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 주식전략》 이재만과 이경수
주식전략 이재만과 퀀트 이경수가 전하는 1등 리서치, 1등 투자전략 채널(본 텔레방 외는 모두 사칭으로 주의하세요)
TGlist रेटिंग
0
0
प्रकारसार्वजनिक
सत्यापन
असत्यापितविश्वसनीयता
अविश्वसनीयस्थान
भाषाअन्य
चैनल निर्माण की तिथिMar 29, 2017
TGlist में जोड़ा गया
Sep 19, 2024समूह "《하나 주식전략》 이재만과 이경수" में नवीनतम पोस्ट


17.04.202523:51
17.04.202507:12
[4/17 하나증권 국내증시 마감시황]
주식전략 RA 박성제 (T.3771-8576)
하나증권 투자전략팀 텔레그램: https://t.me/HANAStrategy
⭐증시 한줄평: 기준금리 동결, 국내 증시 상승 마감
KOSPI 2,470.41(+0.94%), KOSDAQ 711.75(+1.81%)
> 금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2.75%로 동결.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은 미국이 펼치고 있는 관세전쟁이 우리 경제에 미칠 충격파를 조금 더 가늠할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됨
> 작일 미 증시가 급락한 가운데 상승 출발한 국내 증시는 미국 선물과 아시아 증시 전반적인 강세 흐름 속에서 기관 매수세가 이어지며 상승 마감. 삼성전자(+0.73%), SK하이닉스(+0.57%), 삼성바이오로직스(+3.52%) 등 주요 대형주들이 강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에 기여
> 금일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순매도, 기관은 순매수 진행.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5거래일 연속으로 순매도하는 흐름
★ 수급 동향
> KOSPI(억 원): 외인 (-3,519), 기관 (+3,458), 개인 (-871)
> KOSDAQ(억 원): 외인 (+947), 기관 (+472), 개인 (-1,415)
★ 원/달러 환율 1,418.9(▼7.8)
😊강세업종(KRX업종): 인터넷(+3.25%), 게임(+3.17%), 기계장비(+2.68%)
😟약세업종(KRX업종): 증권(-0.16%), 은행(-0.05%), 보험(-0.02%)
★ 금일 특징주
한화솔루션 (+10.50%) : 미국 태양광 소재 상호관세 면제 소식에 한화솔루션 주가 상승
현대로템 (+8.81%) : 연간 약 100대의 전차 생산능력으로 경쟁사 대비 높은 생산 능력 부각에 상승
퓨리오사AI
퓨리오사AI 상장 기대감에 관련주 상승
엑스페릭스 (+29.91%)/포바이포 (+29.97%)/TS엔비스트먼트 (+26.99%)/토마토시스템 (+12.03%)
태양광
폴리실리콘, 웨이퍼 미국 상호관세 면제 품목 포함
OCI홀딩스 (+15.66%)/한화솔루션 (+10.50%)/그리드위즈 (+6.10%)/OCI (+6.37%)
웹툰
대선 후보의 웹툰 특화 도서관 방문 소식에 상승
미스터블루 (+29.93%)/핑거스토리 (+20.63%)/키다리스튜디오 (+14.55%)/엔비티 (+5.89%)
화장품
화장품 기업들 수출 성장에 따른 1분기 실적 기대감에 상승
잉글우드랩 (+16.25%)/에스엠씨지 (+13.89%)/씨앤씨인터내셔널 (+7.02%)/브이티 (+5.94%)
기타
엑스페릭스 (+29.91%) : 미국 기업과 AI 특허 솔루션 독점 계약으로 글로벌 AI IP 전략 본격화 기대감에 상한가
인벤티지랩 (+23.53%) : 큐라티스 인수 통해 대량생산 역량 갖추며 mRNA 생산 특화 기대감에 상승
주식전략 RA 박성제 (T.3771-8576)
하나증권 투자전략팀 텔레그램: https://t.me/HANAStrategy
⭐증시 한줄평: 기준금리 동결, 국내 증시 상승 마감
KOSPI 2,470.41(+0.94%), KOSDAQ 711.75(+1.81%)
> 금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2.75%로 동결.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은 미국이 펼치고 있는 관세전쟁이 우리 경제에 미칠 충격파를 조금 더 가늠할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됨
