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coin Community
Notcoin Community
Whale Chanel
Whale Chanel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Whale Chanel
Whale Chanel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doreamer의 투자 충전소⛽ avatar

doreamer의 투자 충전소⛽

아이디어 충전 + 정리 -> 빌드업
https://blog.naver.com/doreamer
TGlist रेटिंग
0
0
प्रकारसार्वजनिक
सत्यापन
असत्यापित
विश्वसनीयता
अविश्वसनीय
स्थान
भाषाअन्य
चैनल निर्माण की तिथिЛист 30, 2021
TGlist में जोड़ा गया
Квіт 12, 2024

doreamer의 투자 충전소⛽ के लोकप्रिय पोस्ट

से पुनः पोस्ट किया:
텔레그램 코인 방,채널 - CEN avatar
텔레그램 코인 방,채널 - CEN
어디다가 저장 해놓고 필요할때 찾아다 쓰시라

#AI
से पुनः पोस्ट किया:
NS
Nihil's view of data & information
※ 휴머노이드 로봇의 원가 구성 및 기술적 난이도 (테슬라 Optimus 기준)

테슬라의 휴머노이드 로봇 Optimus의 자료에 따르면, Optimus 양산시 BOM(Bill of Materials)비용 중 동력 시스템(선형 엑추에이터와 회전 엑추에이터, 인간형 로봇손 등 포함)비용이 전체 BOM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음.

동력시스템 내 비중은(판가, ASP 기준), 인간형 로봇 손이 약 32%, 리드 스크류 18%, 마이크로모터 18%, 감속기 12%, 센서(압력, 토크 센서 등) 7%, 프레임리스(Frameless motor) 7%임.

기술적 진입장벽은, 인간형 로봇 손 > 행성 롤러 스크류(Planetary Roller Screws) > 6차원 토크 센서 > 하모닉 감속기 > 마이크로 모터 > 프레임리스 모터 순으로 기술적 난이도가 높음.

참고로 테슬라의 휴머노이드 로봇 Optimus에 사용되는 모터의 주요 부품인 네오디뮴 영구자석은 중국 1위 영구자석 업체인 JL MAG의 소결 NdFeB 영구자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료인용 : SinoLink Securities 발간 “미국 트럼프 정부 아래서의 테슬라 산업체인 분석 보고서” (2025. 01. 24)
से पुनः पोस्ट किया:
NS
Nihil's view of data & information
※ 테슬라 Optimus 3Gen 로봇 손 핵심부품

인간형 로봇 손의 핵심 부품은 공심 컵 모터(Coreless DC Motor, 기존 DC모터와 달리 회전자인 rotor에 철심이 없는 형태의 모터), 리드스크류, 감속기, 촉각센서 임.

테슬라의 신형 Optimus 3Gen에서는 로봇 손의 자유도가 증가함에 따라 필요한 모터 수가 증가하여 더 많은 수의 Coreless DC Motor와 Brushless Planetary Geared Motor(브러시리스 모터와 유성 기어 감속기를 결합한 형태의 모터)가 사용됨.

Optimus 1Gen은 건삭(tendon)+웜 기어(Worm gear)를 통해 로봇 손이 작동하였으나, 3Gen은 리드스크류가 점점 더 발달함에 따라 민첩한 움직임을 위해 다수(34개)의 리드스크류가 사용되고 있음.

센서의 경우 Optimus 1Gen은 홀 센서를 사용하였으나, Optimus 2Gen 부터는 촉각센서를 추가하였음.

자료인용 : SinoLink Securities 발간 “미국 트럼프 정부 아래서의 테슬라 산업체인 분석 보고서” (2025. 01. 24)
से पुनः पोस्ट किया:
브래드민 투자 아카이브 avatar
브래드민 투자 아카이브
09.02.202505:07
세상의 모든 큰 것은 아주 작은 것에서 시작된다

한인이 창업했고, 창업 5년 만에 한화로 거의 1조 원에 인수된 화장품 회사 Hero Cosmetics(Hero)의 팟캐스트를 얼마 전에 흥미롭게 들었다. 창업가들의 이야기는 그 결말이 해피엔딩이든 새드엔딩이든 항상 배울 점들이 많아서 재미있고, 한국에 사는 분들에겐 너무나 익숙한 여드름 패치 하나로 시작해서 1조 원짜리 회사를 만들어서 Church and Dwight에 매각한 이야기도 웬만한 케이드라마보다 더 흥미로웠다.

