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coin Community
Notcoin Community
Whale Chanel
Whale Chanel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Whale Chanel
Whale Chanel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NS
Nihil's view of data & information
NS
Nihil's view of data & information
अवधि
दृश्य की संख्या

उद्धरण

पोस्ट
रिपोस्ट छिपाएं
24.02.202512:45
※ 민주당 이재명 대표, 삼프로TV 대담 중 정책관련 내용 : AI와 재생에너지

정치적 견해를 떠나 유력한 인사의 정책에 대해 살펴 보고 그 가운데서 투자 아이디어를 찾아 나가는 것은 투자자로서 당연히 취해야 하는 자세라고 생각합니다.

트럼프에 대한 호불호가 있다해도, 트럼프 당선 이후 관련 정책주에 뒤늦게 뛰어드는 것보다 남들이 관심이 적을 때 먼저 준비하는 것이 차후의 투자수익률을 높이는 길이기도 합니다.

삼프로의 경우 경제채널로 다른 방송보다 좀 더 경제적 이슈 그리고 정책적 이슈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으며, 방송 내용 중 정책에 관련된 부분만을 간단하게 정리해 봅니다.

AI산업과 재생에너지가 당장 투자가 시급한 산업임을 다시 한번 확인해 볼 수 있었으며, AI와 재생에너지 그리고 전력시스템은 각기 떨어진 주제가 아닌 매우 밀집하게 서로 연관되어 있는 산업으로 향후 한국 주식시장에 큰 화두가 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참고로 한국이 1년에 수입하는 에너지의 규모는 화석에너지를 중심으로 약 300조원 규모이며, 이를 일정부분 재생에너지를 통해 대체함으로써 경제적 효과와 에너지 안보를 높이고자 하는 의도로 보이며,
타 방송을 통해서 이를 위한 재원마련으로 지난 정부의 BBIG와 같은 펀드를 조성하거나 “햇빛연금”과 같이 국민들이 직접 투자하고 투자금을 연금형식으로 돌려받는 등의 여러 방안들을 구상 중인 것으로 보여집니다.

투자자로서 이러한 것들이 의미하는 바를 남들보다 먼저 생각하고 투자에 참고하는 것도 좋은 투자자로서의 자세라고 생각합니다.


○ 이재명 대표가 지금 한국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산업정책

현재 한국 경제 상황 하에서 정부의 역할이 이전보다 중요해 졌음.

지금 당장 정부가 나서서 투자해야하는 산업은 AI산업과 재생에너지 산업임


1) AI 중심의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

제조업의 전환이 필요함. 기존의 대량생산 체제로는 더 이상 중국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가 없음.
제조업에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그 가운데서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것도 필요
생성형 AI보다는 응용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실제 산업에 적용



2) 재생에너지

이재명 대표 개인적인 관심이 있는 부문으로 화석연료 수입대체로서 재생에너지산업이 비전이 있다고 판단.
재생에너지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
구체적으로 태양광, 풍력, ESS, 송배전망에 대한 투자



○ 기타

트럼프 정부는 중국 견제를 위하여 기존 적대국인 러시아와 협력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판단.
이러한 흐름 속에서 북한과의 관계도 개선하여 중국을 포위하는 전략도 가능함.

https://www.youtube.com/watch?v=SBvyzcJIbrY
23.02.202505:51
※ 글로벌 전력설비, 신재생에너지, 2차전지, ESS 및 휴머노이드 로봇, eVTOL 시장 동향

● 글로벌 전력설비 시장 동향


전력 설비 측면에서 2025년은 전력망 투자가 크게 증가하는 해가 될 것임.

신재생에너지 증가로 전력망의 병목현상이 증가하고 있고, AI의 성장은 전력 수요를 더 증가시키고 있음.

1) AI 등 새로운 산업으로 전력 수요가 증가하여 전력 장비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2)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은 전력망에 부하 압력을 가중시키고, 이는 글로벌 전력 인프라 건설을 촉진하고 있음. 또한 업그레이드 및 교체 수요 가속화로 글로벌 전력망 투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글로벌 ESS 시장 동향

ESS 측면에서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전력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2025년에도 높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임.

1) 전력거래시장의 활성화, 보조 서비스 시장의 성장은 대용량(그리드급) ESS와 연결되어 관련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임.
2) 가상 발전소와 같은 스마트 그리드 건설은 상업용 ESS 시장 성장으로 이어질 것임.
가상 발전소의 건설은 상업용 ESS의 수익률을 증가시키고, 다운스트림 산업 및 상업용ESS에 대한 투자자들의 인식을 개선시킬 것임.
3) 가정용 ESS는 재고 감소가 점차적으로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음.
여름철 전력 수요 성수기가 다가오면서 가정용 ESS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임.


● 글로벌 태양광 시장 동향

유럽 태양광 수요가 지속적으로 높은 상황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재고 감소가 기대되고 있음.
중국은 태양광 발전소 수요가 높고, 신흥시장의 태양광 수요도 높은 상황임.
태양광 제품의 낮은 가격이 글로벌 태양광 수요를 더욱 촉진시키고 있으며, 비용절감으로 인해 설치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기대됨.

기술 측면에서, TOPCon은 주류 태양광 모듈로 대규모 양산을 하고 있으며, ABC와 HJT와 같은 신기술이 적용된 모듈 생산도 가속화되고 있음.
이러한 신기술의 적용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새로운 동력이 될 것임.


●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동향

스마트 팩토리의 확산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의 생산시설 적용이 먼저 실현될 것으로 기대됨.

2025년 2월 21일 중국 공신부(공업정보화부)는 제 13차 제조업 기업 간담회를 개최하고 로봇 산업 발전 가속화와 고성능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거라고 발표하였음.

미국의 Figure는 감지, 언어 이해 및 학습 제어를 통합하는 로봇 기술을 위한 맞춤형 Ai모델인 Helix를 출시하였음.


● 글로벌 eVTOL 시장 동향

중국은 저공항공기분야(고도 1,000m 이하의 저고도 공역을 활용하는 항공분야로, 드론, UAM, eVTOL, 경량항공기 등 다양한 저고도 비행체를 활용하여 물류 및 여객운송, 항공촬영, 재난감시, 농업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를 적극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2025년 2월 14일 “전국 저고도 교통 단일화 네트워크”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시작하였음.

이를 통해 eVTOL의 시행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됨.

자료인용 : CinDa Securities 발간 “전력설비 및 신재생에너지 산업 주간 보고서” (2025. 02. 22)


● 2025년 1월 중국 전기차 생산 및 판매량

춘제 연휴에도 불구하고 1월 중국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증가하였음.

중국 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2025년 1월 중국 전기차 생산과 판매는 각각 101.5만대, 94.4만대로 전년동월대비 각각 29%, 29.4% 증가하였음. 전월대비로는 각각 33.7%, 40.9% 감소하였으나 이는 계절적요인에 따른 것임.

순수 전기차 판매량은 57.4만대로 전년동월대비 29.1% 증가하였으며, PHEV 판매량은 37만대로 전년동월대비 30% 증가하였음.

전기차의 침투율은 38.9%로 전년동월대비 9 pct 증가하였음.
1월 중국의 전기차 수출은 15만대로 전년동월대비 49.6%, 전월대비 12.6% 증가하였음.
전체 자동차 수출 중 전기차의 수출 비중은 31.9%를 기록하였음.

2025년 중국 전기차 시장은 안정적 성장세를 이어가 연간 판매량은 1,5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이는 전년대비 20% 이상 증가한 수치이며, 전기차의 침투율은 5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됨.

자료인용 : DongGuan Securities 발간 “리튬배터리 산업 동향” (2025. 02. 19)
19.02.202515:08
※ 미래 전력산업의 필수적 방향성 :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

AI는 전력시스템의 발전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전력산업에 있어 AI의 발전은 스마트그리드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비약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기존 대형 발전소에 의존하는 집중식 전력시스템에서 보다 전력낭비가 덜하고 전력 수요자 중심의 시스템에 적합한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 중심의 전력 시스템을 가능하게 해주며, 태양광과 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분산형 전력시스템을 골자로 하는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도 AI의 발전으로 더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

○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의 개념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의 본질은 분산형 전력 시스템임.
미래 분산형 전력 시스템은 반드시 AI 방향으로 발전해야 하며,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 분산형 전력 시스템,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는 하나의 개념으로 포괄될 수 있음.
분산형 전력시스템은 전기를 메인으로, 다양한 에너지원을 서로 보완하고, 궁극적으로 AI화 하는 것임.
또한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와 기존 “집중식 스마트 그리드(중앙 집중형 전력 시스템)”는 상호 보완 관계에 있음.

전통적인 전력시스템에 비해 재생에너지와 같은 새로운 전력시스템은 그 운용방식과 구조가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음.
바람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는 어디에나 존재하기 때문에 전력원이 대형 발전소에 국한되지 않고 어디서든 전력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음.
전통적인 전력시스템은 상하 수직적 통합 관리 방식이나, 새로운 전력시스템은 계층적 클러스터링(Hierarchical Clustering)로 전환되고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가 적용 됨.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는 흔히 마이크로 그리드라고 불기기도 함.
전력원, 전력망, 부하, 에너지 저장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원망하저장(전력원+전력망+부하+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특징은
1) 소형이고 분산되어 있으며
2) 저탄소 녹색에너지를 전력원으로 하며
3) 기본적으로 자가 균형 능력을 가진 미세 균형 시스템임.
4) 또한 높은 수준의 AI화가 필요함.


○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와 기존 그리드(전통적 집중식 그리드)의 차이점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와 기존 그리드의 차이는 명확한데,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는 신재생에너지를 우선으로 하여 전력시스템을 구현하며, 전력시스템 인근에서 구할 수 있는 소규모 전원(태양광, 풍력 발전)에서 구할 수 있는 전기를 기본으로 함.

분산형 전력망은 일반적으로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이뤄져 주요 전력 시스템이 스마트하게 연결(스마트 그리드)되어야 함.
이는 대형 전력생산업체의 독점적 전기 공급에 대한 의존성에서 벗어나 재생에너지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전력시장의 공정한 경쟁에 기여할 수 있음.

