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Q0 HOUSE
지능이 없는 사람들을 위한 곳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Trust
Not trusted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Feb 14, 2025
Added to TGlist
Feb 17, 2025Linked chat
Latest posts in group "IQ0 HOUSE"
19.02.202509:29
https://www.tokenpost.kr/article-222102
12억달러 가량의 5만불이하 ftx 채권자들(연 20%수익 고지능자)의 1차 상환이 완료되었습니다.
2021년 시밀러웹 기준 ftx 한국인 접속자수 점유율은 6%로 금액은 이보다 큰 숫자를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들이 저지능자들에게 테더를 던지고있을까요👀
12억달러 가량의 5만불이하 ftx 채권자들(연 20%수익 고지능자)의 1차 상환이 완료되었습니다.
2021년 시밀러웹 기준 ftx 한국인 접속자수 점유율은 6%로 금액은 이보다 큰 숫자를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들이 저지능자들에게 테더를 던지고있을까요👀
19.02.202507:30
두나무 팔던 김x규 빗썸도 파네요


19.02.202505:37
dTAO에 대한 정답지는 아마 Yuma그룹에 있지 않을지...
dTAO Price = Tao pool / alpha Tao poll
=> 즉 서브넷에 유입된 Tao가 많을수록 dTAO Price 는 올라감.
=> TAO를 50만개 들고있는, Yuma그룹에서 인큐베이팅 하는 서브넷에 Tao를 스테이킹 해줄 확률이 높음.
즉, dTAO 매커니즘에 따라 yuma 그룹(DCG)차원에서 스테이킹 해주는 애들이 PA 가 괜찮을 수 있다는 소리.
아직 Yuma 그룹의 인큐베이팅/엑셀러레이팅을 받는 서브넷들에 타오 풀이 들어간건 아니라 시총이 그리 높지 않은 상태임.
하지만, 매일 일정한 양의 알파 토큰이 풀리기 때문에 극 초창기인 현재는
신규 TAO 가 유입되지 않으면 알파타오 인플레이션 때문에 토큰 프라이스가 희석될 가능성이 높음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뒤에 타오홀더라면 어쩔수 없이 dTAO 를 구매하긴 해야할텐데, 그때 yuma 그룹 포폴들을 찾아보는 것을 추천함.
(IQ0 말듣고 dTAO 샀다가 눈물흘리지 말기~)
dTAO Price = Tao pool / alpha Tao poll
=> 즉 서브넷에 유입된 Tao가 많을수록 dTAO Price 는 올라감.
=> TAO를 50만개 들고있는, Yuma그룹에서 인큐베이팅 하는 서브넷에 Tao를 스테이킹 해줄 확률이 높음.
즉, dTAO 매커니즘에 따라 yuma 그룹(DCG)차원에서 스테이킹 해주는 애들이 PA 가 괜찮을 수 있다는 소리.
아직 Yuma 그룹의 인큐베이팅/엑셀러레이팅을 받는 서브넷들에 타오 풀이 들어간건 아니라 시총이 그리 높지 않은 상태임.
하지만, 매일 일정한 양의 알파 토큰이 풀리기 때문에 극 초창기인 현재는
신규 TAO 가 유입되지 않으면 알파타오 인플레이션 때문에 토큰 프라이스가 희석될 가능성이 높음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뒤에 타오홀더라면 어쩔수 없이 dTAO 를 구매하긴 해야할텐데, 그때 yuma 그룹 포폴들을 찾아보는 것을 추천함.
(IQ0 말듣고 dTAO 샀다가 눈물흘리지 말기~)
19.02.202500:45
ㅈㄴ긴데 걍 안읽어도됨
요약하면 이오스 - 이오스램 거래했던거처럼 타오 - 타오똥 거래하는거고 타오는 넥스트 솔라나 이런 개소리 나오면 돈몰리면서 원래 가지고 놀던 애들 부자되는 시나리오
지금은 오픈빨로 펌핑쇼 징행중
요약하면 이오스 - 이오스램 거래했던거처럼 타오 - 타오똥 거래하는거고 타오는 넥스트 솔라나 이런 개소리 나오면 돈몰리면서 원래 가지고 놀던 애들 부자되는 시나리오
지금은 오픈빨로 펌핑쇼 징행중
19.02.202500:44
누가 dTAO 얘기하길래 정리(를 챗지피티한테 시킴)
1. 등장 배경
• 기존 TAO 모델의 문제
- 소수 루트 검증자(Root Validator)들이 서브넷(Subnet) 가치 평가와 보상 배분을 좌우 → 중앙화 및 담합 위험
- 스테이킹 원금(Principal) 보호로 인한 ‘무위험 보상’ 구조 → 불평등·비효율 발생
