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4.202522:52
숏 데이타 업데이트 했습니다


24.04.202505:20
1. 미국 사재기는 지속중
2. 물건이 많은 곳이랑 없는 곳이랑 어디가 더 쫄릴까 😉
2. 물건이 많은 곳이랑 없는 곳이랑 어디가 더 쫄릴까 😉
23.04.202505:31
Maybe only the beginning ..
https://t.me/kkkontemp/1609
https://t.me/kkkontemp/1604
한국도 현재 자산 배분자들의 움직임은 실제 자금 투입이 하반기로 예정되어 있다.
한국은 제도만 불필요하게 왜곡하지 않으면 된다. 정책 및 구조적인 개선만 이뤄진다면, 더 큰 자금 유입이 가능할 것이다.
Don't fuck this up...
https://t.me/kkkontemp/1609
https://t.me/kkkontemp/1604
한국도 현재 자산 배분자들의 움직임은 실제 자금 투입이 하반기로 예정되어 있다.
한국은 제도만 불필요하게 왜곡하지 않으면 된다. 정책 및 구조적인 개선만 이뤄진다면, 더 큰 자금 유입이 가능할 것이다.
Don't fuck this up...
21.04.202523:59
*이재명: 2040년까지 석탄 발전 폐쇄하고 전기차 보급 확대할 것
21.04.202522:57
Citi
1) SK하이닉스 (000660):
HBM이 DRAM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1분기 견조한 실적 예상. 2025년 1분기 원가형 DRAM 가격이 약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HBM3E의 강력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7.3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DRAM 업계 전반의 ASP(평균판매단가)는 1분기 -7% QoQ로 둔화된 것으로 예상되나, 하이닉스는 DRAM ASP가 전 분기 대비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임. 매수 의견 유지.
2) 한미반도체 (042700):
1분기 잠정 영업이익 가이던스는 686억 원으로, 당사 예상치(800억 원) 하회.
이는 SK하이닉스로부터의 매출 감소에 따른 것으로 판단.
1분기 TCB 장비의 SK하이닉스향 출하량은 한 자릿수대 낮은 증가율에 그친 반면, Micron 및 중국 고객사로의 출하량은 크게 증가함.
1분기 실적 가이던스 하향과 SK하이닉스 내 경쟁업체로의 점유율 손실 가능성을 반영하여, 2025년 및 2026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각각 10.3%, 17.2% 하향 조정, 목표주가는 13.3만 원으로 하향 (P/E 멀티플도 기존 48배 → 40배로 낮춤).
3) 시프트업 (462870):
최근 도쿄에서 열린 ‘니케’ 2.5주년 쇼케이스에 긍정적인 반응.
CBO는 양호한 유저 지표를 강조하며, 텐센트와의 장기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확장 의지를 재확인.
1분기 에반게리온 콜라보는 다소 미온적인 반응이었지만, 2분기에는 2.5주년 업데이트를 통해 유저 참여 및 매출화 지표가 뚜렷하게 회복될 것으로 기대.
1) SK하이닉스 (000660):
HBM이 DRAM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1분기 견조한 실적 예상. 2025년 1분기 원가형 DRAM 가격이 약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HBM3E의 강력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영업이익은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7.3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DRAM 업계 전반의 ASP(평균판매단가)는 1분기 -7% QoQ로 둔화된 것으로 예상되나, 하이닉스는 DRAM ASP가 전 분기 대비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보임. 매수 의견 유지.
2) 한미반도체 (042700):
1분기 잠정 영업이익 가이던스는 686억 원으로, 당사 예상치(800억 원) 하회.
이는 SK하이닉스로부터의 매출 감소에 따른 것으로 판단.
1분기 TCB 장비의 SK하이닉스향 출하량은 한 자릿수대 낮은 증가율에 그친 반면, Micron 및 중국 고객사로의 출하량은 크게 증가함.
1분기 실적 가이던스 하향과 SK하이닉스 내 경쟁업체로의 점유율 손실 가능성을 반영하여, 2025년 및 2026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각각 10.3%, 17.2% 하향 조정, 목표주가는 13.3만 원으로 하향 (P/E 멀티플도 기존 48배 → 40배로 낮춤).
3) 시프트업 (462870):
최근 도쿄에서 열린 ‘니케’ 2.5주년 쇼케이스에 긍정적인 반응.
CBO는 양호한 유저 지표를 강조하며, 텐센트와의 장기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확장 의지를 재확인.
1분기 에반게리온 콜라보는 다소 미온적인 반응이었지만, 2분기에는 2.5주년 업데이트를 통해 유저 참여 및 매출화 지표가 뚜렷하게 회복될 것으로 기대.
