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 IT는 SK ] avatar
[ IT는 SK ]
[ IT는 SK ] avatar
[ IT는 SK ]
# 심텍 (시총: 5,148 억원)
1Q25 실적발표 (잠정)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IT부품/전기전자, 2차전지

▶️ 실적 공시:
- 매출액 : 3,036 억원 (+3% YoY)
(컨센 매출: 2,952 억원)

- 영업이익 : -163 억원 (-9% YoY)
(컨센 OP: -202 억원)

- OPM : 적자%
(컨센 OPM: 적자%)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8900431
07.05.202522:42
# 와이씨켐
- 변곡점 임박!

[ SK증권 권민규, 박형우 ]
디스플레이/IT중소형

▶️ 결론:
- 1분기 실적 저점, 2분기부터 턴어라운드 기대
- 유리기판향 소재 매출 본격화, EUV 린스 진입 기대감, 하반기 Poly-Si 슬러리 매출 발생
- 소재 신규 진입에 따른 모멘텀 다수 보유
- 고부가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따른 이익률 우상향

▶️ 목차:
투자포인트 1. 유리기판 소재 핵심 기업, ‘25년부터 매출 본격화
- 1) 유리기판 핵심 소재 납품, 레퍼런스 기반 고객사 확대 기대
- 2) 유리 기판 수율 개선 핵심 요소, 코팅제 공급 기대감
- 3) 모두가 선단공정을 바라볼 때, 비어버린 시장에서의 기회 포착

투자포인트 2. EUV 린스로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
- EUV 린스, 소재 포트폴리오 확대 & 기술력 재평가의 발판

▶️ 링크:
https://buly.kr/6Bwj7xy
06.05.202523:41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Supermicro FY3Q25 컨퍼런스 콜

▶️ FY3Q25 주요 코멘트

#실적 리뷰 및 주요 코멘트

이번 분기 매출 하회는 AI 플랫폼을 평가하고 있는 동안 판매가 지연되었기 때문
비록 매출은 감소했으나, 새로운 AI 플랫폼에 대한 생산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3분기 Non-Gaap Eps의 가이던스 미달은 구형 GPU 및 관련 부품의 재고 평가 손실 때문

AI 및 IT 시장에서의 강력한 성장 전망을 유지하고 있으며 고객의 주문 추세는 여전히 강력
기술 혁신과 새로운 제품 출시로 마진 개선 기대

이번 분기 동안, 우리는 공랭식 10U와 액체 냉각 시스템을 NVIDIA B200 HGX에 납품했음
이번 여름에는 고객을 위해 더욱 최적화된 AI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

▶️ FY3Q25 주요 QnA
Q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매출 예측을 어렵게 한다고 언급, 현재 고객들이 주문을 줄이고 있는가?
A 현재 강력한 주문이 있으며, 다음 분기에는 이를 바탕으로 강한 실적을 이끌어 낼 것

Q 새로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은 어떻게 되는가?
A 관세와 기술 플랫폼의 전환으로 인해 신중함이 필요하며,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

Q 향후 상위 두 고객에 대한 전망이 있는가?
A 우리가 공유하는 사업은 앞으로도 훨씬 더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믿음

Q 고객들이 Hopper대신 Blackwell로 이동하기로 결정한 것인가?
A 고객들은 새로운 기술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블랙웰 솔루션에 대해 완전히 준비되었음

Q 블랙웰에 대한 GPU 할당이 호퍼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공급상황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A 아직도 일부 배분 문제가 해소되지 않았으며, 고객 중 일부가 즉시 이탈하는 상황도 존재했음

Q 재고 용량이 월 약 5,000개의 랙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하는데, 자본 지출과 기존 용량을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는가?
A 재고는 수요가 증가할 때를 대비해 매우 완벽하게 준비되어 있으며, DLC2에 대해 더욱 개선된 솔루션을 제공할 것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2.05.202505:39
[SK증권 해외주식 박제민]

AMZN; 핵심 사업부 모두 무난한 성과

▶️ 견조한 매출 유지

1Q25 매출 컨센서스 부합, 차분기 가이던스 1% 하회
사업부문별로 AWS가 17% YoY 성장 기록

▶️ AWS, 아직 남은 온프레미스가 많다

AWS 사업부 OPM 39% 기록, SW와 프로세스 최적화 효과
향후 Nova, Trainium 통해 더 강한 이익률 실현 기대 가능
전세계 IT 지출의 85% 이상이 아직 온프레미스
AWS는 높은 점유율과 IaaS 강점으로 특히 인프라 현대화 수혜 강할 전망

