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4.202523:59
[한화투자증권 2차전지/에너지/화학 이용욱]
★ 한화솔루션(009830/Buy) - 태양광 사업부 본격 턴어라운드
-link: https://buly.kr/YeP2u5
▶1분기: 태양광 부문 서프라이즈
동사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 3.1조 원, 영업이익 303억 원으로 컨센서스(매출액 2.8조 원, 영업적자 607억 원)를 크게 상회했다. 태양광 부문의 수익성 개선이 주효했다. 특히 TPO 사업이 본격화되며 주택용 에너지 사업에서 영업이익 1,292억 원을 기록해, 전 분기(200억 원)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케미칼 사업부는 정기보수 영향으로 500억 원의 추가 손실을 기록하며 적자가 확대됐다.
▶2분기: 영업이익 1,344억 원으로 컨센서스 상회 전망
동사의 2분기 실적 역시 매출액 3.4조 원, 영업이익 1,344억 원으로 기존 컨센서스(매출액 3.1조 원, 영업이익 403억 원)를 대폭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태양광 사업부의 수익성 회복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주택용 에너지 사업은 견조한 수익성이 유지되는 가운데, 모듈 출하량이 QoQ +10% 증가하고, 모듈 가격도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케미칼 사업부는 정기보수가 마무리되며 적자 폭이 축소될 전망이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2,000원 유지
태양광 사업부의 본격적인 턴어라운드가 시작됐다. 1) 미국 내 유틸리티용 태양광 설치량은 둔화될 우려가 있으나, 동사는 주택용 시장에서의 강점이 부각되고 있다. 주택용 태양광 시장은 CAGR +8%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안에서도 TPO 시장은 CAGR +18%의 더 높은 성장세가 전망된다. 동사는 모듈 생산부터 설치, 운영까지 사업을 수직계열화해 원가 경쟁력이 높고, ITC 세액공제 혜택으로 높은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동남아 4개국에 대한 AD/CVD도 부과되며 미국 내 모듈 재고가 감소하면서 모듈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도 기대된다. 주택용 에너지 사업에서의 견조한 수익성과 미국 내 모듈 가격 상승세를 확인하며 비중 확대를 추천한다.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 한화솔루션(009830/Buy) - 태양광 사업부 본격 턴어라운드
-link: https://buly.kr/YeP2u5
▶1분기: 태양광 부문 서프라이즈
동사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 3.1조 원, 영업이익 303억 원으로 컨센서스(매출액 2.8조 원, 영업적자 607억 원)를 크게 상회했다. 태양광 부문의 수익성 개선이 주효했다. 특히 TPO 사업이 본격화되며 주택용 에너지 사업에서 영업이익 1,292억 원을 기록해, 전 분기(200억 원)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케미칼 사업부는 정기보수 영향으로 500억 원의 추가 손실을 기록하며 적자가 확대됐다.
▶2분기: 영업이익 1,344억 원으로 컨센서스 상회 전망
동사의 2분기 실적 역시 매출액 3.4조 원, 영업이익 1,344억 원으로 기존 컨센서스(매출액 3.1조 원, 영업이익 403억 원)를 대폭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태양광 사업부의 수익성 회복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주택용 에너지 사업은 견조한 수익성이 유지되는 가운데, 모듈 출하량이 QoQ +10% 증가하고, 모듈 가격도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케미칼 사업부는 정기보수가 마무리되며 적자 폭이 축소될 전망이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2,000원 유지
태양광 사업부의 본격적인 턴어라운드가 시작됐다. 1) 미국 내 유틸리티용 태양광 설치량은 둔화될 우려가 있으나, 동사는 주택용 시장에서의 강점이 부각되고 있다. 주택용 태양광 시장은 CAGR +8%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안에서도 TPO 시장은 CAGR +18%의 더 높은 성장세가 전망된다. 동사는 모듈 생산부터 설치, 운영까지 사업을 수직계열화해 원가 경쟁력이 높고, ITC 세액공제 혜택으로 높은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동남아 4개국에 대한 AD/CVD도 부과되며 미국 내 모듈 재고가 감소하면서 모듈 가격의 점진적인 반등도 기대된다. 주택용 에너지 사업에서의 견조한 수익성과 미국 내 모듈 가격 상승세를 확인하며 비중 확대를 추천한다.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03.04.202522:38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4.04(금)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트럼프 관세, 빅 테크의 미국 데이터 센터 지출에 영향 가능성
-link: https://buly.kr/1xyLG6r
MS, 세계 각지 데이터센터 취소 및 연기…AI 과잉 투자 때문?
-link: https://buly.kr/2UicCRO
GB300 출시 지연 가능성... BBU와 EDLC 설계의 불확실성...
-link: https://buly.kr/DaOLzLq
“오랜만에 인상합니다”...삼성전자 메모리값 최대 5% 올리는 까닭은
-link: https://buly.kr/9MQARlG
인텔. TSMC, 반도체 제조사업 합작사 설립에 잠정 합의
-link: https://buly.kr/1GJJKml
▶️ 2차전지
역대 최대 ESS사업 입찰 임박...조 단위 시장 열린다
-link: https://buly.kr/CLz2u67
스텔란티스, 트럼프 관세로 캐나다에서 생산 일시 중지 계획
-link: https://buly.kr/9tARKhX
SK온, 국내 공공 ESS 시장 첫 진출...LFP 배터리로 승부수
-link: https://buly.kr/7QLpXNZ
LG화학 구미 양극재 공장, FEOC 적용에 공급 전략 변화 '발등의 불'
-link: https://buly.kr/44xQxoZ
SK온-닛산 전기차 100만대분 배터리, 누가 무슨 장비 공급하나
-link: https://buly.kr/ColJud
채널: https://t.me/hanwhatech
2025.04.04(금)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트럼프 관세, 빅 테크의 미국 데이터 센터 지출에 영향 가능성
-link: https://buly.kr/1xyLG6r
MS, 세계 각지 데이터센터 취소 및 연기…AI 과잉 투자 때문?
-link: https://buly.kr/2UicCRO
GB300 출시 지연 가능성... BBU와 EDLC 설계의 불확실성...
-link: https://buly.kr/DaOLzLq
“오랜만에 인상합니다”...삼성전자 메모리값 최대 5% 올리는 까닭은
-link: https://buly.kr/9MQARlG
인텔. TSMC, 반도체 제조사업 합작사 설립에 잠정 합의
-link: https://buly.kr/1GJJKml
▶️ 2차전지
역대 최대 ESS사업 입찰 임박...조 단위 시장 열린다
-link: https://buly.kr/CLz2u67
스텔란티스, 트럼프 관세로 캐나다에서 생산 일시 중지 계획
-link: https://buly.kr/9tARKhX
SK온, 국내 공공 ESS 시장 첫 진출...LFP 배터리로 승부수
-link: https://buly.kr/7QLpXNZ
LG화학 구미 양극재 공장, FEOC 적용에 공급 전략 변화 '발등의 불'
-link: https://buly.kr/44xQxoZ
SK온-닛산 전기차 100만대분 배터리, 누가 무슨 장비 공급하나
-link: https://buly.kr/ColJud
채널: https://t.me/hanwhatech
01.04.202522:34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4.02(수)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美상무장관 “반도체 보조금 보류하고 기업 투자 확대 목표”
-link: https://buly.kr/NjVhek
"태블릿 시장, 작년 하반기부터 교체수요 나타나"
-link: https://buly.kr/7FR3xZd
OpenAI, 향후 몇 달 안에 오픈웨이트 언어 모델 출시 계획
-link: https://buly.kr/jZ1Iue
Arm, 최근 AI 칩 기술을 위해 Alphawave 인수 추진
-link: https://buly.kr/58RyBBM
TSMC, 월 30,000개 웨이퍼 생산 목표... 하반기 2나노 대량 생산 준비
-link: https://buly.kr/CokioP
삼성, HBM3E 재설계 가속화…5월까지 엔비디아 승인 목표
-link: https://buly.kr/611l5L0
UMC, 글로벌파운드리 합병설 부인
-link: https://buly.kr/C09WR5S
AMD, '5세대 에픽 프로세서' 오라클 OCI E6에 플랫폼에 적용
-link: https://buly.kr/2qY7R4J
▶️ 2차전지
'트럼프 상호관세' 앞둔 배터리 소재사 고민···투자 속도 조절론도 급부상
-link: https://buly.kr/GZxDwjL
中 전기차 BYD 보조금 지연에 기아·푸조 판매 늘어
-link: https://buly.kr/1n3ZYLD
LG엔솔, 美 GM 합작 3공장 인수…토요타 배터리 생산 추진
-link: https://buly.kr/8TqMpEF
LG화학, 中서 배터리 특허 분쟁…국가 대항전 되나
-link: https://buly.kr/BpElSk1
LG화학, 청주 분리막 고속 생산라인 전환…中 저가 공습 돌파
-link: https://buly.kr/AlkDZrM
유럽 배터리 자립 실패… 韓, 시장 장악 박차
-link: https://buly.kr/3CNdOqW
채널: https://t.me/hanwhatech
2025.04.02(수)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美상무장관 “반도체 보조금 보류하고 기업 투자 확대 목표”
-link: https://buly.kr/NjVhek
"태블릿 시장, 작년 하반기부터 교체수요 나타나"
-link: https://buly.kr/7FR3xZd
OpenAI, 향후 몇 달 안에 오픈웨이트 언어 모델 출시 계획
-link: https://buly.kr/jZ1Iue
Arm, 최근 AI 칩 기술을 위해 Alphawave 인수 추진
-link: https://buly.kr/58RyBBM
TSMC, 월 30,000개 웨이퍼 생산 목표... 하반기 2나노 대량 생산 준비
-link: https://buly.kr/CokioP
삼성, HBM3E 재설계 가속화…5월까지 엔비디아 승인 목표
-link: https://buly.kr/611l5L0
UMC, 글로벌파운드리 합병설 부인
-link: https://buly.kr/C09WR5S
AMD, '5세대 에픽 프로세서' 오라클 OCI E6에 플랫폼에 적용
-link: https://buly.kr/2qY7R4J
▶️ 2차전지
'트럼프 상호관세' 앞둔 배터리 소재사 고민···투자 속도 조절론도 급부상
-link: https://buly.kr/GZxDwjL
中 전기차 BYD 보조금 지연에 기아·푸조 판매 늘어
-link: https://buly.kr/1n3ZYLD
LG엔솔, 美 GM 합작 3공장 인수…토요타 배터리 생산 추진
-link: https://buly.kr/8TqMpEF
LG화학, 中서 배터리 특허 분쟁…국가 대항전 되나
-link: https://buly.kr/BpElSk1
LG화학, 청주 분리막 고속 생산라인 전환…中 저가 공습 돌파
-link: https://buly.kr/AlkDZrM
유럽 배터리 자립 실패… 韓, 시장 장악 박차
-link: https://buly.kr/3CNdOqW
채널: https://t.me/hanwhatech
27.03.202522:12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3.28(금)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중국 H3C, 수요 급증 속 엔비디아 AI 칩 부족 경고
-link: https://buly.kr/7bGY5lj
알리바바, 휴대전화에서 비디오, 오디오를 처리할 수 있는 Qwen 시리즈 AI 모델 출시
-link: https://buly.kr/1n3XjQA
SK하이닉스, 미국 관세 앞두고 일부 고객사 주문 앞당겨
-link: https://buly.kr/90abwmA
마이크론 최대 11% 가격 인상...AI 수요 증가가 원인
-link: https://buly.kr/4xXBODt
SiCarrier 디코딩: 중국 장비 기업, Applied Materials 및 ASML에 도전... 광학 등 특허 포트폴리오 확대 중
-link: https://buly.kr/1GJGmao
▶️ 2차전지
미국산 K-LFP 배터리, 中 소재 사용에도 AMPC 혜택…정책 변수는 남아
-link: https://buly.kr/AlkBOuq
현대차·LG엔솔 '5.7조' 美 배터리 공장, 1년 연기 … 왜?