20.04.202523:45
JP
1. 우리는 한미반도체 공장 투어에 참석했으며, 핵심 부품 대부분을 내재화함으로써 장비 지식재산(IP)을 확보하고 있는 점에서 긍정적인 인상을 받음. 아직 SK하이닉스의 생산 차질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HBM의 중요성과 M15X 클린룸 증설 전까지 한정된 공간을 고려할 때 양측이 곧 합의할 것으로 예상함.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한미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음. 이는 고객사 내 지갑 점유율(wallet-share) 감소 리스크 때문이며, 한미는 올해 들어 수요가 강한 마이크론(MU)/중국 쪽 옵션 가치를 우선시할 것으로 기대됨.
2. 시장에서는 NVIDIA의 GB300이 소켓 아키텍처로 인한 전송 문제로 인해 GB200과 동일한 설계로 되돌아갈 것이라고 보고 있음. 애널리스트들은 이 변경이 특히 수냉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퀵 커넥터(quick connector) 사용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설계 변경으로 인해 수냉 플레이트 모듈 및 관련 부품은 다시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하며, GB300 출시 일정은 기존 3분기에서 4분기로 연기될 것으로 보임. 이는 AURAS(3324), FOSITEK(6805)에게 부정적임.
https://money.udn.com/money/story/5612/8686599?from=ednappsharing&secureweb=wintrv
1. 우리는 한미반도체 공장 투어에 참석했으며, 핵심 부품 대부분을 내재화함으로써 장비 지식재산(IP)을 확보하고 있는 점에서 긍정적인 인상을 받음. 아직 SK하이닉스의 생산 차질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HBM의 중요성과 M15X 클린룸 증설 전까지 한정된 공간을 고려할 때 양측이 곧 합의할 것으로 예상함.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한미에 부정적 영향이 있을 수 있음. 이는 고객사 내 지갑 점유율(wallet-share) 감소 리스크 때문이며, 한미는 올해 들어 수요가 강한 마이크론(MU)/중국 쪽 옵션 가치를 우선시할 것으로 기대됨.
2. 시장에서는 NVIDIA의 GB300이 소켓 아키텍처로 인한 전송 문제로 인해 GB200과 동일한 설계로 되돌아갈 것이라고 보고 있음. 애널리스트들은 이 변경이 특히 수냉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퀵 커넥터(quick connector) 사용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설계 변경으로 인해 수냉 플레이트 모듈 및 관련 부품은 다시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하며, GB300 출시 일정은 기존 3분기에서 4분기로 연기될 것으로 보임. 이는 AURAS(3324), FOSITEK(6805)에게 부정적임.
https://money.udn.com/money/story/5612/8686599?from=ednappsharing&secureweb=wintrv
24.04.202520:35


24.04.202504:42
외국인 투자자들은 현재 NXT 거래를 위해 외국계 증권사들에 접근 권한을 요청하고 있으며, 이들 증권사들은 관련 프로젝트에 착수한 상태
현재로서는 연말 이전 세팅을 목표로 하고 있음
차트: KRX 거래대금 vs KRX 거래대금 대비 NXT 거래대금 비중 (우측)
현재로서는 연말 이전 세팅을 목표로 하고 있음
차트: KRX 거래대금 vs KRX 거래대금 대비 NXT 거래대금 비중 (우측)
23.04.202505:31


21.04.202523:47
최근 5일간 코스피/코스닥 합산 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3억 8,300만 달러로, 1주차 평균 대비 57% 감소한 수준
다 치셨나요 외국님들
다 치셨나요 외국님들
21.04.202522:46
미장 요약:
거래량 -29% (20일 이동평균 대비 감소).
미국 증시는 도널드 트럼프와 제롬 파월 간의 긴장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전반적으로 하락 마감했다. 지수 하락은 레버리지 ETF의 매도, SPX 딜러의 숏 감마 포지셔닝, 시스템 기반 매도가 맞물리면서 약 200억 달러 규모의 매도가 발생했고, 이는 개인 수요를 압도했다.
현재 거래량이 매우 낮은 수준이고, 패시브 포지셔닝은 여전히 지수 수준에 민감한 상태라 SPX가 2.5% 이상 움직이기 위해선 많은 요인이 필요하지 않다. 오늘 시장의 핵심 내러티브는 변하지 않았지만, 소진된 기관 흐름조차 시장의 스토리를 이어가고 있다.
헤지펀드 커뮤니티는 포지션을 상당히 줄인 상태라 몇 주 전처럼 하락에 즉각 반응할 필요가 없게 됐다. 흥미로운 점은, 지난주 미국 L/S(롱숏) 전략 펀드의 평균 성과가 +1%였던 반면 SPX는 -1.5%로 YTD 기준 L/S는 -4.9%, SPX는 -9.8%였다.
