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04.202505:22
크립토라는 시장 자체가 전체 에퀴티 시장에 비해서 아직도 작은 편이고 그래서 비이성적인 움직임이 많이 나옵니다 비이성적인 움직임이 많이 나와서 아직도 기회가 훨씬 많은 편이고 그래서 리스크도 큰편이져
어제 Jellyjelly 가 수상하다고 한 이유는 현재 시장에서 제일 많은 상승 및 유동성이 도는곳이 OI/MCAP 증가폭에 따른 스퀴징을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기때문에 그중에 제일 가능성 있는걸 공유한거였습니다. 물론 이런 움직임 자체가 비이성적인 시장이구요 .
MM 메이커들이 유동성을 이용해서 숏 스퀴징 하는 경우가 계속 나왔었고 그게 mcap 이 작은 순에서 OI 가 빠르게 붙으면서 발생한건데 MM 들이 이걸 Delisting 이라는 특정 트리거를 사용해서 ALPACA 같은 경우에 스퀴즈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 위에 롤리랄 이분이 그 걸 정확하게 캐치했어요 제가 보는 시장이랑 비슷하다고 생각해서 추천할만하다고 생각해서 공유했습니다.
어제 Jellyjelly 가 수상하다고 한 이유는 현재 시장에서 제일 많은 상승 및 유동성이 도는곳이 OI/MCAP 증가폭에 따른 스퀴징을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기때문에 그중에 제일 가능성 있는걸 공유한거였습니다. 물론 이런 움직임 자체가 비이성적인 시장이구요 .
MM 메이커들이 유동성을 이용해서 숏 스퀴징 하는 경우가 계속 나왔었고 그게 mcap 이 작은 순에서 OI 가 빠르게 붙으면서 발생한건데 MM 들이 이걸 Delisting 이라는 특정 트리거를 사용해서 ALPACA 같은 경우에 스퀴즈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 위에 롤리랄 이분이 그 걸 정확하게 캐치했어요 제가 보는 시장이랑 비슷하다고 생각해서 추천할만하다고 생각해서 공유했습니다.
09.04.202511:03
롱 정리했습니다
일단 매크로가 아직까지 치킨 게임이라 보수적으로 매매는 계속 하겠습니다.
제일큰 목적은 손실 없는 매매입니다.
일단 매크로가 아직까지 치킨 게임이라 보수적으로 매매는 계속 하겠습니다.
제일큰 목적은 손실 없는 매매입니다.
07.04.202502:13
전에 잠깐 이야기 한적 있는데 이렇게 많이 내리고 내릴수록 시장이 반대방향으로 돌아섰을때 훨씬 많은 기회가 생깁니다
그때까지 살아남으시길 기원합니다
손실 없는 매매 위주로 하세요 , 돈 벌려고 아등바등 하는 시장 아닙니다 텔레그램 채널 만들고 매번 이야기 하는거 같지만 그래도 중요한 이야기라 반복하고 또 반복하게 되네요
그때까지 살아남으시길 기원합니다
손실 없는 매매 위주로 하세요 , 돈 벌려고 아등바등 하는 시장 아닙니다 텔레그램 채널 만들고 매번 이야기 하는거 같지만 그래도 중요한 이야기라 반복하고 또 반복하게 되네요
03.04.202505:17
현재 시장 뷰
1. 거시경제 환경은 좋지 않습니다.
a. 시장은 10~20% 수준의 관세 부과를 예상했지만, 실제 발표는 예상보다 훨씬 악재.
b. 이에 따라 글로벌 차원의 보복 조치 가능성 커짐.
c. 전반적인 위험 자산에는 하방 압력이 작용 중.
2. 크립토... 계속 변동성 폭이 줄어드는 단계중
현재는 전적으로 미국 증시(Equities)를 따라가는 흐름.
뚜렷한 매크로 촉발 요인이 없다면 큰 움직임은 없을 것으로 보임.