▶️ 관세 불확실성을 이겨낼 준비성

아직 수요 감소, 판매 가격 변동 감지되지 않는 상황
가격 변동에도 자체상품(SKU)으로 대응 가능
과거 불경기 기간 동안 오히려 AMazon의 시장 점유율은 증가
지역 허브 투자 지속으로 1Q25 Prime 회원 대상 배송 속도 개선

▶️ URL: https://buly.kr/DaOWFrj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1.05.202523:48
[SK증권 해외주식 박제민]

Microsoft; AI 시대에도 하이퍼스케일러 할래요

▶️ 견조한 매출 성장세 지속

AWS, GCP, Azure 중 유일하게 매출액 성장률 반등
차분기 가이던스 컨센서스 2% 상회하며 매출 흐름 안정적

▶️ Azure All In, AI 하이퍼스케일러에 집중

Azure 성장의 절반은 AI가 견인, 비AI 워크로드 역시 강한 성장
자체 SLM(Phi 시리즈), ASIC 확보를 통한 추론 비용 절감은 향후 수익성 제고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
M365 Copilot의 침투율이 여전히 2% 미만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성장률 둔화 코멘트는 아쉬움

▶️ Azure가 어떻게 Azure가 되었나

과거 Microsoft의 핵심 경쟁력은 Office를 중심으로 한 B2B 업무 소프트웨어
Azure는 Office에 저장된 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장해온 PaaS/SaaS 기반 클라우드
독점에 가까웠던 Office 시절과 달리 다양한 layer에서 경쟁 구도가 강한 상황
상위 서비스 레이어에서의 경쟁력 확보가 지배력 유지의 핵심이될 예정

▶️ URL: https://buly.kr/DPTlBWC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1.05.202505:22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META FY1Q25 컨퍼런스 콜

▶️ FY1Q25 주요 코멘트

광고 전환율, 체류 시간, 이용자 수 증가 모두 긍정적
6개월 동안 추천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체류 시간 증가
1) Facebook +7% 2) Instagram +6% 3) Threads +35%
Llama 모델을 Threads의 추천 시스템에 테스트 도입, 효과가 잘 나타나는 중

META AI 전세계 사용자 수 10억명 기록
Advantage+ AI 기반 솔루션 제품군에 지속적 모멘텀 관찰
Advantage+ Creative 제품도 강한 도입세, 생성형 AI 활용 가상 모델 착용 제품 출시
이번 1분기에 GEM(Generative Ads Recommendation Model) 도입 시작, 생성형 AI 활용

Capex 가이던스 중간값 $62.5B 에서 $68B 로 8.8% 상향
Capex의 대부분은 여전히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될 예정

▶️ FY1Q25 주요 QnA

Q CapEx 지출이 일부 대형 하이퍼스케일러들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 중, 직접적인 엔터프라이즈 매출 없이도 ROI가 성립된다고 보는가?
A 최고 수준 인프라 구축으로 경쟁 우위 확보에 대한 자신감이 큼. 2025년에 도입 예정인 인프라 용량만으로도 회사 내부 각 팀의 컴퓨트 수요를 다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할 수 있을 정도. 계속해서 이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갈 계획

Q CapEx 상단 전망이 상향된 배경이 투자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에 기인한 것인가? 비용 증가의 주요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최근 보도된 데이터센터 투자 파트너 협업 모색은 어떤 맥락인가?
A CapEx 전망 상향은 투자 증가와 비용 증가 두 가지 요인을 모두 반영한 것. 현재 진행 중인 무역 논의 등으로 인해 이러한 공급망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 공급망 최적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를 완화하기 위한 작업을 병행 중. 가이던스는 이러한 노력을 모두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
AWS와 Azure와 같은 파트너들과 Llama 모델을 공동 호스팅하는 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에 Llama를 제공하는 데 투자하고 있는 점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판단 중

Q 이번 CapEx 가이던스 상향이 향후 Capex의 새로운 기준점인가? 아니면 향후 필요와 기술 발전에 따라 매번 재조정 된다고 보아야하는가?
A 인프라 계획은 AI의 빠른 기술 발전과 내부 수요 변화에 따라 매우 역동적으로 계획되는 영역

Q Llama 후속 버전을 고려할 때, 가장 집중하고 계시고 기대하고 계신 발전 영역은 어떤 것인가?
A LLM 개발 이유는 1) 주도권 확보 2) 인프라와 목표에 맞추어 AI 모델 조정을 하기 위함. Llama 4가 저지연, 음성 위주로 최적화된 모델인 이유. 대형 모델인 Behemoth를 통해 더 효율적인 파생 모델 생성 가능

Q Meta AI 사용 상황과 사용 사례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행동은 어떤 것?
A 주요 사용 사례는 정보 탐색과 이해, 분석 부분. 사용자들은 여러 진입 지점(entry point)을 통해 Meta AI를 사용. 현재로서는 WhatsApp, Facebook을 통해 META AI 활용 사례가 가장 흔한 상황. 독립적인 META app에 대한 기대도 큼