SPX가 5100~5500 범위 내에 머무는 한, 헤지펀드는 많은 거래를 하지 않을 것이다. 반면, 롱온리(LO) 커뮤니티는 여전히 방어적으로 이동 중이지만 그 속도는 매우 느리다. 오늘도 이 흐름은 지속되어, 메가캡 기술주에서 소비재 같은 전통 방어주로 회전이 이뤄졌다. 이 커뮤니티의 거래 속도는 여전히 차분하다. 이들은 ‘알 수 없는 변수’를 과도하게 거래하고 싶어 하지 않았지만, VIX가 30을 넘는 상황이 몇 주간 지속되자 점점 인내심이 무너지고 있다.
개인 투자자는 장 초반 매도 우위로 출발했으나 곧 매수세로 전환되어, 종가 기준 약 30억 달러(상위 89% 백분위수)의 순매수로 마감했다.
패시브 포지셔닝은 여전히 민감한 상태라 SPX가 2.5% 하락하면 200억 달러 매도수급이 발생하여 수요를 상쇄시킨다.
이번 매도는 ‘저변동성 매도’였다. 오전 10시 이후 SPX의 실현 변동성은 약 15% 수준으로, 시장이 저점을 갱신했음에도 불구하고 1개월 평균 대비 거래량은 33% 낮고, VIX는 오르긴 했지만 과도한 급등은 아니었다. VIX가 약 6포인트 상승했는데 이는 SPX 하락률 대비 1.75배 정도로 정상적인 비율이다.
주식, 채권, 달러가 모두 하락한 ‘드문 교차 자산 하락’이 발생했다. DXY -0.5% 이하, SPX -2.5% 이하, 10년물 금리 +5bp 이상인 날은 1970년 이후 단 7번뿐이며, 이 중 하나는 4월 10일(목), 하나는 1987년 블랙먼데이 3일 전이다. 대부분은 이후 주식시장의 상승 신호로 이어졌다.
하지만 QDS는 이번 하락이 향후 좋은 신호는 아니라고 본다. 연준의 독립성에 대한 의문이 생기면 미국 자금 유출이 커질 수 있고, 시장은 계속해서 연준의 반응을 시험할 것이다. 방향은 직선이 아닐 수 있지만, 통화정책 반응이 나오기 전까진 주식시장 하락 가능성이 더 크다.
"좋은 소식은 이미 상당한 경기 둔화가 주가에 반영되었다는 것이다. 4~5개월 전 시장이 낙관했던 (규제 완화, 금리 인하, AI 생산성, 효율적인 정부) 요인들은 여전히 향후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 시장은 이런 기대를 눈에 보이기 전에 먼저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현재는 경기 침체 리스크가 더 커졌으며 이는 기존의 경기 둔화와는 다른 종류로, 지수 수준에서는 아직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는 중기적으로 주식과 성장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더라도, 단기적으로는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해야 한다."
차트 1: 섹터별 20일 평균 대비 거래량
차트 2: S&P500 12개월 선행 PER 밴드 차트
차트 3: S&P500 이익 추정치 수정 비율 (침체기 아니면 extreme레벨 진입중)
거래량 -29% (20일 이동평균 대비 감소).
미국 증시는 도널드 트럼프와 제롬 파월 간의 긴장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전반적으로 하락 마감했다. 지수 하락은 레버리지 ETF의 매도, SPX 딜러의 숏 감마 포지셔닝, 시스템 기반 매도가 맞물리면서 약 200억 달러 규모의 매도가 발생했고, 이는 개인 수요를 압도했다.
현재 거래량이 매우 낮은 수준이고, 패시브 포지셔닝은 여전히 지수 수준에 민감한 상태라 SPX가 2.5% 이상 움직이기 위해선 많은 요인이 필요하지 않다. 오늘 시장의 핵심 내러티브는 변하지 않았지만, 소진된 기관 흐름조차 시장의 스토리를 이어가고 있다.
헤지펀드 커뮤니티는 포지션을 상당히 줄인 상태라 몇 주 전처럼 하락에 즉각 반응할 필요가 없게 됐다. 흥미로운 점은, 지난주 미국 L/S(롱숏) 전략 펀드의 평균 성과가 +1%였던 반면 SPX는 -1.5%로 YTD 기준 L/S는 -4.9%, SPX는 -9.8%였다.