증시가 하락해도, 크립토는 공포성 투매보다는 낮은 변동성 속에 흘러갈 가능성이 큼.
3. 그나마 크립토의 강점은 상대적 강세
증시는 하락 중인데 반해, 크립토는 의외로 잘 버티고 있음.
시장은 뚜렷한 방향성 없이 박스권(레인지) 장세인 듯.
4. 글로벌 반응은 아직 미지수
만약 보복 조치가 제한적일 경우, 시장은 단기적으로 안정될 여지도 있음.
일부 크립토는 반등 시도를 하고 있으나, 여전히 매크로 환경이 상방을 눌러주는 상황.
- 단기 리스크 이벤트
만약 비정상적으로 강한 고용지표(페이롤)가 나온다면, 연준의 금리 인상 우려가 다시 부각될 수 있음.
이는 주식 시장의 추가 하락을 유발하고, 크립토 역시 함께 하방 압력 받을 수 있음.
결론
아직 명확한 방향성 없는 박스권 장세.
그러나 상대적 강세를 보이는 섹터나 토큰에 집중한다면 여전히 트레이딩
기회는 존재해서 스프레드 매매 하는게 좋아보임
1. 거시경제 환경은 좋지 않습니다.
a. 시장은 10~20% 수준의 관세 부과를 예상했지만, 실제 발표는 예상보다 훨씬 악재.
b. 이에 따라 글로벌 차원의 보복 조치 가능성 커짐.
c. 전반적인 위험 자산에는 하방 압력이 작용 중.
2. 크립토... 계속 변동성 폭이 줄어드는 단계중
현재는 전적으로 미국 증시(Equities)를 따라가는 흐름.
뚜렷한 매크로 촉발 요인이 없다면 큰 움직임은 없을 것으로 보임.
증시가 하락해도, 크립토는 공포성 투매보다는 낮은 변동성 속에 흘러갈 가능성이 큼.
3. 그나마 크립토의 강점은 상대적 강세
증시는 하락 중인데 반해, 크립토는 의외로 잘 버티고 있음.
시장은 뚜렷한 방향성 없이 박스권(레인지) 장세인 듯.
4. 글로벌 반응은 아직 미지수
만약 보복 조치가 제한적일 경우, 시장은 단기적으로 안정될 여지도 있음.
일부 크립토는 반등 시도를 하고 있으나, 여전히 매크로 환경이 상방을 눌러주는 상황.
- 단기 리스크 이벤트
만약 비정상적으로 강한 고용지표(페이롤)가 나온다면, 연준의 금리 인상 우려가 다시 부각될 수 있음.
이는 주식 시장의 추가 하락을 유발하고, 크립토 역시 함께 하방 압력 받을 수 있음.
결론
아직 명확한 방향성 없는 박스권 장세.
그러나 상대적 강세를 보이는 섹터나 토큰에 집중한다면 여전히 트레이딩
기회는 존재해서 스프레드 매매 하는게 좋아보임
01.04.202502:29
요즘에는 매번 미장 시간 근처에 뭔가 변곡이 나와서 진입이 애매할때가 많아지네요
그래도 기다림이 중요한 시장이라 기다리는걸 위주로 하겠습니다.
꼴뵈기 싫은 이모지들은 없애야겠어요
그래도 기다림이 중요한 시장이라 기다리는걸 위주로 하겠습니다.
꼴뵈기 싫은 이모지들은 없애야겠어요
29.03.202510:30
매수나 매도나 롱이나 숏이나 치시기 전에 한번 본인한테 직접 질문해보세요
내가 지금 하려는 이 매매가 이번달에 베스트 트레이드 일까 ?
만약 아니라면 그냥 매매 중독인겁니다.
내가 지금 하려는 이 매매가 이번달에 베스트 트레이드 일까 ?
만약 아니라면 그냥 매매 중독인겁니다.