> 작일 미 증시가 급락한 가운데 상승 출발한 국내 증시는 미국 선물과 아시아 증시 전반적인 강세 흐름 속에서 기관 매수세가 이어지며 상승 마감. 삼성전자(+0.73%), SK하이닉스(+0.57%), 삼성바이오로직스(+3.52%) 등 주요 대형주들이 강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에 기여
> 금일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순매도, 기관은 순매수 진행.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5거래일 연속으로 순매도하는 흐름
★ 수급 동향
> KOSPI(억 원): 외인 (-3,519), 기관 (+3,458), 개인 (-871)
> KOSDAQ(억 원): 외인 (+947), 기관 (+472), 개인 (-1,415)
★ 원/달러 환율 1,418.9(▼7.8)
😊강세업종(KRX업종): 인터넷(+3.25%), 게임(+3.17%), 기계장비(+2.68%)
😟약세업종(KRX업종): 증권(-0.16%), 은행(-0.05%), 보험(-0.02%)
★ 금일 특징주
한화솔루션 (+10.50%) : 미국 태양광 소재 상호관세 면제 소식에 한화솔루션 주가 상승
현대로템 (+8.81%) : 연간 약 100대의 전차 생산능력으로 경쟁사 대비 높은 생산 능력 부각에 상승
퓨리오사AI
퓨리오사AI 상장 기대감에 관련주 상승
엑스페릭스 (+29.91%)/포바이포 (+29.97%)/TS엔비스트먼트 (+26.99%)/토마토시스템 (+12.03%)
태양광
폴리실리콘, 웨이퍼 미국 상호관세 면제 품목 포함
OCI홀딩스 (+15.66%)/한화솔루션 (+10.50%)/그리드위즈 (+6.10%)/OCI (+6.37%)
웹툰
대선 후보의 웹툰 특화 도서관 방문 소식에 상승
미스터블루 (+29.93%)/핑거스토리 (+20.63%)/키다리스튜디오 (+14.55%)/엔비티 (+5.89%)
화장품
화장품 기업들 수출 성장에 따른 1분기 실적 기대감에 상승
잉글우드랩 (+16.25%)/에스엠씨지 (+13.89%)/씨앤씨인터내셔널 (+7.02%)/브이티 (+5.94%)
기타
엑스페릭스 (+29.91%) : 미국 기업과 AI 특허 솔루션 독점 계약으로 글로벌 AI IP 전략 본격화 기대감에 상한가
인벤티지랩 (+23.53%) : 큐라티스 인수 통해 대량생산 역량 갖추며 mRNA 생산 특화 기대감에 상승
17.04.202501:42
3월말 공매도 재개 초기보다는 최근 공매도 거래대금이 많이 줄어들었네요 그 와중에 공매도 거래를 주도하는 것은 외인




16.04.202523:26


16.04.202523:26


15.04.202523:57


15.04.202523:12
15.04.202511:54
[하나증권 퀀트 이경수] 5월 MSCI KOREA 편출입 예상
※ 5월 MSCI KOREA 종목수 증가 가능성 높아 ※
▲ 한화시스템, 삼양식품 편입 예상, 에코프로머티 편출 예상
- 현재 MSCI KOREA의 종목의 수는 81개로 최저 수준(지난 2월 리뷰에서 기존 92개에서 81개로 축소)
- 이번 5월 MSCI 리뷰(5.14 오전)에서 발표될 한국 종목의 숫자는 선진국 지수의 중위값에 연동되는 시스템으로 정확히 예측은 어렵지만, 달러 기준 선진국대비 한국시장의 초과성과와 MSCI KOREA 종목의 수는 대체로 연동성이 큼
- 이를 토대로, 최근 3개월간 MSCI 한국 지수는 선진국 지수대비 +6%p 이상 아웃퍼폼하고 있어 MSCI KOREA 종목의 수는 81개에서 83~84개로 2~3개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이번 5월 MSCI 리뷰에 활용되는 기준일은 4.17일부터 4.30일 중 랜덤한 하루
- 4.15일 종가 기준으로 한화시스템과 삼양식품은 시가총액 허들을 이미 10% 이상 넘긴 상황으로 월말까지 시장대비 -10% 이하의 급락세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무난히 편입 가능(90% 이상 확률)
- 다만, 필자의 예상대로 2~3개 늘어난다는 가정으로는 추가적으로 LIG넥스원, 레인보우로보틱스, HD현대미포의 편입 가능성도 있음(가능성 순서), 만약 종목수 증가가 없다면 위 종목군은 8월 예상 종목이 될 가능성
- 과거 MSCI 리뷰 이전에 외인들은 미리 편입 예상 종목군에 대한 매수세를 보였던 사례 존재, 현재 한화시스템, 삼양식품, LIG넥스원, 레인보우로보틱스에는 외국인의 순매수가 진행 중, 다만 HD현대미포에는 외인 유입 X