SPX가 5100~5500 범위 내에 머무는 한, 헤지펀드는 많은 거래를 하지 않을 것이다. 반면, 롱온리(LO) 커뮤니티는 여전히 방어적으로 이동 중이지만 그 속도는 매우 느리다. 오늘도 이 흐름은 지속되어, 메가캡 기술주에서 소비재 같은 전통 방어주로 회전이 이뤄졌다. 이 커뮤니티의 거래 속도는 여전히 차분하다. 이들은 ‘알 수 없는 변수’를 과도하게 거래하고 싶어 하지 않았지만, VIX가 30을 넘는 상황이 몇 주간 지속되자 점점 인내심이 무너지고 있다.
개인 투자자는 장 초반 매도 우위로 출발했으나 곧 매수세로 전환되어, 종가 기준 약 30억 달러(상위 89% 백분위수)의 순매수로 마감했다.
패시브 포지셔닝은 여전히 민감한 상태라 SPX가 2.5% 하락하면 200억 달러 매도수급이 발생하여 수요를 상쇄시킨다.
이번 매도는 ‘저변동성 매도’였다. 오전 10시 이후 SPX의 실현 변동성은 약 15% 수준으로, 시장이 저점을 갱신했음에도 불구하고 1개월 평균 대비 거래량은 33% 낮고, VIX는 오르긴 했지만 과도한 급등은 아니었다. VIX가 약 6포인트 상승했는데 이는 SPX 하락률 대비 1.75배 정도로 정상적인 비율이다.
주식, 채권, 달러가 모두 하락한 ‘드문 교차 자산 하락’이 발생했다. DXY -0.5% 이하, SPX -2.5% 이하, 10년물 금리 +5bp 이상인 날은 1970년 이후 단 7번뿐이며, 이 중 하나는 4월 10일(목), 하나는 1987년 블랙먼데이 3일 전이다. 대부분은 이후 주식시장의 상승 신호로 이어졌다.
하지만 QDS는 이번 하락이 향후 좋은 신호는 아니라고 본다. 연준의 독립성에 대한 의문이 생기면 미국 자금 유출이 커질 수 있고, 시장은 계속해서 연준의 반응을 시험할 것이다. 방향은 직선이 아닐 수 있지만, 통화정책 반응이 나오기 전까진 주식시장 하락 가능성이 더 크다.
"좋은 소식은 이미 상당한 경기 둔화가 주가에 반영되었다는 것이다. 4~5개월 전 시장이 낙관했던 (규제 완화, 금리 인하, AI 생산성, 효율적인 정부) 요인들은 여전히 향후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 시장은 이런 기대를 눈에 보이기 전에 먼저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현재는 경기 침체 리스크가 더 커졌으며 이는 기존의 경기 둔화와는 다른 종류로, 지수 수준에서는 아직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는 중기적으로 주식과 성장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더라도, 단기적으로는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해야 한다."
차트 1: 섹터별 20일 평균 대비 거래량
차트 2: S&P500 12개월 선행 PER 밴드 차트
차트 3: S&P500 이익 추정치 수정 비율 (침체기 아니면 extreme레벨 진입중)
20.04.202523:30
BoA
자동차 – 한국 – 홍콩 투자자 미팅 주요 내용
투자자들은 현대/기아의 현재 밸류에이션(총주주수익률 11%)에 미국 관세 리스크가 이미 반영되어 있다고 인식함.
4월 중순 미국 자동차 판매는 재고 부족으로 인해 전년 대비 +22% 증가 (2024년 계절 조정 연율 기준 대비).
현대의 로보틱스 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 로보택시 및 SDV(자율주행차)에서의 새로운 성장 기회에 집중되고 있음.
조선 – 한국 – 홍콩 투자자 미팅 주요 내용
4월 초와 달리 공매도 관심이 커지고 있음에도, 투자자들은 조선업에 대해 매력적인 리스크-보상 비율로 평가함.
환 헤지 완화, 철강 가격 하락, 제품 믹스 개선 등에 따라 마진 피크 우려가 완화되고 있음.
2025년 1분기: 현대미포조선은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 기대되며(W560억 vs. 컨센서스 W470억), 두드러질 전망.
방산 – 한국 – 홍콩 투자자 미팅 주요 내용
한국 방산 섹터에 투자하는 해외 투자자 풀 확대가 확인됨. 이는 장기 수출 사이클 지속 때문.
수주잔고 커버리지가 높다는 점 외에도, 2025년 1분기 한국 주요 방산 제품 수출은 전년 대비 +99% 증가함.
향후 유럽 외 시장의 총주소요시장(TAM) 확대와 세부 분야 확장이 방산주 상승의 촉매가 될 것으로 기대됨.
자동차 – 한국 – 홍콩 투자자 미팅 주요 내용
투자자들은 현대/기아의 현재 밸류에이션(총주주수익률 11%)에 미국 관세 리스크가 이미 반영되어 있다고 인식함.