10.04.202506:09
변곡의 제일 큰 이유 = 불확실성이 줄어들었다.
제 생각에는 에쿼티를 포함해 시장을 하방으로 보고 숏포지션에 진입해있던 많은 펀드들이 현재 대부분 포지션을 크게 줄였다고 생각합니다.
이걸 단순히 "바닥이 나왔다"고 해석하기보다는, 이제 시장에 대해 조금 더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기 시작했다는 신호라고 보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트럼프가 이번 관세 전쟁을 오래 끌 생각이 없을 거라는 판단 때문일 겁니다.
지금까지는 트럼프가 오바마, 부시, 바이든과 비교해 "그냥 미친놈인가?" 싶을 정도의 비이성적인 모습을 보여줬지만,
어제의 대응 이후로는 "그 정도는 아니구나. 꽤 합리적인 인물이구나"라는 인식을 심어줬습니다.
결국 관세는 단순히 하나의 협상 카드였던 것이고, 그는 그것을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죠.
트럼프는 순수한 이념보다 본인의 ‘퍼스널 레거시’를 더 중시하는 쪽에 가깝다고 봅니다.
시장이 무너지는 와중에도 그는 워킹 클래스를 대변해주는 인물처럼 보이고요.
하지만 그의 발언이나 예측 불가능한 관세 정책은 시장을 당분간 굉장히 ‘choppy’한 시장으로 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추가적인 하락 베팅을 하기가 어려운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생각합니다.
트럼프가 자신의 이미지와 정치적 입지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시장이 더 크게 무너지는 것은 막을 거라 보이고,
실제로 어제 같은 뉴스도 그런 배경에서 나왔다고 판단됩니다.
즉, 트럼프는 나름의 전략과 전술이 있는 인물이라는 점, 그리고 단순한 ‘미친놈’이 아니라는 사실은
오히려 시장에 존재했던 불확실성을 일부 해소해주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이제 시장의 주요 방향성은 고용과 인플레이션, 이 두 가지 매크로 요소에 집중될 겁니다.
물론 이 얘기가 지금 당장 레버리지 땡기고 집 팔아서 풀매수하라는 뜻은 절대 아닙니다.
다만, 지금 시장의 하방 리스크는 어느 정도 제한(cap)되어 있다는 뷰를 갖고 있습니다.
만약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낮게 나온다면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급격히 줄어들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시장은 훨씬 더 ‘상승장’에 가까운 분위기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반대로 CPI가 높게 나오면 단기적으로는 매크로 환경이 다시 하방 압력을 줄 수 있겠지만,
이번 하락 구간에서도 굉장히 좋은 방어력을 보여준 비트코인은
오히려 현물 관점에서 좋은 매수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론 중장기적으로 어느정도 하방이 막혀있는 비트코인 현물은 좋은 매수기회인거 같다 buy the dip for bitcoin
알트는 그냥 개별알트 지금처럼 매매하는거 아니고 큰 뷰는 없습니다.
제 생각에는 에쿼티를 포함해 시장을 하방으로 보고 숏포지션에 진입해있던 많은 펀드들이 현재 대부분 포지션을 크게 줄였다고 생각합니다.
이걸 단순히 "바닥이 나왔다"고 해석하기보다는, 이제 시장에 대해 조금 더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기 시작했다는 신호라고 보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트럼프가 이번 관세 전쟁을 오래 끌 생각이 없을 거라는 판단 때문일 겁니다.
지금까지는 트럼프가 오바마, 부시, 바이든과 비교해 "그냥 미친놈인가?" 싶을 정도의 비이성적인 모습을 보여줬지만,
어제의 대응 이후로는 "그 정도는 아니구나. 꽤 합리적인 인물이구나"라는 인식을 심어줬습니다.
결국 관세는 단순히 하나의 협상 카드였던 것이고, 그는 그것을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났죠.