Q Meta AI의 현재 사용 사례와 향후 독립형 앱이 이러한 사례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이라고 보는가? META AI 독립형 앱을 현재 소비자용 AI 앱들과 경쟁에서 어떻게 포지셔닝할 것인가?
A Family of Apps 내에서의 통합을 계속 추진하는 동시에, 독립형 경험 구축에도 주력할 계획. 플랫폼의 지역적 특성상 확장에 한계를 느끼고 독립형 앱을 출시한 부분 존재

Q 2분기 가이던스는 관세로인한 공급 이슈를 반영한 수치인가?
A 불확실성을 반영하여서 가이던스 범위를 넓혀 제시. 2분기 가이던스는 4월에 관측된 트렌드를 반영, 현재까지는 건전한 흐름을 보이는 중

Q 내부적으로 코드 작성을 보조하는 AI 는 어느정도로 수준이 올라왔는가?
A 올해 중반쯤이면 중급 엔지니어 수준의 AI 구현이 현실화되기 시작하고, 내년으로 넘어가면서 점차 확장될 것으로 보는 중. 내년 중반에서 말쯤이 되면, AI 코딩 에이전트가 연구개발(R&D)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기대

Q 광고 순위팀을 포함한 여러 팀들이 실행하고 싶어 하는 프로젝트들이 AI 컴퓨팅 용량 부족으로 인해 병목현상이 발생 중이라고 하였다, 올해 또는 내년에 이러한 병목이 어느 정도 완화될 것이라고 보는가?
A 모든 부서에서 역동적으로 수요가 올라오고 있는 상황. 병목이 언제 해결될 것이라고 얘기하기 어려움. Capex 투자를 통해 컴퓨팅을 최대한 더 확보하려고 노력 중

Q IDFA(=ATT, 애플 쿠키 제공 금지. GPU 도입의 계기) 도입 이후 현재 광고 순위 시스템의 개선과 ROI 향상은 어느 정도 진전되었고, 이를 야구 경기로 비유하자면 지금 어느 이닝에 와 있다고 생각하는가?
A 전환율(Conversion Rate)은 전년 대비 여전히 강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실제로 1분기에는 광고 노출수보다 전환수가 더 빠르게 증가. 1분기에 GEM 도입, 과거에 관련 엔진 구조 공개하였음. 과거 투자들이 성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도 광고 순위 및 추천 성능 향상을 위한 투자는 지속할 것

Q WhatsApp 비즈니스 확산과 관련해, 고임금 국가들에서 해당 모델이 확장되기 위해 필요한 AI 역량은 어느 시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는가? 이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META는 어떤 노력 중인가?
A 비즈니스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AI 에이전트를 커스터마이즈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 제공. Facebook과 Instagram 광고 내에서 제품 반품 정책이나 구매 관련 질문을 처리할 수 있는 비즈니스 AI도 시험 중. 기술적으로 항상 동일한 AI 에이전트가 그 사람의 과거 대화 및 선호를 기억하면서 응답할 수 있어야하므로 장기 기억 기능 필요

Q META AI를 포함하여 챗봇 시장에 거의 동일한 기능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5~10개 존재. 향후 시장이 Search 처럼 독점 시장 구조가 될 것으로 보는가 아니면 더 분산된 생태계가 될 것으로 보는가? META AI 가 해당 경쟁 시장에서 가지고 있는 우위는 무엇인가?
A 사람들이 서로 다른 목적에 따라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사용하게 될 것. 기업용 생산성에 최적화된 AI, 개인용 업무 효율화에 최적화된 AI, 엔터테인먼트나 소셜 상호작용에 특화된 AI가 서로 다를 수 있다고 생각. 동일한 용도로 여러 AI를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겠지만, 목적별로 다른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현재는 대부분의 AI가 개인화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상황, 기억 기반 개인화가 이루어질 경우 이가 큰 차별점이 될 것으로 생각. 텍스트뿐 아니라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모달리티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능력도 필수 요소가 될 것

Q 중국 기반 이커머스 리테일러들이 광고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점 외에, 다른 업종에서 눈에 띄는 약세가 관찰된 것이 있는가?
A 1분기 전반적으로는 대부분 업종에서 견조한 성장세. 게임 업종과 정치 관련 광고에서 약세 나타났으나 작년 높은 기저가 있던 카테고리. 그러나 정치 부문은 META 매출 내 비중이 매우 작은 상황

