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05.202522:26
WHO, 비만 치료제 약물 사용 지지
다음주 별도 회의를 통해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비만 치료제 포함 여부 결정 예정. 하지만 높은 약가는 우려 요인, 저소득 및 중소득 국가 접근성 개선 위해서는 단계적 가격 책정이나 공공 조달을 채택해야 할 수 있다고 언급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who-set-back-use-weight-loss-drugs-adults-globally-raises-cost-issue-2025-05-01/
다음주 별도 회의를 통해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비만 치료제 포함 여부 결정 예정. 하지만 높은 약가는 우려 요인, 저소득 및 중소득 국가 접근성 개선 위해서는 단계적 가격 책정이나 공공 조달을 채택해야 할 수 있다고 언급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who-set-back-use-weight-loss-drugs-adults-globally-raises-cost-issue-2025-05-01/
27.04.202522:11


25.04.202506:54
Reposted from:
HK이노엔(195940) IR & PR 공식채널

23.04.202523:38
안녕하십니까 HK이노엔 IR팀입니다.
금일 새벽 당사 케이캡의 미국 파트너사 Sebela가 미국에서 진행된 두가지 임상3상(미란성식도염, 비미란성식도염)의 주요결과 및 향후 계획을 발표하여 내용을 안내드립니다.
두가지 임상에서 케이캡(테고프라잔)은 1차 및 2차 평가지표를 모두 충족하였고, 미란성 식도염 임상에서 미란성 식도염 전체 환자군과 중등도 이상의 식도염(LA 등급 C, D)환자군 모두의 2주 및 8주차 치유율에서 PPI(란소프라졸) 대비 통계적 우월성(Superiority)을 입증했습니다. 비미란성식도염의 경우 가슴쓰림 뿐만 아니라 위산 역류 모두에서 완전한 증상 개선 효과(Complete symptom relief)를 확인했습니다.
해당 임상결과에 대해서 미국 아이비리그 와일 코넬 의과대학 펠리스 슈놀-서스먼 박사와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 회장 프라티크 샤르마 박사는 케이캡(테고프라잔)의 우월한 임상데이터와 가슴쓰림 뿐만 아니라 약물 중 유일하게 위산 역류 증상까지 줄여주는 차별적인 효과에 대해 극찬하였습니다.
파트너사는 위 두가지 임상성과에 이어 3분기 중 유지요법 임상을 마무리하고, 금년 4분기에 미국 FDA에 미란성식도염 및 비미란성식도염 적응증으로 신약허가신청(NDA)를 제출할 계획을 명확히 하였으며, 이번 임상(TRIUMph) 연구 결과를 권위있는 학술지에 투고하고, 주요 소화기학회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HK이노엔은 케이캡 글로벌 진출의 큰 변혁점이 될 미국에서의 임상 성공을 안내드릴 수 있어 매우 뜻깊으며, 글로벌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을 것을 확신합니다.
관련 보도자료 링크
Sebela pharmaceuticals :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sebela-pharmaceuticals-announces-positive-topline-results-from-phase-3-triumph-program-of-tegoprazan-in-gerd-302435337.html
HKinnoN : https://www.inno-n.com/pr/news/view/1/1031?sch_text=
추가적인 문의사항은 HK이노엔 IR팀으로 연락주십시오. 감사합니다.
금일 새벽 당사 케이캡의 미국 파트너사 Sebela가 미국에서 진행된 두가지 임상3상(미란성식도염, 비미란성식도염)의 주요결과 및 향후 계획을 발표하여 내용을 안내드립니다.
두가지 임상에서 케이캡(테고프라잔)은 1차 및 2차 평가지표를 모두 충족하였고, 미란성 식도염 임상에서 미란성 식도염 전체 환자군과 중등도 이상의 식도염(LA 등급 C, D)환자군 모두의 2주 및 8주차 치유율에서 PPI(란소프라졸) 대비 통계적 우월성(Superiority)을 입증했습니다. 비미란성식도염의 경우 가슴쓰림 뿐만 아니라 위산 역류 모두에서 완전한 증상 개선 효과(Complete symptom relief)를 확인했습니다.
해당 임상결과에 대해서 미국 아이비리그 와일 코넬 의과대학 펠리스 슈놀-서스먼 박사와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 회장 프라티크 샤르마 박사는 케이캡(테고프라잔)의 우월한 임상데이터와 가슴쓰림 뿐만 아니라 약물 중 유일하게 위산 역류 증상까지 줄여주는 차별적인 효과에 대해 극찬하였습니다.
파트너사는 위 두가지 임상성과에 이어 3분기 중 유지요법 임상을 마무리하고, 금년 4분기에 미국 FDA에 미란성식도염 및 비미란성식도염 적응증으로 신약허가신청(NDA)를 제출할 계획을 명확히 하였으며, 이번 임상(TRIUMph) 연구 결과를 권위있는 학술지에 투고하고, 주요 소화기학회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HK이노엔은 케이캡 글로벌 진출의 큰 변혁점이 될 미국에서의 임상 성공을 안내드릴 수 있어 매우 뜻깊으며, 글로벌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을 것을 확신합니다.
관련 보도자료 링크
Sebela pharmaceuticals :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sebela-pharmaceuticals-announces-positive-topline-results-from-phase-3-triumph-program-of-tegoprazan-in-gerd-302435337.html
HKinnoN : https://www.inno-n.com/pr/news/view/1/1031?sch_text=
추가적인 문의사항은 HK이노엔 IR팀으로 연락주십시오. 감사합니다.