-link: https://buly.kr/EoncJwI
Stellantis, 전기 모터 공장에 3800만 유로 투자 발표
-link: https://buly.kr/31Sqb9B
'LG엔솔 공급' 에스토니아 최대 규모 ESS 가동 돌입
-link: https://buly.kr/1GJGZe5
"전구체 수요 2032년까지 2.4배↑…中 독주에 韓 추격전"... ESS 시장 성장에 기인
-link: https://buly.kr/7mBIy0F
채널: https://t.me/hanwhatech
2025.03.28(금)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중국 H3C, 수요 급증 속 엔비디아 AI 칩 부족 경고
-link: https://buly.kr/7bGY5lj
알리바바, 휴대전화에서 비디오, 오디오를 처리할 수 있는 Qwen 시리즈 AI 모델 출시
-link: https://buly.kr/1n3XjQA
SK하이닉스, 미국 관세 앞두고 일부 고객사 주문 앞당겨
-link: https://buly.kr/90abwmA
마이크론 최대 11% 가격 인상...AI 수요 증가가 원인
-link: https://buly.kr/4xXBODt
SiCarrier 디코딩: 중국 장비 기업, Applied Materials 및 ASML에 도전... 광학 등 특허 포트폴리오 확대 중
-link: https://buly.kr/1GJGmao
▶️ 2차전지
미국산 K-LFP 배터리, 中 소재 사용에도 AMPC 혜택…정책 변수는 남아
-link: https://buly.kr/AlkBOuq
현대차·LG엔솔 '5.7조' 美 배터리 공장, 1년 연기 … 왜?
-link: https://buly.kr/EoncJwI
Stellantis, 전기 모터 공장에 3800만 유로 투자 발표
-link: https://buly.kr/31Sqb9B
'LG엔솔 공급' 에스토니아 최대 규모 ESS 가동 돌입
-link: https://buly.kr/1GJGZe5
"전구체 수요 2032년까지 2.4배↑…中 독주에 韓 추격전"... ESS 시장 성장에 기인
-link: https://buly.kr/7mBIy0F
채널: https://t.me/hanwhatech
25.03.202522:35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3.26(수)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미 관세 우려에 메모리 재고 줄어…2분기 D램가격 하락 완화"
-link: https://buly.kr/C09Tnuy
딥시크, 중국-미국 AI 격차를 3개월로 좁혔다 언급
-link: https://buly.kr/8el5FTL
DeepSeek, AI 모델 업그레이드 발표... OpenAI와의 경쟁 강화
-link: https://buly.kr/GvmhLom
가성비 AI 반도체 '파장'…中 앤트그룹, 자국 칩으로 AI 훈련 비용 20%↓
-link: https://buly.kr/3u2cmir
TSMC, AMD와 애플에 이어 엔비디아 '루빈' 물량 확보...SoIC 공정 적용
-link: https://buly.kr/2qY4tje
폭스콘, TSMC 이어 미국에 또 공장 짓는다
-link: https://buly.kr/jYz7zt
중국 SiCarrier 이번주 DUV 활용 5nm 기술 공개 예정
-link: https://buly.kr/6XlzTgD
▶️ 2차전지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ESS 프로젝트 수주… ‘메이드인유럽’ ESS용 LFP배터리 첫 공급
-link: https://buly.kr/1GJG3zr
LG에너지솔루션 코발트 공급사 일렉트라, 350만 달러 자금 확보... 배터리 소재 안정화 기대
-link: https://buly.kr/9MQ7Bq5
삼성SDI, 유상증자 일정 앞당겨… “대외 불확실성 최소화 위한 선제 대응”
-link: https://buly.kr/4xXAfRI
성일하이텍-삼성물산, 독일 게라 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 계획 철회...전기차 수요 감소 영향
-link: https://buly.kr/2fdJufE
EU, 10년 걸리던 리튬사업허가 15개월로…원자재 中탈피 속도
-link: https://buly.kr/YeE93e
폐배터리도 자원…정부 "2030년까지 핵심광물 재자원화율 20%"
-link: https://buly.kr/4xXAfDc
채널: https://t.me/hanwhatech
2025.03.26(수)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미 관세 우려에 메모리 재고 줄어…2분기 D램가격 하락 완화"
-link: https://buly.kr/C09Tnuy
딥시크, 중국-미국 AI 격차를 3개월로 좁혔다 언급
-link: https://buly.kr/8el5FTL
DeepSeek, AI 모델 업그레이드 발표... OpenAI와의 경쟁 강화
-link: https://buly.kr/GvmhLom
가성비 AI 반도체 '파장'…中 앤트그룹, 자국 칩으로 AI 훈련 비용 20%↓
-link: https://buly.kr/3u2cmir
TSMC, AMD와 애플에 이어 엔비디아 '루빈' 물량 확보...SoIC 공정 적용
-link: https://buly.kr/2qY4tje
폭스콘, TSMC 이어 미국에 또 공장 짓는다
-link: https://buly.kr/jYz7zt
중국 SiCarrier 이번주 DUV 활용 5nm 기술 공개 예정
-link: https://buly.kr/6XlzTgD
▶️ 2차전지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ESS 프로젝트 수주… ‘메이드인유럽’ ESS용 LFP배터리 첫 공급
-link: https://buly.kr/1GJG3zr
LG에너지솔루션 코발트 공급사 일렉트라, 350만 달러 자금 확보... 배터리 소재 안정화 기대
-link: https://buly.kr/9MQ7Bq5
삼성SDI, 유상증자 일정 앞당겨… “대외 불확실성 최소화 위한 선제 대응”
-link: https://buly.kr/4xXAfRI
성일하이텍-삼성물산, 독일 게라 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 계획 철회...전기차 수요 감소 영향
-link: https://buly.kr/2fdJufE
EU, 10년 걸리던 리튬사업허가 15개월로…원자재 中탈피 속도
-link: https://buly.kr/YeE93e
폐배터리도 자원…정부 "2030년까지 핵심광물 재자원화율 20%"
-link: https://buly.kr/4xXAfDc
채널: https://t.me/hanwhatech
20.03.202522:18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3.21(금)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샌디스크 이어 YMTC도 낸드 가격 인상…韓기업도 뒤따를듯
-link: https://buly.kr/FhNMgCp
중국 AI 붐 지속: 텐센트, 2025년 Capex 확대... 바이트댄스 AI칩 구매에 최대 55억 달러 지출
-link: https://buly.kr/8el3R9u
마이크론, AI수요 기반 HBM매출 10억달러 돌파…“올해 사상 최대 예상”
-link: https://buly.kr/EziKlXD
젠슨황 엔비디아 CEO "4년 동안 美 생산라인서 729조원 반도체 조달"
-link: https://buly.kr/H6hQXLK
삼성 초격차 복원 속도…브로드컴에 HBM3E 공급 초읽기
-link: https://buly.kr/9XKqLz1
SK하이닉스, 브로드컴의 HBM 주문 급증에 따라 M15X 팹 설립 가속화
-link: https://buly.kr/4Fs6vba
▶️ 2차전지
GM, 현대차: 북미에서 픽업트럭과 전기밴 협업 논의 중
-link: https://buly.kr/AEzsHRo
EU, 중국 전기차 업체 BYD에 칼끝…역외 보조금 의혹 조사
-link: https://buly.kr/7x61WrS
LG엔솔 사장 “지난해 수주잔고 400조… 원통형도 추가 수주”
-link: https://buly.kr/GkruRDo
엘앤에프 "美 배터리 소재 기업 미트라켐 지분 145억원어치 취득"
-link: https://buly.kr/YeCKQL
배터리 소재 기업 엔켐, 신규 공장 캐나다서 미국으로 급선회
-link: https://buly.kr/APudG5W
채널: https://t.me/hanwhatech
2025.03.21(금)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샌디스크 이어 YMTC도 낸드 가격 인상…韓기업도 뒤따를듯
-link: https://buly.kr/FhNMgCp
중국 AI 붐 지속: 텐센트, 2025년 Capex 확대... 바이트댄스 AI칩 구매에 최대 55억 달러 지출
-link: https://buly.kr/8el3R9u
마이크론, AI수요 기반 HBM매출 10억달러 돌파…“올해 사상 최대 예상”
-link: https://buly.kr/EziKlXD
젠슨황 엔비디아 CEO "4년 동안 美 생산라인서 729조원 반도체 조달"
-link: https://buly.kr/H6hQXLK
삼성 초격차 복원 속도…브로드컴에 HBM3E 공급 초읽기
-link: https://buly.kr/9XKqLz1
SK하이닉스, 브로드컴의 HBM 주문 급증에 따라 M15X 팹 설립 가속화
-link: https://buly.kr/4Fs6vba
▶️ 2차전지
GM, 현대차: 북미에서 픽업트럭과 전기밴 협업 논의 중
-link: https://buly.kr/AEzsHRo
EU, 중국 전기차 업체 BYD에 칼끝…역외 보조금 의혹 조사
-link: https://buly.kr/7x61WrS
LG엔솔 사장 “지난해 수주잔고 400조… 원통형도 추가 수주”
-link: https://buly.kr/GkruRDo
엘앤에프 "美 배터리 소재 기업 미트라켐 지분 145억원어치 취득"
-link: https://buly.kr/YeCKQL
배터리 소재 기업 엔켐, 신규 공장 캐나다서 미국으로 급선회
-link: https://buly.kr/APudG5W
채널: https://t.me/hanwhatech
24.04.202523:56
[한화투자증권 2차전지/에너지/화학 이용욱]
★ 포스코퓨처엠(003670/Buy) - 차근차근 개선되는 중
-link: https://buly.kr/DaOTdED
▶1분기: 양극재/기초소재 부문 호실적으로 컨센서스 상회
동사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 8,454억 원, 영업이익 172억 원으로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59억 원을 상회했다. 양극재와 기초소재 사업부 수익성 개선이 주효했다. 양극재 출하량과 판가는 각각 QoQ 39% 증가, 4%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1) 연초 GM의 재고조정 우려에도 N86 판매가 견조했고, 2) 고객사의 신규 모델 출시 효과로 N87/NCA 판매도 증가했다. 절강포화에서 N87 양산도 개시하며 양극재 사업부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다. 음극재 판매량은 QoQ +28% 증가했으나, 여전히 저조한 가동률로 인해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2분기: 영업이익 174억 원 전망
동사의 2분기 실적은 매출액 8,272억 원, 영업이익 174억 원으로 의미있는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한다. 2분기 양극재 판매량과 판가는 각각 QoQ 5% 증가, 1%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양극재 판매량은 소폭 증가하는데 그치는 반면, 신규 광양 전구체 공장이 가동에 따른 초기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신규 전구체 양산이 본격화되면 하반기부터 양극재 출하량이 본격적으로 회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6만 원 유지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그대로 유지한다. 동사는 2025년 양극재 출하량 가이던스(YoY +30%)를 그대로 유지했으나, 우리는 이보다 낮은 YoY +15%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다. GM/STLA 등 전방 고객사 판매량이 예상만큼 빠르게 올라오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사는 그룹사를 통한 수직계열화의 강점을 바탕으로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경쟁사 대비 안정적인 출하량/수익성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 포스코퓨처엠(003670/Buy) - 차근차근 개선되는 중
-link: https://buly.kr/DaOTdED
▶1분기: 양극재/기초소재 부문 호실적으로 컨센서스 상회
동사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 8,454억 원, 영업이익 172억 원으로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59억 원을 상회했다. 양극재와 기초소재 사업부 수익성 개선이 주효했다. 양극재 출하량과 판가는 각각 QoQ 39% 증가, 4%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1) 연초 GM의 재고조정 우려에도 N86 판매가 견조했고, 2) 고객사의 신규 모델 출시 효과로 N87/NCA 판매도 증가했다. 절강포화에서 N87 양산도 개시하며 양극재 사업부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다. 음극재 판매량은 QoQ +28% 증가했으나, 여전히 저조한 가동률로 인해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2분기: 영업이익 174억 원 전망
동사의 2분기 실적은 매출액 8,272억 원, 영업이익 174억 원으로 의미있는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한다. 2분기 양극재 판매량과 판가는 각각 QoQ 5% 증가, 1%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양극재 판매량은 소폭 증가하는데 그치는 반면, 신규 광양 전구체 공장이 가동에 따른 초기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신규 전구체 양산이 본격화되면 하반기부터 양극재 출하량이 본격적으로 회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6만 원 유지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그대로 유지한다. 동사는 2025년 양극재 출하량 가이던스(YoY +30%)를 그대로 유지했으나, 우리는 이보다 낮은 YoY +15%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다. GM/STLA 등 전방 고객사 판매량이 예상만큼 빠르게 올라오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사는 그룹사를 통한 수직계열화의 강점을 바탕으로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경쟁사 대비 안정적인 출하량/수익성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03.04.202502:08
[한화투자증권 반도체 김광진]
★ 관세 간접 영향 불가피하나, 과도한 우려는 경계
-link: https://buly.kr/BeK0tpa
▶반도체 직접 관세는 피했으나, 간접 영향 불가피
2일 발표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정책에서 반도체 품목은 직접적인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 다만 직접 관세는 피했으나, 반도체가 중간재임을 고려할 때 최종 제품에 관세가 부과됨에 따른 간접 영향 불가피.