전통적인 전력 시스템은 주로 집중식 발전과 대규모 송전에 의존하지만,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는 더욱 유연하고 스마트한(AI의 적용) 전력 분배 방식임.
전력의 생산 및 송배전, 소비(부하)를 더욱 긴밀하게 연결하여 에너지 사용을 더욱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게 하며, 전력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참여와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음.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는 첨단 정보통신 및 IT기술을 기반으로, 태양광 패널과 풍력 터빈과 같은 발전 장비를 다양한 지역에 설치하여 전력생산을 집중적 방식에서 분산 방식으로 전환함.
이러한 분산형 발전 모델은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더 잘 활용하고,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임으로써 탄소배출을 감소할 수 있음.


○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의 장점

전통적인 집중식 발전에 비해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는 여러 장점을 지니고 있음.

1) 더 높은 에너지 이용률
분산형 전력망은 다양한 에너지 원을 더 잘 활용하여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이를 통해 에너지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음.

2) 더 낮은 탄소 배출
분산형 전력망은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이는 글로벌 기후변화를 완화하는데 도움이 됨.

3) 더 높은 신뢰성
분산형 전력망의 각 노드에는 자체적인 전력원이 있으므로 대형 발전소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노드 간의 상호 지원을 통해 전력 시스템의 정상적인 운영을 보장할 수 있음.

4) 더 나은 경제적 효과
분산형 전력망의 건설 비용은 비교적 높지만, 장기적으로 에너지 비용을 줄이고 더 경제적인 전력 시스템을 구축하여 경제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음.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의 핵심은 AI화 된 에너지 관리 시스템임.
실시간으로 에너지 수요와 공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함으로써 시스템은 에너지 분배를 최적화하고 더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을 실현할 수 있음.
또한 스마트 그리는 자체적인 관리 및 복구 기능을 가지고 있어 자동으로 문제를 감지하고 이를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어 그리드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


○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요구조건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하는 여러 난관이 존재함.

1) 복잡성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의 건설과 운용은 상대적으로 복잡함.
이는 여러 전력원과 ESS 및 소비자(부하) 간의 긴밀한 조정을 위한 통합 운영 시스템을 위한 첨단 IT 기술 및 제어 시스템이 필요함. (AI의 적용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

2) 비용과 기술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 모니터링, 관리 및 제어를 위해 스마트 미터, 센서, 통신 장비 등의 기술을 광범위하게 채택해야 함. 이를 위해 많은 투자와 기술지원이 필요함.

3) 보안 및 프라이버시 문제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는 대량의 데이터 교환과 통신을 포함하기 때문에 보안 및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함.
적절하게 보호되지 않는 데이터는 해커의 공격을 받을 수 있으며, 동시에 개인 정보가 침해될 수 있음.
이를 위해 시스템 구축 및 운영 과정에서 정책과 법률의 제한과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한 보완 정책이 필요함.

4) 자금 및 투자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를 구축하고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대규모 자금과 투자가 필요함.
여기에는 기존 전력망 인프라를 업데이트하고 통합하는 것, 그리고 새로운 기술과 장비를 배치하는 것이 포함됨.
이는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줄 수 있음.

5) 네트워크 신뢰성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는 각 구성 요소 간의 협력 작업을 위해 신뢰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가 중요함.
네트워크 중단이나 고장은 전력 시스템의 불안정이나 중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의 신뢰성과 회복력이 보장되어야 함.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는 미래 전력 산업의 필수적인 방향성임.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향하고,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스마트한 전력 분배 및 관리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분산형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참여와 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음.


https://power.in-en.com/html/power-2433299.shtml
18.02.202507:40
※ 중요한 원자재에 대한 수요가 높은 상태에서, 공급망을 확보하고 이러한 자원들을 확보하기 위해 미국 국방부가 하고 있는 것은 충분한가? (From U.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2024. 09. 12)

● Critical Materials Are In High Demand. What is DOD Doing to Secure the Supply Chain and Stockpile These Resources?

티타늄, 탄탈륨, 텅스텐과 같은 원자재는 많은 미군 무기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임.
티타늄은 유니크한 고성능 전투능력을 가능하게 해주는데, 예를 들면 티타늄은 강하고 가벼운 금속으로 다양한 기후에서 사용되는 무기들의 부식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줌.

이러한 물자들이 미군에게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우 이들 물자들이 미군과 경쟁적 관계에 있는 국가들에 의해서 통제되어지고 있으며 이는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험에 빠뜨림.

본 게시글에서는 이러한 중요 자재의 공급망 접근 위험을 줄이기 위한 미국 국방부의 노력에 대한 새로운 보고서를 분석할 것임. 또한 국방부가 이러한 중요 자재들을 어떻게 비축하고 있는지에 대한 다른 보고서도 살펴볼 것임.


○ 중국은 미국 국방에 필요한 중요 원자재 공급을 통제하고 있음.

스마트폰, 자동차, 태양광 패널, 국방 프로그램의 공통점은 이들 모두 미국에 충분한 매장량이 없거나 생산되지 않는 중요 원자재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임.

이러한 중요 원자재의 공급망은 글로벌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중국이 이들 물질의 채굴과 가공을 주도하고 있음.

예를 들어,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원소 공급량의 거의 70%를 채굴하고 있는데, 네오디뮴은 전쟁과 같은 매우 혹독한 환경에서 작동되는 영구자석을 만드는데 사용됨.

이러한 중요한 물질을 미국에서 채굴하지 않는 이유는, 지난 40년간 미국은 희토류 채굴 능력이 약화되었기 때문임.
중국과 같은 국가들에서 낮은 가격에 채굴을 진행하였으며, 환경 오염부문도 큰 영향을 미쳤음.
국방부 관계자에 따르면, 미국은 중국보다 엄격한 환경규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은 희토류 및 기타 중요 원자재를 더 저렴한 비용으로 채굴하고 처리할 수 있었음.

중국에 대한 의존도는 극복해야 할 도전과제임.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미국은 전체 희토류 소비량의 95%이상을 수입하였으며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되어졌음.

만약 중국이 희토류를 더 이상 미국에 판매하지 않기로 결정하면 대안을 마련해야 하는데, 안타깝게도 미국은 이러한 원자재에 대한 대체품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
미국 지질조사국에 따르면 희토류를 대체는 성능과 더 높은 생산비용으로 대체하기 쉽지 않음.


○ 미국 국방부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중요한 원자재의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보고서를 보면, 국방부는 중요 물자에 대한 적대국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여러 노력들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러한 노력 중 일부는 의회의 협력이 필요함.
2019년부터 미국 의회는 특히 중국, 이란, 북한 또는 러시아에서 조달되는 국방부의 중요한 물자에 대한 여러 제한 사항을 만들거나 확대해 왔음.


○ 미국 국방부의 중요 물자 비축 및 한계

국방부는 국방과 민간에 필수적인 물자를 비축하고 있음.
이 국방 비축물에는 티타늄과 리튬이온 배터리를 만드는데 필요한 원자재 등이 포함되어져 있음.

최근 GAO의 Bill Russell과 함께 국방부가 어떤 물자를 비축하고 이것들을 관리할 것인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음.

2024년 9월 보고서에서 국방부의 물자 비축과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음.
예를 들어, 국방부는 국가 안보에 중요한 물자의 거의 절반이 부족하다고 보고 있는데 이에 대한 데이터 조차 가지고 있지 못함. 또한 물자 방출에 대한 기준도 확정해 놓고 있지 못함.

https://www.gao.gov/blog/critical-materials-are-high-demand.-what-dod-doing-secure-supply-chain-and-stockpile-these-resources#:~:text=Since%202019%2C%20Congress%20has%20created,that%20are%20sourced%20from%20China%2C
※ AI 데이터센터 전력공급 및 배전시스템

● AI 데이터센터 전력시스템 구성


1. 서버랙 내 전원 (AI 서버 전원) : 전원의 전력 밀도 업그레이드

2. 서버랙 외부 전원 (UPS/HVDC) : 서버랙 외부 전원은 배터리(UPS)와 신기술인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고압직류) 기술이 적용됨.

3. AI 데이터센터 배전 : 배전 단계는 전체 AI 데이터센터 내 전력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하며, 전력이 모듈화되는 추세는 배전 단계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음.

4. 냉각 시스템

5. 예비 전원 : 백업전력으로 디젤 발전기 등을 사용


● AI 데이터센터 전력공급 및 배전 시스템

일반적으로 중요한 데이터센터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를 사용하며, 10kV 대규모 전력 시스템이 데이터 센터 서버의 끝 부분을 통해 연결 됨.
일반적으로 두 가지 전원 공급장치는 동시에 서로 백업 상태에 있어, 한쪽에 정전이 생길 경우 다른 쪽에서 부하량에 맞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음.

데이터센터의 전력 및 배전시스템은 중압 개폐장치, 변압기, 저압 배전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전반은 UPS로 들어가고, 정류(교류인 AC를 직류인 DC로 변환)를 통해 PDU로 최종 분배되어 각 서버에 분배됨.

자료인용 : MinSheng Securities 발간 “AI 데이터센터 : 전원, 배전, 냉각시스템” (2025. 02. 12)
※ 2024년부터 2026년까지 글로벌 데이터센터향 신규 전력수요 47GW 전망

SemiAnalysis의 데이터에 따르면, 글로벌 데이터센터향 전력 수요는 2023년 49GW에서 2026년 96GW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기간 CAGR은 25.1%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 동안 새롭게 추가되는 47GW의 전력 수요 중 AI 데이터센터가 40GW로 전체 데이터센터향 전력수요의 85%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 됨.
향후 대규모 AI 컴퓨팅의 수요로 AI 데이터세터의 대폭적인 성장을 촉진시킬 것임.

자료인용 : KaiYuan Securities 발간 “전력설비 보고서” (2025. 02. 06)
24.02.202508:24
※ 글로벌 발전시장의 메인 발전원이 된 태양광 발전과 한화솔루션

현재 미국에서 가장 빠르고 압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전력원은 태양광 발전입니다.


미국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의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미국의 신규 설치 발전 용량 중 태양광 비중은 73.91%를 차지하였습니다. (가동 기준으로는 81%)
풍력은 8.8%, 가스발전은 5.2% 순이며 그 외, 수력, 지열, 바이오매스가 소규모로 설치되었습니다.