• dTAO 도입 목적
- 네트워크 의사결정(보상 배분)을 중앙 권위 대신 시장 기반 메커니즘으로 전환
- 스테이킹에 가격 변동 리스크를 도입하여 참여자들의 책임·인센티브 균형 강화
2. 작동 방식
이중 토큰 구조
- TAO: Bittensor 메인 토큰(기축 통화)
- α(알파) 토큰: 서브넷별 토큰. 서브넷에 TAO를 스테이킹하면 α 토큰을 받음
자동화 마켓 메이커(AMM)
- 서브넷마다 AMM 풀(유동성 풀)을 운영: TAO ↔ α 교환 비율이 실시간 변동
- 많이 스테이킹(수요↑) → α 가격 상승 / 많이 언스테이킹(수요↓) → α 가격 하락
보상 분배
- 글로벌 분배: 새로 발행된 TAO를 서브넷 간 분배 시 각 서브넷 ‘α 토큰 가치(시장 평가)’를 참조 → 가치 높은 서브넷이 더 많이 배정
- 로컬 분배: 서브넷 내부에서 Yuma 컨센서스로 검증자·마이너 성과 평가 → 알파(α) 토큰 보상을 분배
3. 기대 효과
탈중앙화 & 공정성
- 서브넷 보상 배정 권한이 중앙 검증자에서 ‘모든 TAO 보유자’(시장)에게 분산 → 담합·조작 위험 감소
인센티브 구조 개선
- 스테이킹 시 α 토큰 가치 변동 위험(원금보장 X) → 품질 좋은 서브넷에 자본 몰림
- 부실 서브넷엔 스테이크 이탈 → α 가치 하락 → 생존 어려움
참여자 모두 보상 기회
- 검증자뿐 아니라 일반 TAO 홀더도 서브넷에 스테이킹(= 투자)해 α 보상 획득 가능
- 검사·평가·보상 분배 등 모든 과정이 분산적·투명하게 운영
4. Yuma 컨센서스와의 관계
• Yuma의 역할: 서브넷 내부에서 검증자들이 마이너 성과를 평가하고 보상을 분배 (마이너 vs 검증자 배분)
• dTAO와 시너지
- dTAO → 서브넷 간 자원 배분 ‘시장화’
- Yuma → 서브넷 내 성과 평가 ‘공정화’
- 결과적으로 중앙화·담합 문제 해결
5. 결론
dTAO는 기존 TAO 모델의 단점을 보완해 시장 중심 거버넌스와 책임 있는 스테이킹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탈중앙화
공정한 보상
효율적 인센티브
네트워크 확장성
을 모두 강화하려는 목적을 갖습니다.
1. 등장 배경
• 기존 TAO 모델의 문제
- 소수 루트 검증자(Root Validator)들이 서브넷(Subnet) 가치 평가와 보상 배분을 좌우 → 중앙화 및 담합 위험
- 스테이킹 원금(Principal) 보호로 인한 ‘무위험 보상’ 구조 → 불평등·비효율 발생
• dTAO 도입 목적
- 네트워크 의사결정(보상 배분)을 중앙 권위 대신 시장 기반 메커니즘으로 전환
- 스테이킹에 가격 변동 리스크를 도입하여 참여자들의 책임·인센티브 균형 강화
2. 작동 방식
이중 토큰 구조
- TAO: Bittensor 메인 토큰(기축 통화)
- α(알파) 토큰: 서브넷별 토큰. 서브넷에 TAO를 스테이킹하면 α 토큰을 받음
자동화 마켓 메이커(AMM)
- 서브넷마다 AMM 풀(유동성 풀)을 운영: TAO ↔ α 교환 비율이 실시간 변동
- 많이 스테이킹(수요↑) → α 가격 상승 / 많이 언스테이킹(수요↓) → α 가격 하락
보상 분배
- 글로벌 분배: 새로 발행된 TAO를 서브넷 간 분배 시 각 서브넷 ‘α 토큰 가치(시장 평가)’를 참조 → 가치 높은 서브넷이 더 많이 배정
- 로컬 분배: 서브넷 내부에서 Yuma 컨센서스로 검증자·마이너 성과 평가 → 알파(α) 토큰 보상을 분배
3. 기대 효과
탈중앙화 & 공정성
- 서브넷 보상 배정 권한이 중앙 검증자에서 ‘모든 TAO 보유자’(시장)에게 분산 → 담합·조작 위험 감소
인센티브 구조 개선
- 스테이킹 시 α 토큰 가치 변동 위험(원금보장 X) → 품질 좋은 서브넷에 자본 몰림
- 부실 서브넷엔 스테이크 이탈 → α 가치 하락 → 생존 어려움
참여자 모두 보상 기회
- 검증자뿐 아니라 일반 TAO 홀더도 서브넷에 스테이킹(= 투자)해 α 보상 획득 가능
- 검사·평가·보상 분배 등 모든 과정이 분산적·투명하게 운영
4. Yuma 컨센서스와의 관계
• Yuma의 역할: 서브넷 내부에서 검증자들이 마이너 성과를 평가하고 보상을 분배 (마이너 vs 검증자 배분)
• dTAO와 시너지
- dTAO → 서브넷 간 자원 배분 ‘시장화’
- Yuma → 서브넷 내 성과 평가 ‘공정화’
- 결과적으로 중앙화·담합 문제 해결
5. 결론
dTAO는 기존 TAO 모델의 단점을 보완해 시장 중심 거버넌스와 책임 있는 스테이킹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탈중앙화
공정한 보상
효율적 인센티브
네트워크 확장성
을 모두 강화하려는 목적을 갖습니다.


