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하나증권 운송/모빌리티 안도현
하나증권 운송/모빌리티 안도현
22.04.202522:46
4/23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아시아나항공, 에어인천行 직원들 업무 공간 분리
https://naver.me/F9N8wKEz

"한화해운, 미국서 LNG 운반선 건조 계획"
https://naver.me/IMyLFqh3

[단독]HMM, 2조 자사주 매입에 KB증권 선임…공개매수 유력[시그널]
https://naver.me/GfCzeoYF

관세전쟁에 亞→북미 선복량 14% 급감…"HMM 등은 반사이익 볼 수도"
https://naver.me/G2EQClM6

[속보] 트럼프 "파월 해고할 생각은 없다"… 中 관세 인하 가능성도 언급
https://naver.me/55rOuAGs
17.04.202523:07
4/18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BDI 1261pt로 전일대비 1.6% 상승했습니다.

제주항공, '운항 감축·정비 확충' 등 체질 개선 추진
https://naver.me/xSF6OezS

산은·해진공, HMM 영구채 주식 전환…지분율 72%로
https://naver.me/xbAacVsg

美관세로 中컨테이너 예약 60% 급감 전망…중소 해운사 직격탄
https://naver.me/5EUqTScj

한진도 주7일 배송…27일부터 수도권·주요도시 시범운영
https://naver.me/FSw2H1Bp

USTR port fees to apply once per voyage, US vessel operators exempt, maritime sources say
https://www.reuters.com/markets/global-shippers-await-word-us-plan-hit-china-linked-vessels-with-port-fees-2025-04-17/
미국 무역대표부(USTR), 중국과 연계된 선박에 항만 수수료 부과 계획 추진 중
수수료는 중국산 선박에 최대 150만 달러, 항해당 1회만 적용
미국 선박 소유자/운영자 면제 예정
업계 반발로 정책 발표 및 시행 시점 11월로 연기 가능성
03.04.202512:12
운송(Overweight): 미국 상호관세 영향: 업황 가시성 저하
[하나증권 운송/모빌리티 Analyst 안도현]

■해운: 공급이 늘어나는 구간에서 수요에 대한 변화구 발생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교역국 대상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로서 중국 대상 관세율은 최고 54%(기존 20%+상호관세 34%)이고, 아시아 주요 수출국의 상호관세 부과율은 베트남 46%, 태국 36%, 인도네시아 32%, 대만 32%, 한국 25%, 일본 24%로 책정되었다. 특히 동남아 지역에 대한 관세율이 높은데, 많은 기업들의 아시아 생산기지가 중국에서 동남아로 이전된 것을 감안하면 컨테이너선 물동량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2024년에는 트럼프 취임을 앞두고 재고 비축 수요 등으로 연간 Transpacific(아시아-미주) 노선 물동량이 15% 증가했었기 때문에 기저도 높다. Clarkson 에서는 2025년 글로벌 컨테이너선 물동량(톤마일 기준)이 전년 대비 0.2% 감소할 것으로 예상 중인데(TEU 기준 +3% (YoY)), 올해 컨테이너선 공급량은 6%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이미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국면이다. 상호관세는 수요에 대한 추가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항공: 800달러 미만 상품에 대한 소액 면세 기준 폐지
트럼프 대통령은 800달러 미만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해주는 “소액 면세 기준”을 폐지한다고 밝혔다. 현지시각 5월 2일부터 소액 면세되던 상품은 상품 가격의 30% 내지는 품목당 25달러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해당 세율은 6월 1일부로 품목당 50달러로 인상될 예정이다. 미국 내 씨커머스 수요를 억제하기 위함인데, 이에 따른 항공화물 물동량에 대한 영향은 불가피하다. 대한항공 기준 중국→미주 항공화물 매출 중 30%, 전체 화물 매출 중 10%가 씨커머스 화물인 것으로 추산되고, 작은 비중은 아니기 때문에 수요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수요가 불확실하다면 공급이 증가하는지 여부를 확인
미국의 중국을 포함한 기타 교역국에 대한 압박이 지속되고 있다. 업황에 대한 가시성이 낮아지고 있는 시점이다. 하지만 근원적으로 미국 내 생산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미국 향 물동량이 과거 대비 큰 폭 감소할 가능성은 낮다. 특히 화물기 공급이 거의 증가하지 않는 항공업종에 대한 우려는 제한적이라는 판단이다. 현재 대한항공 12MF P/E는 5배 수준으로 씨커머스 물동량 위축 우려를 감안해도 낮은 수준이다. 다만 운송섹터 내 공급 증가가 우려되는 컨테이너선 업황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관점을 유지한다.