- 편출 가능성이 높은 종목으로는 유동시가총액 허들에 미달하는 에코프로머티
- 추가로 편입이 되는 종목 수에 비례하여 엔씨소프트, LG이노텍, SKC 순으로 편출 가능성 높음(시가총액 낮은 순)
▲ 링크: https://bit.ly/4cEvrtQ
※ 5월 MSCI KOREA 종목수 증가 가능성 높아 ※
▲ 한화시스템, 삼양식품 편입 예상, 에코프로머티 편출 예상
- 현재 MSCI KOREA의 종목의 수는 81개로 최저 수준(지난 2월 리뷰에서 기존 92개에서 81개로 축소)
- 이번 5월 MSCI 리뷰(5.14 오전)에서 발표될 한국 종목의 숫자는 선진국 지수의 중위값에 연동되는 시스템으로 정확히 예측은 어렵지만, 달러 기준 선진국대비 한국시장의 초과성과와 MSCI KOREA 종목의 수는 대체로 연동성이 큼
- 이를 토대로, 최근 3개월간 MSCI 한국 지수는 선진국 지수대비 +6%p 이상 아웃퍼폼하고 있어 MSCI KOREA 종목의 수는 81개에서 83~84개로 2~3개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이번 5월 MSCI 리뷰에 활용되는 기준일은 4.17일부터 4.30일 중 랜덤한 하루
- 4.15일 종가 기준으로 한화시스템과 삼양식품은 시가총액 허들을 이미 10% 이상 넘긴 상황으로 월말까지 시장대비 -10% 이하의 급락세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무난히 편입 가능(90% 이상 확률)
- 다만, 필자의 예상대로 2~3개 늘어난다는 가정으로는 추가적으로 LIG넥스원, 레인보우로보틱스, HD현대미포의 편입 가능성도 있음(가능성 순서), 만약 종목수 증가가 없다면 위 종목군은 8월 예상 종목이 될 가능성
- 과거 MSCI 리뷰 이전에 외인들은 미리 편입 예상 종목군에 대한 매수세를 보였던 사례 존재, 현재 한화시스템, 삼양식품, LIG넥스원, 레인보우로보틱스에는 외국인의 순매수가 진행 중, 다만 HD현대미포에는 외인 유입 X
- 편출 가능성이 높은 종목으로는 유동시가총액 허들에 미달하는 에코프로머티
- 추가로 편입이 되는 종목 수에 비례하여 엔씨소프트, LG이노텍, SKC 순으로 편출 가능성 높음(시가총액 낮은 순)
▲ 링크: https://bit.ly/4cEvrtQ
15.04.202506:40
[4/15 하나증권 국내증시 마감시황]
주식전략 RA 박성제 (T.3771-8576)
하나증권 투자전략팀 텔레그램: https://t.me/HANAStrategy
⭐증시 한줄평: 관세 불확실성이 줄어들고 있는 흐름
KOSPI 2,477.41(+0.88%), KOSDAQ 711.92(+0.41%)
> 전자 제품들에 이어 자동차에 대한 관세 또한 일시적으로 면제될 가능성에 현대차(+4.29%)와 기아(+3.37%) 등 국내 자동차 관련 주들이 증시 상승 견인. 또한 베센트 재무장관이 한국과 다음 주 무역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히며 관세에 대한 불안감이 줄어들고 있는 흐름
> 이에 국내 증시는 금일 상승 출발하였으며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강보합 마감
>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3거래일 연속으로 순매도 진행. 기관 투자자들은 금일 순매수를 진행하며 증시 상승에 기여
★ 수급 동향
> KOSPI(억 원): 외인 (-1,127), 기관 (+1,768), 개인 (-1,474)
> KOSDAQ(억 원): 외인 (-710), 기관 (-382), 개인 (+1,174)
★ 원/달러 환율 1,425.5(▲1.4)
😊강세업종(KRX업종): 자동차(+3.21%), 유틸리티(+2.19%), 은행(+2.13%)
😟약세업종(KRX업종): 바이오(-1.10%), 헬스케어(-0.89%), 게임(-0.23%)
★ 금일 특징주
현대차 (+4.29%) : 트럼프 대통령 자동차 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에 상승
포스코인터내셔널 (+2.45%) : 한미 통상 협상에서 미국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사업성 검토 소식에 상승
자동차
트럼프 대통령 자동차 부품 관세 유예 언급에 상승
HL만도 (+6.23%)/현대차 (+4.29%)/기아 (+3.37%)/현대위아 (+3.29%)
가스관, 강관
한미 통상협상 기대감에 알래스카 LNG 논의 계획
하이스틸 (+29.87%)/대통스틸 (+20.85%)/휴스틸 (+4.90%)/동양철관 (+5.71%)