18.02.202502:38


18.02.202502:17
18.02.202502:12
운영진 한분 더 추가
주요 플레이
스팀달러 전세계 최대 매수자
주요 플레이
스팀달러 전세계 최대 매수자


18.02.202502:01
오늘의 저지능플레이
1. 솔라나 뭐 자기들끼리 내부자거래 폭로하고 싸우길래 싸우지말라고 숏침
2. https://x.com/weremeow/status/1891664435321647186
4과문 올리길래 숏청산함
3. 깽값으로 2만불만 받아감
1. 솔라나 뭐 자기들끼리 내부자거래 폭로하고 싸우길래 싸우지말라고 숏침
2. https://x.com/weremeow/status/1891664435321647186
4과문 올리길래 숏청산함
3. 깽값으로 2만불만 받아감


18.02.202500:19
코XX씹새끼


17.02.202508:46
어 나야
17.02.202508:44
이런건 어떻게 하나요? 하고 궁금한 우리 멍청이들을 위해 적는 컨버전 찾아낸 방법
😭일단 물려서 좆됐음
근데 너무 크게 물려서 좀 찾아봄.
찾아보니 컨버전이라는게 있는데 문제는 내역이 한페이지만 다 내려도 2018년까지 내려갈 정도로 아무도 시도도 안해봄...
그래서 남들 한거보고 따라해보니... 그냥 됐어요.
너무잘됨.
이거머임? 하고 라오어 무한매수법 시작
그냥 시장에 존재하는 모든 스팀달러 다 살 생각으로 다같이 덤벼들었어요.
https://steemdb.io/labs/conversions
여기보면 내역을 볼 수 있습니다.
역시 물리면 공부하는게 코인이지 ㅇㅇ
참고로 마로 탈출법도 1년내내 공부 중입니다
😭일단 물려서 좆됐음
근데 너무 크게 물려서 좀 찾아봄.
찾아보니 컨버전이라는게 있는데 문제는 내역이 한페이지만 다 내려도 2018년까지 내려갈 정도로 아무도 시도도 안해봄...
그래서 남들 한거보고 따라해보니... 그냥 됐어요.
너무잘됨.
이거머임? 하고 라오어 무한매수법 시작
그냥 시장에 존재하는 모든 스팀달러 다 살 생각으로 다같이 덤벼들었어요.
https://steemdb.io/labs/conversions
여기보면 내역을 볼 수 있습니다.
역시 물리면 공부하는게 코인이지 ㅇㅇ
참고로 마로 탈출법도 1년내내 공부 중입니다