트럼프는 순수한 이념보다 본인의 ‘퍼스널 레거시’를 더 중시하는 쪽에 가깝다고 봅니다.
시장이 무너지는 와중에도 그는 워킹 클래스를 대변해주는 인물처럼 보이고요.
하지만 그의 발언이나 예측 불가능한 관세 정책은 시장을 당분간 굉장히 ‘choppy’한 시장으로 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추가적인 하락 베팅을 하기가 어려운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생각합니다.
트럼프가 자신의 이미지와 정치적 입지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시장이 더 크게 무너지는 것은 막을 거라 보이고,
실제로 어제 같은 뉴스도 그런 배경에서 나왔다고 판단됩니다.
즉, 트럼프는 나름의 전략과 전술이 있는 인물이라는 점, 그리고 단순한 ‘미친놈’이 아니라는 사실은
오히려 시장에 존재했던 불확실성을 일부 해소해주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이제 시장의 주요 방향성은 고용과 인플레이션, 이 두 가지 매크로 요소에 집중될 겁니다.
물론 이 얘기가 지금 당장 레버리지 땡기고 집 팔아서 풀매수하라는 뜻은 절대 아닙니다.
다만, 지금 시장의 하방 리스크는 어느 정도 제한(cap)되어 있다는 뷰를 갖고 있습니다.
만약 CPI(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낮게 나온다면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급격히 줄어들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시장은 훨씬 더 ‘상승장’에 가까운 분위기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반대로 CPI가 높게 나오면 단기적으로는 매크로 환경이 다시 하방 압력을 줄 수 있겠지만,
이번 하락 구간에서도 굉장히 좋은 방어력을 보여준 비트코인은
오히려 현물 관점에서 좋은 매수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론 중장기적으로 어느정도 하방이 막혀있는 비트코인 현물은 좋은 매수기회인거 같다 buy the dip for bitcoin
알트는 그냥 개별알트 지금처럼 매매하는거 아니고 큰 뷰는 없습니다.
09.04.202506:09
단기 바닥 나온거 같네요 . 비트 쌍바닥 깨는거 기준 손절 잡고 진입하면 될거같습니다.
04.04.202504:26
3 배정도 차이나는 브릿지 볼륨
zro 는 6월 20일까지 언락없음
최근 통과하지 않았지만 Fee switch 미는중
W 는 400M $ 언락 이루어짐
zro 는 6월 20일까지 언락없음
최근 통과하지 않았지만 Fee switch 미는중
W 는 400M $ 언락 이루어짐
02.04.202512:24
오늘은 미장 오픈하고 내일 아침까지 변동성이 높을 예정입니다.
방향성이 나오기도 좋은 시장이구요
전 리스크 관리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이라 아마 매매는 따로 하지 않고
내일 모든 정보들이 시장에 반영된후에 매매를 할 예정이라 별다른 코멘트는 없습니다.
매매하실거면 소액으로 진입하고 방향성이 어느정도 확실하게 나왔다 싶으면 해당 방향으로 불타기를 하는게 좋다고 생각 합니다
내일 정오 근처즈음해서 시황 공유하겠습니다
방향성이 나오기도 좋은 시장이구요
전 리스크 관리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이라 아마 매매는 따로 하지 않고
내일 모든 정보들이 시장에 반영된후에 매매를 할 예정이라 별다른 코멘트는 없습니다.
매매하실거면 소액으로 진입하고 방향성이 어느정도 확실하게 나왔다 싶으면 해당 방향으로 불타기를 하는게 좋다고 생각 합니다
내일 정오 근처즈음해서 시황 공유하겠습니다


31.03.202504:27
지금도 보시면 그냥 손실 최대한 줄이는 매매 입니다. 어차피 스캘핑으로 운좋으면 바닥 잡는 매매 였는데 보통 바닥에서 제일 빨리 반등하는 종목이 fartcoin 이여서 진입 한거였는데 해당 종목이 손절 나가는거면 시장에서 바닥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손실최소화를 위해서 다른 포지션도 익절한겁니다.
