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4.202514:15
나의 여러 채널엔 알고리즘에 의해 헬스케어 관련 XX 예측 솔루션 광고 및 포스팅이 매우 자주 노출된다.
뭔가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이유를 대지 않더라도 주가예측 솔루션이 존재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보면 그게 얼마나 험란하고 어려운 일인지..
화이팅
뭔가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이유를 대지 않더라도 주가예측 솔루션이 존재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보면 그게 얼마나 험란하고 어려운 일인지..
화이팅


11.04.202505:38
#비상장기업 2024년 성적표(13): 세라젬
1)Equity Story 및 비즈니스 모델
- 동명의 온열척추치료기인 세라젬을 생산하는 의료기기 기업.
- 렌탈 비즈니스 모델과 세라젬까페라는 유통모델을 내세워 2021년부터 빠르게 성장.
2) 실적
- 매출 5,460억원으로 전년대비 7% 감소. 2022년 7,502억원의 사상최대 매출을 기록한 이후 2년 연속 역성장.
- 상품 매출이 54% 증가했으나 제품매출이 12% 감소
- 지역별로 내수 매출이 전년대비 25% 감소한 3,012억원, 중국이 전녀대비 36% 증가한 1,768억원.
- 동남아 및 인도가 전년대비 30% 증가한 522억원
- 기타지역은 전년대비 8% 증가한 159억원 기록.
-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89% 하락한 22억원을 기록. 매출총이익률이 전년대비 2.5%p 하락.
- 판관비가 전년대비 6% 하락했으나, 매출 역성장에 의한 고정비 부담이 커진 것.
- 인건비 8% 감소한 775억원. 광고선전비도 10% 감소한 232억원, 판매수수료 16% 감소한 486억원. 지급수수료 7% 감소한 602억원.
- 다만, 연구개발비는 122억원으로 전년대비 9% 증가하며 역대 최고 수준 경신.
3) 돈은 잘버나?
- 매출채권이 크게 증가하며 2022년 운전자본이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 2000억원 수준에서 관리되고 잇음.
- 현금성자산은 2,340억원 보유
- 부채비율은 2021년부터 차입금 증가로 100% 이상 증가하기 시작하여 2024년 169%.
1)Equity Story 및 비즈니스 모델
- 동명의 온열척추치료기인 세라젬을 생산하는 의료기기 기업.
- 렌탈 비즈니스 모델과 세라젬까페라는 유통모델을 내세워 2021년부터 빠르게 성장.
2) 실적
- 매출 5,460억원으로 전년대비 7% 감소. 2022년 7,502억원의 사상최대 매출을 기록한 이후 2년 연속 역성장.
- 상품 매출이 54% 증가했으나 제품매출이 12% 감소
- 지역별로 내수 매출이 전년대비 25% 감소한 3,012억원, 중국이 전녀대비 36% 증가한 1,768억원.
- 동남아 및 인도가 전년대비 30% 증가한 522억원
- 기타지역은 전년대비 8% 증가한 159억원 기록.
-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89% 하락한 22억원을 기록. 매출총이익률이 전년대비 2.5%p 하락.
- 판관비가 전년대비 6% 하락했으나, 매출 역성장에 의한 고정비 부담이 커진 것.
- 인건비 8% 감소한 775억원. 광고선전비도 10% 감소한 232억원, 판매수수료 16% 감소한 486억원. 지급수수료 7% 감소한 602억원.
- 다만, 연구개발비는 122억원으로 전년대비 9% 증가하며 역대 최고 수준 경신.
3) 돈은 잘버나?
- 매출채권이 크게 증가하며 2022년 운전자본이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 2000억원 수준에서 관리되고 잇음.
- 현금성자산은 2,340억원 보유
- 부채비율은 2021년부터 차입금 증가로 100% 이상 증가하기 시작하여 2024년 169%.
10.04.202523:09
10.04.202510:49
09.04.202502:24
아니 공평하게 의료기기도 철폐해달라고 하는 상황이었는데 공평하게 관세를 때려버리네..


08.04.202502:22
#비상장기업 2024년 성적표(12): 제이시스메디칼
1)Equity Story 및 비즈니스 모델
- 포텐자라는 마이크로니들형 RF 장비가 대박이나면서 성장한 EBD 기업.
- 2024년 프랑스계 사모펀드 아키메드에 인수되어 상장폐지됨.
-Cynosure와 미국공급계약으로 미국 사업을 진행 중이었는데, 루트로닉을 인수한 한앤컴퍼니가 Cynosure까지 인수해버렸음.
2) 실적
- 2024년 매출은 전년대비 34% 성장한 1,921억원으로 사상최대 실적 경신. 장비는 26% 성장했는데, 소모품이 무려 53% 성장했음.
- 지역별로는 국내에서 74% 성장한 481억원으로 단숨에 클래시스에 이어 2인자로 도약. 해외에서는 미주매출이 돋보임. 전년대비 92% 성장한 224억원 달성. 아시아는 22% 성장했고, 유럽은 25% 역성장, 기타지역도 4% 역성장함.