이 팟캐스트를 며칠에 걸쳐 아침에 운동하면서 계속 들었는데, 그 기간 우리 투자사 대표와 미팅하면서, 이분이 하는 사업은 화장품 분야와는 완전히 다르지만, Hero가 고민하고 거쳐 온 과정에 대해서 같이 이야기하고, 나름대로 고민의 공통점들을 찾고 해답도 같이 찾는 이야기를 꽤 많이 했다.

Hero는 Mighty Patch라는 여드름 패치 제품 하나로 시작했고, 한국에서 만든 이 제품을 온, 오프라인 상점에서 팔기 시작했는데, 얼마 안 지나서 이 카테고리에서는 거의 1등 제품이 됐다. 1등 제품이긴 했지만, 없던 시장을 만들었기 때문에 일단 시장 자체가 작았고, 투자도 받고 사람도 더 고용하기 위해서 회사는 계속 성장을 해야 했다. 여기서 Hero의 창업가들은 더 큰 성장을 하기 위해서 여드름 패치보다 훨씬 큰 시장인 일반 화장품 분야로 확장하는 고민을 했다. 어차피 큰 카테고리로 보면 모두 다 화장품과 뷰티 분야였고, 다른 화장품도 한국의 공장에서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사 소싱도 용이했다. 그리고 어느 시점에는 일반 화장품/뷰티 쪽으로 확장하는 게 너무 자연스러운 성장 공식이라서 여드름 패치 판매 시작 1년 후에 이런 고민을 했다.

하지만, 이들이 내린 결론은, 일단 여드름 패치 분야에만 당분간 집중하는 것이었다. 여드름 패치 분야에서 더 많은, 더 좋은 제품을 더 싸게 판매해서 아예 다른 경쟁사들이 넘보지도 못할 정도로 압도적인 1등이 되고, 미국에서 말하는 소위 category dominator가 된 후에 다른 화장품 분야로 확장하기로 했다. 그리고 그 이후에 같은 여드름 패치를 다양한 색상, 다양한 용도, 그리고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서 SKU를 다각화했고, 판매 채널 또한 온, 오프라인 모든 곳으로 확장했다. 이렇게 한 결과, 여드름 패치로만 연 매출 수백억 원대를 달성할 수 있었고, 이 정도의 매출을 하니 이 분야에서는 압도적인 1등이 됐고, 이 category dominator 해자(垓字)를 구축한 후에 다른 화장품 분야로 조금은 더 수월하고 편하게 진출했다.

위에서 이야기했던 우리 투자사 대표도 이와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었고, 아마도 꽤 많은 창업가들이 이런 고민을 하는 걸로 알고 있다. 아주 힘들게 한 분야를 열심히 팠고, 꽤 오랜 시간 동안 기반을 닦아 놓으니, 이 분야에서 돈을 내는 고객도 생기고, 아주 빠르진 않지만, 고객에게 서서히 입소문이 나면서 어느 순간 이 분야에서 꽤 알아주는 제품을 만드는 회사가 된 경우를 우린 자주 본다. 그런데 지금 내가 집중하고 있는 시장보다 훨씬 더 큰 수천억 원 ~ 수조 원짜리 시장에서 훨씬 더 빠르게 성장하고 싶어서, 완전히 다른 시장, 또는 같은 시장에서 다른 카테고리를 계속 기웃거리는 창업가들이 꽤 많다.

이분들에게 내가 주로 하는 조언은 항상 비슷하다. Hero의 전략으로 가라고 한다. 즉, 내가 시작한 분야가 아무리 작아도, 고객이 존재하고, 우리가 의미 있는 제품을 만들어서 알만한 사람들은 이미 아는 브랜드를 만들고 있다면, 일단 이 시장을 완전히 장악해서 category leader를 넘어선 category dominator가 되라고 조언한다. 그 이후에 다른 곳으로 확장하라고 한다.


https://www.thestartupbible.com/2025/01/big-things-come-from-small-beginnings.html
से पुनः पोस्ट किया:
한화투자증권 김성수 - 채권 avatar
한화투자증권 김성수 - 채권
30.01.202500:26
■ Powell 의장 기자회견 주요 내용

1. 경제는 상당한 진전(significant)을 보였음. 2024년 GDP 성장률은 2%를 웃돌 것. 물가도 목표 수준에 매우 근접(much closer to goal)헀으나 여전히 다소 높은(somewhat elevated) 곳에 위치