17.02.202508:09
이건 그냥 진짜 좆된거니까 안심하세요
17.02.202508:07
스팀달러 SBD 7억원으로 90만개 매수 후기
스팀달러를 7억원어치 산 뒤에 상폐당했습니다.
좆된거같지만 좆되지는 않았습니다.
사실 스팀달러에는 비밀이 있습니다.
SBD는 1달러와 1:1 페그되도록 설계되었으나, 시장 유통량이 많지않아서 거의 항상 1달러보다 비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었어요.
👉먼저 1:1 페그되는 방법을 알아야합니다.
쉽게 보면 SBD 1개를 가져가면 1달러치의 STEEM을 주는 방법입니다.
이 과정을 "Conversion" 이라고 하는데, 위에 말했듯 거의 SBD가 1달러보다 비쌌기 때문에 몇 년간 거의 아무도 신청을 안했었어요.
👉부채비율이란 것도 있음
Steem 블록체인은 “SBD 총발행량을 STEEM 시가총액의 10% 이하”로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요.
SBD는 1 SBD = 1 USD 상당의 STEEM을 받을 수 있는 '부채' 성격이기에, 과도하게 발행되면 시스템에 부담이 됩니다.
SBD 발행액(명목상 1 USD로 계산)이 Steem의 전체 시가총액 대비 10%를 넘으면 보호 메커니즘이 발동됩니다.
현재(2025년 초) 시점에는 SBD 부채 비율이 10%를 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약 11~13%로 추정).
이에 따라 SBD 신규 발행이 중단(보상으로 SBD가 더 이상 지급되지 않음)되고, 변환 시 헤어컷(haircut)이 적용됩니다.
요약 : SBD 1개를 1달러로 받을 수는 없고, 더 낮은 가격에 받아야한다.
이를 감안하면 1SBD는 현재가격 기준으로 약 1050원 정도
👉 공식 변환 메커니즘
SBD → STEEM 변환은 블록체인 상의 convert 트랜잭션을 통해 진행되고 역방향은 불가능.
변환에는 3.5일이 걸립니다.
🔥그래서 정리를 해보자면
1스팀달러의 적정가치는 못해도 1000원이었고, 저는 800원부터 무한매수 시작
계속 매수를 하다보니 평단 700원정도로 형성되었고 스팀달러 90만개 매수 성공
결론
90만개 x 300원 = 2억7천만원 수익
참고로 IQ 0 HOUSE에서는 업비트 전체 물량의 절반 가량을 매수했습니다
스팀달러를 7억원어치 산 뒤에 상폐당했습니다.
좆된거같지만 좆되지는 않았습니다.
사실 스팀달러에는 비밀이 있습니다.
SBD는 1달러와 1:1 페그되도록 설계되었으나, 시장 유통량이 많지않아서 거의 항상 1달러보다 비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었어요.
👉먼저 1:1 페그되는 방법을 알아야합니다.
쉽게 보면 SBD 1개를 가져가면 1달러치의 STEEM을 주는 방법입니다.
이 과정을 "Conversion" 이라고 하는데, 위에 말했듯 거의 SBD가 1달러보다 비쌌기 때문에 몇 년간 거의 아무도 신청을 안했었어요.
👉부채비율이란 것도 있음
Steem 블록체인은 “SBD 총발행량을 STEEM 시가총액의 10% 이하”로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요.
SBD는 1 SBD = 1 USD 상당의 STEEM을 받을 수 있는 '부채' 성격이기에, 과도하게 발행되면 시스템에 부담이 됩니다.
SBD 발행액(명목상 1 USD로 계산)이 Steem의 전체 시가총액 대비 10%를 넘으면 보호 메커니즘이 발동됩니다.
현재(2025년 초) 시점에는 SBD 부채 비율이 10%를 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약 11~13%로 추정).
이에 따라 SBD 신규 발행이 중단(보상으로 SBD가 더 이상 지급되지 않음)되고, 변환 시 헤어컷(haircut)이 적용됩니다.
요약 : SBD 1개를 1달러로 받을 수는 없고, 더 낮은 가격에 받아야한다.
이를 감안하면 1SBD는 현재가격 기준으로 약 1050원 정도
👉 공식 변환 메커니즘
SBD → STEEM 변환은 블록체인 상의 convert 트랜잭션을 통해 진행되고 역방향은 불가능.
변환에는 3.5일이 걸립니다.
🔥그래서 정리를 해보자면
1스팀달러의 적정가치는 못해도 1000원이었고, 저는 800원부터 무한매수 시작
계속 매수를 하다보니 평단 700원정도로 형성되었고 스팀달러 90만개 매수 성공
결론
90만개 x 300원 = 2억7천만원 수익
참고로 IQ 0 HOUSE에서는 업비트 전체 물량의 절반 가량을 매수했습니다


17.02.202507:58
진짜는 상폐당하고 1년동안 존버까지 해야합니다


Records
19.02.202523:59
3.6K
Subscribers17.02.202506:46
150
Citation index18.01.202506:46
6.1K
Average views per post17.02.202506:46
8.5K
Average views per ad post17.02.202506:46
2.46%
ER18.01.202506:46
488.80%
ERR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