이는 미국 뿐 아니라, 중국, 유럽을 비롯한 글로벌에서 비슷하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앞으로도 태양광 발전이 글로벌 메인 전력원으로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는 이유는,

1) 태양광 발전 설치비의 대폭적 감소

지난 2022년 2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촉발된 글로벌 전력가격 급등으로 태양광 모듈 가격도 함께 급등하였으나, 중국의 대규모 태양광 밸류체인 증설로 인하여 국제 태양광 제품 가격은 급락하였습니다.

미국의 태양광 모듈 가격은 2022년 고점이었던 W당 USD 0.4에서 현재 W 당 USD 0.24로 절반 가까이 하락하였으며, 중국은 W당 2.22위안에서 현재 0.6위안으로 약 70%하락하였고, 유럽 또한 USD 0.28에서 현재 0.08로 70%하락하였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가격 하락은 태양광 발전의 가격 경쟁력을 급속도로 높이면서 태양광 설치 또한 급격하게 늘어났습니다.

2) 가장 빠른 설치기간

태양광 발전은 타 발전원(풍력, 석탄, 원전, 가스 등) 대비 설치기간이 6개월에서 1년으로 매우 짧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나마 상대적으로 짧은 가스발전의 설치기간이 2-3년, 육상풍력은 1-2년, 석탄발전은 5년, 원전은 10년 이상으로 지금 당장 필요한 전력수요를 바로 대응할 수 있는 전력원으로 태양광 만한 전력원이 없는 상황입니다.

미래 전력계통의 고른 발전을 위하여, 중장기적인 발전원의 믹스는 필수적이지만 당장 급한 전력을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력원은 태양광입니다.

3) ESS의 경제성 및 안전성 상승

태양광의 가장 큰 문제는 간헐성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백업발전(주로 가스발전 또는 석탄발전)이나 에너지저장 시스템(양수발전이나 BESS)이 필수적입니다.
때문에 태양광은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는 비용 부담이 높은 전력원이었고 이로 인해 2020년 이전에는 메인 발전원으로서 다소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하였습니다.

그러나 LFP를 활용한 ESS의 대규모 양산과 가격 하락은 태양광 발전의 최대 문제점이었던 간헐성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해결책이 되었고 ESS의 확대는 태양광 발전의 확대의 직접적 원인이 되었습니다. 또한 LFP배터리를 활용한 ESS는 특성상 삼원계 ESS보다 안전하고 장수명에 장점을 지녀 그리드용 ESS로 적합합니다.
참고로 ESS용 LFP배터리의 가격은 wh당 0.29위안 (전기차용 LFP배터리는 wh당 0.41위안)으로 2022년 wh당 1.3위안 대비 70%가까이 하락하였습니다.


태양광 발전산업은 지난 코로나 팬데믹과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후 드라마틱한 변화가 있었으며 현재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발전원으로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발전원입니다.


● (김동관의 퀀텀점프) 준비된 태양광에 ‘서광’ 결국 미국서 일낸다 (아시아투데이, 2025. 02. 23)

미국에서는 생성형 AI로 촉발 된 데이터센터 투자 열기가 막대한 태양광 에너지 수요를 만들어 내고 있음.

한화솔루션은 미국에서 중국(주로 동남아 중국업체들)의 저가 태양광 모듈 공세 속에서도 오히려 생산능력을 확대하였고, ‘페로브스카이트-결정질 실리콘 탠덤 셀’을 자체 개발 해 세계 최고 수준인 28.6%효율의 태양광 모듈을 만들어 내고 있음.

2025년 하반기 미국 조지아주 달튼과 카터스빌에 위치한 한화솔루션의 ‘솔라 허브’가 대규모 양산에 돌입할 예정임.
3조원 이상 투자된 ‘솔라 허브’에서는 잉곳, 웨이퍼, 셀, 모듈로 이어지는 생산라인을 통해 통합된 태양광 밸류체인을 구축할 계획임.

현재 한화솔루션의 미국 생산시설은 연간 8.4GW의 모듈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북미 최대규모임.

케미칼 부문도 AI 데이터 센터 증설에 따른 전력기자재 수요 급증으로 초고압 케이블 소재 생산역량을 확대하고 있음.
2022년 국내 최초로 상업화에 성공한 반도전 기초 원료인 EBA(초고압 케이블용 소재, Ethylene Butylacrylate Copolymer)를 사용하여 2024년 E/HV급 반도전 컴파운드 생산설비를 8,000톤으로 증설하여 한화컴파운드 여수 공장에서 상업생산을 시작하였음.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23010011994
22.02.202510:14
※ 희토류 영구자석 및 기타 필수 부품에 대한 탈중국 공급망 구축이 없는 피지컬AI는 허상에 불과함.

Can the next hot drone robotics or eVTOL company really tell investors with a straight face that the rare earth magnets or other essential components come solely from China?
(MP Materials 2024년 4분기 컨콜 내용 중)

“차세대 드론 로봇 또는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 업체들이 투자자들에게 희토류 영구자석이나 기타 필수 부품이 중국에서만 생산된다고 솔직하게 말할 수 있을까?”


휴머노이드 로봇, 드론, 자율주행, 방위산업과 같은 피지컬 AI 관련 산업이 미국 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시장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서구권의 AI산업은 딥런닝/머신러닝, NLP(LLM/SLM), 여러 AI기반 소프트웨어와 GUP, HBM과 같은 하드웨어에 이르기까지 높은 수준의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피지컬 AI가 주목 받으면서 제조역량과 공급망 부문에서의 취약성을 그대로 노출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매우 시급한 상황입니다.

아무리 우수한 소프트웨어 및 컴퓨팅 파워를 갖추고 있다해도, 휴머노이드 로봇, 드론, 군사무기, 전기차/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제조역량과 그에 따른 공급망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면 미국의 피지컬 Ai는 허상에 불과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피지컬 AI 분야에서 중국의 제조역량과 공급망 장악은 매우 우려되는 사항으로 탈중국 공급망의 구축이 그 어느때보다 시급한 상황입니다.
그리고 그 중 희토류와 영구자석은 서방의 공급망 취약성을 대표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테슬라, Open AI, 메타, 애플 등과 같은 거대 기업들이 수백만대에 달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지만, 중국에 이를 의존할 수는 없습니다.
희토류 영구자석이 없이 피지컬 AI 생태계 구축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견해는 이번 2024년 4분기 MP materials의 컨콜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P Materials 컨퍼런스 콜에서 언급된 희토류 영구자석의 중요성 : 패권전쟁과 방위산업, 피지컬 AI

희토류 산업은 오랫동안 중국의 보조금과 수출통제 및 여러 비시장적 매커니즘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극심한 시장 왜곡의 대상
이었음.

ATMOS Research에 따르면, 로봇, 방위, 산업 시스템 등 여러 산업에 AI 자동화가 실제적으로 응용되고, 전기화 및 피지컬AI에 힘입어 2040년까지 NdFeB 자석에 대한 글로벌 수요는 3배로 증가할 것임.
이는
희토류에 대한 중국의 지배력과 관련된 지정학적 위험이 증가되고 있음을 나타냄.

전기차 외에도 영구자석은 로봇, 드론 심지어 eVTOL에도 사용 될 수 있어, 이는 피지컬AI를 위해 전세계가 경쟁하는 가운데, 미국에게 희토류 영구자석 공급망에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음.

고성능 네오디뮴 영구자석 양산에 성공하게 된다면, 피지컬AI 및 기타 중요한 사용처들로 인해 기회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강력한 기반을 제공하게 될 것임.

더욱이 피지컬 AI 시대가 가속화 함에 따라, 국가 안보에 대한 고려는 그 어느 때보다 커질 것이며 희토류 영구자석 분야는 다른 어떤 전기화 응용 분야보다 더욱 중요해질 것임.
우크라이나에서 중동에 이르는 오늘날의 전쟁은 이미 전통적인 제트기간의 도그파이팅이 아닌, 드론, 센서, AI 기반 로봇 네트워크에 관한 것임을 증명하였음.

현재 월스트리트와 자본 시장에서는 국방기술, 로봇공학, 피지컬AI에 대한 엄청난 열정을 보이고 있지만 이들에게 다시 한번 상기시키고 싶은 것은, 강력한 패권경쟁(Great Power Competion)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차세대 혁신에 관한 것 뿐만 아니라 이러한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공급망을 확보하는 것이기도 함.

차세대 드론, 로봇 공학이나 eVTOL 업체들의 투자자들에게 희토류 영구자석이나 기타 필수 부품이 중국에서만 생산되고 있다는 것을 솔직하게 말할 수 있는지 묻고 싶음.

현재 피지컬 AI와 관련된 주식시장에서 보여지는 여러 흥미로운 성장 사례 중 상당수는 매우 제한적이거나 비중이 없는 경우가 많음.

희토류 영구자석은 AI붐이 일으킨 피지컬 AI가 적용되는 첫번째 비즈니스 사용 사례가 될 것임.

현재 국방, 첨단기술, 로봇, 드론, eVTOL 업체들이 엄청난 가치로 조금을 조달 받고 있지만 공급망이 어디서 오는지 구체적으로 답변할 수 있는 업체는 별로 없음. 공급망이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면 자금을 시장에서 조달 받기 어려울 것임.
18.02.202513:35
※ 글로벌 전력 및 신재생에너지, 로봇 산업 시장 동향 (2025. 02. 18)

●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 동향


테슬라는 2025년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의 양산을 시작하고, 2026년에는 5 - 10만대, 2027년에는 50 - 100만대의 휴머노이드 로봇을 양산할 것이라고 하였음.
테슬라의 휴머노이드 로봇은 주로 중국 업체들로부터 부품을 조달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진입장벽이 높은 스크류와 센서 업체들의 수혜가 예상 됨.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스타트업 Figure AI는 기업가치는 395억 달러로 평가받으며 15억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를 위해 투자자들과 협의 중에 있음.

구글이 투자한 휴머노이드 로봇 업체, Apptronik은 3.5억 달러의 시리즈 A자금 조달을 완료하였음.

중국 로봇 개발 업체인 Unitree Robotics(宇树科技)의 휴머노이드 로봇인 Unitree H1과 G1이 중국 대형 전자상거래인 징둥(JD.com)에서 판매를 시작하였음. 판매가격은 9.9만위안(USD 13,600) 임.