23.04.202506:42
2025.04.23 15:36:59
기업명: 삼성바이오로직스(시가총액: 75조 8,71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2,983억(예상치 : 12,108억+/ 7%)
영업익 : 4,867억(예상치 : 3,550억/ +37%)
순이익 : 3,756억(예상치 : 2,843억+/ 32%)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2,983억/ 4,867억/ 3,756억
2024.4Q 12,564억/ 3,257억/ 3,215억
2024.3Q 11,871억/ 3,386억/ 2,645억
2024.2Q 11,569억/ 4,345억/ 3,180억
2024.1Q 9,469억/ 2,213억/ 1,79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380032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7940
기업명: 삼성바이오로직스(시가총액: 75조 8,71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2,983억(예상치 : 12,108억+/ 7%)
영업익 : 4,867억(예상치 : 3,550억/ +37%)
순이익 : 3,756억(예상치 : 2,843억+/ 32%)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2,983억/ 4,867억/ 3,756억
2024.4Q 12,564억/ 3,257억/ 3,215억
2024.3Q 11,871억/ 3,386억/ 2,645억
2024.2Q 11,569억/ 4,345억/ 3,180억
2024.1Q 9,469억/ 2,213억/ 1,79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3800326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07940
21.04.202522:12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전일(4/21) 제약/바이오 기업 주가 변동
https://t.me/KIS_Healthcare
<상승 TOP3>
대형주
• 휴젤, +4.6%/+195십억원
• 삼성바이오로직스, +2.2%/+1,637십억원
• 한미약품, +0.2%/+6십억원
중형주
• 메지온, +1.2%/+14십억원
• 한올바이오파마, +0.9%/+13십억원
• HK이노엔, +0.7%/+7십억원
소형주
• 휴온스글로벌, +4.4%/+27십억원
• 파미셀, +3.7%/+22십억원
• 툴젠, +3.2%/+10십억원
초소형주
• 신신제약, +25.7%/+23십억원
• 온코닉테라퓨틱스, +17.3%/+45십억원
• 큐리언트, +15.8%/+46십억원
▶ 상승 관련 뉴스
• 삼성바이오로직스: 창립 14주년 중장기 성장전략(생산능력, 포트폴리오, 글로벌 거점) 언급(https://vo.la/HcHQuz)
• 툴젠: 버텍스 파마슈티컬스에 특허권 침해소송 제기(https://vo.la/ysdwuf)
<하락 TOP3>
대형주
• 삼천당제약, -6.1%/-218십억원
• HLB, -2.7%/-197십억원
• 리가켐바이오, -2.3%/-92십억원
중형주
• 코오롱티슈진, -4.3%/-159십억원
• 네이처셀, -3.8%/-64십억원
• HLB테라퓨틱스, -3.6%/-24십억원
소형주
• 퓨쳐켐, -4.6%/-21십억원
• 현대바이오, -3.4%/-19십억원
• 바이오니아, -2.3%/-10십억원
초소형주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29.9%/-34십억원
• 에이비온, -6.4%/-13십억원
• 에스바이오메딕스, -5.2%/-13십억원
▶ 하락 관련 뉴스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핵심 파이프라인 임상 2상 실패에 5거래일 연속 하한가(https://vo.la/vrsEXT)
https://t.me/KIS_Healthcare
<상승 TOP3>
대형주
• 휴젤, +4.6%/+195십억원
• 삼성바이오로직스, +2.2%/+1,637십억원
• 한미약품, +0.2%/+6십억원
중형주
• 메지온, +1.2%/+14십억원
• 한올바이오파마, +0.9%/+13십억원
• HK이노엔, +0.7%/+7십억원
소형주
• 휴온스글로벌, +4.4%/+27십억원
• 파미셀, +3.7%/+22십억원
• 툴젠, +3.2%/+10십억원
초소형주
• 신신제약, +25.7%/+23십억원
• 온코닉테라퓨틱스, +17.3%/+45십억원
• 큐리언트, +15.8%/+46십억원
▶ 상승 관련 뉴스
• 삼성바이오로직스: 창립 14주년 중장기 성장전략(생산능력, 포트폴리오, 글로벌 거점) 언급(https://vo.la/HcHQuz)
• 툴젠: 버텍스 파마슈티컬스에 특허권 침해소송 제기(https://vo.la/ysdwuf)
<하락 TOP3>
대형주
• 삼천당제약, -6.1%/-218십억원
• HLB, -2.7%/-197십억원
• 리가켐바이오, -2.3%/-92십억원
중형주
• 코오롱티슈진, -4.3%/-159십억원
• 네이처셀, -3.8%/-64십억원
• HLB테라퓨틱스, -3.6%/-24십억원
소형주
• 퓨쳐켐, -4.6%/-21십억원
• 현대바이오, -3.4%/-19십억원
• 바이오니아, -2.3%/-10십억원
초소형주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29.9%/-34십억원
• 에이비온, -6.4%/-13십억원
• 에스바이오메딕스, -5.2%/-13십억원
▶ 하락 관련 뉴스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핵심 파이프라인 임상 2상 실패에 5거래일 연속 하한가(https://vo.la/vrsEXT)
28.04.202522:52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HK이노엔(195940): 예상만큼 좋은 실적
보고서: https://vo.la/tBFldi
1Q25 매출, 영업이익 모두 컨센서스에 부합했습니다. 매출 2,474억원(+16% YoY), 영업이익 254억원(+47%, OPM 10%)을 기록했는데, 1) ETC 전 제품군의 고른 판매 증가, 2) 컨디션 매출 정상화 시작 영향입니다.
FY25 1조 481억원(+17%), 영업이익 980억원(+11%) 전망합니다. 국내 케이캡은 처방건수, 출하 실적 모두 안정적 구간 진입했다고 판단하며, 수출에 따른 수익성 개선과 컨디션 매출 정상화 시작도 긍정적입니다.