4월 중순 미국 자동차 판매는 재고 부족으로 인해 전년 대비 +22% 증가 (2024년 계절 조정 연율 기준 대비).
현대의 로보틱스 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 로보택시 및 SDV(자율주행차)에서의 새로운 성장 기회에 집중되고 있음.
조선 – 한국 – 홍콩 투자자 미팅 주요 내용
4월 초와 달리 공매도 관심이 커지고 있음에도, 투자자들은 조선업에 대해 매력적인 리스크-보상 비율로 평가함.
환 헤지 완화, 철강 가격 하락, 제품 믹스 개선 등에 따라 마진 피크 우려가 완화되고 있음.
2025년 1분기: 현대미포조선은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 기대되며(W560억 vs. 컨센서스 W470억), 두드러질 전망.
방산 – 한국 – 홍콩 투자자 미팅 주요 내용
한국 방산 섹터에 투자하는 해외 투자자 풀 확대가 확인됨. 이는 장기 수출 사이클 지속 때문.
수주잔고 커버리지가 높다는 점 외에도, 2025년 1분기 한국 주요 방산 제품 수출은 전년 대비 +99% 증가함.
향후 유럽 외 시장의 총주소요시장(TAM) 확대와 세부 분야 확장이 방산주 상승의 촉매가 될 것으로 기대됨.


24.04.202520:30
브라질, 칠레, 멕시코, 한국 ETF 가격 추이
EWW 멕시코
EWZ 브라질
ECH 칠레
EWY 한국
EWW 멕시코
EWZ 브라질
ECH 칠레
EWY 한국
23.04.202505:51
*SAP CEO KLEIN: US CLIENTS ARE NOT PULLING BACK ON SPENDING
*SAP GAINS 9.6% ON TRADEGATE VS XETRA CLOSE
*SAP GAINS 9.6% ON TRADEGATE VS XETRA CLOSE
22.04.202521:27
쫄?
——
*트럼프, 중국에 강경하게 맞설 생각인지 묻는 질문에 `노'라고 답해
*트럼프: 중국 및 거의 모든 나라와 잘 하고 있다
*트럼프: 우리는 중국에게 매우 잘해줄 것
*트럼프: 중국 매우 행복해 할 것
*트럼프: 금리 내리기 완벽한 시점
*트럼프: 파월 연준의장 해임할 의도는 없다
*트럼프: 파월이 금리 인하에 보다 적극적인 모습을 보고 싶다
*트럼프: 중국과 합의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트럼프, 중국에 강경하게 맞설 생각인지 묻는 질문에 `노'라고 답해
*트럼프: 중국 및 거의 모든 나라와 잘 하고 있다
*트럼프: 우리는 중국에게 매우 잘해줄 것
*트럼프: 중국 매우 행복해 할 것
*트럼프: 금리 내리기 완벽한 시점
*트럼프: 파월 연준의장 해임할 의도는 없다
*트럼프: 파월이 금리 인하에 보다 적극적인 모습을 보고 싶다
*트럼프: 중국과 합의를 할 것으로 생각한다
21.04.202523:38
그외
JP
우리는 지난 2주간 아시아 지역에서 65개 이상의 투자자들과 미팅을 진행하였으며, 이 자리에서 받은 투자자들의 피드백과 자주 묻는 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공유드립니다. 전반적으로 투자자들은 AI를 포함한 전반적인 테크 섹터에 대해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5월로 예정된 반도체 산업 관련 관세 업데이트 등 관세 리스크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수요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단기적으로는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보다 안정적인 삼성전자(SEC)를 유지 보유하는 전략을 권장하며, 중장기 관점에서는 SK하이닉스가 선행 P/B 1배 수준에 근접할 때 매수하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판단됩니다.
기술주 대비 전기차(EV) 섹터에 대한 투자 심리는 예상보다는 나쁘지 않았으나, 미국의 새로운 리더십 하에서도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BoA
SK하이닉스
1~2분기 실적은 강세, 이후 점진적 둔화 예상 / 목표주가 25만 원으로 하향 / 투자의견 ‘매수’ 유지
SK하이닉스는 1분기와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거나 부합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미국의 반도체 관세 시행 이전 수요 선반영 및 ASP 반등 덕분입니다. 다만, 하반기 영업이익은 시장의 강세 컨센서스를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부족할 가능성이 있으며, 3~4분기에는 사이클 상 고점 수준의 분기별 영업이익인 8조 원 내외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목표 P/B 배수를 기존 2.2배에서 1.7배로 낮춰 과거 업사이클 수준으로 되돌렸으며, 프리미엄은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현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은 여전히 40% 이상으로 판단되어 매수 의견을 유지합니다.
