://buly.kr/4Qmeqlv
TSMC, 美 애리조나 반도체 시설 25조원 투자 이사회 승인 (아이뉴스24)
https://buly.kr/CWtVy7O
삼성전자, 파운드리 셧다운 해제… 평택라인 가동률 최대치로 높인다 (조선비즈)
https://buly.kr/C09F1ec
美 의원들, Lam Research의 중국 판매 조사에서의 비준수 문제 지적 (TrendForce)
https://buly.kr/90aMLfM
TSMC, 미국에서 3nm 진행 가속화, 장비 설치는 2026년 중반 시작 예정 (TrendForce)
https://buly.kr/3j7cvpq
中 바이두, 올해 차세대 AI 모델 출시 예정 (CNBC)
https://buly.kr/HSWjRVa
메타, 韓 스타트업 퓨리오사AI 인수 추진 (매일경제)
https://buly.kr/7bGIVHo
갤럭시S25엣지도 '스냅드래곤8 엘리트' 탑재 (Business Post)
https://buly.kr/7x5oSx9
애플 공급사 인도네시아에서 아이폰 제조 준비, 판매금지 해제될지 주목 (Business Post)
https://buly.kr/1n3I8Ph
삼성D-BOE '영업비밀' 분쟁 3월 윤곽…ITC 내달 21일 예비결정 (전자신문)
https://buly.kr/GZwwWu9
★ 전일 해외 관련업체 주요 주가등락 (2%p 이상)
Micron(-2.6%), Western Digital(-2.4%), Lenovo(+5.3%), Intel(+7.2%), Marvell(-3.4%), Magnachip(-3.3%), SMIC(+5.8%), Sharp(+3.8%), 테스(+2.3%), LAM Research(-2%), BYD(+4.6%), Panasonic(+2.6%)
(자료: Bloomberg, DRAMeXchange, 언론자료)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2.02.202521:33


17.02.202523:52
* 삼성전자 3조원 자사주 취득 결정 공시
- 지난 3조원 매입 후 소각에 이은 두번째 취득 공시
- 지난번과 다르게 이번 공시는 '소각' 목적 제외
- 취득 목적은 '주주가치 제고 및 임직원 주식보상 등'으로 명시
- 취득 기간은 2/19 ~ 5/16
- 지난 3조원 매입 후 소각에 이은 두번째 취득 공시
- 지난번과 다르게 이번 공시는 '소각' 목적 제외
- 취득 목적은 '주주가치 제고 및 임직원 주식보상 등'으로 명시
- 취득 기간은 2/19 ~ 5/16
14.02.202508:57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대세는 슬림' 삼성, 폴드7도 얇게 만든다
- 삼성전자, 올해 7월 출시 예정인 갤럭시 Z폴드7(가칭)에 디지타이저가 없는 8인치 메인 디스플레이를 적용할 계획
- 디지타이저는 펜 입력 기능이 들어가기 시작한 갤럭시 폴드3부터 현재 시판 중인 폴드6까지 탑재. 다만 폴드7은 디지타이저를 빼고 '폴드SE'와 유사한 모습으로 출시될 예정
- 폴드6용 디지타이저 두께는 0.3㎜로 메인 디스플레이 양쪽에 하나씩 탑재되는 디지타이저가 빠지면 0.6㎜가 감소
- 현재 삼성은 폴드7을 10㎜ 이하로 만드는 목표로 개발 중. 구체적인 목표치는 이달 중 확정해서 5월부터 양산할 예정
- 폴드7의 메인 디스플레이는 8인치, 외부 디스플레이는 6.5인치(전작인 폴드6은 각각 7.6인치, 6.3인)로 디스플레이 크기가 커질수록 부품이 들어갈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 두께를 줄이는 데 용이
- 디지타이저가 빠지지만 삼성은 다른 방식으로 펜 입력 기능을 구현할 계획으로 디스플레이가 아닌 펜 쪽에 입력 기술을 넣는 것이 유력
- 그 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삼성디스플레이의 M13 재료세트를 채택하는 것으로 파악
https://buly.kr/H6hDrSn (전자신문)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대세는 슬림' 삼성, 폴드7도 얇게 만든다
- 삼성전자, 올해 7월 출시 예정인 갤럭시 Z폴드7(가칭)에 디지타이저가 없는 8인치 메인 디스플레이를 적용할 계획
- 디지타이저는 펜 입력 기능이 들어가기 시작한 갤럭시 폴드3부터 현재 시판 중인 폴드6까지 탑재. 다만 폴드7은 디지타이저를 빼고 '폴드SE'와 유사한 모습으로 출시될 예정
- 폴드6용 디지타이저 두께는 0.3㎜로 메인 디스플레이 양쪽에 하나씩 탑재되는 디지타이저가 빠지면 0.6㎜가 감소
- 현재 삼성은 폴드7을 10㎜ 이하로 만드는 목표로 개발 중. 구체적인 목표치는 이달 중 확정해서 5월부터 양산할 예정
- 폴드7의 메인 디스플레이는 8인치, 외부 디스플레이는 6.5인치(전작인 폴드6은 각각 7.6인치, 6.3인)로 디스플레이 크기가 커질수록 부품이 들어갈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 두께를 줄이는 데 용이