● 글로벌 ESS 시장 동향

미국의 ESS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6년으로 예정된 중국 ESS용 배터리 관세 인상으로 인해 현재 주문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유럽, 중동, 남미 및 기타 신흥 시장의 ESS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5년 전년대비 2배 이상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미국 태양광 모듈 가격 동향

미국의 태양광 모듈 시장 가격은 TOPCon 모듈의 경우 W당 USD 0.2 – 0.27, PERC 모듈은 W당 USD 0.19 – 0.26임.

미국 현지 태양광 모듈 생산가격은 W당 USD 0.27 – 0.3달러 사이이며, 해외 생산 가격은 W당 USD 0.18 – 0.20 사이임.

자료인용 : SOOCHOW Securities 발간 “전력설비 산업 주간 보고서” (2025. 02. 16)


● 테슬라 상하이 40GWh 메가팩 가동 시작

2025년 2월 11일, 테슬라의 40GWh 규모 상하이 메가팩이 가동을 시작하였음.
테슬라 상하이 메가팩은 미국 외 지역에서 가동되는 첫번째 ESS 생산시설임.
상하이 메가팩의 연간 생산능력은 1만대로 예상되며, 에너지 저장 규모는 약 40Gwh임.

2024년 테슬라의 ESS 제품 설치용량은 31.4Gwh로 예상되며, 2025년에는 60Gwh로 전년대비 ESS 설치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테슬라는 중국의 공급망과 제조능력을 바탕으로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생산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됨.

테슬라에 따르면, 2024 테슬라의 ESS 사업 매출은 100.86억 달러로 전년대비 67% 증가하였으며, 매출 총이익률은 26.2%로 2023년 18.9% 대비 크게 증가하였음.


● 중국 비야디(BYD) 사우디에 세계 최대규모 ESS 프로젝트 계약 체결

중국 비야디 에너지는 사우디 전력회사와 세계 최대인 12.5GWh 규모의 ESS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하였음.
이전 설치된 2.6Gwh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BYD는 총 15.1Gwh 규모의 ESS를 사우디에 설치하는 것임.

사우디는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추진 중에 있으며,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가 전체 에너지 중 50%까지 비율을 높일 계획을 추진 중에 있음.


● 인도 태양광 업체 Waaree, 태양광 셀 생산시설 가동

인도 Waaree 5.4GW 태양광 제품 생산시설 1단계 프로젝트의 가동이 시작되었음.
인도 모듈 제조업체인 Waaree Energies Limited의 구자라트주 Chikhli에 위치한 1.4GW 규모의 단결정 PERC 태양광 셀 제조시설의 상업생산이 시작되었음.

이는 계획된 5.4GW규모의 태양광 셀 제조공장 1단계 프로젝트의 시작이며, 2단계 프로젝트는 4GW로 이 곳에서는 TOPCon 태양광 셀 생산라인이 들어설 예정임.

자료인용 : PingAn Securities 발간 “전력설비 및 신재생에너지 주간 보고서” (2025. 02. 16)
17.02.202511:31
※ 미 상원 “2025년 국방 수권법(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보고서” 및 미하원 “군인 삶의 질 향상 및 2025년 국방수권법 보고서” 중 희토류 및 영구자석 관련 내용


● 희토류 금속 및 영구자석 블록의 대규모 미국 내 생산 구축에 대한 보고서


국방부 장관은 늦어도 2025년 6월 1일까지 미국 및 동맹국에서 운영될 수 있는 대규모 희토류 금속 및 영구자석 블록 생산에 대한 타당성과 가능성에 대한 브리핑을 상원 국방위원회에 제출해야 함.

브리핑에서는 희토류 금속 및 영구자석 블록의 생산 및 가공을 위한 동맹국 또는 파트너 국가와의 협력, 희토류 금속 및 영구자석 블록의 생산부터 완성된 영구자석까지의 영구자석 공급망 그리고 양산을 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기술활용에 대한 고려 사항 및 전략이 포함될 것임.

브리핑을 준비할 때 국방부 장관은 상무부장관과 협의를 해야 함. 브리핑은 기밀이 아닌 양식으로 제출하되, 기밀이 담긴 첨부 문서를 포함할 수 있음.


● 희토류 원소 리사이클링

위원회는 국방부 조달 및 유지관리 차관에게 2025년 3월 1일까지 미국 외 지역에서 희토류가 포함된 수명이 다한 장비/제품의 수출에 관한 브리핑을 하원 군사위원회에 제출하도록 지시
하였음.

브리핑에서는 희토류가 포함된 수명이 다한 장비를 국방부에서 어떻게 처리하고, 국방부내 어느 부처가 담당하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할 것임.
여기에는 수출되는 제품의 비율, 미국에 남아 있는 비율, 리사이클링 및 재사용 및 리퍼비시, 수집 및 재활용, 재사용 프로그램 그리고 미국 내 영구자석 및 사용 후 영구자석 재활용 업체에 대한 검토가 포함됨.


● 비희토류 영구자석

위원회는 네오디뮴-철붕소(NdFeB) 영구자석이 군사 및 비군사 기술 모두에 사용되는 사실을 알고 있음.
위원회는 중국산 영구자석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국방 산업 기지의 신뢰할 수 있는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한 국방부의 노력을 알고 있음.

따라서 위원회는 국방부 장관에게 미국 내 NdFeB 영구자석 생산을 보완하고, 잠재적인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eFeB외 다른 영구자석에 대한 대체 기술 개발 및 통합에 관한 브리핑을 2025년 3월 1일까지 하원 군사의원회에 제공하도록 지시하였음.
※ 2024년 중국 신규 설치 발전용량 (태양광 비중 64.16%)

태양광 발전은 글로벌로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발전원으로 특히 석유자원이 부족한 중국은 안보적 차원에서 에너지 자립을 위해 태양광 발전의 비중을 빠르게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은 이미 여러 지역에서 가장 발전단가가 저렴한 발전원이 되었으며, 기존 문제점이었던 간헐성 또한 ESS를 통해 점차 보완되면서 타 발전원 대비 현재 가장 빠르게 설치량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미국이나 중국처럼 일조량이 풍부한(1년 강수일 10일 이내) 대규모 지역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들에게 태양광은 가장 안정적이고 저렴한 발전원이 될 수 있습니다.

-------
중국 에너지국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중국의 신규 발전 용량은 433.23GW로 전년대비 17.38% 증가하였음.
이 중 화력발전 신규 설비용량은 57.21GW로 전년대비 12.12% 감소하였음.
수력발전 신규 설비용량은 13.78GW로 전년대비 33.27% 증가하였음.
원전의 신규설비용량은 3.93GW로 전년대비 182.73% 증가하였음.
풍력발전 신규설비용량은 79.82GW로 전년대비 5.50% 증가하였음.
태양광 신규설비용량은 277.98GW로 전년대비 28.68% 증가하였음.

전체 신규설비용량 중 태양광발전이 64.16%를 차지하였음.

자료인용 : YingDa Securities 발간 “주간 전력 에너지 보고서” (2025. 02. 05)
23.02.202509:35
※ 4Q24 MP Materials 주요 컨콜 내용 정리 (희토류 영구자석 및 기타 필수 부품에 대한 탈중국 공급망 구축 없는 피지컬AI는 사상누각에 불과)

Can the next hot drone robotics or eVTOL company really tell investors with a straight face that the rare earth magnets or other essential components come solely from China?

“차세대 드론 로봇 또는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 업체들이 투자자들에게 희토류 영구자석이나 기타 필수 부품이 중국에서만 생산된다고 솔직하게 말할 수 있을까?”

Can you be a sort of one of these exciting defense/tech/robotics/drone/eVTOL companies, raising capital at enormous valuations and not have a very specific answer of where your supply chain is coming from because you're a defense tech.
So, saying, my supply chain comes from China solely, is not an answer that someone can really fund over the long-term.

"현재 국방, 첨단기술, 로봇, 드론, eVTOL 업체들이 엄청난 가치로 자금을 조달 받고 있지만 공급망이 어디서 오는지 구체적으로 답변을 할 수 있는 업체는 얼마나 되겠는가?
공급망이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면 자금을 조달 받기 어려울 것
"

https://blog.naver.com/nihil76/223770732383
22.02.202508:49
※ 2024년 4분기 MP materials 컨포런스콜 주요 Q&A 내용 정리

Q : 얼마 전 중국이 사기업의 희토류 채굴을 금지할 계획이 있었음. 이는 중국이 희토류 산업에 대한 규제를 더욱 강화한 다는 것으로 이에 대해 MP materials의 상품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지?

A : 중국의 규제가 어떤 식으로 일어날지를 추측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이러한 정책은 작년 중국 정부의 정책과 일치하는 것임.
지난 10년 동안 중국 희토류 시장은 2개의 국영업체(남방희토, 중국희토)로 시장 통합 및재편되어 가는 과정이었음. 향후 희토류 시장은 이들 두 업체에 의해 좌우 될 것임.
초기에는 공급에 대한 제한이 강화되고,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보이며 장기적으로는 이러한 독과점 사업자들에게 지배되지 않는 다양한 공급망을 확보하는 것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계기가 될 것임.

Q : 트럼프 행정부가 IRA에 따른 보조금 지급을 중단할 수 있다는 보도가 있음. 이에 대한 잠재적 위험은 어떻게 보는 지?

A : 핵심광물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있으며, 핵심광물 공급망 구축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가 있음.
지난 2월 14일 “국가 에너지 지배력 강화 위원회(National Energy Dominance Council)” 설립에 대한 행정명령 발표가 있었는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문제로 핵심광물 생산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음.
핵심광물에 대한 노력과 지원은 계속될 것이며, 질문과 같은 위험은 없을 것임.



Q : 전기차용 영구자석 납품에 관한 것 외에, 로봇공학분야나 eVTOL 또는 다른 업체들과 논의 중인 사항을 언급해 줄 수 있는지?

A : 현재 회사는 GM에 납품할 영구자석에 집중하고 있음.
희토류 소재 및 영구자석 분야 모두에서 지난 3개월 동안 신뢰할 수 있는 서구권 업체로부터 공급에 대한 의미 있는 대화들이 있었음.
관세 문제, 잠재적 상호성, 여러 중요 광물에 대한 우려 사항, 특정 대형 OEM이 희토류 소재 및 영구자석을 직접 조달하기 어렵다는 점 문제가 있었고 이는 MP materials가 해결해야 하는 핵심 의무 사항임.

