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미래에셋 채권/크레딧] 민지희, 김성신 avatar
[미래에셋 채권/크레딧] 민지희, 김성신
[미래에셋 채권/크레딧] 민지희, 김성신 avatar
[미래에셋 채권/크레딧] 민지희, 김성신
23.04.202501:00
250423_브라질채권_[긴축 우려는 완화, 재정건전성 우려는 지속]

1. 고물가, 고금리 환경에 브라질 경기 둔화 압력 높은 상황
-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도 5%대 인플레 지속되며 브라질 경기를 지탱해왔던 소비 둔화 압력 높아짐
-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으로 인한 수출 성과 회복 지연, 고물가/고금리 환경에 따른 소비심리 부담에 브라질 경기 둔화 압력 높아질 전망

2.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
- BCB, 3월 회의에서 인상 폭을 점차 줄여나갈 것이라는 포워드 가이던스 제시
- 75bp 추가 금리 인상 전망은 작년말 국채금리에 상당 부분 선반영. BCB, 연말 인플레 5%대 초반으로 둔화 전망
- 인플레 경로가 BCB 전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통화 긴축 우려 재현 가능성 제한적. 브라질 국채 장기금리 안정화 흐름 전망

3. 룰라 임기 중 중장기 재정건전성 우려 지속 전망
- 생활비 부담 증가 등으로 룰라 대통령 지지율 꾸준히 하락세. 26년 예산지침법은 기초 재정수지 목표 유지되며 시장 영향 제한
- 하지만 정부의 낙관적인 경제전망에 기반한 재정수입 과대 추정 가능성, 26년 대선 앞두고 지지율을 올리기 위한 포퓰리즘성 정책 추진 가능성 고려할 때 룰라 임기 내 재정 우려 지속될 전망
- 금리 안정화 흐름은 긍정적이나, 헤알화의 추세적 강세는 제한될 것임을 감안할 때 브라질 국채에 대한 보수적 관점 유지

▶보고서 링크: https://han.gl/d87KQ

*미래에셋 채권/크레딧 채널:
https://t.me/miraebond
17.04.202523:06
2025년 4월 18일 채권시장

1) 미국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1.5만으로 예상치(22.5만) 하회했고, 주간 연속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88.5만으로 예상치(187.0만) 상회했습니다.

2) 예상치 하회한 실업수당 청구 건 수 및 유가 급등에 따른 인플레 경계심에 미 국채금리 상승했습니다.

3)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2.75%에서 동결했고 시장 예상에 대체로 부합한 결과에 국내 금리 상승했습니다.

- 미국 국채 10Y 4.32% (+4.8bp)
- 미국 국채 2Y 3.80% (+2.9bp)
- 미 10Y-2Y 장단기 금리차 +52.7bp (+1.9bp)
- 국고채 3Y 2.39% (+3.4bp)
- 국고채 10Y 2.65% (+1.6bp)
- 국고채 30Y 2.49% (+2.6bp)
- 국고 10Y-3Y 스프레드 +26.0bp (-1.8bp)
- 국고 30Y-10Y 스프레드 -15.5bp (+1.0bp)
- 원/달러 환율 1,416.6원 (+0.80원)


*미래에셋 채권/크레딧 채널:
https://t.me/miraebond
16.04.202523:20
파월의장 발언(4/16)

- 관세는 아주 근본적인 정책 변화. 지금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에 대한 현대적인 경험이 없음. 지금까지 발표된 관세 인상 수준은 예상보다 훨씬 큼. 연준의 이중 목표가 충돌하는 어려운 상황에 놓일 수 있음.

- 그런 일이 발생한다면, 우리는 경제가 두 가지 목표에서 각각 얼마나 떨어져있는지를 고려하게 될 것이고 그 격차가 각각 얼마나 다른 시간에 걸쳐 해소될 수 있을지도 함께 고민하게 될 것

- 관세는 부정적인 공급 충격과 같음. 이건 스태그플레이션 충격인데, 연준의 이중 목표 양쪽을 동시에 악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옴.