예를 들어 국내에서 제조된 HBM이 대만으로 수출되어, 대만 서버 ODM을 통해 현지에서 AI 서버 랙이 최종 조립되어 미국으로 수출될 경우 이는 관세 부과 대상. 미국은 지난해 기준 글로벌 AI 서버 수요의 약 36%를 차지하는 주요 소비 시장이지만, 미국 내에서 조립되는 서버 랙의 비중은 낮기 때문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빅테크들의 서버 구매 비용 상승 불가피. 이는 단기적으로 서버 구매 수요에 부정적으로 작용 가능성. 만약 관세 효과가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되지 않고 공급 업체가 떠안을 경우 공급망 전반의 판가 하락 혹은 비용 상승 불가피. 이는 반도체 주요 전방 시장인 PC와 스마트폰 등에도 해당되는 논리. 서버 대비 가격 탄력성이 높은 제품군임을 고려하면 공급망 전반의 고통 분담 가능성 높을 것
▶그럼에도 과도한 우려는 경계. SK하이닉스가 상대적 안전지대
관세 영향은 분명 부정적이지만 그럼에도 과도한 우려는 경계할 필요. 이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는 관세 우려를 일정부분 선반영함에 따라 올해 예상 BPS 기준 P/B 0.9X, 1.4X 수준까지 하락해 있기 때문. 트럼프 행정부가 협상의 여지를 열어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는 관세 부과에 따른 우려보다 감세 기대감이 더 강하게 작용할 가능성. 특히 산업의 펀더멘털 측면에서 레거시 반도체 가격은 지난 두개 분기 동안의 하락을 끝내고 이제 상승의 초입에 있음을 주목할 필요
당사는 반도체 대형주 중 SK하이닉스를 상대적으로 선호. 범용 반도체 대비 상대적으로 가격 비탄력적인 HBM 비중이 높기 때문. 반면 삼성전자는 HBM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을 뿐 아니라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등 고관세 부과 대상 지역에서의 생산 비중(3국 합산 80~90% 추정)이 높은 MX 사업부의 불확실성도 존재. SK하이닉스가 상대적으로 안전지대라 판단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 관세 간접 영향 불가피하나, 과도한 우려는 경계
-link: https://buly.kr/BeK0tpa
▶반도체 직접 관세는 피했으나, 간접 영향 불가피
2일 발표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정책에서 반도체 품목은 직접적인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 다만 직접 관세는 피했으나, 반도체가 중간재임을 고려할 때 최종 제품에 관세가 부과됨에 따른 간접 영향 불가피.
예를 들어 국내에서 제조된 HBM이 대만으로 수출되어, 대만 서버 ODM을 통해 현지에서 AI 서버 랙이 최종 조립되어 미국으로 수출될 경우 이는 관세 부과 대상. 미국은 지난해 기준 글로벌 AI 서버 수요의 약 36%를 차지하는 주요 소비 시장이지만, 미국 내에서 조립되는 서버 랙의 비중은 낮기 때문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빅테크들의 서버 구매 비용 상승 불가피. 이는 단기적으로 서버 구매 수요에 부정적으로 작용 가능성. 만약 관세 효과가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되지 않고 공급 업체가 떠안을 경우 공급망 전반의 판가 하락 혹은 비용 상승 불가피. 이는 반도체 주요 전방 시장인 PC와 스마트폰 등에도 해당되는 논리. 서버 대비 가격 탄력성이 높은 제품군임을 고려하면 공급망 전반의 고통 분담 가능성 높을 것
▶그럼에도 과도한 우려는 경계. SK하이닉스가 상대적 안전지대
관세 영향은 분명 부정적이지만 그럼에도 과도한 우려는 경계할 필요. 이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는 관세 우려를 일정부분 선반영함에 따라 올해 예상 BPS 기준 P/B 0.9X, 1.4X 수준까지 하락해 있기 때문. 트럼프 행정부가 협상의 여지를 열어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는 관세 부과에 따른 우려보다 감세 기대감이 더 강하게 작용할 가능성. 특히 산업의 펀더멘털 측면에서 레거시 반도체 가격은 지난 두개 분기 동안의 하락을 끝내고 이제 상승의 초입에 있음을 주목할 필요
당사는 반도체 대형주 중 SK하이닉스를 상대적으로 선호. 범용 반도체 대비 상대적으로 가격 비탄력적인 HBM 비중이 높기 때문. 반면 삼성전자는 HBM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을 뿐 아니라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등 고관세 부과 대상 지역에서의 생산 비중(3국 합산 80~90% 추정)이 높은 MX 사업부의 불확실성도 존재. SK하이닉스가 상대적으로 안전지대라 판단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31.03.202521:37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4.01(화)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반도체법 폐기 시사…美반도체 사무국 80% 줄해고
-link: https://buly.kr/C09W2bR
"中, 오는 2027년 12인치 웨이퍼 공장 70곳 돌파" 전망…반도체 자립 성큼
-link: https://buly.kr/9tAQGP1
日정부 '첨단 반도체 국산화' 라피더스에 7조9천억원 추가 지원
-link: https://buly.kr/6tbXaUf
Amazon, Nova AI 에이전트 출시... AI OpenAI, Anthropic과 경쟁
-link: https://buly.kr/6MrGe8L
알리바바, AI 경량 모델 오픈소스 공개…에이전트 사업 확장
-link: https://buly.kr/2fdM37w
中 딥시크, 한 달만에 '챗GPT' 트래픽 제쳤다
-link: https://buly.kr/D3e3vFI
엔비디아 '블랙웰 울트라' 기술문제로 올해 양산 못할 수도
-link: https://buly.kr/8pfsNtz
TSMC, 1.4nm 전환…공급망 업체들에 설비 준비 통보, 바오산 일부에서 시험 생산 추진
-link: https://buly.kr/9MQ9K59
GlobalFoundries와 대만 칩 제조업체 UMC, 합병 고려 중
-link: https://buly.kr/6igmbo1
ARM "올해 데이터센터 CPU시장 점유율 50% 급증 예상"
-link: https://buly.kr/E78bo39
웨이비스, 인도 방산기업으로부터 파운드리 수주
-link: https://buly.kr/G3Cwb9K
▶️ 2차전지
볼보, '배터리 열 폭주 위험' PHEV 7만3000대 리콜 글로벌 확산... LG엔솔 고전압 배터리 모듈 원인
-link: https://buly.kr/BpEl3Nx
LG엔솔 배터리 팩·교환 스테이션, 국내 최초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보조금 지원 대상 ‘KS’ 획득
-link: https://buly.kr/ESy7lqm
삼성SDI, 차세대 46파이 배터리 양산…미국 고객사 초도 공급
-link: https://buly.kr/D3e3vKm
美 보조금 리스크에…SK온 '폐배터리 합작공장' 중단
-link: https://buly.kr/1tzEee
4천억 확보한 에코프로머티, 인니서 니켈 제련업 본격화
-link: https://buly.kr/1RE3BVW
'캐나다 대신 한국에' 유미코아, 천안 양극재 증설에 2000억원 투자
-link: https://buly.kr/AEzwEFS
채널: https://t.me/hanwhatech
2025.04.01(화)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반도체법 폐기 시사…美반도체 사무국 80% 줄해고
-link: https://buly.kr/C09W2bR
"中, 오는 2027년 12인치 웨이퍼 공장 70곳 돌파" 전망…반도체 자립 성큼
-link: https://buly.kr/9tAQGP1
日정부 '첨단 반도체 국산화' 라피더스에 7조9천억원 추가 지원
-link: https://buly.kr/6tbXaUf
Amazon, Nova AI 에이전트 출시... AI OpenAI, Anthropic과 경쟁
-link: https://buly.kr/6MrGe8L
알리바바, AI 경량 모델 오픈소스 공개…에이전트 사업 확장
-link: https://buly.kr/2fdM37w
中 딥시크, 한 달만에 '챗GPT' 트래픽 제쳤다
-link: https://buly.kr/D3e3vFI
엔비디아 '블랙웰 울트라' 기술문제로 올해 양산 못할 수도
-link: https://buly.kr/8pfsNtz
TSMC, 1.4nm 전환…공급망 업체들에 설비 준비 통보, 바오산 일부에서 시험 생산 추진
-link: https://buly.kr/9MQ9K59
GlobalFoundries와 대만 칩 제조업체 UMC, 합병 고려 중
-link: https://buly.kr/6igmbo1
ARM "올해 데이터센터 CPU시장 점유율 50% 급증 예상"
-link: https://buly.kr/E78bo39
웨이비스, 인도 방산기업으로부터 파운드리 수주
-link: https://buly.kr/G3Cwb9K
▶️ 2차전지
볼보, '배터리 열 폭주 위험' PHEV 7만3000대 리콜 글로벌 확산... LG엔솔 고전압 배터리 모듈 원인
-link: https://buly.kr/BpEl3Nx
LG엔솔 배터리 팩·교환 스테이션, 국내 최초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보조금 지원 대상 ‘KS’ 획득
-link: https://buly.kr/ESy7lqm
삼성SDI, 차세대 46파이 배터리 양산…미국 고객사 초도 공급
-link: https://buly.kr/D3e3vKm
美 보조금 리스크에…SK온 '폐배터리 합작공장' 중단
-link: https://buly.kr/1tzEee
4천억 확보한 에코프로머티, 인니서 니켈 제련업 본격화
-link: https://buly.kr/1RE3BVW
'캐나다 대신 한국에' 유미코아, 천안 양극재 증설에 2000억원 투자
-link: https://buly.kr/AEzwEFS
채널: https://t.me/hanwhatech


27.03.202506:32
- 100% 자회사 한화세미텍에 대한 주주배정 유상증자 참여입니다
- 반도체 사업의 확대(증설 및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파악됩니다
- 반도체 사업의 확대(증설 및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파악됩니다
24.03.202523:02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3.25(화)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트럼프, 4월 2일 상호관세에 자동차·반도체는 제외
-link: https://buly.kr/4bheLkm
미국, 말레이시아에 무역 허점 막아달라 요구... 수십억 달러의 엔비디아 칩 유입 경로
-link: https://buly.kr/4mcPJso
TSMC의 2nm 확장 진행 중, Apple iPhone 18 Pro 첫 번째 채택자
-link: https://buly.kr/4Fs8NQs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수십억 AI 경쟁에 쏟는다
-link: https://buly.kr/9XKrnu4
Broadcom의 HBM 수요로 SK Hynix가 M15X 팹 설치 가속화