전력설비
동남아시아 전력 인프라 시장 확장 기대감에 상승
가온전선 (+11.45%)/LS에코에너지 (+8.39%)/LS ELECTRIC (+5.22%)/효성중공업 (+6.32%)
원자력
베트남과 산업부 원전 협력 MOU 체결 소식에 상승
비에이치아이 (+9.68%)/우진 (+5.99%)/한전기술 (+3.06%)/비츠로테크 (+3.68%)
기타
한국피아이엠 (+29.97%) : 신소재 MIM 시장 공략 소식에 실적 호전 기대감에 상한가
딥노이드 (+18.39%) : 미국 FDA 의약품 개발 동물실험 폐지에 의료 AI 수혜 기대감에 상승
주식전략 RA 박성제 (T.3771-8576)
하나증권 투자전략팀 텔레그램: https://t.me/HANAStrategy
⭐증시 한줄평: 관세 불확실성이 줄어들고 있는 흐름
KOSPI 2,477.41(+0.88%), KOSDAQ 711.92(+0.41%)
> 전자 제품들에 이어 자동차에 대한 관세 또한 일시적으로 면제될 가능성에 현대차(+4.29%)와 기아(+3.37%) 등 국내 자동차 관련 주들이 증시 상승 견인. 또한 베센트 재무장관이 한국과 다음 주 무역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히며 관세에 대한 불안감이 줄어들고 있는 흐름
> 이에 국내 증시는 금일 상승 출발하였으며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강보합 마감
>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3거래일 연속으로 순매도 진행. 기관 투자자들은 금일 순매수를 진행하며 증시 상승에 기여
★ 수급 동향
> KOSPI(억 원): 외인 (-1,127), 기관 (+1,768), 개인 (-1,474)
> KOSDAQ(억 원): 외인 (-710), 기관 (-382), 개인 (+1,174)
★ 원/달러 환율 1,425.5(▲1.4)
😊강세업종(KRX업종): 자동차(+3.21%), 유틸리티(+2.19%), 은행(+2.13%)
😟약세업종(KRX업종): 바이오(-1.10%), 헬스케어(-0.89%), 게임(-0.23%)
★ 금일 특징주
현대차 (+4.29%) : 트럼프 대통령 자동차 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에 상승
포스코인터내셔널 (+2.45%) : 한미 통상 협상에서 미국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사업성 검토 소식에 상승
자동차
트럼프 대통령 자동차 부품 관세 유예 언급에 상승
HL만도 (+6.23%)/현대차 (+4.29%)/기아 (+3.37%)/현대위아 (+3.29%)
가스관, 강관
한미 통상협상 기대감에 알래스카 LNG 논의 계획
하이스틸 (+29.87%)/대통스틸 (+20.85%)/휴스틸 (+4.90%)/동양철관 (+5.71%)
전력설비
동남아시아 전력 인프라 시장 확장 기대감에 상승
가온전선 (+11.45%)/LS에코에너지 (+8.39%)/LS ELECTRIC (+5.22%)/효성중공업 (+6.32%)
원자력
베트남과 산업부 원전 협력 MOU 체결 소식에 상승
비에이치아이 (+9.68%)/우진 (+5.99%)/한전기술 (+3.06%)/비츠로테크 (+3.68%)
기타
한국피아이엠 (+29.97%) : 신소재 MIM 시장 공략 소식에 실적 호전 기대감에 상한가
딥노이드 (+18.39%) : 미국 FDA 의약품 개발 동물실험 폐지에 의료 AI 수혜 기대감에 상승


14.04.202523:59


14.04.202523:59
14.04.202506:39
[4/14 하나증권 국내증시 마감시황]
주식전략 RA 박성제 (T.3771-8576)
하나증권 투자전략팀 텔레그램: https://t.me/HANAStrategy
⭐증시 한줄평: 국내 증시 상승 마감
KOSPI 2,455.89(+0.95%), KOSDAQ 708.98(+1.92%)
> 지난 11일,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반도체를 포함한 일부 전자제품에 예정되어 있던 관세가 면제된다고 발표함. 그러나 13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반도체 등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관세 정책에 대한 후퇴는 없을 것임을 시사. 다만, 관세 부과의 범위나 강도는 일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글로벌 투자심리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임. 같은 날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연준이 적극적으로 개입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히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