전문: https://bit.ly/447y6K2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25.03.202522:57
3/26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BDI 1642pt로 전일대비 0.6% 하락했습니다.

"6년 만에 배당금"…제주항공·진에어, 주주환원 강화 신호탄
https://naver.me/xIe9VGpL

지연·결항 에어프레미아...결국 대한항공 '전세기' 빌린다
https://naver.me/GyYtMLLw

세계 해운업계, 트럼프 '항만 수수료 계획'에 반발 확산
http://m.g-enews.com/view.php?ud=2025032519253786020c8c1c064d_1

러·우크라, 美 중재로 '흑해 휴전' 동의…제재 해제 관건(종합2보)
https://naver.me/FlZQtVnZ

신차만큼 후끈… 현대차·기아·BYD까지 뛰어든 중고차 시장
https://naver.me/F1rC9Z75

"투자가 경쟁력"…물류 인프라 구축에 돈 쏟는 택배업계
https://naver.me/xtglRKFO
16.03.202522:46
3/17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SCFI 1319pt로 전주대비 117pt 하락했고, CCFI 는 1192pt로 전주 대비 19pt 하락했습니다. BDI 1669pt로 전일 대비 1.2% 상승했습니다.

정홍근 티웨이항공 대표, 10년 경영 마침표…31일 퇴임
https://naver.me/xhzRYvqw

'사라진 4분' 반복 막는다…신규도입 항공기에 '대체동력원' 의무화
https://naver.me/Fr7j1rNz

아찔했던 항공기 화재‥'보조배터리 원인' 확인
https://naver.me/FN7Cy6ru

中 무비자 시행에 넉 달간 여행객 급증…‘제2의 오사카’ 자리 꿰차나
https://m.etoday.co.kr/view.php?idxno=2451997

벌크선 신규 발주 '실종'...30년 만에 최저, 폐선은 증가세
http://m.g-enews.com/view.php?ud=202503160844274169fbbec65dfb_1

트럼프 "예멘 후티 반군에 공습 개시"…"최소 9명 사망"(종합)
https://naver.me/GpCs4Ehn
09.03.202523:04
3/10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SCFI 1436pt로 전주대비 79pt 하락했고, CCFI 는 1211pt로 전주 대비 41pt 하락했습니다. BDI 1400pt로 전일 대비 8.9% 상승했습니다.

"가깝고 싸고" 삼일절 연휴에 日 항공 노선 이용객 23만명
https://naver.me/5gFjBQCR

[단독] 티웨이항공 소액주주연대, 예림당 나성훈 대표 검찰에 고발
https://m.sateconomy.co.kr/news/view/1065575137688450

독일 11개 공항, 10일 파업…항공편 3400편 이상 취소
https://naver.me/GhbGm6YV

HMM 매각 철회 의혹에… 해진공 "오히려 빨리 팔고 싶다"
https://naver.me/G2E42sdX

해운업계, "美 조선 부흥 계획에 연간 최대 300억 달러 소비자 부담 우려" 경고
http://m.g-enews.com/view.php?ud=202503091907331342fbbec65dfb_1

프랑스 해운기업 'CMA CGM’, 美해운 부활 지원...韓 조선에도 '기회'
https://naver.me/GZZwifNm

중국, 2차 대미 보복관세 돌입..."대화 권한다"
https://naver.me/55r97yJX
20.04.202522:52
4/21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SCFI 1371pt로 전주대비 24pt 하락했고, CCFI 는 1111pt로 전주 대비 4pt 상승했습니다. BDI 1261pt로 전일 대비 1.6% 상승했습니다.