-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0% 증가한 400억원으로 역시 사상최대실적 경신. 다만, 이익률은 전년대비 4.6%p 하락. 매출총이익률이 1.5%p하락. 판관비는 전년대비 44% 증가. 대부분의 비용이 증가했음. 특히 연구개발비가 64% 상승한 160억원을, 인건비가 43% 상승한 285억원을, 광고선전비가 104% 증가한 157억원을 기록. 아무래도 국내와 미주의 폭발적 성향엔 2배넘게 증가한 광고선전비의 영향이!
3) 돈은 잘버나?
- 아키메드에 인수된 후에도 영업현금흐름이 견조하고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을 잘 관리하고 있어 운전자본도 많이 높아지지 않았음. 2024년말 보유한 현금성자산은 821억원
- 유동차입금 400억원이 증가하며 부채비율은 100%로 높아짐. 유동차입금은 금융자산 투자를 위한 목적으로 추정
- 아키메드에 인수되기 전 투자활동을 활발히 했는데, 이로 인해 2024년 금융자산 취득에 347억원을 사용함. 유동차입금이 400억원이 증가했는데 금융자산 취득을 위한것으로 추정. 가장 큰 투자는 미국의 피부미용 스타트업인 AVAVA 인수에 사용한 193억원.
- 재미있게도 클래시스에도 2억원이 투자되어 있고, 강남언니로 유명한 힐링페이퍼에서 40억원이 투자되어 있음. 힐링페이퍼가 상장된다면 이걸로 재미좀 볼듯(전 창업자가 아키메드에 준 선물같은거라고나 할까)
1)Equity Story 및 비즈니스 모델
- 포텐자라는 마이크로니들형 RF 장비가 대박이나면서 성장한 EBD 기업.
- 2024년 프랑스계 사모펀드 아키메드에 인수되어 상장폐지됨.
-Cynosure와 미국공급계약으로 미국 사업을 진행 중이었는데, 루트로닉을 인수한 한앤컴퍼니가 Cynosure까지 인수해버렸음.
2) 실적
- 2024년 매출은 전년대비 34% 성장한 1,921억원으로 사상최대 실적 경신. 장비는 26% 성장했는데, 소모품이 무려 53% 성장했음.
- 지역별로는 국내에서 74% 성장한 481억원으로 단숨에 클래시스에 이어 2인자로 도약. 해외에서는 미주매출이 돋보임. 전년대비 92% 성장한 224억원 달성. 아시아는 22% 성장했고, 유럽은 25% 역성장, 기타지역도 4% 역성장함.
-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0% 증가한 400억원으로 역시 사상최대실적 경신. 다만, 이익률은 전년대비 4.6%p 하락. 매출총이익률이 1.5%p하락. 판관비는 전년대비 44% 증가. 대부분의 비용이 증가했음. 특히 연구개발비가 64% 상승한 160억원을, 인건비가 43% 상승한 285억원을, 광고선전비가 104% 증가한 157억원을 기록. 아무래도 국내와 미주의 폭발적 성향엔 2배넘게 증가한 광고선전비의 영향이!
3) 돈은 잘버나?
- 아키메드에 인수된 후에도 영업현금흐름이 견조하고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을 잘 관리하고 있어 운전자본도 많이 높아지지 않았음. 2024년말 보유한 현금성자산은 821억원
- 유동차입금 400억원이 증가하며 부채비율은 100%로 높아짐. 유동차입금은 금융자산 투자를 위한 목적으로 추정
- 아키메드에 인수되기 전 투자활동을 활발히 했는데, 이로 인해 2024년 금융자산 취득에 347억원을 사용함. 유동차입금이 400억원이 증가했는데 금융자산 취득을 위한것으로 추정. 가장 큰 투자는 미국의 피부미용 스타트업인 AVAVA 인수에 사용한 193억원.