Q Reality Labs 부문의 분기당 손실이 대체로 40억 달러 내외로 유지되고 있는데, 언제쯤 손실이 축소될 수 있는가?
A AI 안경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만큼, 그에 따라 더 많은 투자를 감행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 현재 저희가 집중하는 것은 우선 배포 및 생산을 빠르게 확장하는 것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 토비스 (시총: 2,521 억원)
1Q25 실적발표 (잠정)

[ SK증권 권민규, 박형우 ]
디스플레이/IT중소형

▶️ 실적 공시:
- 매출액 : 1,538 억원 (+11% YoY)
(컨센 매출: 1,537 억원)

- 영업이익 : 121 억원 (+19% YoY)
(컨센 OP: 148 억원)

- OPM : 8%
(컨센 OPM: 10%)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8900230
07.05.202522:10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2025.05.08. 주요 뉴스

트럼프, 바이든의 AI 칩 수출 규제 철회 추진…미국 AI 주도권 강화 목표
- 트럼프 행정부, 바이든 시대의 인공지능(AI) 칩 수출 규제를 철회, 미국 혁신을 촉진하는 단순화된 규정으로 대체할 계획
https://buly.kr/FAdN8lq

Cadence, 엔비디아 기반 슈퍼컴퓨터 공개, 칩 설계 넘어 바이오 소프트웨어까지 확장
- Cadence, 엔비디아 칩 기반의 새로운 슈퍼컴퓨터를 공개, 칩 설계부터 항공, 바이오 신약 개발 소프트웨어 성능 향상 성과
https://buly.kr/9BVbmzc

미국 수출 규제에 엔비디아 RTX 5090D 중국 출하 중단
- 엔비디아, 미국 수출 규제 강화로 인해 엔비디아가 중국 시장용으로 개발한 RTX 5090D 그래픽 카드 출하를 중단, 성능 제한 넘었을 가능성이 제기
https://buly.kr/1GJVeLa

엔비디아-미디어텍, Arm 기반 PC 칩 'N1' 컴퓨텍스 공개 임박…출시는 2026년으로 연기될 가능성
- 엔비디아와 미디어텍이 협력 개발한 'N1' 시리즈 Arm 기반 윈도우 PC용 칩을 컴퓨텍스에서 공개할 예정이나, 기술적 문제로 인해 실제 출시가 2026년으로 지연될 수 있다는 보도 존재
https://buly.kr/APuuepl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6.05.202522:36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2025.05.07. 주요 뉴스

미국 의원, 중국 밀수 방지 위해 NVIDIA 칩 위치 추적 의무화 법안 발의 예정
미국 하원의원, 미국 수출 통제법을 위반하여 중국으로 밀수되는 - - NVIDIA AI 칩을 막기 위해 해당 칩의 최종 목적지 확인을 의무화하는 법안을 수주 내에 발의할 예정
https://buly.kr/58SAsPP

SK하이닉스, 가격 인상 대열 합류... 소비자 DRAM 칩 가격 12% 인상설
- 마이크론, 샌디스크, 삼성에 이어 SK하이닉스도 소비자 DRAM 칩/다이 가격을 12% 인상한 것으로 보도
https://buly.kr/7QM1d2I

Marvell, 거시 경제 불확실성으로 투자자의 날 연기 및 매출 전망치 축소
- 맞춤형 AI 칩 제조업체인 Marvell Technology는 거시 경제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투자자의 날 행사를 연기 및 매출 전망치 범위 축소
https://buly.kr/4mceuiA

TSMC, TWD 급등에 따른 비용 절감 목표로 협력사에 수정 견적 요청
- 대만 달러의 급격한 강세 속에서 TSMC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수익성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협력사들에게 30% 비용 절감을 목표로 수정된 견적을 요청
https://buly.kr/B7ZwD1S

AMD, 삼성 파운드리 대신 TSMC 애리조나 4nm 생산으로 전환 보도
- AMD가 삼성 파운드리의 4nm 공정 대신 TSMC의 미국 내 시설에서 칩을 생산하기로 결정
https://buly.kr/Ezibire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2.05.202505:33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Amazon FY1Q25 실적발표

▶️ 주요 코멘트

1분기 동안 우리는 전 세계 Prime 회원들을 대상으로 사상 가장 빠른 배송 속도를 기록
수요 감소 감지되지 않았음, 특정 카테고리에서 선제적 구매가 나타나는 중
소매 평균 판가 아직 눈에 띄게 상승하지 않음
불확실한 환경에서는 고객들이 가장 신뢰하는 공급자를 선택하는 경향
Amazon은 불경기에 오히려 시장 점유율을 키워옴