특히 로봇 공학, eVTOL 등에 대해서 말하면, 이에 대한 여러 대화들이 있었고, GM의 공급망 구축에 집중하는 것이 다른 산업으로의 진출에도 도움이 됨.
가장 어려운 전기차용 영구자석을 만드는데 집중할 수 있고, 재고관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음.


Q : 중희토류 소싱에 대한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business side)의 접근 방식에 대해 설명해 줄 수 있는지?

A : MP materials의 영구자석 사업은 디스프로슘과 테르븀의 공급을 위한 주요 전략으로 중희토류 분리 처리 프로젝트에 집중해 왔음.
그리고 중희토류 분리 프로젝트의 주요 업무는 영구자석 사업을 지원하는 것임.

영구자석 생산시설은 초기 1,000톤 규모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충분한 자재를 확보한 상황이며, 백업으로 시장에서 소재를 조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음.
우리의 중희토류 프로젝트는 타사에서 생산된 중희토류를 처리할 수 있게 설계되었으며, 이를 위한 중희토류 조달 팀이 있음.

MP materials는 Mt. PASS 광산과 Independence 생산시설, 리사이클링 등을 통해 매우 사려 깊고 통합된 중희토류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음. 이는 또한 중희토류 사용을 최소화 하고 생산할 수 있는 중희토류의 양을 극대화하려는 회사의 방향과 일치함.


A : 현재 피지컬AI와 관련된 시장에서 보여지는 여러 흥미로운 성장 사례 중 상당수는 매우 제한적이거나 비중이 없는 경우가 많음. 비즈니스의 성장 측면에서 이러한 점은 매우 중요함.

정책적으로는 정부는 공정한 경쟁을 위해서 노력해야 함.
새로운 행정부는 일자리를 되찾고 있는 MP Materials와 같은 업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우리는 미국 제조업의 황금기를 위해 집중해야 할 모든 것을 가지고 있음.

트럼프 대통령의 Truth와 X의 글을 보면, 그는 실제로 상호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비전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음. 그리고 그것은 부가가치세 및 기타 보조금과 관련된 다른 나라들의 관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측면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음.

트럼프 행정부는 첫 달 동안 엄청난 움직임을 보였고, 공정한 경쟁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해왔던 말에 놀랍도록 충실하고 있음.
아직 이러한 노력이 정확히 어떻게 구체화 될지 시간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노력이 MP materials의 사업에 정말 놀라운 일이 될 것임.


A : 1년 전만 해도 MP materials의 비전에 대해 이야기 하면, 부정적인 사람들도 있었음.
하지만 희토류 영구자석은 AI붐이 일으킨 피지컬AI가 적용되는 첫번째 비즈니스 사용 사레가 될 것임.
아직 피지컬AI 통한 GDP 성장률, 이익의 규모 및 출처가 확실하지는 않지만 피지컬AI는 이러한 것들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시작점이 될 수 있음.

현재 국방, 첨단기술, 로봇, 드론, eVTOL 업체들이 엄청난 가치로 자금을 조달 받고 있지만 공급망이 어디서 오는지 구체적으로 답변을 할 수 있는 업체는 얼마나 되겠는가?
공급망이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면 자금을 조달 받기 어려울 것임.
MP materials는 이러한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위치에 있음.
※ 2024년 12월 미국 대용량 ESS 설치량 및 2025년 전망

EIA 데이터에 따르면, 12월 미국 대용량 ESS 설치량은 2.1GW/4.1Gwh(평균 배터리 저장시간은 1.9h)로 전년동월대비 27%, 전월대비 285% 증가하였음.

2024년 누적 대용량 ESS 설치량은 10.4GW로 전년대비 57% 증가하였음.

2024년 12월 말 기준 미국의 등록된 예비 ESS 프로젝트의 규모는 60.6GW로 11월 말 대비 9%, 연초 대비 98% 증가하였음.

Wood Mackenzie에 따르면, 2025년 동안 미국의 대용량 ESS 설치량은 전년대비 50%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실제 출하 증가율은 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025년 그리드로 연결될 ESS 규모는 18GW로 전년대비 75%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특정 프로젝트의 지연 등을 고려하더라도 2025년 ESS의 그리드 연결량은 전년대비 50%이상 증가할 것임.

현재 미국 대용량 ESS의 수익률(Internal Rate Return)은 15% 이상이며, 향후 관세 인상률 25%를 고려하더라도 여전히 좋은 경제성을 지니고 있어, 장기적으로 미국의 ESS 시장은 안정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됨.

자료인용 : SOOCHOW Securities 발간 “전력설비 산업 주간 보고서” (2025. 02. 16)
16.02.202507:44
※ 삼성SDI-GM 애리조나 합작사 본투자 시작 및 배터리 업황에 대해

트럼프의 당선과 함께 다소 지연되었던 미국 배터리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가 삼성SDI와 GM의 애리조나 합작공장을 시작으로 서서히 재개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2024년부터 특히 한국 배터리업체들의 메인 투자처였던 북미 시장에 대한 여러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완성차 및 배터리업체들의 투자 계획들이 재조정되면서 지연, 축소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1. 트럼프로 인한 전기차 시장의 불확실성 확대 (IRA 및 전기차 정책 후퇴)

2. 기존 파우치형 배터리의 안전성(열폭주 등) 문제와 셀투팩 적용 어려움 등의 문제로 북미시장의 메인 폼팩터였던 파우치형 배터리에 대한 완성차업체들의 보수적 입장.
(이는 신모델 출시에 영향을 주었음)

3. LFP 배터리의 급격한 가격하락으로 인해, LFP 배터리에 대한 완성차 업체들의 선호 증가로 인해 삼원계 배터리 추가 증설에 보수적


이러한 여러 한국 배터리업체들에 대한 비긍정적 요인들로 인해 한국 배터리업체들도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러한 기조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어려운 가운데서도 상대적으로 투자가 이어지는 부분은 있을 것으로 보여지는데, 먼저 각형 폼팩터에 대한 선호도 증가는 계속될 것이며, 전기차 뿐 아니라 ESS도 각형 폼팩터 시장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글로벌적인 전력 인프라 투자 증가로 인한 ESS용 배터리 투자 확대는 오히려 가속화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LFP 배터리에 대한 한국 배터리 및 소재업체들의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전기차 분야에서도 중저가 전기차에서는 LFP 배터리가 주류 배터리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현재 배터리가격의 급격한 하락(중국에서는 전기차용 배터리 가격이 kwh당 LFP배터리는 40불대 초반, 삼원계 배터리는 50불대 초반까지 내려가 있는 상황으로, 기존 전기차 대중화를 위한 배터리 목표 가격이었던 100불 이하 달성을 이미 지나쳤으며, 그에 따라 전기차 가격경쟁력이 내연차 가격경쟁력보다 (중국에서는) 오히려 높아진 상황입니다.

이제 시장은 낮아진 배터리 가격을 중심으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며, 그 답은 이미 중국에서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경쟁력 있는 전기차 모델의 출시, ESS용 배터리에 대한 집중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올해 첫 대규모 배터리 수주전, 삼성-GM 합작사를 잡아라! (디일렉, 2025. 02. 14)

업계에서는 배터리 업황이 2025년 연말 정도에는 반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음.
한국 배터리 3사의 포트폴리오가 너무 전기차용 배터리에 집중되어 있어 전기차 판매량(특히 미국과 유럽)에 따라 업황의 변동이 큰 구조임.
ESS나 기타 어플리케이션 쪽으로 적극적으로 다변화할 필요성이 있음.

GM이 배터리 폼팩터를 파우치에서 각형배터리로 확장하기로 결정하면서, 삼성SDI와 합작사를 설립에 대한 합의가 2023년 중순 이뤄졌으며, 본계약은 2024년 8월에 체결되었음.
현재 GM과 삼성SDI의 합작사에 대한 투자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일보직전인 상황임.

인디애나주에 설립될 합작사는 원래 2개라인은 원통형 3개라인은 각형으로 기획되었으나, 현재는 각형배터리만 생산할 예정임.

배터리 3사의 시설투자는 올해 전년대비 20 – 30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미국 투자는 기존 계획대로 실행될 것으로 전망.

올해부터 삼성SDI와 GM 합작사에 대한 장비 발주가 시작될 것(3월 예상)으로 전망.
삼성SDI가 LG에너지솔루션에 비해 발주 텀이 짧은 경향이 있으며, 조건이 상대적으로 좋음.

이번 장비 발주는 각형 3개라인(약 20GW 규모)로 총 투자액 6조를 예상.
장비는 총 투자액의 약 30%수준.
삼성SDI과 GM의 가동시점은 2026년 예상


○ 장비 발주 예상기업

1) 믹싱장비 : 제일엠앤에스가 유력
2) 전극공정 장비 : 한화모멘텀, 피엔티 두 업체가 비딩에 참여
3) 노칭 및 스태킹 장비 : 필에너지와 우원기술이 비딩에 참여
4) 조립공정 장비 : 엠오티가 유력
5) 웰딩 장비 : 한화기술과 엠오티가 비딩에 참여
6) 주입 장비 : 베스텍(비상장) 유력
7) 충방전 장비 : 원액피앤이, 갑진, 항커커지(중국)가 비딩에 참여


https://www.youtube.com/watch?v=8CMzvHB1la0&t=699s
13.02.202510:58
※ 디엔에이링크 & IONIC Rare Earth MOU 전문 (2025. 02. 13)

IonicRE signs MOU with Korea’s DNA LINK to spur international expansion.

리사이클링 및 영구자석 희토류 산화물 공급 협력


1) IONIC Rare Earth는 세계 3위의 영구자석 시장인 한국에서 희토류 영구자석 리사이클링을 위해 한국의 디엔에이링크와 MOU를 체결하였음.

2) 영국 벨파스트(Belfast)에 위치한 IONIC Technologies 시설에서 디엔에이링크의 절삭된영구자석 칩(Swarf)을 재활용하는 동시에, 희토류 산화물(REO)에 리사이클링 된 희토류 원소를 첨가하여 디엔에이링크에 공급할 것임.

3) 한국 시장에서 영구자석 리사이클링 및 수명이 완료된(EOL) 영구자석 소싱에 대한 협력할 것임.