- 재미있게도 클래시스에도 2억원이 투자되어 있고, 강남언니로 유명한 힐링페이퍼에서 40억원이 투자되어 있음. 힐링페이퍼가 상장된다면 이걸로 재미좀 볼듯(전 창업자가 아키메드에 준 선물같은거라고나 할까)


11.04.202510:36
고기앞으로
11.04.202505:31
점심시간 여의도공원의 인파와 그 특유의 바이브가 완전히 봄인데, 그보다 이 지긋지긋한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이틀전부터 봄이 왔음을 굳이 알려주고 있네. 간지럽다.. ㅜ
10.04.202511:38
city life
Reposted from:
[미래에셋 선진국 전략] 김성근, 조윤경
![[미래에셋 선진국 전략] 김성근, 조윤경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7060db44-5d2b-4632-942a-6e2877370fde.jpg%3Fw%3D24%26h%3D24&w=48&q=75)


09.04.202521:31
-중국이 대미 관세율을 84%로 높이면서 트럼프는 대중 관세율을 125%로 인상
-한편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들에 대한 상호 관세는 90일 동안 유예
-90일 기간동안 보편적 관세율 10% 부과. 여기에는 멕시코, 캐나다도 포함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특정 섹터 관세는 유지
-한편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들에 대한 상호 관세는 90일 동안 유예
-90일 기간동안 보편적 관세율 10% 부과. 여기에는 멕시코, 캐나다도 포함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특정 섹터 관세는 유지
Reposted from:
[미래에셋 선진국 전략] 김성근, 조윤경
![[미래에셋 선진국 전략] 김성근, 조윤경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7060db44-5d2b-4632-942a-6e2877370fde.jpg%3Fw%3D24%26h%3D24&w=48&q=75)


09.04.202502:24
-트럼프 의약품 대상 관세 부과 예고. 의약품은 4/2 발표에서 제외됐던 품목으로 철강, 알루미늄처럼 무역확장법 Section 232를 적용해 부과할 예정
-품목별 관세 대상으로 지목됐던 분야는 반도체, 의약품, 구리, 목재
-품목별 관세 대상으로 지목됐던 분야는 반도체, 의약품, 구리, 목재


08.04.202502:01
#비상장기업 2024년 성적표(11): 루트로닉
1)Equity Story 및 비즈니스 모델
- 우리나라 최대 미용의료기기 기업. 클래시스가 이루다를 합병하며 턱밑까지 쫓아왔지만 여전히 1위(2024년 기준)
-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 수출규모 2,400억원으로 경쟁사대비 압도적.
- 레이저가 근본인 기업으로, 다른 에너지원으로 다각화 중
- 미국 직판 전략 + 브랜딩 강화전략으로 ASP를 3천만원에서 6천만원대까지 끌어올리는 독특한 전략을 사용했음.
- 2023년 사모펀드인 한앤컴퍼니(한앤코 23호)에 인수된후 상장폐지됨. 이후 2024년 루트로닉이 한앤코 23호를 역취득 흡수합병
- 2024년 한앤컴퍼니는 미국의 Cynosure를 인수한후 , Cynosure를 Lutronic과 합병했는데, 두 회사를 완전히 합병하여 하나의 회사로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Cynosure Lutronic이라는 모기업 아래 자회사로 루트로닉과 Cynosure를 각각 가져가고 있음. 그리고 Cynosure Lutronic을 한앤코 21호가 지배.
2) 실적
- 2024년 매출은 전년대비 6% 성장한 2,880억원으로 사상최대 실적을 경신. 다만, 2020~2022년까지 고성장을 거친후 2023년부터 성장세가 한자릿수로 떨어짐.
- 국내 매출은 48% 성장한 473억원으로 처음으로 400억원 돌파. 신제품효과를 누리는 듯.
- 미주매출은 1,329억원으로 전년대비 16% 성장한 것으로 추정
- 그러나 상대적으로 아시아와 유럽 매출이 부진.
-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6% 감소한 339억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12%로 3%p 감소. 가장 큰 이유는 매출총이익률이 61.7%로 전년대비 2.3%p 하락했기 때문.
- 영업이익률은 2022년이후 지속 하락중. 가장큰 이유는 외형성장이 둔화되며 고정비부담이 커졌기 때문. 루트로닉은 직판영업강화전략으로 2022년부터 인건비가 500억원대로 수직상승. 미국 마케팅 강화로 광고선전비도 매출의 3~4%로 지출.
- 다만, 조정 EBITDA는 19%로 견조함을 유지하고 있음. 루트로닉이 모기업인 한앤코23호를 인수함에 따라 한앤코가 루트로닉 인수를 위한 차입과 무형자산이 모두 루트로닉이 인식하게 되었음. 이로 인해 무형자산상각비가 139억원로 크게 증가. 2023년은 24억원.
*상장시절 애증의 사업부문이었던 안과사업은 2023년 11월 중단.
3) 돈은 잘버나?
- 매출채권이 2023년 488억원대비 2024년 920억원으로 2배로 증가하며 운전자본이 크게 증가. 이로 인해 2024년 FCF가 적자로 전환되며 2024년 보유한 현금성자산은 522억원.
-루트로닉이 모기업인 한앤코23호를 인수함에 따라 한앤코가 루트로닉 인수를 위한 차입과 무형자산이 모두 루트로닉이 인식하게 되었음. 이로 인해 NH로부터 인수금융으로 장기차입한 4,000억원(이자율 6%대, 만기 2029년 5월)이 인식되며 부채비율이 2023년 38%에서 2024년 87%로 높아짐. 이자비용만 얼마냐..
- 또 무형자산이 8,310억원으로 늘어남에 따라 무형자산 상각비도 139억원으로 크게 증가.
- 한앤코가 인수한후 판관비는 컨트롤하고 있으나, 이자비용도 높아졌고, 무형자산상각비도 높아짐. 결국 외형확대만이 살길 같은데 올해가 중요한 변곡점이 될 듯.
1)Equity Story 및 비즈니스 모델
- 우리나라 최대 미용의료기기 기업. 클래시스가 이루다를 합병하며 턱밑까지 쫓아왔지만 여전히 1위(2024년 기준)
-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 수출규모 2,400억원으로 경쟁사대비 압도적.