AWS는 1분기에 전년 대비 17% 성장
AWS는 이제 연간 기준으로 1,170억 달러 이상의 매출 런레이트를 달성
수주잔고(Backlog)는 $189B(+20% YoY)이고 잔여 계약기간은 4.1년
전 세계 IT 지출의 85% 이상이 아직 온프레미스 환경에 머물러 있음
이 구조는 향후 10~20년 내에 완전히 반전될 것

Bedrock을 빠르게 발전
Claude 3.7 Sonnet 하이브리드 리스 모델, Meta의 Llama 4 모델군을 추가
Amazon 자체의 최첨단 기반 모델인 Amazon Nova도 Bedrock에서 제공
어제 새로 출시된 프리미어 모델은 최고의 지능과 업계 최고 수준의 가격 대비 성능을 제공
Amazon Nova Sonic이라는 새로운 음성-음성 기반 모델을 출시

▶️ 주요 QnA

Q 1분기와 2분기 초 기준으로 AI 워크로드와 관련된 수요-공급 불균형 상황은 어떤가?
A 우리가 새로운 용량을 투입하면 즉시 소비되고 있는 상황. 향후 몇 달 내에 더 많은 Trainium2 인스턴스와 NVIDIA의 차세대 인스턴스가 도입될 예정. 마더보드나 일부 구성요소도 다소 병목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는 전반적인 수요가 매우 크기 때문. 연말로 갈수록 이러한 공급망과 용량 이슈는 점차 개선될 것

Q 관세 등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시점인데 포지셔닝을 어떻게 하는 중인가?
A 일부 재고를 선제적으로 확보. 200만 명 이상의 글로벌 판매자들과 협력 중, 각각 셀러들의 관세 대응 전략이 다를 것이고 고객이 다양한 선택지 중에 판단하면 됨
여러 사업 부문에서 생산지를 분산시키는 작업을 지난 6년 동안 꾸준히 진행해왔음. 지금 그 결정이 빛을 발하고 있다고 생각. 폭넓은 선택, 저렴한 가격, 빠른 배송 3가지에 계속 집중해갈 것

Q AWS 매출이 분기별로 들쑥날쑥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더 구체적인 설명 가능한가?
A 엔터프라이즈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세일즈 사이클이 상당히 다층적이고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 AI 이전부터 있던 현상. 대부분 성공적인 스타트업은 AWS 위에서 돌아가는 중, 그들의 성장 속도 모두 다름. 엔터프라이즈는 클라우드 이전부터 기업별로 의사결정 속도가 모두 다름

Q 이번 AWS 마진 호조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A 소프트웨어와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서버 용량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음, 이는 인프라 비용 절감으로 이어짐. 기존 데이터센터 내 전력 사용률을 최대화하는 데에도 집중하는 상황

Q 사용자들이 기존의 사용 습관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식으로 Alexa를 활용하게 하려면 어떤 전략이 필요한가
A 이미 전 세계에 5억 개 이상의 Alexa 디바이스가 배포. Alexa+는 마치 개인 비서를 둔 것과 같음, 사람들이 차차 더 익숙해질 것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1.05.202523:42
[SK증권 IT 장비/소재 이동주]

ISC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8.5만원 유지)

2분기 반등과 볼트온 전략 가동

▶️ 1Q25 매출 이연

- 1Q25 매출액 317억원(QoQ -19.3%, YoY -9.7%), 영업이익 70억원(QoQ -6.8%, YoY -18.3%)로 컨센서스 하회
- 2Q25 매출액 578억원, 영업이익 145억원 추정(1분기 매출 이연 효과)

▶️ AI라는 방향성에 부합
- 1Q25 ai 매출 비중 40%. 전분기 대비 절대 금액은 크게 감소했으나 구조적 증가세 전망은 유지
- 하반기 고사양 제품 대응에 따른 수익성 개선 여부에 주목
- 볼트온 전략 본격 실행(아이세미, 테크드림 인수). 후공정 테스트 관련 턴키 솔루션 제공 가능. 볼트온 재원이 남아 있는 만큼 하반기 추가적인 M&A도 기대


▶️ 보고서 url: https://buly.kr/DlJH97j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30.04.202507:33
07.05.202523:53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펀더멘탈을 보자

거시경제 불확실성에도 AI CapEx 지속 재확인
빅테크들 호실적에 AI가 기여
-> AI CapEx 정당성 부여 국면

26년 AI CapEx에 대한 지표: 2Q25 공급 계약
2Q25 HBM 계약 확인
-> 26년 메모리 실적 가시성 제고 시작
TSMC CoWoS 생산 능력 확대 계획 유지. 미국의 H/W 차별화를 통한 성능 우위 노력
-> 2026년 AI CaEx 견조한 성장
HBM 공급 부족 단기 해소 가능성 제한적
-> 2025년 12H 주력화 및 2026년 HBM4 12, 16H로의 고단화, 다이페널티 15~18% 수준 발생