단 미국 P-CAB 시장 우려 해소 위해서는 1) 패썸 파마의 제네릭 방어, 2) P-CAB 가성비 논란 해소가 필요합니다. 그 전까지 현재 케이캡 미국 비영업가치 7,450억원, 목표주가 7만원 유지합니다.
보고서: https://vo.la/tBFldi
1Q25 매출, 영업이익 모두 컨센서스에 부합했습니다. 매출 2,474억원(+16% YoY), 영업이익 254억원(+47%, OPM 10%)을 기록했는데, 1) ETC 전 제품군의 고른 판매 증가, 2) 컨디션 매출 정상화 시작 영향입니다.
FY25 1조 481억원(+17%), 영업이익 980억원(+11%) 전망합니다. 국내 케이캡은 처방건수, 출하 실적 모두 안정적 구간 진입했다고 판단하며, 수출에 따른 수익성 개선과 컨디션 매출 정상화 시작도 긍정적입니다.
단 미국 P-CAB 시장 우려 해소 위해서는 1) 패썸 파마의 제네릭 방어, 2) P-CAB 가성비 논란 해소가 필요합니다. 그 전까지 현재 케이캡 미국 비영업가치 7,450억원, 목표주가 7만원 유지합니다.
27.04.202522:09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전일(4/25) 제약/바이오 기업 주가 변동
https://t.me/KIS_Healthcare
<상승 TOP3>
대형주
• 삼천당제약, +1.6%/+52십억원
• SK바이오사이언스, +0.5%/+16십억원
중형주
• 보로노이, +3.8%/+74십억원
• 메지온, +1.4%/+17십억원
• 녹십자홀딩스, +1.4%/+9십억원
소형주
• 디앤디파마텍, +9.4%/+61십억원
• 유바이오로직스, +4.4%/+19십억원
• 에스티큐브, +4.2%/+18십억원
초소형주
• 큐라티스, +30.0%/+18십억원
• 안트로젠, +6.0%/+12십억원
• 바이오솔루션, +4.7%/+10십억원
<하락 TOP3>
대형주
• 알테오젠, -5.0%/-1,040십억원
• 리가켐바이오, -1.7%/-70십억원
• SK바이오팜, -1.1%/-86십억원
중형주
• HK이노엔, -10.7%/-149십억원
• 코오롱티슈진, -4.3%/-167십억원
• 오스코텍, -3.6%/-42십억원
소형주
• 휴온스글로벌, -5.5%/-36십억원
• 바이오플러스, -4.0%/-19십억원
• 올릭스, -2.7%/-28십억원
초소형주
• 동성제약, -12.2%/-13십억원
• 지놈앤컴퍼니, -6.7%/-6십억원
• 인벤티지랩, -6.5%/-19십억원
▶ 하락 관련 뉴스
• 알테오젠: 할로자임이 알테오젠 기술 적용된 MSD의 키트루다 SC에 대한 특허 침해 소송 제기(https://vo.la/KPZGCR)
• 동성제약: 마케팅 기업에 회장 보유지분 10.8%를 120억원에 매각(https://vo.la/WzSeYr)
https://t.me/KIS_Healthcare
<상승 TOP3>
대형주
• 삼천당제약, +1.6%/+52십억원
• SK바이오사이언스, +0.5%/+16십억원
중형주
• 보로노이, +3.8%/+74십억원
• 메지온, +1.4%/+17십억원
• 녹십자홀딩스, +1.4%/+9십억원
소형주
• 디앤디파마텍, +9.4%/+61십억원
• 유바이오로직스, +4.4%/+19십억원
• 에스티큐브, +4.2%/+18십억원
초소형주
• 큐라티스, +30.0%/+18십억원
• 안트로젠, +6.0%/+12십억원
• 바이오솔루션, +4.7%/+10십억원
<하락 TOP3>
대형주
• 알테오젠, -5.0%/-1,040십억원
• 리가켐바이오, -1.7%/-70십억원
• SK바이오팜, -1.1%/-86십억원
중형주
• HK이노엔, -10.7%/-149십억원
• 코오롱티슈진, -4.3%/-167십억원
• 오스코텍, -3.6%/-42십억원
소형주
• 휴온스글로벌, -5.5%/-36십억원
• 바이오플러스, -4.0%/-19십억원
• 올릭스, -2.7%/-28십억원
초소형주
• 동성제약, -12.2%/-13십억원
• 지놈앤컴퍼니, -6.7%/-6십억원
• 인벤티지랩, -6.5%/-19십억원
▶ 하락 관련 뉴스
• 알테오젠: 할로자임이 알테오젠 기술 적용된 MSD의 키트루다 SC에 대한 특허 침해 소송 제기(https://vo.la/KPZGCR)
• 동성제약: 마케팅 기업에 회장 보유지분 10.8%를 120억원에 매각(https://vo.la/WzSeYr)


25.04.202506:54
23.04.202522:56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예측할 수 없었던 서프라이즈
보고서: https://vo.la/Sqdypal
1Q25 연결 매출액 12,983억원(+37% YoY), 영업이익 4,867억원(+120%, OPM 37.5%)으로 컨센서스를 각각 7%, 37% 상회했습니다. 매출 상회 요인은 에피스 신제품 판매 추정치 상회와 로직스 생산 일정 변경 따른 내부거래 감소입니다. 영업이익 상회 요인은 내부거래 감소분이 로직스 외부 고객향 매출로 전환되며 이익 증가, 4공장 상업 생산 비중 확대, 에피스 신제품 판매 효과와 비용 통제(OPM +18%p) 등입니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32만원 유지합니다. 생산 일정 변경 따른 내부거래 감소 추정할 수 없었으나 내부거래 감소 만큼 외부 고객향 매출로 전환했다는 점은 중장기, 단기 상업용 항체 CMO 수요 모두 탄탄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긍정 의견 유지합니다.