-link: https://buly.kr/15OUik3
▶️ 2차전지
도요타, 日배터리공장 착공 연기
-link: https://buly.kr/2fdJYjj
폭스바겐, BMW 그룹 전기차, 2월 유럽에서 테슬라 능가
-link: https://buly.kr/CLyzLb3
테슬라, 건식공정으로 배터리 만든다…국내 셀사는 '긴장', 소재사는 '활짝'
-link: https://buly.kr/2fdJO9W
배터리 불황에 소재 업체 공장가동률 '뚝'…절반이상 개점휴업
-link: https://buly.kr/jYybmJ
中, 코발트·리튬·니켈 등 광물 대규모 비축…글로벌 원자재 시장 '긴장'
-link: https://buly.kr/6Xlz8hm
채널: https://t.me/hanwhatech
2025.03.25(화)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트럼프, 4월 2일 상호관세에 자동차·반도체는 제외
-link: https://buly.kr/4bheLkm
미국, 말레이시아에 무역 허점 막아달라 요구... 수십억 달러의 엔비디아 칩 유입 경로
-link: https://buly.kr/4mcPJso
TSMC의 2nm 확장 진행 중, Apple iPhone 18 Pro 첫 번째 채택자
-link: https://buly.kr/4Fs8NQs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수십억 AI 경쟁에 쏟는다
-link: https://buly.kr/9XKrnu4
Broadcom의 HBM 수요로 SK Hynix가 M15X 팹 설치 가속화
-link: https://buly.kr/15OUik3
▶️ 2차전지
도요타, 日배터리공장 착공 연기
-link: https://buly.kr/2fdJYjj
폭스바겐, BMW 그룹 전기차, 2월 유럽에서 테슬라 능가
-link: https://buly.kr/CLyzLb3
테슬라, 건식공정으로 배터리 만든다…국내 셀사는 '긴장', 소재사는 '활짝'
-link: https://buly.kr/2fdJO9W
배터리 불황에 소재 업체 공장가동률 '뚝'…절반이상 개점휴업
-link: https://buly.kr/jYybmJ
中, 코발트·리튬·니켈 등 광물 대규모 비축…글로벌 원자재 시장 '긴장'
-link: https://buly.kr/6Xlz8hm
채널: https://t.me/hanwhatech
19.03.202522:21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3.20(목)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엔비디아, 블랙웰 GPU 360만 개 주문에 메타 제외
-link: https://buly.kr/BIUPmxv
아마존, NVIDIA에 맞서기 위해 Trainium 기반 AI 서버 가격 인하
-link: https://buly.kr/7x619Tn
엔비디아 젠슨황 "美 관세정책 단기적으로 큰 영향 없을 것"
-link: https://buly.kr/GP2OFPG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12단 샘플 공급
-link: https://buly.kr/9iFayIW
SK하이닉스, 청주 M15X 장비 반입 2개월 앞당긴다
-link: https://buly.kr/44xLZXh
TSMC 이사회, 인텔 파운드리 인수 루머 일축
-link: https://buly.kr/EI3ITVK
▶️ 2차전지
기아 EV3, 유럽 판매 급증…"소형 전기차 통했다"
-link: https://buly.kr/8pfntk1
SK온, 일본 완성차 첫 고객사 확보…닛산에 6년간 배터리 공급
-link: https://buly.kr/6igiIOe
LG엔솔, 두산밥캣 손잡고 건설장비용 배터리 개발 나선다
-link: https://buly.kr/5JMeRyK
삼성SDI, "올해 차세대 각형배터리 P7 개발 끝낸다"
-link: https://buly.kr/BTPAmWx
CATL,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 개발 착수...2027년 양산 목표
-link: https://buly.kr/9tALxS6
LG, 캐나다 리튬 추출 기업 투자…클린테크 분야 집중 육성
-link: https://buly.kr/DwDmWAV
채널: https://t.me/hanwhatech
2025.03.20(목)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엔비디아, 블랙웰 GPU 360만 개 주문에 메타 제외
-link: https://buly.kr/BIUPmxv
아마존, NVIDIA에 맞서기 위해 Trainium 기반 AI 서버 가격 인하
-link: https://buly.kr/7x619Tn
엔비디아 젠슨황 "美 관세정책 단기적으로 큰 영향 없을 것"
-link: https://buly.kr/GP2OFPG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12단 샘플 공급
-link: https://buly.kr/9iFayIW
SK하이닉스, 청주 M15X 장비 반입 2개월 앞당긴다
-link: https://buly.kr/44xLZXh
TSMC 이사회, 인텔 파운드리 인수 루머 일축
-link: https://buly.kr/EI3ITVK
▶️ 2차전지
기아 EV3, 유럽 판매 급증…"소형 전기차 통했다"
-link: https://buly.kr/8pfntk1
SK온, 일본 완성차 첫 고객사 확보…닛산에 6년간 배터리 공급
-link: https://buly.kr/6igiIOe
LG엔솔, 두산밥캣 손잡고 건설장비용 배터리 개발 나선다
-link: https://buly.kr/5JMeRyK
삼성SDI, "올해 차세대 각형배터리 P7 개발 끝낸다"
-link: https://buly.kr/BTPAmWx
CATL, 2세대 나트륨 이온 배터리 개발 착수...2027년 양산 목표
-link: https://buly.kr/9tALxS6
LG, 캐나다 리튬 추출 기업 투자…클린테크 분야 집중 육성
-link: https://buly.kr/DwDmWAV
채널: https://t.me/hanwhatech
24.04.202523:53
[한화투자증권 반도체 김광진]
★ SK하이닉스(000660/Buy) - 1Q25 Review : HBM이 만들어낸 격차
-link: https://buly.kr/AlkLw8z
▶1Q25 Review : HBM이 만들어낸 격차
1Q25 잠정실적은 매출액 17.6조원(-11% QoQ), 영업이익 7.4조원(-8% QoQ)으로 최근 높아져있던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하는 우수한 실적 기록. 핵심 요인은 디램 수익성 개선에 기인.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HBM3E 출하 호조에 따라 출하량 감소가 -8% 수준으로 당초 예상대비 제한적이었으며, 12단 판매 확대(약 25% 추정)에 따른 Mix 개선 효과로 범용 디램 가격 하락 효과를 상쇄함에 따라 Blended ASP도 전분기 대비 Flat 수준을 유지한 점이 경쟁사와의 실적 차별화 요소로 작용. 전체 디램 매출 내 HBM 비중은 약 50% 수준까지 확대된 것으로 판단. 낸드는 디램 대비 다소 낮은 수요 강도와 단품 판매 확대에 따른 Mix 악화로 인해 출하량과 가격이 각각 -17%, -20% 수준 큰 폭 하락했으나 흑자 기조는 유지
▶2Q25에도 경쟁사와의 실적 차별화 지속 전망
2Q25 영업이익은 8.8조원 전망. 경쟁사와의 실적 차별화 지속 예상. 2Q25부터 HBM3E 12단 제품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출하 비중이 50% 이상으로 크게 확대될 것. 12단 제품의 경우 8단 대비 단위 용량 기준 10% 이상의 가격 프리미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에 제품 Mix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 최근 GB300 출시 지연 가능성이 제기되며 HBM3E 12단 출하 지연 우려가 일부 존재했으나, 이번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출하 계획에 변동 없음이 공식적으로 확인된 점도 긍정적
▶관세 불확실성이 단기적 변수이나 과도한 우려는 경계
관세 불확실성은 단기적 변수. 미국으로의 직접 수출 비중은 10~20% 내외로 제한적이지만 메모리의 중간재로서의 특성을 고려할 때 서버 및 IT 기기 수요 변화에 영향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부정적. 다만, 주요 고객들의 메모리 수요에 변화가 확인되지 않고, 오히려 조기 재고 비축을 위한 Pull-in 수요까지 발생하는 상황임을 고려하면 급격한 업황의 둔화를 우려하기엔 시기상조. 이미 동사 주가는 올해 실적 기준 P/B 1.3X 수준까지 하락하며 관세 우려를 상당 부분 반영한 만큼 과도한 우려는 경계할 필요.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유지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 SK하이닉스(000660/Buy) - 1Q25 Review : HBM이 만들어낸 격차
-link: https://buly.kr/AlkLw8z
▶1Q25 Review : HBM이 만들어낸 격차
1Q25 잠정실적은 매출액 17.6조원(-11% QoQ), 영업이익 7.4조원(-8% QoQ)으로 최근 높아져있던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하는 우수한 실적 기록. 핵심 요인은 디램 수익성 개선에 기인.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HBM3E 출하 호조에 따라 출하량 감소가 -8% 수준으로 당초 예상대비 제한적이었으며, 12단 판매 확대(약 25% 추정)에 따른 Mix 개선 효과로 범용 디램 가격 하락 효과를 상쇄함에 따라 Blended ASP도 전분기 대비 Flat 수준을 유지한 점이 경쟁사와의 실적 차별화 요소로 작용. 전체 디램 매출 내 HBM 비중은 약 50% 수준까지 확대된 것으로 판단. 낸드는 디램 대비 다소 낮은 수요 강도와 단품 판매 확대에 따른 Mix 악화로 인해 출하량과 가격이 각각 -17%, -20% 수준 큰 폭 하락했으나 흑자 기조는 유지
▶2Q25에도 경쟁사와의 실적 차별화 지속 전망
2Q25 영업이익은 8.8조원 전망. 경쟁사와의 실적 차별화 지속 예상. 2Q25부터 HBM3E 12단 제품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출하 비중이 50% 이상으로 크게 확대될 것. 12단 제품의 경우 8단 대비 단위 용량 기준 10% 이상의 가격 프리미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에 제품 Mix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 최근 GB300 출시 지연 가능성이 제기되며 HBM3E 12단 출하 지연 우려가 일부 존재했으나, 이번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출하 계획에 변동 없음이 공식적으로 확인된 점도 긍정적
▶관세 불확실성이 단기적 변수이나 과도한 우려는 경계