- 즉, 물가는 오르고 일자리는 줄고 성장은 둔화되는 상황. 중앙은행이 이런 스태그플레이션 충격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매뉴얼은 없음.

- 관세는 적어도 일시적으로는 인플레를 상승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음.
이런 인플레 효과는 더 오래 지속될 수도 있음

- 이 결과를 피할 수 있는지는 관세 효과의 규모와 그것이 가격에 완전히 반영되기까지 걸리는 시간, 그리고 궁극적으로 장기 인플레 기대심리를 잘 고정시킬 수 있느냐에 달려있음

- 지금은 정책을 조정하기 전에 더 명확한 상황을 기다릴 수 있는 위치에 있음.

- 아마도 올해 남은 기간 동안은 목표에서 멀어지게 될 것 같음. 적어도 진전은 없을 가능성이 큼.

-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시장 변동성이 커졌음. 하지만 시장은 작동하고 있음. 질서 있게 움직이고 있고, 기대할 수 있는 수준으로 기능하고 있음.
14.04.202523:37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363356?sid=101

경제부총리, 12조원 규모의 필수추경안 국회에 제출 예정. 이제 남은 것은 국회 통과 여부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에 의하면 상호관세에서 스마트폰, 컴퓨터 및 관련 부품은 상호 관세에서 제외. 중국에서의 수입품도 포함
-펜타닐 관련 관세 20% 부과 여부는 아직 불투명
11.04.202502:18
[Week Ahead Snapshot]
다음 주 주목할 금융시장 이슈(4/14~18)

팀 위클리 공유드립니다. 다음 주에 주목할 이슈와 연준인사 발언 등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Week Ahead(4/14~18)
https://han.gl/VADsE

감사합니다.
18.04.202503:53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82486?cds=news_edit

*12.2조원으로 추경안 최종 확정. 국채 조달 규모는 8.1조원(시장 예상 수준)
17.04.202506:31
250417_Fixed Income Comment: [4월 금통위] 연내 3번 인하, 하반기 추경은 변수

안녕하세요, 미래에셋증권 민지희입니다. 금통위 리뷰 및 하우스 뷰 업뎃 드립니다.

1) 주요 결정 내용
- 2.75%에서 금리 동결(인하 소수의견 1인)
- 금리 동결의 배경은 관세정책의 경기 영향 확인 필요
- 향후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 열어 둔 금통위원은 6명 전원
- 2025년 성장률 전망치 1.5%에서 하향 조정 시사

2) 당사 전망
- 추가 금리 인하 시점: 5월
- 25년말 국내 기준금리: 2.25% (5월, 8월 각 25bp씩 인하) 전망
- 5월 한은 성장률 전망치는 2월에 제시한 관세 비관 시나리오 전망치인 1.4%를 하회할 전망
- 잠재 성장률 하회하는 성장이 예상되는 국면에서 중립 수준(2% 초반)까지 금리 인하 기조 지속 전망
- 신정부 출범 이후 하반기에는 추경 규모가 시장 예상보다 클 수도 있음. 이는 금리 인하 경로에 불확실한 요인
- 단기적으로 관세 협상과 국내 정치 불확실성 국면 지나며 금리 횡보 예상. 중기적으로는 낮아진 인플레와 성장 경로에 금리 상승 여력 제한적일 전망
- 2Q 듀레이션 확대 의견 유지

자료 링크: https://han.gl/r4Ol6
16.04.202523:06
2025년 4월 17일 채권시장

1) 파월 연준 의장은 관세로 인한 이중책무 충돌 우려를 표시, 당분간 통화정책이 시장을 지지해주길 기대하지 말라고 발언했습니다.

2)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따른 증시 급락에 위험 회피 심리 반영되며 미 국채금리 하락했습니다.