- 디지타이저가 빠지지만 삼성은 다른 방식으로 펜 입력 기능을 구현할 계획으로 디스플레이가 아닌 펜 쪽에 입력 기술을 넣는 것이 유력
- 그 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삼성디스플레이의 M13 재료세트를 채택하는 것으로 파악
https://buly.kr/H6hDrSn (전자신문)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13.02.202522:17
13.02.202508:54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파인엠텍 4Q24 실적 안내드립니다
매출액: 594억원 (vs 컨센서스 561억원)
영업이익: -143억원 (vs 컨센서스 -19억원)
순이익: -76억원 (vs 컨센서스 -10억원)
https://buly.kr/6tbGknO (Dart)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파인엠텍 4Q24 실적 안내드립니다
매출액: 594억원 (vs 컨센서스 561억원)
영업이익: -143억원 (vs 컨센서스 -19억원)
순이익: -76억원 (vs 컨센서스 -10억원)
https://buly.kr/6tbGknO (Dart)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12.02.202521:34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Apple의 Robot 비즈니스 관련 궈밍치 코멘트 공유드립니다
- 애플은 미래의 스마트 홈 생태계를 위해 휴머노이드 및 비휴머노이드 로봇을 모두 검토하고 있으며, 이 제품들은 현재 내부적으로 초기 개념 증명(POC) 단계에 진입
- 업계에서는 휴머노이드와 비휴머노이드 디자인의 장점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만, 애플은 로봇의 물리적 외형보다 사용자가 로봇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더 중점을 두고 프로젝트를 진행 중
- 따라서 애플은 'humanoid' 대신 'anthropomorphic'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이는 센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핵심 기술로 작용함을 의미
- POC에서 공식적인 시작까지의 타임라인은 프로젝트마다 다르나 현재 진행 상황과 일반적인 개발 주기를 고려할 때, 애플의 로봇 대량 생산은 2028년 또는 그 이후에나 시작될 가능성이 높음
- 흥미롭게도 애플은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기 POC 단계에서 로보틱스 연구의 일부를 외부에 공개적으로 공유 중
- 애플의 제품 개발에 대해 NPI, EVT, MP와 같은 단계는 자주 언급되지만, POC는 상대적으로 생소한 개념
- 본질적으로 애플의 POC는 제품 아이디어와 핵심 기술이 공식 시작 전에 실행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
- 애플의 폴더블폰도 현재 POC 단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 중
- 그러나 많은 프로젝트가 POC를 넘지 못하고 종료되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애플카 프로젝트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Apple의 Robot 비즈니스 관련 궈밍치 코멘트 공유드립니다
- 애플은 미래의 스마트 홈 생태계를 위해 휴머노이드 및 비휴머노이드 로봇을 모두 검토하고 있으며, 이 제품들은 현재 내부적으로 초기 개념 증명(POC) 단계에 진입
- 업계에서는 휴머노이드와 비휴머노이드 디자인의 장점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만, 애플은 로봇의 물리적 외형보다 사용자가 로봇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더 중점을 두고 프로젝트를 진행 중
- 따라서 애플은 'humanoid' 대신 'anthropomorphic'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이는 센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핵심 기술로 작용함을 의미
- POC에서 공식적인 시작까지의 타임라인은 프로젝트마다 다르나 현재 진행 상황과 일반적인 개발 주기를 고려할 때, 애플의 로봇 대량 생산은 2028년 또는 그 이후에나 시작될 가능성이 높음
- 흥미롭게도 애플은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기 POC 단계에서 로보틱스 연구의 일부를 외부에 공개적으로 공유 중