관세 불확실성은 단기적 변수. 미국으로의 직접 수출 비중은 10~20% 내외로 제한적이지만 메모리의 중간재로서의 특성을 고려할 때 서버 및 IT 기기 수요 변화에 영향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부정적. 다만, 주요 고객들의 메모리 수요에 변화가 확인되지 않고, 오히려 조기 재고 비축을 위한 Pull-in 수요까지 발생하는 상황임을 고려하면 급격한 업황의 둔화를 우려하기엔 시기상조. 이미 동사 주가는 올해 실적 기준 P/B 1.3X 수준까지 하락하며 관세 우려를 상당 부분 반영한 만큼 과도한 우려는 경계할 필요.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유지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02.04.202522:39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4.03(목)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백악관 "자동차·철강·반도체에는 상호관세 미적용"
-link: https://buly.kr/8pft90g
중국 기업들, 엔비디아 칩 최소 160억 달러 주문... H20 주문 급증
-link: https://buly.kr/28t5s2C
알리바바, 이달 중 '큐원 3' 출시 예정..."광란의 출시 레이스"
-link: https://buly.kr/9iFg3Uj
중국 DRAM 제조사, DDR4 가격 인상 검토 중이라고 밝혀
-link: https://buly.kr/2Uibq2a
인텔, 아일랜드서 3나노 공정…유럽 내 첨단 제조 확대
-link: https://buly.kr/CLz2lig
라피더스, 4월 2nm 시제품 생산 시작, 7월까지 칩 프로토타입 출시 예정
-link: https://buly.kr/E78cZ2T
▶️ 2차전지
美 상호관세와 자동차·철강 관세 합산 제외
-link: https://buly.kr/uTn0lT
美 배터리공장, 무역보험공사 15억달러 수출금융 지원
-link: https://buly.kr/8el8AZa
Tesla는 1분기 336,000대 차량 인도, 1년 전보다 13% 감소
-link: https://buly.kr/7FR4CqO
LG엔솔, '한때 제 2의 CATL'에서 LFP 연구인력 흡수
-link: https://buly.kr/NjW4H1
美 네바다 '태커패스' 리튬 광산 개발 확정
-link: https://buly.kr/1n3ZulB
채널: https://t.me/hanwhatech
2025.04.03(목)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백악관 "자동차·철강·반도체에는 상호관세 미적용"
-link: https://buly.kr/8pft90g
중국 기업들, 엔비디아 칩 최소 160억 달러 주문... H20 주문 급증
-link: https://buly.kr/28t5s2C
알리바바, 이달 중 '큐원 3' 출시 예정..."광란의 출시 레이스"
-link: https://buly.kr/9iFg3Uj
중국 DRAM 제조사, DDR4 가격 인상 검토 중이라고 밝혀
-link: https://buly.kr/2Uibq2a
인텔, 아일랜드서 3나노 공정…유럽 내 첨단 제조 확대
-link: https://buly.kr/CLz2lig
라피더스, 4월 2nm 시제품 생산 시작, 7월까지 칩 프로토타입 출시 예정
-link: https://buly.kr/E78cZ2T
▶️ 2차전지
美 상호관세와 자동차·철강 관세 합산 제외
-link: https://buly.kr/uTn0lT
美 배터리공장, 무역보험공사 15억달러 수출금융 지원
-link: https://buly.kr/8el8AZa
Tesla는 1분기 336,000대 차량 인도, 1년 전보다 13% 감소
-link: https://buly.kr/7FR4CqO
LG엔솔, '한때 제 2의 CATL'에서 LFP 연구인력 흡수
-link: https://buly.kr/NjW4H1
美 네바다 '태커패스' 리튬 광산 개발 확정
-link: https://buly.kr/1n3ZulB
채널: https://t.me/hanwhatech
30.03.202521:50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3.31(월)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인도, 전자부품 생산 투자 27억 달러 계획 발표
-link: https://buly.kr/4xXCOiZ
TSMC, 日 파운드리 공장 장비 반입 늦춘다… 수요 부진 우려, 당분간 22~28나노 성숙공정 위주로 공장 운영할듯
-link: https://buly.kr/1n3YkNY
SMIC, 2025년까지 5nm 칩 개발 마무리 예정... 비용은 TSMC 대비 50% 높을 수 있어
-link: https://buly.kr/CB4Gc0v
SMIC 등 中기업 11곳, 대만 반도체 R&D인력 빼돌린 혐의 적발
-link: https://buly.kr/28t4i1F
SK하이닉스 美법인 연구인력 '솔리다임'으로 이동…낸드 보폭 확대
-link: https://buly.kr/EI3MNx2
인텔 낸드 인수 완료한 'SK하이닉스'
-link: https://buly.kr/3CNcarW
NVIDIA와 Broadcom, 인텔 18A 주시 중
-link: https://buly.kr/1xyJnXx
인텔 이사회 중 3명, 이사 재선에 나서지 않을 것... 칩 제조 전문성 집중 위해
-link: https://buly.kr/DwDqQSM
삼성 이재용·SK하이닉스 곽노정, 中서 시진핑과 회동
-link: https://buly.kr/FhNQEad
MS發 AI 인프라 시장 '찬물'…엔비디아가 찍은 코어위브, IPO 후 '속앓이'
-link: https://buly.kr/8el700t
▶️ 2차전지
현대차, 中 전략형 전기 SUV 28일 출격…6개월 앞당겨 선봬
-link: https://buly.kr/7FR39V1
"불 붙는 중동 EV 전쟁"…테슬라, 6년 만에 사우디 진출
-link: https://buly.kr/BIUTiKm
LG에너지솔루션, 델타 일렉트로닉스와 전략적 파트너십…배터리 미국 현지 생산
-link: https://buly.kr/FsIBD5I
삼성SDI ‘서울-부산 왕복’ 전고체 배터리, 2027년 양산된다
-link: https://buly.kr/6igmCxw
삼성SDI, 헝가리에 46파이 라인 구축 추진…'유럽 전략 고객사 타깃'
-link: https://buly.kr/1c8nlRT
日 배터리 소재사들, 美시장으로 '조용히 진입'
-link: https://buly.kr/CB4GcEz
채널: https://t.me/hanwhatech
2025.03.31(월)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인도, 전자부품 생산 투자 27억 달러 계획 발표
-link: https://buly.kr/4xXCOiZ
TSMC, 日 파운드리 공장 장비 반입 늦춘다… 수요 부진 우려, 당분간 22~28나노 성숙공정 위주로 공장 운영할듯
-link: https://buly.kr/1n3YkNY
SMIC, 2025년까지 5nm 칩 개발 마무리 예정... 비용은 TSMC 대비 50% 높을 수 있어
-link: https://buly.kr/CB4Gc0v
SMIC 등 中기업 11곳, 대만 반도체 R&D인력 빼돌린 혐의 적발
-link: https://buly.kr/28t4i1F
SK하이닉스 美법인 연구인력 '솔리다임'으로 이동…낸드 보폭 확대
-link: https://buly.kr/EI3MNx2
인텔 낸드 인수 완료한 'SK하이닉스'
-link: https://buly.kr/3CNcarW
NVIDIA와 Broadcom, 인텔 18A 주시 중
-link: https://buly.kr/1xyJnXx
인텔 이사회 중 3명, 이사 재선에 나서지 않을 것... 칩 제조 전문성 집중 위해
-link: https://buly.kr/DwDqQSM
삼성 이재용·SK하이닉스 곽노정, 中서 시진핑과 회동
-link: https://buly.kr/FhNQEad
MS發 AI 인프라 시장 '찬물'…엔비디아가 찍은 코어위브, IPO 후 '속앓이'
-link: https://buly.kr/8el700t
▶️ 2차전지
현대차, 中 전략형 전기 SUV 28일 출격…6개월 앞당겨 선봬
-link: https://buly.kr/7FR39V1
"불 붙는 중동 EV 전쟁"…테슬라, 6년 만에 사우디 진출
-link: https://buly.kr/BIUTiKm
LG에너지솔루션, 델타 일렉트로닉스와 전략적 파트너십…배터리 미국 현지 생산
-link: https://buly.kr/FsIBD5I
삼성SDI ‘서울-부산 왕복’ 전고체 배터리, 2027년 양산된다
-link: https://buly.kr/6igmCxw
삼성SDI, 헝가리에 46파이 라인 구축 추진…'유럽 전략 고객사 타깃'
-link: https://buly.kr/1c8nlRT
日 배터리 소재사들, 美시장으로 '조용히 진입'
-link: https://buly.kr/CB4GcEz
채널: https://t.me/hanwhatech


27.03.202501:12
- SK하이닉스향 210억 규모 hbm용 TC본더 2차 수주
- 1,2차 합산 420억 규모. 합산 12대 규모로 추정
- 1,2차 합산 420억 규모. 합산 12대 규모로 추정
23.03.202522:50
[한화투자증권 반도체 김광진]
★ 한화비전(489790/Buy) - 세미텍 가치를 적극 반영할 시기
-link: https://buly.kr/C09TBbs
▶목표주가 8.1만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한화비전에 대해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8.1만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SOTP 밸류에이션 방식에 따라 적정 기업가치를 4.1조원(세미텍 가치 1.7조원, 시큐리티 부문 가치 2.4조원)으로 산정. 현 주가는 시큐리티(CCTV)부문 가치만을 설명하는 수준으로 세미텍(반도체 사업) 가치를 거의 반영하고 있지 못한 수준. 올해부터 세미텍 성과가 가시화되는 점을 고려해 해당 가치를 주가에 적극적으로 반영해야할 시기라 판단
▶투자포인트 1: 세미텍 성과 가시화. SK하이닉스 TC본더 벤더 구도 재편 기대
HBM용 TC본더 시장 진입으로 반도체 부문에서의 성과가 가시화되기 시작했으며, SK하이닉스향 벤더 구도도 재편될 것으로 기대. 동사는 지난 3/14 210억원 규모의 공급 공시를 통해 TC본더 시장 진입 공식화. 당사는 SK하이닉스의 증설 계획을 고려할 때 TC본더 예상 신규 구매(개조 제외) 규모가 올해 약 60대, 내년 약 120대 수준일 것으로 예상. 동사의 예상 공급 대수는 올해 45대, 내년 90대 수준에 이르며, M/S 우위(75% 가정)를 점할 것으로 판단. TC본더를 통해 창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업이익 규모는 올해 599억원에서 내년 1,260억원으로 증가 추정하며, 적자 사업부(전공정 장비, 설계)까지 고려한 세미텍 부문의 영업이익은 올해 163억원에서 내년 935억원으로 증가 전망
또한 SK하이닉스향 진입만으로도 충분히 유의미한 성과이나, 고객사 확장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점도 긍정적. 고객사 확대와 관련해 별다른 제약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는 만큼 SK하이닉스 공급 안정화 이후 고객사 확대 추진 기대
▶투자포인트 2: 전공정 ALD 장비는 또다른 성장 포인트
동사는 TC본더와 별개로 전공정 ALD 장비도 개발 중. 삼성전자향 티타늄 계열(Ti, TiN) 증착용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국산화 목적. 이미 지난해 초 R&D용 장비가 공급된 것으로 파악되며, 4Q26 경 양산용 데모 장비 공급 기대. '27년부터는 본격적인 매출 기여가 시작될 것으로 기대되며, 삼성전자 디램 최선단공정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높은 잠재력을 보유한 사업이라 판단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 한화비전(489790/Buy) - 세미텍 가치를 적극 반영할 시기
-link: https://buly.kr/C09TBbs