- 레이저가 근본인 기업으로, 다른 에너지원으로 다각화 중
- 미국 직판 전략 + 브랜딩 강화전략으로 ASP를 3천만원에서 6천만원대까지 끌어올리는 독특한 전략을 사용했음.
- 2023년 사모펀드인 한앤컴퍼니(한앤코 23호)에 인수된후 상장폐지됨. 이후 2024년 루트로닉이 한앤코 23호를 역취득 흡수합병
- 2024년 한앤컴퍼니는 미국의 Cynosure를 인수한후 , Cynosure를 Lutronic과 합병했는데, 두 회사를 완전히 합병하여 하나의 회사로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Cynosure Lutronic이라는 모기업 아래 자회사로 루트로닉과 Cynosure를 각각 가져가고 있음. 그리고 Cynosure Lutronic을 한앤코 21호가 지배.
2) 실적
- 2024년 매출은 전년대비 6% 성장한 2,880억원으로 사상최대 실적을 경신. 다만, 2020~2022년까지 고성장을 거친후 2023년부터 성장세가 한자릿수로 떨어짐.
- 국내 매출은 48% 성장한 473억원으로 처음으로 400억원 돌파. 신제품효과를 누리는 듯.
- 미주매출은 1,329억원으로 전년대비 16% 성장한 것으로 추정
- 그러나 상대적으로 아시아와 유럽 매출이 부진.
-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6% 감소한 339억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12%로 3%p 감소. 가장 큰 이유는 매출총이익률이 61.7%로 전년대비 2.3%p 하락했기 때문.
- 영업이익률은 2022년이후 지속 하락중. 가장큰 이유는 외형성장이 둔화되며 고정비부담이 커졌기 때문. 루트로닉은 직판영업강화전략으로 2022년부터 인건비가 500억원대로 수직상승. 미국 마케팅 강화로 광고선전비도 매출의 3~4%로 지출.
- 다만, 조정 EBITDA는 19%로 견조함을 유지하고 있음. 루트로닉이 모기업인 한앤코23호를 인수함에 따라 한앤코가 루트로닉 인수를 위한 차입과 무형자산이 모두 루트로닉이 인식하게 되었음. 이로 인해 무형자산상각비가 139억원로 크게 증가. 2023년은 24억원.
*상장시절 애증의 사업부문이었던 안과사업은 2023년 11월 중단.
3) 돈은 잘버나?
- 매출채권이 2023년 488억원대비 2024년 920억원으로 2배로 증가하며 운전자본이 크게 증가. 이로 인해 2024년 FCF가 적자로 전환되며 2024년 보유한 현금성자산은 522억원.
-루트로닉이 모기업인 한앤코23호를 인수함에 따라 한앤코가 루트로닉 인수를 위한 차입과 무형자산이 모두 루트로닉이 인식하게 되었음. 이로 인해 NH로부터 인수금융으로 장기차입한 4,000억원(이자율 6%대, 만기 2029년 5월)이 인식되며 부채비율이 2023년 38%에서 2024년 87%로 높아짐. 이자비용만 얼마냐..
- 또 무형자산이 8,310억원으로 늘어남에 따라 무형자산 상각비도 139억원으로 크게 증가.
- 한앤코가 인수한후 판관비는 컨트롤하고 있으나, 이자비용도 높아졌고, 무형자산상각비도 높아짐. 결국 외형확대만이 살길 같은데 올해가 중요한 변곡점이 될 듯.
Reposted from:
윤선생 ETF 교실: ETF를 통해 글로벌 자산 시장을 바라봅니다.

11.04.202507:43
[ETF 기초] 전 세계에 투자하는 1만 3,630가지 방법: 글로벌 ETF(250411)∥미래에셋증권 윤재홍
▼자료 다운로드
https://m.site.naver.com/1FM3P
▼텔레그램 링크
https://t.me/qooowooo/2818
2020년 이후 매년 발간해오고 있는 글로벌 ETF 기초 자료가 나왔습니다.
작년 2월 대비 종목 수는 1,761개가 증가했고, 운용자산은 +3조 8,640억 달러가 증가했네요.
(2025년은 2월말 기준이라 변화는 있을 수 있습니다)
크게 1.ETF 기초 개념, 2.주요 키워드(12개)로 접근하는 글로벌 ETF, 3) 기타 참고 사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작년 자료 대비 구성은 큰 차이가 없는 상태에서 데이터 및 개별 내용 업데이트&보완 위주로 작성하였습니다.