4) 리사이클링 영구자석 희토류 산화물(REO) 공급을 포함한 미국 기반 영구자석 생산시설 구축을 위한 협력을 진행 중에 있음.


IONIC Rare Earth Limited(이하 IonicRE, 호주 증시 상장업체)는 희토류 영구자석 및 영구자석 희토류 산화물 공급 및 리사이클링에 관한 협력을 위해 한국의 디엔에이링크(DAN Link, 한국 코스닥 상장사)와 MOU(non binding)를 체결함으로써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강화하였음.

이번 계약에 따라 InoicRE의 100% 자회사인 Ionic Technologies를 포함한 두 회사는 글로벌에서 3번째로 큰 영구자석 시장인 한국에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하며 추적가능한 탈중국 희토류 공급망 구축을 위해 협력할 예정임.
이번 계약에는 희토류 공급망을 국가안보적 차원에서 구축하기 위한 한국 및 기타 국제기관과의 잠재적 협력이 포함되어져 있음.

한국은 영구자석 수입국으로 미국과 독일에 이어 3번째로 많은 영구자석을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음. 2021년 한국은 중국으로부터 5,400톤 이상의 영구자석을 수입하였음.

내연차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전기차의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자동차 산업은 영구자석 수요의 핵심 동력임.

디엔에이링크는 세계 최고수준의 영구자석 제조 기술 전문성을 활용하여 한국과 미국을 아우르는 국제 영구자석 생산 벨트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음.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는 디엔에이링크는 2025년 말 영구자석 생산을 목표로 한국 충남 예산에 연간 1,000톤 규모의 영구자석 제조시설을 건설하고 있음. 이는 Ionic Technologies의 벨파스트 영구자석 리사이클링 공장의 생산계획과 일치함.

이번 계약을 환영하며 IonicRE의 대표이사인 Tim Harrison은 아시아 시장에서 회사의 입지를 구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진전이라고 말하였음.

“IonicRE는 한국의 영구자석 생산공장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디엔에이링크와 협력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함. 이번 협력은 2026년부터 IonicRE가 디엔에이링크의 한국 생산시설로부터 리사이클링을 위한 영구자석 희토류 산화물 원료를 확보하고 이를 다시 리사이클링하여 공급할 수 있는 기회임. 이를 통해 2026년 말에 가동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는 벨파스트 상업용 재활용 공장의 원료 및 제품의 일부를 디엔에이링크로부터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고 Tim Harrison은 말하였음.

그는 또한 “Ionic Technologies의 특허를 활용한 세계 최고수준의 영구자석 희토류 재활용 기술이 안보를 위한 한국의 희토류 공급망을 구축과 진정한 탈중국 공급망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하였음.
또한 최근 영국 벨파스트의 상업용 희토류 산화물 제조에 대한 성공적인 타당성 조사 결과에서 알 수 있듯, IonicRE의 기술은 국제적으로 매우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번 계약과 같은 합작 투자와 상업적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하였음.

디엔에이링크의 이준영 대표는 “디엔에이링크와 마찬가지로 글로벌 희토류 밸류체인의 신흥 리더인 IonicRE와 MOU를 맺게 되어 기쁘게 생각하며, 이번 MOU 체결은 글로벌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업체로 도약하기 위한 디엔에이링크의 여정에 중요한 이정표로 영구자석 제조분야의 전문성과 IonicRE의 첨단 리사이클링 및 정제 기술을 결합하여 보다 지속 가능하고 탄력적이며 혁신적인 공급망의 기초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하였음.
또한 이번 파트너십은 서구 국가 내 완전한 희토류 공급망 구축이라는 공동 비전을 구현하고 중국 의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라고 하였음.

Adamas Intelligence는 2024년부터 2040년까지 로봇공학, 첨단 항공 모빌리티 및 전기차 부문의 두 자릿수 성장에 힘입어 NdFeB 영구자석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CAGR로 8.7%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였음.
또한 NdFeB 영구자석에 사용되는 희토류 원소(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 디스프로슘, 테르븀) 또한 비슷한 수요 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2027년 초부터 미국은 자국의 방위산업에서 중국산 희토류 산화물(REO) 사용을 금지하여 미국 시장에서 비중국 희토류 영구자석이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유럽연합의 Critical Raw Materials 법에 따라, EU에서 사용되는 영구자석의 희토류 산화물의 25%는 재활용에서, 40%는 EU에서 처리 및 정제되어야 함.


○ MOU Terms

MOU는 다음과 같이 계약에 대한 당사자 간의 예비 조건과 의도를 설명함.

1. 디엔에이링크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Ionic Technologies 시설을 통해 재활용 함.

2. Ionic Technologies의 영국 벨파스트 자석 리사이클링 시설에서 추출한 영구자석용 희토류 산화물(REO)는 디엔에이링크의 NdFeB 영구자석 생산용으로 공급됨.

3. 디엔에이링크에서 제공하는 사양에 따라 희토류 산화물을 금속으로 제련하는 등 추가적인 분야에서 협력

4. 재활용 된 영구자석 희토류 산화물 공급을 포함한 미국에서의 NdFeB 영구자석 생산시설 구축 협력.

5. 한국 시장에서 디엔에이링크와의 합작 투자를 통해 영구자석 리사이클링을 협력


6. 한국 내에서 수명이 다한(EOL, end-of-life) 영구자석 소싱에 관해 디엔에이링크와 협력하고 한국 정부의 지원을 확보

7. 새로운 대체 공급망 구축을 위해 투명한 가격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협력

당사자들은 리사이클링을 위한 Swarf(절단 칩)과 영구자석의 공급, 영구자석 희토류 산화물 구매, 타겟 시장에서의 합작 투자 및 미국 영구자석 생산시설 구축을 위한 협력에 관한 최종 합의를 공식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한국 내 공급망 구축을 목표로 상호 인센티브와 협력을 위해 한국 정부 및 기타 국제 기관과의 협력을 포함함.

IonicRE의 100% 자회사인 Ionic Technologies는 희토류 원소(REE) 분리 및 정제 기술을 개발하여 사용 후 영구자석에서 개별 자석의 희토류 원소를 회수하고 분리하는 데 적용하였음.

영구자석용 희토류는 현재 희토류 산업 가치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음.
퀸즈 대학교 벨파스트(QUB)에서 개발한 기술 특허를 사용하는 Ionic Technologies는 영구자석 희토류 산화물(특히 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 디스프로슘, 테르븀)을 99.5% 이상의 순도로 분리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희토류 재활용 기술을 제공함.

IonicRE의 회장인 Brett Lynch는 “IonicRE는 특허 받은 영구자석 재활용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사업역량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번 계약은 영국에서 브라질, 그리고 현재 한국과 미국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확장을 위한 중요한 과정임. 중요한 것은 이번 계약이 영국 벨파스트에서 Ionic Technologies가 제안한 상업운영을 위한 영구자석 재활용 사업 계획과 완벽하게 일치하며 새로운 공장의 공급망을 뒷받침해줄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하였음.
그는 또한 “IonicRE의 안전하고(de-risked), 채굴로부터 자유로운(de-mined) 사업전략이 주주가치를 재고하는데 가장 빠른 길이며, 새로운 글로벌 시장에서 밸파스트 모델 확산은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탈중국 희토류 공급망을 구축을 신속하게 진행하는 것”이라고 하였음.
※ 2024년 4분기 한화솔루션 실적 관련 (2025년 본격적인 턴어라운드 기대)

2025년 2월 6일 발표된, 한화솔루션의 2024년 4분기 실적이 시장의 예상을 상회하여 매출액 4조 6429억, 영업이익 1,070억으로 흑자전환 하였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매출액 2조 8690억, 영업이익 606억을 기록하였습니다.
한화솔루션의 투자 포인트 중 가장 중요한 순수 태양광 관련(개발자산 매각 및 EPC 제외) 매출은 1조 2354억을 기록하여 YoY로 6.4% 증가하였으며, QoQ로는 115.2% 증가하였습니다.

미국의 동남아산 태양광 모듈 수입에 대한 14.25%의 관세면제(Section 201)가 2024년 6월에 종료됨에 따라 미국의 태양광 사업자들은 대량의 동남아산 태양광 모듈을 관세면제 전에 수입하였고 이로 인해 미국 태양광 모듈의 재고 급증으로 인해 모듈 가격(PERC 기준)은 2023년 말 약 USD 0.35/W에서 2024년 말 기준 USD 0.23/W까지 약 35% 이상 하락하였습니다.

한화솔루션의 4분기 태양광 매출 증가는 이러한 판가하락 속에서 이뤄진 것이라는 점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025년 하반기부터 조지아 달튼 신규 3.3GW 생산라인 상업양산 시작으로 미국 내 모듈 총 Capa가 5.1GW로 증가)

U.S.: The spot price for TOPCon utility-scale modules DDP US rose this week 0.35% to $0.285/W. (From PV Magazine, 2025. 01. 31)

2024년 말 저점을 기록하였던 미국 태양광 모듈 가격이 2025년 1월부터 점차 회복세를 보여주고 있는데, PVInfoLink의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월 22일 기준 TOPCon 모듈가격이 USD 0.27/W에서 2025년 1월 31일 기준 USD 0.285/W로 상승하여 미국 태양광 모듈 가격의 하락이 2025년부터 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5년 2분기부터는 지금까지 미국 태양광 모듈(결정질 기준) 수입량의 80%를 차지하였던 동남아산 태양광 모듈에 대한 반덤핑(AD)/상계관세(CVD) 부과가 확실시되고 있어 미국 태양광 모듈가격은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미 예비판정이 나와있는 상황임)

한화솔루션의 오늘 실적발표 자료에서도 태양광 모듈의 수익성이 2025년 1분기에 개선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한화솔루션의 실적은 미국 태양광 업황 개선으로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3.02.202508:06
※ 에너지고속도로와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