- 애플의 제품 개발에 대해 NPI, EVT, MP와 같은 단계는 자주 언급되지만, POC는 상대적으로 생소한 개념
- 본질적으로 애플의 POC는 제품 아이디어와 핵심 기술이 공식 시작 전에 실행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
- 애플의 폴더블폰도 현재 POC 단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 중
- 그러나 많은 프로젝트가 POC를 넘지 못하고 종료되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예시가 애플카 프로젝트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12.02.202521:33
17.02.202523:23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샘씨엔에스(252990)
디램향 매출 증가는 현재진행형
- 2024년 주요 고객사인 프로브카드 업체들의 제품군 및 고객사 확대에 따른 낙수 효과로 디램향 매출액(120억원)이 전년 대비 4배 성장
- 특히, 일본 JEM을 통한 북미 마이크론향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일부 HBM 관련 매출도 반영된 것으로 파악
- 낸드 대비 이익률이 높은 디램향 매출 성장으로 인해 오송공장 이전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4분기에 집중 반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간 기준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
- 동사의 디램향 매출은 향후에도 구조적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
- 현재 동사의 세라믹 STF는 테크노프로브를 통해 주요 IDM사의 퀄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테크노프로브의 버티컬 방식은 HBM 등 기존 디램 대비 더욱 미세한 피치가 요구되는 제품에서 강점을 보유
- 향후 테크노프로브를 통한 공급이 본격화될 경우, 기존 제품 대비 하이엔드 디램향 매출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유의미
- 또한, 국내 업체 중 유일하게 SK하이닉스향 HBM3E 매출을 기록한 프로브카드 업체와 함께 차세대 HBM을 위한 기술 개발을 진행 중
- 현재 해당 업체의 SK하이닉스향 매출은 아직 미미하지만, 향후 점유율 확대에 따라 동사 역시 수혜의 폭이 커질 전망
- 이외 JEM의 마이크론향 매출 확대, 고객사 티에스이의 해외 거래선 확장도 디램향 매출 증가를 견인할 주요 요인으로 기대
- 종합적으로 2025년 디램향 매출액은 250억원(+106.6% YoY)으로 성장하여, 2025년 동사의 실적 성장을 견인할 전망
- 동사만의 차별화된 성장 로드맵을 통해 향후 실적 개선과 시장 내 입지 강화가 기대된다는 점에서 업종 내 투자 매력도가 높다고 판단
https://vo.la/GDGgjW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샘씨엔에스(252990)
디램향 매출 증가는 현재진행형
- 2024년 주요 고객사인 프로브카드 업체들의 제품군 및 고객사 확대에 따른 낙수 효과로 디램향 매출액(120억원)이 전년 대비 4배 성장
- 특히, 일본 JEM을 통한 북미 마이크론향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일부 HBM 관련 매출도 반영된 것으로 파악
- 낸드 대비 이익률이 높은 디램향 매출 성장으로 인해 오송공장 이전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4분기에 집중 반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간 기준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
- 동사의 디램향 매출은 향후에도 구조적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
- 현재 동사의 세라믹 STF는 테크노프로브를 통해 주요 IDM사의 퀄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테크노프로브의 버티컬 방식은 HBM 등 기존 디램 대비 더욱 미세한 피치가 요구되는 제품에서 강점을 보유
- 향후 테크노프로브를 통한 공급이 본격화될 경우, 기존 제품 대비 하이엔드 디램향 매출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유의미
- 또한, 국내 업체 중 유일하게 SK하이닉스향 HBM3E 매출을 기록한 프로브카드 업체와 함께 차세대 HBM을 위한 기술 개발을 진행 중