LS일렉트릭
1분기 실적 양호 / AI·데이터센터 수주에 따른 성장 기대 / ‘매수’ 유지
LS일렉트릭은 1분기 영업이익 870억 원을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27% 감소, 전년 대비 7% 감소했지만, 이는 예상치와 부합하는 수준입니다. QoQ 감소는 높은 기저 효과와 국내 매출 일부 이연 때문입니다. 2025년에는 AI/데이터센터 및 HVDC 컨트롤 프로젝트 매출 본격화와 생산능력 확장에 따른 물량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 주가 상승 요인은 ▲AI·DC 관련 신규 수주 소식, ▲환율 우호 효과, ▲2~3분기 실적의 순차적 개선입니다. 30% 수준의 EPS CAGR을 반영해 목표주가 25만 원을 유지하며 매수 의견을 유지합니다.
MS
LS ELECTRIC (010120):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투자의견 'Equal-weight' 유지, 목표주가 21만 원
매출은 1조 원으로 전년 대비 1% 감소, 전분기 대비 24% 감소했으며, 이는 최근 컨센서스 대비 약 10% 낮은 수치입니다. 영업이익은 870억 원으로 전년 대비 7%, 전분기 대비 27% 감소하며, 컨센서스를 약 7% 하회했습니다.
미국 데이터센터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며, 경영진은 올해 신규 고객 유입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LS일렉트릭의 펀더멘털과 대형 전력변압기(LPT) 사업에 대한 전념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현재 주가는 다소 부담스러운 수준으로 보입니다.
JP
우리는 지난 2주간 아시아 지역에서 65개 이상의 투자자들과 미팅을 진행하였으며, 이 자리에서 받은 투자자들의 피드백과 자주 묻는 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공유드립니다. 전반적으로 투자자들은 AI를 포함한 전반적인 테크 섹터에 대해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5월로 예정된 반도체 산업 관련 관세 업데이트 등 관세 리스크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수요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단기적으로는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보다 안정적인 삼성전자(SEC)를 유지 보유하는 전략을 권장하며, 중장기 관점에서는 SK하이닉스가 선행 P/B 1배 수준에 근접할 때 매수하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판단됩니다.
기술주 대비 전기차(EV) 섹터에 대한 투자 심리는 예상보다는 나쁘지 않았으나, 미국의 새로운 리더십 하에서도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BoA
SK하이닉스
1~2분기 실적은 강세, 이후 점진적 둔화 예상 / 목표주가 25만 원으로 하향 / 투자의견 ‘매수’ 유지
SK하이닉스는 1분기와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거나 부합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미국의 반도체 관세 시행 이전 수요 선반영 및 ASP 반등 덕분입니다. 다만, 하반기 영업이익은 시장의 강세 컨센서스를 충족시키기에는 다소 부족할 가능성이 있으며, 3~4분기에는 사이클 상 고점 수준의 분기별 영업이익인 8조 원 내외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목표 P/B 배수를 기존 2.2배에서 1.7배로 낮춰 과거 업사이클 수준으로 되돌렸으며, 프리미엄은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현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은 여전히 40% 이상으로 판단되어 매수 의견을 유지합니다.
LS일렉트릭
1분기 실적 양호 / AI·데이터센터 수주에 따른 성장 기대 / ‘매수’ 유지
LS일렉트릭은 1분기 영업이익 870억 원을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27% 감소, 전년 대비 7% 감소했지만, 이는 예상치와 부합하는 수준입니다. QoQ 감소는 높은 기저 효과와 국내 매출 일부 이연 때문입니다. 2025년에는 AI/데이터센터 및 HVDC 컨트롤 프로젝트 매출 본격화와 생산능력 확장에 따른 물량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 주가 상승 요인은 ▲AI·DC 관련 신규 수주 소식, ▲환율 우호 효과, ▲2~3분기 실적의 순차적 개선입니다. 30% 수준의 EPS CAGR을 반영해 목표주가 25만 원을 유지하며 매수 의견을 유지합니다.
MS
LS ELECTRIC (010120):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투자의견 'Equal-weight' 유지, 목표주가 21만 원
매출은 1조 원으로 전년 대비 1% 감소, 전분기 대비 24% 감소했으며, 이는 최근 컨센서스 대비 약 10% 낮은 수치입니다. 영업이익은 870억 원으로 전년 대비 7%, 전분기 대비 27% 감소하며, 컨센서스를 약 7% 하회했습니다.
미국 데이터센터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며, 경영진은 올해 신규 고객 유입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LS일렉트릭의 펀더멘털과 대형 전력변압기(LPT) 사업에 대한 전념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현재 주가는 다소 부담스러운 수준으로 보입니다.


21.04.202500:45
올해 유월 보고서? 🥲 그림 편집못해서 나머지 분들이 해주시면..