주요 보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개별 내용에 있어서 최신 동향&데이터 반영,
2) 일부 키워드 변화(전략을 스마트 베타에 통합, 자산 배분 키워드 새롭게 추가)
3) 국내 수요 많은 커버드콜, 레버리지/인버스 관련 유의사항 추가
4) 최근 미국 신규 상장 많은 옵션 결합형 관련 구체화(버퍼형 등)
+이와 함께 편집에서도 신경 써주셔서 좀 더 깔끔하게 자료 보실 수 있습니다 :)
# 목차
I. 글로벌 ETF 개요
II. 12개 키워드로 접근하는 글로벌 ETF
[키워드1] 대표 지수
[키워드2] 섹터, 산업
[키워드3] 스마트 베타, 전략*
[키워드4] 현금흐름: 배당/인컴
[키워드5] 테마(Thematic)
[키워드6] 채권
[키워드7] 옵션 전략 결합형
[키워드8] 자산 배분**
[키워드9] 암호화폐&블록체인
[키워드10] 레버리지/인버스
[키워드11] 액티브(Active)
[키워드12] 원자재
변경사항(2024년 2월 자료 대비)
* 스마트 베타, 전략: 24년 전략 → 스마트 베타에 병합
** 자산 배분: 신규 작성
III. 참고 사항
자료를 발간할 때마다 ETF 시장이 정말 빠르게 커지고, 다양화 되고 있음을 느끼고 있습니다.
ETF도 어디까지나 글로벌 핵심 자산에 접근하는 편리하고 합리적인 '수단'이죠.
이 자료는 '잘 알고, 잘 활용하기' 측면에서 많이 활용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자료 개요
- 다루는 것: 1) ETF 기초편: ETF 개념, 주요 유형, 2) 참조 사항: 세금, 제도 등
- 포인트: 다양성과 실시간 대응성을 바탕으로 ETF 시장은 빠르게 확대. ‘글로벌 핵심 자산에 접근하는 편리하고 합리적인 수단’
[주요 키워드] *목차 참조
▼자료 다운로드
https://m.site.naver.com/1FM3P
▼텔레그램 링크
https://t.me/qooowooo/2818
2020년 이후 매년 발간해오고 있는 글로벌 ETF 기초 자료가 나왔습니다.
작년 2월 대비 종목 수는 1,761개가 증가했고, 운용자산은 +3조 8,640억 달러가 증가했네요.
(2025년은 2월말 기준이라 변화는 있을 수 있습니다)
크게 1.ETF 기초 개념, 2.주요 키워드(12개)로 접근하는 글로벌 ETF, 3) 기타 참고 사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작년 자료 대비 구성은 큰 차이가 없는 상태에서 데이터 및 개별 내용 업데이트&보완 위주로 작성하였습니다.
주요 보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개별 내용에 있어서 최신 동향&데이터 반영,
2) 일부 키워드 변화(전략을 스마트 베타에 통합, 자산 배분 키워드 새롭게 추가)
3) 국내 수요 많은 커버드콜, 레버리지/인버스 관련 유의사항 추가
4) 최근 미국 신규 상장 많은 옵션 결합형 관련 구체화(버퍼형 등)
+이와 함께 편집에서도 신경 써주셔서 좀 더 깔끔하게 자료 보실 수 있습니다 :)
# 목차
I. 글로벌 ETF 개요
II. 12개 키워드로 접근하는 글로벌 ETF
[키워드1] 대표 지수
[키워드2] 섹터, 산업
[키워드3] 스마트 베타, 전략*
[키워드4] 현금흐름: 배당/인컴
[키워드5] 테마(Thematic)
[키워드6] 채권
[키워드7] 옵션 전략 결합형
[키워드8] 자산 배분**
[키워드9] 암호화폐&블록체인
[키워드10] 레버리지/인버스
[키워드11] 액티브(Active)
[키워드12] 원자재
변경사항(2024년 2월 자료 대비)
* 스마트 베타, 전략: 24년 전략 → 스마트 베타에 병합
** 자산 배분: 신규 작성
III. 참고 사항
자료를 발간할 때마다 ETF 시장이 정말 빠르게 커지고, 다양화 되고 있음을 느끼고 있습니다.
ETF도 어디까지나 글로벌 핵심 자산에 접근하는 편리하고 합리적인 '수단'이죠.
이 자료는 '잘 알고, 잘 활용하기' 측면에서 많이 활용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자료 개요
- 다루는 것: 1) ETF 기초편: ETF 개념, 주요 유형, 2) 참조 사항: 세금, 제도 등
- 포인트: 다양성과 실시간 대응성을 바탕으로 ETF 시장은 빠르게 확대. ‘글로벌 핵심 자산에 접근하는 편리하고 합리적인 수단’
[주요 키워드] *목차 참조


11.04.202504:49
10.04.202511:38
09.04.202510:46
책나르샤로 신청했는데 하루만에 받았다. 우리나라 도서관 시스템만세. 만화책을 기대했던 우리아들은 바로 노관심모드.
근데 지금 이시점에 꼭 필요한 말들이 많다.
근데 지금 이시점에 꼭 필요한 말들이 많다.