- 현재 해당 업체의 SK하이닉스향 매출은 아직 미미하지만, 향후 점유율 확대에 따라 동사 역시 수혜의 폭이 커질 전망
- 이외 JEM의 마이크론향 매출 확대, 고객사 티에스이의 해외 거래선 확장도 디램향 매출 증가를 견인할 주요 요인으로 기대
- 종합적으로 2025년 디램향 매출액은 250억원(+106.6% YoY)으로 성장하여, 2025년 동사의 실적 성장을 견인할 전망
- 동사만의 차별화된 성장 로드맵을 통해 향후 실적 개선과 시장 내 입지 강화가 기대된다는 점에서 업종 내 투자 매력도가 높다고 판단
https://vo.la/GDGgjW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4.02.202504:17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이수페타시스(007660): 쇼티지 인정
- 4Q24 연결 매출액 2,261억 원(+30.5% YoY)은 컨센서스를 +2.1% 상회했지만, 영업이익 278억 원(+163.0% YoY)은 -8.5% 하회
- 신공장 가동 본격화와 견조한 데이터센터 고객사향 수주 확대에 힘입어 기대를 상회하는 매출 성장을 달성
- 그러나 임직원 성과급 지급에 따른 약 25억 원의 일회성 비용 반영과 더불어, 기판의 고다층화에 따른 공정 난이도 상승으로 일시적인 테스트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부진
- 다만 이번 실적 발표의 핵심은 증설 규모 확대를 통해 MLB 업황의 쇼티지가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수준임을 암시했다는 점
- 동사는 기존에 제시했던 800억 원 규모의 1차 증설 투자를 1,500억 원으로 확대했으며, 이에 따라 본사 법인의 매출액 기준 생산 능력 가이던스를 9,000억 원에서 1조 500억 원으로 상향 조정
- 이는 결국 기존 증설 규모만으로는 고객사의 물량 요청을 충분히 대응하기 어려울 만큼 전방 업황의 수요 증가가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
- 또한, 동사가 AI 가속기 및 ASIC, AI 네트워크 시장과 함께 성장하며 본업에서 높은 성장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도 여전히 매력적
- 동사를 포함한 MLB 업체들의 적극적인 투자 확대에도 당사는 업황의 쇼티지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이는 고객사들이 신모델에 요구하는 다중적층 기술 적용 시 도금, 적층, 드릴 공정의 필요량이 기존 대비 약 3배 증가하면서 공정 부하가 가중되고, 이에 따라 실질적인 생산 Capa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 동시에 AI용 GPU 외 ASIC, AI 네트워크용 스위치 등 전반적인 AI 관련 수요가 견조하게 지속됨에 따라, 업황 쇼티지가 해소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
- 세트 수요의 둔화 국면 속에서, 업황 쇼티지는 굉장히 희소한 기회 → 동사의 고멀티플이 충분히 정당화될 수 있다고 판단
- 동사의 증설 확대 반영과 유상증자 신주를 고려한 12MF EPS에 컨센서스 기준 과거 2년 평균 PER 27.8배를 적용, 적정주가를 46,000원으로 상향하고 투자의견 Buy를 유지
https://vo.la/fOzTTH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이수페타시스(007660): 쇼티지 인정
- 4Q24 연결 매출액 2,261억 원(+30.5% YoY)은 컨센서스를 +2.1% 상회했지만, 영업이익 278억 원(+163.0% YoY)은 -8.5% 하회
- 신공장 가동 본격화와 견조한 데이터센터 고객사향 수주 확대에 힘입어 기대를 상회하는 매출 성장을 달성
- 그러나 임직원 성과급 지급에 따른 약 25억 원의 일회성 비용 반영과 더불어, 기판의 고다층화에 따른 공정 난이도 상승으로 일시적인 테스트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부진
- 다만 이번 실적 발표의 핵심은 증설 규모 확대를 통해 MLB 업황의 쇼티지가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수준임을 암시했다는 점
- 동사는 기존에 제시했던 800억 원 규모의 1차 증설 투자를 1,500억 원으로 확대했으며, 이에 따라 본사 법인의 매출액 기준 생산 능력 가이던스를 9,000억 원에서 1조 500억 원으로 상향 조정
- 이는 결국 기존 증설 규모만으로는 고객사의 물량 요청을 충분히 대응하기 어려울 만큼 전방 업황의 수요 증가가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