▶목표주가 8.1만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한화비전에 대해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8.1만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SOTP 밸류에이션 방식에 따라 적정 기업가치를 4.1조원(세미텍 가치 1.7조원, 시큐리티 부문 가치 2.4조원)으로 산정. 현 주가는 시큐리티(CCTV)부문 가치만을 설명하는 수준으로 세미텍(반도체 사업) 가치를 거의 반영하고 있지 못한 수준. 올해부터 세미텍 성과가 가시화되는 점을 고려해 해당 가치를 주가에 적극적으로 반영해야할 시기라 판단
▶투자포인트 1: 세미텍 성과 가시화. SK하이닉스 TC본더 벤더 구도 재편 기대
HBM용 TC본더 시장 진입으로 반도체 부문에서의 성과가 가시화되기 시작했으며, SK하이닉스향 벤더 구도도 재편될 것으로 기대. 동사는 지난 3/14 210억원 규모의 공급 공시를 통해 TC본더 시장 진입 공식화. 당사는 SK하이닉스의 증설 계획을 고려할 때 TC본더 예상 신규 구매(개조 제외) 규모가 올해 약 60대, 내년 약 120대 수준일 것으로 예상. 동사의 예상 공급 대수는 올해 45대, 내년 90대 수준에 이르며, M/S 우위(75% 가정)를 점할 것으로 판단. TC본더를 통해 창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업이익 규모는 올해 599억원에서 내년 1,260억원으로 증가 추정하며, 적자 사업부(전공정 장비, 설계)까지 고려한 세미텍 부문의 영업이익은 올해 163억원에서 내년 935억원으로 증가 전망
또한 SK하이닉스향 진입만으로도 충분히 유의미한 성과이나, 고객사 확장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점도 긍정적. 고객사 확대와 관련해 별다른 제약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는 만큼 SK하이닉스 공급 안정화 이후 고객사 확대 추진 기대
▶투자포인트 2: 전공정 ALD 장비는 또다른 성장 포인트
동사는 TC본더와 별개로 전공정 ALD 장비도 개발 중. 삼성전자향 티타늄 계열(Ti, TiN) 증착용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국산화 목적. 이미 지난해 초 R&D용 장비가 공급된 것으로 파악되며, 4Q26 경 양산용 데모 장비 공급 기대. '27년부터는 본격적인 매출 기여가 시작될 것으로 기대되며, 삼성전자 디램 최선단공정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높은 잠재력을 보유한 사업이라 판단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18.03.202522:05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3.19(수)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구글, 7세대 TPU 위해 미디어텍과 협력... TSMC에서 제조
-link: https://buly.kr/611g0LD
엔비디아, 2026년 루빈 GPU, 2027년 루빈 울트라 발표, Feynam도 로드맵에 추가
-link: https://buly.kr/2JnlPHz
엔비디아 "블랙웰보다 2배 높은 성능 '베라 루빈' 내년 하반기 양산"
-link: https://buly.kr/Alk8UhK
삼성, HBM3E 6월 초까지 엔비디아 인증 획득 가능성 높아져... 리뷰에서 높은 점수 획득
-link: https://buly.kr/4xX87ES
SK하이닉스, 엔비디아 GB300용 12단 HBM3E 독점 공급 계약 체결
-link: https://buly.kr/9MQ4dcP
TSMC, 작년 4분기 파운드리 점유율 67%...사상 최고
-link: https://buly.kr/5fCA32Q
미 상무 “새 무역협정에 미국 반도체 중국 우회수출 통제 포함할 것“
-link: https://buly.kr/880lmWC
▶️ 2차전지
중국, 배터리·반도체 핵심 소재 기술 수출 제한 강화... 미국 견제 전략
-link: https://buly.kr/6ighvqc
K배터리, 유럽서도 中에 1위 뺏겼다
-link: https://buly.kr/6tbSufy
샤오미, 2025년 전기차 공급 목표 35만 대로 상향 조정
-link: https://buly.kr/6XlwwvR
기아, 올해 전기차 20만대 생산…대중화 가속
-link: https://buly.kr/AwetHNk
삼성SDI, 울산에 전고체 배터리 생산라인 구축 추진
-link: https://buly.kr/8TqHk4W
에코프로이노베이션, 캐나다 하이드로퀘백과 리튬메탈음극 공동개발 협약 체결
-link: https://buly.kr/7FQysGC
“차세대 배터리 서두르자”...조직개편 LG엔솔, 이름 변경 SDI
-link: https://buly.kr/APucX1C
니켈價↑, 인니 광업로열티 인상
-link: https://buly.kr/E78X86T
채널: https://t.me/hanwhatech
2025.03.19(수)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구글, 7세대 TPU 위해 미디어텍과 협력... TSMC에서 제조
-link: https://buly.kr/611g0LD
엔비디아, 2026년 루빈 GPU, 2027년 루빈 울트라 발표, Feynam도 로드맵에 추가
-link: https://buly.kr/2JnlPHz
엔비디아 "블랙웰보다 2배 높은 성능 '베라 루빈' 내년 하반기 양산"
-link: https://buly.kr/Alk8UhK
삼성, HBM3E 6월 초까지 엔비디아 인증 획득 가능성 높아져... 리뷰에서 높은 점수 획득
-link: https://buly.kr/4xX87ES
SK하이닉스, 엔비디아 GB300용 12단 HBM3E 독점 공급 계약 체결
-link: https://buly.kr/9MQ4dcP
TSMC, 작년 4분기 파운드리 점유율 67%...사상 최고
-link: https://buly.kr/5fCA32Q
미 상무 “새 무역협정에 미국 반도체 중국 우회수출 통제 포함할 것“
-link: https://buly.kr/880lmWC
▶️ 2차전지
중국, 배터리·반도체 핵심 소재 기술 수출 제한 강화... 미국 견제 전략
-link: https://buly.kr/6ighvqc
K배터리, 유럽서도 中에 1위 뺏겼다
-link: https://buly.kr/6tbSufy
샤오미, 2025년 전기차 공급 목표 35만 대로 상향 조정
-link: https://buly.kr/6XlwwvR
기아, 올해 전기차 20만대 생산…대중화 가속
-link: https://buly.kr/AwetHNk
삼성SDI, 울산에 전고체 배터리 생산라인 구축 추진
-link: https://buly.kr/8TqHk4W
에코프로이노베이션, 캐나다 하이드로퀘백과 리튬메탈음극 공동개발 협약 체결
-link: https://buly.kr/7FQysGC
“차세대 배터리 서두르자”...조직개편 LG엔솔, 이름 변경 SDI
-link: https://buly.kr/APucX1C
니켈價↑, 인니 광업로열티 인상
-link: https://buly.kr/E78X86T
채널: https://t.me/hanwhatech
24.04.202522:27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4.25(금)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아마존, 엔비디아 AI 데이터센터 수요 둔화 부인
-link: https://buly.kr/4bhpZwf
구글, 700억 달러 자사주 매입 계획 발표...1분기 실적 시장 예상치 상회
-link: https://buly.kr/CWtviLl
OpenAI, 2029년에 매출 1,250억 달러 돌파 예측
-link: https://buly.kr/APupwtG
TSMC 기술 심포지엄 하이라이트: A14 2028 출시 예정; 9.5 레티클 CoWoS 2027년 예정
-link: https://buly.kr/9XL32qj
인텔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관세 우려 칩 비축으로 이어지며 2분기 전망에 영향 미쳐
-link: https://buly.kr/2Uijnpb
삼성, HBM3E와 HBM4에 집중... HBM2E 단계적 생산 중단
-link: https://buly.kr/5fCNLdO
▶️ 2차전지
폭스바겐, 상하이서 AI 기반 전동화 콘셉트카 3대 공개
-link: https://buly.kr/1c8wuD1
스텔란티스, Factorial Energy 고체 배터리 셀 검토
-link: https://buly.kr/2JnypXS
포스코홀딩스 "포스코퓨처엠 자금 조달 방안 곧 결정"
-link: https://buly.kr/6igvLJq
CATL 사장 “2분기 한국 법인 출범…현대차와 협력하고 싶다”
-link: https://buly.kr/1xySrqw
'나트륨 이온 배터리' 中 선제 공격, K-배터리 '조기 출시' 맞불
-link: https://buly.kr/B7ZrsHz
인니 국영 배터리사 "현대차-LG엔솔 합작사 프로젝트 지속적으로 협의 중"
-link: https://buly.kr/611tQeD
채널: https://t.me/hanwhatech
2025.04.25(금)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아마존, 엔비디아 AI 데이터센터 수요 둔화 부인
-link: https://buly.kr/4bhpZwf
구글, 700억 달러 자사주 매입 계획 발표...1분기 실적 시장 예상치 상회
-link: https://buly.kr/CWtviLl
OpenAI, 2029년에 매출 1,250억 달러 돌파 예측
-link: https://buly.kr/APupwtG
TSMC 기술 심포지엄 하이라이트: A14 2028 출시 예정; 9.5 레티클 CoWoS 2027년 예정
-link: https://buly.kr/9XL32qj
인텔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관세 우려 칩 비축으로 이어지며 2분기 전망에 영향 미쳐
-link: https://buly.kr/2Uijnpb
삼성, HBM3E와 HBM4에 집중... HBM2E 단계적 생산 중단
-link: https://buly.kr/5fCNLdO
▶️ 2차전지
폭스바겐, 상하이서 AI 기반 전동화 콘셉트카 3대 공개
-link: https://buly.kr/1c8wuD1
스텔란티스, Factorial Energy 고체 배터리 셀 검토
-link: https://buly.kr/2JnypXS
포스코홀딩스 "포스코퓨처엠 자금 조달 방안 곧 결정"
-link: https://buly.kr/6igvLJq
CATL 사장 “2분기 한국 법인 출범…현대차와 협력하고 싶다”
-link: https://buly.kr/1xySrqw
'나트륨 이온 배터리' 中 선제 공격, K-배터리 '조기 출시' 맞불
-link: https://buly.kr/B7ZrsHz
인니 국영 배터리사 "현대차-LG엔솔 합작사 프로젝트 지속적으로 협의 중"
-link: https://buly.kr/611tQeD
채널: https://t.me/hanwhatech
01.04.202523:04
[한화투자증권 2차전지 이용욱]
★ EV Tracker 68
-link: https://buly.kr/44xQJNJ
▶수치로 확인되지 않는 회복세
2025년 2월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286만 대(YoY +34%)를 기록했으며, 이 중 BEV는 81만 대(YoY +58%), PHEV는 42만 대(YoY +49%)를 차지했다. 지역별 BEV YoY 판매 증가율은 중국 104%, 유럽 25%, 미국 +14%로 나타났다. 업체별 판매량은 BYD가 50만 대로 1위, 2위 테슬라(10만 대), 3위 Geely(9만 대)를 기록했다.