Reposted from: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08.04.202510:43
요약
🇨🇳 중국의 바이오 지배 전략과 미국의 위기
❗️ 가상의 경고 시나리오
중국이 획기적인 암 치료제를 개발하나, 대만 문제로 미중 갈등 격화 시 이를 무기화해 미국 공급을 중단
미국 내 치료제 부족, 여론 분열, 지정학과 공중보건 사이의 딜레마 발생
🧬 바이오 기술은 차세대 국가 경쟁력의 핵심
AI, CRISPR, 자동화 덕분에 생물학이 '설계 가능한 기술'**로 진화
생명공학은 국방, 농업, 에너지, 제조업까지 영향력 확대
21세기는 “바이오 기반 설계의 시대”**로 진입
🇨🇳 중국의 전략적 바이오 성장
20년간 국가 전략으로 바이오 산업 집중 육성
대표적 기업: WuXi AppTec, BioMap
WuXi는 미국 제약사 IP를 중국에 이전한 전력 보유, 2023년 매출 약 60억 달러
미국 바이오기업 중 79%가 중국 위탁생산 업체에 의존
“중국은 기술을 훔치고, 대규모로 생산하며, 시장을 장악한 뒤 목을 죄어온다”
⚠️ 미국의 현재 문제점
민간은 세계 최고 수준의 혁신력 보유
그러나 상업화·스케일업·규제 문제로 발목 잡힘
국방부는 바이오 기술 활용에 소극적이며, 공급망 취약성도 심각
🇺🇸 미국의 대응 전략: 6대 Pillars
1. 국가 차원의 전략 수립
대통령 직속 국가 바이오기술 조정 사무국 신설
2. 민간과의 공조 강화
규제 간소화, 공급망 리스크 공개 의무화
10억 달러 규모의 ‘Independence Investment Fund’ 조성
3. 국방 역량 강화
바이오 기반 물자 생산 및 ‘윤리적 병사 강화’ 기준 수립
중국 바이오 기술에 대한 해외 투자 제한
4. 혁신 역량 극대화
생물학 데이터 통합 플랫폼(Web of Biological Data) 구축
국립연구소 내 바이오 센터 설립
5. 바이오 인재 양성
연방 공무원 바이오 기술 교육 확대
민간 기술자 훈련 프로그램 투자 강화
6. 동맹과의 공조
동맹국과의 공동 연구·기술 표준·안보 연대 확대
외교기술혁신기금에 바이오 포함
🔮 미래 청사진: 미국 주도의 바이오 시대
✅ 가능성
2030년: 전 인류가 바이오 제품 사용
2040년대: 세포 치료·3D 장기 프린팅, 만성질환 감소
2050년대: 바이오 마이닝으로 달·화성 희귀광물 채굴
❌ 위험
치명적 질병 치료제 의존도가 중국에 쏠릴 경우, 공급 차단 시 국가 위기
유전자 조작 병사, 기반시설 생물학적 공격, 식량 및 의약품 무기화 가능성
🇺🇸 결론: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영원히 뒤처진다”
최소 150억 달러 투자 필요 (민간 자본 유입 유도 포함)
목표는 “중국 따라잡기”가 아니라 미국의 장점 강화
혁신의 자유와 안보 간 균형 확보
🇨🇳 중국의 바이오 지배 전략과 미국의 위기
❗️ 가상의 경고 시나리오
중국이 획기적인 암 치료제를 개발하나, 대만 문제로 미중 갈등 격화 시 이를 무기화해 미국 공급을 중단
미국 내 치료제 부족, 여론 분열, 지정학과 공중보건 사이의 딜레마 발생
🧬 바이오 기술은 차세대 국가 경쟁력의 핵심
AI, CRISPR, 자동화 덕분에 생물학이 '설계 가능한 기술'**로 진화
생명공학은 국방, 농업, 에너지, 제조업까지 영향력 확대
21세기는 “바이오 기반 설계의 시대”**로 진입
🇨🇳 중국의 전략적 바이오 성장
20년간 국가 전략으로 바이오 산업 집중 육성
대표적 기업: WuXi AppTec, BioMap
WuXi는 미국 제약사 IP를 중국에 이전한 전력 보유, 2023년 매출 약 60억 달러
미국 바이오기업 중 79%가 중국 위탁생산 업체에 의존
“중국은 기술을 훔치고, 대규모로 생산하며, 시장을 장악한 뒤 목을 죄어온다”
⚠️ 미국의 현재 문제점
민간은 세계 최고 수준의 혁신력 보유
그러나 상업화·스케일업·규제 문제로 발목 잡힘
국방부는 바이오 기술 활용에 소극적이며, 공급망 취약성도 심각
🇺🇸 미국의 대응 전략: 6대 Pillars
1. 국가 차원의 전략 수립
대통령 직속 국가 바이오기술 조정 사무국 신설
2. 민간과의 공조 강화
규제 간소화, 공급망 리스크 공개 의무화
10억 달러 규모의 ‘Independence Investment Fund’ 조성
3. 국방 역량 강화
바이오 기반 물자 생산 및 ‘윤리적 병사 강화’ 기준 수립
중국 바이오 기술에 대한 해외 투자 제한
4. 혁신 역량 극대화
생물학 데이터 통합 플랫폼(Web of Biological Data) 구축
국립연구소 내 바이오 센터 설립
5. 바이오 인재 양성
연방 공무원 바이오 기술 교육 확대
민간 기술자 훈련 프로그램 투자 강화
6. 동맹과의 공조
동맹국과의 공동 연구·기술 표준·안보 연대 확대
외교기술혁신기금에 바이오 포함
🔮 미래 청사진: 미국 주도의 바이오 시대
✅ 가능성
2030년: 전 인류가 바이오 제품 사용
2040년대: 세포 치료·3D 장기 프린팅, 만성질환 감소
2050년대: 바이오 마이닝으로 달·화성 희귀광물 채굴
❌ 위험
치명적 질병 치료제 의존도가 중국에 쏠릴 경우, 공급 차단 시 국가 위기
유전자 조작 병사, 기반시설 생물학적 공격, 식량 및 의약품 무기화 가능성
🇺🇸 결론: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영원히 뒤처진다”
최소 150억 달러 투자 필요 (민간 자본 유입 유도 포함)
목표는 “중국 따라잡기”가 아니라 미국의 장점 강화
혁신의 자유와 안보 간 균형 확보
07.04.202523:15


11.04.202505:45
세라젬 vs. 바디프랜드
3년만에 턴어라운드에 성공한 바디프랜드. 반면 아직 하락세인 세라젬.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들던가. 해외로 나가던가.