AI와 전력이 글로벌 경제의 핵심 화두였으나, 지난 수년간 한국의 AI산업과 전력인프라 산업은 상대적으로 뒤쳐졌으며 특히 전력인프라 사업은 오히려 후퇴하기까지 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은 다가오는 AI시대에 대한 대비가 부족할 뿐 아니라 현재 산업계에서 실질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전력에 대한 부족현상까지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내 AI산업 육성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전력망 확충의 중요성에 대한 각계의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이고, 정치적 상황이 안정화 되면 국내 AI와 전력망에 대한 투자가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글로벌 주요국 대비 관련된 투자가 3-4년 정도 뒤쳐져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들 투자가 본격화 된다면 매우 빠른 국내 관련 산업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당장 필요한 전력은 설치기간이 가장 빠른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빠르게 확충하고 장기적으로 화력발전을 줄이고 이를 무탄소 전력원인 신재생에너지와 원전을 통해 화력발전의 축소분을 메워가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원전의 경우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방폐장이 매우 시급한 상황입니다.)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확충으로 인한 전력시스템의 안정성 보완, 효율적인 전기수급을 위해 AI를 활용한 분산전원 스마트그리드(송배전망 개선, 실시간 전력데이터 운용 시스템, PPA시장 확대 등)를 가속화하고, ESS 및 가스발전과 같은 백업 전력원의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따라 국내 태양광 업체, 스마트 계측기와 같은 국내 전력 인프라 업체들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 (송전선로 확충 및 전력 생산속도 향상을 위한)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 주요 내용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은 대규모 전력이 필요한 산업을 위한 전력망 확충을 지원하기 위한 법안임. 특히 송전선로의 확충과 전력생산속도 향상을 목표

한국 산업 전반에 걸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보장하고,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AI 시대를 위한 조치

1) 전력공급 안정성 향상
2025년까지 전력 수요가 연평균 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현재 전력망 용량을 감안했을 때 추가 송전선로가 필요함.

2) 산업 성장 촉진
대규모 전력을 필요로 하는 산업단지가 증가.
AI 및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 전력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

3) 경제적 효과
전력망 확충으로 인해 약 1만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 예상.
외국인 투자 유입이 20% 증가할 것으로 예상.

4) 전기료에 미치는 영향
송전선로의 확충은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높여 전기료 급등 방지에 기여할 수 있음.
새로운 전력망의 구축과 기존 전력망의 현대화는 전력 손실을 줄이고 운영 효율성을 높여 전력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통합을 촉진시킬 것으로 예상.
재생에너지는 초기 설치 비용이 높지만, 운영 비용이 낮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전기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79838


● “재생에너지고속도”로 관련 2개 법안 위원회 통과

지난 19일 ‘재생에너지고속도로’ 관련 법안인 전력망 특별법과 해상풍력 특별법이 위원회를 통과하였으며, 2월 임시국회에서 제정될 가능성이 높아졌음.

‘재생에너지고속도로’는 전국적으로 재생에너지를 보급하고 전력망을 확충하여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목표로 함.
전력망특별법(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은 재생에너지고속도로의 핵심법안임.

전력망특별법을 통해 한국전력이 아닌 국가가 전력망 구축을 주도하게 될 수 있게 됨.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79787
22.02.202508:46
※ 2024년 4분기, MP materials 컨퍼런스콜 주요 내용 정리 (2025. 02. 21)

● 사업 일반


MP Materials는 2024년 총 45,455 톤의 희토류 산화물(REO)를 생산하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9% 증가한 수치임.
이 중 NdPr(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 산화물의 생산량은 1,294톤이었으며 이는 전년도의 200톤 대비 크게 증가한 수치임.

NdPr의 평균 가격은 2022년 USD 120/kg, 2023년 USD 75/Kg, 2024년 USD 55/Kg으로 하락하였으며, 2025년 현재 시장가격은 USD 60/Kg임.

희토류 생산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분리 처리된 희토류에 대한 비중국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음.
2024년 국방부와 NdPr과 란타넘에 대한 신규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글로벌 상위 5개 완성차 업체들과 NdPr 공급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음.
또한 글로벌 상위 5개 완성차 업체(중국 업체 제외) 중 3곳에 희토류를 공급하게 되었음

2024년, 한 세대(약 30년)만에 처음으로 미국은 희토류 금속(NdPr 금속)의 상업생산을 시작하였음.

또한 텍사스 포스워스에 위치한 MP materials의 Independence Facility에서 전기차용 영구자석의 테스트 생산을 시작하였음. 이 생산시설을 통해 2025년 말부터 상업 생산예정인 영구자석을 생산하기 위한 장비와 샘플에 대한 검증을 할 수 있게 되었음.
이 곳에서 생산된 영구자석은 GM에 납품될 것
임.

2025년 말로 계획된 NdPr 합금 및 영구자석을 생산을 위해, 금속에 대한 준비 뿐 아니라 스트립 주조(Strip Casting)도 진행하고 있음.
프로토타입 생산시설은 합금생산, 분말생산, 소결, 가공, 입계확산(GBD), 자화(자성부여) 등 다양한 범위의 활동을 진행 중에 있음. 이를 통해 2025년 말 또는 2026년에는 더 많은 장비들을 도입하여 본격적인 장비운영을 가속화 시킬 수 있게 할 예정임.

참고로 MP Materials의 NdPr 산화물은 Mt. PASS에서 생산되며, NdPr 금속 및 합금과 영구자석은 텍사스에 위치한 Independence Facility에서 생산됨.


● 피지컬 AI 시대 영구자석의 중요성과 중국의 영구자석 공급망 지배의 리스크

전기차 외에도 MP Materials의 영구자석은 로봇, 드론 심지어 eVTOL(전기작동 수직이착륙 항공기)에도 사용 될 수 있어, 이는 피지컬AI를 위해 전세계가 경쟁하는 가운데, 미국에게 희토류 영구자석 공급망에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음.

고성능 네오디뮴 영구자석 양산에 성공하게 된다면, 피지컬AI 및 기타 중요한 사용처들로 인해 기회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강력한 기반을 제공하게 될 것임.


희토류 산업은 오랫동안 중국의 보조금과 수출통제 및 여러 비시장적 매커니즘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극심한 시장 왜곡의 대상이었음.

ATMOS Research에 따르면, 로봇, 방위, 산업 시스템 등 여러 산업에 AI 자동화가 실제적으로 응용되고, 전기화 및 피지컬AI에 힘입어 2040년까지 NdFeB 자석에 대한 글로벌 수요는 3배로 증가할 것임.
이는 희토류에 대한 중국의 지배력과 관련된 지정학적 위험이 증가되고 있음을 나타냄.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노동자들을 위해 단호한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음.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언급했듯, 미국은 관세, 보조금 조정 또는 여러 미국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매커니즘을 통해 무역에서 진정한 상호주의를 약속하였음.

이러한 변화는 희토류의 장기적인 수급 현실과 결합하여 MP materials가 미래 산업을 위한 경쟁력 있고 탄력적인 공급망을 확보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확신을 강화함.

더욱이 피지컬 AI 시대가 가속화 함에 따라, 국가 안보에 대한 고려는 그 어느 때보다 커질 것이며 희토류 영구자석 분야는 다른 어떤 전기화 응용 분야보다 더욱 중요해질 것임.
우크라이나에서 중동에 이르는 오늘날의 전쟁은 이미 전통적인 제트기간의 도그파이팅이 아닌, 드론, 센서, AI 기반 로봇 네트워크에 관한 것임을 증명하였음.

현재 월스트리트와 자본 시장에서는 국방기술, 로봇공학, 피지컬AI에 대한 엄청난 열정을 보이고 있지만 이들에게 다시 한번 상기시키고 싶은 것은, 강력한 패권경쟁(Great Power Competion)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차세대 혁신에 관한 것 뿐만 아니라 이러한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공급망을 확보하는 것이기도 함.

차세대 드론, 로봇 공학이나 eVTOL 업체들의 투자자들에게 희토류 영구자석이나 기타 필수 부품이 중국에서만 생산되고 있다는 것을 솔직하게 말할 수 있는지 묻고 싶음.

https://seekingalpha.com/article/4760456-mp-materials-corp-mp-q4-2024-earnings-call-transcript
18.02.202508:16
※ 미국 국방부, 비동맹국으로부터 특정 영구자석의 조달을 금지하는 최종 규정 발표 (2024. 05. 31)

중국은 희토류 산업을 지배하고 있으며, 2023년 희토류 금속 채굴의 약 60%와 희토류 금속 가공의 약 90%를 담당하고 있음.
이러한 독점에 대응하고 미국 방위 산업에 대한 공급망 취약성과 위험을 극복하기 위해 2024년 5월 30일에 발표된 “최종 국방 연방 조달 규정 보완서(DFARS)”의 규정 DFARS 225.7018 및 운영 조항 DFARS 252.225-7052에 따라 2027년 1월 1일부터 중국에서 채굴되고 제작된 희토류 영구자석의 사용과 소싱을 금지하였음.

중국의 희토류 광물 시장의 지배와 관련된 도전과제는 2023년 사마륨-코발트(SmCo), 네오디뮴-철붕소(NdFeB), 세륨 자석 등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에 필요한 기술의 수출 금지 조치에서 잘 들어나고 있음.
2023년 중국의 기술 수출 금지 조치의 효과는 중국 외 공급업체로부터 희토류 금속 공급을 제한하여 미국 업체들(및 미국과 계약한 업체들)의 공급망에 영향을 미치는 조치임.


희토류 영구자석 분야에 있어 중국의 광범위한 영향력을 방지하고, 중국과 동맹을 맺은 국가들에게 의존하지 않기 위해, 미국 의회는 2018년 국방수권법(NDAA)에서 중국, 북한, 이란, 러시아에서 채굴된 특정 영구자석의 획득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하였음. (10 U.S.C. 4872 참조)

영구자석과 물질들에는 사마륨-코발트 영구자석, 네오디뮴(NdFeB) 영구자석, 텅스텐 금속분말, 텅스텐 중합금 또는 텅스텐 중합금을 포함한 완제품 또는 반제품, 탄탈륨 금속 및 합금이 포함됨.

2022년 그리고 2021년의 국방수권법(NDAA) 제 844조(Published. L. 116-283)에 따라 미 의회는 10 U.S.C 4872에 근거한 국가들(중국 등)에서 만들어진 생산품 외에도 채굴 및 분리, 정제되어진 물질 및 금속의 조달을 금지하였음.

2021년 국방수권법에서 제시한 광범위한 제한의 시행이 지연되어 2026년 12월 31일까지는 이미 계약한 영구자석에 대해서는 조달할 수 있으며, 2027년 1월 1일부터 조달이 금지됨.