3) 금통위 앞두고 외국인 매수 유입되자 국내 금리 하락했습니다.

- 미국 국채 10Y 4.28% (-5.6bp)
- 미국 국채 2Y 3.77% (-7.5bp)
- 미 10Y-2Y 장단기 금리차 +50.7bp (+1.9bp)
- 국고채 3Y 2.35% (-4.8bp)
- 국고채 10Y 2.63% (-3.5bp)
- 국고채 30Y 2.46% (-3.7bp)
- 국고 10Y-3Y 스프레드 +27.8bp (+1.3bp)
- 국고 30Y-10Y 스프레드 -16.5bp (-0.2bp)
- 원/달러 환율 1,415.8원 (-11.4원)


*미래에셋 채권/크레딧 채널:
https://t.me/miraebond
14.04.202523:02
2025년 4월 15일 채권시장

1) 미국 연준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는 연준이 이전 생각보다 더 빠르고 더 큰 폭의 금리 인하를 선호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언했습니다.

2)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산업 관세 완화 조치 시사 및 월러 이사의 도비쉬한 발언에 미 국채 금리 급락했습니다.

3) 다가오는 17일(목요일) 금통위 금리 결정 대기 관망세에 국고채 금리 보합권 마감했습니다.

- 미국 국채 10Y 4.37% (-11.6bp)
- 미국 국채 2Y 3.85% (-11.5bp)
- 미 10Y-2Y 장단기 금리차 +52.9bp (-0.1bp)
- 국고채 3Y 2.41% (-0.3bp)
- 국고채 10Y 2.69% (-0.5bp)
- 국고채 30Y 2.53% (-1.3bp)
- 국고 10Y-3Y 스프레드 +28.3bp (-0.2bp)
- 국고 30Y-10Y 스프레드 -16.0bp (-0.8bp)
- 원/달러 환율 1,422.5원 (+1.50원)


*미래에셋 채권/크레딧 채널:
https://t.me/miraebond
미국 3월 PPI 예상치 대폭 하회. 미 국채 금리 단기물 위주로 하락
10.04.202523:04
2025년 4월 11일 채권시장

1) 미국 3월 헤드라인 CPI는 전년비 2.4%, 전월비 -0.1%로 예상치(각 2.5%, 0.1%) 하회했습니다. 코어 CPI도 전년비 2.8%, 전월비 0.1%로 예상치(각 3.0% 0.3%) 하회했습니다.

2) 인플레 둔화에도 미-중 갈등에 따른 관세 불확실성과 향후 스태그플레이션 경계심에 미 국채 장기금리 상승했습니다.

3)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발표에도 경기 둔화 우려 지속되며 국내 금리 대체로 하락했습니다.

- 미국 국채 10Y 4.42% (+9.3bp)
- 미국 국채 2Y 3.86% (-4.6bp)
- 미 10Y-2Y 장단기 금리차 +56.3bp (+13.9bp)
- 국고채 3Y 2.44% (+0.3bp)
- 국고채 10Y 2.70% (-3.0bp)
- 국고채 30Y 2.54% (-1.9bp)
- 국고 10Y-3Y 스프레드 +26.5bp (-3.3bp)
- 국고 30Y-10Y 스프레드 -16.7bp (+1.1bp)
- 원/달러 환율 1,455.5원 (-16.5원)