4월 2일 지나야 좀더 명확한 방향성을 알수 있을 거 같은데
지금 흘러가는 시장 보니까 어느정도 청산이 좀 나와줘야 반등할수 있을 거 같습니다.
4월 2일 지나야 좀더 명확한 방향성을 알수 있을 거 같은데
지금 흘러가는 시장 보니까 어느정도 청산이 좀 나와줘야 반등할수 있을 거 같습니다.
29.03.202502:59
뭐 쓰려고 했는데 딱히 보이는게 없네여
PCE 가 괜찮았으면 너무 빨리내려서 반등좀 나올거라고 생각했는데 그것도 아니고
에퀴티는 전저점 테스트 할거같아서
4월 2일까지 그냥 또 현생 사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다들 쉬는 시장에는 다같이 쉬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저희가 실질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돈버는 시간은 1년 ~2 년 중에 몇달밖에 안됩니다.
결국에 돈버는 몇달에 땡기고 나머지 시간에 쉴줄 알아야 되는데
저도 그렇고 이글을 읽는 여러분들도 그렇고 그걸 다들 잘 못하져
그게 아니라면 모든 분야에서든 상위 % 까지 실력을 키우는 수 밖에 없는데
그러기 위해서 희생해야 하는 다른 것들과 밸런스가 맞는지 생각해 보세요
실력을 키우기 위해서라면 어느 어떤 시장이던 계속 매매하는게 맞습니다 다만 그렇다면 적은금액으로 하시길 추천 드립니다.
불장에 땡기던 레버리지 똑같이 생기면 바로 시드 삭제일거고
같은 빈도로 매매해도 바로 시드 삭제일걸고
같은 잔고로 매매해도 바로 시드 삭제일거고
같은 패턴으로 매매해도 바로 시드 삭제입니다.
PCE 가 괜찮았으면 너무 빨리내려서 반등좀 나올거라고 생각했는데 그것도 아니고
에퀴티는 전저점 테스트 할거같아서
4월 2일까지 그냥 또 현생 사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다들 쉬는 시장에는 다같이 쉬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저희가 실질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돈버는 시간은 1년 ~2 년 중에 몇달밖에 안됩니다.
결국에 돈버는 몇달에 땡기고 나머지 시간에 쉴줄 알아야 되는데
저도 그렇고 이글을 읽는 여러분들도 그렇고 그걸 다들 잘 못하져
그게 아니라면 모든 분야에서든 상위 % 까지 실력을 키우는 수 밖에 없는데
그러기 위해서 희생해야 하는 다른 것들과 밸런스가 맞는지 생각해 보세요
실력을 키우기 위해서라면 어느 어떤 시장이던 계속 매매하는게 맞습니다 다만 그렇다면 적은금액으로 하시길 추천 드립니다.
불장에 땡기던 레버리지 똑같이 생기면 바로 시드 삭제일거고
같은 빈도로 매매해도 바로 시드 삭제일걸고
같은 잔고로 매매해도 바로 시드 삭제일거고
같은 패턴으로 매매해도 바로 시드 삭제입니다.
10.04.202505:56
시장 변곡이 생긴거 같아서
변곡 관련된 생각에 대해서 시장시황 쓰고 공유드릴게용
변곡 관련된 생각에 대해서 시장시황 쓰고 공유드릴게용
08.04.202504:52
이중에서 현재는 GRASS , FART , PENDLE 정도로 추렸습니다.
FART 는 계속 이야기 하는것처럼 그냥 제일 매매 하기 좋은 변동성 과 유동성을 갖췄고
GRASS 는 저희도 투자하긴 했지만 AI x CRYPTO 부분에서 제일 부각을 나타내는 프로젝트라고 생각하는데 최근 1~2 달 프라이스 액션이 펀드들이 어느정도 매집한다고 보입니다.