보고서: https://vo.la/Sqdypal
1Q25 연결 매출액 12,983억원(+37% YoY), 영업이익 4,867억원(+120%, OPM 37.5%)으로 컨센서스를 각각 7%, 37% 상회했습니다. 매출 상회 요인은 에피스 신제품 판매 추정치 상회와 로직스 생산 일정 변경 따른 내부거래 감소입니다. 영업이익 상회 요인은 내부거래 감소분이 로직스 외부 고객향 매출로 전환되며 이익 증가, 4공장 상업 생산 비중 확대, 에피스 신제품 판매 효과와 비용 통제(OPM +18%p) 등입니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32만원 유지합니다. 생산 일정 변경 따른 내부거래 감소 추정할 수 없었으나 내부거래 감소 만큼 외부 고객향 매출로 전환했다는 점은 중장기, 단기 상업용 항체 CMO 수요 모두 탄탄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긍정 의견 유지합니다.
22.04.202522:11
리제네론, 후지필름 다이오신스와 30억달러 생산 계약 체결
올해 말 가동 예정인 노스 캐롤라이나 공장에서 10년간 생산 예정. 현재 상업용, 임상용 등 45개 이상 에셋에 대한 생산 니즈 있기 때문
https://www.bioprocessintl.com/deal-making/fujifilm-lands-3bn-regeneron-deal-to-produce-mabs
올해 말 가동 예정인 노스 캐롤라이나 공장에서 10년간 생산 예정. 현재 상업용, 임상용 등 45개 이상 에셋에 대한 생산 니즈 있기 때문
https://www.bioprocessintl.com/deal-making/fujifilm-lands-3bn-regeneron-deal-to-produce-mabs
20.04.202522:29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전일(4/18) 제약/바이오 기업 주가 변동
https://t.me/KIS_Healthcare
<상승 TOP3>
대형주
• 알테오젠, +4.5%/+906십억원
• 리가켐바이오, +2.6%/+103십억원
• 삼천당제약, +2.5%/+89십억원
중형주
• 펩트론, +11.0%/+417십억원
• 보로노이, +6.3%/+129십억원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1.6%/+14십억원
소형주
• 디앤디파마텍, +16.5%/+90십억원
• 지아이이노베이션, +10.2%/+83십억원
• 비보존 제약, +9.2%/+29십억원
초소형주
• 온코크로스, +18.9%/+30십억원
• 아이큐어, +17.3%/+10십억원
• 엔지켐생명과학, +10.3%/+9십억원
▶ 상승 관련 뉴스
• 보로노이: AACR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임상 1상 초기 데이터 결과 발표(https://vo.la/uATPcV)
• 디앤디파마텍: MASH 치료제 임상 2상 12주차 투약 완료 언급, 6월 결과 전망(https://vo.la/SWPCIN)
<하락 TOP3>
대형주
• HLB, -2.0%/-145십억원
• 셀트리온, -1.1%/-402십억원
• 삼성바이오로직스, -0.9%/-712십억원
중형주
• HLB테라퓨틱스, -2.4%/-17십억원
• 네이처셀, -2.4%/-42십억원
• HLB제약, -2.1%/-13십억원
소형주
• HLB이노베이션, -2.2%/-6십억원
• 툴젠, -1.3%/-4십억원
• 메디포스트, -0.8%/-2십억원
초소형주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29.9%/-48십억원
• 동성제약, -12.3%/-14십억원
• CMG제약, -8.1%/-33십억원
https://t.me/KIS_Healthcare
<상승 TOP3>
대형주
• 알테오젠, +4.5%/+906십억원
• 리가켐바이오, +2.6%/+103십억원
• 삼천당제약, +2.5%/+89십억원
중형주
• 펩트론, +11.0%/+417십억원
• 보로노이, +6.3%/+129십억원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1.6%/+14십억원
소형주
• 디앤디파마텍, +16.5%/+90십억원
• 지아이이노베이션, +10.2%/+83십억원
• 비보존 제약, +9.2%/+29십억원
초소형주
• 온코크로스, +18.9%/+30십억원
• 아이큐어, +17.3%/+10십억원
• 엔지켐생명과학, +10.3%/+9십억원
▶ 상승 관련 뉴스
• 보로노이: AACR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임상 1상 초기 데이터 결과 발표(https://vo.la/uATPcV)
• 디앤디파마텍: MASH 치료제 임상 2상 12주차 투약 완료 언급, 6월 결과 전망(https://vo.la/SWPCIN)
<하락 TOP3>
대형주
• HLB, -2.0%/-145십억원
• 셀트리온, -1.1%/-402십억원
• 삼성바이오로직스, -0.9%/-712십억원
중형주
• HLB테라퓨틱스, -2.4%/-17십억원
• 네이처셀, -2.4%/-42십억원
• HLB제약, -2.1%/-13십억원
소형주
• HLB이노베이션, -2.2%/-6십억원
• 툴젠, -1.3%/-4십억원
• 메디포스트, -0.8%/-2십억원
초소형주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29.9%/-48십억원
• 동성제약, -12.3%/-14십억원
• CMG제약, -8.1%/-33십억원