*미래에셋 채권/크레딧 채널:
https://t.me/miraebond
18.04.202502:34
• 파월 의장은 관세 인상에 따른 인플레 우려를 드러내며 매파 기조 강화. 트럼프 정부 관세 협상 기대감에 미 10년 금리는 4.3~4.4% 수준에서 횡보 흐름. 관세 불확실성 등에 달러인덱스는 100pt 하회하며 지난주에 이어 추가 약세
다음 주 주요 경제지표 발표 부재, 다수의 연준 인사 발언 예정. 연준 위원들은 관세의 경기 영향을 확인하며 추가 인하에 신중할 것이라는 입장 유지할 전망. 연준 인사 발언과 트럼프 정부의 관세 협상 관망세 지속되면서 미 국채 10년 금리는 4.3%를 중심으로 박스권 등락 및 달러화도 약보합권 등락 흐름 예상
• 국내의 경우 12조원 규모의 추경안 국회 제출 예정이나 추경 규모에 대한 여야 간 이견 차 지속. 금통위는 금리 동결했지만 5월 인하 시그널 강화됐고 1Q 전기대비 역성장 가능성 언급하며 올해 성장률 전망치 하향 시사. 경기 둔화 흐름에 커브 플랫 압력 우세할 전망. 원화채권 듀레이션 확대 전략으로 대응
17.04.202503:09
4월 금통위 기자회견 요약(4/17)

Q. 향후 3개월 포워드 가이던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 1.4% 하회 가능성? 올해 1~2회 추가 금리인하 시사하셨는데, 추가 인하 2~3번쯤으로 늘어날 수 있을지?
A. 다섯명의 위원들은 통화정책이 이미 인하 기조에 있고, 자본유출입 등 고려할 때 당분간은 미 통상정책 등 불확실성이 개선될 때까지 지켜보자는 입장. 한명의 소수의견 제시 위원은 경기둔화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 총재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전원, 향후 3개월 내 기준금리 2.75% 하회 예상.

트럼프 관세정책 감안 시 2월에 전망했던 경제성장률 시나리오(25년 1.4% 성장)는 낙관적이었던 것 같음. 협상 결과 등 불확실성 남아있기 때문에 미 통상정책 리스크를 반영한 경제성장률은 5월 경제전망에서 공개하겠음. 최종금리와 향후 인하 속도 역시 5월 경제전망 수치 확정 시 공개할 것.

Q. 관세정책의 파급효과? 연준 통화정책 경로에 따른 한은의 인하 속도 영향? 정치 불확실성의 경제영향?
A. 전세계적으로 성장률 전망 크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 교역규모 둔화, 정치적 불확실성 장기화 등으로 1Q 성장률도 상당폭 하향 조정 예상. 5월에 발표될 연간 성장률은 상당히 저하될 가능성이 높음

23년 이후에는 한미 금리 디커플링. 미국 금리 인하가 늦어지면 한은 금리인하 지연될 수는 있겠으나 경제상황 보고 판단해나갈 것. 정치적 불확실성 다소 해소되었으나 일상적인 수준의 내수 회복은 다소 지연될 수 있음.

Q. 15~20조원 추경이 0.2%의 연간 성장률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하셨는데, 현재 12조원 추경 규모는 성장률 제고효과가 더 적을지?
A. 12조원 추경의 성장률 제고효과는 15~20조원 가정 시(0.2%p)보다 절반 정도 낮은0.1%p 수준. 현재 환율 변동성 큰 상황. 미 관세정책에 대한 교역국들의 반응과 미 인플레 영향 및 달러인덱스 흐름 등에 의해 달러 환율 변동할 것.

Q. 위안화 연동 등 외환시장 변동성에 대한 진단?
A. 중국과의 무역분쟁이 심화될 때 환율이 어떻게 변할지에 대해서는 다른 나라들도 동일한 고민을 하고 있음. 우리나라 공급망은 동남아, 멕시코 등 여러나라에 걸쳐있어 예측이 어려움

Q. 증액과 2차 추경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재정정책 전개방향에 따라 통화정책 방향성이 달라질지? 관세로 인한 경기둔화가 통화정책으로 대응 가능한 수준일지?
A. 5월 경제전망 확인 후 통화정책 결정해나갈 것. 1~2월에 재정정책에 따른 통화정책 대응 방향에 대해 언급한 것은 국내 정치 불확실성과 경기 우려가 높았을 때의 예외적인 케이스. 5월에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것.