- 또한, 동사가 AI 가속기 및 ASIC, AI 네트워크 시장과 함께 성장하며 본업에서 높은 성장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도 여전히 매력적
- 동사를 포함한 MLB 업체들의 적극적인 투자 확대에도 당사는 업황의 쇼티지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이는 고객사들이 신모델에 요구하는 다중적층 기술 적용 시 도금, 적층, 드릴 공정의 필요량이 기존 대비 약 3배 증가하면서 공정 부하가 가중되고, 이에 따라 실질적인 생산 Capa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 동시에 AI용 GPU 외 ASIC, AI 네트워크용 스위치 등 전반적인 AI 관련 수요가 견조하게 지속됨에 따라, 업황 쇼티지가 해소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
- 세트 수요의 둔화 국면 속에서, 업황 쇼티지는 굉장히 희소한 기회 → 동사의 고멀티플이 충분히 정당화될 수 있다고 판단
- 동사의 증설 확대 반영과 유상증자 신주를 고려한 12MF EPS에 컨센서스 기준 과거 2년 평균 PER 27.8배를 적용, 적정주가를 46,000원으로 상향하고 투자의견 Buy를 유지
https://vo.la/fOzTTH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3.02.202512:01
동영상
12.02.202523:20
자사주 매입 진행율이 100%를 소폭 넘는거로 추산되는 가운데, 금일 54.4만주 마감 매수 신청이 나왔습니다
12.02.202521:33
12.02.202521:33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2025년 1월 중국 Sunny Optical 출하량 데이터 정리
핸드셋용 카메라모듈 출하량
- 3,676.5만개 (-31.1% MoM, -40.9% YoY)
핸드셋용 렌즈 출하량
- 10,590.3만개 (+1.0% MoM, +2.6% YoY)
차량용 렌즈 출하량
- 1,282.7만개 (+102.0% MoM, +6.5% YoY)
핸드셋용 카메라모듈 출하량은 지난해 1월과 12월 고객사의 배송 요청으로 인해 출하량이 높았던 기저 효과와 올해 1월 춘절 연휴의 영향으로 부진
차량용 렌즈 출하량은 고객사의 크리스마스 연휴로 인해 지난해 12월의 출하량이 낮았던 기저 효과로 MoM 기준 +102.0% 성장 달성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2025년 1월 중국 Sunny Optical 출하량 데이터 정리
핸드셋용 카메라모듈 출하량
- 3,676.5만개 (-31.1% MoM, -40.9% YoY)
핸드셋용 렌즈 출하량
- 10,590.3만개 (+1.0% MoM, +2.6% YoY)
차량용 렌즈 출하량
- 1,282.7만개 (+102.0% MoM, +6.5% YoY)
핸드셋용 카메라모듈 출하량은 지난해 1월과 12월 고객사의 배송 요청으로 인해 출하량이 높았던 기저 효과와 올해 1월 춘절 연휴의 영향으로 부진
차량용 렌즈 출하량은 고객사의 크리스마스 연휴로 인해 지난해 12월의 출하량이 낮았던 기저 효과로 MoM 기준 +102.0% 성장 달성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17.02.202523:23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비에이치(090460)
깊어지는 고민
- 4Q24 연결 실적은 매출액 4,878억원(-5.6% YoY), 영업적자 53억원(적전 YoY)으로 영업이익 기준 당사 추정치인 170억원을 크게 하회
- 이는 북미 고객사로부터 평년 대비 강한 CR이 진행됨과 동시에 IT OLED 매출 부진에 따른 고정비 부담이 심화되었기 때문
- 특히 북미 고객사는 지난해 2~3분기 진행한 선제적인 재고 확충 대비 부진한 신모델 판매로 채널 재고 부담이 가중된 것으로 파악
- 이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이 올해 상반기까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
- 2025년 연결 실적은 매출액 1조 6,931억원(-3.5% YoY), 영업이익 1,001억 원(+15.0% YoY)을 전망
- 올해 기대 요인은 아이폰 전 모델의 LTPO 적용으로 인한 점유율 상승과 IT OLED향 매출 확대
- 특히, 중국 디스플레이 패널 경쟁사는 LTPO 구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올해 모델에서 탈락할 경우 이는 추가적인 실적 상향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상존
- 반면, A시리즈 물량 감소와 전방 시장 침체로 인해 국내 고객사향 매출과 차량용 매출은 부진할 것으로 예상