최선호주 SK하이닉스 유지, HBM 경쟁 우위 지속 전망
Tech transition 속 수율, 생산 능력 경쟁 우위 지속
관세 영향 등으로 하반기 B2C 수요 둔화 불가피하지만, 공급자 재고 건전 (DRAM 6~7주, D5 3주 추정)
-> Discipline 지속으로 대응. 이는 AI 사이클 기반으로 가능한 전략
-> AI CapEx 재신뢰: 반도체 업종 센티먼트 반등 근거

▶️ URL: https://buly.kr/GP2g2Az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7.05.202521:22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ARM FY4Q25 실적발표

▶️ FY4Q25 실적 (Non-GAAP)

매출액 $1.24B (+26% QoQ, +34% YoY): 컨센서스 +1%
OPM 52.8% (+6%p QoQ, +11%p YoY): 컨센서스 +4.8%p
EPS $0.55 (+41% QoQ, +53% YoY): 컨센서스 +6%

▶️ FY4Q25 부문별 실적

License and other revenue $0.63B (+57% QoQ, +53% YoY)
Royalty revenue $0.61B (+5% QoQ, +18% YoY)

▶️ FY1Q26 가이던스

매출액 $1.05B (-15% QoQ, +13% YoY): 컨센서스 -14%
OPM 41.0% (-12%p QoQ, -7%p YoY): 컨센서스 -7.0%p

▶️ URL: https://buly.kr/8TqZrM8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6.05.202521:56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Supermicro FY3Q25 실적발표

▶️ FY3Q25 실적 (Non-GAAP)

매출액 $4.60B (-19% QoQ, +19% YoY): 컨센서스 -16%
GPM 13.3% (+1%p QoQ, -2%p YoY): 컨센서스 +1.0%p
EPS $0.31 (-47% QoQ, -53% YoY): 컨센서스 -43%

▶️ FY4Q25 가이던스

매출액 $6.00B (+6% QoQ, +56% YoY): 컨센서스 +9%
EPS $0.45 (-24% QoQ, -33% YoY): 컨센서스 -17%

▶️ URL: https://buly.kr/2qYK7I1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2.05.202500:38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사이클 신뢰를 위한 체크 포인트 (4/18)

관세 영향: B2B보다 B2C. 생산 전략 하향으로 대응
관세에 따른 하반기 B2C 수요 하향 불가피
다만, 시장은 반도체 관세 우려로 B2B 둔화 역시 반영
Section 232 기반 조사는 결정까지 최대 270일 소요,
단시일 반도체 관세 단정은 이른 우려
AI 투자비용 부담->AI 경쟁 내 미국 입지 약화 가능
H20 규제로 Blackwell과의 H/W 성능 격차 확대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AI CapEx 지속 필요
 
B2C 수요 둔화 대응: 공급자들 생산 전략 하향 예상
불확실성 속 수요 낙관을 통한 선제적 Capa 확장 불가
1Q25 말 DRAM 3사 재고 6주 수준의 정상 범위,
D5는 여전히 극심한 공급 부족
생산 대응을 통한 가격 방어, 이후 회복 탄력성 유효
메모리 이익은 출하보다는 가격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실적발표에서 Commodity에 대한 보수적 생산 및 투자 기조 확인 예상
 
AI CapEx 기준: 하향 및 유지보다는 상향 필요
관세 부과로 반도체 제외 AI 인프라 비용 상승
CapEx 하향 및 유지의 경우 반도체 비용 축소 해석
다만, TSMC 가이던스 유지는 AI 수요 강세를 암시
빅테크 AI CapEx 확인에 무게
 
경기 침체를 가정한 주가,
Fundamental을 바라보기 시작할 조건

D5 현물가 상승, HBM 공급 부족 속 Commodity 보수적 생산 기조, 긍정적 AI CapEx 확인?
-> Fundamental을 바라보기 시작할 것
 
반도체 비중 확대 유지, 최선호주 여전히 SK하이닉스
견조한 AI, HBM 경쟁력 기반 실적 차별화 지속 예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7FRAsgl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01.05.202522:16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2025.05.02. 주요 뉴스

엔비디아, 화웨이의 AI 능력 성장에 대한 우려를 미국 의회에 전달
- 엔비디아 CEO 젠슨황,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와의 비공개 회의에서 화웨이의 빠르게 성장하는 인공지능 기술력에 대한 우려를 표명
https://buly.kr/9tAbXij

삼성, 관세 위협 속 프리미엄 판매 집중 및 생산지 전환 검토, 하반기 메모리 수요 신중
- 삼성전자는 관세 위협에 대응하여 플래그십 판매 확대 및 생산지 이전을 고려 중, 하반기 메모리 수요에 대해서는 신중
https://buly.kr/DwE26WK