잠재성장률을 2% 혹은 더 낮은 수준이라고 보고 있는데, 전세계 성장률이 낮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통화정책 혹은 재정정책을 통해 과도하게 경기를 부양하는 것은 부적절

Q. 2월에 연내 2~3차례 인하를 경제전망에 반영했다고 하셨는데 미 통상정책 변화에도 3차례 이상 금리 인하를 추가로 반영할 것인지? 포워드 가이던스에 따르면 대선 직전인 5월에 인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인지?
A. 포워드 가이던스가 시사하듯 과거에 비해서는 인하 가능성이 높아졌음. 관세정책의 경제성장률 영향은 5월 경제전망에서 공개할 것. 대선 전이더라도 경제현황에 따라 정치 중립적으로 결정해갈 것

Q. 달러인덱스가 100pt 이하로 내려왔지만 선진국 통화 가치 회복에 비해 원화 가치 절상은 제한적이었음. 그 원인은? 소수의견을 제시한 위원은 금융안정, 환율 상황 진전되면 빅컷 가능성도 열어둔 시각인지?
A. 원화 가치 절하 시 계엄 등 국내 정치적 상황도 상당부분 반영되었던 것. 원화 가치, 펀더멘털보다 더 절하되어 있는 상황.미 행정부 관세정책과 정치 불확실성 안정 시 더 내려올 가능성이 있음.

소수의견을 제시한 위원은 1Q 경기 둔화 속도 고려할 때 기준금리를 타겟 수준으로 “빠르게” 내려야하지 않겠느냐는 의미에서 “큰폭”이라는 표현을 사용
15.04.202523:04
2025년 4월 16일 채권시장

1) 미 재무부 부장관은 대형은행들의 국채 매입 규제 제도(SLR)의 완화를 고려 중이라고 발언했습니다.

2) 미 국채시장 규제 완화 가능성이 제기되며 미 국채 금리 장기물 위주로 하락했습니다.

3) 금통위 관망세 이어지며 국내 금리 박스권 등락 장세 지속했습니다.

- 미국 국채 10Y 4.33% (-4.1bp)
- 미국 국채 2Y 3.84% (-0.0bp)
- 미 10Y-2Y 장단기 금리차 +48.8bp (-4.1bp)
- 국고채 3Y 2.40% (-0.9bp)
- 국고채 10Y 2.66% (-2.7bp)
- 국고채 30Y 2.50% (-3.0bp)
- 국고 10Y-3Y 스프레드 +26.5bp (-1.8bp)
- 국고 30Y-10Y 스프레드 -16.3bp (-0.3bp)
- 원/달러 환율 1,427.2원 (+4.70원)


*미래에셋 채권/크레딧 채널:
https://t.me/miraebond
14.04.202500:17
250414_미국 금리 급등 점검과 4월 금통위 Preview

안녕하세요, 미래에셋 민지희 입니다. 지난 주 미국 금리 급등 및 4월 금통위 Preview 코멘트 자료 공유드립니다.

*미국 금리 변동성이 높습니다. 관세 불확실성이 높다보니, 달러 표시 자산에 대한 글로벌 신뢰도가 약해졌습니다. 달러화 및 미국채 약세가 지난 주 전개됐습니다.

*일각에서 미국채시장 유동성 긴축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중국의 미국채 투매 가능성 등을 통해 유동성 우려가 불거졌습니다. 그러나 중국이 미국채 보유량을 급하게 줄였던 기간은 22~23년 연준 금리 인상 국면이었습니다. 미 금리 급등 구간이 아니라면 대체로 중국은 점진적인 속도로 미국채 보유를 축소해 왔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금융시장 유동성이 급격히 긴축되며 금리 추가 급등을 초래할 가능성도 크지 않아 보입니다. 아직 뉴욕 연은이 유동성 긴축을 염려하는 GDP 대비 지준 비율도 10-11% 수준으로 추정됩니다(25년 1Q 기준).