2025년 12월 전세계 EV향 배터리 탑재량은 64GWh(YoY +57%)를 기록했으며, 지역별로 중국 35GWh(YoY +111%), 미국 9GWh(YoY +22%), 유럽 14GWh(YoY +27%)를 차지했다. 업체별로는 CATL 24.0GWh, BYD 11.0GWh, LGES 6.6GWh, SK온 3.1GWh, 파나소닉 2.6GWh, CALB 2.4GWh, Gotion 2.2GWh, 삼성SDI 2.2GWh를 기록했다. 국내 3사 (SKon, LGES, 삼성SDI)는 각각 전년동월대비 +38, +6%, -20%를 기록했다. 25년 2월 전세계 양극재 출하량은 14.2만 톤이며 제품별 탑재량은 LFP 12.4만 톤, NCM811 2.9만 톤, NCM523 1.6만 톤, NCM622 1.0만 톤, NCA 0.8만 톤으로 추정된다.
▶시사점
유럽의 BEV 판매는 2월에도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미국 시장은 YoY +10% 증가에 그쳐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미국 시장에서는 테슬라의 판매량이 감소한(YoY -3%) 가운데, LGES의 배터리를 탑재한 GM/혼다 차량 판매가 꾸준히 선전하고 있으며, 2월에는 삼성SDI의 배터리를 장착한 STLA 그룹의 Wagoneer S와 Charger Daytona EV 판매가 호조를 보인 점이 눈에 띈다. 최근 BMW의 부진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내는 삼성SDI에게 긍정적인 부분이다.
유럽 전기차 판매는 신차가 주도하고 있다. 저가 트림에서는 르노 R5, 현대/기아차 EV3, 캐스퍼 EV와 같은 저가 모델의 판매가 돋보적이었다. 저가 시장에서 LFP 배터리 비중이 확대되는 가운데, LGES이 현대/기아차 중심의 저가 모델을 확보하며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고가 트림도 더이상 한국 기업의 전유물이 아니다. 2월 판매가 견조했던 Audi의 A6/Q6 e-tron, 포르쉐의 Macan 4 electric 모두 CATL의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연초 유럽 시장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국내 2차전지 산업의 회복세는 수치로 확인되고 있지 않다.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 EV Tracker 68
-link: https://buly.kr/44xQJNJ
▶수치로 확인되지 않는 회복세
2025년 2월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은 286만 대(YoY +34%)를 기록했으며, 이 중 BEV는 81만 대(YoY +58%), PHEV는 42만 대(YoY +49%)를 차지했다. 지역별 BEV YoY 판매 증가율은 중국 104%, 유럽 25%, 미국 +14%로 나타났다. 업체별 판매량은 BYD가 50만 대로 1위, 2위 테슬라(10만 대), 3위 Geely(9만 대)를 기록했다.
2025년 12월 전세계 EV향 배터리 탑재량은 64GWh(YoY +57%)를 기록했으며, 지역별로 중국 35GWh(YoY +111%), 미국 9GWh(YoY +22%), 유럽 14GWh(YoY +27%)를 차지했다. 업체별로는 CATL 24.0GWh, BYD 11.0GWh, LGES 6.6GWh, SK온 3.1GWh, 파나소닉 2.6GWh, CALB 2.4GWh, Gotion 2.2GWh, 삼성SDI 2.2GWh를 기록했다. 국내 3사 (SKon, LGES, 삼성SDI)는 각각 전년동월대비 +38, +6%, -20%를 기록했다. 25년 2월 전세계 양극재 출하량은 14.2만 톤이며 제품별 탑재량은 LFP 12.4만 톤, NCM811 2.9만 톤, NCM523 1.6만 톤, NCM622 1.0만 톤, NCA 0.8만 톤으로 추정된다.
▶시사점
유럽의 BEV 판매는 2월에도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미국 시장은 YoY +10% 증가에 그쳐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미국 시장에서는 테슬라의 판매량이 감소한(YoY -3%) 가운데, LGES의 배터리를 탑재한 GM/혼다 차량 판매가 꾸준히 선전하고 있으며, 2월에는 삼성SDI의 배터리를 장착한 STLA 그룹의 Wagoneer S와 Charger Daytona EV 판매가 호조를 보인 점이 눈에 띈다. 최근 BMW의 부진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내는 삼성SDI에게 긍정적인 부분이다.
유럽 전기차 판매는 신차가 주도하고 있다. 저가 트림에서는 르노 R5, 현대/기아차 EV3, 캐스퍼 EV와 같은 저가 모델의 판매가 돋보적이었다. 저가 시장에서 LFP 배터리 비중이 확대되는 가운데, LGES이 현대/기아차 중심의 저가 모델을 확보하며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고가 트림도 더이상 한국 기업의 전유물이 아니다. 2월 판매가 견조했던 Audi의 A6/Q6 e-tron, 포르쉐의 Macan 4 electric 모두 CATL의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연초 유럽 시장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국내 2차전지 산업의 회복세는 수치로 확인되고 있지 않다.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27.03.202523:04
[한화투자증권 2차전지 이용욱]
★ LG에너지솔루션(373220/Buy) - 2분기, 반등의 시작
-link: https://buly.kr/6BwUGoM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동사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 5.9조 원, 영업이익 1,121억 원(AMPC 제외 시 2,426억 원 적자)으로 컨센서스(322억 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한다. 환율과 ESS 부문 효과가 주효하다. 당사의 1Q25 가이던스는 1,400원/달러 미만의 환율을 가정했으나, 1분기 평균 1,450원이 유지됐다. ESS 사업부도 당초 60% 내외의 출하량 하락을 예상했으나, 우려보다는 하락 폭이 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최근 견조한 1~2월 유럽 EV 판매에도 불구하고 동사의 폴란드 가동률은 50% 수준으로 저조하다. 유럽 내 중국 업체들의 M/S 확장은 우려 요인이다.
▶2분기: 반등의 시작
동사의 2분기 실적으로 매출액 7.0조 원, 영업이익 5,608억 원(AMPC 제외 시 253억 원 적자)을 전망한다. 2분기부터 Tesla와 GM을 중심으로 출하량이 크게 반등할 것으로 기대된다. GM의 재고소진이 끝나가며 2분기 얼티엄셀즈 출하는 QoQ +70~80% 증가, Tesla향으로도 3월 신규 2170 납품이 시작되며 2분기 출하량은 QoQ +20% 내외의 증가가 예상된다. Tesla의 연초 판매량이 YoY 20% 이상 하락하며 일론머스크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우려가 크다. 그러나, 판매량 부진에는 신규 Model Y에 대한 대기 수요도 크다고 판단한다. 중국에서는 Model Y 출시 이후 Tesla의 판매량은 MoM 2배 이상 증가했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50만 원 유지
연초 유럽의 전기차 판매량이 회복되며 눈에 띄는 부분은 레거시 차종이 점차 신차로 대체되고 있다는 점이다. 신차는 대부분 저가 배터리를 탑재하여 중국 업체들의 M/S가 확대된 측면이 있다. 한편, 동사도 작년부터 LFP, 46-series, HV-Mid Ni 등으로 다수의 수주를 이어왔다. 올해 중순부터 46-series를 시작으로 신규 폼팩터 출하가 시작된다. 업황 반등 시기에 동사는 M/S를 확대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 LG에너지솔루션(373220/Buy) - 2분기, 반등의 시작
-link: https://buly.kr/6BwUGoM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동사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 5.9조 원, 영업이익 1,121억 원(AMPC 제외 시 2,426억 원 적자)으로 컨센서스(322억 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한다. 환율과 ESS 부문 효과가 주효하다. 당사의 1Q25 가이던스는 1,400원/달러 미만의 환율을 가정했으나, 1분기 평균 1,450원이 유지됐다. ESS 사업부도 당초 60% 내외의 출하량 하락을 예상했으나, 우려보다는 하락 폭이 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최근 견조한 1~2월 유럽 EV 판매에도 불구하고 동사의 폴란드 가동률은 50% 수준으로 저조하다. 유럽 내 중국 업체들의 M/S 확장은 우려 요인이다.