2. 설비투자는 둔화, 주택시장은 안정되는 모습

3. 실업률은 안정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 중. 전반적으로 고용 상황은 균형잡혀 있음(broadly balanced). 고용시장은 물가 자극 요인이 아님

4.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에 큰 변화는 부재(well anchored)

5. 12월 PCE, Core PCE는 전년 동기대비 각각 2.6%, 2.8% 상승했을 것(11월 PCE: 2.4%, Core PCE: 2.8%)

8. 양대 책무 달성 관련 리스크는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황(roughly in balance)

9. 연준은 서둘러서 정책을 조정할 이유가 없음(do not need to be in a hurry to adjust policy rate). 앞서 나가지 않을 것(not on preset course)

10. 목표 달성 속도에 맞춰서 통화정책 조정할 것. 현재 통화정책은 리스크와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수준이며 목표 달성에 있어서도 매우 좋은 곳에 위치해 있음(very well calibrated)

11. 정책 프레임워크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관련 리뷰는 늦여름 즈음 발표할 예정

12. 통화정책의 긴축 강도는 기준금리 인하 전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하게 완화(meaningfully less restrictive)

13. 물가의 추가 진전, 고용의 추가 약화를 확인한 뒤 추가로 기준금리 인하할 것

14. 물가 목표 달성에 추가 고용 약화는 불필요

15. 성명서 내 물가 관련 문구 단축에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음

16. 현 상황에서 큰 변화가 있기 전까지 정책을 조정하지 않을 것(does not act until seeing much more than we see now)

17. 주거물가는 꾸준하게 둔화될 전망(coming down pretty steadily)

18. 이민자 유입이 감소했고, 앞으로도 그럴 것으로 보이지만 그 만큼 신규 고용 창출도 감소. 낮은 실업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이유

19. 연준 구성원 전원은 현재 기준금리가 중립금리 위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에 동의

20. 기준금리는 중립금리를 상당 수준(meaningfully) 상회

21. 관세정책이 미칠 여파, 그 여파의 방향성은 매우 불확실(the range of possibilities for tariffs is very, very wide)

22. 준비금을 유심히 관찰하고 있지만 그 규모는 지금도 매우 풍부한(abundant) 수준. 자산 축소 정책은 지속될 것

23. 장기 국채금리 상승은 기간 프리미엄 상승에 기인. 정책 또는 물가 관련 기대 때문이 아님

24. 물가가 2%에 도달할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를 멈출 필요는 없음

25. 현재 고용 증가율은 둔화. 따라서 기업들의 해고가 증가하면 실업률이 가파르게 상승할 가능성
누군가는 레딧의 매출을 까보며 데이터 제공 매출을 트래킹해 투자하고, 돈 벌고 있었음

반성 포인트

https://m.fmkorea.com/7975084107
이 표 기준으로는 어제쯤 5단계였던 것 같습니다.
29.01.202514:58
기름 (&가스) 섹터 투자가 업스트림 미드스트림 다운스트림 각각에 대해 집행 필요하여 연말에 일부 집행했으나 위 이유로 단타로 마무리지었었음. 다시 들어갈 타이밍을 계속 재고 있는데,

1. Q가 늘어나고(생산량 증대 공약) C가 줄어들어도(이앤피 생산장비 재활용 등) 결국 곱하기의 방정식에서 P를 줄여버리겠다는 지구대장의 공약 때문에 결국 향후 이익 전망의 각도를 줄여버리게 됨

2. 글로벌 증시가 다같이 두들겨 맞아 시장 센티 나빠지면 결국 모든 섹터가 영향 받을 수밖에 없음

이 두 가지 때문에 재진입 망설이는 중

#doreamer생각
से पुनः पोस्ट किया:
Pluto Research avatar
Pluto Research
NVDA를 커버하는 애널리스트가 78명인데 이 중 한명도 Deepseek의 위험을 예견하지 못한 것으로 보임. 위험이 명백해진 지금도 매도 의견은 없음.