*결론은 미국 관세율 협상을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관세정책이 정상화되는 과정으로 가는 지 여부를 확인해야 달러, 미국 금리 안정이 회복될 전망입니다. 정책 불확실성이 높지만, 트럼프 정부가 장기금리 레벨에 주목하고 있는 점은 국채시장에 긍정적 요인입니다(미 금리 급등 후 관세 협상 가능성 시사).

* 미국 금리가 4.5%에서 추가적으로 급등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합니다.

*4월 금통위 금리 인하, 도비쉬한 기조, 성장률 하향 조정 시사를 예상합니다. 5월 인하 가능성이 크다면, 성장 둔화 강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2Q에 선제적인 한은의 경기 부양 조치가 단행되는게 합리적이라는 판단입니다.

*4월 전략인 원화채권 듀레이션 확대 의견을 유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자료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자료 링크: https://han.gl/Fe0ZS
-중국의 보복 조치: 미국산 수입품 관세율 84%에서 125%로 인상
3월 CPI, 예상치 하회
- 헤드라인 -0.1% MoM (컨센 0.1%, 이전 0.2%)
- 코어 0.1% MoM (컨센 0.3%, 이전 0.2%)
18.04.202502:33
[Week Ahead Snapshot]
다음 주 주목할 금융시장 이슈(4/21~25)

팀 위클리 공유드립니다. 다음 주에 주목할 이슈와 연준인사 발언 등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Week Ahead(4/21~25)
https://han.gl/19S2k

감사합니다.
17.04.202500:50
*한은, 2.75%에서 기준금리 동결
15.04.202502:14
<중국 외 국가들과의 협상 개시 본격화>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WSJ)베센트 재무장관은 한국, 일본, 인도, 호주, 영국과의 합의를 우선시하겠다고 발표. 먼저 합의하는 국가에 어드밴티지를 주겠다는 입장으로 협상을 서두르려는 의지도 보였음

-일본과는 이번주(4/16), 한국과의 협상은 다음주부터 개시. 베트남과는 지난주 협상을 개시하기로 합의

-지난번 한국 협상과 관련해 트럼프의 Truth Social 게시글(4/8)을 돌이켜보면 협상 이슈로 무역흑자, 관세, 조선, LNG 수입, 알래스카 LNG 참여, 방위비 부담금이 언급

-(Reuters)한편 중국은 동남아와의 공급망 강화를 위해 힘쓰는 중. 시진핑은 금일 베트남과의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이번주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연이어 방문할 예정

-베트남과는 철도망을 비롯한 공급망 강화 등을 다루는 45개의 협력안에 합의. 다만 베트남은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중국산 제품의 우회 수출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13.04.202522:57
2025년 4월 14일 채권시장

1) 보스턴 연은 총재 콜린스가 시장은 정상적으로 작동 중이고 아직 유동성 관련 문제는 보이지 않지만, 연준의 개입이 필요시 전적으로 준비되어있다(absolutely be prepared)고 발언했습니다.

2) 미시간대 1년 기대 인플레가 전월비 1.7% 높아진 6.7%를 기록하며 미 국채 금리 상승했습니다.

3) 금통위 금리 인하 기대 이어지며 외국인의 국채선물 순매수 확대에 국내 금리 단기물 위주로 하락했습니다.

- 미국 국채 10Y 4.49% (+6.5bp)
- 미국 국채 2Y 3.96% (+9.8bp)
- 미 10Y-2Y 장단기 금리차 +53.0bp (-3.3bp)
- 국고채 3Y 2.41% (-2.6bp)
- 국고채 10Y 2.70% (-0.6bp)
- 국고채 30Y 2.54% (+0.9bp)
- 국고 10Y-3Y 스프레드 +28.5bp (+2.0bp)
- 국고 30Y-10Y 스프레드 -15.2bp (+1.5bp)
- 원/달러 환율 1,421.0원 (-34.5원)