PENDLE 은 Defi 이 중에서 제일 살아 남을 가능성이 좋다고 보입니다. 디스트리뷰션도 깔끔하고
신규종목들은 전부다 대부분다 초반 변동성 매매만 하고 손 안대는게 좋아보이네요 .
FART 는 계속 이야기 하는것처럼 그냥 제일 매매 하기 좋은 변동성 과 유동성을 갖췄고
GRASS 는 저희도 투자하긴 했지만 AI x CRYPTO 부분에서 제일 부각을 나타내는 프로젝트라고 생각하는데 최근 1~2 달 프라이스 액션이 펀드들이 어느정도 매집한다고 보입니다.
PENDLE 은 Defi 이 중에서 제일 살아 남을 가능성이 좋다고 보입니다. 디스트리뷰션도 깔끔하고
신규종목들은 전부다 대부분다 초반 변동성 매매만 하고 손 안대는게 좋아보이네요 .
04.04.202503:51
현재 관심종목은
GRASS , ZRO , WAL, FART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는 ZRO /W 스프레드 롱포지션 들고있습니다
GRASS , ZRO , WAL, FART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는 ZRO /W 스프레드 롱포지션 들고있습니다
01.04.202508:35
이런걸 보시는 분들도 그냥 힌트처럼 사용하셔서 바닥이라고 생각되시면 매매하시면 됩니다. 저는 늦어서 좀아까 BERA 를 다시 포지셔닝 했습니다.
31.03.202502:13
SL 은 이전 저점 잡겠습니다.
시장 볼륨이 너무 없네요
Fart 는 손절했고 ZRO 도 약익절로
약손절 마무리 하겠습니다
시장 볼륨이 너무 없네요
Fart 는 손절했고 ZRO 도 약익절로
약손절 마무리 하겠습니다
28.03.202501:41
티켓 베팅 실패 정리하겠습니다. 저녁에 시장좀 보고 시장 시황 올리겠습니다 뿅


10.04.202501:45
아 아쉽네여 관세때문에 정리하고 안봤는데 뭐 어쩔수 없졍 다음매매로
원래는 관세 뉴스 나오고 더 가격 안빠지고 다시 되돌림 줬을때 진입 하고 스탑은 저점으로 잡고 진입 했어야 됬는데 현생 사느라 커버가 안됬네용
어제 진입하신분들은 레버리지는 털기 좋은 자리인거 같고 현물을 혹시 잡으신 분들이 있으면 현물은 버틸만해본 자리 같습니다.
원래는 관세 뉴스 나오고 더 가격 안빠지고 다시 되돌림 줬을때 진입 하고 스탑은 저점으로 잡고 진입 했어야 됬는데 현생 사느라 커버가 안됬네용
어제 진입하신분들은 레버리지는 털기 좋은 자리인거 같고 현물을 혹시 잡으신 분들이 있으면 현물은 버틸만해본 자리 같습니다.
08.04.202504:40
가끔씩 바닥 잡는거에 엄청난 에너지를 쏟아 부으시고 스트레스 받으시고 잔고 갈리시는분들이 많습니다. 적어도 제가 본 모든 트레이더들은 여기에 힘을 엄청 쓰죠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저도 그랬었구요
근데 중요한건 바닥은 그때 당시에 머릿속에 있는 수많은 변수들이 조합되서 딱 한가지 결론에 모든 이유들이 합치되어서 바닥이다 라고 확신할수 있는때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 굉장히 드물죠 사실
대부분다 지나고 보니 바닥이라는 결론에 수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에도 지나고 보니 라는 이유는 가격 움직임, 뉴스에 대한 반응 , 거시경제 , 등등이 하나 둘씩 맞물려 가면서 만들어집니다
그럼 다음 질문은 과연 여러분들이 잡은 바닥을 계속 들고 갈수 있는가 입니다
대부분다 아닐거에요 , 왜냐면 위에 이야기한것처럼 하나 둘씩 맞물려 가는 시점에 시간이 필요하고 위아래로 가격움직임을 버티기 힘드니까요
그래서 리스크 관리 포트폴리오 사이징 매니징을 하는겁니다 근데 이거 또한 굉장히 힘들죠 경험이 많아지면서 생기는 부분이니까 .
