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근본적으로 별로 변한 게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
1) 이런 미친 관세 전략이 나온 건 애초에 중국 때문임
2) 그런데 중국에게만 관세로 압박하지 않고 다른 국가들까지 포함시킨 이유는 중국이 다른 국가로 우회해서 수출을 하기 때문임
3) 베트남이 미국에게 0% 관세를 제안하자 피터 나바로는 정확히 이 점을 꼬집으며 제안을 거절함
4) 결국 중국->제3국->미국의 루트로 중국의 상품이 미국으로 도달하는 모든 경로에 대한 관세가 필요함
5) 그런데 이렇게 되면 수출로 먹고 사는 제3국의 경제적 피해도 만만치 않을 거라는 시나리오가 그려짐
6) 이 과정에서 인플레에 대한 불안, 미국에 대한 신용 하락, 자국 화폐 가치 부양과 같은 심리가 작용해 미국 10년채 덤핑 나옴
7) 계산된 건지는 모르겠는데, 여튼 그래서 트럼프와 내각은 중국 제외 90일 관세 유예라는 카드를 꺼낸 것
8) 이 90일 관세 유예 기간 동안 미국은 국가들을 돌아다니며 “우리 시장에다가 물건 팔거면 편 골라”라고 할 거임
9) 아직 이 90일 기간 동안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게 핵심임
10) 예를 들어, 동남아에서 제일 미국으로 수출을 많이 하는 베트남 같은 경우에는 전자기기의 80%, 의류의 90%가 중국으로 수입해온 원자재로 만들어짐
11) 미국은 당연히 베트남과 같은 구조로 미국에게 물건을 파는 것을 막아야하기 때문에 베트남 입장에서 말도 안되는, “중국으로부터 수입하지마”와 같은 요구를 할지도 모름
12) 베트남 입장에서는 이런 요구를 단시간 내에 들어주는게 당연히 불가능함
13) 여기서 두 국가가 어떤식으로 타협을 볼지, 아니면 타협을 안 볼 것인지를 알 수 없음
14) 그런데 이렇게 이도저도 못하는 상황에서 제일 쉽게 미국에게 물건을 팔아먹을 수 있는 방법이 있긴 있음
15) 그냥 미국으로 공장을 옮겨버리는 거임
16) 현재 트럼프의 경제 어드바이저를 지내고 있는 스티븐 미란은 달러의 기축통화화가 곧 달러의 수요 증가로 이어졌고, 이게 곧 수출 경쟁력 약화로 이어졌는데, 이게 미국에게 존재적 위기라고 이야기 함
17) 요약하자면 미국은 자국의 산업기반을 희생하면서 세계 경제 성장을 돕고 있었는데, 이러한 산업기반의 부재가 곧 달러 기축통화 시스템을 무너뜨리는 모순에 봉착해있다는 거임
18) 특히나 중국은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해서 크게 성장했고, 이걸 이용해서 더욱더 성장하려고 하고 있음
19) 이걸 지난 트럼프 임기 때도 인식하고 관세로 조지려고 했으나, 위와 같이 제3국으로 우회해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방식을 채택하며 효과가 없다는 것을 배움
20) 그래서 이번에 2차전을 벌이는 건데, 이제 봐주는 거 없이 걍 다 모아놓고 패고 있는 거임
21) 여튼, 지금 시장은 “중국 제외 관세 유예”를 반영하고 있는 거 같은데, 만약에 수 틀리면 다시 원상복귀 될 수 있다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