19.04.202522:18
24.04.202520:29
*TRUMP ON CHINA TRADE TALKS: THEY HAD A MEETING THIS MORNING
*TRUMP ON TRADE TALK: DOESN'T MATTER WHO 'THEY' IS
BESSENT: HAD A GREAT MEETING WITH SOUTH KOREA, MOVING "FASTER THAN HE THOUGHT"
https://www.defenseone.com/threats/2025/04/chinas-rare-earth-mineral-squeeze-will-hit-pentagon-hard/404776/
누가 쫄릴까. 물건이 많은 사람들을 우리는 보통 부자라고 하는데, 어쩌면 이 단순한 역설이 관세 협상을 예상보다 빨리 움직이게 만들지도 모른다
*TRUMP ON TRADE TALK: DOESN'T MATTER WHO 'THEY' IS
BESSENT: HAD A GREAT MEETING WITH SOUTH KOREA, MOVING "FASTER THAN HE THOUGHT"
https://www.defenseone.com/threats/2025/04/chinas-rare-earth-mineral-squeeze-will-hit-pentagon-hard/404776/
누가 쫄릴까. 물건이 많은 사람들을 우리는 보통 부자라고 하는데, 어쩌면 이 단순한 역설이 관세 협상을 예상보다 빨리 움직이게 만들지도 모른다
23.04.202505:38
전 세계 주식 시장의 시가총액은 약 110조 달러이며, 이 중 미국이 약 50조 달러를 차지
만약 미국 시장에서 10%의 자금이 이탈한다고 가정할 경우(극단적인 가정일 수도 있겠지만) 약 5조 달러, 즉 7,100조 원에 달하는 규모
이 자금이 다른 지역 주식시장으로 유입된다면,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시장의 시가총액 대비 약 8%에 해당하는 수준
물론 이러한 자금 이동은 수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연금 및 소득으로 인한 신규 자금 유입 제외)
만약 미국 시장에서 10%의 자금이 이탈한다고 가정할 경우(극단적인 가정일 수도 있겠지만) 약 5조 달러, 즉 7,100조 원에 달하는 규모
이 자금이 다른 지역 주식시장으로 유입된다면,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시장의 시가총액 대비 약 8%에 해당하는 수준
물론 이러한 자금 이동은 수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연금 및 소득으로 인한 신규 자금 유입 제외)


22.04.202504:04
글로벌 유동성 New highs ..
https://t.me/kkkontemp/1662
+
홍콩내 역외 위안화 차입 비용이 관련 데이터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공식 자료에 따르면, 홍콩의 위안화 은행간 제공 금리(Hibor)는 이날 11bp 하락한 1.46%를 기록했다. 중국 정부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충분한 유동성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이 같은 Hibor 하락의 배경이다.
>> 중국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은 하락 중인 반면, 미국 기업들은 2020년 초저금리 환경에서 조달한 부채의 만기(대부분 5년)가 도래하면서 올해 약 1.1조 달러 규모의 재융자 부담을 안고 있음
https://t.me/kkkontemp/1662
+
홍콩내 역외 위안화 차입 비용이 관련 데이터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공식 자료에 따르면, 홍콩의 위안화 은행간 제공 금리(Hibor)는 이날 11bp 하락한 1.46%를 기록했다. 중국 정부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충분한 유동성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이 같은 Hibor 하락의 배경이다.
>> 중국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은 하락 중인 반면, 미국 기업들은 2020년 초저금리 환경에서 조달한 부채의 만기(대부분 5년)가 도래하면서 올해 약 1.1조 달러 규모의 재융자 부담을 안고 있음
21.04.202522:58
Goldman
한국 게임 업종
2025년 1분기 미리보기: 전반적으로 합리적인 기대치, 크래프톤(CL)과 시프트업 선호
2025년 1분기 한국 온라인 게임사들의 실적을 미리 점검해 봅니다. 전반적으로 시장의 기대치는 합리적으로 설정되었으나, 시프트업에 대해서는 시장이 영업이익률(OPM)을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보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따라서 골드만삭스 예상치는 블룸버그 컨센서스 대비 8%p 높음).