▶2분기: 반등의 시작
동사의 2분기 실적으로 매출액 7.0조 원, 영업이익 5,608억 원(AMPC 제외 시 253억 원 적자)을 전망한다. 2분기부터 Tesla와 GM을 중심으로 출하량이 크게 반등할 것으로 기대된다. GM의 재고소진이 끝나가며 2분기 얼티엄셀즈 출하는 QoQ +70~80% 증가, Tesla향으로도 3월 신규 2170 납품이 시작되며 2분기 출하량은 QoQ +20% 내외의 증가가 예상된다. Tesla의 연초 판매량이 YoY 20% 이상 하락하며 일론머스크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우려가 크다. 그러나, 판매량 부진에는 신규 Model Y에 대한 대기 수요도 크다고 판단한다. 중국에서는 Model Y 출시 이후 Tesla의 판매량은 MoM 2배 이상 증가했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50만 원 유지
연초 유럽의 전기차 판매량이 회복되며 눈에 띄는 부분은 레거시 차종이 점차 신차로 대체되고 있다는 점이다. 신차는 대부분 저가 배터리를 탑재하여 중국 업체들의 M/S가 확대된 측면이 있다. 한편, 동사도 작년부터 LFP, 46-series, HV-Mid Ni 등으로 다수의 수주를 이어왔다. 올해 중순부터 46-series를 시작으로 신규 폼팩터 출하가 시작된다. 업황 반등 시기에 동사는 M/S를 확대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26.03.202522:25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3.27(목)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DDR5 랠리 영향으로 DDR4 향후 몇 주 동안 가격 강세 유지 전망
-link: https://buly.kr/8TqKdlc
美, 中 기업 '무더기' 블랙리스트 추가…우회로 차단
-link: https://buly.kr/A459Td3
SEMI, 중국이 2025년에도 칩 제조 투자 선도할 것으로 예상
-link: https://buly.kr/7x63hTs
마이크론, 고객에게 가격 인상 경고, 2025~26년 강력한 수요 예
-link: https://buly.kr/9tAOUI8
퀄컴, TSMC 4nm 활용해 스냅드래곤 8s Gen 4 출시 예정
-link: https://buly.kr/6MrEsUy
TSMC, AP7 및 AP8 빌드아웃 가속화, SoIC 용량 2배로 늘릴 목표 발표
-link: https://buly.kr/2UiZIYd
▶️ 2차전지
미국산 K-LFP 배터리, 中 소재 사용에도 AMPC 혜택…정책 변수는 남아
-link: https://buly.kr/AlkBOuq
EU 신차 등록: 2025년 2월 연초 현재까지 -3%; 배터리 전기 15.2% 시장 점유율
-link: https://buly.kr/ChoWBtj
제너럴 모터스(GM), 미국 내 충전 설비 확대 중
link: https://buly.kr/9XKsXDA
LG엔솔, 美 주택용 ESS 시장 공략…5년간 4GWh 배터리 공급
-link: https://buly.kr/FsI9qaW
삼성SDI, 中배터리 장비 비중 더 높일 듯
-link: https://buly.kr/EI3L1FP
에코프로머티, 3900억 제3자 유상증자 결정
-link: https://buly.kr/NjTWnJ
채널: https://t.me/hanwhatech
2025.03.27(목)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DDR5 랠리 영향으로 DDR4 향후 몇 주 동안 가격 강세 유지 전망
-link: https://buly.kr/8TqKdlc
美, 中 기업 '무더기' 블랙리스트 추가…우회로 차단
-link: https://buly.kr/A459Td3
SEMI, 중국이 2025년에도 칩 제조 투자 선도할 것으로 예상
-link: https://buly.kr/7x63hTs
마이크론, 고객에게 가격 인상 경고, 2025~26년 강력한 수요 예
-link: https://buly.kr/9tAOUI8
퀄컴, TSMC 4nm 활용해 스냅드래곤 8s Gen 4 출시 예정
-link: https://buly.kr/6MrEsUy
TSMC, AP7 및 AP8 빌드아웃 가속화, SoIC 용량 2배로 늘릴 목표 발표
-link: https://buly.kr/2UiZIYd
▶️ 2차전지
미국산 K-LFP 배터리, 中 소재 사용에도 AMPC 혜택…정책 변수는 남아
-link: https://buly.kr/AlkBOuq
EU 신차 등록: 2025년 2월 연초 현재까지 -3%; 배터리 전기 15.2% 시장 점유율
-link: https://buly.kr/ChoWBtj
제너럴 모터스(GM), 미국 내 충전 설비 확대 중
link: https://buly.kr/9XKsXDA
LG엔솔, 美 주택용 ESS 시장 공략…5년간 4GWh 배터리 공급
-link: https://buly.kr/FsI9qaW
삼성SDI, 中배터리 장비 비중 더 높일 듯
-link: https://buly.kr/EI3L1FP
에코프로머티, 3900억 제3자 유상증자 결정
-link: https://buly.kr/NjTWnJ
채널: https://t.me/hanwhatech
23.03.202522:24
[한화 김광진/이용욱]
2025.03.24(월)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UAE, 1조 4천억 달러 미국 투자 약속... AI 인프라, 반도체 분야 등
-link: https://buly.kr/B7ZgH0z
"오픈AI·메타, 인도 대기업 릴라이언스와 협력 논의"
-link: https://buly.kr/7x62cS6
Tencent, 중국 내 AI 경쟁 심화 속 T1 추론 모델 출시
-link: https://buly.kr/NjSR77
TSMC, 2nm 시험 생산 수율 60% '상회'... 본격 양산 임박
-link: https://buly.kr/4mcOx6H
마이크로칩, 애리조나 공장 매각 발표... 최근 인피니언도 오스틴 공장을 파운드리 스카이워터에 1억1천만 달러에 매각
-link: https://buly.kr/GZxAgBH
삼성, 브로드컴에 HBM3E 8H 공급 준비 중이라는 소식
-link: https://buly.kr/GP2PhX2
삼성전자, 제네시스 탑재 ADAS용 5나노 칩 2030년 양산
-link: https://buly.kr/6tbUjLk
▶️ 2차전지
中, 전기차·배터리 美 수출 통제 검토
-link: https://buly.kr/EdsptQz
이재용, 샤오미 회장 만났다…'미래차 전장' 동맹 맺나
-link: https://buly.kr/15OUBDf
LG에너지솔루션–두산밥캣, 소형 건설장비 배터리팩 공동 개발…Non-EV 전동화 시장 공략 가속
-link: https://buly.kr/FWScnT4
LG에너지솔루션의 미국산 LFP 배터리, 결국 CATL 손 거친다
-link: https://buly.kr/2fdJBkN
"포트폴리오 확대"...LG엔솔, 신사업 진출 서두른다... 건설장비, 태양광 전기차 등 공급 범위 확대
-link: https://buly.kr/HHcCbUO
‘하얀 석유’ 리튬 가격, 고점 대비 95% 급락
-link: https://buly.kr/EziLr1n
"中, 코발트·구리·니켈 등 핵심금속 전략비축 확대"
-link: https://buly.kr/AlkAJJC
채널: https://t.me/hanwhatech
2025.03.24(월)
★ 데일리 뉴스 플로우
▶️ 반도체
UAE, 1조 4천억 달러 미국 투자 약속... AI 인프라, 반도체 분야 등
-link: https://buly.kr/B7ZgH0z
"오픈AI·메타, 인도 대기업 릴라이언스와 협력 논의"
-link: https://buly.kr/7x62cS6
Tencent, 중국 내 AI 경쟁 심화 속 T1 추론 모델 출시
-link: https://buly.kr/NjSR77
TSMC, 2nm 시험 생산 수율 60% '상회'... 본격 양산 임박
-link: https://buly.kr/4mcOx6H
마이크로칩, 애리조나 공장 매각 발표... 최근 인피니언도 오스틴 공장을 파운드리 스카이워터에 1억1천만 달러에 매각
-link: https://buly.kr/GZxAgBH
삼성, 브로드컴에 HBM3E 8H 공급 준비 중이라는 소식
-link: https://buly.kr/GP2PhX2
삼성전자, 제네시스 탑재 ADAS용 5나노 칩 2030년 양산
-link: https://buly.kr/6tbUjLk
▶️ 2차전지
中, 전기차·배터리 美 수출 통제 검토
-link: https://buly.kr/EdsptQz
이재용, 샤오미 회장 만났다…'미래차 전장' 동맹 맺나
-link: https://buly.kr/15OUBDf
LG에너지솔루션–두산밥캣, 소형 건설장비 배터리팩 공동 개발…Non-EV 전동화 시장 공략 가속
-link: https://buly.kr/FWScnT4
LG에너지솔루션의 미국산 LFP 배터리, 결국 CATL 손 거친다
-link: https://buly.kr/2fdJBkN
"포트폴리오 확대"...LG엔솔, 신사업 진출 서두른다... 건설장비, 태양광 전기차 등 공급 범위 확대
-link: https://buly.kr/HHcCbUO
‘하얀 석유’ 리튬 가격, 고점 대비 95% 급락
-link: https://buly.kr/EziLr1n
"中, 코발트·구리·니켈 등 핵심금속 전략비축 확대"
-link: https://buly.kr/AlkAJJC
채널: https://t.me/hanwhatech
17.03.202522:51
[한화투자증권 2차전지 이용욱]
★ 양극재 2월 수출액 코멘트
-link: https://buly.kr/7FQyWfD
▶유럽 성장률을 못 따라 잡는 국내 배터리/양극재 판매
2025년 2월 국내 양극재 수출액과 수출량은 각각 4.2억 달러(MoM +16.0%)와 1.7만 톤(MoM +15.7%)을 기록했다. 이에 따른 양극재 수출 가격은 24.1달러/kg로 MoM +0.2% 상승, 3월 잠정치(1~10일) 기준 24.4달러/kg로 MoM +1.2%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른 1Q25 양극재 가격은 QoQ 미드싱글 하락한 후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2월 양극재 수출량은 2024년 평균 수준까지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아직 전방 수요가 완전히 회복됐다고 판단하기는 이른 단계다. 다만, 엘앤에프가 위치한 대구 지역의 수출량 회복세가 컸다. 최근 부진한 테슬라 전기차 판매에도 불구하고 신규 Model Y향 양극재 출하가 시작된 영향으로 추정된다.
1~2월 누적 양극재 수출액은 7.8억 달러(약 1.1조 원)로 3월에도 평균 성장률이 유지되면, 1Q25 양극재 수출액은 약 11.9억 달러(약 1.7조 원)다. 양극재 업체들(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LG화학, 코스모신소재, 유미코아(모두 국내 공장 기준))의 1Q25 합산 매출액 컨센서스는 약 2.1조 원 수준으로 내수 판매 등의 물량을 고려하면 1분기 양극재 업체들의 매출액은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2차전지 업종은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업황 바닥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반등했으나, 이내 상승분을 반납하며 하락세를 보였다. 전기차 시장 회복이 예상보다 더딜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럽 전기차 판매량은 1~2월에 YoY 30% 이상 증가하며 견고한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한국 배터리 탑재량은 오히려 YoY 감소했으며, 양극재 수출량 또한 유의미한 반등은 없었다. 지난 3월 5일 EU에서 발표한 Action Plan에서는 탄소배출규제 평가 기간을 연장함으로써, 완성차 업체들이 올해부터 엄격한 판매 목표를 충족해야 하는 부담이 완화되었다. 기대했던 보조금과 규제 관련 내용도 2026년으로 구체화가 연기되었다. 미국도 트럼프 정부의 정책 기조 하에서는 전기차 판매가 촉진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당분간 2차전지 산업의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요소로는 전기차 신모델에 대한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과 메탈 가격 하락으로 인한 전기차 및 배터리 생태계의 수익성 개선 정도이다.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 양극재 2월 수출액 코멘트
-link: https://buly.kr/7FQyWfD
▶유럽 성장률을 못 따라 잡는 국내 배터리/양극재 판매
2025년 2월 국내 양극재 수출액과 수출량은 각각 4.2억 달러(MoM +16.0%)와 1.7만 톤(MoM +15.7%)을 기록했다. 이에 따른 양극재 수출 가격은 24.1달러/kg로 MoM +0.2% 상승, 3월 잠정치(1~10일) 기준 24.4달러/kg로 MoM +1.2%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른 1Q25 양극재 가격은 QoQ 미드싱글 하락한 후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2월 양극재 수출량은 2024년 평균 수준까지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아직 전방 수요가 완전히 회복됐다고 판단하기는 이른 단계다. 다만, 엘앤에프가 위치한 대구 지역의 수출량 회복세가 컸다. 최근 부진한 테슬라 전기차 판매에도 불구하고 신규 Model Y향 양극재 출하가 시작된 영향으로 추정된다.
1~2월 누적 양극재 수출액은 7.8억 달러(약 1.1조 원)로 3월에도 평균 성장률이 유지되면, 1Q25 양극재 수출액은 약 11.9억 달러(약 1.7조 원)다. 양극재 업체들(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LG화학, 코스모신소재, 유미코아(모두 국내 공장 기준))의 1Q25 합산 매출액 컨센서스는 약 2.1조 원 수준으로 내수 판매 등의 물량을 고려하면 1분기 양극재 업체들의 매출액은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2차전지 업종은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업황 바닥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반등했으나, 이내 상승분을 반납하며 하락세를 보였다. 전기차 시장 회복이 예상보다 더딜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럽 전기차 판매량은 1~2월에 YoY 30% 이상 증가하며 견고한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한국 배터리 탑재량은 오히려 YoY 감소했으며, 양극재 수출량 또한 유의미한 반등은 없었다. 지난 3월 5일 EU에서 발표한 Action Plan에서는 탄소배출규제 평가 기간을 연장함으로써, 완성차 업체들이 올해부터 엄격한 판매 목표를 충족해야 하는 부담이 완화되었다. 기대했던 보조금과 규제 관련 내용도 2026년으로 구체화가 연기되었다. 미국도 트럼프 정부의 정책 기조 하에서는 전기차 판매가 촉진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당분간 2차전지 산업의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요소로는 전기차 신모델에 대한 긍정적인 소비자 반응과 메탈 가격 하락으로 인한 전기차 및 배터리 생태계의 수익성 개선 정도이다.
- 채널 : https://t.me/hanwhatech
상기 내용은 컴플라이언스 승인을 필함
Shown 1 - 24 of 74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