*미래에셋 채권/크레딧 채널:
https://t.me/miraebond
11.04.202502:23
미-중 관세전쟁 심화에 미 10년 금리는 3.9%까지 하락 후 40bp 이상 반등해 변동성 확대. 슈퍼코어 서비스 인플레가 전월비 하락하며 3월 미국 CPI는 예상치 하회했지만 여전히 관세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판단에 시장 영향 제한적
• 3월 미국 소매판매(4/16), 산업생산(4/16) 예정. 당분간 미 채권시장은 실물지표보다 관세정책 및 트럼프 발언에 더 주목할 전망. 미 국채 금리에 반영된 기대 인플레(BEI) 하락 중이나 정책 불확실성 등을 반영한 실질금리는 급등. 관세 협상 진전 여부 확인하며 미 장기금리 변동성 높은 횡보 장세 지속될 전망
• 한국 금통위(4/17) 전까지 달러환율이 현 수준 중심으로 등락할 경우 선제적 금리 인하 가능성 높아졌다고 판단, 도비쉬한 회의 예상. 보편 및 자동차 관세, 미-중 갈등 심화 등은 경기 하방 위험 확대 요인이며 신정부 출범 전까지 재정 부양 여력도 제한적. 금리 하향 안정 흐름 예상, 원화채권 듀레이션 확대 의견 유지
10.04.202500:57
2025년 3월 FOMC 회의록 주요내용 요약_미래에셋증권

통화정책
- 위원들의 2026년과 2027년의 예상 금리 인하 시점은 약 1분기 앞당겨졌지만, 예상되는 기준금리 수준과 최종금리는 변동 없음
- 크리스토퍼 월러를 제외한 12인의 위원들이 금리 동결 및 QT 속도 조절에 동의

인플레
- 지난 2년 대비 인플레는 대체로 하락했지만, 여전히 2% 목표치를 상회하는 점을 우려, 몇 위원들은 올해 1-2월 인플레가 예상보다 높았다는 점을 우려
- 위원들은 대체로 장기 기대 인플레가 적절한 수준에 있다고 인지. 이는 결국 장기적으로 인플레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고용시장
- 소비 심리 위축이 계속된다면 기업의 고용 및 투자 활동은 위축, 곧 고용시장과 경제 성장도 하락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
- 대부분 위원들은 정책 불확실성으로 기업들의 신규 고용을 중단하거나 축소 중인 점을 확인, 고용률 하방 압력이 크다고 우려
- 단, 일부 위원들은 불법이민자 추방 정책이 특정 산업의 고용 공급을 위축, 임금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을 우려


관세
- 일부 위원들은 예고된 관세가 예상보다 높아 비용 상승 부담이 높아진 기업들이 많아졌고, 기업들이 비용 상승분을 대체로 소비자에게 전가할 것으로 전망
- 일부 위원들은 낮아진 민간 저축 비중, 가격 인상의 민감도, 및 이민자정책으로 인한 낮아지는 주택 및 임대 시장 및 수요를 근거로, 관세의 인플레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
- 대부분 위원들은, 정부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아직 불확실하다는 점에, 신중한 통화정책 접근이 필요한 점에 동의

경제
- 위원들은 대체로 지난 1월 회의 대비 GDP 성장률 전망은 하향 조정, 인플레 전망은 상향 조정
- 임금 및 자산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지에 대해서는, 위원들의 의견이 갈림. 일부 위원들은 상승세가 멈출 것이라고 전망한 반면, 또다른 일부 위원들은 임금 상승과 주식 가격 상승이 소비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

금융시장
- 채권 금리 대비 레포 금리의 변동성 확대 및 비교적 긴축적인 레포 시장 환경은 우려보다는 정상화되는 과정으로 해석, 역레포 한도도 21년도 이후 최저치 기록한 만큼 QT 속도 조절의 필요성 강조

https://t.me/miraebond
Көрсетілген 1 - 24 арасынан 185
Көбірек мүмкіндіктерді ашу үшін кіріңі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