"中항공사 인도 예정 보잉 항공기, 관세전쟁 탓에 美로 돌아와"
https://naver.me/5neWjDBt

"159조 시장 잡아라" 항공엔진 개발 본격화…두산 vs 한화 2파전
https://naver.me/GZZfiDvR

HMM, SK해운 인수 6월 마무리… 고용 승계 방안 논의 중
https://naver.me/FsRbqKRx

FT "中, 미국산 LNG 수입 중단…2월 이후 10주 이상 운송 끊겨"
https://naver.me/GRoCujov
17.04.202509:29
팬오션 (028670.KS/매수): 1Q25 Pre: 업황과 무관하게 힘내는 중
[하나증권 운송/모빌리티 Analyst 안도현]

■어려운 시황
1분기 평균 BDI는 1,118pt로 전년 동기 대비 39%, 전분기 대비로도 24% 하락했다. 저시황기에 돌입함에 따라 팬오션의 선대규모는 2024년 4분기 정점을 찍고, 1분기에 260~270척 규모로 축소되었다. 1분기는 계절적인 비수기이지만, 2025년 전체적으로도 드라이벌크 시황 호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중국의 철광석 수입량은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해상 드라이벌크 물동량도 0~1% (YoY)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다. 반면 공급은 3% (YoY) 증가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수요자 우위 시장이다. 또한 IMO가 선박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기조치를 시행하였는데, 실제 패널티 발효 시기를 감안하면 폐선 및 선속 감소를 통한 공급 감소 효과는 2028년부터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한다. 한편 미-중 관세전쟁은 벌크선 업황에는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전망한다.

■견조한 실적
그럼에도 불구하고 팬오션의 실적은 크게 우려할 바가 없다. 1분기 매출액은 16% (YoY) 증가한 1조 1,310억원, 영업이익은 11% 증가한 1,091억원(영업이익률 9.6%)으로 추정한다. 벌크선 영업이익은 시황 영향으로 9% (YoY) 감소한 490억원으로 추정하고, 탱커선 영업이익도 49% 감소한 190억원으로 추정하나, LNG선 영업이익이 300억원(+296%)까지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또한 작년 1분기 컨테이너선 부문은 적자였으나, 올해 1분기는 아시아 역내 운임 호조에 따라 영업이익이 110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 연간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1% 증가한 4,736억원으로 전망한다.

■2027년 이후로는 공급자 우위 시장
2025년 들어 벌크선 발주량이 급감하고 있다. 2023년~2024년 월 평균 발주량은 50척 수준이었는데, 1분기 합산 발주량이 14척에 그쳤다. 트럼프 집권 이후 중국산 선박 및 중국 조선소와 거래하는 선사에 대한 제재안을 앞두고 선사들이 중국 조선소 향 발주를 중단한 것으로 해석한다. 발주 감소가 이어진다면 벌크선은 2~3년 이후 공급자 우위 시장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과거 2016년에도 선박 발주가 예년 대비 적었는데, 이는 2018년 이후의 시황 호조로 이어졌다. 따라서 2027~2028년 이후의 시황은 물동량 증가를 가정하지 않더라도 선박 인도량 감소와 폐선 증가에 기반하여 충분히 긍정적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팬오션에 대해서도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시야를 유지한다. Peer Group 의 평균 P/B인 0.71배 대비 40% 할인한 0.43배를 목표 P/B로 설정하여 목표주가인 4,800원과 투자의견 BUY를 유지한다.


전문: https://bit.ly/3Y5Np29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02.04.202523:23
트럼프, 중국發 소액 면세도 폐지… 알리·테무 직격탄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us/2025/04/03/K3HCL7XSXZCBNHURSCGZRWQB6I/?outputType=amp
24.03.202522:53
3/25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BDI 1652pt로 전일대비 0.6% 상승했습니다.

무인기·UAM 등 '신사업 청사진'…대한항공, R&D 투자 확대
https://naver.me/xeAzELn3

결손금 털어내는 진에어, 에어부산 흡수합병 수순
https://naver.me/xhz0Ds3o

중고차 시장 진출 롯데렌탈, 관건은 '시장 신뢰'
https://naver.me/xBw3P8vz

'상호관세 면제 없다던' 트럼프 "많은 국가에 면제할수도"
https://naver.me/xhz0JgGc

Trump's port fees on Chinese ships threaten US maritime industry, say executives
https://www.reuters.com/markets/trumps-fees-chinese-ships-will-hurt-us-companies-maritime-executives-tell-2025-03-24/
13.03.202522:51
3/10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BDI 1650pt로 전일대비 5.8% 상승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 HDC현산 상대 2500억원대 계약금 소송 최종 승소
https://naver.me/xq3tFGeh

티웨이항공, 정비 인력 지속 확충…"안전운항 관리 총력"
https://naver.me/GG7vZu3V

트럼프 "혼란있겠지만 굽히지 않는다"…'4·2 상호관세' 재확인
https://naver.me/FBePFV7h
06.03.202522:58
3/7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BDI 1286pt로 전일대비 4.7% 상승했습니다.