그렇다면 결국 저희가 벌수 있는 시점은 (쉽게)
결국 바닥이 나오고 완연한 상승장일때 (매매하기 쉬운장 너도나도 돈 버는장) 이 근본적으로 집중해야되는 시간입니다. 최대한 많은 시간을 쏟는 시간이구요
바닥일수도 아닐수도 있는 확률 게임 하시면서 너무 많은 스트레스와 시간을 쏟아 부으시지 않길 바랍니다.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저도 그랬었구요
근데 중요한건 바닥은 그때 당시에 머릿속에 있는 수많은 변수들이 조합되서 딱 한가지 결론에 모든 이유들이 합치되어서 바닥이다 라고 확신할수 있는때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 굉장히 드물죠 사실
대부분다 지나고 보니 바닥이라는 결론에 수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에도 지나고 보니 라는 이유는 가격 움직임, 뉴스에 대한 반응 , 거시경제 , 등등이 하나 둘씩 맞물려 가면서 만들어집니다
그럼 다음 질문은 과연 여러분들이 잡은 바닥을 계속 들고 갈수 있는가 입니다
대부분다 아닐거에요 , 왜냐면 위에 이야기한것처럼 하나 둘씩 맞물려 가는 시점에 시간이 필요하고 위아래로 가격움직임을 버티기 힘드니까요
그래서 리스크 관리 포트폴리오 사이징 매니징을 하는겁니다 근데 이거 또한 굉장히 힘들죠 경험이 많아지면서 생기는 부분이니까 .
그렇다면 결국 저희가 벌수 있는 시점은 (쉽게)
결국 바닥이 나오고 완연한 상승장일때 (매매하기 쉬운장 너도나도 돈 버는장) 이 근본적으로 집중해야되는 시간입니다. 최대한 많은 시간을 쏟는 시간이구요
바닥일수도 아닐수도 있는 확률 게임 하시면서 너무 많은 스트레스와 시간을 쏟아 부으시지 않길 바랍니다.
03.04.202506:44
아
매번 말하지만 시장은 불확실성을 싫어합니다
불확실성은 리스크 오프니까 매수 포지션은 보수적으로 잡으셔야 한다는 말이에여
매번 말하지만 시장은 불확실성을 싫어합니다
불확실성은 리스크 오프니까 매수 포지션은 보수적으로 잡으셔야 한다는 말이에여
01.04.202504:54
월루스 기술이 괜찮다고 들었는데 가격움직임도 좋네여 관심종목으로 보는중
최근 20억 달러 밸류에이션으로 1억 4천만 달러 투자 유치
주요 투자자로는 a16z, Standard Crypto, Electric Capital, Franklin Templeton 등이 참여.