28.04.202522:03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전일(4/28) 제약/바이오 기업 주가 변동
https://t.me/KIS_Healthcare
<상승 TOP3>
대형주
• SK바이오팜, +1.1%/+86십억원
• 삼성바이오로직스, +0.2%/+142십억원
• HLB, +0.2%/+13십억원
중형주
• 에스티팜, +2.9%/+44십억원
• 메디톡스, +2.3%/+28십억원
• 대웅제약, +0.9%/+13십억원
소형주
• HLB이노베이션, +7.3%/+22십억원
• 유바이오로직스, +6.4%/+30십억원
• 휴온스, +0.8%/+2십억원
초소형주
• 박셀바이오, +17.8%/+39십억원
• 인벤티지랩, +9.7%/+26십억원
• 아이큐어, +8.3%/+6십억원
▶ 상승 관련 뉴스
• 에스티팜: 미국 원료 고객사가 미국 임상 3상 긍정적인 톱라인 결과 발표, 상업용 생산 시작 기대감 상승(https://vo.la/waVOMi)
• 박셀바이오: 자가골수유래세포 처리시설 식약처 인허가 획득(https://vo.la/cjEBtF)
<하락 TOP3>
대형주
• 리가켐바이오, -5.7%/-231십억원
• 알테오젠, -3.3%/-640십억원
• 삼천당제약, -2.9%/-99십억원
중형주
• 보로노이, -12.5%/-254십억원
• 코오롱티슈진, -7.8%/-289십억원
• HK이노엔, -5.7%/-71십억원
소형주
• 디앤디파마텍, -10.4%/-74십억원
• 젬백스, -6.6%/-99십억원
• 퓨쳐켐, -5.6%/-23십억원
초소형주
• 온코닉테라퓨틱스, -13.5%/-36십억원
• 오리엔트바이오, -9.5%/-17십억원
• 셀비온, -8.6%/-19십억원
https://t.me/KIS_Healthcare
<상승 TOP3>
대형주
• SK바이오팜, +1.1%/+86십억원
• 삼성바이오로직스, +0.2%/+142십억원
• HLB, +0.2%/+13십억원
중형주
• 에스티팜, +2.9%/+44십억원
• 메디톡스, +2.3%/+28십억원
• 대웅제약, +0.9%/+13십억원
소형주
• HLB이노베이션, +7.3%/+22십억원
• 유바이오로직스, +6.4%/+30십억원
• 휴온스, +0.8%/+2십억원
초소형주
• 박셀바이오, +17.8%/+39십억원
• 인벤티지랩, +9.7%/+26십억원
• 아이큐어, +8.3%/+6십억원
▶ 상승 관련 뉴스
• 에스티팜: 미국 원료 고객사가 미국 임상 3상 긍정적인 톱라인 결과 발표, 상업용 생산 시작 기대감 상승(https://vo.la/waVOMi)
• 박셀바이오: 자가골수유래세포 처리시설 식약처 인허가 획득(https://vo.la/cjEBtF)
<하락 TOP3>
대형주
• 리가켐바이오, -5.7%/-231십억원
• 알테오젠, -3.3%/-640십억원
• 삼천당제약, -2.9%/-99십억원
중형주
• 보로노이, -12.5%/-254십억원
• 코오롱티슈진, -7.8%/-289십억원
• HK이노엔, -5.7%/-71십억원
소형주
• 디앤디파마텍, -10.4%/-74십억원
• 젬백스, -6.6%/-99십억원
• 퓨쳐켐, -5.6%/-23십억원
초소형주
• 온코닉테라퓨틱스, -13.5%/-36십억원
• 오리엔트바이오, -9.5%/-17십억원
• 셀비온, -8.6%/-19십억원


25.04.202506:56


25.04.202506:52
23.04.202522:16
Summit Thera +21%, Akeso +5%, Merck -0.3%. 이보네시맙+Chemo 병용, 중국 1L NSCLC 임상 3상 성공. 이보네시맙 단독(vs 키트루다) 임상 성공 후 병용 성공 사례도 확보했다는데 의의
중국 1L sNSCLC 세팅, 이보네시맙+Chemo 병용이 티스렐리주맙+Chemo 병용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PFS 개선을 보여 일차 목표 달성했다고 발표. PD-L1 양성/음성 환자에서 모두 임상적인 PFS 이점 확인. 상세한 결과는 연말 학회에서 발표 예정
이보네시맙 권리는 지역별로 나뉘어 있음. 서밋이 미국, 유럽, 일본 권리 보유, 아케소는 호주, 중국 권리 보유
https://www.smmttx.com/wp-content/uploads/2025/04/2025_PR_0423_Ivonescimab-AK112-306-Data-_-FINAL-1-1.pdf
중국 1L sNSCLC 세팅, 이보네시맙+Chemo 병용이 티스렐리주맙+Chemo 병용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PFS 개선을 보여 일차 목표 달성했다고 발표. PD-L1 양성/음성 환자에서 모두 임상적인 PFS 이점 확인. 상세한 결과는 연말 학회에서 발표 예정
이보네시맙 권리는 지역별로 나뉘어 있음. 서밋이 미국, 유럽, 일본 권리 보유, 아케소는 호주, 중국 권리 보유
https://www.smmttx.com/wp-content/uploads/2025/04/2025_PR_0423_Ivonescimab-AK112-306-Data-_-FINAL-1-1.pdf
22.04.202522:10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전일(4/22) 제약/바이오 기업 주가 변동
https://t.me/KIS_Healthcare
<상승 TOP3>
대형주
• 리가켐바이오, +5.4%/+212십억원
• 알테오젠, +0.6%/+133십억원
• 삼성바이오로직스, +0.3%/+214십억원
중형주
• 네이처셀, +29.9%/+492십억원
• 코오롱티슈진, +7.6%/+269십억원