> 이러한 흐름 속에 상승 출발한 국내 증시는 상승 마감. 특히나 삼성전자(+1.81%), LG에너지솔루션(+2.24%), 한화오션(+3.22%) 등 대형주들이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국내 증시 상승 견인
> 금일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 모두 국내 증시에서 순매도 진행
★ 수급 동향
> KOSPI(억 원): 외인 (-2,558), 기관 (-92), 개인 (+1,925)
> KOSDAQ(억 원): 외인 (-255), 기관 (+225), 개인 (+45)
★ 원/달러 환율1,424.1(▼25.8)
😊강세업종(KRX업종): 인터넷(+2.40%), 헬스케어(+1.72%), 바이오(+1.49%)
😟약세업종(KRX업종): IT소프트웨어(-0.18%)
★ 금일 특징주
HD현대마린엔진 (+6.89%) : 트럼프 대통령 조선업 재건 위한 행정명령 서명 소식에 조선수 상승
펩트론 (+2.19%) : GMP 제조 시설 확보해 지속형 의약품 개발 매진해 실적 호전 기대감에 상승
희토류
중국 4월 4일부터 희토류 수출 금지 소식에 상승
노바텍 (+21.71%)/유니온 (+8.95%)/동국알앤에스 (+5.63%)/유니온머티리얼 (+5.99%)
의료AI
미국 FDA, 의약품 개발서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토마토시스템 (+24.83%)/온코크로스 (+10.60%)/메디아나 (+9.71%)/뷰노 (+8.21%)
AI
대선 공약으로 AI 100조원 투자 계획 언급에 상승
솔트룩스 (+23.78%)/와이즈넛 (+21.77%)/한글과컴퓨터 (+12.39%)/인스웨이브시스템즈 (+11.11%)
스마트폰 부품
트럼프, 반도체 등 전자제품 및 부품 상호관세 부과대상에서 제외 소식에 상승
파인엠텍 (+11.60%)/유티아이 (+11.29%)/세경하이테크 (+9.92%)/KH바텍 (+8.80%)
기타
솔트룩스 (+23.78%) : 대선 공약으로 AI 산업 육성 비전 발표하며 100조원 투자 계획 언급에 강세
노바텍 (+21.71%) : 미중 관세 전쟁에 4일부터 중국 희토류 수출 중단 소식에 강세
주식전략 RA 박성제 (T.3771-8576)
하나증권 투자전략팀 텔레그램: https://t.me/HANAStrategy
⭐증시 한줄평: 국내 증시 상승 마감
KOSPI 2,455.89(+0.95%), KOSDAQ 708.98(+1.92%)
> 지난 11일,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반도체를 포함한 일부 전자제품에 예정되어 있던 관세가 면제된다고 발표함. 그러나 13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반도체 등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관세 정책에 대한 후퇴는 없을 것임을 시사. 다만, 관세 부과의 범위나 강도는 일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글로벌 투자심리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임. 같은 날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연준이 적극적으로 개입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히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
> 이러한 흐름 속에 상승 출발한 국내 증시는 상승 마감. 특히나 삼성전자(+1.81%), LG에너지솔루션(+2.24%), 한화오션(+3.22%) 등 대형주들이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국내 증시 상승 견인
> 금일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 모두 국내 증시에서 순매도 진행
★ 수급 동향
> KOSPI(억 원): 외인 (-2,558), 기관 (-92), 개인 (+1,925)