메모리 현물 가격 업데이트, 주요 DRAM 업체 DDR3/DDR4 생산 중단 발표, 가격 급등세 주도
- NAND 플래시는 높은 현물 가격과 불확실한 관세 정책으로 인해 관망세
https://buly.kr/8TqXglQ

"몇 년 만에 온 기회인데"… 관세 폭탄에 노트북 시장 출하 멈추고 전망 하향
- 미국의 대중국 관세 부과로 노트북 업계는 미국 출하를 잠정 중단, 수요 둔화와 가격 상승 우려로 올해 노트북 시장 성장 전망 하향 조정 및 역성장 가능성 제기
https://buly.kr/7FREpc0

SK하이닉스, 올해 반도체 공장 건설비 삼성전자 추월 전망
- SK하이닉스의 반도체 공장 건설비, 전년 대비 80.6% 증가한 28억 달러로 예상, 반면 삼성전자는 투자 속도 조절로 64.6% 감소한 23억 5천만 달러로 전망
https://buly.kr/EziZzW4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 SK온 (시총: 비상장)
1Q25 실적발표 (잠정)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2차전지, IT부품/전기전자

▶️ 실적 공시:
- 매출액 : 1조 6,054 억원 (-5% YoY)
(컨센 매출: -)

- 영업이익 : -2,993 억원 (적자지속 YoY)
(컨센 OP: -)

- OPM : 적자지속
(컨센 OPM: -)

▶️ URL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728
07.05.202523:30
[SK증권 IT 장비/소재 이동주]

엠씨넥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3.1만원으로 상향)

살아남는 자가 강자

▶️ 1Q25 Review

- 1Q25 매출액 3,479억원(QoQ +17%, YoY +21%), 영업이익 209억원(QoQ +13%, YoY +38%)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164억원) 크게 상회
- S25 점유율 확대 효과와 중가 매스 모델향 구동계 양산이 배경
- 특히 경쟁 강도가 높은 부품군임에도 일궈낸 고무적인 성과. 향후 신제품에서도 안정적인 입지

▶️ 기대 이상의 모바일, rerating은 전장으로
- 불모지에서도 기대 이상의 성과 시현 중. 다만, 전방 산업은 여전히 녹록치 않고 추가 실적 개선의 공은 고객사에 달림
- 전장 부품을 통한 멀티플 확장 우선시. 전장 부품도 순조로움. 수주잔고 2조원대 유지. 고부가 수주 건에 대한 것들이 명확해지면 동사에 대한 rerating도 점차 나타날 것


▶️ 보고서 url: https://buly.kr/DEZ2MwS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07.05.202500:26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Advanced Micro Devices FY1Q25 컨퍼런스 콜

▶️ FY1Q25 주요 코멘트

데이터 센터 제품 판매 비중 증가 및 Ryzen 프로세서 믹스 개선으로 순이익 55% 증가
차세대 EPYC "Venice" 프로세서는 TSMC의 2nm 공정 기반으로 2026년 출시 예정
데이터 센터 AI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큰 폭의 두 자릿수 증가. MI325x 출하량 증가, 주요 서비스 제공업체들의 MI300 시리즈 플랫폼 생산 확대
대규모 AI 모델 발전으로 추론 및 사전 학습 수요 증가

가이던스 값은 수출 통제가 반영된 값
2025년 전체 매출에 대한 수출 통제 영향 약 15억 달러 예상

거시 경제 및 무역 정책 관련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AI 및 고성능 컴퓨팅 수요 확대로 성장 기회가 클 것으로 예상, 2025년에도 강력한 두 자릿수 매출 성장 자신

▶️ FY1Q25 주요 QnA
Q 가이던스에서 상승 요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할 수 있는가? 2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어떻게 이해할 수 있나?
A 1분기, 고객 사업이 전년 대비 67% 성장했으며 여러 사업에서 강한 성과를 보였음, 특히 데스크톱과 게임 사업에서 강한 성과가 있었고 이는 Radeon출시 덕

Q 2분기에는 MI-308에 대한 수출 제한으로 7억 달러의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 그렇다면 2분기 좋은 가이던스는 나머지 사업 부분에서의 호실적이 견인하는가?
A 2분기에는 고객 강세가 계속되고 있으며, 데스크톱 사업은 일반적인 계절성을 초과하는 성과를 내고 있음, 이러한 점이 호실적 견인할 것

Q 지난 분기, 데이터 센터 GPU 매출이 상반기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는데, 관세 영향을 포함하고 수치 변화 없는가?
A 수출 규제로 인한 15억 달러 영향은 대부분 2분기와 3분기에 반영될 것, 하지만 하반기에는 MI355출시로 데이터 센터 사업과 GPU 사업 모두 강력한 두 자릿수 성장을 예상