2024년 5월 30일에 발표된 최종 DFARS의 Section 225.7018 및 252.225-7052의 규정은 (희토류 영구자석 공급망에) 대한 더욱 광범위한 금지를 적용하고 있음.

2024년 국방수권법(NDAA)에서는 계약업체가 여러 (희토류 영구자석) 소재의 대체 공급선을 찾을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적용 날짜를 2026년 1월 1일에서 2027년 1월 1일로 1년 연장하였음.

미국과 중국은 희토류 금속 기술에 사용되는 자원과 접근성을 놓고 계속 경쟁하고 있으며, 영구자석 및 재료물질을 공급하는 계약업체들은 중국이나 중국의 동맹국에서 채굴되거나 생산되지 않는 영구자석 공급 받을 수 있는 공급망을 구축해야 함.
계약 업체들은 규정 준수 시한인 2027년 이전에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미 정부는 이를 확인해야 함.

https://www.governmentcontractslaw.com/2024/05/dod-releases-final-rule-prohibiting-the-acquisition-of-certain-magnets-from-nonaligned-foreign-nations/?utm_source=chatgpt.com
14.02.202506:36
※ 향후 급속한 국내 에너지 및 전력망 투자 전망.

지난 수년 간 (2021년 이후) 글로벌 전력시장은 급속하게 성장해 왔으며 앞으로 전력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중국,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에너지 구조전환이 시작되면서 글로벌적인 전력망 투자가 진행되었고, 지금은 AI이라는 패러다임의 급변을 맞이하며 더욱 더 과감한 전력 및 전력망 투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한국 또한 이러한 흐름속에서 예외일 수는 없는데, 문제는 다른 국가들이 지난 수년간 전력원 및 전력망과 관련해 대대적인 투자를 진행해왔던 것에 비해 한국은 이러한 흐름속에서 어떠한 행동도 없었습니다. 앞으로의 전력부족 뿐 아니라, 이미 현재 국내 전력이 매우 부족한 상황입니다.

차기정부에서는 대대적인 에너지 및 전력망 투자가 예상되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매우 큰 투자기회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변압기 등 전력기기 업체들, 원전관련주들의 주가는 글로벌적인 흐름에 따라 주가가 크게 상승해 있지만, 국내 재생에너지 관련주, 스마트그리드 관련주 등 많은 관련업체들의 주가가 시장에서 크게 소외되어 있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지난 수년간의 국내 에너지 및 전력망 투자 부재는 더 급속한 투자의 필요성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관련업체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여집니다.


○ AI 시대 전력 수요 폭증, 민주당 신재생에너지로 돌파구 모색 (공감신문, 2025. 02. 05)

민주당은 AI 시대에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한 대비를 위해 국가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

전력산업의 공공성 강화와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 마련의 필요성.

에너지 고속도로와 같은 민주당의 추진사업을 통해 전력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전력공급 실현.

https://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818892
07.02.202504:12
※ 에너지 고속도로

● 에너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인터넷고속도로와 같이 에너지 고속도로를 통해 탄소중립 및 에너지전환을 이루고자 함.

NDC 40%를 달성하기 위해 탄소중립 실현의 인프라를 구축
석탄발전을 조기 퇴출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30년 21.6%에서 32.9%이상으로 상향 조정.
석탄발전 조기 퇴출(2030년 23GW, 2038년 추가 12GW 퇴출 가능) 부문을 재생에너지로 상충.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해 재생에너지 우선구매 및 전력계통 접속을 의무화해야 함.

○ 소규모 태양광 지원 강화

재생에너지를 확산하기위해 송전망의 양적 확대에 앞서 전력계통 운영기술 및 운영기준을 선진화필요.
배전단에 재생에너지용 장주기 ESS 확대 (재생에너지의 질적 확충)
태양광의 이격거리 규제 완화, 500kW 미만의 중소 규모 태양광에 대한 수익성 보장
계통접속 지원


재생에너지 비중 32.9%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30년까지 매년 10GW규모의 태양광과 5GW규모의 풍력 발전설비를 증설해야 함.
2024년 기준 태양광 설치량은 31GW이며 이를 2030년까지 90GW로 증설. 현재 2.2GW 규모의 풍력은 28GW 증설해야 할 것으로 추산
2030년까지 230조원 규모의 태양광 풍력 발전설비 증설 및 56.5조원 규모의 전력계통 확충 재원이 필요.


○ 재생에너지의 변동성과 간헐성 극복 : 장주기 ESS

재생에너지의 변동성과 간헐성을 제어하여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50조원 규모 이상의 장주기 ESS투자가 필요.
그 외 Power to Gas, Power to Heat, Vehicle to Grid 및 수요반응과 같은 전력부문과 비전력부문의 결합이 필요.


○ 분산형 전력계통으로 전환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해 석탄, 원전, LNG 등 대규모 발전기 중심의 중앙집중적 전력계통을 hub&spoke 방식의 분산형 계통으로 전환
전력계통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송변전 부문과 전력거래소를 통합하여 송전망의 운영 및 유지관리를 독립.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해 배전망 운영 및 유지관리를 지역 분할하여 독립시켜야 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886775?sid=100
04.02.202512:01
※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은 희토류 영구자석 성장의 주요 동력이 될 것.

● 고성능 희토류 영구자석 산업의 수요 전망.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과 산업용 전자기계 분야가 향후 희토류 영구자석의 수요를 이끌 것)


희토류의 중요한 수요처는 희토류 영구자석으로 없어서는 안될 국가적으로 중요한 전략 장비에 사용되고 있음.

Guotai Junan Securities의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희토류 소비량의 약 35%가 희토류 영구자석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부가가치 기준으로는 91%에 해당됨.
희토류 영구자석은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성장의 직접적인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동시에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여러 산업에서 수요 잠재력이 큼.
희토류 영구자석은 첨단 혁신산업의 주축으로 고성능 영구자석 소재에 대한 수요 전망은 높음.

○ 희토류 영구자석은 저탄소 그린산업 공급망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

JL MAG 관계자에 따르면, 고성능 희토류 영구자석은 클린에너지 및 에너지 절약, 환경 보호 산업의 핵심 소재로, 전기차를 비롯한 자동차 부품, 에너지 절약 인버터 에어컨, 풍력발전, 3C(컴퓨터, 통신, 소비가전) 제품, 로봇 및 산업용 서보모터, 에너지 절감형 엘리베이터, 철도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음.

Frost & Sullivan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전력 소비의 50% 이상이 모터에서 비롯됨.
희토류 영구자석은 다양한 모터의 전력 소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탄소 배출 절감에 탁월한 장점을 지니고 있음.
전통적인 전기 모터와 비교할 때, 희토류 영구자석을 사용한 모터는 15%에서 20%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지니고 있음.


Guojin Securities의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희토류 영구자석을 사용한 산업용 모터는 높은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으나 시장 침투율이 낮은 상황임.
향후 대규모 장비 교체(전통 전기모터를 희토류 영구자석 모터로)를 위한 지원조치가 점차적으로 시행되고 있어, 중립적 시나리오 상황에서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산업용 전기 분야에서의 CAGR이 60%를 초과할 것으로 추정됨.
이로 인해 희토류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북방희토 임원에 따르면, 산업용 전기 모터 수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업체들은 고속 고효율 희토류 영구자석 모터를 통해 전자제품 설계를 최적화하고 있음.


○ 기술혁신이 희토류 산업의 주요 성장 동력

희토류와 관련된 산학 연구 및 응용 모든 측면에서 혁신의 바람이 불고 있음.

북방희토 산하의 내몽골 Baotou희토연구소는 고성능 영구자석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며, 사마륨코발트(SmCo), 네오디뮴 철붕소(NdFeB)와 같은 자석 재료 연구소를 2021년 설립하였음.
이곳에서는 희토류 반사 단열 코팅기술(이 기술을 사용하면 각종 시설의 표면 온도를 10 – 20도 낮출 수 있음), 희토류 블루라이트 저감 조명 등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음.

네오디뮴 영구자석 제조업체인 Zhongke Sanhuan은 영구자석 제조를 위한 여러 핵심기술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소결 및 접합 네오디뮴(NdFeB) 영구자석 생산의 핵심공정 기술을 향상시켰음.
특히 Zhongke Sanhuan은 고급 제품에서 반드시 다량의 디스프로슘, 테르븀 등 중희토류 원소를 사용해야 하지만, 회사는 결정 입계확산(GBD)과 같은 중희토류 저감 기술을 사용하여 중희토류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있음.

○ 고성능 희토류 영구자석의 높은 수요 전망

북방희토는 전기차의 핵심 동력은 영구자석 모터이며, 이 영구자석 모터의 원재료는 희토류인 네오디뮴과 철, 붕소임.
전기차 시장의 확대는 희토류 영구자석에 기회이며, 현재 희토류 영구자석 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해 가고 있음.

Frost & Sullivan 보고서에 따르면, 고성능 희토류 영구자석의 글로벌 수요량은 2018년 4.75만톤에서 2023년 10.25만톤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CAGR로 17.2%의 성장률임.

고성능 희토류 영구자석은 음향기기, 산업용 전자기기 등 이전까지 낮은 사양의 자석을 사용하던 분야로 확대되고 있음.

JL MAG에 따르면 2024년 3분기까지 고성능 영구자석 생산 및 판매량이 전년동기 대비 약 40% 증가하였으며, 가동률은 90%를 초과하였다고 밝혔음.
JL MAG는 2025년까지 4만톤의 고성능 희토류 영구자석을 생산 시설 구축을 계획하고 있으며,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이 미래 고성능 네오디뮴(NdFeB) 영구자석의 중요한 수요 증가 분야가 될 것이라고 밝혔음.
JL MAG는 글로벌적으로 유명한 업체(테슬라)와 휴머노이드 로봇용 영구자석 제품의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음.

휴머노이드 로봇과 산업용 전자기계로 인해 앞으로 희토류 수요 전망이 매우 긍정적임.

Guojin Securities 보고서에 따르면, 희토류 영구자석은 휴머노이드 로봇의 높은 성장에 직접적인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됨.


https://finance.eastmoney.com/news/1353,202411083233031454.html
दिखाया गया 1 - 24 का 142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