• 에이비엘바이오, +5.9%/+184십억원
소형주
• 신라젠, +29.9%/+100십억원
• 에이프릴바이오, +10.0%/+31십억원
• 차바이오텍, +5.0%/+30십억원
초소형주
• 박셀바이오, +29.3%/+56십억원
• 서흥, +9.4%/+14십억원
• 코오롱생명과학, +8.1%/+27십억원
▶ 상승 관련 뉴스
• 네이처셀: FDA가 조인트스템 한국 임상 3상 시험이 미국 허가 심사 위한 최종 임상 시험 기준에 부합한다고 언급했음을 공지 (https://vo.la/sHXsMz)
• 신라젠: 네덜란드 바이오기업의 항암제 특허 및 권리 확보(https://vo.la/yJILkn)
• 에이프릴바이오: 국제학술지에 APB-R3의 긍정적인 MASH 연구 결과 게재, REMAP-ADC 사업화 추진 언급 등 (https://vo.la/lTmLFk)
• 박셀바이오: NK세포의 제조 기술 및 간암 치료 방법에 관한 원천특허 국내 최종 등록(https://vo.la/kWGkJq)
<하락 TOP3>
대형주
• 삼천당제약, -3.0%/-101십억원
• 휴젤, -1.5%/-69십억원
• SK바이오팜, -0.8%/-63십억원
중형주
• 보로노이, -3.4%/-72십억원
• 대웅제약, -1.1%/-17십억원
• 종근당, -0.8%/-8십억원
소형주
• 지아이이노베이션, -6.2%/29십억원
• 젬백스, -4.2%/-60십억원
• 퓨쳐켐, -3.0%/-13십억원
초소형주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16.6%/-13십억원
• 신신제약, -10.5%/-12십억원
• 오리엔트바이오, -6.4%/-13십억원
https://t.me/KIS_Healthcare
<상승 TOP3>
대형주
• 리가켐바이오, +5.4%/+212십억원
• 알테오젠, +0.6%/+133십억원
• 삼성바이오로직스, +0.3%/+214십억원
중형주
• 네이처셀, +29.9%/+492십억원
• 코오롱티슈진, +7.6%/+269십억원
• 에이비엘바이오, +5.9%/+184십억원
소형주
• 신라젠, +29.9%/+100십억원
• 에이프릴바이오, +10.0%/+31십억원
• 차바이오텍, +5.0%/+30십억원
초소형주
• 박셀바이오, +29.3%/+56십억원
• 서흥, +9.4%/+14십억원
• 코오롱생명과학, +8.1%/+27십억원
▶ 상승 관련 뉴스
• 네이처셀: FDA가 조인트스템 한국 임상 3상 시험이 미국 허가 심사 위한 최종 임상 시험 기준에 부합한다고 언급했음을 공지 (https://vo.la/sHXsMz)
• 신라젠: 네덜란드 바이오기업의 항암제 특허 및 권리 확보(https://vo.la/yJILkn)
• 에이프릴바이오: 국제학술지에 APB-R3의 긍정적인 MASH 연구 결과 게재, REMAP-ADC 사업화 추진 언급 등 (https://vo.la/lTmLFk)
• 박셀바이오: NK세포의 제조 기술 및 간암 치료 방법에 관한 원천특허 국내 최종 등록(https://vo.la/kWGkJq)
<하락 TOP3>
대형주
• 삼천당제약, -3.0%/-101십억원
• 휴젤, -1.5%/-69십억원
• SK바이오팜, -0.8%/-63십억원
중형주
• 보로노이, -3.4%/-72십억원
• 대웅제약, -1.1%/-17십억원
• 종근당, -0.8%/-8십억원
소형주
• 지아이이노베이션, -6.2%/29십억원
• 젬백스, -4.2%/-60십억원
• 퓨쳐켐, -3.0%/-13십억원
초소형주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16.6%/-13십억원
• 신신제약, -10.5%/-12십억원
• 오리엔트바이오, -6.4%/-13십억원
27.04.202522:50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코오롱티슈진 (950160): 기대보다 더 좋았던 TG-C 장기 추적 결과
보고서: https://vo.la/maHlAO
국제골관절염학회에 다녀왔습니다. 기대 이상으로 좋았던 TG-C 장기 추적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1) TG-C 투여군 암 발생 위험성은 일반 미국인 대비 절반 수준이며, 2) 총인공관절술 환자 비율도 일반 미국 골관절염 환자 대비 55% 감소(15.5% vs 7.0%)했습니다. 수술 시점도 지연된 것이 특징입니다. 즉 현재까지 추적 결과를 바탕으로 TG-C는 암 발생 원인이 아니며, 골관절염 진행을 늦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TG-C는 FDA 승인에 필요한 데이터를 갖춰가고 있습니다. 27년 품목허가 신청서 제출, 연말 승인 목표 중입니다. Base 시나리오 가정인 OA 신약 승인 가능성 100%, DMOAD 가능성 90% 유지하기에 충분한 상황이라 판단해 목표주가 10만원 유지합니다.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애브비(ABBV US): 신약 매출 강화의 정석
보고서: https://vo.la/rSsDCa
1Q25 매출과 조정 EPS 모두 컨센서스를 3% 상회했습니다. 매출은 133억달러(+8% YoY)를 기록했는데 면역학(+17%), 뇌과학(+16%), 종양학(+6%) 사업부 성장 덕분입니다. 특히 면역학 신약 스카이리지(+71%)와 린보크(+57%) 매출이 좋았습니다.
실적 발표 후 주가는 3.15% 상승 마감했습니다. 매출 가이던스를 597억달러(+6%)로 7억달러 상향했고, 미국 제조 역량 강화 계획을 언급했기 때문입니다.