> KOSDAQ(억 원): 외인 (-255), 기관 (+225), 개인 (+45)
★ 원/달러 환율1,424.1(▼25.8)
😊강세업종(KRX업종): 인터넷(+2.40%), 헬스케어(+1.72%), 바이오(+1.49%)
😟약세업종(KRX업종): IT소프트웨어(-0.18%)
★ 금일 특징주
HD현대마린엔진 (+6.89%) : 트럼프 대통령 조선업 재건 위한 행정명령 서명 소식에 조선수 상승
펩트론 (+2.19%) : GMP 제조 시설 확보해 지속형 의약품 개발 매진해 실적 호전 기대감에 상승
희토류
중국 4월 4일부터 희토류 수출 금지 소식에 상승
노바텍 (+21.71%)/유니온 (+8.95%)/동국알앤에스 (+5.63%)/유니온머티리얼 (+5.99%)
의료AI
미국 FDA, 의약품 개발서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토마토시스템 (+24.83%)/온코크로스 (+10.60%)/메디아나 (+9.71%)/뷰노 (+8.21%)
AI
대선 공약으로 AI 100조원 투자 계획 언급에 상승
솔트룩스 (+23.78%)/와이즈넛 (+21.77%)/한글과컴퓨터 (+12.39%)/인스웨이브시스템즈 (+11.11%)
스마트폰 부품
트럼프, 반도체 등 전자제품 및 부품 상호관세 부과대상에서 제외 소식에 상승
파인엠텍 (+11.60%)/유티아이 (+11.29%)/세경하이테크 (+9.92%)/KH바텍 (+8.80%)
기타
솔트룩스 (+23.78%) : 대선 공약으로 AI 산업 육성 비전 발표하며 100조원 투자 계획 언급에 강세
노바텍 (+21.71%) : 미중 관세 전쟁에 4일부터 중국 희토류 수출 중단 소식에 강세


13.04.202523:48


13.04.202523:46
13.04.202504:55
✔️주간 퀀트 코멘트입니다('25.4.13 하나증권 퀀트 이경수)
⚡️트럼프 관세 이슈로 미국과 중국 중심으로 글로벌 이익 추정치 하향 전환
✅특히 미국의 주간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은 코로나 이후 처음으로 나타나는 현상
✅중국 및 일본, 유럽 등 거의 모든 국가들의 실적 하향 관찰
✅글로벌 경기 위축 등의 우려로 국제유가 급락세는 원유 업체들의 실적 급감 야기
✅항공 및 해운 업종도 글로벌 교역량 감소 등의 우려로 실적 추정치 급감
✅투자은행 역시 경기 우려 등으로 실적 하향, 금속 광물 업종도 경기 우려로 하향 조정
✅자동차 업종은 관세 우려로 인한 실적 하향폭이 가장 큰 업종
✅또한 럭셔리 업종 역시 경기 우려로 이례적인 실적 추정치 급감(에르메스, 루이비통 등)
✅상호미디어 업종은 트럼프 무역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서비스(무형) 물품에 대한 관세 우려 등으로 실적 추정치 급감
✅기술하드웨어 업종, 특히 애플은 중국 및 인도, 베트남 제조로 관세 우려가 가장 큰 상황, 생산 비용 급등과 소비자 가격 상승, 마진 감소 가능성, 또한 새로운 아이폰 모델로 업그레이드하는 빈도가 낮아지고 있다는 분석, 물론 최근 트럼프가 스마트폰과 일부 전자제품을 관세 면제 대상으로 지정했지만 중국의 보복과 트럼프 입장 번복, 부품에 대한 원가 이슈 등으로 여전히 우려
✅테슬라 역시 배터리 등 부품(중국, 베트남 등) 가격 증가, 소비자 가격 증가 우려, 중국과 유럽 전기차 경쟁 심화 등 우려 반영으로 실적 및 목표주가 하향 지속
✅상대적으로 양호한 실적을 보이는 업종은 음식료, 부동산개발관리, 제약, 음식료유통, 레저용품, 통신, 가스유틸리티, 전기유틸, 반도체 등
😊실적 상향 주요 종목: 크라운캐슬, 에스티로더, 에어버스, 인텔, 아스트라제네카, 팔로알토, SAP SE, 필립모리스, 메타, 브로드컴, 엘리릴리, 유나이티드헬스, 넷플릭스, 티모바일, 노보노디스크, 마오타이, 알리바바, 삼성전자, 노바티스, 인투이티브서지컬, 프로그레시브, AMD, 우버, BYD, 보스톤사이언티픽 등
🥲실적 하향 주요 종목: 발레로에너지, 커링, 블랙락, 포드, 옥시덴탈페트롤리엄, 마라쏜페트롤리엄, 코인베이스, 브룩필드, 글렌코어, 필립스66, 애플, 테슬라, 엑슨모빌, 존슨앤존슨, 루이비통, 에르메스, 도요타, ASML, 셰브론, 웰스파고, AT&T, 릴라이언스, 모건스탠리, 지멘스, 골드만삭스, 월트디즈니, 스왑(찰스), 카터필라 등
⚡️코스피 1Q25F 실적 추정치는 하향 다만, 25년 연간 OP 는 상향, 실적 저점 기대감
✅1Q25F OP 추정치는 64.1조원으로 1주전대비 -1.1% 변화
✅삼성전자 실적 서프라이즈 후 상향 업종 부재된 영향
✅올해 OP 전망치는 295조원으로 1달전 292조원대비 상향