정부, 아시아나 품은 대한항공 10년간 운임·좌석 등 감독한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306_0003088055

대명소노그룹, '티웨이 인수' 자금마련 시나리오는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2271629591640105747

4월부터 온라인쇼핑몰·편의점 택배 가격 조정된다
https://naver.me/xv3mVmai

트럼프 "무역협정 적용되는 멕·加 상품 관세 한 달 추가 면제"(종합2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250776?rc=N&ntype=RANKING
20.04.202522:27
USTR 선박 패널티 정리: 2025년 10월 14일부터 발효
- 중국 기업 소유/운영 선박은 톤당 50달러 입항 수수료 추가 부과
- 중국산 선박은 톤당 18달러 부과
- 패널티 요금은 2028년까지 점진적 상승 예정
- 해외 건조한 PCC는 1CEU 당 150달러 부과(점진적 요금 상승 없음)
- 3년 이후에는 LNG 수출 물량의 일부를 미국산 LNG운반선으로 운반 규정

결론: 기존 우려했었던 중국산 선박을 소유/발주하고 있는 선사들에 대한 패널티는 없는 것으로 발표. 선박 교체시 중국 선사를 제외한 글로벌 선사의 미주 노선 운영에는 큰 차질 없을 것으로 예상
16.04.202522:56
4/17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BDI 1241pt로 전일대비 1.7% 하락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 이르면 이번주 화물매각 조정 절차 개시
https://naver.me/5iTrLCaf

두산에너빌-대한항공, 무인제트기 개발 MOU
https://naver.me/xgN35tFJ

[단독] HMM 영구채 주식 전환에…산은 대출여력 5조 급감
https://naver.me/IDFtGWlt

기준 넘기면 t당 52만원…韓 선박, 친환경 전환 7% 그쳐 [막오른 해운 넷제로②]
https://naver.me/FhUivJeW

日 매체 “대만 중대형 컨테이너선 국제입찰에 한국·일본 대기업 경쟁”
http://m.g-enews.com/view.php?ud=20250416144702235e7e8286d56_1

[단독]'초저가 유통공룡' 다이소, 무료 당일배송 시장도 흔든다
https://naver.me/5ssk7Jb9
02.04.202522:50
4/3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BDI 1583pt로 전일대비 0.3% 하락했습니다.

대한항공, 美 방산기업 안두릴과 자율형 무인기 개발 '맞손'
https://naver.me/xP82AIPf

애경그룹, 왜 제주항공 아닌 모태사업을 팔까
https://naver.me/5Fm8GuBn

티웨이항공, 인천-타슈켄트 신규 취항…대형기로 주 4회 운항
https://naver.me/5VmC71fy

택배업계, 주7일 배송 대세에 잇따라 도입 검토
https://naver.me/GlJ3ngDQ

[속보] 트럼프 "한국 제품에 25% 관세 부과"…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
https://naver.me/GBFPQt2u

[속보]美 상호관세와 자동차·철강 관세 합산 제외
https://naver.me/GoDWsa4k
17.03.202522:50
3/18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BDI 1658pt로 전일대비 0.7% 하락했습니다.

“이코노미는 불편, 비즈니스는 부담”…새로운 중간 좌석 만든다는 대한항공
https://naver.me/Fk7xLzzL

아시아나항공, 4월 말부터 로마 등 유럽 노선 감편
https://naver.me/5GpFbTUb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관련 990억 배상금 반영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46978

군산공항 이스타항공 슬롯 반납…진에어가 대체
https://naver.me/Gn03jTcl

'무늬만 지주사' 티웨이홀딩스, 항공과 단일화 가능성↑
https://dealsite.co.kr/articles/138162

한화오션, 글로벌 해운사 에버그린과 손잡다
https://naver.me/G7VgCa5a

트럼프 "후티 추가 공격시 이란에 책임 물을 것" 강력 경고
https://naver.me/xQeMiMmx
10.03.202523:00
3/11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BDI 1424pt로 전일대비 1.7% 상승했습니다.