Sui 팀이 개발한 탈중앙화 스토리지 및 데이터 가용성(Data Availability) 프로토콜
→ Sui 네트워크는 회계 및 조정 계층 역할을 하고, Walrus는 스토리지 노드 인프라 제공
→ 즉, 두 시스템이 하나의 생태계로 통합되어 보다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하며 접근성 높은 대용량 데이터 저장이 가능
Sui 기반 애플리케이션과의 시너지도 기대됨
예: AI 에이전트가 자신의 수익 일부로 자동으로 더 많은 스토리지를 구매하여 지능을 강화할 수 있음
→ 이는 스토리지와 네트워크가 같은 생태계 내에 있을 때만 자율적으로 가능함
스토리지 비용 및 용량
Walrus의 스토리지 비용은 Arweave, Filecoin, EthStorage보다 저렴한 편이며, 향후 50개월간 보조금이 지원됨
→ 다만, 장기 저장 측면에선 비교가 필요
→ 접근성 또한 중요한 요소이므로 Walrus는 비용 외적인 측면에서도 우위
현재 총 저장 용량 약 4PB (4,160TB)
총 111개의 스토리지 노드 운영 중
→ 현재 사용 중인 데이터는 전체 용량의 약 0.16%
토큰 유틸리티 및 토큰 분배 구조
$WAL 토큰의 용도는 결제, 스토리지 노드 보안 확보를 위한 스테이킹, 거버넌스 참여 등
전체 공급량 중 약 80%가 스테이킹되어 있음
→ 대부분은 커뮤니티 리저브 및 미래 에어드롭 할당분
실질 유통량은 약 2.5억 WAL
→ 초기 에어드롭 2억 WAL + Mysten Labs 초기 언락 5천만 WAL
→ 현재 실질 유통 시가총액은 약 1.12억 달러 수준
팀 보유량: 전체의 30%
→ 20%는 핵심 기여자, 10%는 Mysten Labs
→ Mysten Labs는 총 할당량의 10% (전체의 1%)만 TGE 시점에 언락
→ 투자자 지분은 총 7%, 12개월 락업 후 100% 언락 예정
최근 20억 달러 밸류에이션으로 1억 4천만 달러 투자 유치
주요 투자자로는 a16z, Standard Crypto, Electric Capital, Franklin Templeton 등이 참여.
Sui 팀이 개발한 탈중앙화 스토리지 및 데이터 가용성(Data Availability) 프로토콜
→ Sui 네트워크는 회계 및 조정 계층 역할을 하고, Walrus는 스토리지 노드 인프라 제공
→ 즉, 두 시스템이 하나의 생태계로 통합되어 보다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하며 접근성 높은 대용량 데이터 저장이 가능
Sui 기반 애플리케이션과의 시너지도 기대됨
예: AI 에이전트가 자신의 수익 일부로 자동으로 더 많은 스토리지를 구매하여 지능을 강화할 수 있음
→ 이는 스토리지와 네트워크가 같은 생태계 내에 있을 때만 자율적으로 가능함
스토리지 비용 및 용량
Walrus의 스토리지 비용은 Arweave, Filecoin, EthStorage보다 저렴한 편이며, 향후 50개월간 보조금이 지원됨
→ 다만, 장기 저장 측면에선 비교가 필요
→ 접근성 또한 중요한 요소이므로 Walrus는 비용 외적인 측면에서도 우위
현재 총 저장 용량 약 4PB (4,160TB)
총 111개의 스토리지 노드 운영 중
→ 현재 사용 중인 데이터는 전체 용량의 약 0.16%
토큰 유틸리티 및 토큰 분배 구조
$WAL 토큰의 용도는 결제, 스토리지 노드 보안 확보를 위한 스테이킹, 거버넌스 참여 등
전체 공급량 중 약 80%가 스테이킹되어 있음
→ 대부분은 커뮤니티 리저브 및 미래 에어드롭 할당분
실질 유통량은 약 2.5억 WAL
→ 초기 에어드롭 2억 WAL + Mysten Labs 초기 언락 5천만 WAL
→ 현재 실질 유통 시가총액은 약 1.12억 달러 수준
팀 보유량: 전체의 30%
→ 20%는 핵심 기여자, 10%는 Mysten Labs
→ Mysten Labs는 총 할당량의 10% (전체의 1%)만 TGE 시점에 언락
→ 투자자 지분은 총 7%, 12개월 락업 후 100% 언락 예정
31.03.202501:13
FARTCOIN 과 ZRO 롱 진입 해보겠습니다
0.43 2.83
0.43 2.83
27.03.202514:25
귀국전에 비행기 티켓 베팅 Nil 해봅니당
Shown 1 - 24 of 144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