긍정 의견 유지합니다. 밸류에이션 좋고, 배당 수익률은 3.5%로 높아졌는데, 면역학 사업부 덕분에 2030년까지 실적 성장 가시성도 높습니다. 스카이리지와 린보크의 처방 근거를 직접 비교 임상 결과로 보여주고 있고, 병용 전략 시도하며 매출 강화 준비 중입니다.
보고서: https://vo.la/maHlAO
국제골관절염학회에 다녀왔습니다. 기대 이상으로 좋았던 TG-C 장기 추적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1) TG-C 투여군 암 발생 위험성은 일반 미국인 대비 절반 수준이며, 2) 총인공관절술 환자 비율도 일반 미국 골관절염 환자 대비 55% 감소(15.5% vs 7.0%)했습니다. 수술 시점도 지연된 것이 특징입니다. 즉 현재까지 추적 결과를 바탕으로 TG-C는 암 발생 원인이 아니며, 골관절염 진행을 늦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TG-C는 FDA 승인에 필요한 데이터를 갖춰가고 있습니다. 27년 품목허가 신청서 제출, 연말 승인 목표 중입니다. Base 시나리오 가정인 OA 신약 승인 가능성 100%, DMOAD 가능성 90% 유지하기에 충분한 상황이라 판단해 목표주가 10만원 유지합니다.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애브비(ABBV US): 신약 매출 강화의 정석
보고서: https://vo.la/rSsDCa
1Q25 매출과 조정 EPS 모두 컨센서스를 3% 상회했습니다. 매출은 133억달러(+8% YoY)를 기록했는데 면역학(+17%), 뇌과학(+16%), 종양학(+6%) 사업부 성장 덕분입니다. 특히 면역학 신약 스카이리지(+71%)와 린보크(+57%) 매출이 좋았습니다.
실적 발표 후 주가는 3.15% 상승 마감했습니다. 매출 가이던스를 597억달러(+6%)로 7억달러 상향했고, 미국 제조 역량 강화 계획을 언급했기 때문입니다.
긍정 의견 유지합니다. 밸류에이션 좋고, 배당 수익률은 3.5%로 높아졌는데, 면역학 사업부 덕분에 2030년까지 실적 성장 가시성도 높습니다. 스카이리지와 린보크의 처방 근거를 직접 비교 임상 결과로 보여주고 있고, 병용 전략 시도하며 매출 강화 준비 중입니다.


25.04.202506:55
24.04.202522:07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전일(4/24) 제약/바이오 기업 주가 변동
https://t.me/KIS_Healthcare
<상승 TOP3>
대형주
• 휴젤, +2.7%/+120십억원
• SK바이오사이언스, +0.6%/+20십억원
중형주
• HK이노엔, +29.9%/+319십억원
• 루닛, +2.4%/+38십억원
• 메디톡스, +1.2%/+14십억원
소형주
• 유바이오로직스, +5.2%/+21십억원
• 바이오플러스, +3.6%/+20십억원
• 휴메딕스, +3.1%/+14십억원
초소형주
• 큐라티스, +29.9%/+14십억원
• 인벤티지랩, +29.8%/+66십억원
• 카이노스메드, +13.4%/+6십억원
▶ 상승 관련 뉴스
• HK이노엔: 케이캡 미국 임상 3상 성공(https://vo.la/dpeiGC)
• 인벤티지랩: 경구형 비만치료제 신약 전임상 결과 리벨서스 대비 흡수율 73배 향상 언급(https://vo.la/hJgAnYK)
<하락 TOP3>
대형주
• 삼성바이오로직스, -1.9%/-1,423십억원
• HLB, -1.3%/-92십억원
• 셀트리온, -0.8%/-290십억원
중형주
• 네이처셀, -9.0%/-177십억원
• 펩트론, -2.0%/-84십억원
• HLB제약, -1.7%/-11십억원
소형주
• 신라젠, -6.3%/-36십억원
• 지아이이노베이션, -5.1%/-46십억원
• 현대바이오, -4.1%/-23십억원
초소형주
• 박셀바이오, -10.3%/-26십억원
• 온코닉테라퓨틱스, -7.3%/-21십억원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6.3%/-4십억원
https://t.me/KIS_Healthcare
<상승 TOP3>
대형주
• 휴젤, +2.7%/+120십억원
• SK바이오사이언스, +0.6%/+20십억원
중형주
• HK이노엔, +29.9%/+319십억원
• 루닛, +2.4%/+38십억원
• 메디톡스, +1.2%/+14십억원
소형주
• 유바이오로직스, +5.2%/+21십억원
• 바이오플러스, +3.6%/+20십억원
• 휴메딕스, +3.1%/+14십억원
초소형주
• 큐라티스, +29.9%/+14십억원
• 인벤티지랩, +29.8%/+66십억원
• 카이노스메드, +13.4%/+6십억원
▶ 상승 관련 뉴스
• HK이노엔: 케이캡 미국 임상 3상 성공(https://vo.la/dpeiGC)
• 인벤티지랩: 경구형 비만치료제 신약 전임상 결과 리벨서스 대비 흡수율 73배 향상 언급(https://vo.la/hJgAnYK)
<하락 TOP3>
대형주
• 삼성바이오로직스, -1.9%/-1,423십억원
• HLB, -1.3%/-92십억원
• 셀트리온, -0.8%/-290십억원
중형주
• 네이처셀, -9.0%/-177십억원
• 펩트론, -2.0%/-84십억원
• HLB제약, -1.7%/-11십억원
소형주
• 신라젠, -6.3%/-36십억원
• 지아이이노베이션, -5.1%/-46십억원
• 현대바이오, -4.1%/-23십억원
초소형주
• 박셀바이오, -10.3%/-26십억원
• 온코닉테라퓨틱스, -7.3%/-21십억원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6.3%/-4십억원
23.04.202522:09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전일(4/23) 제약/바이오 기업 주가 변동
https://t.me/KIS_Healthcare
<상승 TOP3>
대형주
• HLB, +4.5%/+315십억원
• SK바이오사이언스, +3.5%/+106십억원