통합 대한항공 항공기 41년만에 '탈바꿈'..."심플해진 디자인 눈길"
http://m.g-enews.com/view.php?ud=2025031013143589293fe8821aee_1

Delta cuts profit forecast as US economic uncertainty hits travel
https://www.reuters.com/business/aerospace-defense/delta-airlines-cuts-first-quarter-profit-forecast-increased-macroeconomic-2025-03-10/

에어프레미아, 샌프란·뉴욕 노선 증편…'에어 지연' 오명 벗을까
https://naver.me/xjgSKaLz

HD한국조선, SMR 추진 컨테이너선 만든다
https://naver.me/FpxEVemQ

SK에너지, 국내최초 홍콩 국적항공사에 SAF 대량공급
https://naver.me/5JpjJzll
06.03.202512:53
운송(Overweight): 만약 중국 조선소에 대한 발주가 중단된다면
[하나증권 운송/모빌리티 Analyst 안도현]

■컨테이너선/벌크선 오더북의 70%가 중국
USTR(US Trade Representative) 규제안 및 COSCO의 군사기업(블랙리스트) 지정 등, 중국 조선업/해운업에 대한 미국의 제재가 이어지고 있다. 앞선 리포트에서 언급했듯이, USTA 규제안은 거의 모든 선사가 추가 입항 수수료의 대상이기 때문에 변별력과 실효성이 낮다는 판단이다. 또한 현재 발주된 선박에 대한 계약 취소도 가능성이 낮다. 다만 향후 글로벌 선사들이 중국 조선소 향 선박 발주를 멈출 가능성은 있다. 현재 컨테이너선/벌크선 오더북 중 70%가 중국 조선소 향 발주임을 감안하면 3~4년, 즉 현재 오더북 내 선박 인도가 종료되는 시점 이후 공급 환경이 호전될 가능성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컨테이너선: 공급 압력 완화 시점이 당겨진다
컨테이너선 오더북은 2025년 3월 기준 약 850만 TEU인데, 이 중 중국 건조 비중은 70% 이상이다. 2024년 컨테이너선 인도량은 약 290만 TEU였는데, 이는 현존 조선소의 최대 생산능력에 가깝다. 중국을 제외하면 연간 글로벌 컨테이너선 최대 인도량은 100만 TEU로 예상한다. 관건은 해체량인데, 근 5년간 높았던 운임으로 인해 컨테이너선 연간 해체량은 10만 TEU 수준이었고(2010년~2019년 평균은 30만 TEU), 평균 해체 선령은 30년에 근접할 정도로 상승했다. 25년~30년 전의 선박 인도량이 연간 50만 TEU 수준이었고, 그간 이연된 해체량까지 감안하면 더 많을 수 있기 때문에 만약 중국 조선소 발주가 중단된다면 3~4년 이후 컨테이너선 공급 압력은 완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이미 오더북 비중이 매우 높은 수준이고, 수에즈 운하 통항이 재개된다면 공급이 10% 추가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공급 완화 효과는 장기적으로 보아야 한다. 향후 USTR 규제로 인해 글로벌 컨테이너 선사들이 중국 조선소 향 발주를 중단한다면, 컨테이너선 공급 과잉 구간의 종료 시점을 장기적으로나마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HMM의 밸류에이션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벌크선: 미국의 제재안 영향 크지 않을 것
벌크선 오더북 중 중국 건조 비중 역시 70% 이상이다. 심지어 벌크선 오더북은 현재 선복량 대비 10% 수준에 불과해 공급 압박이 적지만, 벌크선사가 중국 내 건조를 포기할 가능성은 낮다. 벌크선 중 대부분이 중국 내에서 건조되는 반면, 벌크선 중 미국 물동량은 10% 미만으로 낮기 때문에 입항 패널티 영향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오히려 중국 조선소는 타 선종 대비 미국 제재 영향이 비교적 적은 벌크선 수주를 확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중국 조선소의 수주 동향에 대해서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전문: https://bit.ly/4iol272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17.04.202523:16
미국, 중국산 선박 이용 해운사에 美입항 수수료 부과 결정
https://naver.me/GbD3xJdP
03.04.202522:54
4/4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BDI 1540pt로 전일대비 2.7% 하락했습니다.