3년만에 턴어라운드에 성공한 바디프랜드. 반면 아직 하락세인 세라젬.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들던가. 해외로 나가던가.
10.04.202523:29
내부 자금 수혈 이후 외부 투자가 유리하다는 판단이 있었다는 게 카카오헬스케어 측의 설명이다.
지난해 기준 카카오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은 6조1451억원으로 여유자금은 충분하다. 다만 카카오는 현재 인공지능(AI)에 사활을 걸고 있어 그룹 내 대부분의 여유 자금이 AI 사업으로 향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
매각설이 도는 이유도 현금소진때문인데 카카오에서 유증또 해준다면 깔끔한 문제긴 함. 카카오헬스케어뿐 아니라 지금 디지탈헬스 전반에 다시 자금조달의 계절이 다가오고 있음. 3Q까지는 자금조달 문제를 해결해야할 회사가 꽤 됨.
https://dealsite.co.kr/articles/139708
지난해 기준 카카오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은 6조1451억원으로 여유자금은 충분하다. 다만 카카오는 현재 인공지능(AI)에 사활을 걸고 있어 그룹 내 대부분의 여유 자금이 AI 사업으로 향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
매각설이 도는 이유도 현금소진때문인데 카카오에서 유증또 해준다면 깔끔한 문제긴 함. 카카오헬스케어뿐 아니라 지금 디지탈헬스 전반에 다시 자금조달의 계절이 다가오고 있음. 3Q까지는 자금조달 문제를 해결해야할 회사가 꽤 됨.
https://dealsite.co.kr/articles/139708
10.04.202510:49
미래에셋증권 첨단의료기기/디지털헬스 김충현
@ 비상장 기업의 2024년 성적표로 살펴본 5가지 인사이트
대표적인 미래 성장산업 중 하나인 의료기기 및 디지털헬스는 비상장기업에도 주목해야 할 기업들이 많음.
특히 몇 년 전부터 사모펀드들이 대형 의료기기 기업들을 인수함에 따라 오히려 비상장 기업임에도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들이 많아짐.
이번 보고서에서 12개의 비상장기업들의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세부영역별 산업트렌드를 살펴보고자 함.
#링크: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410170955770_154
*당사 Compliance 승인을 거친 보고서 요약자료입니다.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비상장 기업의 2024년 성적표로 살펴본 5가지 인사이트
대표적인 미래 성장산업 중 하나인 의료기기 및 디지털헬스는 비상장기업에도 주목해야 할 기업들이 많음.
특히 몇 년 전부터 사모펀드들이 대형 의료기기 기업들을 인수함에 따라 오히려 비상장 기업임에도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들이 많아짐.
이번 보고서에서 12개의 비상장기업들의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세부영역별 산업트렌드를 살펴보고자 함.