- 동사의 실적 부진 + 고객사의 출하 성장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이 주가에 반영됨에 따라 오랜 기간 주가 부진 지속 중
- 고객사 출하 성장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는 시점이 주가 반등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판단
- 당사는 그 시점을 고객사의 AI 경쟁력에 대한 의문이 해소될 수 있는 올해 WWDC 전후로 예상
- '25년과 '26년 영업이익 추정치 하향 조정(표3)을 반영하여 적정주가를 20,000원으로 -9.1% 하향하나, 투자의견 Buy를 유지
https://vo.la/CaIYsA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비에이치(090460)
깊어지는 고민
- 4Q24 연결 실적은 매출액 4,878억원(-5.6% YoY), 영업적자 53억원(적전 YoY)으로 영업이익 기준 당사 추정치인 170억원을 크게 하회
- 이는 북미 고객사로부터 평년 대비 강한 CR이 진행됨과 동시에 IT OLED 매출 부진에 따른 고정비 부담이 심화되었기 때문
- 특히 북미 고객사는 지난해 2~3분기 진행한 선제적인 재고 확충 대비 부진한 신모델 판매로 채널 재고 부담이 가중된 것으로 파악
- 이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이 올해 상반기까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
- 2025년 연결 실적은 매출액 1조 6,931억원(-3.5% YoY), 영업이익 1,001억 원(+15.0% YoY)을 전망
- 올해 기대 요인은 아이폰 전 모델의 LTPO 적용으로 인한 점유율 상승과 IT OLED향 매출 확대
- 특히, 중국 디스플레이 패널 경쟁사는 LTPO 구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올해 모델에서 탈락할 경우 이는 추가적인 실적 상향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상존
- 반면, A시리즈 물량 감소와 전방 시장 침체로 인해 국내 고객사향 매출과 차량용 매출은 부진할 것으로 예상
- 동사의 실적 부진 + 고객사의 출하 성장에 대한 시장의 의구심이 주가에 반영됨에 따라 오랜 기간 주가 부진 지속 중
- 고객사 출하 성장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는 시점이 주가 반등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판단
- 당사는 그 시점을 고객사의 AI 경쟁력에 대한 의문이 해소될 수 있는 올해 WWDC 전후로 예상
- '25년과 '26년 영업이익 추정치 하향 조정(표3)을 반영하여 적정주가를 20,000원으로 -9.1% 하향하나, 투자의견 Buy를 유지
https://vo.la/CaIYsA (링크)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메리츠 중국 최설화]
![[메리츠 중국 최설화]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cec00b3405abffe6ba3d1426a4670a4162ecf33ffa4e67b81867c10371515281%2Ff01c252a-2804-442c-a985-79120f0c6946.jpg%3Fw%3D24%26h%3D24&w=48&q=75)
14.02.202501:33
[중국 휴대폰, 6000위안 이상 보조금]
-중국의 양판점 쑤닝에서 6,000위안 (120만원)이상의 고가 제품에 250-1000위안(5-20만원) 보조금을 주기로 결정
-이구환신처럼 중앙정부 정책이 아닌, 기업 정책인만큼 효과는 약할 것이나, 고가폰 재고 소진에 유리
쑤닝 할인 웹페이지:
https://cuxiao.m.suning.com/scms/shoujiguobu.html?utm_source=yd-xlwb&utm_medium=kol-zy5&utm_campaign=&native_From_iOS_HomePage=1&adTypeCode=1002&adId=
-중국의 양판점 쑤닝에서 6,000위안 (120만원)이상의 고가 제품에 250-1000위안(5-20만원) 보조금을 주기로 결정
-이구환신처럼 중앙정부 정책이 아닌, 기업 정책인만큼 효과는 약할 것이나, 고가폰 재고 소진에 유리
쑤닝 할인 웹페이지:
https://cuxiao.m.suning.com/scms/shoujiguobu.html?utm_source=yd-xlwb&utm_medium=kol-zy5&utm_campaign=&native_From_iOS_HomePage=1&adTypeCode=1002&adId=
12.02.202522:49
[삼성전자 자사주 매매 현황]
- 전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체결내역입니다.