1분기 이후 크래프톤의 경우, 시장이 분열된 상황에서 연중 PUBG 모멘텀의 지속 가능성과, 팀이 inZOI를 정식 출시(GSe 2026)로 향해 지속적으로 개선을 진행하면서 글로벌 IP로 자리잡을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편, 시프트업 주가는 최근 Nikke의 제품 수명 주기에 대한 우려 속에 회복세를 보였으나, 우리는 이는 과도한 반등이라고 봅니다. 2분기에는 강한 순차적 모멘텀과 흥미로운 업데이트가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리는 2분기 중 니케 중국판과 스텔라 블레이드 PC 런칭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엔씨소프트와 펄어비스는 여전히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시장은 Aion2(엔씨)와 Crimson Desert(펄어비스)와 같은 차기 대작의 성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들 타이틀이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에 대한 확신이 더 필요하며, 단순한 순위나 사용자 활동 이상으로의 지속 가능성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넷마블은 이번에도 자사 모바일 게임들이 여전히 매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1분기 영업이익 소폭 상향 여지는 존재하지만, 최근의 실적 및 유저 피드백 등을 고려할 때 큰 폭의 어닝 서프라이즈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됩니다. 우리는 여전히 현재 시장이 비싸다고 보고 있으며, 추정치 및 목표주가는 범위 내에서 조정합니다.
한국 게임 업종
2025년 1분기 미리보기: 전반적으로 합리적인 기대치, 크래프톤(CL)과 시프트업 선호
2025년 1분기 한국 온라인 게임사들의 실적을 미리 점검해 봅니다. 전반적으로 시장의 기대치는 합리적으로 설정되었으나, 시프트업에 대해서는 시장이 영업이익률(OPM)을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보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따라서 골드만삭스 예상치는 블룸버그 컨센서스 대비 8%p 높음).
1분기 이후 크래프톤의 경우, 시장이 분열된 상황에서 연중 PUBG 모멘텀의 지속 가능성과, 팀이 inZOI를 정식 출시(GSe 2026)로 향해 지속적으로 개선을 진행하면서 글로벌 IP로 자리잡을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편, 시프트업 주가는 최근 Nikke의 제품 수명 주기에 대한 우려 속에 회복세를 보였으나, 우리는 이는 과도한 반등이라고 봅니다. 2분기에는 강한 순차적 모멘텀과 흥미로운 업데이트가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리는 2분기 중 니케 중국판과 스텔라 블레이드 PC 런칭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엔씨소프트와 펄어비스는 여전히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시장은 Aion2(엔씨)와 Crimson Desert(펄어비스)와 같은 차기 대작의 성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들 타이틀이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에 대한 확신이 더 필요하며, 단순한 순위나 사용자 활동 이상으로의 지속 가능성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넷마블은 이번에도 자사 모바일 게임들이 여전히 매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1분기 영업이익 소폭 상향 여지는 존재하지만, 최근의 실적 및 유저 피드백 등을 고려할 때 큰 폭의 어닝 서프라이즈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됩니다. 우리는 여전히 현재 시장이 비싸다고 보고 있으며, 추정치 및 목표주가는 범위 내에서 조정합니다.


21.04.202500:14
골드만
관세는 달러 약세를 유도할 것으로 예상됨
골드만삭스 리서치에 따르면, 미국의 통상 정책 변화는 미국 통화(달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골드만삭스 리서치의 수석 외환 전략가 마이클 캐힐은 보고서에서, 무역 긴장 고조와 불확실성을 키우는 정책들이 소비자 및 기업 신뢰를 약화시키고 있다고 언급함.
또한, 미국의 거버넌스와 제도에 대한 인식 변화가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미국 자산의 매력을 떨어뜨리고 있으며, 정책 결정이 빠르게 오락가락함에 따라 투자자들은 높은 불확실성 외에 다른 시나리오를 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함.
관세는 달러 약세를 유도할 것으로 예상됨
골드만삭스 리서치에 따르면, 미국의 통상 정책 변화는 미국 통화(달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골드만삭스 리서치의 수석 외환 전략가 마이클 캐힐은 보고서에서, 무역 긴장 고조와 불확실성을 키우는 정책들이 소비자 및 기업 신뢰를 약화시키고 있다고 언급함.
또한, 미국의 거버넌스와 제도에 대한 인식 변화가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미국 자산의 매력을 떨어뜨리고 있으며, 정책 결정이 빠르게 오락가락함에 따라 투자자들은 높은 불확실성 외에 다른 시나리오를 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함.
18.04.202511:07
https://youtu.be/GJgnInryEzY?si=IpXc5jQKPS66lgUC
글 쓰는 게 더 편하긴 하더라고요. 🥹
삼쩜삼 캠퍼스와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삼쩜삼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려요.
(글로벌 매크로 전문가는 아니고요… 시장 옵저버 쪽에 더 가깝습니다 ㅎ)
글 쓰는 게 더 편하긴 하더라고요. 🥹
삼쩜삼 캠퍼스와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삼쩜삼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려요.
(글로벌 매크로 전문가는 아니고요… 시장 옵저버 쪽에 더 가깝습니다 ㅎ)
Көрсетілген 1 - 24 арасынан 434
Көбірек мүмкіндіктерді ашу үшін кіріңі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