Q 이번 분기 가이던스는 비용 반영으로 낮아졌는데, 하반기 믹스를 고려했을 때 54% 이상의 총 마진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해도 되는가?
A 마진에는 여러가지 변수가 있음, 회사 전체적으로 클라이언트 및 게이밍 사업의 성장은 마진에 다소 불리하게 작용, 그러나 클라이언트 사업의 믹스개선 및 데이터센터 사업의 MS 성장은 마진율 개선을 이끌 수 있음, 하반기 데이터센터 매출 강세를 통해 전반적인 총 마진율은 소폭 개선될 것으로 예상

Q 재고가 많이 증가한 이유는?
A재고는 고객 지원과 서버 Ramp를 위해 구축했으며, 하반기의 Ramp를 위해 웨이퍼를 시작해야 했고, 이를 대비하기 위해 증가했음

Q 중국의 역풍 및 관세 영향에도 불구하고 GPU부문이 여전히 성장할 수 있다고 믿는가?
A 데이터 센터용 GPU는 반드시 성장할 수 있다고 믿으며, 강한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생각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6.05.202521:49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Advanced Micro Devices FY1Q25 실적발표

▶️ F1Q25 실적 (Non-GAAP)

매출액 $7.40B (-3% QoQ, +35% YoY): 컨센서스 +4%
GPM 54.0% (FLAT QoQ, +2%p YoY): 컨센서스 +0.1%p
EPS $0.96 (-12% QoQ, +55% YoY): 컨센서스 +2%

▶️ FY1Q25 부문별 실적

Data Center $3.67B (-5% QoQ, +57% YoY)
Client & Gaming $2.94B (+2% QoQ, +28% YoY)
Embedded $0.82B (-11% QoQ, -3% YoY)

▶️ FY2Q25 가이던스

매출액 $7.40B (FLAT QoQ, +35% YoY): 컨센서스 +4%
GPM 45.0% (-9.0%p QoQ, -7%p YoY): 컨센서스 -8.9%p

▶️ URL: https://buly.kr/FsIOhTt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1.05.202523:48
[SK증권 해외주식 박제민]

META; 차세대 AI 대장주의 면모

▶️ AI 수익화로 관세, 경기 우려 타파

차분기 매출액 가이던스가 컨센서스 6% 상회하며 우려 불식
대외 불확실성, 소액 수입품 관세로 인한 공급 차질 모두 고려한 가이던스

▶️ GPU로 돈 벌 줄 아는 기업

서프라이즈의 배경은 광고 노출량(impression)과 광고 단가(CPM)의 성장
LLM을 피드 엔진에 결합한 Threads의 체류 시간 급증 (6개월 전 대비 +35%)
Reels를 위한 새로운 광고 추천 모델로 구매 전환율이 5% 증가

▶️ Consumer Tech 대장으로 도약 준비

META AI의 MAU를 10억명, Ray-Ban Meta 활성 사용자 수 4배 증가
차후 강화된 광고 엔진에 데이터 공급원으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
올해 Capex 가이던스 8% 상향에도 자신감
저커버그의 2022년 GPU 투자 베팅이 현재 성과를 내고 있듯, 그가 다시 한번 미래 설계에 성공할 것으로 기대

▶️ URL: https://buly.kr/2UimMwK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1.05.202521:57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Amazon FY1Q25 실적발표

▶️ FY1Q25 실적 (Non-GAAP)

매출액 $155.67B (-17% QoQ, +9% YoY): 컨센서스 +0%
OPM 11.8% (+1%p QoQ, +1%p YoY): 컨센서스 +1.6%p
EPS $1.59 (-15% QoQ, +62% YoY): 컨센서스 +16%

▶️ FY1Q25 부문별 실적

North America $92.89B (-20% QoQ, +8% YoY)
International $33.51B (-23% QoQ, +5% YoY)
AWS $29.27B (+2% QoQ, +17% YoY)

▶️ FY2Q25 가이던스

매출액 $153.25B (-18% QoQ, +7% YoY): 컨센서스 -1%
OPM 10.4% (-0.9%p QoQ, FLAT YoY): 컨센서스 +0.2%p

▶️ FY1Q25 CapEx 관련 코멘트

1분기 CapEx, TTM 기준 $88B 상회
전년 동기 $49B 대비 약 2배에 해당하는 수치
25년 전체 CapEx는 $100B 상회할 것 (기존 가이던스와 동일)

▶️ URL: https://buly.kr/8811jNf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30.04.202507:01
Көрсетілген 1 - 24 арасынан 534
Көбірек мүмкіндіктерді ашу үшін кіріңі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