😊1Q25F OP 상향 업종: 화학, 화장품, 건설, 방산, 제약, 비철금속, 조선, 증권, 유틸리티, 가전
🥲하향 업종: 정유, 철강, 방송엔터, 항공, 게임엔터, 자동차부품, 유통, 상호미디어, 음식료
✅1Q25F OP 상향 주요 종목(어닝 서프라이즈 예상)은
LG화학/LG에너지솔루션/한화오션/에이피알/삼성바이오로직스/한화/금호석유/HD현대/미래에셋증/
HD현대미포/이마트/크래프톤/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수페타시스/LG이노텍/두산/한국전력/현대로템/아모레퍼시픽/HD현대일렉트릭/현대글로비스/LG전자/삼성에스디에스/삼성중공업/HD현대중공업//파마리서치/두산에너빌리티/삼성화재/SK하이닉스/기아
⚡️지난주 국내 수급 특징
✅외국인: 대형, 가치, 배당주 매도세, 코스닥 및 소형주 매수세, 지난 주에 비해 매도 둔화
코스피 -4.1조원, 코스닥 -2,200억원
순매수 상위: 조선, 건강관리장비, 통신, 유틸리티
순매도 상위: 반도체, 가전, 은행, 자동차, 철강
✅연기금: 국내 저점 매수 지속, 대형주 매수, 성장주 매수 스킴
코스피 +8,300억원, 코스닥 -40억원
순매수 상위: 방산, 건기장비, 조선, 해운, 유통
순매도 상위: 디스플레이, 가전, 호텔레저, 항공
⚡️지난 주말(금요일 하루 기준) 센티먼트 위험선호(상위 0.79% 수준) 회복
*VIX -7.8%(37.6)
*엔/달러 -0.63%(143.5)
*달러인덱스 -0.76%(100.1)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6bp(4.49%)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2.51%
*금가격 +2.11%
⚡️금주 주요 일정 (경제지표 / 실적발표)
4.14(월) - / 골드만삭스
15(화) - / 존슨앤존슨, BOA, 씨티그룹
16(수) 미국 소매판매, 원유재고, FED 의장 파월 연설 / ASML, 프로그래시브, US뱅코프, 킨터모건
17(목)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 활동지수 / 타이완세미콘, 우리금융, 한미반도체, 유나이티드헬스, 넷플릭스, 찰스스왑
18(금) 미국 부활절로 휴장
⚡️퀀트 코멘트
✅중국 외 관세 부담이 크게 약화되면서 안전선호가 완화되었지만 VIX 지수는 여전히 30 부근
✅미국 국채와 달러지수가 안전자산의 역할을 못 하는 모습으로 금융 자산의 불안정성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음
✅금 가격은 여전히 신고가를 기록 중이지만 항상 경기 우려가 반영되는 상황에서 금 값의 변동이 컸다는 점을 상기
✅베타보다 알파 전략에 집중, 1분기 실적보다는 2분기 및 연간 실적 중요, 관세 이슈 소화 및 달러 약세(원화 강세) 염두한 전략 및 배당주 저점 매수 유효
⚡️트럼프 관세 이슈로 미국과 중국 중심으로 글로벌 이익 추정치 하향 전환
✅특히 미국의 주간 실적 추정치 하향 조정은 코로나 이후 처음으로 나타나는 현상
✅중국 및 일본, 유럽 등 거의 모든 국가들의 실적 하향 관찰
✅글로벌 경기 위축 등의 우려로 국제유가 급락세는 원유 업체들의 실적 급감 야기
✅항공 및 해운 업종도 글로벌 교역량 감소 등의 우려로 실적 추정치 급감
✅투자은행 역시 경기 우려 등으로 실적 하향, 금속 광물 업종도 경기 우려로 하향 조정
✅자동차 업종은 관세 우려로 인한 실적 하향폭이 가장 큰 업종
✅또한 럭셔리 업종 역시 경기 우려로 이례적인 실적 추정치 급감(에르메스, 루이비통 등)
✅상호미디어 업종은 트럼프 무역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서비스(무형) 물품에 대한 관세 우려 등으로 실적 추정치 급감
✅기술하드웨어 업종, 특히 애플은 중국 및 인도, 베트남 제조로 관세 우려가 가장 큰 상황, 생산 비용 급등과 소비자 가격 상승, 마진 감소 가능성, 또한 새로운 아이폰 모델로 업그레이드하는 빈도가 낮아지고 있다는 분석, 물론 최근 트럼프가 스마트폰과 일부 전자제품을 관세 면제 대상으로 지정했지만 중국의 보복과 트럼프 입장 번복, 부품에 대한 원가 이슈 등으로 여전히 우려
✅테슬라 역시 배터리 등 부품(중국, 베트남 등) 가격 증가, 소비자 가격 증가 우려, 중국과 유럽 전기차 경쟁 심화 등 우려 반영으로 실적 및 목표주가 하향 지속
✅상대적으로 양호한 실적을 보이는 업종은 음식료, 부동산개발관리, 제약, 음식료유통, 레저용품, 통신, 가스유틸리티, 전기유틸, 반도체 등