#링크: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410170955770_154
*당사 Compliance 승인을 거친 보고서 요약자료입니다.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Reposted from:
[미래에셋 선진국 전략] 김성근, 조윤경
![[미래에셋 선진국 전략] 김성근, 조윤경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7060db44-5d2b-4632-942a-6e2877370fde.jpg%3Fw%3D24%26h%3D24&w=48&q=75)
09.04.202508:36
<미국의 50% 관세 부과에 대한 중국의 반응>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한국 시간 기준 1시에 상호관세와 중국에 대한 50% 추과 관세 효력 발효
-(Bloomberg)지난 관세 발표들과는 달리 50% 관세 부과가 확정된 후 중국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음
-강대강 대치가 마무리됐다는 기대감 소폭 높아진 모습. S&P500 선물 낙폭 축소
-다만 지난주 상호 관세 발표 후 중국의 공식 대응이 하루 후에 나타났다는 점을 감안하면 추후에 갈등이 재차 높아질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
-또한 중국이 추후 사용할 수 있는 대응 수단으로 희토류 수출 제한 강화, 일부 미국 농산품 수입 금지 등이 있고, 조금 더 수위 높은 대응 수단으로는 미국채 매도, 위안화의 추가 약세 유도 존재
-(WSJ)한편 이번주 화요일, 수요일 시진핑이 참석한 중국 고위급 회담에서는 아시아내 경제적 협력 강화를 논의. 아시아내 공급망 다변화로 관세 영향을 축소 시키려는 모습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한국 시간 기준 1시에 상호관세와 중국에 대한 50% 추과 관세 효력 발효
-(Bloomberg)지난 관세 발표들과는 달리 50% 관세 부과가 확정된 후 중국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음
-강대강 대치가 마무리됐다는 기대감 소폭 높아진 모습. S&P500 선물 낙폭 축소
-다만 지난주 상호 관세 발표 후 중국의 공식 대응이 하루 후에 나타났다는 점을 감안하면 추후에 갈등이 재차 높아질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
-또한 중국이 추후 사용할 수 있는 대응 수단으로 희토류 수출 제한 강화, 일부 미국 농산품 수입 금지 등이 있고, 조금 더 수위 높은 대응 수단으로는 미국채 매도, 위안화의 추가 약세 유도 존재
-(WSJ)한편 이번주 화요일, 수요일 시진핑이 참석한 중국 고위급 회담에서는 아시아내 경제적 협력 강화를 논의. 아시아내 공급망 다변화로 관세 영향을 축소 시키려는 모습
08.04.202502:46
#사모펀드도 이제 옥석가리기가 시작되는가
루트로닉과 제이시스메디칼을 살펴보니 자연스럽게 그 둘을 인수한 한앤컴퍼니와 아키메드를 비교할수밖에 없는데 아직 인수한 후 너무 초기이긴하나 2024년은 아키메드의 완승이다.
1. 제이시스메디칼은 내수랑 미주에서 드라마틱하게 성장. 이로 인해 광고비 지출은 컸는데 그래도 성과를 잘 냈음. 루트로닉도 국내에서 성과를 내긴 냈는데, 해외실적이 좀 아쉬움. 루트로닉의 미국법인을 어떻게 컨트롤하느냐 그리고 그걸 할 수 있느냐가 관건인듯.
2. 한앤컴퍼니는 루트로닉을 인수한후 루트로닉에게 역합병되는 구조를 취함. 그래서 루트로닉 인수관련 부채가 오롯이 루트로닉이 다 가져감. 부채비율이 올라가고, 이자비용이 크게 늘어났고 무형자산상각비도 늘어남.
요 구조가 재밌는게 국내사모펀드 vs. 해외사모펀드 구조로도 볼수 있고, Generalist 사모펀드 vs. 섹터전문 사모펀드 구조로도 볼 수 있음.
이제 의료기기에서 M&A가 활성화되는 만큼 사모펀드도 옥석가리기가 나올 듯. 특히 제이시스메디컬은 앞으로도 살펴봐야할 부분이 섹터전문가들이 회사를 어떻게 키우는지 정말 좋은 case study가 될 것이기 때문.
근데 메디트 사례도 그렇고 2024년 성적표를 보니 영 한국 사모펀드들 체면이 말이 아니구만.
루트로닉과 제이시스메디칼을 살펴보니 자연스럽게 그 둘을 인수한 한앤컴퍼니와 아키메드를 비교할수밖에 없는데 아직 인수한 후 너무 초기이긴하나 2024년은 아키메드의 완승이다.
1. 제이시스메디칼은 내수랑 미주에서 드라마틱하게 성장. 이로 인해 광고비 지출은 컸는데 그래도 성과를 잘 냈음. 루트로닉도 국내에서 성과를 내긴 냈는데, 해외실적이 좀 아쉬움. 루트로닉의 미국법인을 어떻게 컨트롤하느냐 그리고 그걸 할 수 있느냐가 관건인듯.
2. 한앤컴퍼니는 루트로닉을 인수한후 루트로닉에게 역합병되는 구조를 취함. 그래서 루트로닉 인수관련 부채가 오롯이 루트로닉이 다 가져감. 부채비율이 올라가고, 이자비용이 크게 늘어났고 무형자산상각비도 늘어남.
요 구조가 재밌는게 국내사모펀드 vs. 해외사모펀드 구조로도 볼수 있고, Generalist 사모펀드 vs. 섹터전문 사모펀드 구조로도 볼 수 있음.
이제 의료기기에서 M&A가 활성화되는 만큼 사모펀드도 옥석가리기가 나올 듯. 특히 제이시스메디컬은 앞으로도 살펴봐야할 부분이 섹터전문가들이 회사를 어떻게 키우는지 정말 좋은 case study가 될 것이기 때문.
근데 메디트 사례도 그렇고 2024년 성적표를 보니 영 한국 사모펀드들 체면이 말이 아니구만.


07.04.202509:42
먹고하자.
Shown 1 - 24 of 403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