Source: RBAdvisor, Twitter
से पुनः पोस्ट किया:
루팡 avatar
루팡
30.01.202523:45
애플 Q1 FY25 실적 (시간외 +0.04%)

EPS: $2.40 (예상 $2.35); 전년 대비 +10% 증가
매출: $124.30B (예상 $124.1B); 전년 대비 +4% 증가
중국 매출: $18.51B (예상 $21.57B); 전년 대비 -11.1% 감소
부문별 실적:
iPhone 매출: $69.14B (예상 $71.04B)
iPad 매출: $8.09B (예상 $7.35B)
Mac 매출: $8.99B (예상 $7.94B)
웨어러블, 홈 & 액세서리 매출: $11.75B (예상 $12.04B)
서비스 매출: $26.34B (예상 $26.08B)

주요 지표:
총이익: $58.28B (예상 $57.91B)
영업이익: $42.83B (예상 $42.45B)
순이익: $36.33B (예상 $35.66B)
R&D 비용: $8.27B (예상 $8.26B)
SG&A 비용: $7.18B (예상 $7.11B)

지역별 매출:
미주 매출: $52.65B (전년 대비 +4.4%)
유럽 매출: $33.86B (전년 대비 +11.4%)
중국 매출: $18.51B (전년 대비 -11.1%)
일본 매출: $8.99B (전년 대비 +15.7%)
아시아 태평양 기타 지역 매출: $10.29B (전년 대비 +1.3%)
현금흐름 및 자본 배당:
영업현금흐름: $29.94B
잉여현금흐름: $9.79B
자본지출: $2.94B
자사주 매입: $23.6B
분기 배당금: 주당 $0.25 (2025년 2월 13일 지급 예정)

CEO 및 CFO 코멘트:
팀 쿡(CEO): "애플은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으며, 연말 성수기 수요와 Apple Silicon을 통한 지속적인 혁신이 성장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케반 파레크(CFO): "사상 최고 매출과 강력한 영업이익률을 바탕으로 EPS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300억 달러 이상을 주주들에게 환원했습니다."
기업 주요 사항:
서비스 매출 사상 최대 기록
모든 제품 및 지역에서 활성 기기 설치 기반 사상 최대 기록
'Apple Intelligence'의 언어 지원이 4월부터 확대 예정
PAPAGO 자동번역
휴머노이드 로봇 원가 구성 및 기술적 난이도 (테슬라 옵티머스 기준)
09.02.202502:59
증여세 미신고한 경우 발생하는 가산세는 증여한도 (미성년 10년 2천만원, 성년 10년 5천만원) 내에서는 미발생하고, 한도 초과되어 세금을 냈어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발생한다고 세무사에게 들었었는데 국세청이 어떤 식으로 감을 수 있는진 모르겠음.

“증여를 신고하지 않았다가 적발되면 20%의 가산세를 내야 한다.”

부모가 대신 거래해주는 건 웬만한 증여 가정 모두 걸릴텐데 죄 수준을 금융실명법 위반으로 감아서 세금으로 전액 가져가는 방법도 대단한 듯.

“미신고 주식 증여를 하고 부모가 활발하게 주식 거래를 했다가 차명계좌로 간주되는 사례도 있다. 자녀가 취학 전 아동이라면 특히 차명계좌로 간주될 가능성이 커진다. 부모가 자식 명의로 차명계좌를 개설하는 것은 형사 처벌 대상은 아니지만, 금융실명법 위반으로 이자·배당소득의 99%를 세금으로 내야 한다.”

https://biz.chosun.com/about-investing/2025/02/09/FPSWPKXDR5AAJH6OGBDCXMHC5M/
09.02.202506:25
롯데리아 같이 읽으면 좋을 기사

검색 한 번 했다고 바로 피드에 뜬 1주일 전 기사인데 그간 마케팅 전략을 잘 정리함

https://mbiz.heraldcorp.com/article/10409056
से पुनः पोस्ट किया:
루팡 avatar
루팡
30.01.202523:45
애플 Q2 가이던스:

애플은 외환(FX) 역풍이 2.5%포인트(ppt)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2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한 자릿수 초중반(저~중반) 수준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서비스 매출은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초반 성장을 예상하며, 이는 FY24 추세와 일치함.

주요 지표:
총이익률: 46.5%-47.5%
영업비용: $15.1B-$15.3B
영업이익 & 기타 비용: 약 $300M (시장가평가 영향 제외)
세율: 약 16%
만약 FX 역풍이 없었다면, 전년 대비 매출 성장률은 Q1과 유사한 수준이었을 것.

애플의 가이던스를 기준으로 한 주당 순이익(EPS)은 $1.50~$1.72로 계산됨.
컨센서스 예상치는 $1.65.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재테크야간자율학습🌗 avatar
재테크야간자율학습🌗
09.02.202506:55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