😊실적 상향 주요 종목: 크라운캐슬, 에스티로더, 에어버스, 인텔, 아스트라제네카, 팔로알토, SAP SE, 필립모리스, 메타, 브로드컴, 엘리릴리, 유나이티드헬스, 넷플릭스, 티모바일, 노보노디스크, 마오타이, 알리바바, 삼성전자, 노바티스, 인투이티브서지컬, 프로그레시브, AMD, 우버, BYD, 보스톤사이언티픽 등
🥲실적 하향 주요 종목: 발레로에너지, 커링, 블랙락, 포드, 옥시덴탈페트롤리엄, 마라쏜페트롤리엄, 코인베이스, 브룩필드, 글렌코어, 필립스66, 애플, 테슬라, 엑슨모빌, 존슨앤존슨, 루이비통, 에르메스, 도요타, ASML, 셰브론, 웰스파고, AT&T, 릴라이언스, 모건스탠리, 지멘스, 골드만삭스, 월트디즈니, 스왑(찰스), 카터필라 등
⚡️코스피 1Q25F 실적 추정치는 하향 다만, 25년 연간 OP 는 상향, 실적 저점 기대감
✅1Q25F OP 추정치는 64.1조원으로 1주전대비 -1.1% 변화
✅삼성전자 실적 서프라이즈 후 상향 업종 부재된 영향
✅올해 OP 전망치는 295조원으로 1달전 292조원대비 상향
😊1Q25F OP 상향 업종: 화학, 화장품, 건설, 방산, 제약, 비철금속, 조선, 증권, 유틸리티, 가전
🥲하향 업종: 정유, 철강, 방송엔터, 항공, 게임엔터, 자동차부품, 유통, 상호미디어, 음식료
✅1Q25F OP 상향 주요 종목(어닝 서프라이즈 예상)은
LG화학/LG에너지솔루션/한화오션/에이피알/삼성바이오로직스/한화/금호석유/HD현대/미래에셋증/
HD현대미포/이마트/크래프톤/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수페타시스/LG이노텍/두산/한국전력/현대로템/아모레퍼시픽/HD현대일렉트릭/현대글로비스/LG전자/삼성에스디에스/삼성중공업/HD현대중공업//파마리서치/두산에너빌리티/삼성화재/SK하이닉스/기아
⚡️지난주 국내 수급 특징
✅외국인: 대형, 가치, 배당주 매도세, 코스닥 및 소형주 매수세, 지난 주에 비해 매도 둔화
코스피 -4.1조원, 코스닥 -2,200억원
순매수 상위: 조선, 건강관리장비, 통신, 유틸리티
순매도 상위: 반도체, 가전, 은행, 자동차, 철강
✅연기금: 국내 저점 매수 지속, 대형주 매수, 성장주 매수 스킴
코스피 +8,300억원, 코스닥 -40억원
순매수 상위: 방산, 건기장비, 조선, 해운, 유통
순매도 상위: 디스플레이, 가전, 호텔레저, 항공
⚡️지난 주말(금요일 하루 기준) 센티먼트 위험선호(상위 0.79% 수준) 회복
*VIX -7.8%(37.6)
*엔/달러 -0.63%(143.5)
*달러인덱스 -0.76%(100.1)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6bp(4.49%)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2.51%
*금가격 +2.11%
⚡️금주 주요 일정 (경제지표 / 실적발표)
4.14(월) - / 골드만삭스
15(화) - / 존슨앤존슨, BOA, 씨티그룹
16(수) 미국 소매판매, 원유재고, FED 의장 파월 연설 / ASML, 프로그래시브, US뱅코프, 킨터모건
17(목)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 활동지수 / 타이완세미콘, 우리금융, 한미반도체, 유나이티드헬스, 넷플릭스, 찰스스왑
18(금) 미국 부활절로 휴장
⚡️퀀트 코멘트
✅중국 외 관세 부담이 크게 약화되면서 안전선호가 완화되었지만 VIX 지수는 여전히 30 부근
✅미국 국채와 달러지수가 안전자산의 역할을 못 하는 모습으로 금융 자산의 불안정성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음
✅금 가격은 여전히 신고가를 기록 중이지만 항상 경기 우려가 반영되는 상황에서 금 값의 변동이 컸다는 점을 상기
✅베타보다 알파 전략에 집중, 1분기 실적보다는 2분기 및 연간 실적 중요, 관세 이슈 소화 및 달러 약세(원화 강세) 염두한 전략 및 배당주 저점 매수 유효
रिकॉर्ड
13.01.202523:59
16.8Kसदस्य22.02.202523:59
50उद्धरण सूचकांक14.11.202423:59
8.3Kप्रति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17.04.202511:25
6.2Kप्रति विज्ञापन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12.02.202523:59
5.79%ER14.11.202423:59
49.56%ERR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