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일 주요종목 뉴스
1. Nvidia GTC 2025
주요 코멘트
- "Agentic AI의 부상은 작년에 생각했던 것보다 100배 더 많은 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할 것."
- "AWS, Azure, Google, Oracle 등 상위 4대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는 작년에 Hopper GPU 130만 대를 구매한 데 비해 지금 360만 대의 Blackwell GPU를 구매했다(Blackwell은 24년 후반에야 출하를 시작).", "
- "2030년까지, 혹은 그보다 더 빠른 시점에 데이터센터 구축 규모가 $1T을 넘어설 것"
- "AI는 현재 변곡점에 있으며, 양자 컴퓨팅, 물리학, 5G 및 6G 네트워크, 유전자 시퀀싱, 계산 리소그래피 등 모든 과학 분야에 CUDA-X 라이브러리가 존재하게 될 것"
파트너십
- Cisco, T-Mobile 및 Cerberus ODC 와 협력하여 미국에서 풀스택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것을 포함한 여러 가지 새로운 파트너십을 발표.
- 또한 GM이 자율주행 자동차 함대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줄 회사로 엔비디아를 선택했다고 첨언
- IBM, Micron, GE Healthcare, Super Micro Computer 및 ServiceNow 등을 포함한 여러 다른 파트너십이 발표되었습니다 .
Blackwell
- Grace Blackwell이 이제 본격적으로 생산에 들어갔고, 또한 "엔비디아 Dynamo"를 선보였습니다.
- "Dynamo"는 분산 추론 제공 라이브러리로, 황은 이를 "본질적으로 AI 공장의 운영 체제"라고 설명.
- "Dynamo가 Blackwell(과 Hopper)의 추론 성능에 "거대한 도약"을 도울 수 있다."
신제품
- 블랙웰보다 메모리가 더 많고 대역폭도 두 배나 넓은 블랙웰 울트라가 2025년 하반기에 출시될 것
- HBM-4 메모리를 탑재한 루빈이 2026년 하반기에 출시될 것, 그 다음 세대인 루빈 울트라는 2027년 하반기에 출시될 예정.
- 루빈 울트라는 추론에 15배 더 많은 엑사플롭스, 훈련에 5배 더 많은 엑사플롭스, GB300 NVL72에 14배 더 많은 엑사플롭스를 제공. "루빈은 비용을 엄청나게 낮출 것"
-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이름을 딴 3세대 제품이 2028년에 출시될 것.
로봇
- 로봇을 위한 엔비디아의 기본 오픈소스 모델인 Groot N1을 선보임.
- 구글의 DeepMind, 디즈니 Research, 엔비디아가 협업한 Newton을 선보였는데, 로봇 Blue는 세 회사 간의 협업을 시연.
2. Baidu, 신규 AI 모델 2종 공개
- 중국 인터넷 기업 Baidu가 최신 AI 모델인 Ernie 4.5와 딥 씽킹 추론 모델인 Ernie X1을 출시. 회사는 당초 예정되어 있던 4월 1일부터 일찍 제품을 무료로 공개한다고 발표.
- 회사는 Ernie X1이 DeepSeek의 R1과 동일한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가격은 절반에 불과하다고 밝힘. X1은 도구 사용이 가능한 최초의 다중모드 심층적 추론모델로, 중국어 지식 질의응답, 문학 창작, 원고 작성, 대화, 논리적 추론 및 복잡한 계산에 뛰어난 역량을 보인다고 코멘트.
- Ernie 4.5는 기본 멀티모달 모델로, 입력 및 출력 가격이 각각 토큰 1,000개당 RMB 0.004, RMB 0.016으로 낮게 시작. "Ernie 4.5는 여러 벤치마크에서 GPT-4.5보다 성능이 뛰어나며 가격은 GPT-4.5의 1%에 불과합니다."
3. BYD, 혁신적인 배터리 충전 기술 공개
- BYD가 Super e-Platform으로 획기적인 배터리 충전 기술을 공개. 이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면 전기차를 가솔린차에 연료를 공급하는 것과 비슷한 속도로 충전할 수 있어 단 5분 만에 최대 400km(약 249마일)의 주행범위를 제공할 수 있음.
- 이 플랫폼은 최대 1,000킬로와트의 충전 속도로 작동하여 Tesla의 최신 제품을 포함한 현재 고속 충전 시스템의 성능을 크게 능가.
- 회사는 충전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중국 전역에 4,000개가 넘는 초고속 충전소를 설치할 계획, 회사의 목표는 충전을 기존 연료 공급만큼 빠르고 편리하게 만들어 잠재적인 EV 구매자의 주요 우려 사항인 "주행 거리 불안"을 완화하는 것.
💬 전일 주요기업 실적발표
Xiaomi
1. 실적
- 매출 RMB 109B(+48.8%) vs Cons RMB 104B
- 영업이익 RMB 8.9B vs Cons RMB 6.0B
- 순이익 RMB 9.0B vs Cons RMB 5.3B
2. 가이던스
- 올해 전기차 인도 대수 목표치를 기존 30만 대에서 35만대로 상향조정.
- 올해 중국 전역에 Mi Home 매장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향후 5년 내에 해외에 10,000개의 Mi Home 매장을 오픈할 계획
3. 코멘트
- "해외 시장에서 휴대전화, 태블릿, 자동차 등 회사 제품에 대한 엄청난 잠재력을 봤다고 말했지만, 해외로 사업을 확장하는 데 따르는 복잡성은 상당히 높다."
- 2027년부터 해외로 자동차 판매를 시작할 계획.
- 올해 1억 8천만 대의 스마트폰을 출하할 목표를 세웠으며, 2024년에는 1억 6,850만 대를 출하할 것
- 올해 총 연구개발 예산의 약 4분의 1인 최대 80억 위안을 AI 관련 이니셔티브에 투자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