제주항공, 항공기 엔진 교체…"정비 매뉴얼 따라 실시"
https://naver.me/F3TnlE67

양밍해운, 불황 속 대규모 선박 발주… 미래 항로 선점 포석
http://m.g-enews.com/view.php?ud=20250403074838545fbbec65dfb_1

[마켓파워] 영구채 털어내는 HMM… 최원혁 대표, 남은 과제는
https://m.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3010002167

"믿을 수 있는 중고차" 롯데렌탈, 부천 '중고차' 매매센터 오픈
https://naver.me/Fr7mGRbZ

Airline, Cruise Stocks Dive as Tariffs Threaten Travel Demand
https://www.wsj.com/business/airlines/airline-cruise-stocks-dive-as-tariffs-threaten-travel-demand-c5c670c6
01.04.202522:54
4/2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BDI 1587pt로 전일대비 0.7% 하락했습니다.

전국공항 하계 정기 항공편 확정…국제선 246개 노선 운행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401_0003121979

아시아나항공, 인천∼프라하 취항…주 3회 운항
https://www.yna.co.kr/view/AKR20250401050100003?input=1195m

제주항공, 프리미엄 이코노미석 할인…편도 20만원대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40116160929762

"항공업 쉽지 않네"…결합심사 난관 맞은 소노, 5월이 분수령
https://naver.me/5N1D8xIc

‘7번째 항공기 들여와’…에어프레미아, 미주 등 운항 일정 확대
https://naver.me/G65EVHK6

[영상] 한화오션, 2조원 '잭팟'…초대형 컨테이너선 사상 최고가 기록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85180
17.03.202508:58
운송(Overweight): 항공주 주가 박스권 탈피 언제쯤 가능할까?
[하나증권 운송/모빌리티 Analyst 안도현]

■미국 항공주 주가 하락세 지속, 대한항공도 일부 영향
최근 델타항공/아메리칸항공 등이 2025년 1분기 가이던스를 하향조정하면서 미국 내 항공주 주가 하락을 야기했다. 델타항공은 기존 제시했던 1분기 매출 성장률 7~9%을 3~4%로 하향했고, 영업이익률도 6~8%에서 4~5%로 하향 조정했다. 아메리칸항공도 1분기 매출 성장률 3~5% 대신 YoY Flat 수준으로 가이던스를 하향했고, 1분기 손실폭도 추가될 것으로 전망 중이다. 이를 계기로 미국 경기침체에 따른 항공여객 수요 감소 우려가 제기되면서 미국 항공산업 주가는 한달 사이 20% 이상 하락했다. 이 과정에서 국내 항공주, 특히 미주 여객 노선 매출 비중이 37%인 대한항공의 주가도 일부 영향받는 모습이었다. 다만 미국 내 항공 수요와 대한항공의 미주 노선 수요는 분리해서 접근해야 하는데, 한국의 아웃바운드 항공 수요는 양호하고, 대한항공의 미주 노선 수요처 중 출장/유학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2024년부터 항공사 간 주가 흐름 차별화, 관건은 밸류에이션
항공사는 글로벌 경기 민감도가 높은 산업이기 때문에 실적과 주가의 움직임이 국가를 막론하고 유사하게 전개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팬데믹 이후 글로벌 항공사의 주가는 비슷한 흐름을 보여왔는데, 2024년을 기점으로 개별 기업의 주가 흐름은 차별화 되고 있다. 특히 2024년 하반기 이후 미국 항공주의 주가 상승이 가팔랐는데, 실적 추정치의 상향보다는 미국 경기 호조 및 프리미엄 항공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한 멀티플 상승이 주요했다. 반면 대한항공의 주가는 박스권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는데, 실적 추정치의 지속 상향에도 불구하고 밸류에이션이 하락세를 거듭하고 있는 모습이다. 현재 대한항공의 개별실적에 대한 우려감은 크지 않다. 현재 밸류에이션을 제약하는 것은 1)소비심리 둔화 및 고환율 지속에 따른 항공여객 수요 우려, 2)아시아나항공 별도 실적에 대한 우려, 2가지로 해석한다.