보통주: 500,000주
우선주: 80,000주
* 1차 자사주 매입 공시 금액인 3조원 대비 실제 매수액 비율은 100.5%(3조 148억원) 입니다.
- 금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신청내역입니다.
보통주: 544,628주
우선주: 72,036주
- 전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체결내역입니다.
보통주: 500,000주
우선주: 80,000주
* 1차 자사주 매입 공시 금액인 3조원 대비 실제 매수액 비율은 100.5%(3조 148억원) 입니다.
- 금일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매 신청내역입니다.
보통주: 544,628주
우선주: 72,036주


12.02.202521:33
11.02.202521:18
[메리츠증권 전기전자/IT부품 양승수]
▶ BOE, 2분기 아이폰 OLED 공급 차질...삼성D·LGD '반사이익'
- BOE, 애플 아이폰 15 및 16용 OLED 패널에서 품질 문제를 겪으며 2분기 공급량이 크게 감소
- 이로 인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부족한 물량을 흡수할 가능성 제기
- BOE는 아직 아이폰 프로 모델용 LTPO TFT OLED의 양산 승인을 받진 못함
- 품질 문제 해결에는 최소 6주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
- 반면, BOE는 지난해 말부터 아이폰 SE4용 OLED를 꾸준히 생산 중
- 올해 하반기 출시될 아이폰 17 시리즈는 모든 모델에 LTPO OLED가 적용되며,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주요 공급업체가 될 것으로 기대
- 지난해 삼성디스플레이는 약 1억 2천만~1억 3천만 개의 OLED 패널을, LG디스플레이는 약 6천5백만 개, BOE는 약 4천만 개 공급
https://buly.kr/ESxpnoU (TheElec)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BOE, 2분기 아이폰 OLED 공급 차질...삼성D·LGD '반사이익'
- BOE, 애플 아이폰 15 및 16용 OLED 패널에서 품질 문제를 겪으며 2분기 공급량이 크게 감소
- 이로 인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부족한 물량을 흡수할 가능성 제기
- BOE는 아직 아이폰 프로 모델용 LTPO TFT OLED의 양산 승인을 받진 못함
- 품질 문제 해결에는 최소 6주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
- 반면, BOE는 지난해 말부터 아이폰 SE4용 OLED를 꾸준히 생산 중
- 올해 하반기 출시될 아이폰 17 시리즈는 모든 모델에 LTPO OLED가 적용되며,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주요 공급업체가 될 것으로 기대
- 지난해 삼성디스플레이는 약 1억 2천만~1억 3천만 개의 OLED 패널을, LG디스플레이는 약 6천5백만 개, BOE는 약 4천만 개 공급
https://buly.kr/ESxpnoU (TheElec)
* 본 내용은 당사의 코멘트 없이 국내외 언론사 뉴스 및 전자공시자료 등을 인용한 것으로 별도의 승인 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Көрсетілген 1 - 24 арасынан 585
Көбірек мүмкіндіктерді ашу үшін кіріңі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