• 셀트리온, +1.5%/+513십억원
중형주
• 셀트리온제약, +3.4%/+70십억원
• HLB생명과학, +3.3%/+24십억원
• HLB제약, +3.1%/+19십억원
소형주
• 신라젠, +30.0%/+131십억원
• 젬백스, +8.6%/+118십억원
• 툴젠, +6.1%/+20십억원
초소형주
• 코미팜, +17.7%/+67십억원
• 삼일제약, +10.3%/+28십억원
• 진원생명과학, +8.8%/+15십억원
▶ 상승 관련 뉴스
• SK바이오사이언스: 모더나 mRNA 특허 독점 무효소송 최종 승소(https://vo.la/oeZjlX)
<하락 TOP3>
대형주
• 삼성바이오로직스, -0.8%/-641십억원
중형주
• 네이처셀, -8.3%/-177십억원
• 보로노이, -2.9%/-59십억원
• 메지온, -1.8%/-21십억원
소형주
• 큐로셀, -1.8%/-7십억원
• 메디포스트, -1.5%/-4십억원
• 셀바스AI, -1.2%/-5십억원
초소형주
• 인벤티지랩, -14.4%/-37십억원
• 온코크로스, -7.8%/-14십억원
• 나이벡, -5.9%/-15십억원
https://t.me/KIS_Healthcare
<상승 TOP3>
대형주
• HLB, +4.5%/+315십억원
• SK바이오사이언스, +3.5%/+106십억원
• 셀트리온, +1.5%/+513십억원
중형주
• 셀트리온제약, +3.4%/+70십억원
• HLB생명과학, +3.3%/+24십억원
• HLB제약, +3.1%/+19십억원
소형주
• 신라젠, +30.0%/+131십억원
• 젬백스, +8.6%/+118십억원
• 툴젠, +6.1%/+20십억원
초소형주
• 코미팜, +17.7%/+67십억원
• 삼일제약, +10.3%/+28십억원
• 진원생명과학, +8.8%/+15십억원
▶ 상승 관련 뉴스
• SK바이오사이언스: 모더나 mRNA 특허 독점 무효소송 최종 승소(https://vo.la/oeZjlX)
<하락 TOP3>
대형주
• 삼성바이오로직스, -0.8%/-641십억원
중형주
• 네이처셀, -8.3%/-177십억원
• 보로노이, -2.9%/-59십억원
• 메지온, -1.8%/-21십억원
소형주
• 큐로셀, -1.8%/-7십억원
• 메디포스트, -1.5%/-4십억원
• 셀바스AI, -1.2%/-5십억원
초소형주
• 인벤티지랩, -14.4%/-37십억원
• 온코크로스, -7.8%/-14십억원
• 나이벡, -5.9%/-15십억원
22.04.202521:55
트럼프, 미국 약가 참조가격제 검토 중
(약 3배 수준인 미국 약가를 국제 수준으로 인하하기 위해 타 국가의 약가를 기준으로 삼는 제도)
수입 의약품 관세 부과보다 업계에 더 큰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는 평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trump-looking-cutting-us-drug-prices-international-levels-sources-say-2025-04-22/
(약 3배 수준인 미국 약가를 국제 수준으로 인하하기 위해 타 국가의 약가를 기준으로 삼는 제도)
수입 의약품 관세 부과보다 업계에 더 큰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는 평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trump-looking-cutting-us-drug-prices-international-levels-sources-say-2025-04-22/
17.04.202522:48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삼천당제약 (000250): S-PASS, 그것이 알고 싶다
보고서: https://vo.la/wJRoDS
S-PASS는 먹는 비만/당뇨 치료제 제형 기술로서 임상 성공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요 구성 성분(라브라솔)은 미국 약전에 등록된 물질로 이미 투과 촉진제로서의 효능은 입증됐습니다. S-PASS는 라브라솔과 부수적인 물질들의 조합으로 흡수율과 안정성을 높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S-PASS는 현재 투트랙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리벨서스 제네릭으로는 SNAC 세마글루타이드와의 생동성 입증을 목표로 임상 중이며 3분기 중 결과 발표 전망입니다. 먹는 비만/당뇨 치료제 그리고 인슐린도 개발하고 있으며, 만약 S-PASS의 약동학적 특성이 SNAC보다 빠른 흡수를 나타낸다면 먹는 인슐린 개발에도 유리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보고서: https://vo.la/wJRoDS
S-PASS는 먹는 비만/당뇨 치료제 제형 기술로서 임상 성공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요 구성 성분(라브라솔)은 미국 약전에 등록된 물질로 이미 투과 촉진제로서의 효능은 입증됐습니다. S-PASS는 라브라솔과 부수적인 물질들의 조합으로 흡수율과 안정성을 높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S-PASS는 현재 투트랙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리벨서스 제네릭으로는 SNAC 세마글루타이드와의 생동성 입증을 목표로 임상 중이며 3분기 중 결과 발표 전망입니다. 먹는 비만/당뇨 치료제 그리고 인슐린도 개발하고 있으며, 만약 S-PASS의 약동학적 특성이 SNAC보다 빠른 흡수를 나타낸다면 먹는 인슐린 개발에도 유리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Shown 1 - 24 of 224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