■Top Pick: 대한항공, 편안한 주가
현재 대한항공은 매수가 편안한 구간이다. 현재 대한항공의 12MF P/E는 6배대로 역사적 저점이고, 주가도 박스권의 최하단을 기록 중이기 때문에 추가 하락 가능성이 낮다. 또한 대한항공은 견조한 프리미엄 수요를 기반으로 높은 여객 운임을 유지할 전망이고, 아시아나항공 합병비용(주로 PPA 상각비용 및 시스템 통합비용)도 연간 1,000억원 수준으로 추산되기 때문에 실적 영향은 제한적이다. 관건은 아시아나항공의 별도 실적인데, 작년 아시아나항공의 영업이익은 BEP 수준이었고, 올해도 유사한 수준을 예상하는 바, 아시아나항공이 IS에 연결편입된다고 해서 EPS 하락 여지는 크지 않다는 판단이다. 대한항공의 밸류에이션은 1)항공 수요가 FSC 위주로 증가하고, 2)연결 실적의 견조함을 증명하면서 1분기 이후 차츰 상향될 것으로 예상한다. LCC의 여객 운임은 경쟁심화 등 요인으로 YoY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는데, 당분간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실적 가시성이 높고, EPS가 우상향되는 기업을 선별하여 매수를 추천한다.

전문: https://bit.ly/3FAFnrE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10.03.202508:41
운송(Overweight): 2월 인천공항 수송실적: FSC 위주 여객량 증가 뚜렷
[하나증권 운송/모빌리티 Analyst 안도현]

■2월 인천공항 여객수송실적 +5%, 1~2월 합산 +9%
2월 인천공항 여객수송실적은 5% (YoY) 증가한 597.0만명을 기록했다. 2024년과의 설날 기간차 영향을 제거한 1~2월 합산 여객수송실적은 전년 대비 9% 증가하며 여전히 강한 여행수요를 반증하고 있다. 1~2월 합산 일본/동남아/중국 여객수송량이 12%/3%/24% (YoY) 증가했고, 미주/유럽 지역의 여객수송량도 각각 12%/3% 증가했다. 1~2월 합산 인천공항 환승객은 127만명(+8% (YoY), 비중 10.2%)이었다.
항공사별 2월 여객수송실적은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이 전년 동월 비 5%/13% 증가했고(1~2월 합산 +10%/+18%), 진에어/티웨이항공도 3%/4% 증가했다(1~2월 합산 +6%/ +6%). 반면 제주항공은 2월 여객수송실적이 16% (YoY) 감소했고, 1~2월 합산으로도 15% 감소했다.

■2월 인천공항 화물수송실적 21.2만톤(-0% (YoY))
2월 인천공항 화물수송실적은 0% (YoY) 감소한 21.2만톤을 기록했다. 1~2월 합산으로는 전년 대비 1% 감소한 것이다. 중국/동남아 지역 수송량이 0%/3% (YoY) 증가했고, 미주/유럽은 4%/11% 감소했다.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의 2월 화물운송실적은 각각 -7%/+10% (YoY) 변동했다.

■연초 여객/FSC 위주 신장세
2025년 1~2월 합산 인천공항 여객수송실적은 전년 대비 9% 증가했고, 환승여객수송량도 8% 증가하며 항공 수요에 대한 우려는 일정부분 완화되었다고 판단한다. 특히 LCC 대비로도 FSC의 신장세가 가파른데, LCC에 대한 비선호보다는 FSC의 기저가 상대적으로 낮았고, 더불어 미주/중국 지역 여객 수요 증가 영향으로 해석한다. 항공화물 관련해서도 트럼프 취임 이후 관세 정책과 씨커머스 제약 가능성 등 불확실성은 상존하나, 현재의 항공운임 QoQ 하락은 계절성 영향이 크고,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도 운임은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항공화물의 공급자 우위 시장이 건재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항공산업에 대한 Overweight 의견과 Top Pick 대한항공을 유지한다.

전문: https://bit.ly/3QTAvjE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득함]
05.03.202522:52
3/6 운송/모빌리티 주요 뉴스
[하나증권 안도현]
BDI 1228pt로 전일대비 2.7% 하락했습니다.

미국발 중국해운 제재, 운임 25% 올려
https://m.naeil.com/news/read/540001?ref=naver

中, 147조원 인프라 투자·260조원 장기 국채 발행 [중국 양회]
https://naver.me/FSwZ5KiU

美백악관 "멕시코·캐나다산 수입車 관세 한 달 면제" 공식 발표
https://naver.me/GEXEwslX

파나마 대통령, 트럼프 '운하 환수 중' 발언 반박…"또 거짓말"
https://naver.me/GQ1n3qUB
दिखाया गया 1 - 24 का 33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